KR100280648B1 -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0648B1
KR100280648B1 KR1019980020740A KR19980020740A KR100280648B1 KR 100280648 B1 KR100280648 B1 KR 100280648B1 KR 1019980020740 A KR1019980020740 A KR 1019980020740A KR 19980020740 A KR19980020740 A KR 19980020740A KR 100280648 B1 KR100280648 B1 KR 10028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cover
pedal
gea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674A (ko
Inventor
이금기
Original Assignee
이금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금기 filed Critical 이금기
Priority to AU793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AU7939798A/en
Priority to PCT/KR1998/000171 priority patent/WO1998059121A1/en
Publication of KR19990006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648B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변기하부에 설치된 페달을 가볍게 밟아주는 것만으로 닫혔던 변기시트 및 커버가 함께 열리게 되고 필요에 따라 다시 한번더 페달을 밟아주게 되면 상승되었던 변기시트만이 다시 회동 하강하여 변기상면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변기사용자는 변기커버나 변기시트에 손을 대지 않고서도 간편히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선단에 기어부를 형성한 작동바가 관통 승, 하강되는 나선고정봉을 케이스하부에 연통설치하고, 이 케이스 내부에는 일측에 상기 작동바의 기어부가 치합되는 제1기어부와, 변기시트의 걸이구내에 형성된 기어부에 끼워져 치합되는 제2기어부와, 상기 변기시트의 양 걸이구사이에 위치되는 변기커버의 끼움부에 형성된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끼움구를 각각 단차를 두고 형성한 회동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제1기어부 일측면에는 끼움부를 형성하여 비틀림스프링의 일단을 삽입고정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형성된 걸이부에 걸어 설치하여 회동장치를 이루고, 상기 작동바의 타단은, 고정부에 의해 변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구의 회동부에 회동축이 각각 끼워져 설치되는 페달의 지지구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페달의 고정구측에는 누름구를 각각 돌출 형성하는 한편, 이 누름구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구내부에는 공지의 똑딱스위치를 직립설치하여서 누름구가 똑딱스위치상측에 위치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안착장치이다.

Description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
본 발명은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변기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변기하부에 설치된 페달을 가볍게 밟아주는 것만으로 닫혔던 변기시트 및 커버가 함께 열리게 되고 필요에 따라 다시 한 번더 페달을 밟아주게 되면 상승되었던 변기시트만이 다시 회동 하강하여 변기상면에 위치되게 함으로써 변기사용자는 변기커버나 변기시트에 손을 대지 않고서도 간편히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빌딩 등의 화장실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좌변기의 경우, 사용자는 전사용자가 사용후 덮어놓았던 변기커버와 변기시트를 손으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또는 변기시트만을 변기상면에 위치되도록 하여 변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으로, 이는 변기 사용자가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변기 사용할 때마다 일일이 손으로 변기커버 및 또는 변기시트를 들어올리거나 또는 들어올려진 변기시트를 내린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할 뿐만 아니라, 손으로 변기커버와 변기시트를 만져야 하는데 따른 비위생적인 문제도 야기되는 것이며, 특히 남성이 소변을 보기 위해 변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매소변시마다 변기커버와 아울러 변기시트도 함께 들어올린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일일이 손으로 변기커버 및 변기시트를 들어을리거나 들어올려진 변기시트를 내려 사용해야 하는 종래의 좌변기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좌변기에 간단히 장착한 상태에서 변기사용시 변기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페달을 발로 밟아 변기커버와 시트를 간단히 들어올려 변기를 사용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다시 한 번 페달을 살짝 밟아주는 것에 의해 변기시트만이 선택적으로 변기상면에 하강되게 하여 변기사용시마다 일일이 손을 대지 않고서도 좌변기의 변기커버와 변기시트를 회동시켜 열고서 위생적으로 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안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가 설치된 변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사시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회동장치의 분해사시도.
제3(b)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페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변기시트 및 변기커버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제5(a)도는 변기시트와 변기커버가 모두 변기에 덮힌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b)도는 페달의 작동에 의해 변기시트 및 변기커버가 들려 열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c)도는 페달의 작동에 의해 변기시트만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변기시트의 걸이구와 회동장치의 회동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다른 예의 일부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동바 1a, 52 : 기어부
2 : 회동장치 4 : 페달
5 : 변기시트 6 : 변기커버
7 : 고정구 21 : 나선고정봉
22 : 제2기어부 23 : 끼움구
24 : 제1기어부 25 : 케이스
27 : 회동구 41 : 지지구
42 : 누름구 43 : 회동축
51 : 걸이구 61 : 끼움부
62 : 끼움구멍 71 : 회동부
72 : 똑딱스위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자동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안착장치는, 선단에 기어부(1a)를 형성한 작동바(1)가 관통 승, 하강되는 나선고정봉(21)을 케이스(25)하부에 연통설치하고, 이 케이스(25)내부에는 일측에 상기 작동바(1)의 기어부(1a)가 치합되는 제1기어부(24)와, 변기시트(5)의 걸이구(51)내에 형성된 기어부(52)에 끼워져 치합되는 제2기어부(22)와, 상기 변기시트(5)의 양 걸이구(51)사이에 위치되는 변기커버(6)의 끼움부(61)에 형성된 끼움구멍(62)에 끼워지는 끼움구(23)를 각각 단차를 두고 형성한 회동구(27)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제1기어부(24) 일측면에는 끼움부(241)를 형성하여 비틀림스프링(28)의 일단(281)을 삽입고정하고, 상기 비틀림스프링(28)의 타단(282)은 상기 케이스(25)의 내측벽에 형성된 걸이부(251)에 걸어 설치하여 회동장치(2)를 이루고, 상기 작동바(1)의 타단은, 고정부(74)에 의해 변기(B)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구(7)의 회동부(71)에 회동축(43)이 각각 끼워져 설치되는 페달(4)의 지지구(41)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페달(4)의 고정구(7)측에는 누름구(42)를 각각 돌출 형성하는 한편, 이 누름구(42)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구(7) 내부에는 공지의 똑딱스위치(72)를 직립설치하여서 누름구(42)가 똑딱스위치(72) 상측에 위치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자동열림 및 변기시트자 동안착장치가 조립 설치된 변기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회동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페달의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변기시트 및 변기커버의 조립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회동장치(2)와 고정구(7) 및 페달(4)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회동장치(2)는 그 하부의 나선고정봉(21)에 의해 기존의 변기(B)에 형성된 변기커버 및 변기시트설치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7)의 끼움공(73)을 관통하여 고정캡(21a)에 의해 변기(B)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회동구(27)를 설치하여 그 제1기어부(24)에는 타단이 페달(4)의 지지구(41)에 끼워 고정된 작동바(1)의 기어부(1a)가 치합되고, 케이스(25)외부로 노출되는 제2기어부(22)에는 변기시트(5)의 기어부(52)가 치합됨과 동시에 끼움구(23)에는 변기커버(6)의 끼움구멍(62)이 각각 끼워진다.
이때 상기 작동바(1)의 타단이 끼워고정되는 지지구(41)는 그 일측의 고정구(41a)를 풀거나 조이는 것에 의하여 작동바(1)의 길이를 조절해가며 고정시킬수있게 함으로써 변기시트(5)의 회동작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고정구(7)는 전측의 끼움공(73)에 회동장치(2)의 나선고정봉(21)을 끼움상태에서 고정캡(21a)으로서 체결하고 후측의 고정부(74)는 변기(B) 후부의 물탱크(T)고정볼트(75)에 끼워 설치하여 너트(76)로 체결함으로써 변기(B)하부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그 후부에는 회동부(71)가 일정길이 요입형성되도록 설치되며, 그 전방측으로는 똑딱스위치(72)를 수직으로 직립되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페달(4)은 그 개방단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설치된 회동축(43)을 변기(B)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 상기 고정구(7)의 회동부(71)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끼워 설치함과 동시에 그 도중에는 서로 대향되게 지지구(41)를 설치하여 회동장치(2)내에 치합된채 변기(B)를 관통하여 연장 설치되는 작동바(1)의 타단이 그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 지지구(41)일측에는 상기 고정구(7)내에 직립 설치된 똑딱스위치(72)상측에 일정거리를 두고 위치되어 페달(4) 회동작동시 똑딱스위치(72)와 접촉되게한 누름구(42)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작동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먼저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한 후 또는 변기를 세척완료하고 커버(6)를 덮어놓은 상태에서, 다음 사용자가 변기(B)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지지구(41) 및 회동축(43)에 의해 변기하부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페달(4)을 가볍게 밟아주게 되면 페달(4)은 그 후부의 개방단부에 형성된 회동축(43)을 기점으로 회동하강하면서 누름구(42)가 고정구(7)내에 설치된 똑딱스위치(72)를 한 번 누를때까지 회동 하강하게 됨에 따라, 이 페달(4)의 지지구(41)에 연결 고정된 작동바(1)가 아래로 당겨지면서 그대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바(1)는 그 선단의 기어부(1a)가 회동장치(2)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구(27)의 제1기어부(24)에 치합된 상태이므로 페달(4)작동에 따른 작동바(1)의 하강동작에 의해 회동구(27)가 회동되면서 이 회동구(27)일측에 형성된 제2기어부(22)에 치합된 상태인 변기시트(5)의 걸이구(51)를 회동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변기시트(5)를 상측으로 서서히 회동 상승시키게 됨에 따라 이 변기시트(5)상에 단순히 얹혀진 채 고정구(2)의 끼움구(23)에 끼워진 변기커버(6)역시 변기시트(5)의 개방동작에 의해 함께 들려져 회동되면서 변기시트(5)와 변기커버(6)는 최종적으로 회동장치(2)의 회동구(27)를 축으로 회동하여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완료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변기의 사용자가 남성일 경우에는 그 상태, 즉 변기시트(5)와 변기커버(6)가 모두 들려 개방된 상태 그대로 소변을 보게 되면 닫혀진 변기시트(5)와 변기커버(6)를 열기 위한 별도의 수고 없이 간편히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만약 변기(B)사용자가 여성이거나 남성이 대변을 보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 상승된 변기시트(5)와 변기커버(6)중 변기시트(5)만을 다시 회동 하강시켜 변기(B)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해야 하는 것인바, 이때에는 변기시트(5)와 변기커버(6)가 모두 회동상승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한 번 페달(4)을 가볍게 밟아주게 되면 페달(4)후부의 누름구(42)가 다시 고정구(7)내의 똑딱스위치(72)를 누르게 됨에 따라, 똑딱스위치(72)의 똑딱부가 최초의 위치로 돌출되면서 페달(4)을 일정거리 만큼 밀어 올리게 된다. 이렇게 페달(4)이 똑딱스위치(72)의 똑딱부에 의해 위로 약간 회동 상승되게 되면서 이 페달(4)의 지지구(41)에 연결된 작동바(1)역시 위로 밀려 상승하게 되므로 작동바(1)선단의 기어부(1a)가 치합된 회동구(27)의 제1기어부(24)는 개방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게됨에 따라 회동구(27)의 제2기어부(22)에 치합된 변기시트(5)는 열릴 때와는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다시 회동 하강하게 되어 제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커버(6)는 열린 상태를 그대로를 유지하고 변기시트(5)만이 회동 하강하여 변기(B)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역시 변기시트(5)나 변기커버(6)에 손대지 않고서 간편히 변기(B)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변기시트(5)와 변기커버(6)가 함께 회동 상승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변기시트(5)만을 선택적으로 다시 회동 하강시키는 일련의 동작은, 변기면에 대해 둔각을 이루도록 회동되어 개방된 변기시트(5)를 예각상태, 다시 말해 변기면에 대해 89°이하의 각도가 되도록 역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페달(4)에 설치된 누름구(42)가 똑딱스위치(72)를 이루는 똑딱부의 상승작용에 의하여 변기시트(5)가 둔각상태에서 벗어나 예각상태에 이를 정도의 거리만큼만 페달(4)이 상승되게 함으로써 변기시트(5)가 둔각상태로 열린 상태에서 역 회동하여 수직상태를 벗어난 이후에는 변기시트(5)가 자중에 의해 변기(B)상면으로 회동 하강하면서 변기(B)상면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게 되는 것인바, 이때 회동하강되는 변기시트(5)는 실질적으로 승,하강동작을 하는 회동장치(2)의 제1기어부(24) 일측면에, 타단이 케이스(25)의 내측벽에 형성된 걸이부(251)에 끼워진 비틀림스프링(28)의 존재에 의해 변기시트(5)가 빠른속도로 하강되는 것이 저지되게 되어 변기시트(5)는 부드럽게 하강하여 소음발생없이 변기(B)상면에 안착되게 되는 것이므로 변기시트(5)만의 하강동작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변기시트(5)가 하강하게 됨에 따라 변기시트(5)의 걸이구(51)내의 기어부(52)에 끼워져 치합된 회동구(27)역시 역회전하게 됨에 따라 작동바(1)가 위로 당겨지게 되고 이 작동바(1)의 타단이 각각 연결 고정된 페달(4)역시 최초의 상태로 당겨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기존에 설치 사용되고 있는 변기(B)후부의 수조(T)하측에서 변기(B)전방측으로 변기(B)를 사이에 두고 대략U자형으로 페달(4)을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상태에서, 이 페달(4)의 작동에 의해 승하강하는 작동봉(1)의 선단으로 하여금 변기시트(5) 및 변기커버(6)와 연결되는 회동구(27)와 치합되게 연결 설치함으로써, 변기(B)사용자가 간단히 페달(4)을 밟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변기시트(6)와 변기커버(5)를 동시에 회동 상승시켜 개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의해 페달(4)을 재차 밟아주는 것만으로 개방된 변기시트(5)만을 선택적으로 다시 회동하강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변기시트(5)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구(27)와 변기시트(5)의 결합을, 회동구(27)외면의 제2기어부(22)가 변기시트(5)의 걸이구(51)내부에 형성되는 기어부(52)에 치합하도록 하여 회동구(27)의 회전력이 그대로 변기시트(5)에 전달되도록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시트(5)의 걸이구(51)내부와 회동구(27)외면에 기어부(52) 및 제2기어부(22)를 형성하는 대신에 양자를 평면형태의 구멍(52a)과 봉체(22a)로서 형성하여 그대로 끼워 넣은 후 별도의 고정수단(8)으로서 걸이구(51)와 회동구(27)를 서로 고정 결합하여 회동구(27)의 회전력이 변기시트(5)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변기시트(5)를 개폐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에 의하면, 변기사용시 전 사용자에 의해 덮혀진 변기시트 및 변기커버를 손을 대지 않고 페달을 이용해 발로서 간단히 개방시킨 후 선택적으로 변기시트만을 다시 변기상에 위치되게 한 상태에서 변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만으로 항상 위생적이고 간편하게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선단에 기어부(1a)를 형성한 작동바(1)가 관통 승, 하강되는 나선고정봉(21)을 케이스(25)하부에 연통설치하고, 이 케이스(25)내부에는 일측에 상기 작동바(1)의 기어부(1a)가 치합되는 제1기어부(24)와, 변기시트(5)의 걸이구(51)내에 형성된 기어부(52)에 끼워져 치합되는 제2기어부(22)와, 상기 변기시트(5)의 양 걸이구(51)사이에 위치되는 변기커버(6)의 끼움부(61)에 형성된 끼움구멍(62)에 끼워지는 끼움구(23)를 각각 단차를 두고 형성한 회동구(27)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제1기어부(24) 일측면에는 끼움부(241)를 형성하여 비틀림스프링(28)의 일단(281)을 삽입고정하고, 상기 비틀림스프링(28)의 타단(282)은 상기 케이스(25)의 내측벽에 형성된 걸이부(251)에 걸어 설치하여 회동장치(2)를 이루고, 상기 작동바(1)의 타단은, 고정부(74)에 의해 변기(B)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구(7)의 회동부(71)에 회동축(43)이 각각 끼워져 설치되는 페달(4)의 지지구(41)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페달(4)의 고정구(7)측에는 누름구(42)를 각각 돌출 형성하는 한편, 이 누름구(42)에 대응하는 상기 고정구(7)내부에는 공지의 똑딱스위지(72)를 직립 설치하여서 누름구(42)가 똑딱스위치(72)상측에 위치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안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27)의 제2기어부(22) 및 변기시트(5)의 기어부(52)를 각각 평면형태의 봉체(22a) 및 구멍(52a)으로 형성하여 양자를 서로 끼운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수단(8)으로 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자동열림 및 변기시트자동안착장치.
KR1019980020740A 1997-06-25 1998-06-05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 KR10028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79397/98A AU7939798A (en) 1997-06-25 1998-06-22 Devic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oilet seat and cover
PCT/KR1998/000171 WO1998059121A1 (en) 1997-06-25 1998-06-22 Device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oilet seat and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256 1997-06-25
KR101997027256 1997-06-25
KR19970027256 1997-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74A KR19990006674A (ko) 1999-01-25
KR100280648B1 true KR100280648B1 (ko) 2001-02-01

Family

ID=6589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740A KR100280648B1 (ko) 1997-06-25 1998-06-05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451B1 (ko) * 2003-07-25 2006-08-25 강윤식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KR102149454B1 (ko) 2017-08-02 2020-09-03 이금기 좌변기 좌대 및 커버의 자동 개폐장치
CN109730573B (zh) * 2019-03-18 2023-10-20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儿童座圈、智能马桶盖及智能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74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7276C (en) Toilet seat apparatus
US5857223A (en) Bathroom flipper
US5142708A (en) Footflush adapter for urinals
KR100280648B1 (ko) 좌변기의 변기시트와 커버 자동 열림 및 변기시트 자동 안착장치
KR101341651B1 (ko) 좌변기 시트 개폐장치
RU2307215C2 (ru) Узел отцепляющего рычага
US20060031981A1 (en) Hands free toilet device
KR200180429Y1 (ko) 좌변기 중간덮개 개폐장치
KR970005506Y1 (ko) 양변기 뚜껑 및 시트 개폐장치
CN216020747U (zh) 一种设置有掀盖器的坐便器
CN217218874U (zh) 一种全自动子母坐圈坐便器
KR101271173B1 (ko) 위생 양변기
CN215669930U (zh) 一种联动型通用便器
KR200297390Y1 (ko) 좌변기 시트의 자동 열림 장치
KR890004609Y1 (ko) 변기뚜껑 및 시트 개폐 장치
CN2262397Y (zh) 脚踏式便池起落盖
KR200367693Y1 (ko) 좌변기용 좌판 개폐장치
KR200262563Y1 (ko) 양변기용 2단 배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KR900003856Y1 (ko) 양변기용 좌판의 상하 회동장치
JP3045238U (ja) 簡易式便座自動開閉器
KR200267760Y1 (ko) 소변기의 세척수 밸브 개폐장치
KR20240060531A (ko) 페달형 덮개 자동개폐 기능이 구성된 변기
KR19990068527A (ko) 양변기시트카바자동열림발판레버장치.
KR920004476Y1 (ko) 양변기용 좌판과 덮개의 자동개폐 장치
JPH0638783B2 (ja) 二重蓋の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