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527B1 -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 Google Patents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527B1
KR101449527B1 KR1020120078107A KR20120078107A KR101449527B1 KR 101449527 B1 KR101449527 B1 KR 101449527B1 KR 1020120078107 A KR1020120078107 A KR 1020120078107A KR 20120078107 A KR20120078107 A KR 20120078107A KR 101449527 B1 KR101449527 B1 KR 101449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m
layer
sensitive adhesive
miner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059A (ko
Inventor
장준영
장준혁
Original Assignee
장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영 filed Critical 장준영
Priority to KR1020120078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5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9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에 관한 것으로, La 770 내지 870 ppm, Ce 410 내지 510 ppm, Pr 110 내지 210 ppm, Nd 510 내지 610 ppm, Sm 40 내지 140 ppm, Eu 1 내지 70 ppm, Gd 40 내지 140 ppm, Tb 1 내지 60 ppm, Dy 1 내지 90 ppm, Ho 1 내지 50 ppm, Er 1 내지 70 ppm, Tm 0.1 내지 20 ppm, Yb 1 내지 60 ppm, Lu 0.1 내지 20 ppm을 포함하는 광물을 이용하여 만든 패치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Patch product comprising rare earth elements}
본 발명은 패치 제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여 부작용이 적으면서 우수한 진통 효과와 근육 이완 효과를 갖는 패치 제품에 관한 것이다.
삭제
패치 제품은 피부에 부착하는 경피형 제품으로, 밴드, 파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스는 제형별로 첩부제와 습포제로 구분될 수 있다.
첩부제(Plaster)는 보통 상온에서는 고형으로, 헝겊,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필름 등에 펴서 피부에 점착시키는 외용제이다. 일반적으로 첩부제는 기공(Porous plaster)이 있어 점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신축성이 있는 섬유(Extension plaster)로 되어 있어 관절부위에 적용이 편리한 것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신신파스 에스, 신신파스 에이 등이 있다. 최근에는 경구 투여하여 치료하던 비스테로이드(NSAID) 성분으로 소염진통에 효과가 있는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케토프로펜(Ket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sin) 등을 경피 흡수시킴으로써, 기존의 경구용으로 치료시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을 줄이는 제제들이 개발되어 시판 중이다. 이중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플루르비프로펜 성분인 페노크린, 케토프로펜 성분인 케토크린, 인도메타신 성분인 인타신 등이 있으며 이중 플루르비프로펜이 통증을 완화효과가 가장 뛰어나다.
습포제(Cataplasma)는 보통 의약품의 가루와 정유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니상으로 만들거나 또는 포상에 전연 성형하여 만든 습포에 쓰이는 외용제이다. 일반적으로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첩부제(Plaster)보다는 경피 흡수율이 좋고 냉찜질효과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첩부제(Plaster)와 마찬가지로 경구투여하여 치료하던 비스테로이드(NSAID)성분으로 소염 진통에 효과가 있는 케토프로펜(Ketoprofen), 인도메타신(Indomethasin) 등을 경피 흡수시킴으로써, 기존의 경구용으로 치료시 위장장애를 일으키는 부작용을 줄이는 제제들이 개발되어 시판중이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케토크린 카타플라스마와 한방 파프로서 진생고 카타플라스마, 어의고첩 카타플라스마, 한성고 카타플라스마 등이 있다.
패치 제품에 사용되는 약효성분으로는 멘톨,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캄파, 초산토코페롤, 켑사이신 등이 있다.
멘톨(MENTHOL)은 국소를 자극하여 열감, 발적, 동통 등을 일으키고, 지각을 둔하게 하여 진통, 제양효과를 일으키며, 살균, 방부 및 청량감을 준다. 살리실산메틸(METHYL SALICYLATE)은 동통(Pain)을 일으키는 조직에서 척수신경절에 이르는 신경과 연합한 지각신경의 지배를 받는 말초부위에 반대자극제로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켜 준다. 살리실산글리콜(GLYCOL SALICYLATE)은 살리실산메틸과 같이 반대자극제로 작용하여 통증완화작용을 한다. 캄파(CHAMPA)는 국소자극 작용을 하여 청량감을 준다. 치몰(THYMOL)은 국소자극과 살균 및 방부작용을 한다.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은 말초혈행을 개선시켜 신진대사 촉진작용으로 약물흡수를 증진시켜준다. 캡사이신(CAPSAICINE)은 고춧가루 성분으로 후끈한 열자극감과 국소진통작용이 있다. 이 성분을 함유한 파스는 피부가 연약한 사람은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종래 패치 제품은 약효성분으로는 멘톨, 살리실산메틸, 살리실산글리콜, 캄파, 초산토코페롤, 켑사이신 등과 같은 유기물질을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각종 부작용이 유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토톱과 같은 케토프로펜 성분의 파스는 15세 미만 소아에게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이런 제품류는 광과민증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 후 2주 동안은 약물노출 부위에 자외선 노출을 피해야한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5501호(2004.10.22.)
2. 등록특허공보 제10-0876361호(2008.12.2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물질 대신에 무기물질을 약효성분으로 사용하여 부작용이 적으면서 우수한 진통 효과와 근육 이완 효과를 갖는 패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광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란타넘(La) 770 내지 870 ppm, 세륨(Ce) 410 내지 510 ppm, 프라세오디뮴(Pr) 110 내지 210 ppm, 네오디뮴(Nd) 510 내지 610 ppm, 사마륨(Sm) 40 내지 140 ppm, 유로퓸(Eu) 1 내지 70 ppm, 가돌리늄(Gd) 40 내지 140 ppm, 테르븀(Tb) 1 내지 60 ppm, 디스프로슘(Dy) 1 내지 90 ppm, 홀뮴(Ho) 1 내지 50 ppm, 에르븀(Er) 1 내지 70 ppm, 툴륨(Tm) 0.1 내지 20 ppm, 이테르븀(Yb) 1 내지 60 ppm, 루테튬(Lu) 0.1 내지 20 ppm, 리튬(Li) 1 내지 80 ppm, 베릴륨(Be) 0.1 내지 20 ppm, 코발트(Co) 210 내지 310 ppm, 니켈(Ni) 440 내지 540 ppm, 구리(Cu) 1 내지 70 ppm, 갈륨(Ga) 0.01 내지 10 ppm, 루비듐(Rb) 1 내지 70 ppm, 이트륨(Y) 110 내지 210 ppm, 니오븀(Nb) 0.01 내지 10 ppm, 몰리브덴(Mo) 0.01 내지 10 ppm, 카드뮴(Cd) 0.01 내지 10 ppm, 안티몬(Sb) 0.1 내지 20 ppm, 세슘(Cs) 0.01 내지 10 ppm을 포함하는 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만든 진통 및 근육 이완용 패치 제품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광물은 하프늄(Hf) 0.01 내지 10 ppm, 탄탈럼(Ta) 0.01 내지 10 ppm, 납(Pb) 0.01 내지 10 ppm, 비스무트(Bi) 0.01 내지 10 ppm, 토륨(Th) 0.01 내지 10 ppm, 우라늄(U) 1 내지 60 ppm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패치 제품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위에 형성되고, 점착제와 상기 광물을 포함하는 점착성 약효층; 및 상기 점착성 약효층 위에 형성되는 이형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패치 제품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 위에 형성되고, 절취부에 의해 중앙부 및 측면부로 구분되어 독립적인 박리가 가능한 이형층; 및 상기 이형층의 중앙부를 박리한 후 점착층에 부착되고, 상기 광물을 포함하는 약효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 제품은 유기물질 대신에 무기물질을 약효성분으로 사용하고, 특히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여 부작용이 적으면서 우수한 진통 효과와 근육 이완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패치 제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패치 제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에 관한 것이다.
희토류 원소(rare earth elements)는 주기율표에서 Ⅲ족에 속하는 17개의 원소로서, 산화물 초전도체의 원료인 이트륨, 란탄도 이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주기율표 Ⅲ족에 속하는 스칸듐(Se, 원자번호 21) 이트륨(Y, 원자번호 39) 및 란타이노이드(원자번호 57~71) 중의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튬(Pm), 사마륨(Sm), 유로븀(Eu), 가돌리늄(Gd),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루테튬(Lu)의 17개 원소를 희토류 원소라 총칭한다.
이와 같은 원소의 화합물이 최초 비교적 희귀한 광물에서 얻어지는 복잡한 혼합 산화물에서 분리되었으므로 이렇게 이름이 붙여진 것이지만, 그 지각상의 존재량이 그다지 희소한 것은 아니다. 희토류 원소는 광물에서 혼합물로 취득되는 사례가 많고, 분리하는 데에는 용매추출법 또는 이온교환법 등이 이용된다.
희토류 원소는 원자번호 57에서 62(La~Sm)의 세륨족과 21(Sc), 39(Y), 63~71(Eu~Lu)을 합한 이트륨족으로 분류된다. 세륨족은 수산화물의 염기성이 강하지만, 이트륨족은 수산화물의 염기성이 약하다. 희토류 원소는 산화수 3의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안정적이지만, 2가, 4가 등의 화합물을 갖는 것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품은 광물을 이용하여 만드는데, 특히 광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희토류 원소로서 La 770 내지 870 ppm, Ce 410 내지 510 ppm, Pr 110 내지 210 ppm, Nd 510 내지 610 ppm, Sm 40 내지 140 ppm, Eu 1 내지 70 ppm, Gd 40 내지 140 ppm, Tb 1 내지 60 ppm, Dy 1 내지 90 ppm, Ho 1 내지 50 ppm, Er 1 내지 70 ppm, Tm 0.1 내지 20 ppm, Yb 1 내지 60 ppm, Lu 0.1 내지 20 ppm을 포함하는 광물을 이용하여 만든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La 800 내지 840 ppm, Ce 440 내지 480 ppm, Pr 140 내지 180 ppm, Nd 540 내지 580 ppm, Sm 70 내지 110 ppm, Eu 5 내지 30 ppm, Gd 70 내지 110 ppm, Tb 1 내지 20 ppm, Dy 20 내지 60 ppm, Ho 1 내지 20 ppm, Er 5 내지 30 ppm, Tm 0.1 내지 5 ppm, Yb 1 내지 20 ppm, Lu 0.1 내지 5 ppm을 포함하는 광물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지역의 광물을 채취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기한 농도 범위를 갖는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였고, 이 광물을 분말화하여 패치 제품에 적용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우수한 진통효과와 근육 이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물은 광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Li 1 내지 80 ppm, Be 0.1 내지 20 ppm, Co 210 내지 310 ppm, Ni 440 내지 540 ppm, Cu 1 내지 70 ppm, Ga 0.01 내지 10 ppm, Rb 1 내지 70 ppm, Y 110 내지 210 ppm, Nb 0.01 내지 10 ppm, Mo 0.01 내지 10 ppm, Cd 0.01 내지 10 ppm, Sb 0.1 내지 20 ppm, Cs 0.01 내지 10 ppm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물은 광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Li 10 내지 50 ppm, Be 0.1 내지 5 ppm, Co 240 내지 280 ppm, Ni 470 내지 510 ppm, Cu 10 내지 40 ppm, Ga 0.01 내지 1 ppm, Rb 5 내지 30 ppm, Y 140 내지 180 ppm, Nb 0.01 내지 1 ppm, Mo 0.01 내지 2 ppm, Cd 0.01 내지 3 ppm, Sb 0.1 내지 10 ppm, Cs 0.01 내지 1 ppm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물은 광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Hf 0.01 내지 10 ppm, Ta 0.01 내지 10 ppm, Pb 0.01 내지 10 ppm, Bi 0.01 내지 10 ppm, Th 0.01 내지 10 ppm, U 1 내지 60 ppm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물은 광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Hf 0.01 내지 3 ppm, Ta 0.01 내지 1 ppm, Pb 0.01 내지 1 ppm, Bi 0.01 내지 1 ppm, Th 0.01 내지 3 ppm, U 1 내지 30 ppm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소들은 원소 그 자체로 광물에 포함될 수 있고, 이온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으며, 또한 화합물 형태, 예를 들어 산화물 형태로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패치 제품의 단면도로서, 이 패치 제품은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 위에 형성되고, 점착제와 상기 광물을 포함하는 점착성 약효층(22); 및 상기 점착성 약효층(22) 위에 형성되는 이형층(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으로는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박막, 알루미늄 박막과 같은 금속박막, 고분자-금속박막,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약효층(22)은 점착제와 본 발명의 광물을 포함하는데, 상기 점착제로는 감압성 점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압성 점착제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중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두 종류 이상을 서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혼합 점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 중 아민계 실리콘 점착제는 니코틴과 같은 아민기를 포함하는 약물을 위한 패치에 적합하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실리콘계 압력 민감성 점착제로는 Dow Corning사의 BIO-PSA의 상표로 시판되는 것이 있다.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acrylate) 또는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iso-octyl acrylate)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methacrylate monomer);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모노머(monomer); 및 아크릴 산(acrylic acid)과 같은 모노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copolymer)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본 발명에 적합한 아크릴 감압성 점착제로는 National Starch Duro Tak 제품이나 SOKEN사의 제품 등이 있다.
실리콘계 점착제와 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조되는 패치에 24시간 이상의 장시간 부착되는 성능을 부여하기 원한다면 실리콘계 점착제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패치에 봉입되는 약물 함량을 높이기 원한다면 아크릴계 점착제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리콘 점착제와 아크릴 점착제의 혼합비율은 100:0 에서 0:100의 비율까지 다양한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패치 부착시 피부 자극을 적게 하는 등의 목적으로 고무계 점착제를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점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고무계 점착제를 실리콘계 점착제(또는 아크릴계 점착제)와 혼합하는 비율은 100:0 에서 0:100의 범위로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약효층(22)에서 광물의 함량은 약효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90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이다. 광물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진통효과 또는 근육 이완효과가 저하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점착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약효층(22) 내 광물의 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높이기 위해 용해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용해보조제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콜로이드성 실리콘 다이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코올, 소디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즈, 카보폴, 폴록사머 등이 있는데, 상기 열거된 용해보조제 중 하나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해보조제는 점착성 약효층(22) 총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30 중량% 범위 내에서 함유될 수 있다. 점착성 약효층(22)에 용해보조제를 첨가하는 경우 적절한 점도를 가지는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용해 보조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점도가 낮아 코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너무 많으면 점성이 높아 공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광물의 피부투과를 증강시키기 위하여 피부침투 증강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피부침투 증가제는 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다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의 지방산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탄 라우레이트(Sorbitan laurate), 소르비탄(Sorbitan), 모노도데카노에이트(monododecanoate) 등이다. 상기 피부침투 증강제는 점착성 약효층(22) 총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 중량% 범위 내에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침투 증강제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소기의 피부 침투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너무 많으면 피부자극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광물이 함유된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층(10)에 코팅한 후, 그 위에 이형층(30)을 적층하는 제조방법의 경우, 상기 점착성 약효층(22)이 피부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 피부침투 증강제 및 용해보조제가 많이 분포하게 됨으로써, 약물의 피부 투과도가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에 용해보조제가 많이 분포하게 됨으로써, 패치의 피부 친화성이 증가하고 피부자극이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점착성 약효층(22)의 두께는 통상 20 내지 20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 ㎛의 범위이다.
상기 이형층(30)은 실리콘으로 코팅된 필름, 불소 함유 하이드로카본과 같은 물질로 코팅된 폴리에스테르 등의 약물 비투과성 폴리머, 부직포 등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다양한 필름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패치 제품의 단면도로서, 도 1과 비교하여 차이점은 광물이 점착층에 포함되지 않고, 광물을 포함하는 별도의 약효층을 제작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형태에 따른 패치 제품은 기재층(10); 상기 기재층(10) 위에 형성되는 점착층(20); 상기 점착층(20) 위에 형성되고, 절취부에 의해 중앙부(32) 및 측면부(34, 36)로 구분되어 독립적인 박리가 가능한 이형층(30); 및 상기 이형층(30)의 중앙부(32)를 박리한 후 점착층(20)에 부착되고, 상기 광물을 포함하는 약효층(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의 구성은 도 1과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층(2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감압성 접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이형층(30)의 구성도 도 1과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형층(30)에는 절취부가 형성되고, 이 절취부에 의해 중앙부(32) 및 측면부(34, 36)로 구분되며, 중앙부(32) 및 측면부(34, 36)는 독립적으로 박리가 가능하다.
상기 약효층(40)은 별도로 분리 제작되는 층으로서, 사용 시에는 이형층(30) 중 중앙부(32)를 먼저 떼어낸 후 노출된 점착층(20)의 중앙부위에 약효층(40)을 부착하고, 그 다음 이형층(30)의 좌우 측면부(34, 36)를 떼어낸 후 피부에 부착하게 된다.
상기 약효층(40)은 유연한 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약효층(40)은 별도로 분리 포장되거나, 그 양면에 박리 가능한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먼저, A 지역에서 광물을 채취한 후 분쇄기로 분쇄하여 광물 분말을 만들었다.
다음, 광물 분말 20 중량%, 아크릴 점착제(National Starch 사의 DT87-2196) 54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20 중량%, 스판 20(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2 중량%, 폴리비닐 피롤리돈 3 중량%, 콜로이드성 다이옥사이드 1 중량%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만들었다.
다음으로, 기재층으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3M Scotchpak 1109) 상에 상기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랩코터 드라이어(Lab coater and Dryer, 스위스 Mathis사)를 이용해 70 내지 130℃에서 5 내지 15분간 고온 건조하여 점착성 약효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점착성 약효층 위에 이형층으로서 필름(3M Scotchpak 9744, 1022, 3M paper release liner 1361, 9743)을 적층하여 패치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시판 중인 케토톱
[시험예]
1. 성분 분석
실시예에서 사용한 광물의 성분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BSI)에 의뢰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성분 분석은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원소 최종농도(ppm)
Li
Be
Co
Ni
Cu
Ga
Rb
Y
Nb
Mo
Cd
Sb
Cs
La
Ce
Pr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Hf
Ta
Pb
Bi
Th
U
33.46
1.63
261.43
485.90
23.67
<0.2
15.11
161.49
<0.2
0.206
0.631
2.442
<0.2
817.2
458.1
163.3
557.6
94.14
16.76
94.45
9.708
38.56
5.821
15.72
1.634
9.845
1.463
0.647
<0.2
<0.2
<0.2
0.476
10.34
2. 효과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패치 제품에 대하여,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진통효과, 근육이완효과 및 부작용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구체적으로, 시험 대상자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1회 이상 이용 후 각 항목에 대해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으며, 시험 후 설문지를 취합하여 평균점수를 산출하였다. 진통효과와 근육이완효과의 경우 점수가 높을수록 효과가 좋은 것이며, 부작용의 경우 점수가 낮을수록 좋은 것이다. 부작용으로는 화상, 표피박탈, 착색 및 변색, 통증, 피부장애 및 피부염, 가려움증, 물집, 부종, 짓무름, 호흡곤란, 열감·피부건조증 등을 예시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진통효과 8.6 7.2
근육이완효과 8.3 6.9
부작용 0.8 1.4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제품은 유기물질 대신에 무기물질을 약효성분으로 사용하고, 특히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므로, 비교예의 시판 제품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으면서 우수한 진통 효과와 근육 이완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재층 20: 점착층
22: 점착성 약효층 30: 이형층
32: 중앙부 34, 36: 측면부
40: 약효층

Claims (5)

  1. 광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란타넘(La) 770 내지 870 ppm, 세륨(Ce) 410 내지 510 ppm, 프라세오디뮴(Pr) 110 내지 210 ppm, 네오디뮴(Nd) 510 내지 610 ppm, 사마륨(Sm) 40 내지 140 ppm, 유로퓸(Eu) 1 내지 70 ppm, 가돌리늄(Gd) 40 내지 140 ppm, 테르븀(Tb) 1 내지 60 ppm, 디스프로슘(Dy) 1 내지 90 ppm, 홀뮴(Ho) 1 내지 50 ppm, 에르븀(Er) 1 내지 70 ppm, 툴륨(Tm) 0.1 내지 20 ppm, 이테르븀(Yb) 1 내지 60 ppm, 루테튬(Lu) 0.1 내지 20 ppm, 리튬(Li) 1 내지 80 ppm, 베릴륨(Be) 0.1 내지 20 ppm, 코발트(Co) 210 내지 310 ppm, 니켈(Ni) 440 내지 540 ppm, 구리(Cu) 1 내지 70 ppm, 갈륨(Ga) 0.01 내지 10 ppm, 루비듐(Rb) 1 내지 70 ppm, 이트륨(Y) 110 내지 210 ppm, 니오븀(Nb) 0.01 내지 10 ppm, 몰리브덴(Mo) 0.01 내지 10 ppm, 카드뮴(Cd) 0.01 내지 10 ppm, 안티몬(Sb) 0.1 내지 20 ppm, 세슘(Cs) 0.01 내지 10 ppm을 포함하는 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켜 만든 진통 및 근육 이완용 패치 제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은 하프늄(Hf) 0.01 내지 10 ppm, 탄탈럼(Ta) 0.01 내지 10 ppm, 납(Pb) 0.01 내지 10 ppm, 비스무트(Bi) 0.01 내지 10 ppm, 토륨(Th) 0.01 내지 10 ppm, 우라늄(U) 1 내지 60 ppm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통 및 근육 이완용 패치 제품.
  4. 제1항에 있어서,
    기재층;
    상기 기재층 위에 형성되고, 점착제와 상기 광물을 포함하는 점착성 약효층; 및
    상기 점착성 약효층 위에 형성되는 이형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통 및 근육 이완용 패치 제품.
  5. 제1항에 있어서,
    기재층;
    상기 기재층 위에 형성되는 점착층;
    상기 점착층 위에 형성되고, 절취부에 의해 중앙부 및 측면부로 구분되어 독립적인 박리가 가능한 이형층; 및
    상기 이형층의 중앙부를 박리한 후 점착층에 부착되고, 상기 광물을 포함하는 약효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통 및 근육 이완용 패치 제품.
KR1020120078107A 2012-07-18 2012-07-18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KR101449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107A KR101449527B1 (ko) 2012-07-18 2012-07-18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107A KR101449527B1 (ko) 2012-07-18 2012-07-18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059A KR20140019059A (ko) 2014-02-14
KR101449527B1 true KR101449527B1 (ko) 2014-10-13

Family

ID=5026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107A KR101449527B1 (ko) 2012-07-18 2012-07-18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5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231B1 (ko) * 2016-07-29 2017-01-13 (주) 크리오코리아 기능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장신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501Y1 (ko) * 2004-08-04 2004-10-22 권영미 음이온 방출 기능성 테이프
KR20080100108A (ko) * 2007-05-11 2008-11-14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슬리밍용 조성물
KR20090062803A (ko) * 2007-12-13 2009-06-17 케이제이아이 공업주식회사 희토류 광물이 포함된 피부 접착형 패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501Y1 (ko) * 2004-08-04 2004-10-22 권영미 음이온 방출 기능성 테이프
KR20080100108A (ko) * 2007-05-11 2008-11-14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슬리밍용 조성물
KR100876361B1 (ko) * 2007-05-11 2008-12-29 주식회사 태웅이엘에스 슬리밍용 조성물
KR20090062803A (ko) * 2007-12-13 2009-06-17 케이제이아이 공업주식회사 희토류 광물이 포함된 피부 접착형 패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059A (ko) 201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0160B (zh) 透皮递送系统、其制备方法以及使用所述系统的透皮递送方法
JP5542665B2 (ja) マトリックス型経皮投与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507193B (zh) 經皮輸送貼劑
US20080138388A1 (en) Transdermal Absorption Patch
EP2663296B1 (en) Donepezil transdermal patch
TWI511733B (zh) 經皮投與雌激素之裝置及其用途
TW201521796A (zh) 用於經皮傳遞三級胺藥物之組合物及方法
KR100740056B1 (ko) 신축성 첩부제
TW201200134A (en) Transdermal testosterone device and delivery
TWI542368B (zh) 含有血清素受體拮抗劑之貼劑
IL157795A (en) A surface patch compound containing a delayed-type hypersensitive catalyst and methods of using it
AU2002247209A1 (en) Topical patch preparation containing a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inducer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20060127779A (ko) 경피 흡수형 제약 제제
CA2941446C (en) Patch preparation comprising layered support
KR20210065931A (ko) 함수계 첩부제
KR20110036709A (ko) 경피 흡수 촉진제 및 이를 사용한 경피 투여 제제
KR101449527B1 (ko) 희토류 원소를 포함하는 패치 제품
JPS60199832A (ja) 抗酸化性外用製剤
ES2394311T3 (es) Formulación transdérmica que comprende un analgésico opioide y una composición de aloe
CN106361728B (zh) 经皮吸收制剂及制备经皮吸收制剂的方法
JP6459148B2 (ja) 経皮吸収型製剤
KR20040077803A (ko) 가교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한 점착성 성형체의 제조방법
JP2017190309A (ja) リバスチグミン経皮吸収製剤
TW201332592A (zh) 經皮吸收型製劑
JPH0627066B2 (ja) 外用貼付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