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380B1 -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 Google Patents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380B1
KR101449380B1 KR1020140050725A KR20140050725A KR101449380B1 KR 101449380 B1 KR101449380 B1 KR 101449380B1 KR 1020140050725 A KR1020140050725 A KR 1020140050725A KR 20140050725 A KR20140050725 A KR 20140050725A KR 101449380 B1 KR101449380 B1 KR 101449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ladder
railing
emergenc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7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뫼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뫼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뫼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050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3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vacuation facili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deploys a rail in an emergency to provide an evacuation space while enabling users to safely get out of a building through a ladder. The ladder fix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ail touches the ground when the rail is unfolded to support the rail to ensure the structural reli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also enables firefighters to each story to ensure quick life-saving and firefighting operations.

Description

비상탈출 시설{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본 발명은 비상탈출 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시에 난간이 전개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다리를 통해 건물 밖으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고, 난간이 전개되면 난간 전면에 고정된 사다리가 지면에 접하면서 난간들을 지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사다리를 통해 소방수를 각 층으로 공급함으로써, 인명 구조는 물론,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비상탈출 시설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capable of safely escaping through a ladder through a ladder while safely escaping through a ladder, It is structurally stable because it supports the handrails while touching, and it provides fire escape through ladder to each floor, emergency rescue facility which can rapidly fire suppression as well as lifesaving structure.

일반적으로, 아파트, 상가, 빌딩과 같은 건물은 고층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물에는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비상구와 방화문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또한 완강기 등 각종 대피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완강기의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사람이 극히 적고 사용상 불편함 내지 두려움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Generally, building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shopping malls, and buildings are in a high-rise area. Emergency doors and fire doors are required to reduce the damage of people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and various means of evacuation are provided. However, there are very few people who know how to use the durability, and there is a problem of feeling inconvenience or fear of using.

또한 비상구의 경우 화재시 많은 사람이 몰려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또 비상구에는 방화문이 설치되어 화염이나 연기가 비상구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사실상 방화문을 닫는 것은 대부분 수동으로 이루어져 닫히지 않는 문제가 있다.Also, in case of an emergency exit, a lot of people flock to the fire to make it difficult to use. In addition, a fire door is installed in the emergency exit so that flame or smoke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rough the exit. In fact, closing the fire door is mostly manual.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9760호에는 베란다의 선단에 힌지를 통하여 축 선회할 수 있게 설치된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에 대해 회절할 수 있게 관절 연결된 제2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을 베란다의 양쪽 측벽에 직접 연결하여 지지해 주는 지지기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의 외측 프레임의 내부에 두루말이식 방열커버를 내장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에 양쪽으로 펴어지는 보조지지판을 구비하여 제1,2지지판에 의해 만들어지는 탑승구에 측벽을 이루게 하는 안전난간대가 개시되어 있다.Thu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99760 discloses a first supporting plate provided at a front end of a veranda through a hinge so as to be pivotally rotatable, a second supporting plate connected to be diffrac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ing plate, And a supporting mechanism for directly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side walls of the veranda. The outer frame of the first support plate may have a built-in thermal expansion cover. Further, a safety guardrail is provided which has auxiliary support plates which are sprea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so as to form sidewalls at the gate made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안전난간대가 베란다에 설치되어 화염이나 연기를 일시적으로 피할 수 있으나, 건물에서 탈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위급상황에서 실효를 거두기 어려우며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인식으로 인해 사용이 꺼려지게 된다.
However, although the above-mentioned registered patents are installed on the veranda to prevent the flames or smoke from being temporarily installed in the veranda, there is no device capable of escaping from the building,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hieve an emergency in an emergency and is structurally unstable. .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9760호(2011.12.28.)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99760 (December 28, 2011)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10401호(2006.08.10.)2. Korean Patent No. 10-0610401 (2006.08.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시에 난간이 전개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다리를 통해 건물 밖으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비상탈출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capable of escaping safely out of a building through a ladder while providing a shelter space with a rail extended in an emergency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구동부를 작동하면 모든 난간들이 동시에 전개되기 때문에 사용법을 숙지하기 어려운 노인이나 어린이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통로부 양측에 난간이 배치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고, 대피공간인 난간이 각층 마다 설치되고 서로 통로부와 사다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사람들이 몰려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비상탈출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derly or child who can hardly know how to use it because all the rails a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when one driving part is operated, and the parapet is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assage part, , The escape space is provided for each floor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assage portion and the ladder, thereby providing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capable of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at a ti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난간이 전개되면 난간 전면에 고정된 사다리가 지면에 접하면서 난간들을 지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된 비상탈출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ally stable emergency escape facility because the ladder fixed to the front of the railing supports the railing when it touches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다리에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명의 구조는 물론,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비상탈출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capable of promptly suppressing the fire as well as the structure of the human life by constituting the ladder so as to be able to supply fire water.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건물 벽체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제1, 2 레일부와; 상기 제1, 2 레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난간과; 상기 복수의 난간에 각각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복수의 난간이 접혀 있고, 비상시에는 상기 복수의 난간이 일체로 전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first and second rail parts fixed to the building wall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parallel; A plurality of rail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a ladder fixed to the plurality of railing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railings are normally folded, and in an emergency, the plurality of railings are integrally develop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제1, 2 레일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제1, 2 레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서로 이격되는 제1, 2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과 일측의 측면 프레임과 제1전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바닥판과, 상기 후면 프레임과 타측의 측면 프레임과 제2전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바닥판과, 상기 제1, 2바닥판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전면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사다리가 고정되어, 탈출자가 상기 통로부 및 사다리를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ail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the rail including a rea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A pair of side frames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frame, first and second front frame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side frame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irst bottom plate dis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irst front frame; a second bottom plate disposed between the rear frame and the other side frame and the second front frame; And the ladder is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ont frames so that the escape is moved through the passage portion and the lad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의 레일부와 난간의 하면에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방식의 제2쇼크업소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shock absorber of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type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a railing and a railing of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의 사다리의 하단부에는 상기 난간이 펴지면서 상기 사다리가 지면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스프링 방식의 제1쇼크업소버(shock absorber)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pring-type first shock absorbe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adder of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bsorb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ladd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the railing is extende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레일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레일부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난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레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하면 상기 난간을 접철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escape structure comprising a drive motor coupled to a rail, a cylinder movably coupled to the drive motor in an up-and-down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mposed of a bushing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railing, and when the cylinder is lifted and lowered, the railing is fol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의 사다리는 상기 난간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메인 파이프 사이에 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발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소방수를 이송할 수 있도록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소방수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난간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소방수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ladder of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support portions fixed to the railing, and a plurality of foot portions arranged transversely between the main pipes, wherein the support portion supports the fire water And a fire-fighting water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난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건물 벽체에 형성되는 비상탈출용 비상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emergency escape emergency exit formed on the building wall to correspond to a handrail.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비상시에 난간이 전개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다리를 통해 건물 밖으로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the effect of escaping safely out of the building through the ladder while providing the escape space by expanding the handrail in an emergenc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하나의 구동부를 작동하면 모든 난간들이 동시에 전개되기 때문에 사용법을 숙지하기 어려운 노인이나 어린이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통로부 양측에 난간이 배치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안정을 가질 수 있고, 대피공간인 난간이 각층 마다 설치되고 서로 통로부와 사다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한꺼번에 사람들이 몰려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used by an elderly person or a child who does not know how to use it because all the rails a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when one driving unit is operated, and the parapet is placed on both sides of the passageway, Since the railing is installed on each floor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assage and the ladder,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from being caused by crowded people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난간이 전개되면 난간 전면에 고정된 사다리가 지면에 접하면서 난간들을 지지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table since the ladder fixed to the front of the railing supports the railing when it touches the grou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사다리에 소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인명의 구조는 물론, 화재 진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upply fire water to the ladder,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not only the structure of life, but also fire suppression can be prompt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이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을 도시하는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a front view,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a transvers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a front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이 접힌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을 도시하는 정면도 및 종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a front view,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a cross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lded, 4A and 4B are a front view and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100)은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에서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탈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게 레일부(110:110a,110b,110c)와, 난간(130) 및 사다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B, an emergency escape facilit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escape people inside a building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The escape facility 100 includes a rail part 110 (110a, 110b, 110c A handrail 130, and a ladder 150. In this embodiment,

종래의 피난용 난간은 베란다에 설치되며 비상시 난간이 펴지면서 확장된 공간만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베란다와 별도로 설치되는 난간(130)과, 외부로 탈출할 수 있도록 사다리(15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난간(130)이 전개되면 사다리(150)도 함께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ing 130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veranda and the ladder 150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so as to escape to the outside. And the ladder 150 moves together when the railing 130 is expand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건물 벽체(W)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레일부(110)와, 상기 레일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난간(130)과, 상기 복수의 난간(130)에 각각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사다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part 110 fixed in parallel to the building wall 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rails 130 rotatably coupled to the rail part 110, And a ladder 150 fixed to the plurality of rails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110)는 건물의 하단에서 상단까지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난간(130)과, 후술할 구동부를 지지 내지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건물 벽체(W)에 고정되는 제1레일부(110a)와, 제2레일부(110b)와, 상기 제1, 2 레일부(110a,110b) 사이에 배치되는 제3레일부(110c)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ail part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vertically installed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building to support and fix the plurality of railings 130 and a driv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A first rail 110a and a second rail 110b and a third rail 110c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110a and 110b.

상기 각 레일부(110)는 벽체에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F)로 결합할 수 있는 고정홈부(111)와, 상기 고정홈부(111)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레일홈부(113) 및 제2레일홈부(115)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Each of the rail parts 110 includes a fixed groove part 111 which can be coupled to a wall by a fixing member F such as a bolt and a first rail groove part 113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the outer side of the fixed groove part 111, And the second rail groove portion 115 can be exemplified.

상기 제1레일홈부(113)에는 한 쌍의 제1접철부재(121)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2레일홈부(115)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접철부재(122)와 상기 제2접철부재(12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브레싱 스토퍼(117)가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철부재(121)는 상기 제1, 2, 3레일부(110)에 각각 설치되고, 제2접철부재(122) 및 브레싱 스토퍼(117)는 상기 제1, 2레일부(110a,110b)에 설치된다.
A pair of first folding members 121 are fixedly mounted on the first rail groove portion 113 and a second folding member 122 mounted on the second rail groove portion 115 to be movable up and down, A braking stopper 117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range of the second folding member 122 is fixedly installed. The first fold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folding member 122 are disposed on the first and second rail members 110 and 110 respectively. 110a, 110b.

본 발명에 따른 난간(130)은 상기 레일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비상시에 전개되고 평상시에 접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크게 프레임(131,133,135)과, 바닥판(137)과, 통로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The railing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ail part 110 and to be unfolded in an emergency and to be folded at a normal time and comprises a frame 131, 133, 135, a bottom plate 137, 139).

상기 프레임은 상기 레일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후면 프레임(131)과, 상기 후면 프레임(131)의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33)과, 상기 측면 프레임(1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전면 프레임(135)과, 난간의 좌우측에 배치되는 제1, 2 바닥판(137)과, 상기 제1, 2바닥판(137)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includes a pair of rear frames 131 rotatably coupled to the rails 110, a pair of side frames 133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frame 131, A pair of front frames 135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bottom plates 137 and 133, first and second bottom plates 137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ailing, Section 139,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서는 난간(130)의 바닥을 제1, 2바닥판(137)으로 분리하여 그 이격된 공간에 상기 통로부(139)를 형성함으로써, 사람이 난간과 난간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handrail 130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bottom plates 137, and the passage portion 139 is formed in the spaced apart space, whereby a structure in which a person can pass between the railing and the rail .

상기 후면 프레임(131)은 상기 제1접철부재(121)를 통해 레일부(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133)과 전면 프레임(135)은 제3접철부재(123)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The rear frame 1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ail 110 through the first folding member 121 and the side frame 133 and the front frame 135 are connected to the third folding member 123 Lt; / RTI >

그리고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측면 프레임(133) 사이 및 전면 프레임(135) 사이에는 각각 측면 난간 보조 파이프(134) 및 전면 난간 보조 파이프(136)가 설치된다. 상기 측면 난간 보조 파이프는 제4접철부재(124)를 통해 측면 프레임(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A side railing auxiliary pipe 134 and a front railing auxiliary pipe 136 are provided between a pair of the side frames 133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etween the front frame 135 and the side rails. The side railing auxiliary pip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ide frame 133 through a fourth folding member 124.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135)은 상기 제1, 2바닥판(137)과 대응되는 제1, 2전면 프레임(135)으로 구분되고, 상기 사다리(150)는 상기 제1, 2전면 프레임(135) 사이에 고정되어, 사람이 상기 통로부(139) 및 사다리(150)를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The front frame 135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front frames 135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bottom plates 137. The ladder 150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ront frames 135 So that a person is allowed to move through the passage portion 139 and the ladder 150.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150)는 평상시에는 난간(130)과 함께 벽체(W)에 접혀있다가, 비상시에 난간이 전개되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ladder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rmally folded on the wall W together with the handrail 130 and moves forward when the handrail is developed in an emergency.

상기 난간(130)이 완전히 전개된 경우, 상기 사다리(150)의 하단부는 지면에 닿도록 구성되어 난간(13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When the railing 130 is completely developed, the lower end of the ladder 150 touches the ground, thereby supporting the railing 130 firmly.

구체적으로, 상기 사다리(150)는 상기 난간(13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151)와, 상기 지지부(151) 사이에 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발판부(157)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ladder 150 includes a pair of supports 151 fixed to the railing 130 and a plurality of footsteps 157 arranged laterally between the supports 151.

상기 지지부(151)는 내부에 소방수를 이송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소방수 주입구(153)가 형성되며, 상기 난간(13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소방수 토출구(155)가 형성된다.The supporting part 15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ipe so that fire water can be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part 151. A fire water inlet 153 is formed at a lower end and a fire water discharging opening 15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ing 130.

상기 소방수 토출구(155)를 통해 화재시 소방수(水)를 각 층까지 공급할 수 있어 화재 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ater can be supplied to each floor through the fire water discharging port 155 to facilitate fire suppression.

그리고 상기 사다리(150)의 하단부에는 상기 난간(130)이 펴지면서 상기 사다리(150)가 지면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스프링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제1쇼크업소버(159)(shock absorbe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first shock absorber 159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the impact by using a spring is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ladder 150 to absorb impact generated when the railing 130 is extended and the ladder 150 touches the ground absorber) is preferably install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난간을 자동으로 접철할 수 있도록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171)와, 실린더(173)와, 브레싱(17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emergency escap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automatically folding the handrail.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171, a cylinder 173, and a bushing 175 .

상기 구동모터(171)는 실린더(173)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동력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레일부(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71)는 비상시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비상 전원 내지 비상 배터리로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171 supplies power to move the cylinder 173 up and down. The driving motor 171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rail portion 110. The drive motor 171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by an emergency power source or an emergency battery so as to supply power even in an emergency.

복수의 난간(130)들은 상기 사다리(15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연동하여 접히고 전개된다.Since the plurality of handrails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ladder 150, they are folded and expanded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상기 실린더(173)는 상단부는 구동모터(171)에 연결되고, 하단부는 상기 제2접철부재(122)를 통해 브레싱(175)과 연결된다.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173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71 and the lower end of the cylinder 173 is connected to the bushing 175 through the second folding member 122.

상기 브레싱(175)은 일단은 상기 제2접철부재(122)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측면 프레임(133)에 설치된 제4접철부재(124)에 연결된다.One end of the bushing 175 is coupled to the second foldable member 12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fourth foldable member 124 provided on the side frame 133.

상기 브레싱(175)은 상기 제2레일부(110b)에 끼워져 상하로 이동하는 제2접철부재(122)가 상기 브레싱 스토퍼(117)에 걸리는 작용에 의해 그 이동범위가 제한되므로, 특히 구동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난간이 안정적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해준다.Since the movement range of the second folding member 122 is limited by the action of the second folding member 122 which is inserted into the second rail 110b and moves up and down, If it does not operate normally, it can be stably deployed.

한편, 상기 레일부와 난간,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프레임의 하면에는 공압 또는 유압으로 구동하는 실린더 방식의 제2쇼크업소버(177)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ylinder type second shock absorber 177 driven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may be installed on the rail and the rail, specific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frame.

상기 제2쇼크업소버(177)는 상기 브레싱 스토퍼와 같이 난간의 전개시 이를 지지하는 역할은 물론, 전개된 난간을 접는 경우 상측으로 미는 힘을 제공하여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The second shock absorber 177 serves not only to support the braking stopper when the handrail is deployed, but also to provide an upward force when folding the developed handrail to facilitate folding.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 시설은 상기 난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건물 벽체에 형성되는 비상탈출용 도어(D)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escap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ergency escape door (D) formed on the building wall to correspond to the railings.

상기 비상탈출용 도어(D)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계단과 연통될 수 있으며, 건물 내에 있는 사람이 도어를 통해 난간으로 대피한 후, 사다리를 통해 건물에서 탈출하게 된다.
The emergency escape door D can communicate with a staircase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and a person in the building escapes through a door to a railing and then escapes from the building through a ladder.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not only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equivalents thereto.

100 : 비상탈출 시설
110 : 레일부 111 : 고정홈부
113 : 제1레일홈부 115 : 제2레일홈부
117 : 브레싱 스토퍼 121 : 제1접철부재
122 : 제2접철부재 123 : 제3접철부재
124 : 제4접철부재 130 : 난간
131 : 후면 프레임 133 : 측면 프레임
134 : 측면 난간 보조 파이프 135 : 전면 프레임
136 : 전면 난간 보조 파이프 137 : 바닥판
139 : 통로부 150 : 사다리
151 : 지지부 152 : 커플링
153 : 소방수 주입구 155 : 소방수 토출구
157 : 발판부 159 : 제1쇼크업소버
171 : 구동모터 173 : 실린더
175 : 브레싱 177 : 제2쇼크업소버
W : 건물 벽체
F : 고정부재
D : 도어
100: Emergency escape facility
110: rail part 111: fixed groove part
113: first rail groove portion 115: second rail groove portion
117: Breathing stopper 121: First folding member
122: second folding member 123: third folding member
124: fourth folding member 130: railings
131: rear frame 133: side frame
134: side rail auxiliary pipe 135: front frame
136: front rail ancillary pipe 137: bottom plate
139: passage portion 150: ladder
151: Support part 152: Coupling
153: Fire-fighting water inlet 155: Fire-fighting water outlet
157: footstool 159: first shock absorber
171: Driving motor 173: Cylinder
175: Breathing 177: Second shock absorber
W: Building wall
F: Fixing member
D: Door

Claims (7)

건물 벽체에 종방향으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제1, 2 레일부와;
상기 제1, 2 레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난간과;
상기 복수의 난간에 각각 종방향으로 고정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며,
평상시에는 상기 복수의 난간이 접혀 있고, 비상시에는 상기 복수의 난간이 일체로 전개되며,
상기 난간은 상기 제1, 2 레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의 양단에 고정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되 서로 이격되는 제1, 2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과 일측의 측면 프레임과 제1전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바닥판과, 상기 후면 프레임과 타측의 측면 프레임과 제2전면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바닥판과, 상기 제1, 2바닥판 사이에 형성되는 통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전면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사다리가 고정되어, 탈출자가 상기 통로부 및 사다리를 통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시설.
First and second rail portions fixed in parallel to the building wa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rail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And a ladder longitudinally fixed to the plurality of railings,
The plurality of railings are normally folded, and in an emergency, the plurality of railings are integrally developed,
Wherein the railing includes a rear fram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ils, a pair of side frames fixed to both ends of the rear frame, and a pair of side frames, A first bottom plate disposed between the rear frame and one of the side frames and the first front frame, and a second bottom plate disposed between the rear frame and the other side frame and between the second front frame And a passage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ttom plates,
Wherein the ladder is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ont frames so that the escape is moved through the passage and the lad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와 난간의 하면에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 방식의 제2쇼크업소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shock absorber of a pneumatic or hydraulic cylinder type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iling and th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의 하단부에는 상기 난간이 펴지면서 상기 사다리가 지면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스프링 방식의 제1쇼크업소버(shock absorber)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pring-type first shock absorber is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ladder so as to absorb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ladder reaches the ground while the parapet is exten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실린더와, 일단은 상기 레일부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난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브레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가 승강하면 상기 난간을 접철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rive motor coupled to the rail, a cylinder movably coupled to the drive motor,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cylinder in a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rail, and the other end rotat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rail And a driving unit configured to bend the railing when the cylinder is lifted or lowe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상기 난간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횡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발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는 내부에 소방수를 이송할 수 있도록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는 소방수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난간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소방수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dder comprises a pair of support portions fixed to the railing and a plurality of foot portions arranged transversely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Wherein the supporting portion is formed of a pipe for transferring fire water to the inside thereof, a fire water inlet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and a fire water outle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 대응하도록 상기 건물 벽체에 형성되는 비상탈출용 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 시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mergency escape door formed on the building wall to correspond to the railing.
KR1020140050725A 2014-04-28 2014-04-28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KR101449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25A KR101449380B1 (en) 2014-04-28 2014-04-28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725A KR101449380B1 (en) 2014-04-28 2014-04-28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380B1 true KR101449380B1 (en) 2014-10-10

Family

ID=5199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725A KR101449380B1 (en) 2014-04-28 2014-04-28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38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7068A (en) * 2017-10-11 2017-12-22 任维进 A kind of security escap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988Y1 (en) * 2003-09-08 2003-11-20 안중길 Emergency refuging ladder
KR100640021B1 (en) * 2006-04-04 2006-11-01 김원구 Apparatus for refuge
KR101080809B1 (en) * 2009-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988Y1 (en) * 2003-09-08 2003-11-20 안중길 Emergency refuging ladder
KR100640021B1 (en) * 2006-04-04 2006-11-01 김원구 Apparatus for refuge
KR101080809B1 (en) * 2009-06-25 2011-11-07 주식회사 에스엠텍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7068A (en) * 2017-10-11 2017-12-22 任维进 A kind of security escape system
WO2019071963A1 (en) * 2017-10-11 2019-04-18 任维进 Escape system
CN107497068B (en) * 2017-10-11 2019-09-03 任维进 A kind of security escape system
US20200254287A1 (en) * 2017-10-11 2020-08-13 Weijin REN Escape system
IL273908B1 (en) * 2017-10-11 2023-09-01 Ren Weijin Escap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en) Eemergency escaping apparatus of a layer space
KR101216204B1 (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in Multistory Structures
KR200450338Y1 (e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storied building
CN103635232A (en) Fire evacuation installation
KR100738812B1 (en) An salvager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101035081B1 (en) Fire escape apparatus
KR20110003154A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having a boarding structure using exclusively in a balustrade of veranda
CN208017947U (en) Chute type rescues safety ladder for evacuating
KR200450122Y1 (en) veranda type emergency release apparatus
KR100927317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262991B1 (en) Elevator for ladder truck
KR101449380B1 (en)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US5392877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multistory buildings
KR100983680B1 (en) Emergency escape instrument for high-storied building
KR101131484B1 (en)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KR101548010B1 (en) Fence apparatus for veranda of apartment house with emergency exit
KR20160143606A (en) Escape ladder for emergency
RU179796U1 (en) DEVICE FOR RESCUE OF PEOPLE FROM BUILDINGS IN EMERGENCIES
KR101564173B1 (en)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KR100915305B1 (en) A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having non-inflammable cloth
KR101008161B1 (en) Ladder apparatus for emergency
KR100870141B1 (en) Gondola for escape from an unforeseen accident
KR102109587B1 (en) Pull-out shelter device
KR102037262B1 (en) Safety rail for veranda in building
CN210302081U (en) Escap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