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017B1 -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 Google Patents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017B1
KR101449017B1 KR1020070138609A KR20070138609A KR101449017B1 KR 101449017 B1 KR101449017 B1 KR 101449017B1 KR 1020070138609 A KR1020070138609 A KR 1020070138609A KR 20070138609 A KR20070138609 A KR 20070138609A KR 101449017 B1 KR101449017 B1 KR 101449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hole
inner ring
flange por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563A (ko
Inventor
이성진
신용운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01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1)이 마련된 상부선회체(3)의 메인프레임(10), 메인프레임(10) 저면에 고정되어 상부선회체(3)와 일체로 회전되는 외륜(21)과, 베어링볼(22)을 사이에 두고 하부주행체(5)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기어치(23a)를 갖는 내륜(23)으로 이루어진 선회베어링(20), 메인프레임(10)의 관통공(11)을 관통하여 하단부의 피니언(31)이 하부주행체(5)에 고정되어 있는 선회베어링(20)의 내륜(23)과 치합되고 메인프레임(10)의 관통공(11) 상면테두리에 얹혀져서 고정볼트(32)로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되 이 고정볼트(32)의 직경보다 큰 볼트관통공(33a)을 갖는 플랜지부(33)가 마련된 선회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에 있어서, 선회구동부(30)의 플랜지부(33) 인접부위에 이 플랜지부(33)를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켜 피니언(31)과 내륜(23)의 기어치(23a) 간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격조절부(40)가 더 구비된다.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 플랜지부, 수직벽체, 피니언, 지지대

Description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 위치조절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turning device for construction heavy equipments}
본 발명은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회구동부의 플랜지부 외측에 설치된 이동부재를 통해 플랜지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선회베어링의 내륜 기어와 피니언 간의 백래시를 정밀하게 미세 조절하여 상부선회체의 선회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 위치조정장치 및 위치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굴삭기와 같은 건설용중장비는,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상부선회체(3)와 하부주행체(5)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상부선회체(3)를 선회시키기 위한 선회구조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상부선회체(3)의 메인프레임(10)은 선회베어링(20)의 외륜(21)과 고정 결합되어 있고, 베어링볼(22)을 사이에 두고 외륜(21)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있는 선회베어링(20)의 내륜(23)이 하부주행체(5)와 고정 결합되며, 이들 사이에서 다시 상부선회체(3)와 결합되어 있는 선회구동부(30)의 피니언(31)이 선회베어링(20)의 내륜(21)과 치합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결과적으로 하부주행체(5)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상부선회체(3)가 선회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외륜(21)과 내륜(23)은 각각의 볼트(51,52)로 상부선회체(3) 및 하부주행체(5)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회구조는 통상 선회구동부(30)에 의하여 발생한 모터회전수를 감속시켜 토크가 증대된 피니언(31)이 선회베어링(20)의 내륜(21)과 맞물린 상태로 상부선회체(3)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건설용중장비의 선회장치는 하부주행체(5)에 설치된 선회베어링(20)의 내륜(23)을 기준으로 베어링볼(22)에 의하여 외륜(21)이 내륜(23) 주위를 회전함으로써 상부선회체(3)가 선회 가능하도록 하고 있는 구조로서, 상부선회체(3)가 선회시 덜컹거리는 현상이나 꿀렁거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피니언(31)과 내륜(23)의 치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즉, 내륜(21)의 기어와 피니언(31) 간의 맞물림 시에는 통상 백래시(backlash)가 있기 마련인데, 이 백래시를 너무 작게 주거나 너무 크게 주면, 강도, 소음, 진동 등과 같은 문제를 초래시키는 현상이 종종 생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는 선회베어링의 내륜 기어와 피니언 간의 백래시를 정밀하게 미세 조절할 수 있는 미세 조절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선회체가 선회시 덜컹거리는 현상이나 꿀렁거림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작업자에게 소음과 진동 등을 전달하여 작업능률을 급감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선회구동부의 플랜지부 외측에 설치된 이동부재를 통해 플랜지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선회베어링의 내륜 기어와 피니언 간의 백래시를 정밀하게 미세 조절하여 상부선회체의 선회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절장치 및 위치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마련된 상부선회체의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 저면에 고정되어 상부선회체와 일체로 회전되는 외륜과, 베어링볼을 사이에 두고 하부주행체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기어치를 갖는 내륜으로 이루어진 선 회베어링; 상기 메인프레임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하단부의 피니언이 하부주행체에 고정되어 있는 선회베어링의 내륜과 치합되고 메인프레임의 관통공 상면테두리에 얹혀서 고정볼트로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되 이 고정볼트의 직경보다 큰 볼트관통공을 갖는 플랜지부가 마련된 선회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회구동부의 플랜지부 인접부위에 이 플랜지부를 메인프레임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켜 피니언과 내륜의 기어치 간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격조절부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격조절부는, 상기 메인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와, 플랜지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플랜지부로 관통된 관통공을 갖는 수직벽체로 이루어진 지지대; 및 상기 수직벽체의 관통공에 지지된 상태로 플랜지부의 외주면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격조절부는 플랜지부의 지름선상인 반대편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격조절부의 이동부재는 수직벽체의 관통공에 나사 체결되어 조여서 플랜지부를 반대편으로 밀어내고 풀어서 반대쪽 유격조절부에 의해 플랜지부가 밀려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조임 볼트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벽체의 관통공 테두리에 이동부재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눈금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이동부재의 볼트머리에 상기 눈금을 가리키기 위한 화살표가 새겨져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의 위치조절방법은, 선회구동부를 가결합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이동부재 중 어느 하나인 제1 이동부재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인 제2 이동부재를 최대로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부재를 상기 선회구동부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체결함으로써 초기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위치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상기 선회구동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킨 후 상기 제1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선회구동부를 요구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선회구동부의 이동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이동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선회구동부의 측면을 고정시킨 후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는 선회구동부의 플랜지부 외측에 설치된 이동부재를 통해 플랜지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선회베어링의 내륜 기어와 피니언 간의 백래시를 정밀하게 미세 조절하여 상부선회체의 선회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선회체가 선회시 덜컹거리는 현상이나 꿀렁거림 현상을 최소화시키고 이에 따라 작업자에게 소음과 진동 등의 전달 역시 최소화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는 메인프레임(10)과, 이 메인프레임(10) 저면에 고정되는 외륜(21)과 베어링볼(22)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내륜(23)으로 이루어진 선회베어링(20)과, 이 선회베어링(20)의 내륜(23)과 치합되는 피니언(31)과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는 플랜지부(33)가 마련된 선회구동부(30) 및 이 선회구동부(30)의 플랜지부(33)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내륜(23)과 피니언(31) 간의 유격을 조절하는 유격조절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상부선회체(3)와 일체로 결합되고 소정부위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1)이 마련된 두꺼운 판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선회베어링은 메인프레임(10) 저면에 소정의 볼트(51)로 체결 고정되어 상부선회체(3)와 일체로 회전되는 링 형상의 외륜(21)과, 베어링볼(22)을 사이에 두고 하부주행체(5)에 소정의 볼트(52)로 고정되며 내주면에 기어치(23a)를 갖는 내륜(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회구동부(30)는 메인프레임(10)의 관통공(11)을 관통하여 하단부의 피니언(31)이 하부주행체(5)에 고정되어 있는 선회베어링(20)의 내륜(23)과 치합되고, 상기 피니언(31)의 인접 상부 외주면에 메인프레임(10)의 관통공(11) 상면테두리에 얹혀져서 고정볼트(32)로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되 이 고정볼트(32)의 직경보다 큰 볼트관통공(33a)을 갖는 플랜지부(3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32)는 선회구동부(30)를 메인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있다가 유격조절부(40)를 조작할 경우에는 약간 느슨하게 풀어서 선회구동 부(30)의 플랜지부(33)가 이동부재(45)의 가압시 반대편으로 밀려나도록 하는 역할도 갖는다.
상기 유격조절부(40)는 선회구동부(30)의 플랜지부(33) 인접부위에 설치되고 이 플랜지부(33)를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켜 피니언(31)과 내륜(23)의 기어치(23a) 간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격조절부(40)는 메인프레임(10) 상면에 고정되는 판재 형상의 고정베이스(41)와, 이 고정베이스(41)의 단부에서 일체형으로 직각 절곡되어 플랜지부(33)의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며 플랜지부(33)로 관통되는 관통공(42a)을 갖는 판재 형상의 수직벽체(42)로 이루어져 전체 형상이 니은자 절곡구조를 갖는 지지대(43) 및 상기 수직벽체(42)의 관통공(42a)에 지지된 상태로 플랜지부(33)의 외주면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유격조절부(40)는 플랜지부(33)의 지름선상인 반대편에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각각 배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유격조절부(40)의 이동부재(45)는 수직벽체(42)의 관통공(42a)에 나사 체결되어 조여서 플랜지부(33)를 반대편으로 밀어내고 풀어서 반대쪽 유격조절부(40)에 의해 플랜지부(33)가 밀려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조임볼트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벽체(42)의 관통공(42a) 테두리에는 이동부재(45)의 회전각도를 표시하는 눈금(42b)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이동부재(45)의 볼트머리(45a)에는 상기 눈금(42b)을 가리켜 볼트머리(45a)의 회전수를 쉽게 알 수 있도 록 하기 위한 화살표(45b)가 새겨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는 메인프레임(10)의 관통공(11)을 통해 선회구동부(30)의 피니언(31)이 하방으로 관통되는 동시에 이 선회구동부(30)의 플랜지부(33)는 고정볼트(32)에 의해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며, 또한, 선회베어링(20)의 외륜(21)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저면에 볼트(51)로 고정 결합되고 내륜(23)이 선회구동부(30)의 피니언(31)과 치합된 상태로 하부고정체(5)에 고정되며, 또한, 유격조절부(40)의 지지대(43)가 메인프레임(10)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로 그 수직벽체(42)가 플랜지부(33)와 인접 배치되고 이 수직벽체(42)의 관통공(42a)을 통해 이동부재(45)를 체결하여 본 발명의 조립작업을 완성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성된 선회장치는 상부선회체(3) 회전시 선회구동부(30)의 피니언(31)이 회전하면 이 피니언(31)이 하부주행체(5)에 고정되어 있는 내륜(23)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는 동안 이 피니언(31) 상부의 선회구동부(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메인프레임(10)이 회전되면서 결과적으로 상부선회체(3)가 선회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선회체(3)의 장시간 회전 작동시 내륜(23)과 피니언(31)의 치합 상태(즉, 맞물림)가 정확하지 않고 어긋나게 되는 등 서로 간의 백래시가 정규치보다 크거나 작아지게 되면서 소음이나 진동 등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유격조절부(40)를 통해 어긋남 백래시를 다시 정확하게 바로 잡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래에서 상기 유격조절부(40)의 조작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단, 상부선회체(3)가 정지된 상태에서 선회구동부(30)를 메인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있던 고정볼트(32)를 약간 느슨하게 체결 해제시키면, 이 고정볼트(32)의 머리부가 플랜지부(33)와 이격되면서 플랜지부(33)의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고, 이때, 조임볼트인 이동부재(45)를 플랜지부(33) 측으로 가압하여 이 플랜지부(33)가 각각 원하는 방향인 좌우로 밀어내면서 유격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33)의 볼트관통공(33a)의 직경이 고정볼트(32)의 직경보다 2mm(즉, 고정볼트(32)의 직경 좌, 우측으로 1mm씩 공간을 갖는 크기) 더 크게 하고, 이동부재(45)의 피치(즉, 나사산 간의 거리 또는 이동부재의 1회전시의 이동거리)를 0.5mm로 설정하게 되면 이 이동부재(45)는 좌우측 각각의 방향으로 최대 2바퀴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메인프레임(10)에 대한 선회구동부(30)의 좌우측 전체 이동거리는 최대 2mm가 된다.
즉, 내륜(23)과 피니언(31) 간의 유격(중심거리 오차)을 안팎으로 2mm까지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상기 피치거리를 적용하여 내륜(23)과 피니언(31) 간의 중심거리 오차가 내륜(23) 측으로 1mm 발생하였을 경우, 피니언(31)을 내륜(23)의 반대편으로 다시 1mm 밀어내면 되므로, 도면상에서 좌측의 이동부재(45)로 플랜지부(33)를 1mm 가압하면 되고, 이때, 피치가 0.5mm이므로 이동부재(45)는 2바퀴 회전한 셈이 되며, 한편, 플랜지부(33)가 반대편으로 밀려나도록 우측의 이동부재(45)를 1mm 우측으로 피치 이동시켜 물러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반대인 경우, 즉 내륜(23)과 피니언(31) 간의 중심거리 오차가 피니언(31) 측으로 1mm 발생하였을 경우, 이번에는 반대로 피니언(31)을 내륜(23)측으로 1mm 밀어내면 되므로, 도면상에서 우측의 이동부재(45)로 플랜지부(33)를 1mm 가압하면 되고, 이때도 역시, 피치가 0.5mm이므로 이동부재(45)는 2바퀴 회전한 셈이 되며, 한편, 플랜지부(33)가 반대편으로 밀려나도록 좌측의 이동부재(45)를 1mm 좌측으로 피치 이동시켜 물러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내륜(23)과 피니언(31) 간의 유격 조절이 완료되면 느슨하게 풀어놓았던 고정볼트(32)를 다시 견고하게 체결하여 플랜지부(33)가 메인프레임(10) 상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다시 상부선회체(3)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피치의 조절은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기준위치를 결정한 후 이루어질 수 있다.
선회구동부(30)를 메인프레임(10)에 고정시키되 고정볼트(32)를 약간 느슨하게 체결하고, 오른쪽의 우측 이동부재(45)를 최대로 밀어낸 후에 좌측 이동부재(45)를 체결하여 그 체결이 가능한 위치를 초기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초기위치는 피니언(31)이 내륜(23)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일 수 있고, 플랜지부(33)의 볼트 관통공(33a)은 피니언(31)과 내륜(23)의 완전한 밀착을 보장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우측 이동부재(45)가 먼저 체결되어도 무방하나, 도면에서와 같이 피니언(31)과 내륜(23)이 밀착되는 방향 및 앞서 설명한 눈금(42b) 및 화살표(45b)가 표기된 이동부재가 먼저 체결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초기위치가 결정되면 우측 이동부재(45)를 완전히 풀러 선회구동부(30)가 좌측 이동부재(45)의 조임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치조절을 하여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우측 이동부재(45)를 체결함으로써 선회구동부(3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를 나타낸 요부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를 나타낸 측면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를 나타낸 측면 개략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 중 내륜의 기어치와 피니언 간의 기어치 유격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개략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 중 수직벽체와 볼트머리를 나타낸 요부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상부선회체 5 : 하부주행체
10 : 메인프레임 11 : 관통공
20 : 선회베어링 21 : 외륜
22 : 베어링볼 23 : 내륜
23a : 기어치 30 : 선회구동부
31 : 피니언 32 : 고정볼트
33 : 플랜지부 33a : 볼트관통공
40 : 유격조절부 41 : 고정베이스
42 : 수직벽체 42a : 관통공
42b : 눈금 43 : 지지대
45 : 이동부재 45a : 볼트머리
45b : 화살표

Claims (5)

  1. 삭제
  2.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11)이 마련된 상부선회체(3)의 메인프레임(10);
    상기 메인프레임(10) 저면에 고정되어 상부선회체(3)와 일체로 회전되는 외륜(21)과, 베어링볼(22)을 사이에 두고 하부주행체(5)에 고정되며 내주면에 기어치(23a)를 갖는 내륜(23)으로 이루어진 선회베어링(20);
    상기 메인프레임(10)의 관통공(11)을 관통하여 하단부의 피니언(31)이 하부주행체(5)에 고정되어 있는 선회베어링(20)의 내륜(23)과 치합되고 메인프레임(10)의 관통공(11) 상면테두리에 얹혀져서 고정볼트(32)로 메인프레임(10)에 고정되되 이 고정볼트(32)의 직경보다 큰 볼트관통공(33a)을 갖는 플랜지부(33)가 마련된 선회구동부(30); 및
    상기 선회구동부(30)의 플랜지부(33) 인접부위에 이 플랜지부(33)를 메인프레임(10)에 대해 좌우로 이동시켜 피니언(31)과 내륜(23)의 기어치(23a) 간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격조절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유격조절부(40)는,
    상기 메인프레임(10)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베이스(41)와, 플랜지부(33)의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고 플랜지부(33)로 관통된 관통공(42a)을 갖는 수직벽체(42)로 이루어진 지지대(43); 및
    상기 수직벽체(42)의 관통공(42a)에 지지된 상태로 플랜지부(33)의 외주면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격조절부(40)는 플랜지부(33)의 지름선상인 반대편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 위치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격조절부(40)의 이동부재(45)는 수직벽체(42)의 관통공(42a)에 나사 체결되어 조여서 플랜지부(33)를 반대편으로 밀어내고 풀어서 반대쪽 유격조절부(40)에 의해 플랜지부(33)가 밀려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조임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 위치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체(42)의 관통공(42a) 테두리에 이동부재(45)의 회전각도를 표시 하는 눈금(42b)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이동부재(45)의 볼트머리(45a)에 상기 눈금(42b)을 가리키기 위한 화살표(45b)가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 위치조절장치.
  5.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설명된 건설중장비용 상부선회체의 선회장치 위치조절장치를 이용한 위치조절방법에 있어서,
    선회구동부(30)를 가결합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이동부재(45) 중 어느 하나인 제1 이동부재(45)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인 제2 이동부재(45)를 최대로 체결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동부재(45)를 상기 선회구동부(30)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체결함으로써 초기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초기위치의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이동부재(45)를 상기 선회구동부(3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킨 후 상기 제1 이동부재(45)를 이용하여 상기 선회구동부(30)를 요구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회구동부(30)의 이동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이동부재(45)를 체결하여 상기 선회구동부(30)의 측면을 고정시킨 후 고정볼트(32)를 이용하여 완전히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 위치조절방법.
KR1020070138609A 2007-12-27 2007-12-27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KR101449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609A KR101449017B1 (ko) 2007-12-27 2007-12-27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609A KR101449017B1 (ko) 2007-12-27 2007-12-27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563A KR20090070563A (ko) 2009-07-01
KR101449017B1 true KR101449017B1 (ko) 2014-10-13

Family

ID=4132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609A KR101449017B1 (ko) 2007-12-27 2007-12-27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8164A (zh) * 2018-11-29 2019-02-22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重载装运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396B1 (ko) * 2011-09-29 2014-01-08 주식회사 제이케이 굴삭기용 집게의 선회 베어링 구동장치
US9506219B2 (en) 2014-07-08 2016-11-29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Support rail and swing gear assembly for a mining vehicle
US9394944B2 (en) 2014-07-08 2016-07-19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Thrust rail and swing gear assembly for a mining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66Y1 (ko) * 1992-12-03 1995-09-02 정용문 공작물 고정장치
JPH09268600A (ja) * 1996-03-29 1997-10-1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ギアのバックラッシュ調節方法および調節構造
JP2003268803A (ja) * 2002-03-12 2003-09-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装置
JP2006144305A (ja) * 2004-11-17 2006-06-08 Kayaba Ind Co Ltd 旋回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166Y1 (ko) * 1992-12-03 1995-09-02 정용문 공작물 고정장치
JPH09268600A (ja) * 1996-03-29 1997-10-1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におけるギアのバックラッシュ調節方法および調節構造
JP2003268803A (ja) * 2002-03-12 2003-09-2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旋回装置
JP2006144305A (ja) * 2004-11-17 2006-06-08 Kayaba Ind Co Ltd 旋回機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8164A (zh) * 2018-11-29 2019-02-22 中国航天空气动力技术研究院 一种重载装运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563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017B1 (ko)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US8727065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6173815B2 (ja) 薄肉大型軸受の試験装置
JP2008051233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H08177984A (ja) バックラッシを調整可能に構成した歯車装置
KR200469673Y1 (ko)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KR20060017730A (ko) 각도 조절 가능한 코아드릴 어셈블리
EP3318467A1 (en) Steering system
EP2261073A2 (en) Speed reduction device for power seat
JP2006027577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327522A (ja) ウォームギヤ装置
EP1857346A3 (en) Tilt-type steering apparatus equipped with radial fixed gear
JP2010090587A (ja) 建設機械
KR20050115934A (ko) 건설기계의 선회기구 및 그 백래시 계측방법
JP201315916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530333A (ja) 伝動装置遊びの調節可能な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
KR20100079257A (ko) 펀칭금형의 펀칭위치 미세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KR10218971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용 감속장치
JP3078747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ギアのバックラッシュ調節方法および調節構造
JP4451382B2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KR101879134B1 (ko) 자동차의 감속기
JP2006144305A (ja) 旋回機構。
JP7244685B1 (ja) 方向調整機構、方向調整装置および電子装置
JP200521265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5324708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