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804U -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 Google Patents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804U
KR20120007804U KR2020110003862U KR20110003862U KR20120007804U KR 20120007804 U KR20120007804 U KR 20120007804U KR 2020110003862 U KR2020110003862 U KR 2020110003862U KR 20110003862 U KR20110003862 U KR 20110003862U KR 20120007804 U KR20120007804 U KR 201200078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screw
housing
worm
screw housing
back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673Y1 (ko
Inventor
김치영
Original Assignee
김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치영 filed Critical 김치영
Priority to KR20201100038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67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6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6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F16H55/24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B23Q5/56Preventing backl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12Arrangements for adjusting or for taking-up backlash not provided for elsew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기계동력전달장치에 사용되는 감속기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윔스크류가 내장된 웜스크류하우징과, 상기 웜스크류와 맞물려 웜스크류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을 출력측에 전달하는 웜휠이 내장된 윔휠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감속기어장치에서, 상기 웜힐하우징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이 삽입되어져 상기 웜스크류와 웜휠이 기어결합되도록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역시 그 외주면이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웜휠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결합된 웜스크류하우징을 외측에서 가압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웜스크류와 웜휠의 기어간에 발생된 백래시가 조절되도록 하는 백래시조절수단이 설치된 구조의 감속기어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에 따른 기어의 마모로 발생되는 백래시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A deceleration gear that backlash control is easy}
본 고안은 각종 기계동력전달장치에 사용되는 감속기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이 입출력되는 입력측과 출력측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된 감속기어 사이에 발생되는 백래시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나 각종 기계동력전달장치에는 특정한 목적을 위해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측과 입력된 동력이 출력되는 출력측 사이에는 입력된 동력(회전력)을 감속하는 감속장치가 설치되기 마련이다.
이러한 통상의 감속장치는 주로 웜 스크류와, 이 웜 스크류에 맞물리는 웜휠로 구성된 기어장치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웜 스크류와 웜휠로 구성된 웜기어 감속장치는 상호 맞물린 기어의 회전력으로 일정한 동력을 전달하기 때문에, 맞물린 기어 사이에 적절한 틈새(이하, 백래시라 한다)가 유지되어야 원활한 동력전달과 응답성이 좋은 효과를 제공하지만, 최초 가공시 발생된 오차가 크거나 일정기간 사용후 맞물린 기어 사이의 마모 등으로 인해 교합(交合)된 기어 사이에 백래시가 점점 커지게 되면, 양측 기어의 교합시 충격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충격은 기어의 조기마모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응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양측 기어 사이에 백래시가 너무 작게 되면, 기어회전의 원활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백래시의 적절한 설정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데, 설치된 감속기어장치의 맞물린 기어 사이에 적절한 백래시가 설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장기간의 사용에 따라 상호 대면하는 양측 기어의 치면(齒面)이 마모되어 백래시가 커지게 된다.
특히, 정밀장치나 회전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되는 감속기어장치의 경우에는 백래시가 커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충격이 제품의 성능과 품질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아 각종 기계 및 동력전달장치 등에 사용되는 감속기어장치에서 웜 스크류와 웜휠의 치면 사이에 발생되는 백래시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이나 구조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0-29750호의 전동식 파워스티어링장치는 웜휠이 회전자재하게 결합된 웜휠하우징이 심부재를 통해 볼트로 고정되어, 백래시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윔하우징을 분리한 후에 두께가 다른 심부재를 끼워 넣어 웜스크류하우징 및 웜스크류하우징 내에 설치된 웜스크류의 간격이 조절되어 양측 기어 사이의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백래시 조정방법은 윔휠하우징의 탈부착과 심부재의 교환을 통해 백래시를 조정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불편함은 물론 여러번의 조정작업을 통해서만이 필요한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불편이 존재하였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종래의 실시예로, 일본 특개평 2001-200912호의 웜기어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데, 본 선행기술은 웜축이 결합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되는 웜휠축이 결합된 제2하우징이 상호 맞닿는 이음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음면에서 제2하우징이 경사진 이음면상에서 이동되면서 웜축과 웜휠축 사이의 축간거리가 변경되어 백래시가 조정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이러한 백래시를 조정구조는 하우징을 고정하는 볼트를 풀어서 양측 하우징 간에 상대이동시켜 웜축과 웜휠축 사이의 치간거리를 조정하여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백래시 조정구조는 모두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에 필요한 감속기어장치에 해당되는 것으로, 차량의 차체 하부 및 내부에 설치되는 관계로 하우징을 탈부착하는 작업이 어렵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공수와 부품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은 여전히 존재하였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웜스크류와 웜휠로 구성되는 감속기어장치에서 백래시를 조정하는데 발생되었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웜스크류와 웜휠이 결합된 하우징의 탈장착하는 작업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하우징의 외부에서 백래시를 조정하여 하우징 내부에서 상호 결합된 양측 기어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는 모터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윔스크류가 내부에 설치된 웜스크류하우징과, 상기 웜스크류와 맞물려 웜스크류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을 출력축에 전달하는 윔휠이 내부에 설치된 윔휠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상기 윔하우징 또는 윔휠하우징 중 어느 일측을 조정하여 윔스크류와 웜휠의 양측 기어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감속기어장치에서, 상기 웜휠하우징의 하단 내측에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이 내장되어져 상기 웜스크류와 웜휠이 기어결합되도록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의 외주면 또한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의 내측에서 웜스크류하우징이 경사지게 이동되면서 웜스크류하우징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웜스크류와 상기 웜스크류에 직교 또는 일정한 기울기로 결합된 웜휠의 기어 사이에 발생한 백래시가 조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웜휠하우징의 일측면에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의 일측 개구부 외측으로 일정길이의 고정부재가 복수개 돌출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 선단부에는 상기 웜휠하우징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평판재의 고정판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끼움 결합된 웜스크류하우징의 외측면에 일단이 접촉되는 가압볼트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가압볼트가 관통된 상기 고정판의 좌?우측에는 복수개의 조절너트가 상기 가압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조절너트의 조절에 따른 상기 가압볼트의 수평이동으로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이 이동되어 웜스크류와 웜휠의 기어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가 조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의 저면에는 일정길이의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이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끼움결합시 상기 장홈이 위치하는 웜휠하우징의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고정볼트가 나사 결합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장홈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고정볼트의 조절로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는 종래의 감속기어장치와 같이 기어가 결합된 하우징을 분리할 필요없이 하우징 외측에 설치된 백래시 조정수단에 의해 간단한 조절나사 조작으로 기어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의 조정이 가능하여 그 사용이 편리하고 부품의 조립이나 설치가 간단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에서 웜스크류하우징의 분리상태 및 내부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에서 웜스크류하우징과 웜휠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윔스크류와 윔휠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리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에서 백래시 조절수단의 동작으로 웜스크류하우징이 이동된 단면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감속기어장치가 적용되는 통상의 기술내용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는 웜스크류와 웜휠이 결합된 하우징을 별도로 분리하는 것이 없이 웜휠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된 백래시조절수단의 간단한 조작으로 각 하우징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웜스크류와 웜휠의 기어간 발생된 백래시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감속기어장치를 제공한다.
즉, 웜휠하우징의 하단 내측에 웜스크류하우징이 내부로 삽입되어져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웜스크류와 웜휠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웜휠이 상호 기어결합되도록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의 외주면도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의 내측에서 웜스크류하우징이 웜휠하우징 외측에 설치된 백래시조절수단의 간단한 조작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웜스크류와 웜휠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가 조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100)의 외관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100)는 내부에 웜스크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웜스크류하우징(110)과, 내부에 웜휠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에 구비된 웜스크류와 기어결합되어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웜휠하우징(120)이 일체로 구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상단부에 상기 웜휠하우징(120)이 위치되고, 상기 웜휠하우징(120)의 하단 내측으로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웜휠하우징(120)의 일측 외면에는 상기 각 하우징(110)(120)의 내부에서 상호 기어결합된 웜스크류와 웜휠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는 백래시조절수단(200)이 고정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의 경우, 하단에 위치한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일측에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측(111)이 위치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웜휠하우징(120)의 일측에 상기 입력측(111)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동력이 인출되는 출력측(121)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백래시조절수단(200)은 상기 웜휠하우징(120)의 일측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어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210)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210) 선단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평판재의 고정판(220)과, 상기 고정판(220)에 관통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웜휠하우징(120)의 하단 내부에 관통 설치된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외측면에 근접 설치되는 일정 길이의 가압볼트(230)와, 상기 가압볼트(230)가 관통된 상기 고정판(220)의 좌?우측에서 상기 가압볼트(230)에 결합되어 조임방향에 따라 상기 가압볼트(230)를 상기 웜하우징(110)측으로 이동시켜 웜휠하우징 내부에서 상호 기어결합된 웜스크류와 웜휠 사이의 기어간 발생된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절너트(24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웜휠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웜스크류와 웜휠의 결합 및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도 2는 상기 웜휠하우징(120)의 내부에 관통 설치되는 웜스크류하우징(110)의 분리상태 및 내부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이 분리된 상태의 웜휠하우징(120)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웜스크류하우징(110)은 상부에 반구형으로 절개된 개방부(112)가 형성되어 그 내부에 수평설치된 웜스크류(114)의 일부 기어가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고, 웜스크류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웜스크류(114)는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일측에서 동력이 입력되는 경우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저면에는 일정 깊이와 길이를 갖는 장홈(116)이 가공되어 있으며,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외주면은 후술하는 웜휠하우징(120)의 하단 내측에 설치된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과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기울기의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는 상술한 웜스크류하우징(110)이 결합되는 웜휠하우징(120)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웜휠하우징(120)은 그 내측 상단부에 일정한 직경을 갖는 웜휠(124)이 회전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웜휠(124)이 설치된 하단부에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의 상단부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웜휠(124)의 하단부가 일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되는 웜스크류하우징(110)의 개방부에 노출된 웜스크류(114)와 기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관통되어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이 경사지게 설치되되, 웜스크류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웜스크류(114)는 상기 웜휠(124)의 회전중심축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내린 임의의 수직선(x)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웜휠(124)과의 동력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웜휠하우징결합공(122)의 저면에는 소정의 관통공(128)이 형성되되,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이 끼움 결합시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저면에 형성된 장홈(116)의 길이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관통공(128)에는 관통공(128)에 결합된 후에 그 선단부가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장홈(116) 내측으로 집입하여 장홈(116)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웜스크류하우징(11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는 상술한 웜휠하우징에 웜스크류하우징이 결합되고, 웜휠하우징의 일측 외면에 백래시조절수단이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100)는 내부에 웜휠(1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웜휠하우징(120)과, 상기 웜휠하우징(120)의 하단부에서 웜휠(124)과 기어결합되도록 내부에 웜스크류(114)가 설치되어 윔하우징결합공(122)의 내측으로 웜스크류하우징(11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 일단의 웜휠하우징(120)의 외측에는 고정부재(210)에 의해 고정된 백래시조절수단(200)이 설치되고, 웜스크류하우징(110) 타단의 웜휠하우징(120)의 외측에는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웜스크류(11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A)이 결합되어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입력측(111)으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동력이 구동수단(A)에 의해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웜스크류(114)에 입력되면, 웜스큐류(114)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웜스크류(114)와 기어 결합된 웜휠하우징(120) 내의 웜휠(124)이 회전하여 출력측(121)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상기 윔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에 끼움 설치된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장홈(116)에는 윔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의 저면에 형성된 관통공(128)에 나사결합된 고정볼트(126)의 선단부가 진입되어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외면을 가압하여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는 상술한 감속기어장치에서 백래시 조절수단의 동작으로 웜스크류하우징이 이동된 단면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면을 참고하면서 웜스크류와 웜휠의 기어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를 조절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상기 웜휠하우징의 일측 외측면에 고정 설치된 백래시조절수단(200)은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의 개구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일정길이의 고정부재(210)가 상하로 복수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210) 선단부에는 평판재의 고정판(220)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210)에 고정 설치된 상기 고정판(2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에 끼움 결합된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일측 외면에 일단이 접촉되거나 근접된 위치에 그 선단부가 위치하도록 가압볼트(240)가 관통 설치되며, 상기 가압볼트(240)애는 상기 고정판(220)의 좌?우측으로 복수개의 조절너트(240)가 가압볼트(240)에 나사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정기간 사용된 감속기어장치에서 웜스크류와 웜휠의 기어간 마모로 인해 백래시가 발생된 경우, 상기 백래시조절수단(200)의 조절너트(220)를 일측(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너트(240)와 나사 결합된 가압볼트(230)가 고정판(220)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볼트(230)의 일측 선단부가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외측면과 접촉된 후에 가압하게 되어,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에 끼움 결합된 웜스크류하우징(110)이 구동수단(A)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이동에 따라 웜스크류하우징(110)의 내측에 수평 설치된 웜스크류(114)가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이동량에 일정 비율로 수평이동하게 되어 웜스크류(114)와 웜휠(124)의 기어간에 발생된 백래시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백래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저면에는 형성된 장홈(116)에 결합된 고정볼트(126)를 사전에 해제하여 상기 웜스크류하우징(11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백래시 조절 후에는 다시 고정볼트(126)를 조여서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에 끼움 결합된 웜스크류하우징(1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감속기어장치(100)는 일정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된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122)에 결합된 웜스크류하우징(110)을 웜휠하우징(120)의 외측에 설치된 백래시조절수단(200)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슬라이딩 이동시켜 기어간에 발생된 백래시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백래시 조절시 기어간에 발생된 미세한 백래시를 가압볼트(230)와 조절너트(240)의 나사회전을 통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백래시조절수단(200)의 조절너트(240)는 고정판(220)을 사이에 두고 가압볼트(230)에 복수개가 나사결합되어 있어서 백래시 조절후에 상기 조절너트(240)를 고정판(220) 전후에 밀착되도록 조여 놓게 되면 이중너트의 체결효과를 제공하여 가압볼트(230)가 어느 일측으로 풀리거나 조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간단한 도구만을 이용하여 백래시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감속기어장치 설치후 백래시 조절에 발생된 어려움과 많은 수고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고안에 따른 백래시 조절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는 설치 후 일정기간 사용으로 기어간의 백래시가 발생되더라도 간단한 도구만으로 백래시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발생된 백래시를 제거할 수 있어 감속기어장치의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백래시로 인한 기어간에 발생되는 각종 소음을 줄이고 원활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다양한 기계장치에 적용가능하다.
100 : 감속기어장치 110 : 웜스크류하우징
111 : 입력측 112 : 개방부
114 : 웜스크류 116 : 장홈
120 : 웜휠하우징 121 : 출력측
122 :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 124 : 웜휠
126 : 고정볼트 128 : 관통공
200 : 백래시조절수단 210 : 고정부재
220 : 고정판 230 : 가압볼트
240 : 조절너트

Claims (3)

  1. 모터로부터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축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윔스크류가 내부에 수평설치된 웜스크류하우징과, 상기 웜스크류와 맞물려 웜스크류에서 전달받은 회전력을 출력측에 전달하는 윔휠이 내부에 설치된 윔휠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상기 윔스크류하우징 또는 윔휠하우징 중 어느 일측을 조정하여 윔스크류와 웜휠의 양측 기어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감속기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웜휠하우징의 내측 하단으로 웜휠과 기어결합되는 웜스크류가 회동자재하게 내부에 설치된 웜스크류하우징이 내부로 삽입되는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 및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의 외주면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웜휠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결합된 웜스크류하우징을 외측에서 가압하여 웜스크류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웜스크류와 웜휠 사이에 발생된 백래시를 조절하는 백래시조절수단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래시 조절수단은,
    상기 웜휠하우징의 일측 외면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재 선단에서 웜휠하우징의 외측면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관통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결합된 웜스크류하우징의 외측면에 근접 설치되는 가압볼트와, 상기 가압볼트가 관통된 상기 고정판의 좌?우측에서 상기 가압볼트에 결합되어 조임방향에 따라 상기 가압볼트를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웜스크류와 웜휠 사이의 기어간 백래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조절너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의 저면에는 일정길이의 장홈이 형성되고,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이 웜스크류하우징 결합공에 끼움 결합시 상기 장홈이 위치하는 웜휠하우징의 저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고정볼트가 나사결합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장홈의 내측으로 진입되어 고정볼트의 조임으로 상기 웜스크류하우징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KR2020110003862U 2011-05-04 2011-05-04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KR2004696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62U KR200469673Y1 (ko) 2011-05-04 2011-05-04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62U KR200469673Y1 (ko) 2011-05-04 2011-05-04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804U true KR20120007804U (ko) 2012-11-14
KR200469673Y1 KR200469673Y1 (ko) 2013-10-28

Family

ID=4751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62U KR200469673Y1 (ko) 2011-05-04 2011-05-04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67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176B1 (ko) 2018-07-02 2019-07-03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 부변속기용 기어 백래시 조절장치
KR20200130432A (ko) * 2018-03-15 2020-11-18 이구스 게엠베하 머니퓰레이터를 위한 암 조인트 및 머니퓰레이터
CN112013098A (zh) * 2020-09-15 2020-12-01 马鞍山福永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抗风扭剪切、低转速高扭矩回转式减速器
CN112657963A (zh) * 2020-12-28 2021-04-16 王勤政 一种无缝不锈钢管吹洗装置
KR102464693B1 (ko) * 2022-09-20 2022-11-09 (주)영진웜 자율 주행로봇용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790B1 (ko) * 2018-01-31 2019-11-04 위월드 주식회사 백래시 조절구조를 갖는 웜기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팝업 안테나
KR102240086B1 (ko) 2020-11-09 2021-04-14 주식회사 이스턴기어 이중 웜기어 구조체를 구비한 웜 감속기
KR20230108437A (ko) 2022-01-11 2023-07-18 주식회사 코렌스이엠 소음을 저감한 2단 구조 감속 기어 장치
KR102619623B1 (ko) * 2022-11-01 2023-12-29 (주)비디텍 4륜구동 트랜스퍼 케이스용 지그 및 체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5755U (ko) * 1988-08-08 1990-02-20
US5186068A (en) 1991-06-20 1993-02-16 Peerless-Winsmith, Inc. Gear reducer with backlash eliminator
JP4221825B2 (ja) 1999-06-28 2009-02-12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式舵取装置
KR100797058B1 (ko) * 2006-06-05 2008-01-23 주식회사 만도 전기식 조향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432A (ko) * 2018-03-15 2020-11-18 이구스 게엠베하 머니퓰레이터를 위한 암 조인트 및 머니퓰레이터
US11865712B2 (en) 2018-03-15 2024-01-09 Igus Gmbh Arm joint for a manipulator and manipulator
KR101996176B1 (ko) 2018-07-02 2019-07-03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 부변속기용 기어 백래시 조절장치
CN112013098A (zh) * 2020-09-15 2020-12-01 马鞍山福永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抗风扭剪切、低转速高扭矩回转式减速器
CN112657963A (zh) * 2020-12-28 2021-04-16 王勤政 一种无缝不锈钢管吹洗装置
KR102464693B1 (ko) * 2022-09-20 2022-11-09 (주)영진웜 자율 주행로봇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673Y1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673Y1 (ko) 백래시 조정이 용이한 감속기어장치
JP4893147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247734A (ja) ウォーム式減速機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30180367A1 (en) Adjustable wrench
CN210715756U (zh) 蜗轮蜗杆机构
CN100475449C (zh) 电动工具
KR102389373B1 (ko) 백래쉬 조정이 가능한 감속기
CN201973175U (zh) 无间隙蜗轮蜗杆减速装置
JP5725206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WO2009006756A1 (fr) Équipement d'indexage à commande numérique avec dispositif de transmission à vis perfectionné
JPH0526303A (ja) 遊星歯車式の減速機
JP4071080B2 (ja) 軸送り装置
CN205298505U (zh) 一种圆网印花机的传动间隙消除机构
CN209990889U (zh) 一种拖拉机后桥传动组件调节装置
CN209026170U (zh) 蜗轮蜗杆减速机
CN108050240B (zh) 适于电动助力转向系统的减速机构的公差补偿环
CN201396315Y (zh) 煤气鼓风机盘车装置
CN218953991U (zh) 一种可调间隙蜗轮蜗杆减速机
CN214576732U (zh) 矿山洞采锯割机的钻孔机构
CN214609657U (zh) 滚轮机构
KR101996176B1 (ko) 차량 부변속기용 기어 백래시 조절장치
CN219692169U (zh) 一种升降机转向器
CN221003703U (zh) 一种耐磨损斜齿轮减速机
JP200521265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10011512A (ko) 평행축 기어의 백-래시 조절구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