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900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900B1
KR101448900B1 KR1020140041505A KR20140041505A KR101448900B1 KR 101448900 B1 KR101448900 B1 KR 101448900B1 KR 1020140041505 A KR1020140041505 A KR 1020140041505A KR 20140041505 A KR20140041505 A KR 20140041505A KR 101448900 B1 KR101448900 B1 KR 101448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ortion
coupled
vertical members
expansion join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만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손만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손만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41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고무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마련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부재의 양쪽 제1,2 단부영역에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부재들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당김결합장치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당김결합장치는, 상기 제1 단부영역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단부영역에는,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고리 및 상기 걸림고리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영역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수직부재에 원터치 방식의 당김결합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를 걸림고리로 걸어 고정하는 한 동작만으로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를 서로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서로 인접한 신축이음장치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신축이음장치의 수직부재 측면에 마련되는 앵커부재가 체결되는 회전각도에 따라 배근되는 철근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연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터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앵커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판은 온도변화 등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길이 이상으로 건설되는 교량의 상판은 상판의 수축과 팽창을 고려하여 이웃하는 상판과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러한 교량의 상판간에는 소음을 줄이고, 승차감을 좋게 하고, 이물질이나 빗물이 그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등의 목적으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신축이음장치는 여러 가지 타입이 개발되어 있는데, 한 예로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7591호(공고일 : 2000년02월01일)에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핑거들을 갖는 양쪽의 주판재(10) 사이에 제1 고무부재(30)가 배치되고, 양쪽 주판재(10)의 측면에는 앵커부(20)가 각각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1)를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접하는 주판재(10)의 단부 측면에 'U'형상의 접속편이 각각 마련되고, 각 접속편에는 접속용 볼트(51)가 설치되며, 접속용 볼트(51)의 양단이 접속편에 안착된 상태에서 접속용 너트(55)로 체결되므로,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1)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각 주판재(10)가 양쪽의 슬라브(상판)에 고정되고 각 주판재(10) 사이에 제1 고무부재(30)가 배치됨으로써, 양쪽 슬라브의 수축 팽창에 따른 간격을 흡수할 수 있었고, 연결부위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접속용 볼트의 양단을 접속편의 'U'형 홈에 위치시킨 후 접속용 너트들로 각각 체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둘째, 신축이음장치를 슬라브에 설치하기 위하여 슬라브에 콘크리트 타설로 결합되는 앵커부가 위치 고정형으로 구성됨으로써, 앵커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167591호(공고일 : 2000년02월0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연결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원터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앵커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교량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고무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마련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너트부재;
일단에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결합단이 형성된 제1 수평부와,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 수평부와, 상기 제1,2 수평부를 서로 단차지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의 외주면에, 배근되는 철근이 안착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앵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결합단이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어 결합될 때, 상기 앵커로드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수평부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수평부의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안착홈에 철근이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평부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앵커로드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철근이 환형으로 형성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를 직각으로 연결하거나,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면 상부에는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타단면 하부에는 상기 제2 수평부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의 양쪽 제1,2 단부영역에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부재들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당김결합장치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당김결합장치는, 상기 제1 단부영역에 마련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고리 및 상기 걸림고리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영역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단부영역에 부착되거나, 상기 제1 단부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단부영역에 부착되거나, 상기 제2 단부영역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축이음장치의 수직부재 측면에 마련되는 앵커부재가 너트부재에 체결되는 회전각도에 따라 배근되는 철근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단차를 갖는 인접한 상판들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철근의 배근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수직부재에 원터치 방식의 당김결합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를 걸림고리로 걸어 고정하는 한 동작만으로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를 서로 결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서로 인접한 신축이음장치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당김결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5b,5c,5d,5e는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앵커부재가 회전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과는 다른 종류의 신축이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한 쌍의 수직부재(110)와, 수직부재(110)들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20)와,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고무부재(130)와, 수직부재(110)의 측면에 마련되는 앵커부재(140)와, 수직부재(110)에 마련되어 인접하는 신축이음장치를 서로 당겨 결합하기 위한 당김결합장치(20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가황식 일체형이나 별도로 제작된 커플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는 방식의 신축이음장치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 쌍의 수직부재(110)와, 각 수직부재(110)들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120)는 신축이음장치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각 수직부재(110)들 사이에 고무부재(130)가 배치된다. 고무부재(130)는 가황식 결합방법에 의해 양쪽의 수직부재(110)의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어 각 수직부재(110)를 연결하는 역할과, 양쪽의 수직부재(110)가 교량 상판의 신축이 발생할 때 이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신축이음장치의 기초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구조나 기능은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앵커부재(140)는, 신축이음장치를 교량 상판의 콘크리트 타설부(300)에 고정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앵커부재(140)의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하기로 한다.
당김결합장치(200)는, 수직부재(110)의 양쪽 제1,2 단부영역(112,114)에는 서로 인접하는 수직부재(110)들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단부영역(112)에는 걸림부(210)가 마련되고, 제2 단부영역(114)에는 걸림부(210)에 걸리기 위한 걸림고리(220)와, 걸림고리(220)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232)를 갖는 몸체부(230)와, 몸체부(230)와 힌지 결합되고 제2 단부영역(114)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40)로 이루어진다.
당김결합장치(200)는, 도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수직부재(100)에 각각 마련된다.
그리고 걸림부(2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되어 제1 단부영역(112)에 부착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단부영역(112)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부(2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되어 제2 단부영역에 부착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단부영역(114)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당김결합장치(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당김결합장치(200)는 걸림고리(220)를 이용하여 양쪽의 수직부재(110)을 당겨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부재(140)는, 수직부재(110)의 측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너트부재(142)와, 일단에 너트부재(142)에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결합단(144A)이 형성된 제1 수평부(144B)와, 일단에 걸림턱(144C)이 형성된 제2 수평부(144D)와, 제1,2 수평부(144B,144D)를 서로 단차지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44E)로 이루어진 앵커로드(144)를 포함한다.
즉, 앵커로드(144)는 "
Figure 112014033270071-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나사 결합단(144A)가 너트부재(142)에 체결되어 결합될 때, 앵커로드(144)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 수평부(144B)의 수평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2 수평부(144D)의 높이(H)가 조절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 수평부(144B)와 제2 수평부(144D)의 외주면에는, 배근되는 철근(400)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144F)이 환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안착홈(144F)이 환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앵커로드(144)가 회전하더라도 철근(400)이 안착홈(144F)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안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연결부(144E)는, 제1 수평부(144B)와 제2 수평부(144D)를 직각으로 연결하거나,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44E)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면 상부에는 제1 수평부(144B)의 타단이 결합되고, 타단면 하부에는 제2 수평부(144D)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구성될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걸림턱(144C)은, 제2 수평부(144D)의 끝단에 제2 수평부(144D)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배근되는 철근(400)이 걸려 앵커로드(144)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장치(100)를 교량에 시공하기 위해서는, 서로 인접한 양쪽 상판의 콘크리트 타설부(300)에 신축이음장치(100)를 각각 안착시킨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의 수직부재(110)가 양쪽의 콘크리트 타설부(30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앵커부재(140)는 각각 콘크리트 타설부(300)가 이루는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서, 배근될 철근(40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로드(144)를 회전시키고 멈춘 후, 각 안착홈(144F)에 철근(400)을 안착시키고 결속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부(300)의 바닥을 기준으로 배근되는 철근(400)의 높이를 조절해야 할 경우에, 앵커로드(144)를 회전시켜 제2 수평부(144D)가 회전하면서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2 수평부(144D)에 결속되는 철근(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접하는 상판의 콘크리트 타설부(300) 높이가 다르더라도 앵커로드(144)를 회전시켜 배근되는 철근(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철근(400)들이 제1 수평부(144B)와 제2 수평부(144D)에 각각 용접되거나 와이어로 결속되어 고정되므로, 각 철근(400)이 입체적으로 콘크리트 타설부(300)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콘크리트 타설시 앵커부재(140)가 콘크리트 타설부(3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신축이음장치(100)들이 콘크리트 타설부(300)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면,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양쪽 신축이음장치(100)를 서로 맞댄 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고리(220)를 걸림부(210)에 걸고, 손잡이(232)를 취부하여 몸체부(230)를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고정부(240)에 밀착시킨다.
이 작동으로 걸림고리(220)가 걸림부(210)에 걸리고, 몸체부(230)를 고정부(240)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인접한 신축이음장치(100)들은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나 구조물 없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위치(높이)가 조절된 각 앵커로드(144)의 제2 수평부(144D)의 안착홈(144F)에 철근(400)들을 배근하고 용접이나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결속하여 고정한다.
철근(400)들의 배근이 완료되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콘크리트 타설부(3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신축이음장치(100)의 앵커부재(200)를 각 상판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앵커로드(144)를 너트부재(142)에 체결할 때, 제2 수평부(144)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배근되는 철근(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당김결합장치(200)의 걸림고리(220)를 걸림부(210)에 걸어 당기고 고정함으로써 양쪽 신축이음장치(100)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과는 다른 종류의 신축이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신축이음장치 110 : 수직부재
120 : 핑거부재 130 : 고무부재
140 : 앵커부재 142 : 너트부재
144 : 앵커로드 144A : 나사 결합단
144B : 제1 수평부 144C : 걸림턱
144D : 제2 수평부 144E : 연결부
144F : 안착홈 200 : 당김결합장치
210 : 걸림부 220 : 걸림고리
230 : 몸체부 232 : 손잡이
240 : 몸체부 300 : 콘크리트 타설부
400 : 철근

Claims (7)

  1. 한 쌍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들의 상부에 결합되는 핑거부재 및 신축가능하게 형성되어 양측의 수직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고무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마련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수직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다수개의 너트부재;
    일단에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어 결합되기 위한 나사 결합단이 형성된 제1 수평부와,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 수평부와, 상기 제1,2 수평부를 서로 단차지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와, 상기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의 외주면에, 배근되는 철근이 안착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안착홈으로 이루어진 앵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 결합단이 상기 너트부재에 체결되어 결합될 때, 상기 앵커로드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수평부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수평부의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안착홈에 철근이 삽입되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평부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앵커로드를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철근이 환형으로 형성된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수평부와 제2 수평부를 직각으로 연결하거나,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단면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일단면 상부에는 상기 제1 수평부의 타단이 결합되고, 타단면 하부에는 상기 제2 수평부의 타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의 양쪽 제1,2 단부영역에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수직부재들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결합하기 위한 당김결합장치가 각각 마련되되,
    상기 당김결합장치는,
    상기 제1 단부영역에 마련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 걸리기 위한 걸림고리 및 상기 걸림고리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 단부영역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단부영역에 부착되거나, 상기 제1 단부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단부영역에 부착되거나, 상기 제2 단부영역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140041505A 2014-04-07 2014-04-07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448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505A KR101448900B1 (ko) 2014-04-07 2014-04-07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505A KR101448900B1 (ko) 2014-04-07 2014-04-07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900B1 true KR101448900B1 (ko) 2014-10-13

Family

ID=51997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505A KR101448900B1 (ko) 2014-04-07 2014-04-07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9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689B1 (ko) * 2014-11-25 2016-02-23 (주)우신건설산업 고탄성 실런트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80084B1 (ko) * 2017-11-11 2018-07-19 (주)유안개발 내진력이 강화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86760B1 (ko) * 2018-01-19 2018-08-08 주식회사 리얼테크 교량신축이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445A (ko) * 2004-08-27 2006-03-03 덕주건설(주) 원터치 체결식 신축이음장치
KR20100128549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삼일엑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30095093A (ko) * 2012-02-17 2013-08-27 (주)알씨에스 모노셀형 교량 신축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이음부의 보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9445A (ko) * 2004-08-27 2006-03-03 덕주건설(주) 원터치 체결식 신축이음장치
KR20100128549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삼일엑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130095093A (ko) * 2012-02-17 2013-08-27 (주)알씨에스 모노셀형 교량 신축 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이음부의 보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6689B1 (ko) * 2014-11-25 2016-02-23 (주)우신건설산업 고탄성 실런트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880084B1 (ko) * 2017-11-11 2018-07-19 (주)유안개발 내진력이 강화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886760B1 (ko) * 2018-01-19 2018-08-08 주식회사 리얼테크 교량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0927B (zh) 混凝土结构的可调节金属模板系统
KR101514395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KR100665876B1 (ko)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케이슨을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개구제형 파형 스틸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144890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143636B1 (ko) 폼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934874B1 (ko)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21630B1 (ko) 전단보강 하프 피씨 슬래브 구조체 및 시공방법
KR101749959B1 (ko) 조립식 아치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03798B1 (ko) 곡선형 구현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갖는 피에스씨 빔 및 그 시공방법
KR20060114163A (ko) 프리캐스트 psc단일슬래브거더를 1점지지구조나 강결일체구조로 연결지지 한 연속다가구 프리캐스트 psc단일슬래브거더교
KR100843175B1 (ko) 집수구
KR101713408B1 (ko) 인서트 겸용 철근 받침대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200394787Y1 (ko) 프리캐스트 psc단일슬래브거더를 1점지지구조나강결일체구조로 연결지지 한 연속다가구 프리캐스트psc단일슬래브거더교
KR100710984B1 (ko) 개구 형성체에 의하여 보강된 개구부를 가지는 무량판 구조물
KR101974725B1 (ko) 시스템 동바리
KR101483911B1 (ko) 채널 매립형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100679570B1 (ko) 교량 주형 외측의 캔틸레버부를 구성하는 프리캐스트캔틸레버 바닥판, 이를 구비한 교량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JP2005350904A (ja) 仮締切構造体および仮締切工法
KR100878465B1 (ko) 커플러를 이용한 교량용 거더, 이를 포함하는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102363892B1 (ko) 원심력 사각 수로관 결합용 빗물받이, 이의 프리캐스트 상부 구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KR20200044405A (ko) 가변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KR101244906B1 (ko) 개선된 구조의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83680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시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