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808B1 -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808B1
KR101448808B1 KR1020130117773A KR20130117773A KR101448808B1 KR 101448808 B1 KR101448808 B1 KR 101448808B1 KR 1020130117773 A KR1020130117773 A KR 1020130117773A KR 20130117773 A KR20130117773 A KR 20130117773A KR 101448808 B1 KR101448808 B1 KR 10144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frame
control
tan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7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재
박성욱
김경민
이건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117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하부상식 가두리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두리장치의 가두리프레임을 잠수함 형태의 골조구조물로 설치하고, 상기 가두리프레임의 선단부와 후단부측에는 고깔 형상의 수류분산판을 설치함으로서, 양식어류의 투입이나 성어의 출하 또는 적조의 회피 등을 위하여 가두리장치를 요구하는 수역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두리장치의 이동시 가두리그물의 변형과 수력저항을 최소화시켜 양식어류의 스트레스와 폐사 및 가두리그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며, 가두리그물의 내부공간을 합리적으로 구획하여 하나의 가두리장치로 다양한 어종의 양식이 가능토록 하고, 다수 개의 격실로 구획된 침하부상탱크 및 밸런스탱크를 가두리프레임의 좌,우 하단 및 좌,우 상측부에 각각 설치하여 가두리장치의 침하부상작업 역시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하며, 전력공급기구와 침하부상기구와 자동급이기 및 이들의 제어기구가 내장된 컨트롤하우스를 가두리프레임의 상단측에 설치하고, 이 컨트롤하우스의 상부에 제어기구와 접속되는 통신안테나를 설치함으로서, 가두리장치의 원격제어 뿐만 아니라 유사시 수동조작에 의한 가두리장치의 침하부상이 가능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외해용 외해양식 가두리장치를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양식어류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Submersible and mobile fish cage for open-sea cultivation}
본 발명은 가두리장치의 가두리프레임을 잠수함 형태의 골조구조물로 설치하고, 상기 가두리프레임의 선단부와 후단부측에는 고깔 형상의 수류분산판을 설치함으로서, 가두리장치를 요구하는 수역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두리장치의 이동시 가두리그물의 변형과 수력저항을 최소화시켜 양식어류의 스트레스와 폐사 및 가두리그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며, 하나의 가두리장치로 다양한 어종의 양식이 가능토록 하고, 다수 개의 격실로 구획된 침하부상탱크 및 밸런스탱크를 가두리프레임의 좌,우 하단 및 좌,우 상측부에 각각 설치하여 침하부상작업 역시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하며, 가두리장치의 운용기구 및 이들의 제어기구가 내장된 컨트롤하우스를 가두리프레임의 상단측에 설치하고, 이 컨트롤하우스의 상부에 제어기구와 접속되는 통신안테나를 설치함으로서, 가두리장치용 운용기구의 원격제어 뿐만 아니라 유사시 수동조작에 의한 가두리장치의 침하부상이 가능토록 한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상가두리는 연안해역이나 외해 등의 수역(水域)에 일정 범위만큼 가두리그물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각종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는 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최근에 들어서는 연안해역의 수질오염에 따라 비교적 수심이 깊은 외해상으로 가두리 시설이 이전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수상가두리는 가두리그물의 그물코를 통하여 가두리 안팎의 해수가 자유롭게 통과하므로, 해수의 교환 및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양식어류의 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노폐물 또한 가두리그물을 거쳐 자동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노폐물의 제거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많은 량의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하더라도 가두리 내부의 수질이 악화되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 양식어업 측면에 여러 가지의 유리한 잇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평상시에는 수상가두리를 수면상에 위치시켜 놓았다가, 적조나 태풍과 같은 비상시에는 수상가두리를 일정 수심만큼 수중으로 침하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적조나 태풍이 지나간 후에 수상가두리를 다시 부상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침하부상식(沈下浮上式) 가두리장치가 보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8-88200호(공개일자: 2008년 10월 20일)에 기재된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는, 가두리그물의 상단측에 제공된 부력파이프의 내부로 해수 또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시킴으로서, 해수의 무게 또는 공기의 부력에 의하여 수상가두리가 침하 또는 부상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부력파이프를 소정 길이의 로프에 의하여 대형부구와 연결시킴으로서, 수상가두리의 침하된 위치를 부구로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에 있어 수상가두리를 침하시키는 과정은, 부력파이프에 설치된 해수밸브 및 에어밸브를 모두 개방시켜 부력파이프의 내부로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과정을 거치며, 수상가두리를 다시 부상시키는 과정은, 선박에 구비된 에어컴프레셔를 에어호스에 의하여 부력파이프의 에어밸브와 연결시키는 한편 부력파이프의 해수밸브는 개방시킨 상태에서, 부력파이프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주입시킴에 따라 부력파이프에 저장된 해수가 해수밸브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다음, 해수밸브를 최종적으로 닫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는 가두리그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 또는 다각형 프레임 형상의 가두리프레임이 가두리그물의 외주연부상에 연결 설치되는 구조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하여 가두리장치 자체가 원통 또는 다각통 형상의 그물자루를 이루게 됨으로서, 선박 등을 이용하여 해상에서 가두리장치를 요구하는 수역(水域)으로 이동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가 된다.
다시 말해서,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장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가두리그물에 매우 큰 수력저항이 가해지기 때문에, 가두리그물이 예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과도하게 쏠리면서 가두리그물의 변형 또는 파손이 쉽게 발생함은 물론이고, 가두리그물의 변형에 따라 좁아진 양식공간으로 인하여 양식어류가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심한 경우 양식어류가 폐사할 뿐만 아니라, 가두리그물의 파손시 양식어류가 탈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요인으로 인하여, 종래의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는 특정한 수역에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놓은 상태에서, 양식어류의 투입이나 성어의 출하와 같은 작업을 가두리장치가 설치된 수역에서 수행하게 되는 바, 기상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가 없고, 가두리장치가 설치된 수역으로 어류수송용 선박을 수시로 운항시키면서 해당 선박에 양식어류를 적재시켰다가 이를 다시 하역시키는 번거러운 작업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의 수행을 위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된다.
다른 한편으로, 적조의 발생시 가두리장치를 수중으로 침하시키는 것보다 적조가 발생하지 아니한 수역으로 가두리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양식어류의 보호측면에서 보다 더 안전할 뿐만 아니라, 가두리장치의 운용 측면에서 보다 더 경제적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가두리장치는 이동시 발생하는 가두리그물의 변형 및 파손과 이에 따른 양식어류의 스트레스 및 폐사 등의 요인으로 말미암아 적조발생시 가두리장치를 침하시키는 작업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가두리장치를 침하 또는 부상시키는 작업시, 10m 내지 30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부력파이프의 일측단으로 해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과정에서, 부력파이프의 일측으로 해수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부력파이프가 수평 방향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고 해수의 무게에 의한 편심으로 말미암아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쉽게 요동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가두리장치의 침하 또는 부상 작업이 안정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가두리장치의 상단측에 설치된 부력파이프가 상,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가두리그물에 편향 현상이 유발되면, 가두리그물의 특정 부분에 그물의 중첩이나 쏠림이 발생하기 때문에, 가두리장치의 침하 또는 부상 작업시 양식어류가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됨은 물론이고, 양식어류가 가두리그물의 한 쪽으로 몰리면서 어체의 손상 또한 쉽게 발생하는 등, 양식어류의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요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는 가두리그물의 상단측에 부력파이프 이외의 추가적인 프레임 구조가 제공되지 아니함으로서, 가두리장치의 전반적인 운용에 필요한 전력공급기구와 침하부상기구와 자동급이기 및 이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기구 등을 가두리장치와 함께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가두리장치의 침하부상이 필요한 시점이나 양식어류의 급이가 필요한 시점마다 선박을 운항하여 가두리장치가 설치된 수역으로 작업자를 보내야 하는 등, 가두리장치의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키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8-8820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858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는, 가두리그물의 설치를 위한 가두리프레임을 잠수함 형태의 골조구조물로 제작하고, 상기 가두리프레임의 선단부와 후단부측에는 고깔 형상의 수류분산판을 설치함으로서, 양식어류의 투입이나 성어의 출하 또는 적조의 회피 등을 위하여 가두리장치를 요구하는 수역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두리장치의 이동시 가두리그물의 변형과 수력저항을 최소화시켜 양식어류의 스트레스와 폐사 및 가두리그물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가두리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설치되는 가두리그물의 내부에 여러 개소의 양식공간을 합리적으로 구획시킴으로서, 하나의 가두리장치로 다양한 어종의 복합양식이 가능토록 하고, 상기 가두리그물을 외부그물과 내부그물의 이중망 구조로 하여, 외부그물을 가두리프레임과 연결시키고 내부그물을 외부그물에 연결시킴으로서, 양식공간을 구획하는 내부그물이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가두리프레임의 상단측에 컨트롤하우스를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하우스를 통한 작업자의 용이한 출입을 위하여 선박용 접안덱크와 작업자용 난간통로를 가두리프레임의 상측부에 추가로 설치하며, 컨트롤하우스의 내부에 전력공급기구와 침하부상기구와 자동급이기 및 이들의 제어기구를 설치하고, 컨트롤하우스의 상부에는 제어기구와 접속되는 통신안테나를 설치함으로서, 현장제어 및 원격제어 방식을 병용하여 가두리장치의 운용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유사시 수동조작에 의한 가두리장치의 침하부상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제 3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가두리장치의 침하 및 부상 작업을 위한 침하부상탱크를 가두리프레임의 하단 양측에 설치하고, 가두리장치의 전도(轉倒) 방지를 위한 밸런스탱크를 가두리프레임의 좌,우 상측부에 설치하며, 각각의 침하부상탱크 및 밸런스탱크의 내부공간을 다수 개의 격실로 구획시켜 해당 격실을 통한 해수 또는 압축공기의 개별적인 주입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가두리장치의 침하 및 부상 작업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양식어류의 스트레스나 상해를 최소화시키고 양식어류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측면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4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자동급이기의 사료분배관에 송풍기를 연결 설치함으로서, 사료의 공급을 송풍 압송 방식으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두리프레임의 내부에 수중카메라를 설치하고 수온 및 수심 등의 측정을 위한 센서기구를 추가로 제공하여 가두리장치의 원격모니터링 또한 가능토록 하는 한편, 상기 통신안테나에 야간점멸등과 GPS를 설치함으로서 주,야간에 불문하고 가두리장치가 침하된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토록 하는 동시에, 해당 수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5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골조 형상의 가두리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양식공간을 구획하는 가두리그물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두리프레임에는 공기와 해수의 선택적 주입에 따른 침하부상수단이 설치된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프레임은, 가두리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오각형 형태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침하부상수단은 가두리장치의 길이 방향에 걸쳐 메인프레임의 하단 양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침하부상탱크가 되고, 상기 각각의 침하부상탱크에는 가두리장치의 부상을 위한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가두리장치의 침하를 위한 해수주입용 밸브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상단프레임과 하단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단부측은 가두리장치의 전,후방측에서 고깔 형태로 모여서 연결되는 단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침하부상탱크의 단부측에 해당하는 메인프레임으로부터 보강프레임이 연장되어 각각의 단부프레임과 함께 고깔 형태로 모여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단부프레임과 보강프레임이 제공하는 고깔 형태의 프레임 연결부 외측면에는 고깔 형상의 수류분산판이 설치되고, 상기 가두리프레임의 좌,우 상측부에는 가두리장치의 전도 방지를 위한 한 쌍의 밸런스탱크가 측면프레임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각의 밸런스탱크는 필요시 침하부상탱크와 함께 가두리장치의 침하 또는 부상기능을 추가로 수행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두리그물에 의하여 구획되는 양식공간은, 메인프레임의 좌,우측 프레임과 바닥측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사각 형상의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되는 메인양식공간과, 메인프레임의 상부측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삼각 형상의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되는 상부양식공간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상부양식공간은 메인프레임의 상부측 프레임이 제공하는 삼각 형상의 공간 내부에서 다수 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필요시 메인양식공간의 바닥부에 하부양식공간을 구획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가두리그물은, 가두리프레임과 연결 설치되는 외부그물과, 상기 외부그물의 내측에서 외부그물과 연결 설치되는 내부그물의 이중망 구조가 되고, 상기 양식공간은 내부그물에 의하여 구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두리프레임의 상단프레임 중앙부측에 가두리장치의 운용기구가 내장된 컨트롤하우스를 설치하고, 상기 컨트롤하우스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를 설치하며, 상기 가두리프레임의 상측부에는 선박용 접안덱크를 설치하고, 상기 접안덱크와 컨트롤하우스의 사이에는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난간통로를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컨트롤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두리장치의 운용기구는, 발전기와 배터리가 포함된 전력공급기구,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연장되는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에 의하여 침하부상탱크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주입기구,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과 압축공기 주입기구에 설치되는 밸브기구, 사료의 자동급이기 및 이들의 제어를 위한 메인컴퓨터와 PLC를 포함하는 제어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하우스의 상부측에는 소정의 높이로 안테나지주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안테나지주의 상단에 통신안테나가 설치되며, 상기 통신안테나에는 통신모뎀과 무선라우터를 포함하는 통신기구가 설치되고, 필요시 야간점멸등과 GPS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기구의 무선라우터를 컨트롤하우스의 제어기구와 접속시켜 통신 및 제어시스템을 구축하고, 상기 통신 및 제어시스템을 내륙의 육상제어시스템이나 선박의 해상제어시스템과 연계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어기구에는, 발전기 및 배터리용 전력량계와, 마그네틱 콤파스와, 수온과 수심을 측정하는 센서기구와, 가두리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가 포함된 입력수단을 추가로 제공함으로서, 가두리장치의 현장제어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수단과 통신기구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바탕으로 가두리장치의 원격모니터링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가두리장치의 침하부상을 위한 상기 압축공기 주입기구는, 에어컴프레셔와, 상기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상태로 연장되는 토출라인과, 상기 토출라인에 의하여 에어컴프레셔와 연결되는 축압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은, 축압탱크로부터 체크밸브와 전자밸브를 구비하는 상태로 연장되는 주입라인과, 상기 주입라인으로부터 전자밸브를 구비하는 상태로 분기되는 분기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라인이 각각의 침하부상탱크 및 밸런스탱크와 병렬식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와 전자밸브의 사이에 해당하는 주입라인으로부터 전자밸브를 구비하는 개폐라인이 연장되어 각각의 침하부상탱크와 밸런스탱크에 구비된 해수주입용 밸브기구로서의 공압밸브와 병렬식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를 지난 위치에 해당하는 주입라인에는 전자밸브를 구비하는 배기라인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축압탱크에는 릴리프밸브를 구비하는 과압배출라인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지주의 상단측에는 외부접속기로서의 호스커넥터가 설치되고, 상기 호스커넥터로부터 연장되는 외부주입호스 및 외부주입라인이 축압탱크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침하부상탱크와 밸런스탱크의 내부공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칸막이판에 의하여 다수 개의 격실로 구획되고, 상기 각각의 격실마다 공압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분기라인은 전자밸브를 구비하는 상태로 침하부상탱크 및 밸런스탱크를 이루는 각각의 격실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라인은 전자밸브를 구비하는 상태로 침하부상탱크 및 밸런스탱크를 이루는 각 격실마다의 공압밸브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유사시를 대비한 수동조작 수단으로서 상기 주입라인과 분기라인과 개폐라인과 배기라인에 설치된 각각의 전자밸브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수동밸브를 구비하는 바이패스라인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동밸브는 컨트롤하우스의 외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테나지주의 상단측 외부접속기에는 전자밸브의 외부제어를 위한 케이블커넥터가 제공되고, 상기 케이블커넥터는 케이블에 의하여 각각의 전자밸브와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급이기는, 사료저장호퍼와, 상기 사료저장호퍼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사료투입관과, 상기 사료투입관에 설치되는 사료투입밸브와, 상기 사료투입관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컨트롤하우스의 하측면을 따라 분산 배치되는 사료분배관과, 상기 각각의 사료분배관 단부측에 설치되는 사료투입구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사료분배관에는 사료압송용 송풍기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는 컨트롤하우스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하단측 송풍출구 부분이 사료분배관과 연결 설치되며, 상기 사료저장호퍼에는 교반모터와 연결된 사료교반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두리프레임을 잠수함 형태의 골조구조물로 제작하고 이를 기초로 가두리그물을 설치하는 한편, 가두리프레임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고깔 형태의 수류분산판을 설치하는 구조적인 개선을 통하여, 가두리장치를 요구하는 수역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가두리장치의 이동시 발생하는 가두리그물의 변형과 수력저항을 최소화시켜 양식어류의 스트레스와 폐사 및 가두리그물의 파손과 같은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로 인하여, 양식어류의 투입이나 성어의 출하 작업을 항구와 인접한 연안해역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기상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러한 작업을 내항에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경비를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적조의 발생시 가두리장치를 수중으로 침하시키는 소극적이고 비경제적인 작업에만 의존하지 않고, 적조가 발생하지 아니한 수역으로 가두리 자체를 이동시키는 적극적이고 경제적인 대응 방식으로 양식어류를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가두리그물의 내부공간을 합리적으로 구획하여 하나의 가두리장치로 다양한 어종의 복합적인 양식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이중망 구조를 적용하여 양식공간을 제공하는 내부그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효과가 있으며, 가두리프레임의 상단측에 각종 운용기구 및 이들의 제어기구가 내장된 컨트롤하우스를 통신안테나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현장제어 및 원격제어 방식을 병용하여 가두리장치의 운용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유사시 외부접속기 또는 수동밸브를 이용한 가두리장치의 침하부상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유사시의 대응능력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침하부상탱크와 밸런스탱크의 위치 및 구조를 최적화시켜 가두리장치의 침하 및 부상 작업을 편향없이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서, 양식어류의 스트레스나 상해를 최소화시키고 양식어류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측면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료의 공급을 송풍 압송 방식으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토록 하고, 통신안테나의 야간점멸등과 GPS를 이용하여 가두리장치가 침하된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토록 하는 동시에, 해당 수역을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가두리그물을 제거한 상태의 프레임 구조를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단면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가두리그물 내부의 양식공간 배치상태도.
도 8 및 도 9는 이중망으로 이루어지는 가두리그물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10은 계류부표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가두리장치의 침하부상기구를 나타내는 배관도.
도 12의 (가) 내지 (다)는 가두리장치의 부상 및 침하상태를 조건별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은 가두리장치용 컨트롤하우스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평단면도.
도 15는 가두리장치용 통신 및 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회로도.
도 16은 육상 및 해상제어의 방식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가두리장치용 통신안테나의 요부 발췌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장치를 해저면에 안착시켜 고정식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프레임(1), 상기 가두리프레임(1)을 기초로 하여 설치되는 가두리그물(10), 상기 가두리프레임(1)의 상단측 중앙부에 설치되는 컨트롤하우스(20) 및 이와 연계되는 선박용 접안덱크(11)(12)와 작업자용 난간통로(13)(14)(15), 상기 가두리프레임(1)의 좌,우 하단과 좌,우 상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침하부상탱크(30) 및 전도방지용 밸런스탱크(3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제어기구를 포함하는 가두리장치(100)의 운용기구가 내장되고, 컨트롤하우스(20)의 상부측에는 안테나지주(21a)에 의하여 통신안테나(21)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요부를 이루는 상기 가두리프레임(1)은, 선박 등을 이용하여 가두리장치(100)를 예인(曳引) 방식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잠수함 형태의 골조구조물로 제작되는 바,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가두리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도면상 7개)로 배치되는 오각형 형태의 메인프레임(2)과, 가두리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메인프레임(2)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4)과 하단프레임(5)과 측면프레임(3)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단프레임(4)과 하단프레임(5)과 측면프레임(3)의 선단부 및 후단부측은 가두리장치(100)의 전,후방측에서 고깔 형태로 모여서 연결되는 단부프레임(3a)(4a)(5a)을 형성하고, 상기 침하부상탱크(30)의 단부측에 해당하는 메인프레임(2)으로부터 보강프레임(7)이 연장되어 각각의 단부프레임(3a)(4a)(5a)과 함께 고깔 형태로 모여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단부프레임(3a)(4a)(5a)과 보강프레임(7)이 제공하는 고깔 형태의 프레임 연결부 외측면에는 고깔 형상의 수류분산판(8)이 설치된다.
상기 가두리프레임(1)을 이루는 각각의 프레임 자체는 연안해역의 수상가두리에 널리 적용되는 바와 같이,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프레임,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파이프나 내식성 도금이 이루어진 금속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고강도 플라스틱 프레임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각각의 수류분산판(8) 또한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단부프레임(3a)(4a)(5a) 및 보강프레임(7)상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메인프레임(2)을 연결하는 상단프레임(4)은 컨트롤하우스(2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하여 메인프레임(2)의 상단측 꼭지점 부분을 따라 2개의 열(列)로 설치되어 있는 바, 이로 인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메인프레임(2) 자체는 완전한 오각형이 아닌 육각형에 가까운 형태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단프레임(5)은 메인프레임(2)의 하단측 중앙부를 따라 1개의 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측면프레임(3)은 메인프레임(2)의 좌,우 상측 모서리 부분을 따라 각각 1개의 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각각의 메인프레임(2)을 연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상단프레임(4)과 하단프레임(5) 및 측면프레임(3)의 개수와 배치상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축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2)의 형상 또한 잠수함 형태의 골조구조물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원형이나 타원형 프레임 또는 육각이나 팔각형 프레임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프레임의 개수를 증가시킬수록 가두리장치(100)의 구조적 강도는 향상되지만, 가두리장치(100)의 전체적인 시설하중과 설치비용은 증대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프레임의 적용갯수나 배치상태를 적절하게 조정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침하부상탱크(30)가 배치된 가두리프레임(1)의 양측 하단 모서리 내측에는 양식어류의 생육상태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수중카메라(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는 가두리장치(100)의 길이 방향에 걸쳐 메인프레임(2)의 하단 양측부에 설치되는 바, 각각의 메인프레임(2) 하단 양측 모서리 부분에는 침하부상탱크(30)의 장착을 위한 탱크브라켓(30a)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에는 가두리장치(100)의 부상을 위한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가두리장치(100)의 침하를 위한 해수주입용 밸브기구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은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미도시된 부표 등에 설치된 압축공기 주입용 에어밸브로부터 연장되는 에어주입호스가 될 수 있고, 상기 해수주입용 밸브기구는 수동밸브 또는 전자밸브가 될 수 있으며, 해수주입용 밸브기구로서 전자밸브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전자밸브는 케이블에 의하여 부표 등에 제공된 밸브조작기구와 접속 설치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가두리장치(100)에 있어서도 종래에 적용된 통상적인 방식을 이용하여 침하부상탱크(30)의 내부로 해수 또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시킴으로서 가두리장치(100)의 침하부상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종래 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선행기술문헌란에 기재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85861호(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 및 특허등록된 문헌임)의 기재내용을 참조하기 바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잠수함 형태의 골조구조물로 제작되는 가두리프레임(1)의 상단측에 각종 운용기구 및 제어기구가 내장된 컨트롤하우스(20)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침하부상탱크(30)와 연계된 침하부상기구를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적용되는 침하부상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 11을 기초로 하여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한편, 침하부상탱크(3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되어 침하부상탱크(30)에 부력이 작용할 경우, 가두리장치(100)의 상부측이 무겁고 하부측이 가볍게 되는 불안정한 상태가 유발되므로, 파랑(波浪) 등에 의하여 가두리장치(100)가 심하게 요동하거나 전도(轉倒: 뒤집어짐)될 우려가 있는 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두리프레임(1)의 좌,우 상측부에는 측면프레임(3)을 기초로 하여 한 쌍의 밸런스탱크(30')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밸런스탱크(30') 또한 침하부상탱크(30)와 같이 가두리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런스탱크(30')는 단순히 소정의 부력만을 제공하는 부력재 또는 부력탱크가 될 수도 있지만, 침하부상탱크(30)와 함께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또는 부상작업에 추가로 이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우 침하부상탱크(30)에 적용되는 상기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 및 해수주입용 밸브기구는 각각의 밸런스탱크(30')에도 적용되며, 이 또한 첨부된 도 11을 기초로 하여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그물(10)의 내부에 제공되는 양식공간과 관련된 사항으로서, 상기 양식공간은 메인프레임(2)의 좌,우측 프레임과 바닥측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사각 형상의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되는 메인양식공간(10a)과, 메인프레임(2)의 상부측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삼각 형상의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되는 상부양식공간(10b)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양식공간(10b)을 다수 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하는 것이며, 도면상 4개의 원형 상부양식공간(10b)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두리장치(100)의 폭과 길이를 감안하여 최소 2개에서 최대 6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 양식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필요시 메인양식공간(10a)의 바닥 부분에 하부양식공간(10c)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양식공간(10a)은 최근에 들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참다랑어 등의 주어종 양식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각각의 상부양식공간(10b)은 고등어와 같이 수심의 상층을 회유하는 회유성 어종의 보조양식공간으로 활용하는 한편, 상기 하부양식공간(10c)은 광어(넙치)와 같이 해저면에 서식하는 부착성 어종의 양식이나, 메인양식공간(10a)에서 양식되는 어류의 배설물 또는 사료찌거기 등을 먹이로 하는 패류 등의 양식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가두리장치(100)에서 다양한 어종의 복합적인 입체양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로서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가두리프레임(1)과 연결 설치되는 외부그물(16)과, 상기 외부그물(16)의 내측에서 외부그물(16)과 연결 설치되는 내부그물(17)의 이중망 구조로 가두리그물(10)을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메인양식공간(10a)과 상부양식공간(10b)과 하부양식공간(10c)은 내부그물(17)에 의하여 구획 설치된다.
상기 외부그물(16)은 내식성 금속재질의 클램프(18) 등을 이용하여 가두리프레임(1)의 내측에 연결 설치하는 한편, 상기 내부그물(17)은 이음줄(19)과 같은 그물결속수단을 이용하여 그물보강용 힘줄(17a) 부분을 외부그물(16)과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부그물(16)은 1~3cm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굵은 로프를 이용하고, 상기 내부그물(17)은 통상의 가두리그물에 이용되는 것과 같이 촘촘한 그물코를 가지는 그물망이 사용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내부그물(17)에는 양식어류의 투입이나 성어의 출하 또는 다이버(작업자)의 출입 등을 위하여 적절한 위치마다 미도시된 개폐식 통로수단이 제공되어야 하는 바, 상기 통로수단은 통상의 덮개그물을 포함하여 로프결속형 또는 지퍼형 그물도어 등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외부그물(16)은 다이버들이 내부그물(17)에 제공된 통로수단을 통하여 각각의 양식공간으로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망목(網目)의 치수(가로 및 세로폭)를 1m 내외로 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4요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프레임(1)의 상단프레임(4) 중앙부측에 가두리장치(100)의 운용기구가 내장된 컨트롤하우스(20)를 설치한 것이며, 상기 컨트롤하우스(20)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20a)가 설치되고, 컨트롤하우스(2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상기 안테나지주(21a)는 다수 개(도면상 4개)의 지지로프(21b)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하우스(20)의 바닥측과 가두리프레임(1)의 하단프레임(5) 사이에는 컨트롤하우스(20)의 설치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도면상 3개)의 지주프레임(6)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측면프레임(3)의 사이에는 각각의 지주프레임(6)과 연결되는 가로보프레임(6a)이 설치되며, 컨트롤하우스(20)를 통한 작업자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두리프레임(1)의 상측부에는 선박용 접안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접안덱크와 컨트롤하우스(20)의 사이에는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난간통로가 설치된다.
상기 선박용 접안덱크는 가두리프레임(1)의 측면프레임(3)을 기초로 하여 가두리장치(100)의 좌,우 상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측면접안덱크(1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난간통로는 각각의 측면접안덱크(11)를 컨트롤하우스(20)와 연결시키는 한 쌍의 측면난간통로(15)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밸런스탱크(30')는 측면접안덱크(11)의 하측에 연결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측면접안덱크(11)의 하측에 밸런스탱크(30')를 설치하게 되면, 각각의 밸런스탱크(30')가 측면접안덱크(11)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가두리장치(100)의 측면부로 선박이 접안할 시 가두리장치(100)와 선박의 충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충격을 밸런스탱크(30')가 적절하게 완충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측면난간통로(15)는 가두리프레임(1)의 상부측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계단식 통로구조가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수류분산판(8)의 상부면에는 난간지지대(8a)가 설치되고, 상기 난간지지대(8a)와 컨트롤하우스(20)의 사이에 걸쳐 전방난간통로(13)와 후방난간통로(14)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전방난간통로(13)의 선단측에는 가두리장치(100)를 계류부표(40)와 연결시키기 위한 계류로프(40a) 결속용 계류포스트(41)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난간통로(14)의 후단부에는 선박용 보조접안덱크(12)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보조접안덱크(12)는 힌지결합부(12b)에 의하여 후방난간통로(14)와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한편, 보조접안덱크(12)의 후단부 하측면에는 덱크부이(12a)가 설치됨으로서, 가두리장치(100)의 침하시 상기 보조접안덱크(12)는 덱크부이(12a)의 부력에 의하여 힌지결합부(12b)를 중심으로 상방향으로 접혀지면서 해수중에 잠기게 되며(도 12참조), 상기 계류포스트(41)는 가두리장치(100)의 이동시 선박의 후미로부터 연장되는 예인로프 등의 결속에도 사용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 선박용 접안덱크(11)(12) 및 작업자용 난간통로(13)(14)(15)의 배치구조 역시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대표적인 일례에 불과하며, 컨트롤하우스(20)에 설치되는 도어(20a)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접안덱크 및 난간통로의 배치구조는 다양하게 조정이 가능하고, 각각의 접안덱크(11)(12)와 난간통로(13)(14)(15)에는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위하여 손잡이용 가드레일(Guardrail)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장치(100)를 특정 수역에 계류시켜 놓기 위한 수단으로서, 계류로프(40a)에 의하여 전방난간통로(13)의 계류포스트(41)와 연결되는 계류부표(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체인(42)과 와이어로프(43)에 의하여 해저면의 앵커(44)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앵커체인(42)은 계류부표(40)의 하부측과 앵커(44)의 상부측에 각각 연결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로프(43)는 계류부표(40)용 앵커체인(42)과 앵커(44)용 앵커체인(42)을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계류부표(40)와 앵커체인(42)과 와이어로프(43)간의 연결부에는 앵커쉐클(45)이 설치되고, 와이어로프(43)의 상,하 단부측에는 앵커쉐클(45)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43a)가 제공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앵커수단 역시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대표적인 일례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가두리장치(100)를 계류부표(40)와 함께 특정 수역에 계류시켜 놓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의 앵커수단을 적용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며, 상기 계류부표(40)는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킨 후 그 침하된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앞에서 미리 언급되어진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장치(100)의 전반적인 운용에 필요한 각종 운용기구가 설치되는 바, 이러한 운용기구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침하부상탱크(30)와 연계된 가두리장치(100)의 침하부상기구가 되며, 상기 침하부상기구는 압축공기 주입기구와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 및 이에 설치되는 밸브기구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침하부상기구를 이루는 압축공기 주입기구는 도 11에서와 같이, 에어컴프레셔(31)와, 상기 에어컴프레셔(31)로부터 체크밸브(V1)를 구비하는 상태로 연장되는 토출라인(31a)과, 상기 토출라인(31a)에 의하여 에어컴프레셔(31)와 연결되는 축압탱크(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축압탱크(32)는 에어컴프레셔(31)로부터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불규칙한 압력변화를 완충시키는 완충탱크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키기 이전에 에어컴프레셔(31)로부터 토출된 압축공기를 미리 저장하였다가, 이를 가두리장치(100)의 부상작업에 다시 이용토록 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축압탱크(32)에는 내압측정 및 압력조정을 위한 압력계(P: Pressure gauge)와 압력트랜스미터(PT: Pressure transmitter)와 압력스위치(PS: Pressure switch)가 각각 설치되는 한편, 릴리프밸브(RV: Relief valve)를 구비하는 과압배출라인(32a)이 연결 설치되며, 축압탱크(32)의 하단에는 에어컴프레셔(31)로부터 유입된 오일 등의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수동밸브(V2)를 구비하는 드레인배관(32b)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은, 축압탱크(32)로부터 체크밸브(V1)와 전자밸브(SV: Solenoid valve)를 구비하는 상태로 연장되는 주입라인(33)과, 상기 주입라인(33)으로부터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상태로 분기되는 분기라인(3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라인(34)이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V1)와 전자밸브(SV)의 사이에 해당하는 주입라인(33)으로부터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개폐라인(33a)이 연장되어 해수주입용 밸브기구로서의 공압밸브(PV: Pneumatic valve)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SV)를 지난 위치에 해당하는 주입라인(33)에는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배기라인(33b)이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밸런스탱크(30')를 침하부상탱크(30)와 함께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및 부상수단으로 활용코자 할 경우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분기라인(34)이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와 병렬식으로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개폐라인(33a) 역시 마찬가지로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구비된 공압밸브(PV)와 병렬식으로 연결 설치하면 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와 밸런스탱크(30')의 내부공간을 길이 방향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칸막이판(35a)에 의하여 다수 개의 격실(35)로 구획시키고, 상기 각각의 격실(35)마다 공압밸브(PV)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분기라인(34)은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상태로 침하부상탱크(30)와 밸런스탱크(30')를 이루는 각각의 격실(35)과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라인(33a)은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상태로 침하부상탱크(30)와 밸런스탱크(30')를 이루는 각 격실(35)마다의 공압밸브(PV)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도 11에서와 같이 하나의 분기라인(34)과 공압밸브(PV)용 개폐라인(33a)을 기준으로 할 경우, 해당 분기라인(34)과 개폐라인(33a)이 연결되는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격실(35) 위치가 가두리장치(100)의 좌,우 및 상,하 방향에 걸쳐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켜야만이 가두리장치(100)의 요동없는 안정적인 침하부상 작동을 보장할 수 있으며, 각각의 분기라인(34)은 해당 격실(35)의 상부측에 연결시키고, 각각의 공압밸브(PV)는 해당 격실(35)의 하부측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침하부상기구를 컨트롤하우스(20)의 외부에서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서, 상기 안테나지주(21a)의 상단측에는 외부접속기(38)로서의 호스커넥터(38a)가 설치되고(도 3참조), 상기 호스커넥터(38a)로부터 안테나지주(21a)의 내측을 따라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까지 외부주입호스(37)가 연장 설치되며, 상기 외부주입호스(37)에는 체크밸브(V1)를 구비하는 외부주입라인(37a)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외부주입라인(37a)이 축압탱크(32)와 연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지주(21a)의 상단측 외부접속기(38)에는 전자밸브(SV)의 제어를 위한 케이블커넥터(38b)가 제공되고(도 3참조), 상기 케이블커넥터(38b)는 안테나지주(21a)의 내측을 따라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로 연장되는 케이블(C)에 의하여 각각의 전자밸브(SV)와 접속 설치되며, 유사시 침하부상기구의 수동조작을 위하여 상기 주입라인(33)과 분기라인(34)과 개폐라인(33a)과 배기라인(33b)에 설치된 각각의 전자밸브(SV)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수동밸브(V2)를 구비하는 바이패스라인(36)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동밸브(V2)는 컨트롤하우스(20)의 외부측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도 11에서는 각각의 공압밸브(PV)와 연결되는 개폐라인(33a) 및 이에 설치되는 전자밸브(SV)와 바이패스라인(36)의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공압밸브(PV)용 개폐라인(33a)의 설치구조는 주입라인(33)으로부터 각각의 격실(35)로 분기되는 분기라인(34)과, 각각의 분기라인(34)에 설치되는 전자밸브(SV) 및 바이패스라인(36)의 구조와 일맥 상통하는 것으로 보면 무방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에어컴프레셔(31)와 축압탱크(32)는 컨트롤하우스(20)의 기계실(22) 내부에 설치하고, 각각의 전자밸브(SV)는 컨트롤하우스(20)에 별도의 밸브실(23)을 두어 해당 공간에 한데 모아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바이패스라인(36)에 설치되는 수동밸브(V2) 역시 마찬가지로, 밸브실(23)의 외측에 해당하는 컨트롤하우스(20)의 벽면에 출입구(24a)가 제공된 외부작업실(24)을 설치하여 이 공간에 한데 모아서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침하부상기구를 이용하여 가두리장치(100)를 침하 및 부상시키는 과정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아래의 설명에서는 침하부상탱크(30)와 밸런스탱크(30')를 모두 침하부상 작업에 이용하는 것으로 할 것이지만, 밸런스탱크(30')를 단순한 부력재나 부력탱크로 한 상태에서,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만을 이용하여 가두리장치(100)의 침하부상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의 (가)에 도시된 상태는 양식어류의 투입이나 성어의 출하와 같은 각종 작업을 위하여 가두리장치(100)를 최대한으로 부상시킨 오퍼레이션 레벨(OL: Operation level)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밸런스탱크(30') 부분까지 해수중에 잠긴 상태가 되고, 도 12의 (나)에 도시된 상태는 평상시의 어류 양식에 적용되는 컬티베이션 레벨(CL: Cultivation level)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13의 (다)에 도시된 상태는 적조나 태풍과 같은 비상상황시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킨 서브머스트 레벨(SL: Submersed level)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2의 (나)에 도시된 컬티베이션 레벨 상태에서 적조나 태풍과 같은 비상상황시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키기 위해서는, 에어컴프레셔(31)를 작동시켜 축압탱크(32)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 및 저장시킨 다음, 주입라인(33)의 전자밸브(SV)를 폐쇄시키고 분기라인(34)과 배기라인(33b)의 전자밸브(SV)는 개방시켜 놓은 상태에서, 개폐라인(33a)의 전자밸브(SV)를 짧은 시간동안 순간적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축압탱크(32)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공압밸브(PV)가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침하부상기구를 세팅하게 되면, 개방된 공압밸브(PV)를 통하여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내부로 해수가 주입되는 한편,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분기라인(34)과 배기라인(33b)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이로 인하여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내부로 해수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가두리장치(100)가 수중으로 침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키되, 도 12의 (다)에 도시된 서브머스트 레벨에 가두리장치(100)가 위치할 수 있을 정도의 해수량이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내부로 유입되면, 개폐라인(33a)의 전자밸브(SV)를 짧은 시간동안 순간적으로 다시 개방시킴에 따라, 축압탱크(32)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공압밸브(PV)가 폐쇄되도록 하는 동시에, 분기라인(34)과 배기라인(33b)의 전자밸브(SV) 또한 폐쇄시킴으로서,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를 통한 해수의 유입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조나 태풍과 같은 비상상황시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켜 놓았다가 적조나 태풍이 지나간 이후 가두리장치(100)를 다시 수면으로 부상시키기 위해서는, 배기라인(33b)용 전자밸브(SV)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키는 조건하에서, 주입라인(33)과 분기라인(34)의 전자밸브(SV)를 개방시키는 동시에, 개폐라인(33a)의 전자밸브(SV)를 짧은 시간동안 순간적으로 개방시켜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공압밸브(PV) 또한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침하부상기구를 세팅하게 되면, 축압탱크(32)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주입라인(33) 및 분기라인(34)을 거쳐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내부로 주입되는 동시에,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저장된 해수는 압축공기의 주입압력에 의하여 공압밸브(PV)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이로 인하여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내부로 압축공기가 원활하게 주입되면서 가두리장치(100)가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두리장치(100)를 수면으로 부상시킴으로서 도 12의 (나)에 도시된 컬티베이션 레벨이나 도 12의 (가)에 도시된 오퍼레이션 레벨에 해당하는 위치까지 가두리장치(100)가 부상되면, 주입라인(33)과 분기라인(34)의 전자밸브(SV)를 폐쇄시킴으로서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를 통한 압축공기의 주입작업을 중단시키는 동시에, 개폐라인(33a)의 전자밸브(SV)를 짧은 시간동안 순간적으로 다시 개방시킴에 따라, 축압탱크(32)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공압밸브(PV) 역시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순서대로 침하부상기구를 작동시키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및 부상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제공된 다수 개의 격실(35)을 이용하여 좌,우측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해수 또는 압축공기를 교차 주입시키는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가두리장치(100)의 편향(기울어짐)없이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및 부상작업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일측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는 전방측(도 11에서 좌측) 격실(35)로부터 중앙측 격실(35)과 후방측(도 11에서 우측) 격실(35)의 순서대로 해수 또는 압축공기를 순차적으로 주입시키는 동시에, 타측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는 후방측 격실(35)로부터 중앙측 격실(35)과 전방측 격실(35)의 순서대로 해수 또는 압축공기를 순차적으로 주입시킨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해수 또는 압축공기를 교차식으로 주입시키게 되면, 해수 또는 압축공기의 주입에 따라 발생하는 침강하중이나 부력이 가두리장치(10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걸쳐 대칭과 균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두리장치(100)가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침하 및 부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격실(35)을 통한 해수 또는 압축공기의 교차식 주입작업을 위하여, 각각의 격실(35)과 연결된 분기라인(34)의 전자밸브(SV) 및 공압밸브(PV)의 개폐작동 역시, 해당 격실(35)을 통한 해수 또는 압축공기의 주입조건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전자밸브(SV) 및 공압밸브(PV)의 제어는 컨트롤하우스(20)에 설치되는 제어기구(이후에 설명될 것임)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면상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3개의 격실(35)이 제공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가두리장치(100)의 안정적인 침하부상 작업을 위해서는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마다 최소 2개의 격실(35)이 제공되어야 하고, 격실(35)의 개수를 5개 이상으로 하는 것은 분기라인(34)과 개폐라인(33a)을 포함하는 배관작업 및 이에 설치되는 전자밸브(SV)와 공압밸브(PV)의 제어 등이 매우 복잡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볼 수 있으며,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형성되는 격실(35)의 개수와 배치상태는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침하부상 작업의 혼선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컨트롤하우스(20)에 설치된 에어컴프레셔(31)의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에는, 외부접속기(38)의 호스커넥터(38a)에 선박용 에어컴프레셔의 에어호스를 연결시킨 다음, 선박용 에어컴프레셔로부터 외부주입호스(37) 및 외부주입라인(37a)을 거쳐 축압탱크(32)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 및 저장시킴으로서,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및 부상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하우스(20)의 제어기구에 의하여 전자밸브(SV)의 제어가 자체적으로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외부접속기(38)의 케이블커넥터(38b)에 선박용 제어기구를 접속시켜 전자밸브(SV)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서,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및 부상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외부접속기(38)에 의한 전자밸브(SV)의 제어까지 불가능한 상황에서는 외부작업실(24)에 설치된 각각의 수동밸브(V2)를 조작하여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및 부상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부접속기(38)는 도 3 및 도 17에서와 같이 안테나지주(21a)의 상단측에 설치하여 해수중에 잠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고, 상기 배기라인(33b)의 상단측 출구 또한 안테나지주(21a)와 연계시켜 해수중에 잠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1에서와 같이 외부주입용 배관라인을 외부주입호스(37)와 외부주입라인(37a)으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대신에, 체크밸브(V1)를 구비하는 외부주입호스(37) 또는 체크밸브(V1)를 구비하는 외부주입라인(37a)의 단일라인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침하부상기구와 함께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두리장치(100)의 운용기구는, 도 13 내지 도 15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64)와 배터리(64a)가 포함된 전력공급기구와 사료의 자동급이기(50) 및 이들의 제어를 위한 메인컴퓨터(65)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통신)(66)를 포함하는 제어기구로 이루어지며, 안테나지주(21a)의 상단에 설치된 통신안테나(21)에는 통신모뎀(61)과 무선라우터(62)를 포함하는 통신기구가 설치된다.
주) 무선라우터: 인가(Licensed) 대역을 이용하여 사업자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중 무선망과 달리, 비인가 대역을 활용하는 사설 무선망(예컨대, 무선랜, 블루투스 등)에 있어, 커버리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공중 이동 통신망을 중계선으로 이용하여 사설 무선망의 액세스 포인트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장치임.
상기와 같이 가두리장치(100)의 운용기구를 이루는 전력공급기구와 제어기구또한 침하부상기구용 기계실(22) 및 밸브실(23)과는 별도로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력공급실(26)과 제어실(27)에 각각 배치시킴으로서, 전력공급기구와 제어기구를 침하부상기구와 별도로 관리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동급이기(50)는 사료저장호퍼(51)를 컨트롤하우스(20) 내부의 사료저장실(25)에 설치한 상태에서, 사료분배관(54)은 컨트롤하우스(20)의 바닥부 하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급이기(50)의 사료저장호퍼(51) 하단측에는 사료투입관(52)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사료투입관(52)에는 사료의 정량투입을 위한 사료투입밸브(53)가 설치되며, 상기 사료분배관(54)은 사료투입관(52)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컨트롤하우스(20)의 하측면을 따라 분산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사료분배관(54) 단부측에는 사료투입구(56)가 설치된다.
도 14를 기준으로 하면,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 일측(도면상 우측)에 2대의 사료저장호퍼(5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사료저장호퍼(51)와 연결된 사료투입관(52)으로부터 전,후방측(도면상 좌,우측) 방향으로 한 쌍의 사료분배관(54)이 연장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하나의 사료투입호퍼(51)를 설치한 상태에서, 이 사료투입호퍼(51)의 사료투입관(52)으로부터 4개 또는 그 이상의 사료분배관(54)이 사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사료투입관(52)으로부터 배출된 사료의 송풍식 압송을 위하여 상기 사료분배관(54)에 송풍기(55)를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송풍기(55)는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하단측 송풍출구(55a) 부분이 사료분배관(54)과 연결 설치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사료저장호퍼(51)에 교반모터(58)와 연결된 사료교반기(57)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의 격실(35)로 압축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한 각각의 분기라인(34)과, 상기 격실(35)마다의 공압밸브(PV)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개폐라인(33a)은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밸브실(23)로부터 연장되는 라인파이프(39) 및 컨트롤하우스(20)의 지지를 위한 중앙측 지주프레임(6)과 가로보프레임(6a)의 내부를 따라 가두리장치(100)의 바닥부 및 좌,우 상측부까지 각각 연장되도록 한 다음, 해당 위치에서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제공된 각각의 격실(35)과 해당 격실(35)에 설치된 공압밸브(PV)측으로 분산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적용하게 되면, 각각의 분기라인(34)과 개폐라인(33a)을 라인파이프(39)와 지주프레임(6) 및 가로보프레임(6a)의 내부에 집적화시켜 배관라인의 설치작업을 보다 더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밸브실(23)을 거쳐 연장되는 각각의 분기라인(34)과 개폐라인(33a)을 가두리프레임(1)의 메인프레임(2)을 따라 분산 배치시키는 방식이나, 각각의 분기라인(34)과 개폐라인(33a)을 가두리그물(10)의 내측에 분산 배치시키는 것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의 배치방식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킬 경우 상기 컨트롤하우스(20)도 수중에 잠기게 되므로, 가두리장치(100)용 운용기구에 대한 방수설계 역시 고려되어야 하며,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는 컨트롤하우스(20)의 도어(20a) 자체를 방수도어로 설치하는 것이고, 다른 방식으로는 기계실(22)과 밸브실(23)과 전력공급실(26)과 제어실(27) 및 사료저장실(25)을 방수구역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운용기구를 이루는 각각의 부품 중에서 방수처리가 요구되는 부품마다 개별적으로 방수처리를 수행하거나, 해수중에서 사용이 가능한 제품을 적용하는 것인 바, 예를 들어 상기 자동급이기(50)의 경우는 송풍기(55)와 교반모터(58) 및 사료투입밸브(53)에만 방수처리를 한 상태에서,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이전에 사료저장호퍼(51) 내부의 사료를 모두 투입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의 방수설계가 고려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운용기구를 이용하여 가두리장치(100)를 현장에서 제어토록 하는 것과 함께, 해당 운용기구를 육상이나 해상(선박)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통신기구의 무선라우터(62)를 컨트롤하우스(20)의 제어기구와 접속시켜 가두리장치(100)용 통신 및 제어시스템(60)을 일차적으로 구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16에서와 같이 가두리장치(100)에 구축된 상기 통신 및 제어시스템(60)이 인공위성(Satellite)을 통한 중계방식이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등을 통하여 내륙의 육상제어시스템(60a) 및/또는 선박의 해상제어시스템(60b)과 연계되도록 하며, 가두리장치(100)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데이터는 각각의 제어시스템(60)(60a)(60b)에 사용되는 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에 백업(Back-up) 저장하여 이후의 보완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발전기(64) 및 배터리(64a)용 전력량계(64b)와, 마그네틱 콤파스(67)와, 수온과 수심 등을 측정하는 센서기구(S1)(S2)와, 가두리프레임(1)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9)가 포함된 입력수단을 제어기구에 추가로 제공함으로서, 해당 입력수단 및 통신기구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바탕으로 제어기구의 메인컴퓨터(65) 및 PLC(66)에 의한 가두리장치(100)의 원격제어 뿐만 아니라 육상 및/또는 해상(선박)에서의 원격모니터링까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그네틱 콤파스(Magnetic compass)(67)는 선박의 항해에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가두리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방위각 등을 기초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기 센서기구(S1)(S2)는 수심센서(S1)와 수온센서(S2)로 하여 수중카메라(9)와 함께 침하부상탱크(30)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제어용 케이블라인에 의하여 PLC(66)와 접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심센서(S1)와 수온센서(S2) 이외의 다른 센서기구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PLC(66)에 의한 침하부상기구용 에어컴프레셔(31)와 전자밸브(SV)의 작동제어 및 자동급이기(50)용 사료투입밸브(53)와 송풍기(55) 및 교반모터(58)의 작동제어는 발전기(64) 또는 배터리(64a)와 전력공급용 케이블라인으로 연결된 별도의 스위치박스(66a)를 통하여 ON(전력공급)/OFF(전력차단)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5에서 마그네틱 콤파스(67)와 함께 제어실(27)에 설치된 것은 가두리장치(100)의 침하시점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경보기(알람)(69)로서 이 또한 PLC(66)의 제어범위에 포함되며, 마그네틱 콤파스(67)와 경보기(69)는 통신안테나(21)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발전기(64)는 가두리장치(100)의 운용 과정에서 수시로 작동하여 필요한 전력을 생산토록 하고, 상기 배터리(64a)는 발전기(64)로부터 생산된 예비전력을 저장하여 놓았다가 발전기(64)의 고장이나 오작동시 해당 예비전력으로 가두리장치(100)를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하며, 발전기(64)로부터 생산된 전력은 전력량계(64b)로 측정하여 발전기(64)의 고장과 같은 비상상황시 PLC(66)에 의한 최소전력 소비조건으로 가두리장치(100)의 운용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사항으로, 도 15 및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통신안테나(21)에 야간점멸등(63)과 GPS(68)를 설치함으로서, 가두리장치(100)가 침하된 위치를 육상 및 해상(선박)에서 GPS(68)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하고, 가두리장치(100)가 계류부표(40)와 분리되어 표류하는 상황에서도 가두리장치(100)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야간에 가두리장치(100)가 설치된 수역을 운항하는 선박에게 가두리장치(100)의 위치를 알림으로서 선박의 안전한 운전을 보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야간점멸등(63)은 발전기(64) 또는 배터리(64a)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및 PLC(66)의 제어를 통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통신안테나(21)의 내부에 별도의 배터리와 제어회로를 장착시켜 작동시킬 수도 있으며, 통신안테나(21)는 도 17에서와 같이 안테나바디(29)와 안테나커버(28)로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제작한 다음, 안테나바디(29)의 내부에 야간점멸등(63)과 통신모뎀(61)과 무선라우터(62) 및 GPS(68) 등을 장착시킨 상태에서, 해당 부품들을 안테나커버(28)로 덮어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안테나커버(28)에는 안테나바디(29)와의 분해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손잡이(28a)가 제공되어 있으며, 안테나바디(29)와 안테나커버(28)간의 분해조립 방식은 나사체결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야간점멸등(63)으로부터 발생하는 조명이 외부로 원활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상기 안테나커버(28)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소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17에서 도면부호 21c로 표시된 것은 안테나지주(21a)용 지지로프(21b)의 연결과 결속을 위한 로프행거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두리장치(100)용 가두리프레임(1)을 잠수함 형태의 골조구조물로 제작하고 이를 기초로 가두리그물(10)을 설치하는 한편, 가두리프레임(1)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고깔 형태의 수류분산판(8)을 설치함으로서, 각종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장치(100)를 해상에서 요구하는 수역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최적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가두리장치(100)의 전방난간통로(13)에 설치된 계류포스트(41)로부터 계류로프(40a)를 풀어냄에 따라, 가두리장치(100)를 계류부표(40)와 일차적으로 분리시키는 한편, 선박의 후미에 연결된 예인로프를 계류포스트(41)에 결속시킨 다음, 해당 선박을 운항시키는 방식으로 하여 가두리장치(100)를 해상에서 선박으로 손쉽게 예인 및 이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선박을 이용하여 가두리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력저항을 상기 수류분산판(8)이 가두리장치(100)의 외측 방향으로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수력저항으로 인한 가두리그물(10)의 과도한 변형 및 가두리그물(10)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양식어류의 스트레스와 폐사 및 양식어류의 탈출 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두리장치(100)의 손쉽고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양식어류의 투입이나 성어의 출하 작업을 항구와 인접한 연안해역에서 최적의 조건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기상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러한 작업을 내항에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해당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경비를 최대한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가두리장치(100)가 설치된 수역에 적조가 발생할 경우,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키는 소극적이고 비경제적인 작업에만 의존하지 않고, 적조가 발생하지 아니한 수역으로 가두리 자체를 이동시키는 적극적이고 경제적인 대응 방식으로 양식어류를 보다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태풍과 같은 비상상황에 한하여 가두리장치(100)를 수중으로 침하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가두리그물(10)의 내부공간을 메인양식공간(10a)과 상부양식공간(10b) 및 하부양식공간(10c)에 걸쳐 합리적으로 구획시킴으로서, 하나의 가두리장치(100)로 다양한 어종의 복합적인 입체양식이 가능하게 되고, 외부그물(16)과 내부그물(17)의 이중망 구조를 적용하여 양식공간을 제공하는 내부그물(17)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가두리프레임(1)의 상단측에 각종 운용기구 및 이들의 제어기구가 내장된 컨트롤하우스(20)를 통신안테나(21)와 함께 설치함으로서, 현장제어 및 원격제어 방식을 병용하여 가두리장치(100)의 운용을 한층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유사시 외부접속기(38) 또는 수동밸브(V2)를 이용한 가두리장치(100)의 침하부상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유사시의 대응능력 역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가두리프레임(1)의 바닥부 양측 및 좌,우 상측부에 설치된 침하부상탱크(30)와 밸런스탱크(30')의 내부공간을 다수 개의 격실(35)로 구획시키는 한편, 각각의 격실(35)을 통한 해수 또는 압축공기의 교차주입 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및 부상 작업시 가두리장치(100)가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양식어류의 스트레스나 상해를 최소화시키고 양식어류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측면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동급이기(50)에 의한 사료의 공급을 송풍 압송 방식으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수행토록 하고, 통신안테나(21)의 야간점멸등(63)과 GPS(68)를 이용하여 가두리장치(100)가 침하된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토록 하는 동시에, 가두리장치(100)가 계류부표(40)와 분리되어 표류하는 상황에서도 가두리장치(100)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가두리장치(100)가 설치된 수역을 야간에 운항하는 선박의 안전 또한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15를 기초로 하여 설명되어진 통신 및 제어시스템(60)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대표적인 일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가두리장치(100)용 통신 및 제어시스템(60)이 구축될 수 있고, 컨트롤하우스(20)에 설치되는 가두리장치(100)용 운용기구의 종류나 배치상태 역시 도면에 도시된 종류나 배치상태로 한정되지 아니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다시 말해서,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위에서 설명되어진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한 최적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기초로 평가 및 해석되어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추가적인 사항으로서, 수심이 20m 내외로 비교적 낮게 되는 수역의 경우에는, 도 18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가두리장치(100)를 해저면에 안착시킨 상태로 하여 고정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며, 이 경우 상기 계류로프(40a)는 가두리프레임(1)의 선단부 및 후단부상에 각각 결속시킨 상태에서 해저면의 앵커(44)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가두리프레임 2 : 메인프레임 3 : 측면프레임
3a,4a,5a : 단부프레임 4 : 상단프레임 5 : 하단프레임
6 : 지주프레임 6a : 가로보프레임 7 : 보강프레임
8 : 수류분산판 8a : 난간지지대 9 : 수중카메라
10 : 가두리그물 10a : 메인양식공간 10b : 상부양식공간
10c : 하부양식공간 11 : 측면접안덱크 12 : 보조접안덱크
12a : 덱크부이 12b : 힌지결합부 13 : 전방난간통로
14 : 후방난간통로 15 : 측면난간통로 16 : 외부그물
17 : 내부그물 17a : 힘줄 18 : 클램프
19 : 이음줄 19a : 결속부 20 : 컨트롤하우스
20a : 도어 21 : 통신안테나 21a : 안테나지주
21b : 지지로프 21c : 로프행거 22 : 기계실
23 : 밸브실 24 : 외부작업실 24a : 출입구
25 : 사료저장실 26 : 전력공급실 27 : 제어실
28 : 안테나커버 28a : 손잡이 29 : 안테나바디
30 : 침하부상탱크 30' : 밸런스탱크 30a : 탱크브라켓
31 : 에어컴프레셔 31a : 토출라인 32 : 축압탱크
32a : 과압배출라인 32b : 드레인배관 33 : 주입라인
33a : 개폐라인 33b : 배기라인 34 : 분기라인
35 : 격실 35a : 칸막이판 36 : 바이패스라인
37 : 외부주입호스 37a : 외부주입라인 38 : 외부접속기
38a : 호스커넥터 38b : 케이블커넥터 39 : 라인파이프
40 : 계류부표 40a : 계류로프 41 : 계류포스트
42 : 앵커체인 43 : 와이어로프 43a : 연결고리
44 : 앵커 45 : 앵커쉐클 50 : 자동급이기
51 : 사료저장호퍼 52 : 사료투입관 53 : 사료투입밸브
54 : 사료분배관 55 : 송풍기 55a : 송풍출구
56 : 사료투입구 57 : 사료교반기 58 : 교반모터
60 : 통신 및 제어시스템 60a : 육상제어시스템 60b : 해상제어시스템
61 : 통신모뎀 62 : 무선라우터 63 : 야간점멸등
64 : 발전기 64a : 배터리 64b : 전력량계
65 : 메인컴퓨터 66 : PLC 66a : 스위치박스
67 : 마그네틱 콤파스 68 : GPS 69 : 경보기
100 : 가두리장치 V1 : 체크밸브 V2 : 수동밸브
SV : 전자밸브 PV : 공압밸브 RV : 릴리프밸브
S1,S2 : 센서기구 C : 케이블

Claims (19)

  1. 골조 형상의 가두리프레임(1)을 기초로 하여 양식공간을 구획하는 가두리그물(10)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두리프레임(1)에는 공기와 해수의 선택적 주입에 따른 침하부상수단이 설치된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프레임(1)은, 가두리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오각형 형태의 메인프레임(2)과, 상기 각각의 메인프레임(2)을 길이 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상단프레임(4)과 하단프레임(5)과 측면프레임(3)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침하부상수단은 가두리장치(100)의 길이 방향에 걸쳐 메인프레임(2)의 하단 양측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침하부상탱크(30)가 되고, 상기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에는 가두리장치(100)의 부상을 위한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가두리장치(100)의 침하를 위한 해수주입용 밸브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상단프레임(4)과 하단프레임(5)과 측면프레임(3)의 단부측은 가두리장치(100)의 전,후방측에서 고깔 형태로 모여서 연결되는 단부프레임(3a)(4a)(5a)을 형성하고, 상기 침하부상탱크(30)의 단부측에 해당하는 메인프레임(2)으로부터 보강프레임(7)이 연장되어 각각의 단부프레임(3a)(4a)(5a)과 함께 고깔 형태로 모여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단부프레임(3a)(4a)(5a)과 보강프레임(7)이 제공하는 고깔 형태의 프레임 연결부 외측면에는 고깔 형상의 수류분산판(8)이 설치되고, 상기 가두리프레임(1)의 좌,우 상측부에는 가두리장치(100)의 전도(轉倒) 방지를 위한 한 쌍의 밸런스탱크(30')가 측면프레임(3)을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밸런스탱크(30')는 침하부상탱크(30)와 함께 가두리장치(100)의 침하 또는 부상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며,
    상기 각각의 밸런스탱크(30')에는 가두리장치(100)의 부상을 위한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이 연결 설치되는 한편, 가두리장치(100)의 침하를 위한 해수주입용 밸브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그물(10)에 의하여 구획되는 양식공간은, 메인프레임(2)의 좌,우측 프레임과 바닥측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사각 형상의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되는 메인양식공간(10a)과, 메인프레임(2)의 상부측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삼각 형상의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되는 상부양식공간(10b)을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양식공간(10b)은 메인프레임(2)의 상부측 프레임이 제공하는 삼각 형상의 공간 내부에서 다수 개의 원형 또는 타원형 그물공간으로 구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그물(10)은, 가두리프레임(1)과 연결 설치되는 외부그물(16)과, 상기 외부그물(16)의 내측에서 외부그물(16)과 연결 설치되는 내부그물(17)의 이중망 구조가 되고, 상기 양식공간은 내부그물(17)에 의하여 구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프레임(1)의 상단프레임(4) 중앙부측에는 가두리장치(100)의 운용기구가 내장된 컨트롤하우스(20)가 설치되고, 상기 컨트롤하우스(20)에는 작업자의 출입을 위한 도어(20a)가 설치되며,
    상기 가두리프레임(1)의 상측부에는 선박용 접안덱크가 설치되고, 상기 접안덱크와 컨트롤하우스(20)의 사이에는 작업자의 이동을 위한 난간통로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하우스(20)의 바닥측과 가두리프레임(1)의 하단프레임(5) 사이에는 컨트롤하우스(20)의 지지를 위한 다수 개의 지주프레임(6)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측면프레임(3)의 사이에는 각각의 지주프레임(6)과 연결되는 가로보프레임(6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접안덱크는 가두리프레임(1)의 측면프레임(3)을 기초로 하여 가두리장치(100)의 좌,우 상측부에 설치되는 측면접안덱크(11)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고, 상기 난간통로는 컨트롤하우스(20)와 측면접안덱크(11)를 연결하는 측면난간통로(15)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밸런스탱크(30')는 측면접안덱크(11)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분산판(8)의 상부면에는 난간지지대(8a)가 설치되고, 상기 난간지지대(8a)와 컨트롤하우스(20)의 사이에 걸쳐 전방난간통로(13)와 후방난간통로(14)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전방난간통로(13)의 선단측에는 가두리장치(100)를 계류부표(40)와 연결시키기 위한 계류로프(40a) 결속용 계류포스트(41)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난간통로(14)의 후단측에는 선박용 보조접안덱크(12)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보조접안덱크(12)는 후방난간통로(14)와 힌지식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상기 보조접안덱크(12)의 후단부 하측면에는 덱크부이(12a)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부표(40)는 앵커체인(42)과 와이어로프(43)에 의하여 해저면의 앵커(44)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계류부표(40)와 앵커체인(42)과 와이어로프(43)의 연결부에는 앵커쉐클(4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두리장치(100)의 운용기구는, 발전기(64)와 배터리(64a)가 포함된 전력공급기구, 에어컴프레셔(31)로부터 연장되는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에 의하여 침하부상탱크(30)와 연결되는 압축공기 주입기구,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과 압축공기 주입기구에 설치되는 밸브기구, 사료의 자동급이기(50) 및 이들의 제어를 위한 메인컴퓨터(65)와 PLC(66)를 포함하는 제어기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트롤하우스(20)의 상부측에는 소정의 높이로 안테나지주(21a)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안테나지주(21a)의 상단에 통신안테나(21)가 설치되고, 상기 통신안테나(21)에는 통신모뎀(61)과 무선라우터(62)를 포함하는 통신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통신기구의 무선라우터(62)를 컨트롤하우스(20)의 제어기구와 접속시켜 통신 및 제어시스템(60)을 구축하고, 상기 통신 및 제어시스템(60)을 내륙의 육상제어시스템(60a)이나 선박의 해상제어시스템(60b)과 연계시켜 가두리장치(100)용 운용기구의 원격모니터링과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주입기구는, 에어컴프레셔(31)와, 상기 에어컴프레셔(31)로부터 체크밸브(V1)를 구비하는 상태로 연장되는 토출라인(31a)과, 상기 토출라인(31a)에 의하여 에어컴프레셔(31)와 연결되는 축압탱크(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압축공기 주입용 배관라인은, 축압탱크(32)로부터 체크밸브(V1)와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상태로 연장되는 주입라인(33)과, 상기 주입라인(33)으로부터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상태로 분기되는 분기라인(3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기라인(34)이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체크밸브(V1)와 전자밸브(SV)의 사이에 해당하는 주입라인(33)으로부터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개폐라인(33a)이 연장되어 해수주입용 밸브기구로서의 공압밸브(PV)와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전자밸브(SV)를 지난 위치에 해당하는 주입라인(33)에는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배기라인(33b)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축압탱크(32)에는 릴리프밸브(RV)를 구비하는 과압배출라인(32a)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지주(21a)의 상단측에는 외부접속기(38)로서의 호스커넥터(38a)가 설치되고, 상기 호스커넥터(38a)로부터 안테나지주(21a)의 내측을 따라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까지 외부주입호스(37)가 연장 설치되며,
    상기 외부주입호스(37)에는 체크밸브(V1)를 구비하는 외부주입라인(37a)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외부주입라인(37a)이 축압탱크(32)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라인(34)은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와 병렬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개폐라인(33a)은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 및 밸런스탱크(30')에 구비된 공압밸브(PV)와 병렬식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침하부상탱크(30)와 밸런스탱크(30')의 내부공간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칸막이판(35a)에 의하여 다수 개의 격실(35)로 구획되고, 상기 각각의 격실(35)마다 공압밸브(PV)가 설치되며,
    상기 분기라인(34)은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상태로 침하부상탱크(30)와 밸런스탱크(30')를 이루는 각각의 격실(35)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라인(33a)은 전자밸브(SV)를 구비하는 상태로 침하부상탱크(30)와 밸런스탱크(30')를 이루는 각 격실(35)마다의 공압밸브(PV)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라인(33)과 분기라인(34)과 개폐라인(33a)과 배기라인(33b)에 설치된 각각의 전자밸브(SV)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수동밸브(V2)를 구비하는 바이패스라인(36)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수동밸브(V2)는 컨트롤하우스(20)의 외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안테나지주(21a)의 상단측 외부접속기(38)에는 전자밸브(SV)의 외부제어를 위한 케이블커넥터(38b)가 제공되고, 상기 케이블커넥터(38b)는 안테나지주(21a)의 내측을 따라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로 연장되는 케이블(C)에 의하여 각각의 전자밸브(SV)와 접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구에는, 발전기(64) 및 배터리(64a)용 전력량계(64b)와, 마그네틱 콤파스(67)와, 수온과 수심을 측정하는 센서기구(S1)(S2)와, 가두리프레임(1)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중카메라(9)가 포함된 입력수단이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제어기구의 메인컴퓨터(65)와 PLC(66)는 해당 입력수단과 통신기구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바탕으로 가두리장치(100)용 운용기구를 제어토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안테나(21)에는 야간점멸등(63)과 GPS(68)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급이기(50)는, 사료저장호퍼(51)와, 상기 사료저장호퍼(51)의 하단측에 설치되는 사료투입관(52)과, 상기 사료투입관(52)에 설치되는 사료투입밸브(53)와, 상기 사료투입관(52)의 하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컨트롤하우스(20)의 하측면을 따라 분산 배치되는 사료분배관(54)과, 상기 각각의 사료분배관(54) 단부측에 설치되는 사료투입구(56)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분배관(54)에는 사료압송용 송풍기(55)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55)는 컨트롤하우스(2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하단측 송풍출구(55a) 부분이 사료분배관(54)과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저장호퍼(51)에는 교반모터(58)와 연결된 사료교반기(57)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KR1020130117773A 2013-10-02 2013-10-02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KR10144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73A KR101448808B1 (ko) 2013-10-02 2013-10-02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73A KR101448808B1 (ko) 2013-10-02 2013-10-02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808B1 true KR101448808B1 (ko) 2014-10-14

Family

ID=5199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73A KR101448808B1 (ko) 2013-10-02 2013-10-02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808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9664A (zh) * 2015-12-04 2016-03-09 山东省长城护栏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箱
KR20180005077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아이언에스 상어 퇴치장치
KR20180122000A (ko) * 2016-03-16 2018-11-09 노먼 보일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KR20190079345A (ko) 2017-12-27 2019-07-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동식 양식장 및 양식장 이동시스템
CN110326570A (zh) * 2019-08-08 2019-10-15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利用通气加压实现多层养殖的船载养殖系统
KR20210054808A (ko) * 2019-11-06 2021-05-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지주를 활용한 4차산업혁명 해상주거관광생태통합 사물인터넷, 무인 로봇 양식장
CN112841102A (zh) * 2021-02-06 2021-05-28 李敬荣 一种适用于金枪鱼养殖网箱
KR20220010791A (ko) 2020-07-20 2022-01-27 김송이 그물
CN115211395A (zh) * 2022-08-15 2022-10-21 福州大学 一种网中网海域养殖投喂和捕获装置及其工作方法
CN115892399A (zh) * 2022-11-16 2023-04-0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智能鱼卵采集与早期资源量监测估算装置
KR102623483B1 (ko) * 2023-07-05 2024-01-09 송재영 패류 양식망 이물질 제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870A (ko) * 1999-12-17 2001-07-04 두혁 선박을 이용한 어류 축양법 및 그 어류 축양장
KR100925403B1 (ko) 2009-03-31 2009-11-09 김동주 부침식 수중 가두리 장치
KR100973512B1 (ko) 2008-03-10 2010-08-0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이동이 가능한 외해 가두리 구조물
KR101185861B1 (ko) 2011-09-28 2012-09-27 대한민국 중심부력제어에 의한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870A (ko) * 1999-12-17 2001-07-04 두혁 선박을 이용한 어류 축양법 및 그 어류 축양장
KR100973512B1 (ko) 2008-03-10 2010-08-0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중 이동이 가능한 외해 가두리 구조물
KR100925403B1 (ko) 2009-03-31 2009-11-09 김동주 부침식 수중 가두리 장치
KR101185861B1 (ko) 2011-09-28 2012-09-27 대한민국 중심부력제어에 의한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9664A (zh) * 2015-12-04 2016-03-09 山东省长城护栏有限公司 一种水产养殖箱
KR102502935B1 (ko) * 2016-03-16 2023-02-24 노먼 보일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KR20180122000A (ko) * 2016-03-16 2018-11-09 노먼 보일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KR20180005077A (ko) * 2016-07-05 2018-01-15 주식회사 아이언에스 상어 퇴치장치
KR102117839B1 (ko) * 2016-07-05 2020-06-02 주식회사 아이언에스 상어 퇴치장치
KR20190079345A (ko) 2017-12-27 2019-07-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동식 양식장 및 양식장 이동시스템
KR102124538B1 (ko) 2017-12-27 2020-06-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동식 양식장 및 양식장 이동시스템
CN110326570A (zh) * 2019-08-08 2019-10-15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利用通气加压实现多层养殖的船载养殖系统
KR102374823B1 (ko) * 2019-11-06 2022-03-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지주를 활용한 4차산업혁명 해상주거관광생태통합 사물인터넷, 무인 로봇 양식장
KR20210054808A (ko) * 2019-11-06 2021-05-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상지주를 활용한 4차산업혁명 해상주거관광생태통합 사물인터넷, 무인 로봇 양식장
KR20220010791A (ko) 2020-07-20 2022-01-27 김송이 그물
CN112841102A (zh) * 2021-02-06 2021-05-28 李敬荣 一种适用于金枪鱼养殖网箱
CN115211395A (zh) * 2022-08-15 2022-10-21 福州大学 一种网中网海域养殖投喂和捕获装置及其工作方法
CN115211395B (zh) * 2022-08-15 2024-03-08 福州大学 一种网中网海域养殖投喂和捕获装置及其工作方法
CN115892399A (zh) * 2022-11-16 2023-04-04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智能鱼卵采集与早期资源量监测估算装置
CN115892399B (zh) * 2022-11-16 2023-08-11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一种智能鱼卵采集与早期资源量监测估算装置
KR102623483B1 (ko) * 2023-07-05 2024-01-09 송재영 패류 양식망 이물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808B1 (ko)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KR101493972B1 (ko) 균형성과 작업성을 개선시킨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KR101185861B1 (ko) 중심부력제어에 의한 침하부상식 가두리장치
CN110167343B (zh) 使用浮动封闭受控式养殖和合并设施进行离岸和靠岸水产养殖的系统和方法
US20190059339A1 (en) Semi-submersible fish farming system
EP2787806B1 (en) Floating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 buoyancy system
JP2016059381A (ja) 水上生簀用耐圧調整式水中上向飼料供給装置
EP3462851B1 (en) Submersible feeding, control and command platform
WO2006021010A1 (en) Marine cage for pelagic fishing
NO165783B (no) Fiskeinnhegning for fiskeoppdrett.
KR101444134B1 (ko) 수상가두리용 수중 상향식 사료공급장치
JPH05103560A (ja) 潜降浮上型海洋構造物
WO2023167596A1 (en) Fish farming systems
KR101493917B1 (ko) 기능 복합형 해상풍력발전 시설물
WO2007125363A1 (en) Fish enclosure
KR101502951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
WO2005105568A1 (ja)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US20070251439A1 (en) Watercraft lock
RU8209U1 (ru) Подводное сад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варианты)
RU123864U1 (ru) Понтонная насосная станция
JPH08228634A (ja) 養殖用タイヤ型浮沈式生け簀
WO2023149805A1 (en) Submerged enclosures for fish
JPH042680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