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000A -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000A
KR20180122000A KR1020187029832A KR20187029832A KR20180122000A KR 20180122000 A KR20180122000 A KR 20180122000A KR 1020187029832 A KR1020187029832 A KR 1020187029832A KR 20187029832 A KR20187029832 A KR 20187029832A KR 20180122000 A KR20180122000 A KR 20180122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balone
water
food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935B1 (ko
Inventor
노먼 보일
Original Assignee
노먼 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6900972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6900972A0/en
Application filed by 노먼 보일 filed Critical 노먼 보일
Publication of KR20180122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01K61/53Bas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및 바다 환경 모두에서 전복을 양식하는 장치 및 방법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와, 긴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수직 벽을 포함하는 가늘고 긴 베이스를 포함하는 신장형 전복 탱크에 있어서, 물의 흐름을 전달하기 위한 물 배출기에 연결된 복수의 채널과, 각각의 채널 및 배수구를 포함하며, 복수의 탱크는 어레이로 배열된다. 전복을 수용하기 위한 내면을 포함하는 외장형 잠수정 컨테이너, 전복을 수용하기 위한 내면을 포함하는 외장, 상기 컨테이너(용기)가 잠수할 때 상기 외장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허용되지만 상기 전복을 통과시키지 못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 및 하나 이상의 공급 분배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분배기는 전복 피드용 리셉터클과 각각의 공급 포트에서 수령하도록 구성된 마우스 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해안(on-shore) 및 해안에서 비교적 떨어진 곳(off-shore, 바다)의 환경 모두에서 전복을 양식하는 장치 및 방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전복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전복은 매우 귀중한 식량자원이 되고 있다. 이같은 지속적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전복 양식장을 설치해서 줄어드는 야생 전복의 공급량을 보충해오고 있다. 비록 현재 일부 최종 성장을 위한 바다 양식장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전복 양식장은 육상에만 기반을 두고 있다.
기존의 전복 양식장에서, 산란 후에 전복 유생은 전형적으로 해조류(algae)가 성장한 플라스틱 판의 표면 위에 정착한다. 다음에, 플레이트를 랙에서 이격시켜 약 5-6 개월 동안 또는 약 10㎜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탱크 안에서 서식한다. 플레이트 위에서 해조류의 성장과 전복의 성장을 균형 맞추기 위해, 햇빛에 대한 노출 같은 요인들(factors)을 신중하게 제어한다. 어린 전복은 다음에 소위 "슬랩 탱크들(Slab tanks)"로 옮겨져, 고품질의 바닷물이 계속해서 흐르는 얕은 탱크에서 성장하게 된다. 여러 생산 단계 동안 특별하게 만들어진 제조 사료를 전복에 공급하며, 슬랩 탱크에서 처음 5-7 개월 동안, 크기가 약 10㎜에서 약 25㎜까지 자란다. 최종적으로, 산란 후 약 3 년이 되면, 직경이 약 90㎜ 으로 자라난 전복은 시장에 팔 준비를 하며, 처리를 위해 슬랩 탱크에서 꺼낸다.
기존의 전복 양식장은 건물, 탱크, 펌핑 시스템 등과 같은 대규모 기반시설을 필요로 하므로, 운영 비용이 상당히 비싸다. 실제로, 지역에서 약 200 톤의 전복을 양식하는데 드는 비용은 현재의 전기 요금으로 100 만 호주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게다가, 전복을 시장성 있는 크기로 양식하려면 3년 정도 소요되며, 현재는 거의 모든 기간 동안 대규모 탱크 기반시설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전복 양식장은 전형적으로, 연간 약 200 톤의 생산 한계에 직면해 있으며, 따라서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전복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통적인 전복 양식장을 확장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필요한 대형 콘크리트 탱크와, 그의 관련 급수 및 배수 시스템을 건설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소요되며, 불균일하거나 불안정한 지면, 기존 건물 또는 (콘크리트 주입을 방해할 수 있는) 기반시설 같은 요인들에 의해 종종 구조가 복잡해진다. 게다가, 급수 및 배수 시스템은 작동이 복잡할 수 있으며, 오작동을 일으키기 쉽다.
전복 양식을 마무리 짓는 바다 양식장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양식장에서는, 일단 전복이 해안에서 특정 크기 (전형적으로 약 50㎜) 이상으로 성장하면, 이들을 수용하는 바다 양식 시설, 예를 들어 부구(float)에 매달린 그물(전형적으로, 그물은 원형의 부구에 매달려 있다)로 전복을 옮긴다. 그물 안에는 다수의 구조물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는 전복에게 은신처 및 전복이 서식할 수 있는 (그물 위에서는 전복이 서식할 수 없다) 표면을 제공한다.
이러한 바다 양식장은 전술한 해안 양식장보다 기반시설 의존성이 적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예를 들어, 전복 사료는 인클로저(enclosure) 내로 살포되며, 물기둥을 통해 낙하되어 은신처의 표면에 가라앉아 전복이 먹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사료의 상당 부분은 단순히 그물을 통과해 떨어져서 전복까지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생산 비용이 증가되거나 전복의 성장률이 감소된다. 또한, 물기둥 내의 모우먼트로 인해, 전복이 사료를 먹을 수 있기 전에 은신처에 가라앉은 사료가 쓸려 나갈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포식자가 그물을 통과하여 양식 중인 전복을 잡아먹을 수 있는 위험성이 항상 존재한다.
또한, 바다 전복 양식장은 전형적으로 폭풍이나 파도가 거친 동안에 손상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해저에 합리적이고 안전하게 고정해야 한다. 물속에서는 양식장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양식장 아래의 해저에서 받는 햇빛의 양이 줄어들거나, 양식장 주변을 전복이 먹을 수 없는 사료로 오염시키는 등의 환경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별히 설계된 잠수식 전복이 들어 있는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바다 양식장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컨테이너에서는 먹이 공급과 전복의 정기적인 검사가 힘들며, 대개는 잠수부 및/또는 기타 특수 장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복 양식의 생산성이 증가되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전복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을 개선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공정을 훨씬 더 단순화시키고, 탱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구성 요소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료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보다 일관되게 사료를 전달할 수 있는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 1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복 양식용 탱크를 제공한다. 탱크는 가늘고 긴 베이스를 포함하고, 이 가늘고 긴 베이스는 그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물의 흐름을 수용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채널을 규정하는 직립벽을 포함한다.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는 함께 밀봉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조립식 베이스부로 전복 양식용 탱크 (가령, 슬랩 탱크)를 구성하는 것은 선행 기술 공정에 비해 건설 공정을 상당히 단순화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식 탱크는 (예를 들어) 다량의 콘크리트 주입과 전통적으로 관련된 많은 준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 기반시설(가령, 창고 및 기타 슬랩 탱크) 주변에서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조립식 베이스부를 현장까지 운반할 수 있다. 게다가, 블록 성형된 부분은 외부에서 그리고 현장에서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잘 제어된 환경에서 제조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당히 높고 일관된 품질을 지녀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립 공정을 훨씬 더 단순화시키고, 탱크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여러 구성 요소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2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양태의 탱크에서 사용되는 조립식 베이스부를 제공한다.
제 3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 1양태에 따른 다수의 탱크를 포함하는 탱크 시스템을 제공하며, 다수의 탱크는 어레이로 배열된다.
제 3양태의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 시스템은 하나의 탱크의 선단이 다른 탱크의 선단에 인접하여 위치된 상태에서 (즉, "머리를 맞댄 배열에서"), 가늘고 긴 베이스의 종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2개의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시스템은, 탱크의 인접한 선단의 가늘고 긴 베이스들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될 수 있고, 탱크의 채널 내로 물의 흐름을 전달하거나 탱크 채널의 말단으로 전달된 물을 배출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중앙 홈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탱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기반시설 (가령, 물 배관 및 펌핑 장치)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탱크 시스템의 복잡성 및 (작동 및 설치 모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 시스템은, 일부 실시예에서 그 위에 물받이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중앙 홈통 상부에 승강식 플랫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 용기는 파도가 전복의 자연 환경에서 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채널(들)을 깨끗이 세척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채널에 워터 서지(water surge)를 전달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받이 용기는 승강식 플랫폼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여, 탱크 시스템의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과 정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물받이 용기는 선택된 채널(들)에 워터 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탱크 쪽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물받이 용기는 탱크 시스템의 모든 채널을 점진적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깨끗이 세척하기 위해 쉽게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피봇될 수 있다.
탱크는 일부 실시예에서, 각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고, 채널 내로 사료를 살포하는 전복 먹이공급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먹이공급 장치는, 예를 들어 직립벽 위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탱크는 일부 실시예에서, 이중 급수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단기간이라도) 급수원의 고장은 전복의 대량 폐사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물의 흐름을 수용하기 위해 그 사이에 채널을 규정하는 직립벽을 구비하는 가늘고 긴 베이스를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탱크 또는 탱크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탱크 또는 탱크 시스템은:
함께 밀봉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와;
인접한 가늘고 긴 베이스의 선단들 사이에 배치되어 밀봉 연결되고, 각 채널 내로 물의 흐름을 전달하거나 인접한 가늘고 긴 베이스의 말단에서 각 채널로 배출된 물을 전달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중앙 홈통과;
워터 서지를 하나 이상의 채널 내로 전달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물받이 용기를 그 위에 수용하는 승강식 플랫폼과;
각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여 사료를 채널 내로 살포하는 전복 먹이공급 장치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제 4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이 컨테이너는 전복용 인클로저를 규정하는 컨테이너 벽을 포함하고, 인클로저는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내부면을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또한, 컨테이너가 잠수할 때 물이 인클로저를 통해 흐르도록 하지만, 전복은 인클로저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도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또한, 컨테이너 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먹이공급 포트 및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를 포함한다. 각 먹이 분배기는 전복 먹이공급용 용기, 및 각 먹이공급 포트에 수용되는 마우스 부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는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가 부구 또는 주낙에 매달려 있는 것과 같은 바다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자연스러운 물의 이동은 컨테이너를 통한 물의 흐름을 유발하며, 이는 슬랩 탱크 및 일정한 물 펌핑 같은 해안 양식 시설의 모든 요구 조건 없이, 과산화 수소수의 일정한 공급원으로 내부면에 살고 있는 전복에 제공된다.
게다가, 잠수식 컨테이너가 먹이 분배기를 구비하는 경우, 컨테이너의 전복 검사와 검사 간의 기간을 유리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양식하는 전복을 항상 정기적으로 검사해야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서 검사와 검사 간의 기간은 (가령, 한 달만큼) 연장시킬 수 있다. 이것은 매주마다 물에서 회수하여 전복의 먹이를 보충해야 하거나, 전복의 먹이를 보트에서 컨테이너 내로 펌핑할 수 있는 호스를 결합하는 작업이 잠수부에게 필요한 기존의 일부 잠수식 컨테이너와 비교하여 상당한 개선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는 미리 결정된 시간에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는 2 개 이상의 먹이 분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먹이 분배기는 상이한 시간 (가령, 상이한 미리 결정된 시간)에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사료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보다 일관되게 사료를 전달할 수 있어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클로저는 그 안에 부재를 수용할 수 있고, 이 부재는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추가 내부면을 제공한다. 인클로저 안에 유지될 수 있는 전복의 수는 이용 가능한 표면적의 양을 비롯한 요인에 따라 좌우되므로, 내부 표면적을 증가시키면, 더 많은 전복이 컨테이너에서 성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는 실질적으로 평면(planar)일 수 있으며, 이는 전복이 숨을 수 있는 조밀한 구석이 없기 때문에, 전복을 떼어낼 때 도움을 준다. 그러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복을 수용하는 내부 표면적을 가능한 한 최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부재는 접혀서, 인클로저 안에 끼워질 수 있는 경우, 인클로저보다 큰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는 여러 번 접혀서, 전복을 수용하는 다수의 추가 내부면을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복의 수는 주어진 체적에 대해 최대화될 수 있어, 양식 공정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벽은 내벽 및 외벽과, 이들 벽 사이에 있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 물 또는 모래 (또는 이들의 조합)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인클로저 내의 전복에 접근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전복을 표면에서 떼어내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며, 도달하기 어려운 리세스에 전복이 숨을 수 있는 경우는 더욱 힘들다. 따라서, 컨테이너에서 전복에 대한 접근을 개선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양식 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제 5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 4양태에 따른 잠수식 컨테이너와 함께 사용하는 먹이 분배기를 제공한다. 먹이 분배기는 전복의 먹이를 담는 용기와, 컨테이너의 먹이공급 포트 중 하나에 수용되는 마우스 부와, 신호 (가령, 미리 정해진 시간의 끝에서 발생된 신호 또는 외부 소스에 의해 발생된 신호) 수신시에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게이트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용기에 들어 있는 먹이는 인클로저 내로 분배된다.
제 6양태에서, 본 발명은 바다 위치에서 전복을 양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바다의 바닥에 고정되는 주낙 위에 본 발명의 제 4양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를 배치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 각각을 주기적으로 회수하고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을 (가령, 포식자, 예상 성장, 폐사률 등에 관해)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어린 전복을 양식하기 위해 바다 위치를 사용할 경우, 다음 번의 전복 양식을 위한 해안 탱크 기반시설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형 탱크 기반시설의 장기간 사용 (최대 3 년)과 관련된 비용이 절감되고, 양식될 전복의 더 많은 생성을 가능케 한다. 게다가, 컨테이너 주변의 자연스러운 물의 이동으로 인해 잠수식 컨테이너를 통해 해수를 능동적으로 (즉, 해안 슬랩 탱크에서 요구되는 것처럼) 펌핑할 필요가 없다. 이는 펌핑 시스템의 작동과 관련된 (양식 전복당) 비용을 크게 절감한다. 게다가,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특히 매달려 있는 환경에서 유지되는 경우, 전복이 불가사리 등의 바닥에 있는 포식동물에 닿지 않게 유지함으로써, 포식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잠수식 컨테이너가 먹이 분배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임의의 비어 있는 먹이 분배기를 가득찬 먹이 분배기로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는 보트의 측면을 오버행하는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회수할 수 있다. 회수 장치는, 예를 들어, 컨테이너를 물 밖으로 들어 올리거나,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을 검사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보트의 갑판 위에 배치한 다음, 추후에 컨테이너를 물속에 반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잠수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선박의 요원이 전복에 접근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필요한 기반시설(가령, 물 배관 및 펌핑 장치)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탱크 시스템의 복잡성 및 (작동 및 설치 모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는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컨테이너가 부구 또는 주낙에 매달려 있는 것과 같은 바다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은 잠수식 컨테이너가 먹이 분배기를 구비함으로써 컨테이너의 전복 검사와 검사 간의 기간을 유리하게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컨테이너가 2 개 이상의 먹이 분배기를 포함함으로써 다수의 먹이 분배기가 미리 결정된 상이한 시간에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토록 하여 사료의 낭비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보다 일관되게 사료를 전달할 수 있어 유리하며, 또 컨테이너에서 전복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인클로저가 그 안에 부재를 수용할 수 있고, 이 부재는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추가 내부면을 제공하여 내부 표면적 증가에 따라 더 많은 전복이 컨테이너에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전복을 수용하는 다수의 추가 내부면을 규정함에 따라 전복의 수를 주어진 체적에 대해 최대화될 수 있어, 양식 공정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컨테이너는, 특히 매달려 있는 환경에서 유지되는 경우, 전복이 불가사리 등의 바닥에 있는 포식동물에 닿지 않게 유지함으로써, 전복의 생존율을 크게 높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채널로 물을 전달하거나 채널로부터 물을 배수하는 홈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홈통 및 탱크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시스템의 중앙 홈통을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시스템의 중앙 홈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탱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는 급수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탱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의 어레이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복을 담는 다수의 잠수식 컨테이너를 적층된 배열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부재가 인클로저 안에 들어 있는 도 10의 잠수식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컨테이너 및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컨테이너는 개방 형태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수식 컨테이너와 함께 사용하는 먹이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뚜껑이 폐쇄 형태이다.
도 15는 도 14의 먹이 분배기를 도시하지만, 뚜껑이 개방 형태이다.
도 16은 도 14의 먹이 분배기를 타단에서 보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먹이 분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에 삽입된 후의 도 14의 먹이 분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낙 위에 배치된 바다에서 전복을 담는 다수의 잠수식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주낙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검사를 위해 도 19의 잠수식 컨테이너를 회수하는데 사용하는 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보트 리프팅 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본 발명은 해안과 바다 모두에서 전복 양식의 효율을 개선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탱크 및 탱크 시스템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복 양식용 탱크를 제공한다. 탱크는 가늘고 긴 베이스를 포함하며, 이는 가늘고 긴 베이스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사용 중에) 그를 통한 일정한 물의 흐름을 수용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채널을 규정하는 직립벽을 포함한다. 가늘고 긴 베이스는, 함께 밀봉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는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에 의해서 규정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다수의 상기 탱크를 포함하는 탱크 시스템을 제공하며, 다수의 탱크는 어레이로 배열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들 탱크 또는 탱크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조립식 베이스부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복 양식은 전통적으로, 어린 전복이 시장성 있는 크기로 성장하는 슬랩 탱크 양식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랩 탱크는 전형적으로 길이가 약 18 미터, 폭이 2.5 미터이고, 깊이가 20cm인 길고 얕은 콘크리트 탱크이다. 적절한 양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탱크 내의 전복을 덮기에 충분한) 약 75㎜의 깊이로 물속에 유지한 상태에서, 초당 약 3 리터의 신선한 바닷물이 탱크를 통해 펌핑된다.
본 발명의 탱크는 그들 사이에 물의 흐름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규정하는 직립벽을 갖는 가늘고 긴 베이스를 포함한다. 가늘고 긴 베이스는 임의의 적절한 길이 (가령, 약 10 내지 30 미터, 또는 약 15 내지 25 미터)를 가질 수 있지만, 전통적인 슬랩 탱크와 마찬가지로, 길이는 약 18m가 바람직하다. 시험 및 실험에서는 전복이 들어 있는 슬랩 탱크를 통해 흐르는 물 속의 산소 농도가 약 18m 이후에는 이상적인 레벨로 떨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약 18 미터의 길이를 갖는 탱크는, 탱크의 말단에서 탈산화 수소수가 전복을 가로 질러 흐르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가늘고 긴 베이스는 임의 수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가늘고 긴 베이스는 탱크에서 성장할 수 있는 전복의 수가 최대가 되도록 다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각각의 채널은, 탱크가 대응하는 폭을 가지면서, 임의의 적절한 폭 (가령, 약 1 내지 5 미터, 또는 약 2 내지 4 미터)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슬랩 탱크에 구비된 채널과 마찬가지로, 채널 폭은 약 2.5m가 바람직하다. 가늘고 긴 베이스가 다수의 채널을 갖는 경우, 채널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각 채널은 길이가 약 18m이고, 폭이 약 2.5m이다.
직립벽은 가늘고 긴 베이스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임의의 적절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직립벽은 전통적인 슬랩 탱크의 경우와 같이, 높이가 약 20cm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록 일부 언더행 또는 오버행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어도, 직립벽은 가늘고 긴 베이스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된다. 직립벽은 여기에서 설명한 목적에 맞는 한, 어떤 적절한 두께(즉, 폭)도 가질 수 있다. 너무 좁으면, 탱크를 건설하는 동안 또는 후속 작동 중에 직립벽의 구조적인 완전성이 손상될 수 있다. 너무 두꺼우면, 벽을 형성하는데 과도한 양의 재료가 필요하며, 전복이 들어 있는 채널의 폭을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가늘고 긴 베이스의 전체 무게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킨다. 약 150㎜의 폭을 갖는 직립벽이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임의 수의 조립식 베이스부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가늘고 긴 베이스 (따라서, 탱크)를 형성할 수 있다. 가늘고 긴 베이스는, 예를 들어, 추가의 채널을 갖는 더 넓은 탱크를 제공하기 위해, 병렬 방식(side-to-side manner)으로 함께 밀봉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조립식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늘고 긴 베이스는, 더 긴 채널을 제공하거나 더 짧은 조립식 베이스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직렬로 함께 밀봉 연결되는 2 개 이상의 조립식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늘고 긴 베이스는 하나 또는 2개 넓이의 조립식 베이스부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늘고 긴 베이스는 2개 길이의 조립식 베이스부이다. 이러한 구성은, 조립식 베이스부가 종래의 차량 및 기계류를 사용하여 쉽게 운반할 수 있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의 크기와 상대적으로 용이한 구조 사이에서 양호한 균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슬랩 탱크의 전통적인 길이 및 폭이 주어지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약 9 m의 길이를 갖는 조립식 베이스부를 제공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 중 2 개는 길이가 약 18m인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식 베이스부는 통상적인 운송 수단을 사용하여 그의 조립 장소에서 전복 양식장으로 쉽게 운반할 수 있는 길이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이상적으로 최소 개수의 베이스부를 갖지만, 여전히 유용한 크기인 탱크와 같은 요인들 사이에서 균형을 제공하는 반면에, 조립식 베이스부는 여전히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운반해서 추후에 현장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전통적인 슬랩 탱크의 채널은 약 2.5m 폭을 가지므로, 조립식 베이스부는 최대 4개의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전히 기존의 차량 및 기계류를 사용하여 운반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는 2개의 넓은 채널을 갖는 조립식 베이스부가 바람직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을 보다 간단히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2개의 채널을 갖는 조립식 베이스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운송을 사용하여 운반할 수 있는 크기인 약 6 m의 폭을 갖게 된다. 4개의 채널을 갖는 조립식 베이스부는 종래의 운송수단을 사용하여 운반할 수 있는 크기인 (단지) 약 11m의 폭을 갖게 되지만, 더 무겁고 취급이 힘들며, 따라서, 일부 용도로는 덜 적합하다.
채널의 바닥은 실질적으로 매끄럽거나, 전복이 스스로 위치하는 경향이 있는 융기 부재들(raised member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융기 부재는 전복에 은신처를 제공하고 보다 자연스러운 생활 환경을 시뮬레이션한다. 융기 부재는 임의의 형태 및 배향을 가질 수 있지만, 채널의 길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즉, 가늘고 긴 베이스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실질적으로 선형인 융기 부재는, 전복을 탱크에 모을 시간이 되었을 때, 전복을 떼어내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조립식 베이스부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이스부는 콘크리트로 제조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는 강도, 내구성, UV-내광성 및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인해, 이와 같은 용도로 특히 적절한 재료이다. 다른 적절한 재료는 적절하게 강하고 내구성 있는 플라스틱 (가령, 성형 플라스틱)을 포함한다.
조립식 베이스부가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실시예에서, 콘크리트는 탱크 또는 탱크 시스템의 건설과 조립 중에 리프팅, 및 추후에 전복의 중량과 채널을 통해 흐르는 물에 견딜 수 있도록 베이스부에 충분한 강도를 부여하는 두께를 가져야 한다. 베이스부의 바닥은 베이스부와 결과적인 탱크의 상대적인 크기, 탱크에서 성장할 전복의 양과 같은 요인에 따라서, 예를 들어 100㎜ 이상의 두께, 130㎜ 이상의 두께 또는 150㎜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직립벽 (및 여기에서 설명한 다른 조립식 구성 요소들)은 그의 최종 용도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져야 한다.
탱크 또는 탱크 시스템의 구조를 단순화하기 위해,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구성 부품의 줄어든 개수는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데 도움이 되는 또 다른 요인이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조립식 베이스부는, 이들이 가늘고 긴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밀봉 연결될 수 있는 한,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다.
조립식 베이스부는 함께 밀봉 연결된다. 연결된 베이스부들 사이에 방수 시일(seal)이 실질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이스부 중 하나의 선단은 조립식 베이스부 중 다른 하나의 선단에서 대응하는 리세스에 밀봉 수용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인접 부분의 대응하는 언더행 돌출부 위에 위치하는 오버행 돌출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홈 형태 구조의 텅(tongue)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하나의 베이스부의 비교적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시일을 만드는 베이스부의 표면이 충분히 매끄러운 경우에는, 밀봉제(sealant)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밀봉제를 사용하여 베이스부들 사이에서 시일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의의 내수성 밀봉 재료를 밀봉제, 특히 어느 정도의 압축성을 갖는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밀봉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밀봉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이스부는 배관 및 기타 구성 요소를 현장에서 구성 (가령, 콘크리트 베이스부로 주조)할 수 있다. 베이스부 내부에 탱크 및 탱크 시스템용 배관(등)을 제공하면, 탱크의 구성을 크게 단순화할 가능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가령, 설치 중에 노출된 배관이 손상을 입거나 잘못 정렬될 수 있기 때문에)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을 크게 줄인다.
또한, 본 발명의 탱크 및 탱크 시스템은 그의 채널을 통한 물의 흐름을 가능케 하는 부가적인 구성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의 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늘고 긴 베이스의 선단은 물의 흐름을 상기 각 채널로 전달하기 위해 배수기(water discharger)에 밀봉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늘고 긴 베이스부의 타단(즉, 그의 말단)은 배수구에 밀봉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듈식 추가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그의 채널에서 전복에 걸쳐 물의 흐름을 제공할 수 있는 탱크를 비교적 쉽게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립식 베이스부는 가늘고 긴 베이스를 배수기 및 배수구 (가령, 탭 및 상보형 리세스)에 연결하는데 필요한 특징부들(features)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들 특징부는 조립식 베이스부와는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배수기는 예를 들어, 가늘고 긴 베이스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홈통을 포함할 수 있고, 홈통 내로 전달된 물은 추후에 상기 각 채널 내로 유동한다. 배수구는, 예를 들어 가늘고 긴 베이스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홈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각 채널을 통해 유동한 물은 홈통 내로 배출될 수 있다. 가늘고 긴 베이스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홈통은 탱크의 각 채널을 통해 비교적 균일한 물의 흐름을 전달할 수 있다.
가늘고 긴 베이스는, 예를 들어 베이스부를 밀봉 연결하는 것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배수기 및 배수구에 밀봉 연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물이 탱크로부터 누수될 수 없는 한, 일부 실시예에서, 배수기 및 배수구는 가늘고 긴 베이스부의 폭보다 길거나 짧을 수도 있지만, 가늘고 긴 베이스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배수기 및 배수구는 콘크리트 또는 플라스틱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배수기 및 배수구는 전형적으로 탱크의 모듈성과 일관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조립식 형태로 (즉, 조립식 베이스부와 함께) 제공되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령, 조립식 베이스부의 배달 및 탱크의 가늘고 긴 베이스의 설치 후에) 현장에서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배수기 및 배수구의 홈통은 동일한 구조 또는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홈통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제 1테두리 및 제 2테두리를 가지며, 제 1테두리는 가늘고 긴 베이스의 선단에 밀봉 연결된다. 제 1테두리는 제 2테두리보다 낮으므로, 배수기 홈통에 도입된 물은 제 2테두리 위로 보다는 오히려 홈통의 측면에서 넘쳐 흘러 채널 내로 유출된다. 마찬가지로, 채널로부터 배수구 홈통 내로 (즉, 그의 제 1테두리 위로) 배수되는 물은 (보다 높은) 그의 제 2테두리 위로 넘칠 수 없고, 대신에 배수구 (후술함)내로 유동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수기 및 배수구는 각자의 기능을 전환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배수기 (가령, 가늘고 긴 베이스의 일단에 있는 홈통)는 이것이 배수구가 되도록 전환될 수 있으며, 동시에 배수구 (가령, 가늘고 긴 베이스부의 말단에 있는 홈통)는 이것이 배수기가 되도록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은 채널(들) 안에서 물의 흐름 방향이 교대로 바뀌고, 조류(tidal flow)를 시뮬레이션하고, 채널에서 그들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복의 먹이 및 산소 공급을 돕는다 (채널의 일단에 있는 전복은 최저로 과산화 수소수를 받는 곳부터 최대로 과산화 수소수를 받는 곳까지 가게 된다).
탱크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지면 (또는 다른 표면)에 장착할 수 있다. 기존 슬랩 탱크는,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지면에 적절하게 위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부어서 만든 콘크리트 슬랩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탱크는 불균일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수류 등으로 인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는 이후의 지구 운동으로 인해 균열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탱크는 지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하나 이상의 지주들(piers) (가령, 지주가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탱크)에 장착될 수도 있다. 지주는 조립식 베이스부의 배달 전에 배열되어, 이들이 베이스부를 준비된 레벨로 지지하게 되는 한편, 이들이 서로 연결되어 가늘고 긴 베이스부 및 그에 따라 탱크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조립식 베이스부는 배달시 이러한 지주 위에 직접 옮겨질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건설 방법은 기초를 놓을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잠재적으로 탱크 또는 탱크 시스템의 건설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지주의 사용은 탱크/탱크 시스템의 가늘고 긴 베이스(등)이 지면으로부터 상승된 위치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승된 위치는, 채널 등에서 재료를 수동으로 처리하기 위해 지면 레벨까지 구부리거나 쪼그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에게는 보다 인체 공학적일 수 있다. 사실상, 탱크는 작업자에게 편리한 작업 높이에 있다. 게다가, 채널로의 물의 전달 및 그로부터의 배수와 관련된 배관은 충분한 낙하 높이를 갖기 위해서, (지면에 배치된 탱크의 경우와 같이) 지면 아래에 매립되지 않는 대신, 지면 위 (전형적으로 지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것은 본 발명의 탱크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작업량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가령, 지하 배관을 위한 트렌치를 파낼 필요가 없을뿐만 아니라), 배관 내의 임의의 누수를 훨씬 용이하게 감지하고 수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매립되지 않으면, 배관의 일반적인 유지 보수도 크게 단순화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주는 이들이 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 지주는 지면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 지면에 견고하게 나사 결합되면, 나사를 죄거나 나사를 풀어서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 지주는 탱크 시스템의 건설 시간을 상당히 단축하고 필요로 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가 장착되는 지주는 전술한 배수기 및 배수구를 지지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탱크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서, 탱크 시스템은 중앙 홈통과, 하나의 탱크의 선단이 다른 탱크의 선단에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그의 가늘고 긴 베이스의 종축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2개의 탱크를 포함한다. 중앙 홈통은 인접한 가늘고 긴 베이스들 사이에서 선단들 사이에 배치되어 (가령, 전술한 방식으로) 선단들에 밀봉 연결되고, (하나 이상의) 채널 내로 물의 흐름을 전달하거나,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을 통한 물 흐름의 역류를 가능케 하기 위해) 인접한 탱크의 말단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 내로 전달된 물을 배수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탱크 시스템의 이 실시예는 임의의 짝수의 탱크 (가령, 그들 사이에 중앙 홈통과 병렬 및 직렬로 배열된 탱크)에 적용할 수 있다.
중앙 홈통을 제공함으로써 탱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의 총 개수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이 실시예의 탱크 어레이는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2개의 탱크가 차지하는 공간은, 별도로 배열하는 경우 2개의 탱크가 차지하는 공간보다 작으며, 이는 공간이 제한되어 있는 위치에서 유리할 수 있다.
중앙 홈통은 전술한 배수기 및 배수구와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지만, 그의 양 테두리는 (인접한 탱크가 동일한 레벨에 있다고 가정할 때) 유사한 높이를 가져야 할 수도 있다.
탱크 시스템 (또는, 실제로 조립식 베이스부로 형성되지 않은 탱크를 갖는 슬랩 탱크 시스템)은 중앙 홈통 상부에 승강식 플랫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승강식 플랫폼은 그 위에 물받이 용기를 수용할 수 있으며, 물받이 용기는 워터 서지를 하나 이상의 채널 내로 전달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워터 서지는 전복의 자연 환경에서 일어나는 파도와 유사하며, 전복의 더 많은 근육량을 발달시킬뿐만 아니라, 채널을 세척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채널의 주기적인 세정은 전복의 산소 및 먹이공급을 도울 수 있다. 교차 오염의 방지에 도움을 주기 위해 각 탱크 (또는 각 채널)마다 별도의 급수원 및 배수시설을 가질 수 있고, 용기는 별도의 탱크 또는 채널에 격리된 워터 서지를 유발할 수 있다.
물받이 용기는, 예를 들어 승강식 플랫폼 위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승강식 플랫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것이 탱크 시스템에서 선택된 채널 (또는 채널들)과 정렬되도록, (물이 가득 찬 경우에도) 용기를 비교적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일단 위치 결정되면, 물받이 용기는 선택된 탱크의 선택된 채널에 워터 서지를 전달하기 위해, 인접한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채널을 향해 피봇(가령,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용기를 사용하여 잠재적으로 많은 수의 채널에 워터 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용기는 워터 서지가 채널의 전체 폭에 걸쳐 있도록 하기 위해, 채널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언더랩 또는 오버랩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물받이 용기는 탱크 시스템의 중앙 채널을 제외한 위치 (가령, 인접한 탱크의 말단)에 제공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탱크 시스템 (또는 실제로, 조립식 베이스부로 형성되지 않은 탱크를 갖는 슬랩 탱크 시스템)은 각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여 채널 내에 사료를 살포하는 전복 먹이공급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먹이공급 장치는 자동화됨으로써 (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채널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복의 사료를 보다 신뢰성 있고 일관되게 분배할 수 있다.
전복 먹이공급기가 탱크 시스템에 있는 모든 전복에게 사료를 분배할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먹이공급 장치는 채널들 사이의 직립벽 위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네트워크는, 탱크 시스템의 건설시에 정렬되는 별도의 베이스부에 구비된 레일과 함께, 탱크 시스템 전체에 걸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화된 먹이공급기가 탱크 시스템을 이동하면서 적절한 시간에 사료를 분배하도록 프로그램을 짤 수 있다.
탱크 시스템 (또는 실제로, 조립식 베이스부로 형성되지 않은 탱크를 갖는 슬랩 탱크 시스템)은 탱크 시스템의 측면에서 접근할 수 없거나 접근하기 어려운 채널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람이 걸어 다닐 수 있는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통로는, 예를 들어 (충분히 넓은 경우) 가늘고 긴 베이스의 직립벽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로는 걸어 다니기에 충분할 정도로 넓고 적절한 방식으로 탱크 시스템에 연결되는 별도의 부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통로는 가늘고 긴 베이스에서 하나 이상의 직립벽에 연결될 수 있다.
탱크 시스템 (또는 실제로, 조립식 베이스부로 형성되지 않은 탱크를 갖는 슬랩 탱크 시스템)은 주 급수원의 고장시에 전복의 대량 폐사를 막기 위해 이중 급수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방식으로 전술한 탱크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를 제공한다. 이 컨테이너는 전복용 인클로저를 규정하는 컨테이너 벽을 포함함과 아울러, 인클로저는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내부면을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또한, 컨테이너가 잠수할 때 물이 인클로저를 통해 흐르도록 하지만, 전복은 인클로저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한다. 또한,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먹이공급 포트 및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를 포함한다. 각 먹이 분배기는 전복 먹이공급용 용기, 및 각각의 먹이공급 포트에 수용되는 마우스 부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는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컨테이너는 바다에 배치하기 적합하며, 그로 인해 제한된 해안 자원을 해소하여 전복의 전체 생산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더욱 자연 환경에서 자란 전복은 주변의 물로부터 산소 및 적어도 일부 영양분을 끌어당김으로써, 순환 펌프 등의 필요성을 없애고, 필요한 추가 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먹이 분배기(들)을 사용하여, 일부 바다 전복 양식장에서 현재 채용하는 복잡하고 값비싼 절차에 의존하지 않고, 컨테이너의 검사와 검사 간의 시간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잠수식 컨테이너는 사료와 과산화 해수를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전복을 담을 수 있는 한, 어떤 적절한 크기, 형상 및 구성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가늘고 길 수 있다.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튜브형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컨테이너는 물리적으로 취급하기 쉽고, 해수가 여전히 그를 통해 흐르도록 하면서, 더 많은 전복을 담을 수 있다. 튜브형 컨테이너의 기타 장점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는 길이가 약 500㎜ 내지 4000㎜ (가령, 약 1000㎜ 내지 3000㎜, 또는 약 220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약 1000㎜ 내지 500㎜ (가령, 약 800㎜ 내지 400㎜, 또는 약 620㎜)의 직경 (또는 컨테이너가 비-원통형인 경우, 단면 길이)을 가질 수 있다.
컨테이너는 그의 수명 대부분이 해수에 잠긴 상태로 보내게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기적인 수거, 검사 및 배치 전환뿐만 아니라, 물의 이동과 관련된 엄격한 조건을 따르게 되는 점을 유념하여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회전 성형, 블로우 성형 등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성형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강한 플라스틱 재료가 바람직하다.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비교적 저렴한) 회전 성형 기술을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가령, 식품 등급 폴리에틸렌)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는 대부분 검은 색일 수 있는데, 이는 일부 실시예에서 전복이 좋아하는 어두운 환경을 제공한다.
컨테이너는 또한, 컨테이너가 잠수할 때 물이 인클로저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하나의 큰 구멍이 이러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인클로저를 통과하는 물의 교차 유동을 가능케 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구멍이 필요하게 된다. 잠수식 컨테이너가 가늘고 긴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멍은 컨테이너의 양단에 있는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2 개 (또는 그 이상)의 1 차 구멍 (비록 이들 구멍이 그를 통해 해수의 상당한 유동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배열된 더 작은 구멍일 수 있으나, 전형적으로 더 큰 구멍) 및 (통상적으로 더 작은) 다수의 2 차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구멍은 전복이 그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전복은 컨테이너를 빠져나올 수 있다 (또는, 포식자가 컨테이너 안에 들어갈 수 있다). 전복이 구멍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다. 구멍은 예를 들어, 컨테이너 벽에 다수의 작은 구멍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멍은 (가령, 가늘고 긴 컨테이너의 경우에 그의 어느 선단에나) 컨테이너 벽의 더 큰 구멍을 덮는 그물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그물망은 전복을 유지하는 동안, 영양분과 물이 인클로저를 통해 쉽게 들어가서 흐르도록 한다. 그물망은 일부 실시예에서, (그물망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도울 수 있는) 컨테이너 벽의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시트 형태로서, 강성 재료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그물망은 의도한 용도를 감안해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물망은 내부식성이 있어야 하며, 물 속에 있는 동안과 보트로부터 적재/하역하는 동안 모두에 있어서, 잠재적으로 거친 바다 및 충격을 견디기에 충분할 정도로 강해야 한다. 그물망을 형성하는 하나의 적절한 재료로는 스테인리스 스틸, 예를 들어 표면적의 40%가 개방되어 있고, 4㎜ 홀로 천공된 약 1.5㎜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이 있다. 두께가 약 1.5㎜ 인 그물망이 이상적인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전복이 스스로 세척할 수 있는 두께이기 때문이다. 사용시, 전복은 그물망 위에서 방목할 수 있으며, 전복의 입은 물리적으로 구멍에 접근할 수 있어, 그 안에 들어 있는 해조류 등을 먹을 수 있다. 이같은 방목은 이러한 그물망의 생물 부착을 방지 (또는 적어도 지연)함으로써, 물이 컨테이너를 통해 더 오랫동안 유동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물망이 1.5㎜보다 훨씬 두꺼우면, 전복이 물리적으로 그물의 최외측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으며, 따라서, 최외측에서의 생물 부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그물망이 1.5㎜보다 훨씬 얇으면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약 4㎜ (± 1-2㎜)의 기공 크기를 갖는 그물망은 갓 전달된 전복 사료가 인클로저에서 곧바로 빠져나오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이로울 수 있다. 대신에, 사료가 인클로저 안에 남아 있어, 섭취를 위해 전복이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료는 녹아서 더 작아지고, 이후 사료는 그물망에 있는 적절한 크기의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복에 의해 소비되지 않은 오래된 사료는 그를 통과하는 해수의 흐름에 의해 인클로저 밖으로 씻겨 나오기 쉽다.
마찬가지로, 1 년에 걸쳐서 (가령, 여기에서 설명한 제 1바다 성장단계 동안) 성장한 전복을 위협할 수 있는 크기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어린 포식자가 인클로저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므로, 약 4㎜ (± 1-2㎜)의 구멍 크기를 갖는 그물망은 이로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포식자는 (비록 이들이 전형적으로 해저에서 발견되더라도) 물기둥 내에 있을 수 있으며, 잠수된 컨테이너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복을 잡아먹을 정도로 충분히 큰 포식자는 그물망을 통과할 수 없지만, 어린 포식자는 그물망을 통과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한 정기 검사 중에는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12 개월 후 (각각 제 1 또는 제 2 바다 성장단계 이후)에는 등급을 매기거나 시장에 팔기 위해 컨테이너에서 전복을 꺼내므로, 그 때는 인클로저에 들어갈 수 있었던 어린 포식자를 발견하게 된다.
잠수식 컨테이너가 약 2200㎜의 길이와 620㎜의 직경을 갖는 원통형 컨테이너인 실시예에서, 잠수식 컨테이너는 40% 개방 면적을 갖고, 4㎜ 홀이 천공된 316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며, 600㎜ 직경 및 1.5㎜ 두께를 갖는 2개의 그물망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그물망은 컨테이너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고, 컨테이너는 그의 선단으로부터 짧은 거리에 원주 방향 리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안에 그물망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잠수식 컨테이너는 인클로저를 통한 물의 흐름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 그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구멍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멍은 폭 400㎜, 높이 200㎜ 및 두께 1.5㎜를 가지며, 다시 40% 개방 면적을 갖고 4㎜ 홀이 천공된 316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는 직사각형 측면 그물망 부분으로 덮을 수 있다.
인클로저의 내부면 상에는 전복이 수용된다. 전복은 돌출부에 대해 자신을 위치시키거나 구석 등에 숨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그 표면 위에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시켜, 표면은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내부면은 전복이 서식할 수 있는 컨테이너 벽 위에 다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는, 예를 들어 추후에 (가령, 등급을 매기거나 시장에 팔기 위해) 인클로저로부터 전복을 떼어내기 용이하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가 가늘고 긴 실시예에서, 리브는 컨테이너의 가늘고 긴 축과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인클로저의 바닥에서는 사료 및 영양분을 수거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돌출부 또는 리브는 인클로저 전체에 걸쳐 사료 및 영양분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도울 수도 있다.
인클로저 안에서 이용 가능한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따라서, 컨테이너의 보유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전복을 수용할 수 있는 그 밖의 방식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여 잠수식 컨테이너 안에 들어 있는 전복에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복에 별다른 일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사람이 육안으로 전복을 검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구멍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먹이공급 포트)를 통한 간단한 육안 검사만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종종 컨테이너 안에서 전복을 보다 철저히 검사하거나 전복에 물리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는 인클로저 내의 전복에 접근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일단 열리면, 사람이 인클로저 안에서 전복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전체 인클로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이는 전복을 관찰하거나 떼어낼 수 있는 용이성을 상당히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는 제 1부분 및 제 2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부분 및 제 2부분은 컨테이너의 일측면에 연결되거나 연결(가령, 힌지 연결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피봇)될 수 있고, 컨테이너 개방 형태 및 폐쇄 형태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컨테이너를 열어 인클로저를 완전히 노출시키기 위해서, 비교적 단순한 개방 동작 (잠금 해제 동작과 조합할 수도 있음)이 모두 요구될 수 있다. 컨테이너가 가늘고 긴 실시예에서, 상기 부분들은 길이 방향 테두리에서 함께 연결되거나 연결(가령, 힌지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개방 동작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부분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기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이는 상기 부분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이들 부분을 동일한 금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모든 실시예에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제 1부분은 제 2부분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는 제 1 및 제 2부분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는 제 3부분(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부분은 임의의 적절한 잠금기구를 사용하여 폐쇄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부분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기계식 인터락 (또는 다수의 이러한 기계식 인터락)을 가질 수 있다. 기계식 인터락은, 예를 들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조작자가 파지할 수 있는 래치일 수 있다. 이러한 래치는 전형적으로 의도치 않게 열리기 어렵게 하기 위해 컨테이너 벽 내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리세스는 사용 중에 일어날 수 있는 힌지의 손상 (주로 보트로부터 컨테이너의 수거 및 배치 중에 발생 가능성이 있음) 가능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개방 형태일 때, 다수의 잠수식 컨테이너를 적층할 수 있다. 적층된 컨테이너는 전형적으로 공간을 덜 차지하므로, 사용하지 않거나 운송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보관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잠수식 컨테이너는 고도로 안정한 방식으로 (즉, 물 밖에 있을 때) 표면 위에 수용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보트 위에 있을 때 구를 수 있는 (그렇지 않으면, 비교적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폐쇄 형태일 때, 지면과 적어도 3개의 분리된 접촉점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는 개방 형태일 때, 지면과 적어도 6개의 접촉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컨테이너의 외벽에 있는 돌출부를 사용하여 이러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잠수식 컨테이너의 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에 가해질 수 있는 엄격한 조건을 염두에 두고서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 벽은 내벽 및 외벽과, 이들 벽 사이에 있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벽 구조는 컨테이너에 강도를 부여하지만, 다른 유용한 특징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동은 공기, 물, 모래 (또는 임의의 기타 적절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수용할 수 있다.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동 안으로 또는 그로부터 물의 펌핑(등)을 위해, 예를 들어, 컨테이너 벽에 있는 상보형 나사 구멍에 나사결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드레인 플러그 형태로, 하나 이상의 입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벽 및 외벽은 다수의 위치에서 서로 맞닿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컨테이너를 보강하고 (가령, 성형에 의해) 보다 쉽게 형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전복 보유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복이 수용될 수 있는 인클로저 안에서 이용 가능한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사실상, 인클로저의 표면적이 클수록 그곳에 수용될 수 있는 전복의 수는 늘어나며, 양식 공정은 더욱 효율적으로 된다. 따라서, 당연히, 인클로저 내부의 표면적을 최대화하는 것이 일반적으로는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클로저는 그 안에 부재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 부재는 전복을 수용하는 추가 내부면을 제공한다. 이 부재는 전복이 그 위에서 서식할 수 있고, 인클로저 안에 들어갈 수 있으며, 인클로저를 통해 물과 사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또한, 이 부재는 그 위에서 임의의 전복을 보다 쉽게 수확하기 위해, 인클로저로부터 이상적으로 떼어낼 수 있다.
인클로저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상기 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가 크로스 바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 인클로저는 그 사이에 크로스 바 (또는 바들)를 유지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클로저는 상기 부재의 테두리가 수용될 수 있는 적절하게 정렬된 슬릿 또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상기 부재는 인클로저의 내부에 매달려 있어, 전복용 컨테이너의 내벽에 가능한 한 많은 표면적을 남긴다.
부재 자체는 전술한 기능상의 요구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한, 어떤 적절한 형식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부재는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는데, 이는 (즉, 부재가 인클로저로부터 분리된 후에) 전복을 쉽게 떼어내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쉽게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상기 부재는 접혀서, 인클로저 안에 끼워질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여러 번 접어서 전복을 수용하는 다수의 추가 표면을 규정할 수도 있다. 상기 부재는, 예를 들어 다수의 추가 표면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전복 수용 거리만큼 분리되도록 접을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복은 이렇게 접어서 형성되는 모퉁이와 구석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클로저 내부에는 다수의 부재가 존재할 수 있다 (가령, 효과적으로 연속적인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가늘고 긴 인클로저의 길이 및/또는 폭을 따라 넓어지고, 선택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부재를 함께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파스너를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는 주름형 플라스틱 또는 골판지 시트 (가령, 평면 코플루트(corflute) 재료)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령,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고, 약 4㎜의 두께를 갖는) 1.2m × 1.2m 코플루트 시트는 (가령, 당업계에 공지된 가열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접음선을 따라) 접혀서, 전복이 부착되고 먹이를 공급할 수 있는 내부면을 생성할 수 있다. 시트는 전복이 표면을 가로질러 사료를 찾을 수 있도록 50㎜ 홀, 및 인클로저에서 컨테이너 벽의 양측에 매립된 수용 러그 안에 놓여진 서포트 로드를 수용할 수 있는 18mm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플루트 부재는, 경량이지만 내구성이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잠수식 컨테이너는 또한, 컨테이너 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먹이공급 포트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전복의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먹이공급 포트는 컨테이너 벽을 관통하는 구멍에 의해 규정될 수 있고, 구멍은 (예컨대, 나사산 등을 사용하여) 그 안에 각각의 먹이 분배기를 수용한다.
또한, 잠수식 컨테이너는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를 포함한다. 각 먹이 분배기는 전복 먹이공급용 용기, 및 각 먹이공급 포트에 수용되는 마우스 부를 포함하며, 그의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먹이의 전달이 충분치 않으면 전복이 최적의 속도로 성장하지 않게 되지만, 너무 많은 먹이를 공급하면 수질에 악영향을 주고 생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컨테이너 내부에서 먹이가 전복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신중하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해안 시설에서는 전복의 성장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할 수는 있지만, 바다에서 그렇게 하려면 훨씬 더 복잡하다. 전복의 먹이공급은 대개 일주일 단위로 해야 하지만, 바다 시설에서 그러한 작업은 (해안 시설에 비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실제로, 바다 전복 양식장과 함께 사용하도록 제안된 컨테이너 중 일부는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에게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 잠수부 또는 원격 조종 잠수식 차량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먹이 분배기를 사용하면, 바다 시설에서 전복에게 먹이를 공급하는 것과 관련된 노력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각 먹이 분배기는 임의의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분배하도록 할 수 있다. 먹이 분배기는,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에 또는 (분배기로부터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 생성된) 신호에 응답하여,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로 분배하도록 작동(또는 적용)될 수 있다. 다수의 먹이 분배기가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각각의 분배기는 상이한 시간에 이들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먹이 분배기를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잠수부 같은 고가의 자원에 의존하지 않고도 전복의 검사 및/또는 먹이 공급을 위해 컨테이너를 해양에서 회수해야 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먹이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이용하여 인클로저 내로 분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각각의 분배기는 신호 수신시에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게이트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용기에 들어 있는 먹이가 분배된다. 예를 들어, 게이트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이 장전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잠수식 컨테이너와 함께 사용하는 먹이 분배기는 전복 사료를 담는 용기, 컨테이너의 각각의 먹이공급 포트에 수용되는 커플링, 및 신호 수신시에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에 들어 있는 먹이는 게이트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분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잠수식 컨테이너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만, 다른 전복-함유 컨테이너, 또는 실제로 다른 수생 생물 종을 함유하는 컨테이너와 함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먹이 분배기도 제공한다. 먹이 분배기는 전복의 먹이를 담는 용기와, 컨테이너의 먹이공급 포트에 수용되는 마우스 부와, 신호 수신시에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용기에 들어 있는 먹이는 게이트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분배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복에게 먹이를 자동으로 분배하는 이러한 먹이공급기를 사용하면, 공급되는 물로부터 전복을 떼어낼 필요가 있는 빈도를 줄이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다수의 먹이공급기를 사용하면, 적절한 속도로 성장하거나, 아무런 포식자도 존재하지 않거나, 부착물 등에 의해 컨테이너를 통과하는 해수의 흐름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재고를 적어도 그와 같이 자주 검사해야 하기 때문에, 실제로 약 1 개월을 초과해서는 안되지만, 전복을 검사할 필요없이 상당한 시간 동안 그대로 갈 수 있다.
각 먹이공급기가 컨테이너의 인클로저 내로 먹이를 분배하도록 하는 신호는 내부에서 (가령, 미리 결정된 시간의 끝에서), 또는 외부에서 (가령, 기지국에서 송신한 무선 또는 마이크로파 신호에 응답하여) 발생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7 일, 14 일 및 21 일 후에 각각 전복의 먹이를 분배하도록 프로그램된 3개의 먹이공급기가 잠수식 컨테이너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컨테이너에 있는 전복이 적절하게 양식되고 있는지 등을 보트에서 조작자가 확인하기 위해 검사하였으면, 7 일 동안 충분한 양의 사료를 추가할 수 있고, 컨테이너를 닫은 다음, 다시 바다속에 반환할 수 있다. 이제 조작자는 28 일 동안 검사 등을 위해 이 컨테이너를 회수할 필요는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 먹이공급기는 또한, 예를 들어 먹이공급기가 그의 먹이를 배출하지 못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손상된 경우에, 경고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잠수식 컨테이너는 의도된 용도와 일치하는 부가적인 특징부 또는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는 하나 이상의 부착점 (가령, 그를 통해 커넥터 또는 밧줄(tether)을 수용하는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컨테이너를 물 속에 매달려 있게 하거나, 전복을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먹이를 공급하며, 컨테이너를 검사하고 유지하기 위해, 물 속으로 또는 밖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전형적으로, 각 컨테이너는, 물 속에 매달려 있거나, 들어올리고/내릴 때, 최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개 컨테이너의 말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부착점을 갖게 된다.
또한, 잠수식 컨테이너는 인클로저를 통한 해수의 변화, 해수의 온도, pH, 염도, 컨테이너 내부의 물속 중금속 같은 종의 농도 등의 관련 파라미터를 측정하기 위한 특징부 또는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파라미터는 전복의 성장을 최적화하는데 유용할 수 있으며, 또는 전복에 대한 조건이 부적합하게 될 경우, 즉시 경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또한 컨테이너 내부의 시각적 화상을 원격 조작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방수 카메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낙에 부착된 부표 같은 바다 시설의 또 다른 구성 요소)는 이들 화상을 원격 조작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카메라 및/또는 무선 송신기는, 적절한 경우 태양 에너지에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들 기구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컨테이너의 먹이공급 포트 중 하나에 이들을 삽입함으로써, 컨테이너와 관련을 가질 수 있다 (후술함).
바다 위치에서 전복을 양식하는 방법
또한, 본 발명은 바다 위치에서 전복을 양식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를 바다의 바닥에 고정된 주낙 위에 배치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 각각을 주기적으로 회수하고, (가령, 포식자, 예상 성장, 폐사률 등에 대해)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전형적으로, 임의의 비어 있는 먹이 분배기(들)를 가득찬 먹이 분배기(들)와 교체하는 단계도 포함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는 보트의 측면을 오버행하는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회수할 수 있다. 회수 장치는 컨테이너를 물 밖으로 들어 올리고,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을 검사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보트의 갑판 위에 위치시키고, 추후에 컨테이너를 물속에 반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낙은 (가령, 약 1 내지 100m, 약 5 내지 50m, 또는 약 10m의 간격으로), 주낙을 따라 이격된 부표에 매달려 있고, 스크류 앵커, 콘크리트 블록 등을 통해 그의 말단이 해저에 고정되는 것으로, 길이가 약 10 내지 500 미터 (가령, 길이가 약 50 내지 200 미터, 또는 길이가 약 100 미터)인 로프 (중추(back bone))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중 약 20 개는 (가령, 수면 아래 약 1 내지 3m에서) 100m의 주낙에 매달려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연간 약 2 톤의 전복 생산을 가져온다. 바다 시설은, 예를 들어 약 3 헥타르의 크기이며, 약 10개의 주낙을 지닐 수 있다. 작업 선박은 매일 시설에 들어가고 나오며, 시설은 일반적으로 부화장 바로 옆에 있다. 3 헥타르의 부지마다 연간 20 톤의 전복을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약 12 개월의 해안 지속 기간 후에) 해안 슬랩 탱크로부터 약 25㎜ 크기의 전복을 떼어내 전술한 컨테이너에 넣고 물 속에 담그는 제 1바다 양식단계 (중간 성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크기의 각 컨테이너는 이러한 크기의 전복을 약 4,000마리까지 수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 12 개월 동안, 즉 전복이 약 50㎜의 크기로 성장하는 기간 동안, 전복에게 주기적으로 먹이를 공급하고 검사한다.
제 1바다 양식단계의 끝에서, 컨테이너를 물에서 꺼내 선박으로 가공 시설까지 옮기며, 여기서 컨테이너로부터 전복을 꺼내 등급을 매기고 (임의의 크기 미달 또는 왜소한 전복은 폐기하면서, 건강 및 체중)을 점검한다. 다음에, 제 2바다 양식단계(최종 성장단계)를 위해 적절한 수 (50㎜ 전복 약 2,000마리)의 전복을 다른 컨테이너에 반환한다. 사용한 컨테이너는 어떤 포식자의 침입이 있었는지 점검하고 세척하여 재사용 준비를 한다. 다음에, 전복이 들어 있는 컨테이너는 선박을 사용하여 제 2바다 양식 단계를 위해 바다 시설로 반환하며, 이곳에서 전복은 시장에 팔기 위해 전복을 수확할 준비를 하는 시간인 12 개월 동안 약 80-90㎜ 크기로 성장한다.
수확은 최종 성장단계의 끝에서 (즉, 바다에서 추가로 약 12 개월 후에) 이루어진다. 이 단계 동안 전복에게는 증가된 양의 사료를 공급하며, 25㎜만큼 성장하지만, 그들의 최종 중량의 80%까지 증가한다. 다시 한 번, 주낙에서 컨테이너를 떼어내고 선박으로 처리 시설까지 옮기며, 여기서 컨테이너로부터 전복을 꺼내 크기별로 등급을 매긴다. 다음에, 전복은 생물, 냉동, 통조림, IQF (individually quick frozen, 개별 급속 냉동) 또는 건조물을 비롯해 시장 제품의 다양한 스타일 중 하나로 처리된다. 다음에, 컨테이너는 제 1 또는 제 2바다 양식단계에서의 재사용을 위해 세척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간 단계와 최종 성장단계에서 컨테이너 내부의 전복을 주기적으로 검사해서 그들이 예상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고 전복에게 별다른 일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각 컨테이너에서 (먹이공급 포트를 통해서나 컨테이너를 개방하여) 전복을 육안으로 검사하는 동안, 먹이 분배기를 보충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약 한달마다 컨테이너를 물에서 모두 꺼내야 한다. 그러나, 중간에 전복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우수 실행 방안이며, 이는 무작위로 컨테이너 (가령, 며칠마다 또는 매주마다 랜덤하게 각 주낙에 있는 컨테이너)에서 전복을 정기적으로 검사하여 수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 동안, 주낙 상의 단일 컨테이너를 회수하고, (가령, 구멍을 통해, 먹이 분배기를 떼어내고 먹이공급 포트를 통해 컨테이너를 들여다보거나 컨테이너를 개방하여) 그안의 내용물을 검사할 수 있다. 검사한 컨테이너 안의 전복이 예상한대로 성장한 경우는, 주변 컨테이너의 전복도 합리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인 검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지만, 필요한 일부의 노력만으로도 충분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컨테이너는, 유리하게는 잠수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유지 정비 보트나 선박에 배치하거나, 그에 의해 회수할 수 있다. 더욱 유리하게는, 주낙은 조수 간조 및 조류에 따라 컨테이너가 부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저에 드리워진 그림자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시설의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게다가, 컨테이너가 해수면 아래에 매달려 있으므로, 컨테이너를 통한 물의 이동이 최대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양식장과 비교시, 더 많은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는 보트 또는 선박의 측면을 오버행하는 회수 장치를 사용하여 회수할 수 있다. 회수 장치는 컨테이너를 물 밖으로 들어 올리거나,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을 검사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보트의 갑판 위에 배치하고, 추후에 컨테이너를 물속에 반환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회수 장치는 주낙과 맞물려, 바람직하게는 주낙으로부터 분리할 필요없이 보트 위에서 사람이 그에 부착된 컨테이너에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한 높이까지, 주낙을 물 밖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회수 장치는 또한 컨테이너를 갑판 위에 위치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데, 이때, (가령, 갑판 위에 앉아서 보트의 측면에 매달려 있지 않은 동안 컨테이너에서 개방하여) 전복을 매우 편리한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다.
회수 장치는 전술한 기능을 달성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회수 장치의 특정 형태를 단지 예로서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탱크 시스템(10)은 2개의 베이스부 폭과 4개의 베이스부 길이를 지닌 어레이로 배열된 8개의 조립식 베이스부(12)를 갖는다. 중앙 홈통(14)은 베이스부 어레이를 절반으로 분할한다. 각 베이스부(12)는 폭이 약 5m이고, 길이가 약 9 m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때, 전체적으로 16으로 도시한 8개의 채널이 제공되며, 각각의 채널은 약 2.5m의 폭과 약 18m의 길이를 갖는다. 각 베이스부(12)의 바닥은 약 150㎜의 두께를 가지며, 이는 강도 대 중량의 적절한 균형을 제공한다.
각 베이스부(12)는, 이 베이스부(12)의 길이에 대해 연장되고 인접한 베이스 상의 대응하는 벽과 정렬되어, 그 사이에 채널(16)을 규정하는 전체적으로 벽(18)으로 도시한 3개의 직립벽을 갖는다. 벽(18)은 약 150㎜ 높이를 가지며, 이는 전복이 이동하고, 먹이를 먹고, 성장하도록 채널(16) 내에는 약 70㎜ (도 2 참조)의 수심이 쉽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벽(18)의 상부는 레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레일을 따라 자동화된 먹이공급기가 이동할 수 있다. 벽(18)의 구조는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조립식 베이스부(12)는 콘크리트에 의해 블록으로 성형되고 약 10 톤의 중량을 가지므로, 종래의 장비를 사용하여 운반 및 조립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복이 서식하게 될 베이스부(12)의 표면은 전복에게 은신처를 제공하는 리지(ridg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제조 공정 중에 만들어지며, 예를 들어 채널(16)을 따라 물의 흐름을 돕도록, 채널에서 횡방향으로, 또는 종방향 등의 다른 배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벽(18)의 상부는 전복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코팅(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도 6 참조)에서, 베이스부(112)는 약 10m의 폭 및 9m의 길이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탱크 시스템(10)과 유사한 8채널 탱크 시스템(110)은 4개의 베이스부(112)만 필요하다. 탱크 시스템을 제조하는데 보다 적은 수의 베이스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더 큰(따라서, 더 무거울 수 있는) 구성 요소를 운반하고 설치하는데 따르는 어려움을 고려해서 이러한 장점을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탱크 시스템(10(및 110))은 기존의 슬랩 탱크 건설 방법(즉, 콘크리트 주입)과 비교할 때 건설 효율뿐만 아니라, 전복 양식(후술하는 바와 같이)에 있어서 탱크 시스템(10)의 작동 및 지속적인 유지 보수를 제공할 수 있다. 탱크 시스템(10)은 플레이트 탱크를 통해 약 25㎜의 크기까지 어린 전복을 양식하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며, 이후 수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추가 성장을 위해 바다 시설에 배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바다 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어린 전복은 탱크 시스템(10)에서 시장성 있는 크기로 성장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조립식 베이스부(12)(및 112)는 탱크 시스템(10)(및 110)의 기타 구성 요소, 예컨대 베이스부에 대한 배관 구성 요소, 전기 구성 요소 또는 탱크 시스템의 기타 부분들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 요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그의 제조 과정 중에 조립식 베이스부 내에 블록 성형될 수 있다.
조립식 베이스부(12, 12)는 도 1에 확대한 형태로도 도시된 연결부(20)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연결부(20)는 오버행-언더행 배열을 가지며, 베이스부(12)의 한쪽 테두리 상의 돌출부(22)는 인접한 베이스부(12)의 테두리 상의 립(24) 위에 수용된다. 연결부(20)의 중첩 정도는 전형적으로 약 50㎜이며, (일부 환경에서는 연결부(20)가 도시하지 않은 시일을 구비할 수 있으나) 연결부(20)에 가해지는 압력은 대개 수밀성을 갖기에 충분하다. 연결부(20) 같은 연결부는 측벽(18, 18)으로 인해 이들 부분 간에 수밀 연결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측방향으로 인접한 조립식 베이스부(12, 12)를 연결시킬 필요는 없다. 인접한 베이스부(12, 12)는 클램프 또는 기타 파스너(도시 생략)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또는 그의 중량으로 인해 각각 제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다.
각 베이스부(12)의 말단은 벽을 갖고 있지 않지만, 개방단으로 되어 있어, 후술하는 방식으로 양단 홈통(26, 26) 및 중앙 홈통(14)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단 홈통(26, 26) 및 중앙 홈통(14)은 채널(16)에 대한 물의 공급 및 물의 배수 모두를 제공한다. 사용시에, 물은 채널(16)을 통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일방향으로, 다음에 또 다른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물의 흐름은 조수를 모방한 것이며, 채널(16)을 세척할뿐만 아니라, 전복에게 골고루 먹이와 산소를 공급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양단 홈통(26) 및 베이스부(12, 12)의 주변 부품이 크게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양단 홈통(26)은 탱크 시스템(10)에 물을 공급하고 그로부터 물을 배수한다. 양단 홈통(26)은 조립식 베이스부(12, 12)의 테두리와 밀봉 결합되어, 홈통이 4개의 모든 채널(16)과 유체 연통된다. 홈통(26)은 제 1종방향 벽(28) 및 제 2종방향 벽(30)을 갖는다. 제 1벽(28)은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 12)의 밑면 테두리와 결합하기에 적합하며, (즉, 양단 홈통이 그의 작업 형태로 있는 경우) 제 2벽(30)보다 낮다. 이들 높이 차는, 물이 벽(30)(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로 넘칠 수 없게 하면서, 홈통(26)이 채널(16)과 유체 연통됨과 아울러, 채널 내에 물이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양단 홈통(26)은 칸막이(32, 도 3참조)도 포함하는데, 이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단 홈통(26)에 대해 조립식 베이스부(12, 12)를 적절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벽(18)과 정렬되며, (채널(16, 16)의 교차 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하나의 채널(16)로부터 다른 채널(16)로의 물의 흐름을 방지한다. 또한, 양단 홈통(26)은 그 말단 테두리에, 물이 시스템(10)을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12, 12)의 대응하는 테두리에서 벽(18, 18)과 정렬되는 융기 단부(34, 34)를 포함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통(26)의 중앙 칸막이(32)는 벽(28)을 지나 위로 연장되며, 인접한 베이스부(12, 12)의 벽들(18, 18) 사이의 갭 내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는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열은 베이스부(12, 12)와 양단 홈통(26)뿐만 아니라, 서로 간의 적절한 (수밀) 정렬을 보장할 수 있다. 홈통(26)의 중앙 칸막이(32)가 벽들(18, 18) 사이의 갭 내에 수용되고, 각 베이스부(12, 12)의 다른 벽들(18, 18)이 중앙 칸막이(32, 32) 및 융기단(34, 34)과 각각 맞닿아 정렬될 때, 베이스부(12, 12)와 양단 홈통(26)은 서로 적절히 정렬된다.
홈통(26)의 중앙 칸막이(32)와 인접한 베이스부의 벽들(18, 18) 사이의 갭은 또 다른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탱크 시스템(10)의 4개의 최외측 채널(16)을 육안으로 검사하는 것은 조작자에게 있어서 비교적 간단한 문제가 된다. 그러나, 4개의 최내측 채널(16)은 시스템(10)의 테두리로부터 2.5m 이상 떨어져 있어, 검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조작자가 4개의 최내측 채널들(16) 사이를 걸어 다닐 수 있도록, 탱크 시스템(10)의 중심을 따라 통로(도시 생략)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벽(18)과 칸막이(32, 34)가 모두 약 150㎜의 폭을 가짐에 따라, 중앙벽(즉, 좌측 및 우측 베이스부(12, 12)의 벽(18, 18) 및 그 사이의 칸막이(32)을 포함)의 전체 폭은 약 450㎜가 되며, 이 폭은 걸어 다니기에 충분할 정도로 넓다. 대안적으로, 좌측 및 우측 베이스부(12, 12)의 벽들(18, 18) 사이에 수용되는 밑면 상의 리브와 함께 통로(도시 생략)를 시스템(10)의 중앙부 상에 제공함으로써, 통로를 지지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파이프(36, 도 2참조)가 제공되어, 양단 홈통(26) 내로 해수의 흐름을 전달한다. 하나의 파이프만 존재하는 경우, 물이 칸막이(32) 아래로, 이어서 각 채널(16)로 유동하기 위해, 칸막이(32)는 홈통(26)의 바닥 끝까지 연장되어서는 안된다(도 2 참조). 대안적으로, (이것은 더 많은 기반시설을 수반함에도 불구하고) 파이프(36)를 각 채널(16)마다 제공할 수 있다. 물이 양단 홈통(26, 26)으로부터 채널(16, 16, 16, 16) 내로 흘러갈 때, 파이프 또는 파이프들(36)로부터 흘러나오는 해수의 체적은 채널을 통한 적절한 유속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채널 내에 적절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양단 홈통(26)은 홈통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체적의 해수를 배출하도록 개방 가능한 배수구(또는 배수구들)(37)를 포함한다. 물의 흐름이 역류되어 물이 채널(16, 16, 16, 16)로부터 양단 홈통(26, 26) 내로 흐르는 경우, 배수구(37, 37)을 통해 배수되는 해수의 체적은 채널을 통해 적절한 유속을 제공하도록 (그리고, 채널 내에 적절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양단 홈통(26)의 벽(28, 30) 및 베이스는 약 1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조립식 베이스부(12)와 마찬가지로, 블록 성형된 콘크리트일 수 있다. 시스템(10)은 또한 전복이 양단 홈통(26)(및 중앙 홈통(14)) 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격벽 또는 격자(grate)(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중앙 홈통(14)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양단 홈통(26, 26)과 같이, 중앙 홈통(14)은 인접한 베이스부(12, 12) 어레이의 전체 폭에 걸쳐 있고, 탱크 시스템(10)에 물을 공급하고 그로부터 물을 배수한다. 중앙 홈통(14)의 각 테두리벽(38, 38)은 정렬된 조립식 베이스부(12, 12)의 테두리 하부를 수용하여 밀봉 결합될 수 있어, 중앙 홈통(14)은 시스템(10)의 모든 채널(16)과 유체 연통된다.
양단 홈통(26)과 마찬가지로, 중앙 홈통(14)은 또한, 상기 벽(18)과 정렬되고 그에 맞닿아 있거나 수용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채널(16)로부터 다른 채널(16)로의 물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전체적으로 39와 40으로 도시한 칸막이를 갖는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칸막이(40)는 양단에서 (즉, 양단 홈통(26, 26)의 중앙 칸막이(32, 32)와 관련하여) 베이스부(12, 12)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하도록, 인접한 베이스부(12, 12)의 벽들(18, 18) 사이에 위치된 리세스 내에 수용된다. 일단 정렬되면, 중앙 홈통(14)과 채널(16)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방수 시일이 형성된다.
도 5에서, 중앙 홈통(14)은 물 유입구(41, 41) 형태의 급수 수단 및 배수구(42) 형태의 배수 수단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물 유입구(41) 및 배수구(42)는 채널(16)을 통한 물의 흐름의 원하는 방향을 달성하기 위해, (양단 홈통(26, 26)의 등가 특징과 조합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파도 발생기(44)가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물에 파도를 생성하여 채널 안에 수집된 잔해 및 쓰레기를 제거함으로써, 채널(16)을 세척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작동할 수 있는 회전통(46)을 포함한다. 채널(16)의 정기적인 세척은 전복을 건강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전복의 근육량을 향상시키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파도 발생기(44)는 중앙 홈통(14) 상부에 위치된 선반(ledge)(48) 위에 배치되어 있어, 파도가 (도 5에서 보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중앙 홈통의 어느 한쪽에서 채널(16)을 세정한다. 대안적으로 (및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홈통(26, 2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 위에 파도 발생기(44)가 대신 (또는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파도는 채널(16)을 통과하여 중앙 홈통(14) 내로 흘러가게 된다.
파도 발생기(44)는 회전통(46)을 해수로 채우기 위한 탭, 호스 등(도시 생략)의 수단을 포함한다. 회전통(46)은 회전 가능하고, 그로부터 물을 신속하게 방출시키는 큰 구멍(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자는 회전통(46)을 해수로 채운 다음, 회전통(46)을 빠르게 회전시켜 물을 원하는 채널(16)내로 방출할 수 있다. 이 조작은 적절한 기반시설이 제공된 경우,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회전통(46)은 어느 방향으로든 파도를 생성할 수 있도록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통(46)은 불안정한 형태로 제공되어, (가령, 물의 연속적인 공급을 통해) 회전통(46)을 채우면, (일단 그 안에 일정한 체적의 물이 들어 있는 경우) 회전통(46)은 때때로 기울어짐으로써, 주기적인 파도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도 발생기(44)는 인접한 채널들(16) 사이에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선반(48) 위에 구비된 레일(5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작자는 회전통(46)을 사용하여 제 1채널(16)을 세정할 수 있고, 다음에 회전통이 제 2채널(16) 위에 위치될 때까지 레일(50)을 따라 회전통(46)을 밀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을 반복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파도 발생기는 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파도 발생기는 이동 가능한 스프레이 젯에 의존하여 파도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파도 발생기는 기중기 등에 장착된 스프레이 젯을 포함하며, 기중기는 채널(또는 채널들)(16)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사용시, 조작자는 채널(16)의 일단에 기중기를 위치시키고, 스프레이를 작동시킨 다음, 채널(16)의 길이를 따라 기중기를 이동시키게 된다. 스프레이는 파도가 발생할 수 있도록 이동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게다가, 스프레이의 방향은 사용자가 구성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는 채널(16)을 따라 반환 이동을 위해 스프레이를 반대 방향으로 배향시킬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기중기는 벽(18)의 꼭대기에 배치된 레일과 같은 레일(도시 생략) 위에 배치될 수 있다.
탱크 시스템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탱크 시스템(110)의 형태로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탱크 시스템(110)은 하나의 베이스부(112)의 폭과 4개의 베이스부(112)의 길이를 지닌 어레이로 배열된 4개의 조립식 베이스부(112)를 갖는다. 중앙 홈통(114)은 베이스부의 어레이를 절반으로 분할한다. 각 베이스부(112)는 폭이 약 10m이고, 길이가 약 9m이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때, 각 절반부에서 약 2.5m의 폭을 갖는 4개의 채널이 제공된다 (즉, 시스템(100)은 총 8개의 채널(116)을 갖는다). 또한, 탱크 시스템(110)은 중앙 홈통(114) 및 양단 홈통(126, 126) 상부에 위치된 3개의 파도 발생수단(144)을 포함한다.
탱크 시스템(110)의 조립식 베이스부(112)는 지면에 직접 놓이는 것이 아니라, 상승된 위치에 놓인다. 이러한 배열은 중앙 홈통(114) 및 양단 홈통(126, 126)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기초를 준비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유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번호 160으로 도시한 스크류 지주 같은 지주를 사용하여, 준비 레벨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건설 중에, 스크류 지주(160)는 준비 레벨까지 지면 내에 나사 결합되고, 그 후 조립식 베이스부(112)는 스크류 지주(160)의 상부에 (별도로 또는 함께) 놓인다. 스크류 지주(160)는 조립식 베이스부(112)가 전술한 방식으로 홈통에 대해 위치된 상태에서, 중앙 홈통(114) 및 양단 홈통(126, 126)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기도 한다. 각 스크류 지주(160)의 상대 높이는 탱크 시스템(110)의 전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균일한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지주(160)를 지면 내에 나사결합하거나 그로부터 풀어서 조절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탱크 시스템(210)에서, 전체적으로 216으로 도시한 8개의 채널에 물의 흐름을 공급하는 급수 및 배수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급수 시스템(200)은 1차 공급 라인(270)을 갖는다. 1 차 공급 라인(270)은 대개 바다에서 물을 직접 끌어 올린다. 또한, 급수 시스템(200)은 어떠한 이유로 인해 1차 공급 라인(270)이 고장나거나 부적합한 물의 흐름을 제공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용 2차 보조 라인(280)도 포함한다. 1차 공급 라인(270) 및 2차 보조 라인(280)은 급수 및 배수 양단 홈통(226, 226)과 급수 및 배수 중앙 홈통(214)의 모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배수 시스템(200)은 전체적으로 292로 도시한 제어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전체적으로 290으로 도시한 배수 출구를 포함한다. 배수 출구(290)는 하나 이상의 접근용 맨홀(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배수 수제들(drainage spurs)(294) 내에 넣어져 있다. 배출 수제(294)는 하나 이상의 침전지(또한 도시 생략)에 넣어지며, 여기서 물은 바다로 반환되기 전에 (필요한 경우 처리한 후) 저장할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탱크 시스템(10)(또는 110 또는 210)의 예시적인 어레이가 도시되어 있다. 탱크 어레이는 창고(60)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전체적으로 10으로 도시한 6개의 탱크 시스템을 포함한다. 창고(60)는 예를 들어, 전복이 좋아하는 어두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창고(60)는 하나 이상의 도어(64)에 의해 접근할 수 있는 작업 및 보관 영역(62)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한 급수 및 배수 시스템을 사용하여, 창고(60) 내부의 모든 탱크 시스템(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9에는 튜브(300),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2에는 튜브(301)의 형태로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가 도시되어 있다. 튜브(300 및 301)는 이들이 갖고 있는 먹이공급 포트의 수에 관한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며, 여기서 튜브(300)는 3개의 먹이공급 포트를 갖고 튜브(301)는 하나의 먹이공급 포트만 갖는다. 튜브(300 및 301)의 공통적인 특징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튜브(300 및 301)는 약 570㎜의 내부 직경과, 약 2200㎜의 길이를 갖는 튜브 형상이다. 그러나, 튜브(300/301)의 형상은, 그의 의도된 용도에 따라 구성할 수 있으며, 구형 등일 수 있거나, 비원형(가령, 타원형, 삼각형, 정사각형 등) 단면일 수 있다. 튜브 형상은, 대개 튜브가 그것을 통한 물의 흐름을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류 및/또는 해류와 정렬된 상태에서, 튜브(300/301)를 통한 물의 유동을 허용하면서, 취급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튜브(300/301)는 사람이 소비하는 전복이 오염될 위험을 없애기 위해, 폴리에틸렌 같은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식품 등급 폴리에틸렌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전복은 어두운 환경을 선호하기 때문에, 튜브(300/301)는 검정색(적어도 내부)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튜브(300/301) 외부를 눈에 띄는 색으로 칠하면, 보다 시각적으로 뚜렷해져서 물 속에서도 쉽게 배치할 수 있다.
튜브(300/301)는 2개의 절반부인 상반부(302)와 하반부(304)를 포함한다. 상반부(302)와 하반부(304)는 전체적으로 힌지(306)로 도시한 힌지들에 의해서 한쪽 테두리를 따라 연결된다. 힌지(306)는 PVC 또는 PE 힌지 로드를 갖는 일체형 힌지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300/301)는 전복의 세척, 유지 보수 및 수확을 위해 그의 내부를 접근할 수 있도록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상반부(302)와 하반부(304)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튜브(300/301)를 동일한 플라스틱 사출 또는 회전 금형으로 제조한다 (튜브는 오버행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단일 플라스틱 사출 또는 회전 금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이한 보관을 위해 개방 형태일 때, 빈 튜브(300/301)를 함께 적층할 수 있다.
또한, 튜브(300/301)는 전체적으로 래치(308)(도 10 참조)의 형태로 도시한 것으로, 튜브(300/301)를 폐쇄 형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해제 가능한 기계식 인터락을 포함한다. 각 래치(308)는 상반부(302)의 테두리 위에 대응하는 리세스(312) 내에 수용되는 (또는 그 반대로), 하반부(304)의 테두리 위에 수-갈퀴(male prong)(310)를 포함한다. 갈퀴(310) 상의 텅은 리세스(312) 내의 대응하는 홈에 의해 유지되어, 일단 폐쇄 형태에서, 튜브(300/301)을 개방하려면, 동시에 밀면서 여는 동작(특히 개방되는 다수의 래치(308)가 있을 때 우연히 수행될 가능성은 거의 없음)이 필요하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래치(308)는 사용시 손상을 피하고, 바다속에서 또는 적재/하역되는 동안 우연히 개방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오목하게 되어 있다.
튜브(300/301)의 벽은 그 사이에 공동을 규정하는 것으로, (도 9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외층과 (도 10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내층을 갖는 이중층 구조이다. 이 공동은 튜브(300/301)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반부(302) 및 하반부(304)에 구비된 플러그(314)를 갖는 구멍을 통해서, 물, 공기, 모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채울 수 있어, 상기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내층 및 외층은 모두, 벽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동 안에서 서로 맞닿는 다수의 오목홈(일반적으로 315로 도시함)을 포함한다. 오목홈(315)은 전체적으로 원추형일 수 있으며, 이는 강도를 추가로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튜브(300/301)는 각 절반부(302, 304)의 각 선단에 전체적으로 316으로 도시한 2개의 리프팅 러그를 갖는다. 리프팅 러그(316)는 튜브 벽과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속에서 튜브(300/301)를 매달고 및/또는 튜브를 회수 및 배치하기 위해 로프 또는 기타 부착 수단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한다. 도 9 및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프팅 러그(316, 316)는 또한, 원형의 튜브(300/301)가 표면(가령, 보트의 갑판) 위에 안착될 때,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300)의 각 절반부가 적어도 2 개(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의 지면과의 접촉점을 만들기도 한다.
튜브(300/301)는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이 성장하는 동안 해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물기둥에 매달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검사를 접근하기 쉽고 조류 및 해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 크며, 포식자와 생물 부착에 덜 취약하다). 튜브(300/301)의 상반부(302)는, 튜브가 주낙(후술함)으로부터 바다에 매달려 있는 밧줄(도시 생략)을 수용하기 위해 각 선단에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318로 도시한 구멍을 갖는다. 밧줄은 구멍(318)을 통해 끼우며, 선원의 매듭과 같은 견고한 매듭을 사용하여 튜브(300/301)를 밧줄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밧줄은 구멍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튜브(300/301)가 해류에서 상하로 표류하게 한다. 구멍(318)은 밧줄과 맞물리도록 사용시 상방으로 배향된다. 전체적으로 319로 도시한 대응하는 구멍을, 예를 들어 무게추가 부착될 수 있는 하반부(304)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반부(302) 및 하반부(304)의 내부면은 전체적으로 320으로 도시한 다수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포함한다. 리브(320)는 사료의 수거를 가능케 하고 전복이 쉴 수 있는 장애물을 제공함으로써, 전복의 서식을 촉진한다.
또한, 리브(320)는 튜브(300/301)의 구조적인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튜브(300/301)는 물이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도 포함한다. 튜브(300/301)는 전체적으로 326으로 도시한 다수의 측면 구멍뿐만 아니라, 선단 구멍(322 및 324)을 포함한다. 전복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멍(322, 324 및 326)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그물망(328)로 도시한 그물망에 의해 구멍이 덮인다 (도 9에서 그물망(328)은 선단 구멍(322)를 덮는다). 그물망(328)은 사용시에 그를 통해 물이 유동하도록 하지만, 전복이 통과하기에는 너무 미세하다. 그물망(328)은 내부식성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며 전복이 (전술한 방식으로) 방목에 의해 스스로 세척할 수 있는 두께와 기공 크기를 갖는다. 그물망(328)은 그의 원주 둘레에 고무 링(번호 표시 생략)을 갖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로 제공된다. 고무 링은 상반부(302) 및 하반부(304)의 양단에 배치되는 리세스(330, 330)에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0 및 도 12 참조). 각 리세스(330)는 그물망(328)를 충격 및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튜브(300/301) 내부에서, 내부의 짧은 거리에 배치된다. 일단 튜브(300/301)가 닫히면, 전복용 인클로저가 그 사이에 형성된 상태에서, 그물망(328)의 선단이 리세스(330) 내에 견고하게 유지된다.
튜브(300)의 상반부(302)는 또한 332, 332 및 332로 도시한 것으로, 각각 먹이 분배기(후술함)가 수용되는 3개의 먹이공급 포트도 포함한다. 먹이공급 포트(332, 332 및 332)는 튜브(300)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튜브(301)의 상반부(302)는 332로 도시한 것으로, 중앙에 배치되는 하나의 먹이공급 포트를 포함한다. 각 먹이공급 포트(332)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먹이 분배기가 튜브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연장될 수 있는 나사산(도시 생략)을 갖는다. 먹이공급 포트(332)가 먹이 분배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우는, 마개 또는 나사식 스토퍼(도시 생략) 같은 분리가능한 스토퍼로 이들 포트를 막을 수 있다.
이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튜브(300/301)는 접힌 코플루트 시트(334)의 형태로, 튜브 내부에서 전복이 이용할 수 있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300/301) 내부의 이용 가능한 표면적은 전복을 담지하는 튜브의 능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시트(334)는 납작하게 접힌 유형의 형태로 접히며, 크로스 바(336)의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전형적으로는, 이 길이의 튜브에 대해 3 개)만큼 튜브(300/301) 내의 제 위치에 배치되어 유지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334)는 튜브(300/301) 내에 매달려 있으므로, 튜브 내벽의 전복 수용 능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다. 크로스 바(336)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튜브의 내부와 맞물린다. 시트(334)의 크기 및 튜브(300/301)의 길이에 따라서, 튜브 내부의 이용 가능한 표면적을 최대화하도록, 하나 이상의 시트(334)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한 많은 수의 전복을 그 안에 담을 수 있도록, 튜브(300/301) 내에는 최대 표면적이 제공된다. 또한, 납작하게 접힌 유형의 부재는 전복이 숨을 수 있고, 사료가 모이는 모퉁이와 틈을 제공하여, 전복에게 이상적인 양식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유리하게는, 시트(334)가 펼쳐질 때 실질적으로 평평한 단일 부재의 형태로 제공되므로, 튜브(즉, 하나의 부재)에서 분리하기 쉽고, 일단 펼쳐지면, 그로부터 전복을 떼어내기 쉽다(전복이 숨을 만한 구석이 없다). 튜브(300/301)의 종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시트(334)의 배향은 충분한 체적의 과산화 해수가 튜브를 통해 유동할 수 있게 한다.
도 13은 전개된 구성으로, 그리고 시트(337)의 형태로, 시트(334)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시트(337)는 시트(334)와 유사한 구성 및 형태(접었을 때)를 가지며, 그렇지 않으면 그 위에 있는 약간 상이한 구성(후술함)을 제외하고는 시트(334)와 동일하다. 시트(337)는 전체적으로 338로 도시한 다수의 예비 접음선을 가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형태로 쉽게 접을 수 있다. 예비 접음선(338)은 임의의 적절한 가열 또는 초음파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건설 동안 시트(337, 및 시트(334))에 부여하거나, 현장에서 추가할 수 있다. 시트(337 (및 334))는 전체적으로 342로 도시한 비교적 넓은 패널 부분들 사이에서, 전체적으로 340으로 도시한 비교적 얇은 연결 스트립을 포함한다. 연결 스트립(340)은 인접한 패널 부분(342, 342) 사이에 거리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폭을 가짐으로써, (접었을 때) 전복은 방해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한다.
또한, 시트(337)는 그를 통해 전복, 사료, 과산화 수소수 등을 통과시키는, 전체적으로 344로 도시한 비교적 큰 구멍의 어레이도 갖는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큰 구멍(344)은 각 패널 부분(342)이 2개의 구멍(344)을 포함하도록 배열되고, 각 연결 스트립(340)은 3개의 구멍(344)을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346으로 도시한 작은 구멍은, 접은 시트가 전술한 바와 같이(도 12참조), 튜브(300/301)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시트(337)(또는 334)가 접힌 형태로 있을 때, 그를 통해 크로스 바(336)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배치된다.
또한, 시트(337)는 인접한 패널 부분(342, 342)을 서로에 대해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파스너(348)(명료화를 위해 도 13에는 하나의 파스너만 도시함)를 가지므로, 사용시에 접힌 시트를 가압할 수 있는 다른 힘에 관계없이, 도 11 및 12에 도시한 납작하게 접힌 유형의 배열에서 시트(337)(또는 334)를 유지한다. 패널 파스너(348)는 패널 부분(342, 342)이 슬롯 및 탭 배열을 통해 함께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해제 가능한 기계식 인터락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인접한 패널(342)의 전체적으로 슬롯(352)으로 도시한 각각의 슬롯 내로 파스너(348)를 삽입할 수 있도록, 패널 파스너(348)는 내측으로 접힐 수 있는 탭(350)을 갖는다. 일단 슬롯(352)을 통과하면, 탭(350)은 탄성적으로 전개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로 인해 파스너(348)가 너무 커서 슬롯(352)을 통해 다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파스너(348)를 슬롯(352)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시 접을 수 있는 상태에서, 파스너(348)는 패널 부분(342)과 일체화되도록 가압 절단된다. 대안적으로, 그 위에 있는 전복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해 시트(334)를 튜브(300/301)에서 떼어낼 경우, 비록 상기 배열이 패널 및/또는 파스너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해도, 파스너(348)는 인접한 패널 부분(342)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334/337)는 사용시에 튜브(300/301)의 원형 내부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는 외부 프로파일을 규정하도록 접힐 수 있다. 이와 같이, 패널(342)의 폭이 변화함으로써, 시트(334/337)의 테두리를 향해 점차 좁아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시트(334 및 337)는 경량이고 내구성 있는 코플루트 재료로 제조된다. 코플루트의 바람직한 방향은 절개 부(354)로 도시되어 있다 (도 13 참조). 이러한 방향은, 유리하게는 시트(334/337)의 연신 강성을 허용하며, 잠수했을 때 임의의 포획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한다. 코플루트 재료는 식품 등급의 물질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전복은 어두운 환경을 좋아하므로 흑색일 수 있다.
전복 성장 기간의 끝에서, 접힌 시트(334/337)를 튜브(300/301)의 내부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즉, 물에서 일단 제거하여 개방할 수 있고), 실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이 제공되도록 전개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복을 접힌 표면에서 보다는 평평한 표면에서 떼어내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튜브(300/301)는 잠수 형태의 바다 전복 양식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길이가 약 25㎜인 3천마리 이상의 어린 전복을 튜브 속에 넣고, 적절한 제조 사료를 규칙적으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 1-2 주마다) 공급할 수 있다. 약 1 년 후, 전복은 약 50㎜ 길이로 성장한 다음, 튜브에서 떼어낼 준비가 되고, 크기에 따라 등급이 매겨지며, 약 50㎜ 길이의 전복 약 1800마리를 다시 튜브(반드시 같은 튜브일 필요는 없다)에 적재한다. 다음에, 갓 적재한 튜브는 다시 약 12 개월 동안 바다 양식장에 다시 잠수시킨다. 이 시간이 지나면, 튜브를 열고 직경이 약 90㎜에 이르는 성숙한 전복을 떼어내서 시장에 팔 준비를 한다.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튜브(300/301)와 함께 사용하는 먹이 분배기가 분배기(400)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분배기(400)는 (후술하는 방식으로) 튜브(300)의 먹이공급 포트(332)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402) 및 뚜껑(404)을 갖는다. 도 14 및 15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뚜껑(404)은 폐쇄 위치(도 14)와 개방 위치(도 15)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일단 뚜껑(404)이 열리면,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배기(400)의 내부(406)에 접근할 수 있다. 뚜껑(404)은 힌지(408)를 따라 분배기(400)에 결합되고 일반적으로 개방 위치를 향해 편향되어 있어, 분리시 신속하게 개방되면서, 도 15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한다. 뚜껑(404)은 분배기(400)에서 전체적으로 412로 도시한 상보형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탭을 갖는다. 탭(410)에서 볼 수 있는 립이 리세스(412) 안에서 상보형 돌출부(도시 생략)와 상호 작용하여, 돌출부가 이동될 때까지 뚜껑(404)은 닫힌 채로 유지되며, 그 후 뚜껑(404)은 스프링 탄성에 의해 열린다.
뚜껑(404)이 닫힌 채로 유지되는 시간의 길이는, 가령 충전된 분배기(400)를 튜브(300/301)의 먹이공급 포트(332)와 결합하기 직전에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뚜껑(404)이 닫힌 채로 유지되는 시간은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분배기(400)는 타이머(도시 생략), 및 뚜껑(404)이 열릴 때까지의 시간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분배기 몸체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형 외피(414)를 포함한다. 조작자가 원하는 기간을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416으로 도시한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표식은, 예를 들어 타이머에 의해 뚜껑(404)이 개방될 때까지의 시간, 날짜 또는 주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전형적으로, 표식은 1, 2, 3 또는 4 주, 그러나, 최대 5 주까지의 기간을 나타내게 된다.
이제 도 16을 참조하면, 분배기(400)의 양단이 도시되어 있으며, 분배기는 이를 쉽게 옮길 수 있도록 오목부(번호 표시 생략) 및 핸들(418)을 포함한다. 분배기(400)는 또한 밸브(420)도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후술하는 이유로 공기를 내부(406)에 펌핑할 수 있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면, 분배기의 내부(406) 및 작업상황을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분배기(400)의 단면도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전복의 먹이를 담고, 이어서 신속하게 먹이를 분배하는 내부 챔버(422)는 분배기(400) 내부에 규정되어 있다. 내부 챔버(422)는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4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뚜껑(404)이 열릴 때, 하방으로(도 17 참조) 신속하게 이동함으로써, 그 안에 들어 있는 사료를 챔버(422)로부터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사료가 수중 환경에서 전개되고 일단 뚜껑(404)이 열리면서 물이 신속하게 챔버(422) 내로 유입됨에 따라, 일반적으로는, 물의 유입으로 인해 모든 사료가 분배되지 않도록 사료를 빨리 배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424)는 스프링 기구를 통해 또는 (가령, 밸브(420)를 통해 펌핑되는) 압축 공기를 통해서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서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런저(424)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내부 챔버(422)가 공기로 압축되어 있으면, 뚜껑(404)이 열릴 때 공기 및 그에 동반된 전복의 먹이가 챔버(422)로부터 매우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분배기(400)는 튜브(300)의 상반부(302)의 먹이공급 포트(332)에 나사 결합되고 (뚜껑이 개방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브(301)를 대신 도시할 수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배기(400)의 나사부(402)의 두께는 튜브(300)의 벽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여, 그 사이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평면이 제공된다 (이는 생물 부착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개방 형태에서, 뚜껑(404)은 (가령, 검사 및 재충전 중에) 소모된 분배기(400)를 튜브(300)에서 떼어내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된다. 조작자가 해야 할 일은 튜브(300)로부터 분배기(400)를 풀어 튜브(300)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것뿐이다.
전복은 튜브(300)의 내부 전체에 걸쳐서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분배기(400)의 개구를 그 위에 또는 그에 걸쳐서 위치되는 전복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며, 이는 분배기의 뚜껑(404)이 열리지 않게 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은 전형적으로, 전복이 아닌 물과 먹이만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그물망 재료로 만들어진 보호막(426)를 사용하는 것이다. 보호막(426)은, 예를 들어 전복이 유사한 방식으로 그 위를 기어갈 수 있고 세척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종류의 스테인리스 스틸 그물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튜브(300)의 내벽과 맞닿는 보호막(426)의 테두리는 그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이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융기된 테두리에서 생물 부착이 일어날 수 있다. 보호막(426)을 만드는 재료가 충분히 얇으면, 이것이 필요하지 않을지라도, 보호막(426)의 테두리는, 예를 들어 튜브(300)의 내벽으로 약간 오목하게 될 수 있다.
사용시, 조작자는 전복의 먹이가 채워져 있고 뚜껑이 닫힌 적절한 분배기(400)를 선택하게 된다. 분배기는 예를 들어,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의 (가령, 특정 크기의 전복에 적절한) 유형 또는 양을 나타내거나 뚜껑(404)이 열리기 전에 시간 지연을 나타내기 위해 색상으로 코드화할 수 있다. 튜브(300)가 3개의 먹이공급 포트(332)를 갖는 실시예에서, 조작자는 3개의 적절한 분배기(400)를 선택하여 이들을 각각의 포트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분배기는 스냅 끼워 맞춤, 착탈식 끼워 맞춤, 마찰 끼워 맞춤 등을 통해 먹이공급 포트에 견고하게 수용될 수 있다.
각각의 분배기(400)는 그의 뚜껑을 열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튜브(300)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분배한다. 예를 들어, 적색 분배기는 1 주 후에, 주황색 분배기는 2 주 후에, 녹색 분배기는 3 주 후에 그 뚜껑을 열도록 할 수 있다. 녹색 분배기의 뚜껑이 열린지 일주일 후, 튜브(300)는 물에서 떼어내도록 계획되어 있으며, 그 안의 전복을 점검하고, 소모된 3개의 분배기(400)는 새 분배기(400)로 교체하게 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분배기(400)는 적절한 신호의 수신시에 뚜껑(404)를 개방시키는 신호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외부 소스(가령, 전복 양식장을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한 신호를 이용하여 튜브(300/310) 안에서 전복에게 먹이를 주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분배기(400)는 또한, (가령, 뚜껑(404)이 열리지 않는 등의) 미리 결정된 사건이 발생하면,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다시, 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의 수신시에 예를 들어, 전복에게 먹이를 주고 오작동하는 분배기를 교체하기 위해 튜브(300/301)를 계획대로 회수하는 적절한 경고가 트리거된다.
이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전복을 양식하기 위한 바다 양식장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주낙(500)은 콘크리트 블록(502)(또는 기타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양단이 해저에 고정된다. 전체적으로 부구(504)로 도시한 다수의 부구가 주낙(500)의 길이를 따라 위치되고, 수면 바로 아래의 원하는 거리에서 주낙(500)을 유지한다. 다수의 튜브(300)(대신에, 또는 추가로 튜브(301)를 사용할 수 있다)는 주낙(500)에 묶여 수면 아래에 매달려 있다. 주낙(500)은 임의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길이가 약 100m이다. 6개의 부구(504)는 인접한 부구들(504) 사이에 매달려 있는 4개의 튜브(300)(즉, 주낙(500)은 총 20개의 튜브(300)를 유지한다)와 함께, 주낙(500)을 따라 대략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앵커(502)로부터 제 1부구(504)까지의 상승 길이는 약 10 미터일 수 있지만, 조수 및 수심을 고려하여 길게 하거나 짧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승 부분이 고정되어 있고 양식장이 근처에 다른 주낙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전형적으로 이러한 주낙은 서로 평행하게 약 30m 간격으로 배열된다), 각 주낙과 그에 종속된 튜브는 조수의 흐름과 동일한 방향으로 표류함으로써, 그들 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이제 도 20을 참조하면, 튜브(300)는 밧줄(506, 506)을 통해 주낙(500)에 매달려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밧줄은 튜브(300)의 상반부(302)의 말단에서 구멍(318, 318)에 부착되어 있다. 밧줄(506, 506)은 튜브(300)가 수면 아래 약 1m에 매달려 있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며, 이는 전복이 성장하는데 있어서 이상적인 깊이로 밝혀졌다.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낙(500)에 매달려 있는 튜브(300)는, 대개 잠수부를 이용하지 않고도, 유지 보수, 전복의 먹이 공급 및 검사를 위해 수시로 보트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일측에 2개의 회수 장치(602, 602)를 갖는 보트(600)가 도시되어 있다. 보트(600)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작업 영역(604)을 포함하며,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을 육안으로 검사하고 전복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 튜브(300(또는 301))를 상기 영역에 올려 놓고 개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도시 생략)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작업 영역은 보트(600)의 측면으로부터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갑판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보트에 인접하게 매달려 있는 튜브(300)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회수 장치(602, 602)는 주낙(500) 및 그 위에 있는 임의의 튜브(300)를 들어 올린다. 사용시, 보트(600)는 주낙(500)과 나란히 끌어당겨지며, 주낙은 들어올려져 (가령, 후크로 건 후에 주낙이 이어서 기계적으로 또는 수동으로 들어올려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 회수 장치(602, 602) 와 맞물린다. 일단 그렇게 위치되면, 주낙(500)은 보트(600)의 옆에 높게 유지됨으로써, 보트 위에서 작업자는 주낙에 매달린 튜브(300)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작업 영역(604)의 말단에서 장치(602, 602) 간에 간격을 두면, 보트에 작용할 수 있는 어떤 풍류나 수류에 관계없이 보트(600)가 주낙(50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22를 보다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하나의 회수 장치(602)가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회수 장치(602)는 주낙(500)과 맞물리는 아암(606)을 포함한다. 아암(606)은 외팔보 피봇(608)에 의해 보트(600)에 결합되어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는 집어넣을 수 있다 (즉, 집어넣은 장치(602)는 보트의 측면을 오버행하지 않게 된다). 장치(602)는 또한 사용시 주낙(500)과 맞물리는 주낙 맞물림 수단(610)도 포함한다. 주낙 맞물림 수단(610)의 내부 테이퍼 형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주낙 맞물림 수단(610)은 사용시 주낙(500)의 마찰 맞물림에 적합하다. 주낙 맞물림 수단(610)은 보트(600)가 (자체 모터를 사용하거나 또는 회수 장치(602, 60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에 구비된 전기 또는 유압 모터(도시 생략)를 통해) 주낙(500)을 따라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튜브(300)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다.
주낙 맞물림 수단(610)은 주낙(500)과 맞물리는 공간이 내부에 규정되어 있으며, 이 공간은 내부 디스크 부재(612)와 외부 디스크 부재(614)에 의해서 규정된다. 내부 디스크 부재(612)는 그의 내부면 위에 배치되고, 주낙(500)의 마찰 결합을 위한 (즉, 주낙(500)을 잡고서 그를 따라 보트(600)를 끌어당기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융기 부재(전체적으로 616으로 도시함)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디스크 부재(612)는 사용하는 동안 하나 이상의 밧줄(506)을 수용하여 맞물리는 전체적으로 618 (도 21도 참조)로 도시한 테두리 방향 배치 톱니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톱니(618)는 밧줄(506)이 수용되는 갭을 제공함으로써, 튜브(300)(및 부구(504)를 고정하는 임의의 밧줄)가 내부 디스크 부재(612)에 의해 맞물리는 것을 보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내부 디스크 부재(612)의 회전에 의해 보트(600)가 주낙(500)을 따라 당겨지게 된다.
또한, 회수 장치(602)는 주낙 안내 수단(620)을 가지며, 이는 사용시 주낙(500)을 주낙 맞물림 수단(610) 쪽으로 안내하는 곡선 레일이다. 주낙 안내 수단(620)은 또한, 이 주낙 안내 수단(620)과 보트(600) 사이에서 튜브(300)용 밧줄(506) 및 부구(504)를 안내하여 밧줄(506)이 주낙 안내 수단(620) 안에서 얽히게 되는 위험을 줄인다. 주낙 안내 수단(620)은 보트(600)의 뱃머리를 향해 전방으로, 그리고 선미를 향해 후방으로 연장된다.
사용시, 회수 장치(602, 602)와 함께 보트(600)는 주기적인 간격으로 보내져서, 주낙(500)에 매달려 있는 튜브(300)를 공급, 유지 보수, 검사 또는 수거한다. 보트(600)는 주낙(500)과 나란히 끌어당겨지고, 위로 들어올려진 다음, 주낙 맞물림 수단(610, 610) 내에서 맞물림 된다. 보트(600)가 주낙(50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그에 매달린 튜브(300)는 물밖으로 나온 후, 재고와 튜브의 검사 및/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 (도 2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보트(600)의 테두리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한 위치까지 들어올려진다. 필요시, 튜브(300)는 작업 영역(604) 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복 및 튜브 내부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튜브를 개방할 수 있다. 주낙 맞물림 수단(610)은 주낙(500)을 따라 보트(600)를 끌어당겨 주낙(500) 상에서 각각의 튜브(300)에 대한 공정을 반복하도록, 수압으로 회전된다. 일단 특정 주낙(500) 상의 모든 튜브(300)를 검사하였으면, 보트(600)를 회전시켜서, 또 다른 주낙(도시 생략)에 대한 공정을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잠수부를 반드시 필요로 하거나 임의의 무거운 리프팅을 행할 필요없이, 매우 많은 수의 전복 함유 튜브(300)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바다 전복 양식과 관련된 비용을 크게 낮춤과 아울러, 양식 효율을 크게 증가시킨다.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이 (전술한) 제 1 또는 제 2바다 성장 기간을 완료하면, 이들 전복에 적절한 등급을 매겨야 하므로, 보트(600)는 또한,주낙(500)으로부터 떼어낸 튜브(300)를 보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보관 영역(도시 생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보관 영역은 전복의 제 1 또는 제 2바다 성장 기간을 위해 준비한 전복이 들어 있는 갓 적재된 튜브(300)를 보관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선된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에 비해 다수의 이점을 제공하며, 그 중 일부를 아래에 요약한다.
본 발명의 탱크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유리할 수 있다:
· 탱크를 모듈식 형태로 제공하여 이러한 탱크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 제어된 환경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슬랩은 종종 현장에서 제조하는 경우보다 결함 (예컨대, 균열, 변형 등)이 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 모듈식 탱크를 지주 위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초에 대한 필요성을 없앤다.
본 발명의 잠수식 컨테이너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유리할 수 있다:
· 포식자가 접근할 가능성이 없는 환경에서 그 안에 전복이 안전하게 들어 있다;
· 전복 재고를 월 단위로 검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 잠수부 또는 기타 복잡하고 값 비싼 수중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검사, 회수 및 배치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 컨테이너 내부에서 매달린 위치에 배치된 접힌 부재는 컨테이너의 전복 수용 능력을 크게 증가시키지만, 전개했을 때는 그로부터 전복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게 한다.
발명의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변형은 다음의 특허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는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특정한 용도와 관련하여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단계의 특정 순서, 장치와 장치의 피스, 및 그들의 구성을 언급하지만, 이러한 세부 사항은 설명의 목적 상으로만 제공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이어지는 특허 청구범위 및 본 발명의 전술한 설명에서, 명시적인 언어 또는 필요한 함축으로 인해 문맥이 달리 요구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용어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다" 혹은 "포함하는"과 같은 변형은 언급한 특징의 존재를 명시하기 위해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6)

  1. 전복 양식용 탱크로서,
    가늘고 긴 베이스를 포함하고, 이는 가늘고 긴 베이스의 종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일정한 물의 흐름을 수용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채널을 규정하는 직립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는 함께 밀봉 연결되는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탱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는 다수의 채널을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탱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의 폭은 상기 조립식 베이스부 중 하나의 폭에 의해 규정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의 길이는 상기 조립식 베이스부 중 2개의 길이에 의해 규정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베이스부 중 하나의 테두리는 상기 조립식 베이스부 중 다른 하나의 테두리에서, 대응하는 리세스에 밀봉 수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탱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의 선단은 물의 흐름을 각 채널로 전달하는 배수기(water discharger)에 밀봉 연결되며,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의 말단은 배수구(water drain)에 밀봉 연결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기는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홈통(trough)을 포함하고, 상기 홈통으로 전달된 물은 상기 각 채널로 유동하는 전복 양식용 탱크.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가늘고 긴 베이스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홈통을 포함하고, 상기 각 채널을 통해 유동한 물은 상기 홈통 내로 배출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조립식 베이스부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복 양식용 탱크.
  10. 제 1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다수의 전복 양식용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탱크는 어레이로 배열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항에 따르는 2개의 탱크로, 하나의 탱크의 선단이 다른 하나의 탱크의 선단과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탱크는 가늘고 긴 베이스부의 종축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2개의 탱크와;
    상기 탱크의 인접한 선단의 가늘고 긴 베이스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베이스부에 밀봉 연결되는 중앙 홈통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홈통은 상기 탱크의 채널 내로 물의 흐름을 전달하거나 상기 채널의 말단으로 전달된 물을 배출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홈통 상부에 승강식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식 플랫폼은 그 위에 물받이 용기를 수용하며, 상기 물받이 용기는 하나 이상의 채널 내로 워터 서지(water surge)를 전달하도록 작동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용기는 상기 승강식 플랫폼 위에 구비된 레일을 따라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과 정렬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용기는 어느 하나의 탱크를 향해 피봇됨으로써, 상기 워터 서지가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로 전달되는 전복 양식용 탱크 시스템.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채널 내로 사료를 살포하는 전복 먹이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복 양식용 탱크 시스템.
  16.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전복용 인클로저(enclosure)를 규정하는 컨테이너 벽으로, 상기 인클로저는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내부면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벽과;
    컨테이너가 잠수할 때 물이 인클로저를 통해 흐르도록 하지만, 전복은 인클로저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과;
    상기 컨테이너 벽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먹이공급 포트와;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를 포함하고, 각 먹이 분배기는 전복 먹이공급용 용기, 및 각 먹이공급 포트에 수용되는 마우스 부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는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은 전복이 서식하는 상기 컨테이너 벽 위에 다수의 리브를 포함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클로저는 그 안에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부재는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추가 내부면을 제공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실질적으로 평면(planar)인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접혀서, 상기 인클로저 안에 끼워지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여러 번 접혀서, 그 위에 전복을 수용하는 다수의 추가 내부면을 규정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상기 다수의 추가 표면이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전복을 수용하는 거리만큼 서로 분리되도록 접히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3.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벽은 내벽 및 외벽과, 이들 벽 사이에 있는 공동을 포함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상기 컨테이너의 부력을 조절하기 위해, 공기, 물 또는 모래를 수용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5.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실질적으로 튜브 형상인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구멍은 컨테이너의 양단에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7. 제 16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그물망을 포함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8. 제 16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먹이 분배기는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미리 결정된 시간에 상기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2개 이상의 먹이 분배기를 포함하고, 다수의 먹이 분배기는 상이한 미리 결정된 시간에 그 안에 들어 있는 먹이를 상기 인클로저 내로 분배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30. 제 1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분배기는 신호 수신시에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전복 먹이공급용 용기에 들어 있는 먹이가 분배되는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
  31. 제 16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복을 담는 잠수식 컨테이너와 함께 사용하는 먹이 분배기에 있어서,
    전복의 먹이를 담는 용기와;
    상기 컨테이너의 먹이공급 포트 내에 수용되는 마우스 부와;
    신호 수신시에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가 개방 위치로 이동하면 전복 먹이공급용 용기에 들어 있는 먹이가 분배되는 먹이 분배기.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미리 결정된 시간의 끝에서 발생되는 먹이 분배기.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는 외부 소스에 의해 발생되는 먹이 분배기
  34. 바다(off-shore) 위치에서 전복을 양식하는 방법으로서,
    바다의 바닥에 고정된 주낙 위에 제 16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잠수식 컨테이너를 배치하는 단계와;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 각각을 주기적으로 회수하고,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을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복 양식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임의의 비어 있는 먹이 분배기를 가득찬 먹이 분배기로 교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복 양식 방법.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잠수식 컨테이너는 보트의 측면의 위에 걸리는(overhang) 회수 장치에 의해 회수되고, 상기 회수 장치는 상기 컨테이너를 물 밖으로 들어 올리고, 상기 컨테이너를 그 안에 들어 있는 전복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보트의 갑판에 배치하고, 추후에 상기 컨테이너를 물속으로 반환하는 전복 양식 방법.
KR1020187029832A 2016-03-16 2017-03-16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KR102502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6900972A AU2016900972A0 (en) 2016-03-16 Abalone farming apparatus and methods
AU2016900972 2016-03-16
PCT/AU2017/050233 WO2017156585A1 (en) 2016-03-16 2017-03-16 Abalone farming apparatu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000A true KR20180122000A (ko) 2018-11-09
KR102502935B1 KR102502935B1 (ko) 2023-02-24

Family

ID=59850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832A KR102502935B1 (ko) 2016-03-16 2017-03-16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429341A4 (ko)
KR (1) KR102502935B1 (ko)
CN (2) CN114902983A (ko)
AU (2) AU2017233540B2 (ko)
MA (1) MA45308A (ko)
WO (1) WO2017156585A1 (ko)
ZA (1) ZA2018066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9379B (zh) * 2019-07-02 2021-06-25 漳州鹏丰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环境适应性佳优质鲍鱼苗的高效养殖方法
CN110747803A (zh) * 2019-11-25 2020-02-04 宁波高新区零零七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岛上生物造岛装置及其造岛方法
CN114097681B (zh) * 2021-12-24 2023-06-16 莆田市海发水产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三倍体牡蛎养殖的改进型养殖装置
CN114225559B (zh) * 2022-01-04 2022-12-23 日照市海洋与渔业研究院(日照市海域使用动态监视监测中心、日照市水生野生动物救护站) 一种对虾养殖池尾水处理装置
CN114304012B (zh) * 2022-01-12 2023-04-21 湛江市渔正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密度水产养殖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058U (ko) * 1990-06-29 1992-03-05
JP2000093039A (ja) * 1998-09-21 2000-04-04 Bussan Yadaki:Kk 中間育成飼育用多重水槽装置
KR200358668Y1 (ko) * 2004-05-03 2004-08-12 김성근 공압을 이용한 어류양식장 자동먹이공급장치
KR20050101226A (ko) * 2003-02-28 2005-10-20 프락티스크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수중 환경에서 해저 생물의 양식 및 저장을 위한 시스템
KR100754920B1 (ko) * 2006-05-12 2007-09-03 (주)나우앤하우 패류양식용 인공어초
KR20110002242U (ko) * 2009-08-28 2011-03-08 박근우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KR20130012414A (ko) * 2011-07-25 2013-02-04 최영태 양식장 관리장치
KR101448808B1 (ko) * 2013-10-02 2014-10-14 대한민국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KR20140143882A (ko) * 2013-06-08 2014-12-18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가이드레일을 갖는 바이오플락용 자동 양식 수조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5101A (en) * 1973-01-07 1976-10-12 Thompson Jerome C Marine organism rearing system
US3899167A (en) * 1973-08-14 1975-08-12 Harold N Braunhut Aquatic speedway
US4044720A (en) * 1976-03-29 1977-08-30 Fast Arlo W Floating fish rearing system
US4226210A (en) * 1978-10-30 1980-10-07 Monterey Abalone Farms Abalone mariculture
JPH0246243A (ja) * 1988-08-05 1990-02-15 Asahi Chem Ind Co Ltd 魚貝類の飼育装置
AU756503B2 (en) * 1999-12-14 2003-01-16 Pao-Ling Tsai Apparatus and a method and system of rearing abalone
EP1265654B1 (en) * 2000-03-16 2008-01-02 United States Surgical, A Division Of Tyco Healthcare Group Lp; Declogging multilumen discharge assembly
AUPR888501A0 (en) * 2001-11-15 2001-12-06 Total Aqua Management Systems Pty Ltd A raceway for cultivating fish
CN1442051A (zh) * 2002-03-04 2003-09-17 解岗 鲍鱼养殖方法及装置
CN2698073Y (zh) * 2004-05-13 2005-05-11 徐万学 远海鲍鱼养殖槽
WO2006063412A1 (en) * 2004-12-16 2006-06-22 Eyre Peninsula Aquaculture Pty Ltd Self-sustaining abalone farming system
AU2008264237A1 (en) * 2008-01-04 2009-07-23 Southern Ocean Abalone Pty Ltd Aquaculture growing platforms
NO331196B1 (no) * 2008-08-08 2011-10-31 Maritime Oppdrett As Merd for plassering i vann
CN101525574A (zh) * 2009-04-28 2009-09-09 朱洪 一种漂浮于水用于养殖工程设施的装置及构建方法
NZ576799A (en) * 2009-05-07 2011-02-25 New Zealand Abalone Ltd A tray for growing abalone with water circulation, wave generation and automatic water discharge
KR100974956B1 (ko) * 2009-05-28 2010-08-09 양준혁 축제식 전복 양식장 및 그 전복집
CN201928824U (zh) * 2010-12-17 2011-08-17 杨通香 鲍鱼养殖装置
JP5610296B2 (ja) * 2011-02-09 2014-10-22 義裕 藤芳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CN102405855A (zh) * 2011-08-13 2012-04-11 莆田市汇丰食品工业有限公司 一种链式养殖鲍鱼与海参的装置
CN202396299U (zh) * 2011-11-24 2012-08-29 厦门诚宝工贸有限公司 一种改进的鲍鱼吊养桶
KR20130063998A (ko) * 2011-12-07 2013-06-17 최영태 패류 양식장
KR101425665B1 (ko) * 2012-02-07 2014-08-04 임지홍 중층 가두리 전복양식용 쉘터 조립구조물
CN203233883U (zh) * 2013-05-14 2013-10-16 莆田市汇丰食品工业有限公司 一种鲍鱼孵苗装置
CN203457662U (zh) * 2013-08-28 2014-03-05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对虾土池精养系统
CN104075872B (zh) * 2014-04-28 2017-05-10 上海大学 一种模拟往复流作用下沉积物再悬浮的循环直水槽装置
CN104304129B (zh) * 2014-11-03 2016-06-29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用于鲍鱼的保活运输系统及保活方法
CN204350866U (zh) * 2014-12-19 2015-05-27 山东省海洋生物研究院 模拟潮汐涨落规律自动进排水的泥螺室内养殖装置
CN104996344B (zh) * 2015-08-14 2017-05-17 莆田市海发水产开发有限公司 一种鲍鱼育苗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058U (ko) * 1990-06-29 1992-03-05
JP2000093039A (ja) * 1998-09-21 2000-04-04 Bussan Yadaki:Kk 中間育成飼育用多重水槽装置
KR20050101226A (ko) * 2003-02-28 2005-10-20 프락티스크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수중 환경에서 해저 생물의 양식 및 저장을 위한 시스템
KR200358668Y1 (ko) * 2004-05-03 2004-08-12 김성근 공압을 이용한 어류양식장 자동먹이공급장치
KR100754920B1 (ko) * 2006-05-12 2007-09-03 (주)나우앤하우 패류양식용 인공어초
KR20110002242U (ko) * 2009-08-28 2011-03-08 박근우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KR20130012414A (ko) * 2011-07-25 2013-02-04 최영태 양식장 관리장치
KR20140143882A (ko) * 2013-06-08 2014-12-18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가이드레일을 갖는 바이오플락용 자동 양식 수조
KR101448808B1 (ko) * 2013-10-02 2014-10-14 대한민국 이동형 침하부상식 외해양식 가두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02983A (zh) 2022-08-16
CN109068616A (zh) 2018-12-21
WO2017156585A1 (en) 2017-09-21
CN109068616B (zh) 2022-07-15
MA45308A (fr) 2019-01-23
EP3429341A4 (en) 2019-12-04
EP3429341A1 (en) 2019-01-23
AU2017233540A1 (en) 2018-10-11
AU2022201952A1 (en) 2022-04-14
AU2017233540B2 (en) 2021-12-23
ZA201806655B (en) 2020-01-29
KR102502935B1 (ko) 2023-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2935B1 (ko) 전복 양식 장치 및 방법
AU20192838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and in-shore aquaculture using floating closed containment farming and amalgamated facility
DK2658368T3 (en) Fishing fencing with center rod and method for fishing in open water
US5438958A (en) Platform supported mariculture system
CA2140672C (en) Process and arrangement for the supply of water to a pond
JP7313436B2 (ja) 海洋生物を養殖する船
CA3179600A1 (en) Fish farming system
US202303203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aturation of oysters
RU2410873C1 (ru) Плавучая ферма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WO1995014374A2 (en) Platform supported mariculture system
KR20160004171U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AU2008264237A1 (en) Aquaculture growing platforms
WO2003067971A1 (en) Device for farming of marine organisms, particularly fish
NZ786275A (en) Abalone farming apparatus and methods
AU752344B2 (en) Shellfish containment device
RU222168U1 (ru) Сад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ы
PH12017050067A1 (en) Fish 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