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396B1 -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396B1
KR101448396B1 KR1020130081968A KR20130081968A KR101448396B1 KR 101448396 B1 KR101448396 B1 KR 101448396B1 KR 1020130081968 A KR1020130081968 A KR 1020130081968A KR 20130081968 A KR20130081968 A KR 20130081968A KR 101448396 B1 KR101448396 B1 KR 10144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ynchro
gear
synchronizing
synchro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3008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25Synchro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25Details of members being coupled, e.g.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으로, 주축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주면에 슬리브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기어와, 주축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스피드기어와, 허브기어와 스피드 기어에 구비되며, 변속시 슬리브 이동에 의해 허브기어의 동력을 스피드기어에 동시화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싱크로링으로 구성되는 싱크로링 조립체와, 복수의 싱크로링 사이에 구비되어, 하나의 싱크로링에 지지되어 나머지 싱크로링을 스피드기어 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변속해제시 탄성부재가 싱크로링들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싱크로링들의 끼임이 방지되고, 이에 싱크로링들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변속 걸림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SYNCHRONIZER FOR MANUAL TRANSMISSION}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블 싱크로링이 2개 이상으로 구성될 때 외곽의 싱크로링에 대하여 내측의 싱크로링들을 스피드기어 쪽으로 가압하여 변속 해제시 싱크로링 조립체의 마찰면들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Transmission)는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 상태 변화에 따른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변속기는 엔진의 공회전시 엔진과 구동륜의 연결을 일정시간 동안 단속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변속기는 클러치와 변속기의 조작을 운전자가 직접 수행하는 수동변속기와, 클러치와 변속기의 조작이 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행하여지는 자동변속기로 크게 구분된다.
이중 수동변속기의 변속방식에는 주축 위의 스플라인에 끼워진 섭동기어를 변속레버로 부축 위의 기어에 자유로 물리게 하는 섭동 기어식, 주축 위를 자유롭게 회전하는 기어와 부축 기어가 항시 물린 상태로 회전되며 변속할 때 주축 상의 스플라인에 끼워져 섭동하는 도그클러치를 주축상의 기어에 물리게 하여 회전력을 주축에 전달하는 상시 물림식, 섭동기어식과 상시 물림식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기물림식이 있다.
이러한 동기물심식의 수동변속기는 싱크로나이저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싱크로나이저는 싱크로 링이 하나로 된 싱글(Single) 콘식 싱크로나이저, 싱크로 링이 두개로 된 더블(Double) 콘식 싱크로나이저, 싱글 콘식과 더블 콘식이 혼합된 복합식 싱크로나이저로 구분된다.
상기 싱글 콘식 싱크로나이저는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04-0038202(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더블 콘식 싱크로나이저는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특1999-009520(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으며, 복합식 싱크로나이저는 한국특허 등록특허공보 10-0395024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이중 싱크로 링이 2개로 된 더블 콘식 싱크로나이저의 일예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10)는 허브기어(11), 슬리브(12), 스피드기어(16), 싱크로 아웃터링(13), 싱크로 이너링(14), 싱크로 센터링(15)을 포함한다.
허브기어(11)는 주축(1)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회전된다. 이 허브기어(11)의 바깥 둘레에는 슬리브(12)가 물려 있어 변속포크의 작용으로 이동하면서 동기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슬리브(12)는 내주면에 스플라인 치가 형성되어 변속포크 작용으로 전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허브기어(11)의 옆에는 주축(1)에 공회전되게 장착되어 다른 축의 변속기어측에 치합되어 변속 동력을 전달하는 스피드기어(14)가 위치된다.
허브기어(11)와 스피드기어(14) 사이에는 슬리브(12)가 이동할 때 자연스럽게 동기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싱크로 아웃터링(13), 싱크로 이너링(14), 싱크로 센터링(15)이 구비된다. 그리고 싱크로 아웃터링(13)과 슬리브(12) 사이에는 기어변속을 위해 슬리브(12)가 이동할 때 싱크로 아웃터링(13)에 압력을 제공하는 싱크로 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싱크로나이저(10)는 변속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변속포크에 의해 슬리브(12)가 이동하면 싱크로스프링이 싱크로 아웃터링(13)을 스피드기어(16) 쪽으로 밀게 된다. 이때 싱크로 아웃터링(13)이 이동되면서 싱크로 센터링(15)에 밀착됨과 동시에 싱크로 센터링(15)의 내측에서 싱크로 이너링(14)이 접촉되면서 내외 방향의 마찰력에 의해 클러치 작용을 함으로써, 스피드기어(16)의 회전속도를 주축(1)의 회전속도로 동기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수동변속기의 더블 싱크로나이저(10)에서 싱크로 아웃터링(13)과 싱크로 센터링(15) 사이, 싱크로 센터링(15)과 싱크로 이너링(14) 사이, 싱크로 이너링(14)과 스피드기어(16) 사이 등과 같은 마찰면이 증대되면서 중립시에도 유동에 의해 끼임이 발생하여 에너지 손실이 발생되며, 각 마찰면의 마모 및 소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더블 싱크로나이저는 싱글 싱크로나이저에 비하여 변속과정 중에 끼임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동기 완료후 싱크로링의 풀림력도 커져서 변속감이 불리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10-2004-0038202 한국특허 공개특허공보 특1999-009520 한국특허 등록특허공보 10-039502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변속완료 후에 싱크로 아웃터링에 대하여 싱크로 이너링, 싱크로 센터링을 스피드 기어 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하여, 싱크로링 조립체의 마찰면 들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변속시 걸림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축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주면에 슬리브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기어와, 주축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스피드기어와, 허브기어와 스피드 기어에 구비되며, 변속시 슬리브 이동에 의해 허브기어의 동력을 스피드기어에 동시화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싱크로링으로 구성되는 싱크로링 조립체와, 복수의 싱크로링 사이에 구비되어, 하나의 싱크로링에 지지되어 나머지 싱크로링을 스피드기어 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기구를 포함하고, 가압기구는 복수의 싱크로링 중에서 외곽의 싱크로링에 지지되는 링부재와, 링부재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외곽의 싱크링에 지지되고, 타측이 나머지 싱크로링들에 지지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또한, 복수의 탄성부재는 링부재의 내주면에서 링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되, 외곽의 싱크로링에 대하여, 나머지 싱크로링으로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부를 갖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외곽의 싱크로링은 일측에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탄성부재는 복수의 걸림돌기에 지지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되, 복수의 걸림돌기의 수보다 적거나 같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탄성부재에 구비되는 복수의 곡면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시 엔진의 동력을 스피드기어에 동기화시키는 싱크로링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곡면부를 갖는 복수의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변속시 발생된 압축력으로 인해 변속해제시 싱크로링들을 가압하여 싱크로링들의 끼임이 방지되고, 이에 싱크로링들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변속 걸림감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싱크로나이저에서 탄성부재와 싱크로 링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싱크로나이저에서 가입기구의 탄성부재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싱크로나이저에서 탄성부재와 싱크로 링 사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싱크로나이저에서 가압기구의 탄성부재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100)는 도 2에 도시되니 바와 같이, 싱크로링 조립체가 2개 이상의 싱크로링들로 구성되되, 싱크로 아웃터링(140), 싱크로 센터링(150), 싱크로 이너링(160)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변속기 케이스 내에는 주축이 변속기 케이스를 수평으로 가로 질러 설치되고, 이 주축(101)에 싱크로나이저(1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100)는 주축(101)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주면에 슬리브(120)가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기어(110), 주축(101)에 결합되며 변속 동력을 전달하는 스피드기어(130), 허브기어(110)와 스피드기어(130) 사이에 위치되어 허브기어(110)로 전달되는 엔진 동력을 스피드기어(130)로 동기화시키기 위해 복수의 싱크로링을 갖는 싱크로링 조립체, 복수의 싱크로링 중 하나의 싱크로링에 지지되어 나머지 싱크로링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기구(170)를 포함한다.
허브기어(110)는 중앙에 허브(111)가 구비되되, 이 허브(111)의 중앙이 주축(101)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주축(101)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허브기어(110)는 허브(111)의 외주면에서 연결부(112)로 연장되어 기어부가 형성된다. 기어부는 외주면에 슬리브(120)가 기어 결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허브기어(110)의 연결부(112) 측면에는 기어부와 허브(111)에 의해 홈부 형태의 공간이 구성된다. 즉, 허브기어(110)의 측면에 형성된 공간과 스피드기어(130) 사이에서 싱크로링 조립체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허브기어(110)의 허브(111) 외주면과 연결부(112) 측면 사이에는 돌기부(11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걸림돌기(141)에 대응된다.
슬리브(120)는 허브기어(110)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스플라인 치가 형성된다. 슬리브(120)는 변속포크가 결합되고 변속포크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되도록 양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중앙에는 변속포크가 결합되는 홈부(121)가 형성된다. 즉, 슬리브(120)는 허브기어(110)의 외주면에 물려 있는 상태에서 변속포크의 작용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동기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스피드기어(130)는 허브기어(110)의 옆에서 주축(101)에 공회전 되도록 장착되고, 다른 축의 변속 기어측에 치합되어 변속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싱크로링 조립체는 변속시 변속포크에 의해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이동되는 슬리브(120)에 의해 가압된 후에 스피드기어(130)의 콘부(131)에 밀착되어 주축(101)의 회전력을 스피드기어(130)로 동기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싱크로 아웃터링(140), 싱크로 센터링(150), 싱크로 이너링(160)을 포함한다.
싱크로 아웃터링(140)은 슬리브(120)와 스피드기어(130) 사이에 위치되고, 일정 두께의 링 형상으로 일측 내주면에 복수의 걸림돌기(141)가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싱크로 아웃터링(140)은 걸림돌기(141)가 허브기어(110)의 돌기부(113)에 걸림으로써, 허브기어(110)와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내주면은 스피드기어(130)에서 허브기어(110) 방향으로 하향 경사로 형성된다.
싱크로 센터링(150)은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이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내주면에 끼워진다. 이 싱크로 센터링(150)은 외주면과 내주면이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내주면의 경사와 같은 경사로 형성된다. 이 싱크로 센터링(15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스피드기어(130)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51)가 스피드기어(13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싱크로 센터링(150)은 스피드기어(130)에 결합된 상태이고, 외주면과 내주면에는 싱크로 아웃터링(140)과 싱크로 이너링(160)이 각각 끼워진다.
싱크로 이너링(160)은 싱크로 센터링(150)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경사와 같은 경사를 갖는 내주면와 외주면을 갖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싱크로 이너링(160)은 싱크로 센터링(150)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내주면이 스피드기어(130)의 콘부(131) 외주면에 끼워져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싱크로 이너링(160)은 허브기어(110)를 향하는 측면 가장자리에 걸림돌기(161)가 형성되어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걸림돌기(14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싱크로 이너링(160)은 싱크로 아웃터링(140)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스피드기어(130)는 주축(101)에 공회전되도록 장착되며, 다른 축의 변속기어 측에 치합되어 변속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 스피드기어(130)의 중앙부에는 허브기어(110) 쪽을 향하여 콘부(131)가 돌출 형성되어, 싱크로 이너링(160)이 콘부(131)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주축(101)의 동력을 싱크로링 조립체를 통하여 전달받도록 구성된다.
한편, 가압기구(170)는 변속 해제 후에 싱크로링들 중에 외곽의 싱크로링 즉, 싱크로 아웃터링(140)에 지지되어 외곽의 싱크로링 내측에 구비되는 싱크링들 즉, 싱크로 센터링(150)과 싱크로 이너링(160)을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가압하여 싱크로 링들(140)(150)(160)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가압기구(170)는 싱크로 아웃터링(140)과 싱크로 센터링(150) 사이에 끼워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링부재(171), 링부재(171)에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되,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걸림돌기(141)에 지지되는 복수의 탄성부재(172)로 구성된다.
링부재(171)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내주측에 끼워지도록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거나 허브기어(110)의 허브(1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72)는 싱크로 아웃터링(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141)에 지지되도록 복수의 걸림돌기(141)와 같은 수나 적은 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172)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링부재(171)의 내주면에서 그 중심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탄성부재(172)는 변속시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발생하여 스피드기어(130)의 변속이 해제될 때 싱크로 아웃터링(140)에 대하여 싱크로 센터링(150)과 싱크로 이너링(160)을 스피드기어(130)쪽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즉, 탄성부재(172)의 탄성력에 의해 변속 해제시 싱크로 아웃터링(140)은 허브기어(110) 쪽으로 가압되고, 싱크로 이너링(160)과 싱크로 센터링(150)은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가압되는 것이다.
여기서, 탄성부재(172)는 도 4와 같이, 링부재(171)에서 허브기어(110)의 허브(111) 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되, 싱크로 센터링(150)과 싱크로 이너링(160)으로 각각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2개의 곡면부(172a)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탄성부재(172)의 2개의 곡면부(172a)가 각각 싱크로 센터링(150)과 싱크로 이너링(160)에 접촉되되, 도 4와 같이, 하나의 곡면부(172a)는 오목부(172b)의 상단부가 싱크로 센터링(15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곡면부(172a)는 볼록부(172c)가 싱크로 이너링(160)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탄성부재(172)의 곡면부(172a)는 도 4의 형상과 반대로 형성되어, 싱크로 센터링(150)이 하나의 곡면부(172a)의 볼록부(172c)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받고, 싱크로 이너링(160)이 다른 곡면부(172a)의 오목부(172b)의 하단에 접촉되어 탄성력을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싱크로링 조립체가 2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172)의 곡면부(172a)는 1개로 구성되어, 외측에 구비되는 싱크로 아웃터링(140)에 링부재(171)가 지지되어 곡면부(172a)가 싱크로 이너링(160)에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싱크로링 조립체가 3개 이상의 싱크로링을 구성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172)의 곡면부(172a)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탄성부재(172)가 형성되는 링부재(171)가 싱크로 아웃터링(140)에 지지되어 2개 이상의 곡면부(172a)는 각각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나머지 싱크로링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100)가 변속전의 상태 즉, 중립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중립상태는 하기와 같다.
변속기의 허브기어(110)는 주축(101)에 스플라인 결합되어,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주축(10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 허브기어(110)의 돌기부(113)에 걸림돌기(141)로 걸려 있는 싱크로 아웃터링(140)도 허브기어(1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걸림돌기(141)에 다른 걸림돌기(161)가 걸려 있는 싱크로 이너링(16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피드기어(130)에 결합되어 있는 싱크로 센터링(150)은 싱크로 아웃터링(140)과 싱크로 이너링(160) 사이에서 슬립되되, 약간의 마찰력으로 인하여 스피드기어(130)와 함께 허브기어(110)보다 낮은 속도로 회전하게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싱크로나이저(100)의 중립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변속을 시작하게 되면, 변속포크가 슬리브(120)의 홈부(121)에 끼워져서 슬리브(120)를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밀게 된다. 그러면 슬리브(120)는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이동하면서 싱크로 아웃터링(140)을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계속해서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이동하면서 싱크로 아웃터링(140)의 기어에 기어물림 된 후에 스피드기어(130)에 기어물림 된다.
이때, 싱크로 아웃터링(140)은 슬리브(120)에 의해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가압되면서 그 내주면이 싱크로 센터링(150)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됨과 동시에 싱크로 센터링(150)의 내주면이 싱크로 이너링(160)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되며, 싱크로 이너링(160)의 내주면이 스피드기어(130)의 콘부(131)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엔진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허브기어(110)의 회전력이 스피드기어(130)로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싱크로 아웃터링(140)에 일측이 지지되고, 타측이 싱크로 센터링(150)과 싱크로 이너링(160)에 지지되는 가압기구(170)는 슬리브(120)의 이동에 의해 싱크로 아웃터링(140)이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이동될 때, 탄성부재(172)의 곡면부(172a)가 눌려 평평한 상태가 되면서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후에, 변속이 해제되면, 스피드기어(130)에 기어 물림된 슬리브(120)가 원위치 즉, 허브기어(11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압축력이 작용하고 있던 가압기구(170)의 탄성부재(172) 곡면부(172a)가 싱크로 아웃터링(140)에 대하여 싱크로 센터링(150)과 싱크로 이너링(160)을 가압하게 된다. 즉, 탄성부재(172)의 곡면부(172a)에 작용된 압축력에 의해 싱크로 아웃터링(140)은 허브기어(110) 쪽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싱크로 센터링(150)과 싱크로 이너링(160)은 스피드기어(130) 쪽으로 가압되어 서로 밀착되어 있던 싱크로링들(140)(150)(160)의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싱크로 나이저 101 : 주축
110 : 허브기어 111 : 허브
112 : 연결부 113 : 돌기부
120 : 슬리브 121 : 홈부
130 : 스피드기어 131 : 콘부
140 : 싱크로 아웃터링 141 : 걸림돌기
150 : 싱크로 센터링 151 : 결합돌기
160 ; 싱크로 이너링 161 : 걸림돌기
170 ; 가압기구 171 : 링부재
172 : 탄성부재 172a : 곡면부
172b : 오목부 172c : 볼록부

Claims (5)

  1. 주축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주면에 슬리브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허브기어;
    주축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는 스피드기어;
    허브기어와 스피드 기어에 구비되며, 변속시 슬리브 이동에 의해 허브기어의 동력을 스피드기어에 동시화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싱크로링으로 구성되는 싱크로링 조립체;
    복수의 싱크로링 사이에 구비되어, 하나의 싱크로링에 지지되어 나머지 싱크로링을 스피드기어 쪽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기구;를 포함하고,
    가압기구는, 복수의 싱크로링 중에서 외곽의 싱크로링에 지지되는 링부재;
    링부재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외곽의 싱크링에 지지되고, 타측이 나머지 싱크로링들에 지지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복수의 탄성부재는 링부재의 내주면에서 링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형성되되,
    외곽의 싱크로링에 대하여, 나머지 싱크로링으로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면부를 갖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외곽의 싱크로링는 일측에 복수의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탄성부재는 복수의 걸림돌기에 지지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되, 복수의 걸림돌기의 수보다 적거나 같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에 구비되는 복수의 곡면부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KR1020130081968A 2013-07-12 2013-07-12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KR10144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968A KR101448396B1 (ko) 2013-07-12 2013-07-12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968A KR101448396B1 (ko) 2013-07-12 2013-07-12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396B1 true KR101448396B1 (ko) 2014-10-07

Family

ID=5199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968A KR101448396B1 (ko) 2013-07-12 2013-07-12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10B1 (ko) 2017-12-26 2019-06-2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링
KR102104365B1 (ko) 2019-12-02 2020-04-24 두알산업 주식회사 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753A (ko) * 2001-12-13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20090064087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8753A (ko) * 2001-12-13 200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20090064087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210B1 (ko) 2017-12-26 2019-06-2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수동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링
KR102104365B1 (ko) 2019-12-02 2020-04-24 두알산업 주식회사 변속기용 싱크로나이저 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451B2 (en) Clutch assembly
US8556054B2 (en) Shift device adapted for transmission
KR870000976B1 (ko) 동기장치를 갖춘 부변속기
JP2011089632A (ja) 車両用電動モータ駆動装置
JP2002174261A (ja) 変速機用同期装置
JP2008111522A (ja) 同期装置
US20110174586A1 (en) Low loss synchronization key
KR101448396B1 (ko) 수동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US3856121A (en) Synchronizing device for manually operate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EP1801443B1 (en) Synchromesh system
US6848554B2 (en) Synchronizer for a manual transmission
JP2012057786A (ja) 変速機の同期結合機構
JP2011033134A (ja) 変速機の同期噛合装置
KR20070063154A (ko) 수동변속기용 동기장치
KR100568818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101394838B1 (ko) 싱크로나이저 링
JPH0612259Y2 (ja) 手動変速機の同期装置
JP5748685B2 (ja) 変速機の同期装置
KR0149348B1 (ko) 자동차용 수동 변속기의 동기 치합장치
JPH089461Y2 (ja) 同期噛合装置
KR20010003003A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장치
KR100482112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100551087B1 (ko) 수동변속기의 동기장치
KR100225960B1 (ko) 수동변속기의 레버식 싱크로메시 기구
KR200159145Y1 (ko) 자동차용 수동변속기 동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