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969B1 -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969B1
KR101447969B1 KR1020120123377A KR20120123377A KR101447969B1 KR 101447969 B1 KR101447969 B1 KR 101447969B1 KR 1020120123377 A KR1020120123377 A KR 1020120123377A KR 20120123377 A KR20120123377 A KR 20120123377A KR 101447969 B1 KR101447969 B1 KR 10144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touch input
information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910A (ko
Inventor
이도경
손현웅
Original Assignee
(주)와이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와이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2012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9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직관적인 입력을 통해 다양한 업무를 한번에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는, 단일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각의 입력 포트를 구비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모니터; 단일 프레임과 동일한 외형을 갖고, 단일 프레임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모니터 각각의 영역과 동일한 비율로 구분된 복수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입력 영역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이 설치된 터치 입력 수단; 및 터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수행 결과가 복수개의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INPUT DEVICE OF TERMINAL INCLUDING MULTI MONITOR}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모니터가 포함되는 표시 수단이 채용되는 단말에 대한 입력 수단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모니터에 대하여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등의 단말의 하드웨어가 발달하면서, 단말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 및 처리 속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단말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 업무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다양한 업무의 처리 시 동시에 여러가지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자들은 듀얼 모니터를 설치하는 등 하나의 단말에 둘 이상의 표시 수단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듀얼 모니터의 경우, 모니터를 두 개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고, 설치 위치에 대한 제한이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듀얼 모니터를 사용 시, 정해진 입력 수단(키보드 및 마우스)를 이용할 경우, 어떤 모니터에 대하여 입력을 수행할지에 대해서 판단하기 어렵고, 단축키를 이용하거나 마우스를 직접 이동하여 모니터에 대한 작업을 수행해야 했다.
한편 다중의 모니터 등의 표시 수단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다수의 모니터를 각각 처리 장치에 연결한 후, 정해진 입력 수단을 통해 지시 수단을 이동시키면서 모니터 각각에 대한 입력을 수행해 왔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경우, 다중 스크린에 터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에 의하면, 다수의 모니터를 직접 설치하고 지시 수단을 이동시키면서 모니터 각각에 대한 입력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다수의 모니터 중 특정 모니터를 제어하기 위해 지시 수단을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왔고, 다중 터치 스크린의 경우에는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 기능이 반드시 포함되어 있어야 했기 때문에 그 구현상의 한계가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발명은, 듀얼 모니터가 필요 없이 복수개의 표시 수단을 채용한 컴퓨터와, 이에 대한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는, 단일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각의 입력 포트를 구비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단일 프레임과 동일한 외형을 갖고, 상기 단일 프레임 내에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 각각의 영역과 동일한 비율로 구분된 복수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역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이 설치된 터치 입력 수단; 및 상기 터치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수행 결과가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처리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기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입력 영역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관한 정보인 터치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입력 신호 처리부;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 중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 정보를 추출하고, 외부의 제어 명령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터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선택하는 제어 명령 생성부; 및 상기 추출된 모니터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에 상기 선택된 제어 명령의 수행 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신호 처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처음 수신된 위치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까지의 드래그 패턴 정보를 상기 터치 위치 정보로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입력 수단은, 상기 입력 영역을 제외한 상기 단일 프레임 내의 영역에 설치된 보조 터치 스크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신호 처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처음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과,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이 다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처음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 입력 수단은, 상기 터치 입력 수단에 설치된 키보드 전환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역마다 문자, 숫자 정보 및 기설정된 기능 명령 정보를 입력 가능한 가상 버튼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복수개의 모니터가 단일 프레임 내에 설치된 표시 수단을 이용하여 장소의 제한이 없이 다양한 업무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업무 처리의 효율성을 재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복수개의 모니터와 동일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입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 서툰 사용자도 직관적으로 단말을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 시 다중 모니터가 조작되는 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는, 입력 처리 장치(10), 터치 입력 수단(20) 및 디스플레이 모듈(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입력 처리 장치(10)는 입력 신호 처리부(11), 제어 명령 생성부(12), 제어 명령 송신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은, 단일의 메인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프레임 내에는, 복수개의 모니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모니터는 하나의 모니터를 분할한 것이 아닌, 각각 입력 포트를 구비하여 단말의 그래픽 카드의 출력 포트와 케이블 등의 연결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출력 포트에서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단말에는 3개의 출력 포트를 갖고, 프로세서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각각의 출력 포트에 출력하도록 하는 그래픽 카드 등의 그래픽 데이터 처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그래픽 데이터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선택한 뒤, 데이터가 출력될 모니터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로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수단을 통해 어느 한 모니터에 표시되고 있는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행할 경우, 프로세서는 객체를 선택하는 데이터 처리 과정을 수행할 것이며, 데이터 처리 결과를 출력하도록 그래픽 처리 수단에 처리 데이터를 전달하게 된다.
처리 데이터를 수신한 그래픽 처리 수단은, 처리 데이터가 속한 모니터에 대응하는 출력 포트에 처리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처리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출력 포트에 전달할 것이며, 출력 포트를 통해 영상 데이터가 표시될 모니터의 입력 포트에 영상 데이터가 전달된다.
디스플레이 모듈(3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모니터는 각각의 영역을 가질 것이다. 즉, 모니터가 설치되는 위치는 각각의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으로 인식될 수 있다.
터치 입력 수단(2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단일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30)이 포함하는 단일 프레임과 동일한 모양으로 축소된 크기의 형상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터치 입력 수단(2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의 단일 프레임 내에 설치된 모니터 각각의 크기 및 설치 영역과 동일한 비율로 구분된 복수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한다.
즉, 설치된 모니터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이 모니터가 설치된 형태와 동일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 영역은 모니터의 크기를 축소한 형태로, 모니터와 유사한 형태를 띌 수 있다. 모니터의 해상도 비율 및 형태와 유사하다는 것은, 모니터의 모양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입력 영역을 구분 시 어떤 모니터에 대한 입력이 수행되는지를 구분할 수 있는 정도의 유사성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결국, 터치 입력 수단(20)은 디스플레이 모듈(30)이 일정 비율로 축소된 모양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각의 입력 영역에는 터치 스크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 모듈은, 일정한 영상이 표시되고 해당 영상을 터치 시 터치 입력 신호가 생성되는 모듈 또는, 영상이 표시되지 않고 터치 입력만을 수신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는 일정한 갭을 갖고 모니터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물론, 모니터가 갭을 두지 않고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입력 수단(20) 역시 입력 영역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이 설치되지 않는 갭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 모듈 이외에, 입력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보조 터치 스크린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두 개 이상의 입력 영역에 대한 드래그 입력 등이 한 번에 수행될 때, 드래그 입력을 연속적으로 수신하기 위함이다.
입력 처리 장치(10)는, 터치 입력 수단(20)으로부터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 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수행 결과가 복수개의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입력 처리 장치(10)에 포함되는 입력 신호 처리부(11)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터치 입력이 수신된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입력 영역 중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관한 정보인 터치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 입력 수단(20)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면, 어느 입력 영역에 터치 입력이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정보와 함께, 해당 입력 영역의 어느 위치에 터치 입력이 수행되었는지에 대한 정보가 입력 신호 처리부(11)에 의해 생성된다.
이때, 만약 드래그 입력 등의 연속적인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라면, 입력 신호 처리부(11)는 터치 입력이 처음 수신된 위치로부터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까지의 드래그 패턴 정보를 터치 위치 정보로서 분석하게 된다.
즉, 터치 위치 정보가 드래그 패턴 정보일 경우, 입력 신호의 수신 주기마다의 터치 위치 정보의 집합이 생성될 것이다.
이때, 상기 언급한 보조 터치 스크린 모듈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 다른 영역 사이의 드래그 입력이 가능해진다. 보조 터치 스크린 모듈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라도, 입력 영역에 대한 드래그 패턴 입력이 일정 갭을 갖고 수신되는 경우에도, 다른 영역 사이의 드래그 입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 처리부(11)는, 터치 입력이 처음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과,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이 다른 경우, 두 개 이상의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와 터치 입력의 이동에 따른 드래그 패턴 정보를 분석하게 된다.
한편 드래그 패턴이, 제1 입력 영역에서 시작되어 다른 입력 영역을 거친 후, 다시 제1 입력 영역에서 해제된 경우에도, 위와 유사하게 각각의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가, 수신 주기마다 수집되는 터치 위치 정보에 매칭되어 수신될 것이다.
결국, 입력 신호 처리부(11)가 생성하는 입력 신호에는, 수신 주기마다 수집되는 터치 위치 정보에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가 각각 매칭될 것이다.
제어 명령 생성부(12)는, 복수개의 모니터들 중,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 정보를 추출하는 한편, 외부의 제어 명령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터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터치 입력의 경우, 다양한 제어 명령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터치는 터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객체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행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되는 객체는, 예를 들어 객체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웹 사이트에서 뒤로 가기, 선택하기, 앞으로 가기, 새창 열기 등의 단일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 또는 메뉴가 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드래그 패턴 정보의 경우, 제어 명령은 더욱 다양해질 수 있다. 터치 입력이 시작된 위치의 객체를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로 이동하는 제어 명령이 선택될 수 있고, 제어 명령 데이터 테이블마다 저장된 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이 선택될 수 있다.
패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은, 각 패턴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좌우로 드래그하는 입력 시 웹 사이트의 뒤로 가기, 앞으로 가기 등의 제어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영상 컨텐츠의 경우, 상하로 드래그하는 입력 시 음성을 높이거나 줄이는 등의 제어 명령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결국, 드래그 패턴 정보에도 단일 제어 명령이 설정되거나, 객체를 이동하는 명령 등의 저장될 수 있는데 제어 명령은 제어 명령 데이터 테이블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 명령 생성부(12)에 의하여 모니터 정보 및 제어 명령이 생성되면, 제어 명령 송신부(13)는 모니터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의 입력 포트에, 해당 제어 명령의 처리 결과가 표시되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즉, 제어 명령 송신부(13)에 의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수행한 입력 영역과 동일한 위치의 모니터에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 및 결과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한 모니터에 표시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해, 이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의 일 위치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해당 모니터의 객체가 선택되어 이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 해당 모니터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입력 수단을 통해 동일한 형태의 모니터에 자신이 원하는 기능이 출력되도록 용이하게 단말을 조작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모니터가 단일 프레임에 설치되어 더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 수단에 대한 입력 시 다중 모니터가 조작되는 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서는 터치 스크린 모듈(20)에 세 개의 입력 영역(21, 22, 2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중 어느 한 입력 영역(23)에 손(40)을 이용하여 일 위치(41)에 터치 입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는, 세 개의 모니터(31, 32, 33) 중 입력 영역(23)에 대응하는 모니터(33)에 지시 수단(50)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지시 수단(50)에 대응하는 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모듈(20)의 입력 영역(21, 22, 23) 중 어느 한 입력 영역(23)의 제1 위치(42)로부터 다른 입력 영역(22)의 제2 위치(43)로 드래그 패턴을 형성하면서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 있다.
이 경우, 이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0)에서는, 세 개의 모니터(31, 32, 33) 중 어느 한 입력 영역(23)에 대응하는 모니터(33)의 제1 위치(42)에 대응하는 객체(51)가, 다른 입력 영역(22)에 대응하는 모니터(32)의 제2 위치(43)에 대응하는 위치(52)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드래그 입력에 의해, 객체(51)는 다른 모니터들로 이동하는 제어 명령 처리 결과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터치 스크린 모듈(20)의 각 입력 영역(21, 22, 23)에, 키보드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 모듈(20)은 입력 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일정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영역들(21, 22, 23) 이외에, 별도의 영역에 키보드 전환 메뉴가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보드 전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터치 스크린 모듈(20)의 각 입력 영역들(21, 22, 23)에는 각각 키보드에 존재하는 버튼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및 숫자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외에서 컨트롤키, 알트키, 한영키 등의 기설정된 기능 명령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결국, 도 4의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 모듈(20)은 터치 입력식 키보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별도의 키보드와 같은 입력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필요 시 터치 스크린 모듈(20) 자체를 키보드로 사용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키보드와 마찬가지로, 일정 입력 영역에 마우스 기능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의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모듈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행 시, 터치 스크린 모듈로부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S10 단계가 수행되면, 장치는 입력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입력이 수행된 입력 영역에 관한 식별 정보와, 터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S20 단계의 수행 후, 장치는 터치 영역에 대응하는 모니터에 대한 터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S30)를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 명령을 수행한 처리 결과를 해당 모니터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0)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 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이 구현되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가 수행하는 기능이 구현되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단일 프레임에 설치되고, 각각의 입력 포트를 구비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복수개의 모니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단일 프레임과 동일한 외형을 갖고, 상기 단일 프레임 내에 설치된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 각각의 영역과 동일한 비율로 구분된 복수개의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 영역마다 터치 스크린 모듈이 설치된 터치 입력 수단; 및
    상기 터치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입력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의 수행 결과가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처리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 수단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 시,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상기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입력 영역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수신된 위치에 관한 정보인 터치 위치 정보를 분석하는 입력 신호 처리부;
    상기 복수개의 모니터 중 상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 정보를 추출하고, 외부의 제어 명령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상기 터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선택하는 제어 명령 생성부; 및
    상기 추출된 모니터 정보에 대응하는 모니터에 상기 선택된 제어 명령의 수행 결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명령을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처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처음 수신된 위치로부터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까지의 드래그 패턴 정보를 상기 터치 위치 정보로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수단은,
    상기 입력 영역을 제외한 상기 단일 프레임 내의 영역에 설치된 보조 터치 스크린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처리부는,
    상기 터치 입력이 처음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과,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이 다른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처음 수신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터치 입력이 해제된 위치에 대응하는 입력 영역에 대한 식별 정보와, 상기 드래그 패턴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수단은,
    상기 터치 입력 수단에 설치된 키보드 전환 메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복수개의 입력 영역마다 문자, 숫자 정보 및 기설정된 기능 명령 정보를 입력 가능한 가상 버튼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KR1020120123377A 2012-11-02 2012-11-02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KR10144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377A KR101447969B1 (ko) 2012-11-02 2012-11-02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377A KR101447969B1 (ko) 2012-11-02 2012-11-02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10A KR20140056910A (ko) 2014-05-12
KR101447969B1 true KR101447969B1 (ko) 2014-10-14

Family

ID=5088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377A KR101447969B1 (ko) 2012-11-02 2012-11-02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65A1 (ko) * 2014-11-05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출력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12A1 (en) * 2014-07-22 2016-01-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41074B1 (ko) 2014-07-22 2021-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19Y1 (ko) * 2004-04-12 2004-07-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다중 모니터의 터치 스크린 신호 전송시스템
KR100676366B1 (ko) * 2005-10-14 2007-01-30 김용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방법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519Y1 (ko) * 2004-04-12 2004-07-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다중 모니터의 터치 스크린 신호 전송시스템
KR100676366B1 (ko) * 2005-10-14 2007-01-30 김용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방법및 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65A1 (ko) * 2014-11-05 201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출력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US10365879B2 (en) 2014-11-05 2019-07-30 Lg Electronics Inc. Image output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image output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10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6457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733815B2 (en) Split-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30106700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put method
EP3232305A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moving icon, and non-volatile computer storage medium
KR201600354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150277748A1 (en) Edit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multi-touch-based text block setting
WO2012145366A1 (en) Improving usability of cross-device user interfaces
KR20120136796A (ko)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6804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39552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조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447969B1 (ko)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CN112188001A (zh) 快捷设置方法、快捷设置装置和电子设备
KR2017004295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403175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screen by Using Virtual Trackball
CN113268182A (zh) 应用图标的管理方法和电子设备
CN113485625A (zh) 电子设备的响应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90302952A1 (en) Mobile device, computer input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548894B2 (en) Proximity based cross-screen experience App framework for use between an industrial automation console server and smart mobile devices
JP5882973B2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796736B (zh) 应用程序的分享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805753A (zh) 文字编辑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467661A (zh) 任务同步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311982A (zh) 信息选取方法及装置
CN113282223A (zh) 显示方法、显示装置和电子设备
CN113190162A (zh)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