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074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074B1
KR102241074B1 KR1020140092476A KR20140092476A KR102241074B1 KR 102241074 B1 KR102241074 B1 KR 102241074B1 KR 1020140092476 A KR1020140092476 A KR 1020140092476A KR 20140092476 A KR20140092476 A KR 20140092476A KR 102241074 B1 KR102241074 B1 KR 10224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isplay device
area
control objec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421A (ko
Inventor
김지환
박시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074B1/ko
Priority to US14/470,302 priority patent/US9563804B2/en
Priority to EP14898087.3A priority patent/EP3172640B1/en
Priority to PCT/KR2014/008189 priority patent/WO2016013712A1/en
Publication of KR2016001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라이빗 영역(privat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기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control object)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프라이빗 영역에서 상기 퍼블릭 영역의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control indicator)를 상기 프라이빗 영역의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상기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형화 및 경량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는 부품의 소형화에 따라 점차 얇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벽걸이형 TV 등이 보편화되었다. 또한, 대형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저의 인풋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인풋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렉티브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시, 공연, 패션매장, 안내 데스크, 레스토랑, 호텔 로비, 갤러리 등 다양한 장소에 유저와 상호 작용하는 디바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형화 및 경량화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따라서, 유저와 인터렉티브한 대형 디스플레이의 이용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 대형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 유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클 수 있으며, 복수의 유저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저 각각에 대한 사용 영역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은 유저의 특징이나 공공 영역의 특징을 고려하여 사용 영역을 제한하거나 구별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복수 유저 간의 사용 영역을 구별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라이빗 영역(privat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프라이빗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퍼블릭 영역에서 컨트롤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퍼블릭 영역 내의 컨트롤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 내에서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위치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기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라이빗 영역 내에 에디팅 영역을 더 포함하고, 컨트롤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하고, 유저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라이빗 영역(privat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기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control object)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프라이빗 영역에서 상기 퍼블릭 영역의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control indicator)를 상기 프라이빗 영역의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상기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의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control indicator)를 상기 프라이빗 영역의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상기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라이빗 영역(privat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프라이빗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퍼블릭 영역에서 컨트롤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퍼블릭 영역 내에서 컨트롤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 내의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위치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기설정된 기준점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라이빗 영역에 에디팅 영역을 더 포함시키고, 컨트롤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어 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하고, 유저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에디팅 영역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에디팅 영역에서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Wall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이때,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의 유저가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벽면 또는 기타 부착 가능한 위치에 부착되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시, 공연, 패션매장, 안내 데스크, 레스토랑, 호텔 로비, 갤러리 등 다양한 장소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벽면에 부착된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유저가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유저가 이용할 수 있을만큼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이 존재하면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210) 및 퍼블릭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빗 영역은 유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라이빗 영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특정 유저(230)만이 이용할 수 영역일 수 있다. 이때, 프라이빗 영역(210)은 유저에 기초하여 접근 권한이 제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유저에 기초하여 제 1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유저에 기초하여 제 2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라이빗 영역(210)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보안 레벨은 인증된 유저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영역(210)은 유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퍼블릭 영역(2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에게 접근된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프라이빗 영역(210)이 아닌 영역을 퍼블릭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퍼블릭 영역(220)에 위치한 오브젝트는 모든 유저가 사용할 수 있다. 즉, 퍼블릭 영역(220)은 공공 영역으로 모든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을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를 디텍트하고, 프라이빗 영역(210)을 유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유저의 시선 위치가 디텍트된 위치로부터 제 1 거리 내의 영역을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거리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의 팔길이를 더 디텍트하고, 유저의 팔길이에 기초하여 제 1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이용 가능한 영역을 고려하여 프라이빗 영역(21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얼굴 중심 또는 몸 중심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대응되는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제 1 거리 내의 영역을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프라이빗 영역(210)을 제외한 영역을 퍼블릭 영역(2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유저에 기초하여 복수의 프라이빗 영역(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라이빗 영역 및 제 2 프라이빗 영역이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제 1 프라이빗 영역 및 제 2 프라이빗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퍼블릭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240-1, 240-2, 240-3, 240-4, 240-5, 240-6, 240-7)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유저에 의해 제어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는 유저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유저에 의해 제어되고, 오퍼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210) 또는 퍼블릭 영역(2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210)에 위치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210)에 접근 권한이 허용된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가 퍼블릭 영역(220)에 위치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내의 위치에 기초하여 다른 제어 방법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프라이빗 영역(210-1) 및 제 2 프라이빗 영역(2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라이빗 영역(210-1) 및 제 2 프라이빗 영역(210-2)을 제외한 영역을 퍼블릭 영역(2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프라이빗 영역(210-1)은 제 1 유저(230-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라이빗 영역(210-2)은 제 2 유저(23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라이빗 영역(210-1, 210-2)은 다른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프라이빗 영역(210-1)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트롤 오브젝트(240-1, 240-2)들은 제 1 유저(230-1)가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유저(230-1)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프라이빗 영역(210-1)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240-1, 240-2)들을 제어하고, 관련된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프라이빗 영역(210-2)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트롤 오브젝트(240-3, 240-5)들은 제 2 유저(230-2)가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유저(230-2)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2 프라이빗 영역(210-2)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240-3, 240-5)들을 제어하고, 관련된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퍼블릭 영역(220)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240-4, 240-6, 240-7)은 제 1 유저(230-1) 및 제 2 유저(230-2)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퍼블릭 영역(220)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가 제 1 프라이빗 영역(210-1)으로 이동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제 1 유저(230-1)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들(240-1, 240-2, 240-3, 240-4, 240-5, 240-6, 240-7)이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제어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를 프라이빗 영역(210)에서 퍼블릭 영역(220)의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에 대응하는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340)를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를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풋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제 1 컨트롤 인풋은 제 1 이동 속도로 이동되는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 및 제스처 인풋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은 프라이빗 영역(210) 내의 기설정된 기준점(370)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기설정된 기준점은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유저의 시선 위치가 도달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기설정된 기준점(370)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된 점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1 컨트롤 인풋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제 1 방향은 제 1 컨트롤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를 프라이빗 영역(210)에서 퍼블릭 영역(2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가 이동한 거리를 제 1 컨트롤 인풋의 제 1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트롤 인풋의 제 1 이동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를 처음 디스플레이된 위치로부터 더 멀리 이동 시킬 수 있다. 즉,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는 프라이빗 영역(210)에서 더 멀리 떨어진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210)에서 퍼블릭 영역(220)의 제 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가 프라이빗 영역(210)에서 퍼블릭 영역(220)으로 이동할 때 지나는 지점일 수 있다. 즉, 제 1 위치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가 이동한 경로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에서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210)의 제 2 위치에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3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34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가 퍼블릭 영역(220)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34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를 제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된 제 2 위치를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위치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 2 위치는 프라이빗 영역(21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거리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로부터 제 1 위치까지의 거리인 제 1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 1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가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340)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에 가깝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는 퍼블릭 영역(220)에 위치하고,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340)는 프라이빗 영역(21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영역(220)내의 제 1 컨트롤 오브젝트(310)의 위치 정보를 프라이빗 영역(210) 내의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340)를 통해 유저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상술한 기설정된 기준점(370)으로부터 동일한 제 1 방향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기준점(370)으로부터 동일선상에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기준점(370)에서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제 1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기준점에서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을 제 2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거리가 증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 1 위치가 기설정된 기준점(370)에서 멀어질수록 제 2 위치는 기설정된 기준점(370)에서 멀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2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2 컨트롤 오브젝트(320)를 프라이빗 영역(210)에서 퍼블릭 영역(2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컨트롤 인풋은 제 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컨트롤 인풋은 제 2 이동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트롤 오브젝트(320)를 제 3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트롤 인디케이터(350)를 제 4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3 위치가 상술한 제 1 위치보다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에 가까운 경우, 제 4 위치는 상술한 제 2 위치보다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360)와 컨트롤 오브젝트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는 기설정된 기준점(370)에 기초하여 동일한 제 2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 3 위치는 기설정된 기준점(370)으로부터 제 3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제 4 위치는 기설정된 기준점(370)으로부터 제 4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일 수 있다. 이때, 제 3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4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 2 컨트롤 오브젝트(320)가 기설정된 기준점(370)에서 멀어질수록 제 2 컨트롤 인디케이터(350)는 기설정된 기준점(370)에서 멀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가 퍼블릭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퍼블릭 영역(220)에서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이동시키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퍼블릭 영역(220)에서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으로 이동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를 종료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이동 속도를 갖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컨트롤 오브젝트(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오브젝트(410)는 퍼블릭 영역(220)의 제 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이동 속도를 갖는 제 2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컨트롤 오브젝트(4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오브젝트(410)는 퍼블릭 영역(220)의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 1 이동 속도가 제 2 이동 속보다 큰 경우, 제 1 위치는 제 2 위치보다 기설정된 기준점(460)으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위치는 제 2 위치보다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450)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속도가 커지면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210)에서 더 멀리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410)에 대응하는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430)를 프라이빗 영역(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이동 속도를 갖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컨트롤 오브젝트(410)가 이동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위치에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4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이동 속도를 갖는 제 2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컨트롤 오브젝트(410)가 이동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4 위치에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4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이동 속도가 제 2 이동 속도보다 큰 경우, 제 3 위치는 제 4 위치보다 기설정된 기준점(460)으로부터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3 위치는 제 4 위치보다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450)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의 이동 속도가 커지면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210)에 멀리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450)에 가깝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퍼블릭 영역(220)으로 이동한 컨트롤 오브젝트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530)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530)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510)의 거리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인디케이터(530)를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디케이터(530)가 이동되면 컨트롤 오브젝트(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a를 참조하면,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디케이터(530)가 이동된 경우, 컨트롤 인디케이터(530)의 제 1 거리는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 1 거리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550)로부터 컨트롤 인디케이터(530)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이때, 제 1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510)의 제 2 거리는 감소할 수 있다. 이때, 제 2 거리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550)로부터 컨트롤 오브젝트(510)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530)가 프라이빗 영역(210) 안쪽으로 이동되면 컨트롤 오브젝트(510)를 프라이빗 영역(21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인디케이터(530)의 이동 속도가 빠르면 컨트롤 오브젝트(510)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550)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530)가 스레스홀드 거리 이상 이동되면 컨트롤 오브젝트(510)를 퍼블릭 영역(220)에서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스레스홀드 거리는 임계 거리일 수 있으며,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스레스홀드 거리는 컨트롤 오브젝트(510)의 거리인 제 2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스레스홀드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550)에서 멀리 위치할수록 컨트롤 인디케이터(530)를 이동 거리를 증가시켜 컨트롤 오브젝트(510)를 프라이빗 영역(51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영역(220)으로 이동한 컨트롤 오브젝트(510)를 다시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510)가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이동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53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컨트롤 인디케이터(530)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위치는 기설정된 기준점(560)으로부터 제 1 방향에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2 위치는 기설정된 기준점(560)으로부터 제 2 방향에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기준점(560)은 프라이빗 영역(210)에서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저의 시선 위치가 도달하는 지점이 기준점(560)일 수 있다. 컨트롤 인디케이터(53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510)를 제 3 위치에서 제 4 위치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3 위치는 제 1 위치와 동일하게 기설정된 기준점(560)으로부터 제 1 방향에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제 4 위치는 제 2 위치와 동일하게 기설정된 기준점(560)으로부터 제 2 방향에 위치하는 지점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530)의 이동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510)를 기준점에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에디팅 영역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라이빗 영역(6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는 프라이빗 영역(610) 내에 에디팅 영역(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에디팅 영역(620) 내에서 컨트롤 인디케이터(660)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640)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에디팅 영역(620)이 아닌 프라이빗 영역(610) 내에서 컨트롤 인디케이터(660)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6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에디팅 영역(620)에서는 컨트롤 오브젝트(640)를 이동시키지 않고, 오브젝트 속성만을 변경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660)의 위치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640)를 제어하는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라인 인디케이터(670)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라인 인디케이터(670)는 컨트롤 오브젝트(640)와 컨트롤 인디케이터(660)를 연결하는 선모양의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이때, 도 6b를 참조하면, 컨트롤 인디케이터(660)가 에디팅 영역(620)에 위치하면 라인 인디케이터는 느슨한 모양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660)가 이동하여도 컨트롤 오브젝트(640)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인디케이터(660)가 에디팅 영역(620)의 경계로 이동하는 경우, 라인 인디케이터(670)는 팽팽한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 후, 컨트롤 인디케이터(660)가 에디팅 영역(620)이 아닌 프라이빗 영역(610)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660)의 이동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6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에디팅 영역에서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의 제 1 위치가 에디팅 영역(720)에 위치하면 에디팅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가 에디팅 영역(720)이 아닌 프라이빗 영역(710)에 위치하면 인디케이팅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에디팅 모드 및 인디케이팅 모드에서 컨트롤 오브젝트(740)의 제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에디팅 모드에서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740)의 오브젝트 속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오브젝트 속성은 컨트롤 오브젝트(740)의 크기 및 디스플레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인디케이팅 모드에서 컨트롤 오브젝트(740)의 오브젝트 속성은 변경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팅 모드는 컨트롤 오브젝트(740)가 퍼블릭 영역(730)에 위치하는지 여부만 나타낼 뿐 오브젝트 속성은 제어하지 않도록 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영역을 구별하여 컨트롤 오브젝트(740)의 제어 권한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회전시키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회진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가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하게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프라이빗 영역(710)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오브젝트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의 크기를 크게하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디케이터(76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컨트롤 오브젝트(740)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프라이빗 영역(710)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오브젝트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는 퍼블릭 영역(730)에 위치하는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제어하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즉, 컨트롤 인디케이터(760)가 프라이빗 영역(710) 내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가 에디팅 영역(720)에 위치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740)가 퍼블릭 영역(730)에 위치하는 경우, 유저는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을 입력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통해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회전시키면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740)의 디스플레이를 종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이용하여 퍼블릭 영역 내에서 컨트롤 오브젝트(740)로 오퍼레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오퍼레이션은 동영상 재생, 이미지 디스플레이 등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퍼블릭 영역(730)에서 프라이빗 영역(71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710) 내에서 컨트롤 인디케이터(760)에 인접하여 제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어 인터페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 인터페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740)의 제어 명령을 메뉴화한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7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760)의 제어 기능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프라이빗 영역(7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유저의 시선 위치로부터 제 1 거리 내의 영역을 프라이빗 영역(8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유저의 시선 위치가 도달하는 지점은 기설정된 기준점일 수 있다. 이‹š, 제 1 거리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유저의 팔길이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팔길이에 기초하여 제 1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을 프라이빗 영역(8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프라이빗 영역(810)이 아닌 영역을 퍼블릭 영역(8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에 기초하여 개인이 사용하는 프라이빗 영역(81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든 유저가 사용하는 퍼블릭 영역(820)을 프라이빗 영역(810)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9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부터 유저까지의 거리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유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들(930, 940)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들(950, 960)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유저까지의 거리가 제 1 스레스홀드 거리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들(930, 940)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들(950, 960)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들(930, 940)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들(950, 960)을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유저까지의 거리가 제 1 스레스홀드 거리 이내임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들(930, 940)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들(950, 960)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1 스레스홀드 거리는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 거리일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거리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유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컨트롤 오브젝트들(930, 940)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들(950, 960)의 선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가까워지면 컨트롤 오브젝트들(930, 940)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들(950, 960)을 선명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거리가 멀어지면 컨트롤 오브젝트들(930, 940) 및 컨트롤 인디케이터들(950, 960) 흐려지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선명도는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에디팅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빗 영역은 유저의 접근 권한이 제한된 영역일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영역은 특정 유저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영역으로,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퍼블릭 영역은 프라이빗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퍼블릭 영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에게 접근 권한이 허용된 영역일수 있다. 또한, 에디팅 영역은 컨트롤 오브젝트의 제어 방법이 다르게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디팅 영역은 프라이빗 영역에 포함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 중 에디팅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에디팅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 중 에디팅 영역이 아닌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인디케이팅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컨트롤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기초하여 다른 방법으로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로서, 유저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고, 유저에 의해 제어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대형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복수의 유저가 이용할 수 있을만큼 큰 디스플레이 유닛(110)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작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더라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영역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다르게 제어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컨트롤 인풋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멀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복수의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복수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영역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영역 정보 및 컨트롤 인풋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유저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은 제스처 인풋으로서,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인풋은 인풋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인풋 또는 음성이나 오디오를 통해 입력되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통합된 엘레멘트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카메라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유닛(130) 은 이미지를 센싱하고 캡처링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유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유저의 시선이 도달하는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유저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부터 유저까지의 거리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유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유저의 팔길이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130)은 유저의 제스처 및 유저의 동작 범위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팔길이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카메라 유닛(130)은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130)은 유저까지의 거리 또는 유저의 존재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센서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140)은 상술한 카메라 유닛(130)에 포함된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유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유저까지의 거리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까지의 거리 또는 유저의 존재 여부를 디텍트하기 위해 카메라 유닛(130)과 별도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은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서, 카메라 유닛(110)과 센서 유닛은 하나의 통합된 엘레멘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프라이빗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의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퍼블릭 영역에 있음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 내의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제 2 위치를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퍼블릭 영역 내의 컨트롤 오브젝트의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 내의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50)는 퍼블릭 영역 내에서의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디텍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이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포함된 에디팅 영역에서 컨트롤 오브젝트의 제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10) 이때,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유저에 의해 제어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는 유저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유저에 의해 제어되고, 오퍼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 또는 퍼블릭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210)에 접근 권한이 허용된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가 퍼블릭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내의 위치에 기초하여 다른 제어 방법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1120) 도 3a 내지 도 3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풋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제 1 컨트롤 인풋은 제 1 이동 속도로 이동되는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 및 제스처 인풋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은 프라이빗 영역 내의 기설정된 기준점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기설정된 기준점은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유저의 시선 위치가 도달하는 지점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기설정된 기준점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된 점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1 컨트롤 인풋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제 1 방향은 제 1 컨트롤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의 제 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S1130) 도 3a 내지 도 3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는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의 경계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할 때 지나는 지점일 수 있다. 즉, 제 1 위치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이동한 경로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에서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컨트롤 인풋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더 멀리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140) 도 3a 내지 도 3c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의 제 2 위치에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인디케이터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퍼블릭 영역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디케이터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가 디스플레이된 제 2 위치를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위치는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 2 위치는 프라이빗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거리는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360)로부터 제 1 위치까지의 거리인 제 1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 1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로부터 멀어질수록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에 가깝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130 : 카메라 유닛
140 : 센서 유닛
150 :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라이빗 영역(privat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써,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control object)를 디스플레이하고,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프라이빗 영역에서 상기 퍼블릭 영역의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control indicator)를 상기 프라이빗 영역의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컨트롤 인디케이터가 상기 프라이빗 영역의 제 2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이동시키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2 컨트롤 인풋에 의해 상기 컨트롤 인디케이터가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되,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상기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프라이빗 영역과 상기 퍼블릭 영역의 경계로부터 제 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설정되되,
    상기 제 1 컨트롤 인풋의 상기 이동 속도가 커지면 상기 제 1 거리는 증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가 상기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프라이빗 영역과 상기 퍼블릭 영역의 경계로부터 제 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으로 설정되되,
    상기 제 2 거리는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프라이빗 영역과 상기 퍼블릭 영역의 경계의 거리인 상기 제 1 거리에 의해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제 2 거리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92476A 2014-07-22 2014-07-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41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76A KR102241074B1 (ko) 2014-07-22 2014-07-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470,302 US9563804B2 (en) 2014-07-22 2014-08-27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4898087.3A EP3172640B1 (en) 2014-07-22 2014-09-02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4/008189 WO2016013712A1 (en) 2014-07-22 2014-09-02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76A KR102241074B1 (ko) 2014-07-22 2014-07-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21A KR20160011421A (ko) 2016-02-01
KR102241074B1 true KR102241074B1 (ko) 2021-04-16

Family

ID=5516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476A KR102241074B1 (ko) 2014-07-22 2014-07-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63804B2 (ko)
EP (1) EP3172640B1 (ko)
KR (1) KR102241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4490B1 (ko) * 2016-11-04 202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5378B1 (ko) 2017-01-17 2018-11-0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수담수화 플랜트의 에너지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0908504B (zh) * 2019-10-10 2021-03-23 浙江大学 一种增强现实博物馆协作交互方法与系统
CN115989476A (zh) * 2021-08-16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的控制方法、显示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0531A1 (en) 2005-03-31 2008-05-01 Sega Corpor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executed in game machine
US20080192059A1 (en) 2007-02-09 2008-08-14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display
US20090322695A1 (en) 2008-06-25 2009-12-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US8161403B2 (en) 2007-12-05 2012-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turning passed objects in a surface based computing environment using a virtual bunge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3141A1 (en) * 2002-08-06 2009-06-04 Igt Intelligent Multiplayer Gaming System With Multi-Touch Display
CN101878487B (zh) * 2008-09-29 2013-04-1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户接口装置、用户接口方法、以及记录媒体
US8226476B2 (en) * 2008-11-04 2012-07-24 Quado Media Inc. Multi-player, multi-screens, electronic gaming platform and system
KR101651859B1 (ko) 2009-06-05 2016-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20100132174A (ko) 2009-06-09 2010-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리스트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US20120174020A1 (en) 2010-12-31 2012-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dication of active window when switching tasks in a multi-monitor environment
KR101774316B1 (ko) * 2011-04-18 201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1447969B1 (ko) 2012-11-02 2014-10-14 (주)와이에스테크 다중 모니터 단말의 입력 장치
US8933882B2 (en) * 2012-12-31 2015-01-13 Intentive Inc. User centri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visual display that recognizes user inten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00531A1 (en) 2005-03-31 2008-05-01 Sega Corporation Display control program executed in game machine
US20080192059A1 (en) 2007-02-09 2008-08-14 Microsoft Corporation Multi-user display
US8161403B2 (en) 2007-12-05 2012-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turning passed objects in a surface based computing environment using a virtual bungee
US20090322695A1 (en) 2008-06-25 2009-12-3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9014A1 (en) 2016-01-28
KR20160011421A (ko) 2016-02-01
EP3172640A4 (en) 2018-01-17
EP3172640B1 (en) 2019-11-06
US9563804B2 (en) 2017-02-07
EP3172640A1 (en) 201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789B2 (en) Automatic selection of a wireless connectivity protocol for an input device
US90155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30209016A1 (en)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KR101680113B1 (ko) 휴대 단말기의 gui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8459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96503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f virtual input device based on motion recognition
KR10219492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0546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c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US9430041B2 (en) Method of controlling at least one function of device by using eye action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24107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749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8017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4094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display position of a three-dimensional image
US201402298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10191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sioning a user interface for sharing
US10474324B2 (en) Uninterruptable overlay on a display
US20110248822A1 (en) Systems and apparatuses and methods to adaptively control controllable systems
KR2015003198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4106975A (ja) 入力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6544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01324A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제어 방법
KR2020000680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KR102238697B1 (ko) 테이블탑 인터페이스 장치, 멀티 터치 객체 및 방법
KR101391521B1 (ko)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2204957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