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923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923B1
KR102194923B1 KR1020140092443A KR20140092443A KR102194923B1 KR 102194923 B1 KR102194923 B1 KR 102194923B1 KR 1020140092443 A KR1020140092443 A KR 1020140092443A KR 20140092443 A KR20140092443 A KR 20140092443A KR 102194923 B1 KR102194923 B1 KR 10219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area
control object
control
priv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408A (ko
Inventor
김지환
박시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2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923B1/ko
Priority to US14/504,135 priority patent/US9542565B2/en
Priority to PCT/KR2014/009625 priority patent/WO2016013717A1/en
Publication of KR20160011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4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output devices, e.g. displays or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2Plural input, i.e. interface arrangements in which a plurality of input device of the same type are in communication with a P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제 1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프라이빗 영역에서 상기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privat property)이면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public property)이면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 모드는 상기 제 2 이동 모드와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속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형화 및 경량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두께는 부품의 소형화에 따라 점차 얇아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벽걸이형 TV 등이 보편화되었다. 또한, 대형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저의 인풋을 디텍트하고, 디텍트된 인풋에 기초하여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인터렉티브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시, 공연, 패션매장, 안내 데스크, 레스토랑, 호텔 로비, 갤러리 등 다양한 장소에 유저와 상호 작용하는 디바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대형화 및 경량화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따라서, 유저와 인터렉티브한 대형 디스플레이의 이용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 대형화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 유저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유저가 사용할 수 있을만큼 충분히 클 수 있으며, 복수의 유저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유저 각각에 대한 사용 영역을 구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은 유저의 특징이나 공공 영역의 특징을 고려하여 사용 영역을 제한하거나 구별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복수 유저 간의 사용 영역을 구별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라이빗 영역(privat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다르게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버퍼 영역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하고, 유저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유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라이빗 영역(private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제 1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프라이빗 영역에서 상기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privat property)이면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public property)이면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 시키되, 상기 제 1 이동 모드는 상기 제 2 이동 모드와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속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제 1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프라이빗 영역에서 상기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privat property)이면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public property)이면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이동 모드는 상기 제 2 이동 모드와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속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프라이빗 영역(privat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버퍼 영역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카메라 유닛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하고, 유저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유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가 버퍼 영역에 정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버퍼 영역 또는 버퍼 라인을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유저가 버퍼 영역을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유저가 컨트롤 오브젝트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또는 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Wall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이때,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의 유저가 이용할 수 있을 정도로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벽면 또는 기타 부착 가능한 위치에 부착되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시, 공연, 패션매장, 안내 데스크, 레스토랑, 호텔 로비, 갤러리 등 다양한 장소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벽면에 부착된 대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복수의 유저가 이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유저가 이용할 수 있을만큼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이 존재하면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210) 및 퍼블릭 영역(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빗 영역은 유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라이빗 영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특정 유저(230)만이 이용할 수 영역일 수 있다. 이때, 프라이빗 영역(210)은 유저에 기초하여 접근 권한이 제한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유저에 기초하여 제 1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유저에 기초하여 제 2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라이빗 영역(210)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된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보안 레벨은 인증된 유저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영역(210)은 유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퍼블릭 영역(2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에게 접근된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프라이빗 영역(210)이 아닌 영역을 퍼블릭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퍼블릭 영역(220)에 위치한 오브젝트는 모든 유저가 사용할 수 있다. 즉, 퍼블릭 영역(220)은 공공 영역으로 모든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프라이빗 영역(210)과 퍼블릭 영역(220)을 설정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를 디텍트하고, 프라이빗 영역(210)을 유저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유저의 시선 위치가 디텍트된 위치로부터 제 1 거리 내의 영역을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거리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의 팔길이를 더 디텍트하고, 유저의 팔길이에 기초하여 제 1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이용 가능한 영역을 고려하여 프라이빗 영역(21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얼굴 중심 또는 몸 중심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디스플레이 유닛(110)이 대응되는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제 1 거리 내의 영역을 프라이빗 영역(2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프라이빗 영역(210)을 제외한 영역을 퍼블릭 영역(2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유저에 기초하여 복수의 프라이빗 영역(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라이빗 영역 및 제 2 프라이빗 영역이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제 1 프라이빗 영역 및 제 2 프라이빗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퍼블릭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240-1, 240-2, 240-3, 240-4, 240-5, 240-6, 240-7)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유저에 의해 제어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는 유저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유저에 의해 제어되고, 오퍼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210) 또는 퍼블릭 영역(2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210)에 위치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210)에 접근 권한이 허용된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가 퍼블릭 영역(220)에 위치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내의 위치에 기초하여 다른 제어 방법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유저에 의해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 또는 퍼블릭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제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속성으로서 프라이빗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속성으로서 퍼블릭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한정된 유저에게 접근 권한이 허용되는 속성을 프라이빗 속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허용된 유저에게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가 이용되는 속성을 퍼블릭 속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퍼블릭 속성은 유저와 무관하게 이용될 수 있는 오브젝트 속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안 레벨이 가장 낮은 속성으로서 퍼블릭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한 보안을 낮게 설정하고 누구나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제 1 프라이빗 속성 및 제 2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라이빗 속성은 제 2 프라이빗 속성보다 보안 레벨이 높은 오브젝트 속성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안 레벨이 가장 높은 제 1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특정 유저에게만 이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는 개인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오브젝트 또는 결제 관련 오브젝트 등일 수 있다. 즉, 제 1 프라이빗 속성은 복수의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더라도 특정의 유저에게만 허용된 오브젝트 속성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특정의 유저 집단에게만 허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2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오브젝트는 동호회 관련 오브젝트, 커뮤니티 관련 오브젝트 등일 수 있다. 즉, 제 2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오브젝트는 기설정된 방법에 기초하여 접근이 허용된 유저 집단에게만 허용되는 오브젝트 속성일 수 있다. 반면, 퍼블릭 속성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가 이용할 수 있는 오브젝트 속성으로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240-1, 240-2, 240-3, 240-4, 240-5, 240-6)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저(230-1)는 제 1 프라이빗 영역(210-1)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유저(230-2)는 제 2 프라이빗 영역(210-2)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퍼블릭 속성을 갖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240-1)가 제 1 프라이빗 영역(210-1)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1 유저(230-1)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24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240-1)에 제 1 유저(230-1)의 사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퍼블릭 속성을 갖는 제 2 컨트롤 오브젝트(240-2)가 제 2 프라이빗 영역(210-2)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2 유저(230-2)는 제 2 컨트롤 오브젝트(240-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트롤 오브젝트(240-2)에 제 2 유저(230-2)의 사용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250-1, 25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제 3 컨트롤 오브젝트(250-1)는 제 1 유저(230-1)만이 이용할 수 있는 컨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제 4 컨트롤 오브젝트(250-2)는 제 2 유저(230-2)만이 이용할 수 있는 컨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250-1, 250-2)는 유저에 기초하여 접근 권한이 다르게 설정된 컨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3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라이빗 영역(310)을 이용하는 유저는 프라이빗 영역(310) 내에 위치하는 컨트롤 오브젝트들을 제어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빗 영역(310)을 이용하는 유저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더 이상 이용하지 않거나, 다른 유저와 컨트롤 오브젝트를 공유하기 위해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20)으로 이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이동 모드는 제 2 이동 모드와 다른 이동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 속성은 이동 속도, 정지 여부, 이동 방법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하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버퍼 영역(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 영역(3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포함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버퍼 영역(320)은 프라이빗 영역(310)과 퍼블릭 영역(330) 사이에 위치한 영역일 수 있다. 즉,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반드시 버퍼 영역을 거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 제스처 인풋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340-1)는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버퍼 영역(3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버퍼 영역(320)에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정지 시킬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는 버퍼 영역(320)에 정지될 수 있다. 이때, 버퍼 영역(320)은 버퍼 라인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도 7에서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버퍼 영역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기준 시간은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일 수 있으며, 임계 시간일 수 있다. 또한, 기준 시간은 일정한 오차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기준 시간은 컨트롤 오브젝트(340-1)의 정지 시간으로서,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시간이 도과되면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버퍼 영역(32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가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340-1)는 버퍼 영역(320)에 일정 시간 머무른 후에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가 프리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의 오브젝트 속성을 프라이빗 속성에서 퍼블릭 속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오브젝트 속성이 변경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유저로부터 변경 허용 여부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컨트롤 오브젝트(340-1)의 속성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340-2)를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 제스처 인풋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340-2)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340-2)는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버퍼 영역(320)을 지나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340-2)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버퍼 영역(320)에 컨트롤 오브젝트(340-2)를 정지 시키지 않고,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340-2)는 이동 중 정지되지 않고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따라 이동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가 버퍼 영역에 정지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가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버퍼 영역(320)에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버퍼 영역(320)에 정지된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가 버퍼 영역(320)에 정지된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340-1)는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기 전까지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340-1)는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버퍼 영역(3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 제스처 인풋 등일 수 있다. 즉, 제 2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버퍼 영역(32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버퍼 영역(32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 및 제 2 컨트롤 인풋을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가 버퍼 영역(320)에 정지된 상태에서 제 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3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 제스처 인풋 등일 수 있다. 즉, 제 3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3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버퍼 영역(320)에서 프라이빗 영역(310)으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버퍼 영역(320)에서 프라이빗 영역(31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버퍼 영역(320)으로 이동시킨 후에도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프라이빗 영역(310)으로 다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컨트롤 오브젝트(340-1)를 프라이빗 영역으로 다시 이동시켜 이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이동되는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이동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과 무관하게 이동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컨트롤 인풋은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컨트롤 인풋은 슬라이드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유저가 슬라이딩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제 1 컨트롤 인풋의 이동 속도는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은 유저의 슬라이딩 방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트롤 인풋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340)는 제 1 이동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 1 이동 속도가 스레스홀드 속도보다 작은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버퍼 영역(3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버퍼 영역(320)에 정지시킬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이 도과하면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버퍼 영역(320)에서 퍼블릭 영역(34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버퍼 영역(320)에 정지된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이동시키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술한 스레스홀드 속도는 컨트롤 오브젝트(340)가 버퍼 영역(320)에 정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임계 속도일 수 있다. 이때, 스레스홀드 속도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으며, 일정한 오차를 가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스레스홀드 속도를 기준으로 컨트롤 오브젝트(340)의 이동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이동 속도로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 2 이동 속도는 스레스홀드 속도보다 빠른 속도일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버퍼 영역(320)을 거쳐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컨트롤 오브젝트(340)의 속도가 스레스홀드 속도보다 빠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버퍼 영역(320)에 정지시키지 않고,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340)의 이동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스처의 종류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340)의 이동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으로서 제 1 제스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버퍼 영역(320)에 정지시킬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준 시간이 도과하거나, 다른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으로서 제 2 제스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버퍼 영역(320)에 정지시키지 않고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제스처 및 제 2 제스처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제스처 및 제 2 제스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 제스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컨트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360)를 프라이빗 영역(310) 및 버퍼 영역(320)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인디케이터(36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가 퍼블릭 영역(330)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인디케이터(360)는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된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제어하기 위한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컨트롤 인디케이터(360)를 선택하는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영역(330)에 위치하는 컨트롤 오브젝트(340)와 관련된 메뉴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360)가 버퍼 영역(320)에 디스플레이되면 제 1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360)가 프라이빗 영역(310)에 디스플레이되면 제 2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3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360)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340)의 제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는 컨트롤 오브젝트(340)의 제어 권한이 다른 모드로서, 권한 등급이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360)의 제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도 12 및 도 13에서 후술한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버퍼 영역 또는 버퍼 라인을 포함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퍼 영역은 컨트롤 오브젝트가 정지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버퍼 영역은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310)과 퍼블릭 영역(330)의 경계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버퍼 영역(320-1)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라이빗 영역(310)이 원(circle) 형태로 설정된 경우, 버퍼 영역(320-1)은 프라이빗 영역(310)을 둘러싸고, 일정한 크기를 갖는 원(circle)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버퍼 영역(320-1)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버퍼 영역(320-1)의 크기는 매우 작을 수 있다. 즉, 버퍼 영역(320-1)은 프라이빗 영역(310)과 퍼블릭 영역(330)의 경계에만 설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버퍼 영역(320-1) 대신 버퍼 라인(32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퍼 라인(320-2)은 상술한 버퍼 영역(320-1)과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340)가 프라이빗 영역(310)에서 퍼블릭 영역(330)으로 이동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340)는 버퍼 라인(320-2)에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컨트롤 오브젝트(340)는 버퍼 라인(320-2)에 걸쳐진 형태일 수 있다. 즉, 컨트롤 오브젝트(340) 중 일부는 프라이빗 영역(310)에 위치하고, 일부는 퍼블릭 영역(330)에 위치하는 형태로 정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340)가 정지되는 영역으로서, 버퍼 영역(320-1) 또는 버퍼 라인(32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버퍼 영역(320-1) 또는 버퍼 라인(320-2)은 프라이빗 영역(310)의 모양에 기초하여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버퍼 영역(320-1) 또는 버퍼 라인(320-2)는 프라이빗 영역(310)과 퍼블릭 영역(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모양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부터 유저까지의 거리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유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들(810-1, 810-2, 810-3, 810-4, 810-5, 810-6, 820-1, 820-2)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유저까지의 거리가 제 1 스레스홀드 거리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들(810-1, 810-2, 810-3, 810-4, 810-5, 810-6)만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들(810-1, 810-2, 810-3, 810-4, 810-5, 810-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유저까지의 거리가 제 1 스레스홀드 거리 이상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영역은 유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사용하지 않으면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전체를 퍼블릭 영역(2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거리는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임계 거리일 수 있다. 이때, 제 1 스레스홀드 거리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와 유저까지의 거리가 제 1 스레스홀드 거리 이내임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21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유저의 시선 위치로부터 제 1 거리 내의 영역을 프라이빗 영역(8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유저의 시선 위치가 도달하는 지점은 기설정된 기준점일 수 있다. 또한, 제 1 거리는 유저 또는 프로세서(150)에 의해 변경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유저의 팔길이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팔길이에 기초하여 제 1 거리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영역을 프라이빗 영역(8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프라이빗 영역(210)이 아닌 영역을 퍼블릭 영역(22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에 기초하여 개인이 사용하는 프라이빗 영역(210)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모든 유저가 사용하는 퍼블릭 영역(220)을 프라이빗 영역(210)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820-1, 820-2)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면 프라이빗 영역(210)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속성의 컨트롤 오브젝트들(810-1, 810-2, 810-3, 810-4, 810-5, 810-6) 및 프라이빗 속성의 컨트롤 오브젝트들(820-1, 820-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속성의 컨트롤 오브젝트들(810-1, 810-2, 810-3, 810-4, 810-5, 810-6)을 항상 디스플레이하고, 프라이빗 속성의 컨트롤 오브젝트들(820-1, 820-2)는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거리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유저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910)에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930-1, 930-2)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910)에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940-1, 940-2)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라이빗 영역(910)을 이용하는 유저는 프라이빗 영역(910) 내에 위치하는 컨트롤 오브젝트들(930-1, 930-2, 940-1, 940-2)을 이용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는 이용되고 있는 프라이빗 영역(910) 및 유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910)에서 퍼블릭 영역(920)으로 이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트롤 오브젝트(930-1)의 오브젝트 속성은 퍼블릭 속성일 수 있다. 또한,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의 오브젝트 속성은 프라이빗 속성일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오브젝트(930-1)가 프라이빗 영역(910)에서 퍼블릭 영역(920)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1 컨트롤 오브젝트(930-1)는 유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 1 컨트롤 오브젝트(930-1)는 공공의 컨트롤 오브젝트로서 특정 유저에게 이용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가 프라이빗 영역(910)에서 퍼블릭 영역(920)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는 유저 정보를 지속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는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는 제 1 유저(230)에게 접근 권한이 허용된 컨트롤 오브젝트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가 퍼블릭 영역(920)으로 이동하여도 제 2 유저(미도시)는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를 제어할 수 없다. 이때,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가 퍼블릭 영역(920)으로 이동된 경우,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는 유저 정보를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2 컨트롤 오브젝트(940-1)는 접근 권한이 허용된 유저 정보를 디스플레이 영역과 무관하게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유저(23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910) 및 제 1 유저(230)에게 접근 권한이 허용된 컨트롤 오브젝트(940-1, 940-2)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유저(230)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거리가 스레스홀드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유저(230)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라이빗 영역(910) 내외에 위치하는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들(940-1, 940-2)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모두 종료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930-1, 930-2)는 유저의 이용 여부와 무관하게 디스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유저가 버퍼 영역을 공유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라이빗 영역(1010-1) 및 제 1 버퍼 영역(102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라이빗 영역(1010-1) 및 제 1 버퍼 영역(1020-1)은 제 1 유저(230-1)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프라이빗 영역(1010-2) 및 제 2 버퍼 영역(102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프라이빗 영역(1010-2) 및 제 2 버퍼 영역(1020-2)은 제 2 유저(230-2)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프라이빗 영역(1010-2)를 제 1 프라이빗 영역(1010-1)과 겹쳐지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버퍼 영역(1020-1)과 제 2 버퍼 영역(1020-2)이 겹쳐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1010-1, 1010-2)는 겹쳐지지 않도록 설정하고, 버퍼 영역(1020-1, 1020-2)는 겹쳐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버퍼 영역(1020-1)과 제 2 버퍼 영역(1020-2)이 겹치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유저(230-1) 및 제 2 유저(230-2)에게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버퍼 영역(1020-1)과 제 2 버퍼 영역(1020-2)이 중복되는 중복 영역(1040)에 대한 정보를 제 1 유저(230-1) 및 제 2 유저(230-2)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피드백은 음성 피드백, 택타일 피드백 및 비주얼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들(230-1, 230-2)에게 버퍼 영역이 중복됨을 알려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10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버퍼 영역(10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3 버퍼 영역(1070)은 제 1 유저(230-1) 및 제 2 유저(230-2)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라이빗 영역(1010-1)에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1, 1060-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라이빗 영역(1010-1)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1, 1060-1)은 제 1 유저(230-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프라이빗 영역(1010-2)에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2, 1060-2)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프라이빗 영역(1010-2)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2, 1060-2)은 제 2 유저(23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영역(1030)에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3, 1050-4, 1050-5, 1050-6)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퍼블릭 영역(1030)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3, 1050-4, 1050-5, 1050-6)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3 버퍼 영역(1070)에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7, 1050-8, 1060-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3 버퍼 영역(1070)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7, 1050-8, 1060-3)은 제 1 유저(230-1) 및 제 2 유저(230-2)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유저(230-1) 및 제 2 유저(230-2)의 공통 영역으로서 제 3 버퍼 영역(10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3 버퍼 영역(1070)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들(1050-7, 1050-8, 1060-3)의 접근 권한은 제 1 유저(230-1) 및 제 2 유저(230-2)에게만 주어질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어 방법을 다르게 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유저가 컨트롤 오브젝트를 교환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라이빗 영역(1110-1)에서 퍼블릭 영역(1120)으로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영역(1120)에서 제 2 프라이빗 영역(1110-2)으로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1140)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영역(1120)으로 이동된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제 2 프라이빗 영역(1110-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1140)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 제스처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퍼블릭 영역(1120)에서 제 2 버퍼 영역(1130-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버퍼 영역(1130-2)에서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기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정지시킬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제 2 버퍼 영역(1130-2)에서 제 2 프라이빗 영역(1110-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1140)가 제 2 버퍼 영역(1130-2)에 정지된 상태에서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제 2 버퍼 영역(1130-2)에서 제 2 프라이빗 영역(1110-2)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2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제 2 버퍼 영역(1130-2)에서 제 2 프라이빗 영역(1110-2)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1140)가 제 2 버퍼 영역(1130-2)에 정지된 상태에서 제 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3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제 2 버퍼 영역(1130-2)에서 퍼블릭 영역(1120)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3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제 2 버퍼 영역(1130-2)에서 퍼블릭 영역(1120)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1140)가 제 1 프라이빗 영역(1110-1)에서 제 2 프라이빗 영역(1110-2)으로 이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버퍼 영역(1130-1) 및 제 2 버퍼 영역(1130-2)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컨트롤 오브젝트(1140)를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영역(1120)에서 제 2 프라이빗 영역(1110-2)으로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버퍼 영역(1130-2)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정지시키지 않고, 제 2 프라이빗 영역(1110-2)으로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1240)가 제 1 프라이빗 영역(1210-1)에서 퍼블릭 영역(1220)으로 이동되면 컨트롤 오브젝트(1240)에 대응하는 컨트롤 인디케이터(1250-1)를 제 1 프라이빗 영역(12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인디케이터(1250-1)는 컨트롤 오브젝트(1240)가 퍼블릭 영역(1220)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1250-1)와 컨트롤 오브젝트(1240)를 연결하는 라인 인디케이터(1250-2)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라인 인디케이터(1250-2)는 컨트롤 인디케이터(1250-1)와 컨트롤 오브젝트(1240)의 연결 여부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퍼블릭 영역(1220)으로 이동된 컨트롤 오브젝트(1240)를 제 2 프라이빗 영역(1210-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1240)를 퍼블릭 영역(1220)에서 제 2 프라이빗 영역(1210-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1240)를 선택하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컨트롤 인풋은 제 2 유저(230-2)가 컨트롤 오브젝트(1240)를 이동시키기 위한 컨트롤 인풋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이동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 1 프라이빗 영역(1210-1)에서 컨트롤 인디케이터(1250-1)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비아스(100)는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컨트롤 인풋은 제 1 유저(230-1)에 의해 디텍트되는 인풋일 수 있다. 이때, 제 2 컨트롤 인풋은 제 1 유저(230-1)가 컨트롤 오브젝트(1240)의 이동 여부를 허용하는 인풋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1240)를 제 2 프라이빗 영역(1210-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1250-1)를 이용하여 컨트롤 오브젝트(1240)의 이동 여부 및 제어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3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제 1 프라이빗 영역(1310-1)에서 퍼블릭 영역(1320)으로 이동되면 컨트롤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디케이터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라이빗 영역(1310-1)에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134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디케이터(130)는 퍼블릭 영역에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1330-1)가 위치함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일 수 있다. 또한, 이때, 일 예로, 프라이빗 속성은 제 1 유저(230-1)에게 접근 권한이 허용된 속성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1 유저(230-1)는 자신에게 접근 권한이 있는 컨트롤 오브젝트(1330-1)가 퍼블릭 영역(1320)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프라이빗 영역(1310-1)에 제 2 컨트롤 인디케이터(1350-1)를 디스플레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프라이빗 영역(1310-2)에 제 3 컨트롤 인디케이터(135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1330-2)가 퍼블릭 영역(1320)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프라이빗 영역(1310-1, 1310-2)에 컨트롤 인디케이터(1350-1, 135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들에게 이용 가능한 컨트롤 오브젝트(1330-2)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1330-2)가 제 2 프라이빗 영역(1310-2)으로 이동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디케이터들(1350-1, 1350-2)의 디스플레이를 종료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버퍼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프라이빗 영역은 유저의 접근 권한이 제한된 영역일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영역은 특정 유저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 영역으로,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퍼블릭 영역은 프라이빗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퍼블릭 영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에게 접근 권한이 허용된 영역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컨트롤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 기초하여 다른 방법으로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로서, 유저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고, 유저에 의해 제어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버퍼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버퍼 영역은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버퍼 영역은 버퍼 라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를 버퍼 라인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영역으로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과 퍼블릭 영역의 경계로서 일정한 크기를 갖지 않는 버퍼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버퍼 영역 또는 버퍼 라인에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대형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복수의 유저가 이용할 수 있을만큼 큰 디스플레이 유닛(110)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작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더라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영역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다르게 제어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15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컨트롤 인풋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상술한 센서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바이스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즉,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멀티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복수의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복수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복수의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영역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영역 정보 및 컨트롤 인풋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컨트롤 인풋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유저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은 제스처 인풋으로서, 접촉 또는 비접촉의 다양한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인풋은 인풋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인풋 또는 음성이나 오디오를 통해 입력되는 인풋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과 통합된 엘레멘트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110)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카메라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 유닛(130) 은 이미지를 센싱하고 캡처링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유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유저의 시선이 도달하는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상술한 유저 시선 위치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부터 유저까지의 거리를 더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유저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도 9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유닛(130)을 이용하여 유저의 팔길이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130)은 유저의 제스처 및 유저의 동작 범위를 센싱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팔길이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카메라 유닛(130)은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카메라 유닛(130)은 유저까지의 거리 또는 유저의 존재 여부를 디텍트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옵셔널한 구성으로 센서 유닛(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140)은 상술한 카메라 유닛(130)에 포함된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유저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유저의 시선 위치를 디텍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센서 유닛(14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서 유저까지의 거리를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까지의 거리 또는 유저의 존재 여부를 디텍트하기 위해 카메라 유닛(130)과 별도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유닛은 적외선 센서,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은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 예로서, 카메라 유닛(110)과 센서 유닛은 하나의 통합된 엘레멘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프로세서(150)는 카메라 유닛(130) 및 센서 유닛(14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120)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를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따라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속성은 프라이빗 속성 및 퍼블릭 속성 중 하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유저의 접근 권한이 제한되고, 보안레벨에 기초하여 이용하되는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은 프라이빗 속성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오브젝트가 모든 유저에게 접근이 허용된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은 퍼블릭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50)는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속성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 속성이랑 이동 속도, 정지 여부, 이동 방법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인 경우,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에서 버퍼 영역으로 이동되면 버퍼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정지시킬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150)는 버퍼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인 경우,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프라이빗 영역에서 버퍼 영역으로 이동하여도 정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버퍼 영역을 거쳐 퍼블릭 영역으로 정지없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프로세서(15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의 제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51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오브젝트는 유저 인터페이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유저에 의해 제어되고, 오퍼레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영역 및 퍼블릭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라이빗 영역은 유저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라이빗 영역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유닛(110) 중 특정 유저만이 이용할 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퍼블릭 영역은 디스플레이 유닛 중 프라이빗 영역을 제외한 영역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1520) 이때,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 제스처 인풋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S1530)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속성으로서 프라이빗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속성으로서 퍼블릭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한정된 유저에게 접근 권한이 허용되는 속성을 프라이빗 속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허용된 유저에게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가 이용되는 속성을 퍼블릭 속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퍼블릭 속성은 유저와 무관하게 이용될 수 있는 오브젝트 속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오브젝트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안 레벨이 가장 낮은 속성으로서 퍼블릭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오브젝트에 대한 보안을 낮게 설정하고 누구나 접근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보안 레벨에 기초하여 제 1 프라이빗 속성 및 제 2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오브젝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프라이빗 속성은 제 2 프라이빗 속성보다 보안 레벨이 높은 오브젝트 속성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S1540)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S1550) 이때,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모드 및 제 2 이동 모드는 이동 속성이 다른 모드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이동 속성이란 이동 속도, 정지 여부, 이동 방법 등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16에서 후술한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S1610) 이때,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이동 모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이동 모드를 디텍트할 수 있다.(S1620) 이때,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이동 모드는 제 2 이동 모드와 다른 이동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이동 속성은 이동 속도, 정지 여부, 이동 방법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프라이빗 영역에서 버퍼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1630)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오브젝트는 제 1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프라이빗 영역에서 버퍼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버퍼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정지 시킬 수 있다. 즉, 프라이빗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버퍼 영역(320)에 정지될 수 있다. 이때, 버퍼 영역은 버퍼 라인일 수 있으며, 도 7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컨트롤 오브젝트를 버퍼 영역에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버퍼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1640)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기설정된 기준 시간이 지나면 컨트롤 오브젝트를 버퍼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버퍼 영역에 정지된 상태에서 제 2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2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를 버퍼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가 버퍼 영역에 정지된 상태에서 제 3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3 컨트롤 인풋은 컨트롤 오브젝트를 버퍼 영역에서 프라이빗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인풋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를 제 1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1650)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가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에서 버퍼 영역을 지나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제 1 이동 모드와 다르게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버퍼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정지 시키지 않고,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퍼블릭 속성을 갖는 컨트롤 오브젝트는 프라이빗 영역에서 퍼블릭 영역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에 따라 이동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130 : 카메라 유닛
140 : 센서 유닛
150 : 프로세서

Claims (20)

  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프라이빗 영역(private region) 및 퍼블릭 영역(public region)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빗 영역과 상기 퍼블릭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버퍼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컨트롤 인풋을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컨트롤 인풋 센싱 유닛을 제어하는 상기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써,
    상기 프로세서는,
    제 1 프라이빗 영역에 컨트롤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프라이빗 영역에서 상기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프라이빗 속성(privat property)이면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버퍼 영역에 있는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것을 중지하고,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속성이 퍼블릭 속성(public property)이면 제 2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 시키되,
    상기 제 1 이동 모드는 상기 제 2 이동 모드와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의 이동 속성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빗 속성은 한정된 유저에게 접근(access) 권한이 허용된 오브젝트 속성이고,
    상기 퍼블릭 속성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모든 유저가 이용 가능한 오브젝트 속성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저의 접근 권한에 기초하여 제 1 프라이빗 속성 및 제 2 프라이빗 속성을 설정하되,
    상기 제 1 프라이빗 속성은 상기 제 2 프라이빗 속성보다 보안 레벨이 높은 상기 오브젝트 속성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이동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이동시키는 경우,
    제 1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상기 디텍트된 제 1 컨트롤 인풋에 의해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가 상기 제 1 프라이빗 영역에서 상기 제 1 버퍼 영역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 1 버퍼 영역에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정지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버퍼 영역에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기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정지시키고,
    상기 기설정된 기준 시간이 지나면 상기 컨트롤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버퍼 영역에서 상기 퍼블릭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40092443A 2014-07-22 2014-07-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43A KR102194923B1 (ko) 2014-07-22 2014-07-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504,135 US9542565B2 (en) 2014-07-22 2014-10-01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4/009625 WO2016013717A1 (en) 2014-07-22 2014-10-14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443A KR102194923B1 (ko) 2014-07-22 2014-07-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08A KR20160011408A (ko) 2016-02-01
KR102194923B1 true KR102194923B1 (ko) 2020-12-24

Family

ID=55166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443A KR102194923B1 (ko) 2014-07-22 2014-07-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42565B2 (ko)
KR (1) KR102194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6652B2 (en) 2021-11-29 2024-01-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3769A (ja) * 2014-09-02 2016-04-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59993B2 (en) * 2017-01-20 2019-07-23 Essential Products, Inc. Contextual user interface based on environment
US10166465B2 (en) 2017-01-20 2019-01-01 Essential Products, Inc. Contextual user interface based on video game playback
JP7306173B2 (ja) * 2019-09-05 2023-07-11 富士通株式会社 モード制御方法、モード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5989476A (zh) * 2021-08-16 2023-04-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的控制方法、显示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0355B1 (en) 2006-03-22 2012-07-24 Adobe Systems Incorporated Visual representation of a characteristic of an object in a space
US8510381B1 (en) 2012-02-14 2013-08-13 Google Inc. Sharing electronic resources with users of nearby devices
US20140281482A1 (en) 2013-03-15 2014-09-18 Low Gravity Innovation, Inc. Secure storage and sharing of user object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5467A (ja) * 1999-12-07 2001-06-29 Kizna.Com Inc コンピュータのセキュリティー確保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20060236250A1 (en) * 2005-04-14 2006-10-19 Ullas Gargi Data display methods, display systems, network system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US20070061567A1 (en) * 2005-09-10 2007-03-15 Glen Day Digit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US20080229184A1 (en) * 2007-03-15 2008-09-18 Microsoft Corporation Private sheets in shared spreadsheets
WO2009073584A1 (en) * 2007-11-29 2009-06-11 Oculis Lab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secure visual content
US20090273562A1 (en) * 2008-05-02 2009-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ing computer screen security using customized control of displayed content area
GB0815587D0 (en) * 2008-08-27 2008-10-01 Applied Neural Technologies Ltd Computer/network security application
EP2330558B1 (en) 2008-09-29 2016-11-0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interface device, user interfa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190636B2 (en) * 2008-09-30 2012-05-29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object privilege modification
US8490157B2 (en) * 2008-10-29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Authentication—circles of trust
US8539560B2 (en) * 2010-06-24 2013-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 protection using automatically selectable display surfaces
US20120154255A1 (en) * 2010-12-17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Computing device having plural display parts for presenting plural spaces
US9178981B2 (en) * 2010-12-22 2015-11-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therein
US8990950B2 (en) * 2010-12-27 2015-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abling granular discretionary access control for data stored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20120174020A1 (en) 2010-12-31 2012-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dication of active window when switching tasks in a multi-monitor environment
US8839347B2 (en) * 2011-05-31 2014-09-1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ivacy in cognitive radio information sharing
KR20150069018A (ko) * 2012-10-22 2015-06-22 브이아이디 스케일, 인크. 모바일 장치에서의 사용자 존재 검출
US8887071B2 (en) * 2012-12-07 2014-11-11 Eric Yang Collaborative information sharing system
US9699271B2 (en) * 2013-01-29 2017-07-0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screen sharing during confidential data entry
KR102032182B1 (ko) * 2013-03-25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공유 제어 방법 및 데이터 공유 제어 단말
WO2014157893A1 (en) * 2013-03-27 2014-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private page
KR20140143971A (ko) * 2013-06-10 201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화면 공유 장치 및 방법
US9720559B2 (en) * 2013-10-14 2017-08-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mand authentication
US9361469B2 (en) * 2014-03-26 2016-06-07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communication with secure screen sharing of sensitive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0355B1 (en) 2006-03-22 2012-07-24 Adobe Systems Incorporated Visual representation of a characteristic of an object in a space
US8510381B1 (en) 2012-02-14 2013-08-13 Google Inc. Sharing electronic resources with users of nearby devices
US20140281482A1 (en) 2013-03-15 2014-09-18 Low Gravity Innovation, Inc. Secure storage and sharing of user obj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6652B2 (en) 2021-11-29 2024-01-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408A (ko) 2016-02-01
US9542565B2 (en) 2017-01-10
US20160026812A1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92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740725B2 (en)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processing touch events
EP2901247B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15584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6196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US85933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CN103914249B (zh) 鼠标功能提供方法和实施所述方法的终端
KR102148725B1 (ko)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10126094A1 (en) Method of modifying commands on a touch screen user interface
KR20130097433A (ko) 어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US11048401B2 (en) Device,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gesture based scrolling
JP2014509768A (ja) 親指に装着可能なカーソル制御及び入力デバイス
KR20150119135A (ko) 전자 장치에 표시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2329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241074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201601048A (zh) 電子設備以及電子設備的工作方法
KR102165445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TW201039199A (en) Multi-touch pad control method
TWI468989B (zh) 基於手勢之輸入命令
KR101598671B1 (ko)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키보드 및 그 제어방법
CN103870105B (zh) 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KR101138388B1 (ko)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Ikeda et al. Hover-based reachability technique for executing single-touch gesture on smartphone
KR20140086261A (ko) 사용자 그립 형태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TWI475469B (zh) 具有觸碰感應顯示器之可攜式電子裝置及導覽裝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