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388B1 -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388B1
KR101138388B1 KR1020100031926A KR20100031926A KR101138388B1 KR 101138388 B1 KR101138388 B1 KR 101138388B1 KR 1020100031926 A KR1020100031926 A KR 1020100031926A KR 20100031926 A KR20100031926 A KR 20100031926A KR 101138388 B1 KR101138388 B1 KR 10113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screen
speed
finger
i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2675A (ko
Inventor
안건준
김민철
Original Assignee
크루셜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루셜텍 (주) filed Critical 크루셜텍 (주)
Priority to KR102010003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38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2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어부가 메뉴 또는 파일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움직임의 속도를 계산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의 항목개수 및 속도에 대응하는 스크롤값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되, 리스트의 항목 개수가 증가할수록 스크롤값도 크게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파일이나 메뉴의 개수가 많더라도 손쉽고 빠르게 선택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Terminal unit with Optical pointing device and screen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또는 정보의 리스트를 스크롤하기 위한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기들은 점차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더불어 디자인의 수려함을 강조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강조되는 것은 키보드 혹은 키패드로 대표되던 입력 장치의 다변화이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의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기기에 집적화되면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이를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메뉴 설정이 요구된다. 예컨대 통신 모드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나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의 검색 및 선택, 멀티미디어 모드에서는 멀티미디어 파일 탐색, 재생/정지, 일시 정지 등의 조작 무선 인터넷 접속, 카메라 모드 등에서는 마우스 기능이나 줌 기능(zoom) 등이 요구된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 자체의 기본 설정이나 메뉴 호출 등을 위한 기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다양한 메뉴 또는 파일 정보 등을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된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종래에는 메뉴나 리스트에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시에 단말기의 화면에서 원하는 메뉴나 정보에 포인팅 디바이스의 커서를 위치시켜 선택을 하게 된다. 그런데, 단말기의 화면은 크지 않으므로 리스트가 많을 경우, 이를 포인팅 디바이스를 상, 하 방향으로 스크롤하여 원하는 메뉴 또는 파일 등의 정보를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해야할 파일이나 메뉴의 개수가 많을 경우, 여러번 스크롤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자신이 찾고자하는 메뉴 또는 파일 등이 전체 정보중에서 뒤쪽에 있는 경우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파일이나 메뉴의 개수가 많더라도 손쉽고 빠르게 검색 및 선택이 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는,
화면 상에 커서 또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단말장치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상기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 및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리스트의 항목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의 스크롤값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리스트의 항목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스크롤값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는,
화면 상에 커서(또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단말장치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상기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
상기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 및 리스트 개수 정보에 대응하는 스크롤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부에의해 선택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리스트의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커서의 스크롤값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리스트의 개수가 많을수록 상기 스크롤값을 크게 하고, 상기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가 느리면 스크롤값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어부가 메뉴 또는 파일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의 항목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어부가 메뉴 또는 파일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움직임의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의 항목개수 및 속도에 대응하는 스크롤값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리스트에서 메뉴나 파일의 개수에 따라 스크롤값을 조절하여 메뉴나 파일등을 선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에 접촉하는 손가락의 움직임 속도가 느려지면 스크롤값을 작게하여 정확하게 메뉴나 파일 등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의 개수 및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에 대응되는 스크롤 값을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에서 리스트를 화면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에서 팝업창에 메뉴가 2개의 경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적용된 단말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는 휴대용 단말기이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00) 및 포인팅 디바이스(200)를 포함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실행이 가능한 전자 기기를 모두 포함하는데, 예컨대 정보 단말기,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00), 포인팅 디바이스(200), 제어부(300), 입력부(500) 및 메모리(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00)는 단말장치(1)의 상면 또는 전체에 구비되고,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화면 상에 커서(cursor) 또는 포인터(pointer)를 표시하고, 단말 장치(1)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특히, 포인팅 디바이스(200) 및 입력부(5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에 해당되는 화면을 외부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휴대용 단말기(1)가 메뉴 선택, 엠피쓰리(MP3) 파일 선택 및 재생, 수신 메일(Mail) 등의 읽기 서비스 등을 구현함에 따른 화면을 출력한다.
입력부(500)는 단말 장치에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도구로서,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키패드일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입력 보조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부(100)가 출력하는 화면 상에 커서(또는 포인터)를 조작하며, PC의 마우스 왼쪽 버튼의 역할 즉 화면에 표시된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생성 및 이동시켜 PC(Personal Computer)에서의 포인팅 기술을 구현한다. 즉 포인팅 디바이스(200) 위에 손가락을 올린 후 손가락을 상하, 좌우로 움직이면 그 방향에 따라 커서(또는 포인터)가 움직인다.
여기서,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다양한 기술이 응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광 조이스틱(Optical Joystick)이 이용될 수 있다. 광 조이스틱은 LED(Luminescent Diode)(201)가 발광하는 빛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움직임 정보를 광학계를 통해 센서로 보내고 이것을 좌표값으로 변환, 움직인 변위만큼 화면 상에 구현하는 기술이다.
물론,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이러한 광 조이스틱 뿐만 아니라 홀 센서, 지문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를 포함한 각종 포인팅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사용자 손가락의 물리적 접촉을 감지하거나 또는 사용자 손가락에 반사되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400)에는 메뉴나 파일 등의 리스트의 개수 및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 속도에 대응되는 스크롤값이 저장되며, 이에 대한 예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180~200개이고, 속도가 V1인 경우 스크롤값이 9이다. 스크롤값 9는 한번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리스트중에서 9개의 항목을 스크롤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스크롤값이 크면 그만큼 빠르게 스크롤하는 결과가 된다. 그리고,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180~200개이고, 속도가 V2인 경우 스크롤값이 7이다.
여기서, 속도는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를 의미하며, V2의 속도로 천천히 움직일 경우에는 해당 리스트의 항목을 정확하게 보고 싶어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V1의 속도로 움직일 경우보다 스크롤값을 작게 한다.
여기서, V1은 V2보다 속도가 빠르며 소정의 속도 범위로 규정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기준 속도이상이면 V1으로 하고, 소정의 기준 속도 미만인 경우 V2로 간주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속도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테이블을 만들수도 있다.
그리고,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160~179개이고, 속도가 V1인 경우 스크롤값이 8이고, 리스트의 항목 개수가 160~179개이고, 속도가 V2인 경우 스크롤값이 6이다.
또한,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140~159개이고, 속도가 V1인 경우 스크롤값이 7이고, 리스트의 항목 개수가 140~159개이고, 속도가 V2인 경우 스크롤값이 5이다.
그리고, 리스트의 항목 개수가 3~19개 등으로 적을 경우에는 스크롤값도 속도에 따라 2와 1로서 작게 이동된다.
이와 같이, 스크롤값은 리스트의 항목개수와 사용자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에 대응하여 결정되며, 도 2의 테이블은 예시일 뿐이고,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고, 리스트의 항목 개수가 200개 이상일 경우에는 스크롤값을 더 크게 설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동 변위인 스크롤값은 화면에서의 이동 항목 개수가 아니라 소정의 거리로 표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테이블 없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부(300)에서 동일한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다.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부(500)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리스트의 상기 메모리(400)를 참조하여 상기 커서의 스크롤값을 결정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키패드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부(500)를 이용하여 단말장치의 전원을 켜고, 초기화면에서 소정의 메뉴나 MP3 파일 등을 선택한다(S310). 그러면, 제어부(300)는 선택된 메뉴를 실행하거나 리스트 형태의 서브 메뉴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데, 여기에서는 선택된 메뉴가 리스트 형태로 표현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S320). 또한, MP3 파일 등을 선택하거나 하여도 제어부(300)가 전체 리스트를 항목별로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 여기서, 리스트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된 화면의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MP3 파일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00)에 세로방향으로 표시되었으며 커서가 6번째 항목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리스트 표시 방식은 세로형이 아닌 가로형이 될 수도 있고, 팝업창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이러한 리스트를 보고 포인팅 디바이스(200)에 손가락을 접촉한후 자신이 스크롤하고자 하는 방향 즉,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리스트가 세로형이 아닌 가로형으로 배열되어 있다면,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여 원하는 스크롤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포인팅 디바이스(200)는 이러한 손가락의 소정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한다(S330). 도 4에서는 손가락을 아래 방향으로 움직인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 제어부(300)는 포인팅 디바이스(200)로부터 손가락의 움직임에 관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를 계산한다(S340). 이러한 포인팅 속도는 시간대별로 입력되는 포인팅 이미지의 움직임 차이에 의하여 계산할 수도 있고, 다른 방법에 의하여 계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속도 계산 방법은 이 분야에서 알려진 기술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300)는 전체 리스트의 항목개수와 계산된 속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항목개수와 속도에 대응하는 스크롤값을 메모리(400)에서 읽어온다.
다음, 제어부(300)는 읽어온 스크롤값만큼 아래 방향으로 커서(포인터)를 이동시킨다(S350). 예를 들어,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180~200개이고, 손가락의 움직임 속도가 보통 이상인 경우(V1)에는 스크롤 값을 9로하여 한번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였을때, 9개의 항목을 스크롤하면서 아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한다.
그리고,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180~200개이고, 손가락의 움직임 속도가 보통 미만(V2)인 경우에는 스크롤 값을 7로하여 한번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로 움직였을때, 제어부(300)는 커서가 7개의 항목을 스크롤하면서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좀 더 정확하게 항목 내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리스트의 항목 개수가 3~19개 등으로 적을 경우에는 스크롤값도 작게하여 포인터가 천천히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크롤값은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며, 손가락 움직임 속도의 기준 또한 조정이 가능하다. 즉, 사람에 따라서 손가락 움직임 속도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스크롤 속도도 너무 빠른 경우 육안 확인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것을 감안하여 기준값을 정하되, 단말장치 제조후에도 필요에 따라 이러한 기준값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여 손가락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아래에서 위로 움직이는 것도 방향만 반대일 뿐 동작 원리는 동일하다.
이후, 손가락의 움직임이 멈추고 스크롤이 된후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된 화면에 원하는 항목이 없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스크롤을 할 수 있다.
한편, 원하는 항목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500)를 이용하여 해당 항목을 선택하고, 입력부(500)로부터 항목 선택정보가 수신되면(S360) 제어부(300)는 선택된 항목을 실행하게 된다(S370). 예를 들어, 선택된 항목이 도 4와 같이 MP3 파일이라면 음악을 재생하며, 선택된 항목이 소정의 메뉴라면 해당 메뉴를 실행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항목의 개수가 많을수록 스크롤값을 크게하여 원하는 항목을 찾는 시간을 단축하였으며, 손가락의 움직임 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스크롤값을 작게하여 원하는 항목을 쉽게 찾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손가락 움직임 속도와 무관하게 리스트 항목의 개수에 대응하는 스크롤값으로만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리스트 항목의 전체 개수와 무관하게 손가락 움직임 속도에 대응하여 스크롤값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스크롤이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끝까지 이동하고서도 스크롤해야할 값이 남아 있는 경우 즉, 이동해야할 스크롤값은 3인데 2만큼 이동했더니 상방향 또는 하방향의 마지막 항목인 경우에, 커서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적거나 특히 2개인 경우에는 손가락을 여러번 또는 한번 움직이더라도 2개의 항목에 반복적으로 여러번 움직이게 되어 불편함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번만 움직이도록 스크롤값을 1로 하여 불편함을 줄인다. 이러한 예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팝업 메뉴 또는 일반 메뉴의 항목이 2개인 경우에, 손가락으로 포인팅 디바이스를 하방향으로 한번 문지르면, 제어부(300)는 스크롤값을 1로하여 커서가 항목 이동을 한칸만 하도록 한다. 즉, 'ADD'에서 'REMOVE'로 한칸만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한번 더 손가락으로 포인팅 디바이스를 하방향으로 한번 문지더라도, 제어부(300)는 반대방향으로 커서가 항목 이동을 하도록 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해당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2개인 경우로 설명을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항목 개수가 그 이상의 숫자인 경우에 적용해도 무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옵션 기능으로 채택하여 단말장치에 구현할 수도 있다. 즉, 리스트의 마지막 항목까지 스크롤이 되는 경우에 다시 반복이 될지 아니면 멈출지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키를 부여하여 단말장치의 옵션 기능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부 200: 포인팅 디바이스
300: 제어부 400: 메모리
500: 입력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화면 상에 커서 또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단말장치의 동작에 따른 정보를 상기 화면 상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 및 리스트 항목개수 정보에 대응하는 스크롤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리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를 참조하여 상기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 및 상기 리스트의 항목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커서의 스크롤값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스크롤값을 크게 하고, 상기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스크롤값을 작게 하는 단말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값은 한번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스크롤되는 항목개수인
    단말장치.
  6. 삭제
  7. 삭제
  8.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화면 상의 커서(또는 포인터)를 생성 및 이동시키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한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어부가 메뉴 또는 파일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움직임의 속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의 항목개수 및 상기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에 대응하는 스크롤값으로 상기 커서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리스트의 항목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스크롤값을 크게 하고, 상기 손가락 움직임의 속도가 기준값 이하이면 스크롤값을 작게 하는
    단말장치의 화면 제어방법.
KR1020100031926A 2010-04-07 2010-04-07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KR10113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26A KR101138388B1 (ko) 2010-04-07 2010-04-07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26A KR101138388B1 (ko) 2010-04-07 2010-04-07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75A KR20110112675A (ko) 2011-10-13
KR101138388B1 true KR101138388B1 (ko) 2012-04-26

Family

ID=4502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26A KR101138388B1 (ko) 2010-04-07 2010-04-07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8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97B1 (ko) * 2014-06-02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296206B2 (en) * 2014-09-23 2019-05-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touchpad gestu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135A (ja) 1999-08-24 2001-03-06 Sharp Corp スクロール表示装置及びスクロール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9259163A (ja) 2008-04-21 200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12422A (ko) * 2008-07-29 2010-02-08 비에스엔텍(주) 광 포인팅 장치 및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135A (ja) 1999-08-24 2001-03-06 Sharp Corp スクロール表示装置及びスクロール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9259163A (ja) 2008-04-21 2009-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12422A (ko) * 2008-07-29 2010-02-08 비에스엔텍(주) 광 포인팅 장치 및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675A (ko) 2011-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2580B2 (en) Application menu for video system
JP6429981B2 (ja) ユーザ入力の意図の分類
US9569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JP5946462B2 (ja) 携帯端末機及びその画面制御方法
KR101151028B1 (ko)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화면 제어 방법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US9013422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090265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20150116230A1 (en) Display Device and Ic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227464A1 (en) Screen change method of touch scree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20130099186A (ko) 표시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프로그램
KR101138388B1 (ko) 포인팅 디바이스가 구비된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TW201308190A (zh) 手持裝置和資料輸入方法
KR20090076177A (ko) 동작을 인식하여 마우스 포인터 및 화면 스크롤을 제어하는방법
EP2804085B1 (en) Information terminal which displays image and image display method
JP2014157402A (ja) 表示装置、電子機器、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20095155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10053014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58047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KR101204495B1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단말장치
JP2023003565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84042A (ko)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KR20140024762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2009513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