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130A -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130A
KR20120095130A KR1020110014620A KR20110014620A KR20120095130A KR 20120095130 A KR20120095130 A KR 20120095130A KR 1020110014620 A KR1020110014620 A KR 1020110014620A KR 20110014620 A KR20110014620 A KR 20110014620A KR 20120095130 A KR20120095130 A KR 2012009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touch panel
touch
manipulation
t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
Original Assignee
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 filed Critical 박철
Priority to KR102011001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5130A/ko
Publication of KR2012009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1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6Multi-sensing digitiser, i.e. digitiser using at least two different sensing technologies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e.g. for detecting pen and finger, for saving power or for improving position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품의 상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이 개시된다.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패널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을 판별하는 단계, 및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OPERATION METHOD OF PERSONAL PORTABLE DEVICE HAVING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터치 조작과 탭핑 조작에 의한 멀티터치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휴대단말기는 누구나 손쉽게 휴대가 가능하고 어느 곳에서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점차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라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게임, MP3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고 있다.
아울러, 최근 개인휴대단말기에는 공간활용성이 높고 사용이 편리함 이점으로 인해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터치패널의 장착이 보편화되고 있다. 즉, 터치패널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패널은 크게 정전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통해 단말기의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터치패널에 표시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터치 조작을 통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 기능 실행에 사용되는 아이콘이나 메뉴바의 사용 방법을 숙지해야 하고, 경우에 따라서 여러번의 반복된 터치 조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응용프로그램의 각종 기능을 실행시키기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해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각종 기능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널의 작동방법에 대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터치 조작이 유지되는 동안 탭핑 조작이 병행되는 멀티터치 조작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 실행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입력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입력속도를 단축할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터치패널에서 터치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을 판별하는 단계, 터치패널의 탭핑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및 탭핑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기능의 실행이 대기화면 모드에서 지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탭핑 조작을 감지하는 동안 터치패널의 터치조작은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조작이 해제된 상태에서 탭핑 조작을 감지할 수도 있다.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의 조건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적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이라 함은, 터치패널에서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에 정해진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이거나, 터치패널에서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에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일 수 있다.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이 판별되면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게 되는 바, 이 단계에서는 탭핑 조작 부위가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정의된 복수개의 특정 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게 되며,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각 특정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거리 조건을 갖는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됨에 따라 특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령,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비교적 가까운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배율(또는 처리속도)로 확대(또는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비교적 먼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될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배율(또는 처리속도)로 확대(또는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특정 기능이라 함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련된 기능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이전 단계 이동), 다시 실행(다음 단계 이동),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아울러, 탭핑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단 한번의 탭핑 조작을 감지할 수 있으나, 다르게는 의도하지 않은 접촉에 따른 기능 실행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회 반복적으로 탭핑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탭핑 조작을 하기 전에 특정 영역의 경계를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시부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각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에 관련된 기능표시아이콘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계표시부 및 기능표시아이콘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의 작동방법에 의하면,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과 탭핑 조작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각종 기능에 관련된 입력작업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기능이 실행되거나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과 탭핑 조작에 의해 각종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해 복잡한 여러 단계의 조작을 거처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별도의 메뉴 아이콘을 활성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터치패널에서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응용프로그램에 연관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방법을 각각 별도로 숙지해야 할 필요없이, 각종 기능을 빠르고 간단하게 실행시킬 수 있으며, 각종 기능 실행에 필요한 입력조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조작과 탭핑 조작에 의해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기능 실행을 위한 입력조작시 단순히 입력작업을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품의 가치와 선호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고급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및 탭핑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및 탭핑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및 탭핑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및 탭핑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및 탭핑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으로서, 터치 및 탭핑 조작에 의한 기능 실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은,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터치패널(100)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S20), 상기 터치 조작 부위(T)와 탭핑 조작 부위(TP)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을 판별하는 단계(S30), 및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이라 함은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표시부와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통상의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의 종류 및 구동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개인휴대단말기는 전화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회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블로깅 어플리케이션,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텍스트 뷰어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재생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기능의 실행이 대기화면 모드에서 지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먼저,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T)을 감지한다.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될 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다음, 상기 터치패널(100) 다른 일측의 탭핑 조작(TP)을 감지한다. 상기 탭핑 조작을 감지하는 동안 전술한 터치패널(100)의 터치조작은 연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 조작이 해제된 상태에서 탭핑 조작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T)이 연속적으로 유지된다 함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된 후, 터치패널(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며 신체 또는 입력도구의 정지 또는 이동에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00)의 탭핑 조작(TP)이라 함은 터치 조작과 달리 순간적(일종의 클릭 방식)으로 신체 또는 입력도구가 터치패널(100)에 접촉되고 모션이나 제스쳐가 아닌 한 지점에서의 탭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2와 같이, 터치 조작에 의한 터치신호는 연속적인 접촉신호로 이해될 수 있고, 탭핑 조작에 의한 탭핑신호는 비교적 짧게 끊어진 접촉신호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 및 탭핑 조작이 사용자의 한손으로 구현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패널(100)의 일 지점을 터치 조작하고, 엄지손가락이 터치패널(1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다른 손가락(예를 들어, 검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패널(100)의 다른 일측을 탭핑 조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검지손가락(또는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하고, 엄지손가락(또는 다른 손가락)을 이용하여 탭핑 조작을 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사용자가 두 손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 및 탭핑 조작을 구현할 수도 있다.
다음, 터치 조작 부위(T)와 탭핑 조작 부위(TP)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을 판별한다.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의 조건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임의적으로 설정이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이라 함은, 터치패널(100)에서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에 정해진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이거나, 터치패널(100)에서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에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정의된 복수개의 특정 영역으로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특정 영역의 개수 및 간격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이 판별되면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탭핑 조작 부위(TP)가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정의된 복수개의 특정 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게 되며,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각 특정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각각 다른 거리 조건을 갖는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됨에 따라 특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령,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비교적 가까운(L1)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TP)이 감지될 경우에는 비교적 낮은 배율(또는 처리속도)로 확대(또는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비교적 먼(L2>L1)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TP)이 감지될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배율(또는 처리속도)로 확대(또는 축소)에 관련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탭핑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단 한번의 탭핑 조작을 감지할 수 있으나, 다르게는 의도하지 않은 접촉에 따른 기능 실행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회 반복적으로 탭핑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조작이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동일한 특정 영역에서 두번의 탭핑 조작에 따른 탭핑 신호가 감지될 경우에 그에 대응되는 특정 영역을 판별하여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탭핑 조작의 반복 횟수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2회, 3회 또는 그 이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특정 영역의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특정 기능이라 함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련된 기능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령, 사진(이미지) 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사진의 회전, 확대, 축소 및 편집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음악의 재생, 멈춤 및 스킵(skip)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전화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통화 음량의 조절, 전화번호부, 통화중녹음, 메모작성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모드일 경우에는 촬영설정, 환경설정, 플래시, 줌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 기능은 저장, 삭제, 되살리기(이전 단계 이동), 다시 실행(다음 단계 이동), 보내기, 잘라내기, 관리, 검색 등에 관련된 특정 기능일 수 있으며, 특정 어플리케이션 모드가 실행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능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터치 조작 부위(T)와 탭핑 조작 부위(TP)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터치패널(100)에 터치 조작이 감지된 후 탭핑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조작 부위(T)와 탭핑 조작 부위(TP) 사이의 거리에 따라 소정 배율(또는 처리속도)로 확대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터치 조작이 감지된 후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이 판별되면, 특정 영역의 조건에 따라 소정 배율(또는 처리속도)로 확대에 관련된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가령,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로부터 멀어질수록 확대에 관련된 기능의 실행 정도(속도)가 증가(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탭핑 조작을 하기 전에 특정 영역의 경계를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시부(20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조작 부위(T)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상호 동심적으로 복수개의 특정 영역이 정의될 수 있는 바, 각각의 특정 영역이 정의됨과 아울러 각 특정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시부(200)가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계표시부(200)를 통해 각 특정 영역의 경계를 인지하고 목적된 특정 영역 내측에 정확하게 탭핑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계표시부(20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바, 사용 조작이 미숙한 초심자의 경우에는 경계표시부(200)가 활성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숙련된 사용자의 경우에는 경계표시부(200)가 별도로 활성화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각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에 관련된 기능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됨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개의 특정 영역에는 각각 대응되는 확대 배율에 관련된 기능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경계표시부(200)와 마찬가지로 기능표시아이콘(30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계표시부(200) 및 기능표시아이콘(300)은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활성화된 후, 탭핑 조작이 감지되거나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터치패널(100)의 대략 중앙부에서 이루어지며, 터치패널(10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상,하,좌,우 전 방향을 따라 특정 영역이 정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5와 같이,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터치 패널의 중앙부가 아닌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서 감지될 수 있으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상,하,좌,우 중 일부에만 부분적으로 특정 영역이 정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정의되는 각각의 특정 영역의 경계가 원형 형태로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6과 같이,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정의되는 각각의 특정 영역의 경계가 사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타 다른 형상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정의되는 각각의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이 동일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정의되는 각각의 특정 영역이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각각의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되면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과 같이,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상호 동심적으로 복수개의 특정 영역이 정의될 수 있는 바, 각각의 특정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각각의 특정영역에 따라 각각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패널(100)의 수평 중심선의 상부 영역에 대응되는 각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확대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패널(100)의 수평 중심선의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각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 특정 영역의 조건에 따라 확대 배율(또는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가령, 터치패널(100)의 수평 중심선의 상부(또는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각 특정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로부터 멀어질수록 확대(또는 축소)에 관련된 기능의 실행 정도(속도)가 증가(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시부(200) 및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에 관련된 기능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도 8과 같이,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상호 동심적으로 복수개의 특정 영역이 정의될 수 있는 바, 각각의 특정 영역은 터치패널(100)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각각의 특정영역에 따라 각각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패널(100)의 수직 중심선의 좌측 영역에 대응되는 각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확대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패널(100)의 수직 중심선의 우측 영역에 대응되는 각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아울러,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 특정 영역의 조건에 따라 확대 배율(또는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가령, 터치패널(100)의 수직 중심선의 상부(또는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각 특정 영역이 터치 조작 부위로부터 멀어질수록 확대(또는 축소)에 관련된 기능의 실행 정도(속도)가 증가(또는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시부(200) 및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에 관련된 기능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100)에 정의되는 특정 영역이 수평 중심선 또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분할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터치패널(100)에 정의되는 특정 영역이 수평 중심선 및 수직 중심선의 조합, 또는 터치패널(100)의 중심을 통과하는 여타 다른 중심선의 조합을 기준으로 더 많은 개수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각각의 특정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거나,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서, 도 9와 같이,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상호 동심적으로 복수개의 특정 영역이 정의될 수 있으며, 각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됨에 따라 각각의 특정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3개의 특정 영역이 정의될 시,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해당되는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확대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그 다음 가까운 거리에 해당되는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가장 먼 거리에 해당되는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회전 기능(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시부(200) 및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에 관련된 기능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100)의 특정 영역이 원형 또는 사각형의 폐루프 형상으로 정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10과 같이,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직선 블록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특정 영역이 순차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영역이 직선 블록 형태로 정의되는 경우에도, 터치패널(100)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터치패널(100)의 수평 중심선의 상부 영역에 대응되는 각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확대 기능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패널(100)의 수평 중심선의 하부 영역에 대응되는 각 특정 영역에 탭핑 조작이 감지된 것으로 판별되면 축소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조작 부위와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한 특정 영역의 조건에 따라 확대(또는 축소) 배율(또는 속도)가 가변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100)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특정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시부(200) 및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에 관련된 기능표시아이콘(30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터치패널 200 : 경계표시부
300 : 기능표시아이콘

Claims (10)

  1.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패널 다른 일측의 탭핑(tapping)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조작 부위와 상기 탭핑 조작 부위 사이의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을 판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탭핑 조작 부위가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거리에 따라 정의된 복수개의 특정 영역 중 어디인지를 판별하고,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각 특정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되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탭핑 조작이 감지되는 특정 영역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의 실행 정도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에 정해진 특정 경계 내측에 정의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특정 영역은,
    상기 터치패널에서 상기 터치 조작 부위를 기준으로 소정 거리에 정해진 좌표의 그룹 내측에 정의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에 관련된 기능표시아이콘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의 터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특정 영역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경계표시부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 조작은 연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핑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에서,
    복수회 반복적인 탭핑 조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개인휴대단말기의 활성화된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여 관련된 기능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1020110014620A 2011-02-18 2011-02-18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20095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20A KR20120095130A (ko) 2011-02-18 2011-02-18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620A KR20120095130A (ko) 2011-02-18 2011-02-18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130A true KR20120095130A (ko) 2012-08-28

Family

ID=4688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620A KR20120095130A (ko) 2011-02-18 2011-02-18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51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34B1 (ko) * 2012-10-18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834B1 (ko) * 2012-10-18 201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문자 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07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CN106909304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JP4577428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2961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101224588B1 (ko) 멀티포인트 스트록을 감지하기 위한 ui 제공방법 및 이를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EP2360563A1 (en) Prominent selection cues for icons
JP6157885B2 (ja) 携帯端末装置の表示制御方法
WO2011125352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40033839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에서 한 손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20150355797A1 (en) Electronic equipment, displa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130084209A (ko) 전자 디바이스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110066025A (ko)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US9092198B2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US20120218207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JP5653062B2 (ja) 情報処理装置、操作入力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20095155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20095130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20100164756A1 (en) Electronic device user input
KR20140048756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KR20110057027A (ko)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KR20110047421A (ko) 터치패널의 작동방법
KR20110084042A (ko)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