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186A - 표시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9186A KR20130099186A KR1020137016808A KR20137016808A KR20130099186A KR 20130099186 A KR20130099186 A KR 20130099186A KR 1020137016808 A KR1020137016808 A KR 1020137016808A KR 20137016808 A KR20137016808 A KR 20137016808A KR 20130099186 A KR20130099186 A KR 201300991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ons
- motion
- category
- individual icons
- display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표시 장치(100)는, 화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갖는 표시부(131); 유저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132);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 및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인풋 유닛에 의해 검출된 모션에 기초하여, 상기 표면상의 2 터치 점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핀치-아웃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로 전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갖춘 전자 기기에는, 아이콘(icon)들이 늘어놓이고, 겉보기(appearance)가 스크린의 유저의 터치에 따라 표시를 변화하는 GUI가 구비된다. 특허 문헌 1은, 유저가 빈번히 사용하는 기능성들을 갖는 아이콘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tray)(216)와 유저가 빈번히 활성화하지 않는 기능성을 갖는 아이콘을 수용하기 위한 트레이(214)가 표시되고, 유저의 조작에 따라 아이콘이 트레이(216)로부터 트레이(214)로 이동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아이콘들은, 일반적으로, 추가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아이콘의 목록에 있어서 표시되는 아이콘들의 수가 많을 경우, 유저가 소망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찾아내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콘들의 표시의 제어를 집합적으로 하기 위해 사용되는 폴더(folder), 디렉토리(directory) 또는 다른 스킴(scheme)에 의해 아이콘들이 그룹화되는 경우에, 유저는 소망하는 아이콘을 찾아내기 위해 그러한 폴더를 하나하나 열어야할 필요가 있다.
상기 관점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관련되는 아이콘들의 그룹의 겉보기를 종래 기술에 채용된 조작과는 상이한 직관적인 조작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image)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갖는 표시부(display); 유저(user)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input unit);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 및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display controller); 및 상기 인풋 유닛에 의해 검출된 모션(motion)에 기초하여, 상기 표면상의 2 터치 점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핀치-아웃 모션(pinch-out motion)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enfolded state)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unfolded state)로 전환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개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카테고리들의 수를,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되는 핀치-아웃 모션에서 적용된 상기 2 터치 점의 속도 또는 양에 기초하여, 변화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개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2 터치 점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변화시킨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개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되는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이동량들에서의 차이에 기초하여, 변화시킨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부는, 상기 인풋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터치에 기초하여, 2 터치 점이 상기 2점들 사이의 거리를 좁히도록 사용되는 핀치-인 모션(pinch-in motion)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한 핀치-인 모션의 감지시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제어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의 수를,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된 핀치-인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속도들 또는 이동량에 기초하여, 변화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수납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된 핀치-인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변화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수납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된 핀치-인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이동량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과 각각이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유저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이 구비되는 표시 장치에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될 때 상기 표면을 터치하는 2점 사이의 거리를 넓히기 위한 핀치-아웃 모션을 감지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핀치-아웃 모션의 감지시에,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갖는 표시부; 유저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 및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인풋 유닛에 의해 검출된 유저의 터치에 기초하여, 2 터치 점의 거리가 변화되는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과 각각이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스크린상에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유저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이 구비되는 표시 장치의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될 때 상기 표면을 터치하는 2점 사이의 거리를 넓히기 위한 핀치-아웃 모션을 감지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핀치-아웃 모션의 감지시에,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관련되는 아이콘들의 겉보기를 종래 기술에 채용된 조작과는 상이한 직관적인 조작으로 전환된다.
도 1은 표시 장치의 개략을 나타낸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아이콘이 표시되는 스크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주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에서 실행되는 표시를 제어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크린 천이의 일 예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집합적 전개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집합적 수납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이동량 d와 전개 또는 수납될 카테고리의 수의 관계가 규정된 테이블의 일 예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집합적 수납의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집합적 수납의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이동량 d1과 d2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표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아이콘이 표시되는 스크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주 제어부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에서 실행되는 표시를 제어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스크린 천이의 일 예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집합적 전개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집합적 수납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이동량 d와 전개 또는 수납될 카테고리의 수의 관계가 규정된 테이블의 일 예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집합적 수납의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집합적 수납의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이동량 d1과 d2의 일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개략을 나타낸다. 표시 장치(100)는 스크린(101)을 갖춘 전자기기이다. 스크린(101)은,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이루어지는 인풋(input)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본 예에 있어서, 스크린(101)의 형태는 직사각형이고 종방향으로 길다. 스크린(101)은 맨눈으로 또는 입체시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화상을 3차원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크기는 유저가 스크린(101)상으로 손가락으로 명령을 입력하기에 적절하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이다. 표시 장치(100)의 크기는 휴대하기에 적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표시 장치(100)는 책상 위에 두는 용도나 홀더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또는 책상 용도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표시 장치(100)는 반드시 평판 모양은 아니다.
도 2는 표시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표시 장치(100)는, 주 제어부(110), 기억부(120), 터치 스크린부(130), 및 통신부(140)를 적어도 갖춘다. 표시 장치(100)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그리고 그 인터페이스), 그리고 카메라(비디오 카메라를 포함), 및 바이브레이터를 더 갖출 수 있다.
주 제어부(110)는 표시 장치(100)의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주 제어부(1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처리장치,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등의 기억 장치를 갖춘다. 주 제어부(110)는 ROM 또는 기억부(120)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GUI를 생성한다. 또한, 주 제어부(110)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이하, 어플리케이션이라고 말함)를 실행해, 표시 장치(100)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의 기능성들을 실현하도록 구성된다. 주 제어부(110)는 복수의 태스크 또는 프로세스가 병렬로 실행되는 멀티-태스킹 동작을 실행할 수 있을 수 있다. 멀티-코어 구성이 멀티-태스킹을 실행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기억부(120)는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120)는, 주 제어부(110)에 의해 액세스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사용되는 하드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기록 매체일 수 있다. 기억부(120)는, 표시장치(100)에 탈착될 수 있는 리무버블 타입(removable type)일 수 있다. 기억부(120)에, 주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스크린(101)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기억될 수 있다. 단일 유저가 복수의 표시 장치(100)를 이용하거나 복수의 유저에 의해 단일 표시 장치(100)가 이용되는 경우에, 각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기억부(120)에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스크린부(130)는 화상을 표시하며, 유저로부터 인풋을 받아들인다. 터치 스크린부(130)는,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31) 및 유저로부터 인풋을 받아들이는 인풋 유닛(132)을 포함한다.
표시부(131)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액정 또는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를 갖춘다. 결과적으로, 주 제어부(11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이 스크린(101)에 표시된다. 인풋 유닛(132)은, 스크린(101)을 덮으면서 스크린(101)상에 구비된다. 스크린(101)에 대한 손가락에 의한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2차원 센서가 인풋 유닛(132)에 갖추어져 있다. 인풋 유닛(132)은 손가락이 터치하는 위치(이하, “터치 점”이라고 함)를 나타내는 조작 정보를 주 제어부(110)에 출력한다. 인풋 유닛(132)은, 동시에 행해지는 복수의 터치가 검출될 수 있는 멀티-터치 기능성을 지원한다.
통신부(140)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40)는,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접속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신부(140)는 네트워크를 사용하지 않고 다른 전자기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스탠더드에 기초하여 다른 기기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40)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전자 화폐(전자 쿠폰) 또는 전자적으로 교환 가능한 화폐 또는 스트립(strip)을 나타내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이 완료되었다. 언급된 구성으로, 표시 장치(10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표시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성들은, 뉴스, 일기 예보, 화상(정지 화상 및 동영상을 포함)을 표시하는 것, 음악의 재생, 그리고 유저로 하여금 게임 또는 전자 서적의 열람을 가능케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들은 메일러(mailer)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들은, 병렬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은 표시 장치(100)에 미리 인스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저가 컨텐트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로부터 구입하고 통신부(140)를 개입시켜 그것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칭해지고, 아이콘과 관련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대상 어플리케이션”이라고 칭해진다. 대상 어플리케이션은,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일부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제외하고, 표시 장치(10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일부가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되는 관리의 대상일 수 있다.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유저로 하여금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거나 실행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구체적으로,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성들은, 미리 결정된 카테고리로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분류하는 것 및 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새로운 카테고리를 정의하는 것을 포함한다.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각각의 카테고리는,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인식하기 쉽게 만드는,“게임” 또는 “사운드” 등으로 표현되는 속성을 갖는다. 각각의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속성은,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에 관한 빈도나 히스토리(history)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속성들 중 하나는 “빈번하게 사용되는 대상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정의된다.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카테고리를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속성(예를 들면, 사용 빈도) 또는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스크린 화상(이하, “아이콘 목록”이라고 함)의 일 예를 나타낸다. 아이콘 목록은, 개별적인 아이콘(들) 및 카테고리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도면에 있어서, Im10, Im20, Im30, Im40, Im50은 카테고리 아이콘이며, Im21, Im22, ... , Im27, 및 Im28은 개별적인 아이콘이다. 개별적인 아이콘 Im21 내지 Im28은 카테고리 “B”에 속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카테고리들은 “A” 내지 “E”로 이름 붙여진다.
개별적인 아이콘은 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한다. 개별적인 아이콘의 화상은 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개별적인 아이콘의 이미지는, 유저에 의해 생성되거나 미리 설정된 화상들로부터의 화상(들) 중 유저에 의한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개별적인 아이콘들의 위치들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단일 및 분리되지 않은 영역내에 표시되도록, 결정된다. 도 3에 있어서, 개별적인 아이콘들은 라인 당 4개까지 할당된다. 5번째 또는 그 이상의 개별적인 아이콘은 다음 라인에 할당된다. 유사하게, 라인들이 동일 카테고리내의 더 많은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위해 추가적으로 준비된다.
카테고리 아이콘은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과 관련된 카테고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카테고리 아이콘에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은, 카테고리 아이콘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단일 카테고리에 속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에,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부에 카테고리 아이콘이 할당된다.
개별적인 아이콘들의 표시는 카테고리 단위로 제어된다. 도 3의 예에 있어서, 카테고리 “B”에 속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만이 표시되어, 카테고리 A, C, D, 또는 E에 속하는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비표시된다. 이하, 편의상, 카테고리 아이콘과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전개 상태”로 칭하고, 카테고리 아이콘과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비표시로 되고 있는 상태를 “수납 상태”로 칭한다. 유사하게, 카테고리 아이콘과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을 표시시키는 것이 “전개한다”라고 칭해지고, 카테고리 아이콘과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을 숨기는 것을 “수납한다”라고 칭해진다. 도 3의 예에 있어서, 카테고리 B와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전개 상태에 있고, 카테고리 A, C, D, E에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수납 상태에 있다.
아이콘 목록은 그 전부가 반드시 스크린(101)에 표시되지는 않는다. 환언하면, 유저는 목록을 스크롤하는 것에 의해 전체 아이콘 목록을 볼 수 있다. 아이콘 목록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전개된 아이콘들의 수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도 4는, 주 제어부(110)의 기능적 구성에 관하여 아이콘 표시에 관련하는 기능성 모듈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주 제어부(110)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센싱 유닛(sensing unit)(111), 모션 인식부(112), 및 표시 제어부(113)의 기능성을 실현한다. 이러한 기능성들은 복수의 프로그램의 협동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싱 유닛(111) 및 모션 인식부(112)의 기능성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서가 아니고,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 “OS”)등의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제공된다. 본 사례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13)의 기능성은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센싱 유닛(111)은,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센싱 유닛(111)은 터치 스크린부(130)의 인풋 유닛(132)으로부터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조작 정보는, 여기에서는,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스크린(101)의 중심이나 코너)가 원점(origin)으로 정의되는 2차원 직교 좌표계에서의 스크린(101)상의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점의 좌표들을 나타낸다. 조작 정보는 스크린(101)상의 유저의 손가락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여, 터치의 검출 점의 변화를 초래한다.
모션 인식부(112)는, 센싱 유닛(111)에 의해 취득된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에 의해 이루어지는 모션의 종별을 감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모션 인식부(112)는, 적어도 3 종류의 모션, 탭 조작(tapping), 핀치-인 모션, 및 핀치-아웃 모션을 감지한다. 모션 인식부(112)는, 드래그 조작(dragging), 플리크 조작(flicking), 및 탭 조작이 연속적으로 2회 실행되는 더블-탭 조작, 그리고 다른 유형의 모션들을 감지할 수 있다.
탭 조작은, 스크린(101)상의 1점을 터치하는 모션이다. 핀치-인 모션 및 핀치-아웃 모션은 스크린(101)의 2점을 동시에 터치하는 모션들이다. 핀치-인 모션은, 스크린(101)상의 2점을 터치하고, 그 다음에 터치의 2점간의 거리를 좁히도록 터치 점들을 이동시키는 모션이다. 핀치-인 모션은 “핀치 클로즈 조작(pinch closing)”이라고도 불린다. 핀치 아웃 모션은, 스크린(101)의 2점을 먼저 터치하고, 그 다음에 터치의 2점간의 거리를 펼치도록 터치의 2점들을 이동시키는 모션이다. 핀치-아웃 모션은 “핀치 오픈 조작(pinch opening)”이라고도 불린다. 핀치-인 모션 및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 손가락을 스크린(101)에 터치시킨 것으로 시작해서 손가락을 스크린(101)으로부터 떼어 놓는 것으로 끝나는 일련의 모션이 단일 조작으로서 인식된다. 핀치-인 모션 및 핀치-아웃 모션의 각각이 스크린(101)에 대해서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의 양쪽에서의 손가락 모션을 수반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표시 제어부(113)는 표시부(131)에서의 화상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13)는, 모션 인식부(112)가, 조작이 탭 조작, 핀치-인 모션 또는 핀치-아웃 모션이라고 판정하는 경우의, 유저의 조작에 따라 개별적인 아이콘들의 전개 및 수납의 기능성들을 적어도 갖는다. 표시 제어부(113)는, 특정한 개별적인 아이콘에 대한 유저의 탭 조작의 감지시에, 대상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특정한 개별적인 아이콘들의 화상을 묘사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표시 장치(100)는,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개별적인 아이콘의 변위를 제어한다.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스크린(101)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 아이콘들이 항상 표시되지만,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반드시 표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는, 표시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아이콘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가장 최근의 과거에 실행했던 것과 상이하지 않도록,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표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장치(100)는, 유저의 조작이 탭 조작, 핀치-인 모션 또는 핀치-아웃 모션인지의 여부에 따라, 전개 및 수납이 상이하게 행해지는 GUI를 유저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100)는, 탭 조작에 따라 특정의 아이콘의 카테고리에 관련된 개별적인 아이콘만을 전개 또는 수납하고, 핀치-인 모션 또는 핀치-아웃 모션에 따라 아이콘 목록에 표시되는 모든 카테고리 아이콘과 관련된 모든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전개 또는 수납한다. 표시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표시 제어 처리의 세부가 이제 제공될 것이다.
도 5는, 표시 장치(100)의 주 제어부(110)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제어부(110)는, 조작 정보의 취득(단계 S1)시에 표시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따라서, 아이콘 목록이 표시될 때, 조작 정보가 취득될 때마다, 도 5에 나타내는 처리가 주 제어부(110)에 의해 실행된다.
단계 S1에 있어서, 주 제어부(110)는 조작 정보를 취득한다. 주 제어부(110)는 취득한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점의 좌표 및 좌표에서의 변화를 판정한다. 다음, 주 제어부(110)는,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유저의 조작(모션)을 인식한다(단계 S2). 단계 S2에 있어서, 주 제어부(110)는 조작의 종별뿐만이 아니라 조작이 지시하는 위치를 판정한다. 주 제어부(110)에 의해 터치 점의 이동량 및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은 후술될 것이다.
다음에, 주 제어부(110)는, 단계 S2에서 행해진 감지 결과에 근거해, 유저의 조작이 특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지정하도록 의도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특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지정하기 위한 모션은, 스크린(101)의, 특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표시되고 있는, 영역상에서의 탭 조작이다. 따라서, 주 제어부(110)는, 단계 S3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이 탭 조작이고, 탭 조작 점이 카테고리 화상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조작은, 본 발명에 채용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모션들의 예들 중 일예이다.
선택 조작이 특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에 지향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카테고리 아이콘과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 상태에 있는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개별적인 아이콘을 전개시킨다(단계 S5).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되지 않은 경우(즉, 전개 상태인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개별적인 아이콘을 수납시킨다(단계 S6). 그렇게 함으로써, 주 제어부(110)는, 특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의 유저의 선택 조작에 따라, 특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에 관련된 개별적인 아이콘들의 상태를 전개 상태와 수납 상태 사이에서 전환한다.
특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과는 상이한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감지된 조작이 핀치-아웃 모션인지 또는 핀치-인 모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및 S9, 각각). 핀치-아웃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모든 표시되는 카테고리 아이콘들과 관련되는 모든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집합적으로 전개한다(단계 S8). 핀치-인 모션이 감지되는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모든 표시되는 카테고리 아이콘들과 관련되는 모든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집합적으로 수납한다(단계 S10). 이하는, 단계들 S8, S10의 처리는, 각각, “집합적 전개” 및 “집합적 수납”로 칭해진다. 단계들 S7 및 S9이 역순으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한다.
단계 S8에 있어서, 주 제어부(110)는, 개별적인 아이콘이 전개 상태에 있는 카테고리에 대해 개별적인 아이콘이 전개된 채로 유지된다. 유사하게, 주 제어부(110)는, 단계 S10에 있어서,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 상태에 있는 카테고리에 대해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된 채로 유지된다.
주 제어부(110)는, 단계 S7, S9에 있어서, 감지된 조작이 핀치-아웃 모션도 아니고 핀치-인 모션도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 유저의 조작에 따른 그 외의 처리를 시작한다(단계 S11). 예를 들면, 주 제어부(110)는, 개별적인 아이콘이 탭 조작된 경우에, 개별적인 아이콘에 관련된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내용을 표시시킨다. 그 외의 처리는, 특별한 처리가 실시되지 않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환언하면, 유저의 조작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의 제어에 따른 아이콘 목록의 스크린 천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6(a)는, 모든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된, 단계 S10의 처리 직후에 일어나는 스크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6(b)는, 카테고리 B에 관련된 개별적인 아이콘만이 전개된 스크린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는, 모든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되었을 때, 카테고리 B의 카테고리 아이콘(도 3의 Im20)이 선택된 경우에 일어날 수 있다. 도 6(c)는, 모든 개별적인 아이콘이 전개된, 단계 S8의 처리 직후에 일어나는 스크린을 나타낸다. 도 6(c)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어진 화상은, 스크린(101)의 표시 영역 외측에 할당된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a1, b1 내지 b8, c1 내지 c3, d1 내지 d4, 및 e1 내지 e2는, 각각 카테고리 A, B, C, D, 및 E에 관련된 대상 어플리케이션의 개별적인 아이콘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에 있어서, 유저는, 모든 카테고리 또는 특정의 카테고리(들)에 대한 전개/수납을 단일 액션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상황에 따른 조작에 의해서 표시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실행 가능한 모든 대상 어플리케이션을 찾기 위해서는 핀치-아웃 모션을 실시하는데 반해, 유저가 그 카테고리를 어림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의도하는 대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찾기 위해서 특정 선택 카테고리를 지정하도록 탭 조작을 실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에 있어서,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2개의 손가락을 펼치도록 하는(그 거리를 넓힘) 핀치-아웃 모션에 의해 수납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환하고, 손가락들을 닫도록 하는(거리를 좁힘) 핀치-인 모션에 의해 전개 상태로부터 수납 상태로 전환한다. 전개 상태를 활성화하는 처리는, 수납되어 있던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처리에 의해 재표시되므로, 손가락을 펼치는 모션과 개념적 유사성을 갖는다. 유사하게, 수납 상태를 활성화하는 처리가, 펼쳐져 있는 손가락들을 닫는 모션과 개념적 유사성을 갖는다. 이에 관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제어는, 유저로 하여금 직관적인 조작에 의해 개별적인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바꿀 수 있게 한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표시 제어의 세부가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별적인 아이콘이 전개 또는 수납될 카테고리의 수가 터치 점의 이동량 또는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환언하면, 표시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의 수가 양 또는 위치에 따라 변화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100)와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참조 번호가 본 실시 형태의 표시에 관하여 사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은 따라서 생략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처리는, 단계 S8(집합적 전개) 및 단계 S10(집합적 수납)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단계 S8 및 S10 이외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유사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집합적 전개 및 집합적 수납은, 단계 S7 또는 S9에서 행해진 판단이 “YES”인 경우에 실행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집합적 전개를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집합적 전개에 있어서, 주 제어부(110)는,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의 2개의 터치 점의 이동량 d를 계산하여, d가 역치 Th1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a1). 이동량 d는, 예를 들면, 손가락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궤적들의 평균이다. 대안적으로, 셈 d는 궤적들 중 더 길거나 더 짧은 것일 수 있다. 궤적의 길이를 대신하여, 이동량 d는, 움직임의 시점과 종점 사이의 거리와 동등할 수 있다. 역치 Th1는 스크린(101)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주 제어부(110)는, 이동량 d가 역치 Th1을 초과하는 경우에, 아이콘 목록에 표시되는 모든 카테고리와 관련되는 모든 개별적인 아이콘을 집합적으로 전개한다(단계 Sa2). 개별적인 아이콘의 수납 처리는 단계 S8의 처리와 유사하다.
한편, 주 제어부(110)는, 이동량 d가 역치 Th1 이하인 경우에, 개별적인 아이콘이 전개되는 카테고리의 수를 m개에 제한한다. 파라미터 m은, 2이상이고, 모든 전개 가능한 카테고리의 수(즉, 도 6(a)의 예에서는 5) 미만인 정수이다. 또, 주 제어부(110)는,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의 2개의 터치 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전개될 카테고리가 어떤 카테고리인지를 판단한다. 판단이 이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주 제어부(110)는,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의 2개의 접촉점의 위치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위치들이 상부의 절반 영역에 위치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a3). 보다 상세하게, 2개의 식별된 위치들 사이의 대표점이 스크린(101)의 상부의 절반 영역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판단된다. 대표점은 2점들에 의해 형성되는 선분의 중점으로서 선택될 수 있다. 대표점을 판단하는 다른 방법들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은 터치 점들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주 제어부(110)는, 핀치-아웃 모션이 상부 절반 영역에 행해진다는 판단시에, 상부로부터 m개의 카테고리 아이콘과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을 전개한다(단계 Sa4). 주 제어부(110)는, 핀치-아웃 모션이 하부 절반 영역에 행해졌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하부로부터 m개의 카테고리 아이콘에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을 전개한다(단계 Sa5). 예를 들면, 아이콘 목록에 표시되는 카테고리 아이콘의 수가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5이며, m이 3과 동등한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단계 Sa4에 있어서는 카테고리 A, B, 및 C의 개별적인 아이콘을 전개하고, 단계 Sa5에 있어서는 카테고리 C, D, 및 E의 개별적인 아이콘을 전개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집합적 수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집합적 수납은, 전개가 수납으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 도 7에 나타낸 집합적 전개와 유사하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m의 값들이 집합적 전개와 집합적 수납에서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제어에 있어서, 유저는, 핀치-아웃 모션 또는 핀치-인 모션의 세부(이동량 또는 위치)에 따라 전개 또는 수납될 카테고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가 손가락을 움직이는 양이 많을수록, 수납되거나 전개될 카테고리들이 더 많이 지정된다. 또한, 유저는 위에 표시되는 카테고리들을 전개하기 위해 스크린(101)의 상부 절반에서 조작을 실시한다. 이에 관하여, 유저의 모션과 수납/전개 처리 사이의 체감적인 유사성이 있다. 이것은 유저로 하여금 표시 장치(100)를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전개 또는 수납되는 카테고리와 유저의 모션의 사이에 더 강한 관련성을 표시 장치(100)에 주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저가 핀치-인 모션을 스크린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실시하는 경우에, 상부의 터치 시점과 하부의 터치 시점의 사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표시되고 있으면, 표시 장치(100)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과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을 수납하고, 상부의 터치 시점 위에 그리고 하부의 터치 시점 아래에 위치되는 카테고리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다른 카테고리 아이콘들이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수납하지 않는다. 이 경우,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수납/전개되는 카테고리의 수는, m의 값에 관계 없이, 손가락들의 위치들에 따라 변화한다.
이동량 d의 역치에 레벨들을 도입할 수 있다. 도 9는, 이동량 d와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수납/전개되는 카테고리의 수간의 관계를 정의하는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 Th1a, Th1b, Th1c는 역치이고, Th1a<Th1b<Th1c이다. N은 아이콘 목록에 포함되는 카테고리의 총수이다. “[ ]”은 가우스(Gauss) 기호이다. 예를 들면, “[N/2]”는, N/2 이하의 수들 중 최대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예에 있어서, 주 제어부(110)는, 이동량 d의 증가에 따라 m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파라미터 m에 대한 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N=5의 경우, 주 제어부(110)는, d≤Th1a인 경우에는 2개, Th1a<d≤Th1b인 경우에는 3개, Th1b<d≤Th1c인 경우에는 4개, 그리고 Th1c<d인 경우에는 5개만큼의 카테고리와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집합적으로 전개 또는 수납한다. 대안적으로, 파라미터 m과 역치의 값은 유저에 의해 정의될 수도 있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시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표시 제어에 포함되는 집합적 전개 및 집합적 수납은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핀치-인 모션이나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의 2개의 터치 점들 사이의 이동량에 기초하여,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전개되는 카테고리들이 판단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100)와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한 참조 번호가 본 실시 형태의 표시에 관하여 사용되고, 그 상세한 설명이 따라서 생략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핀치-인 모션 및 핀치-아웃 모션은 스크린(101)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행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2개의 터치 점들 중, 상부의 터치 점이 “제1 터치 점”으로 칭해지고 하부의 터치 점이 “제2 터치 점”으로 칭해진다. 핀치-인 모션 및 핀치-아웃 모션이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으로 실시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집게 손가락의 위치가 제1 터치 점이고, 엄지의 위치가 제2 터치 점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집합적 전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실시 형태의 집합적 전개에 있어서, 주 제어부(110)는,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의 제1 터치 점의 이동량 d1과 제2 터치 점의 이동량 d2를 감지하여, 상기 이동량들 사이의 차이(차이의 절대치)가 소정의 임계치 Th2를 넘는지의 여부를 계산한다(단계 Sc1). 역치 Th2는 스크린(101)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c1의 판단의 결과가 YES인 경우, 주 제어부(110)는 이동량들 d1과 d2를 비교한다(단계 Sc2). 이동량 d1이 더 큰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스크린(101)의 상부로부터 선택된 n개의 카테고리 아이콘에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전개한다(단계 Sc3). 이동량 d2가 더 큰 경우에는, 주 제어부(110)가 스크린(101)의 하부로부터 선택된 n개의 카테고리 아이콘에 관련되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전개한다(단계 Sc4). 상기한 파라미터 m과 유사하게, 파라미터 n은 2이상의 정수이고 카테고리의 총수 미만이다.
단계 Sc1의 판단이 NO인 경우에, 주 제어부(110)는 제2 실시 형태의 멀티-전개를 실행한다(단계 Sc5). 단계 Sc5의 처리는, 상술한 단계 Sa1에서 시작하여 단계 Sa5에서 끝나는 일련의 처리(도 7 참조)와 유사하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집합적 수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러한 처리는, “전개”를 “수납”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도 10에 나타낸 집합적 전개와 유사하다. 따라서,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파라미터 n의 값이 집합적 전개와 집합적 수납에서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12는 이동량들 d1과 d2의 일 예를 나타낸다. P1 및 P2는, 각각, 최초의 제1 터치 점 및 제2 터치 점을 나타낸다. 파선은 터치 점의 궤적을 나타낸다. 도 12(a)는, 제1 터치 점(집게 손가락으로)이 상향 이동하고 제2 터치 점(엄지로)이 초기 위치에 머무르는 모션의 일 예를 기술하며, 여기서 d1>d2이다. 도 12(b)는, 제1 터치 점이 초기 위치에 머무르고, 제2 터치 점(엄지)이 하향 이동하는 모션의 일예이며, 여기서 d2>d1이다. 이동량들 d1과 d2 중 하나가 0일(즉, 어느 한 쪽이 반드시 동일 위치에 남을) 필요는 없다. 간단히 말하면, 2개의 손가락의 상대 이동이 역치 Th2를 초과하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와 유사하게, 개별적인 아이콘들이 수납/전개될 카테고리 아이콘(들)이 터치 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예를 들면, 주 제어부(110)는,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터치 점이 동일 위치에 머무르고, 제1 터치 점의 이동이 감지된 경우에, 제2 터치 점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카테고리 아이콘들의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전개하지 않고, 제1 터치 점의 위에 위치하는 카테고리 아이콘들의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전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저는, 하나의 손가락을 동일 위치에 유지하여 대응하는 카테고리 아이콘을 눌러 붙이는 유저의 모션이, 카테고리 아이콘이 수납/전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감각을 얻는다.
[변형예]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술한 실시 형태들 한정하지 않고, 다른 실시 형태들로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의 변형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실시 가능하다. 덧붙여, 본 발명은 변형 실시 형태들의 조합에 의거하여 실시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들의 특징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본 발명을 구현한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아이콘의 전개는 제2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실시되고, 개별적인 아이콘의 수납은 제3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실시된다.
(1) 상술한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과 유저의 모션을 검출하는 검출 표면이 물리적으로 겹쳐져 있을지라도, 본 발명의 인풋 유닛이 반드시 스크린과 겹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트랙 패드(track pad) 또는 슬라이드 패드(slide pad)라고도 칭해지는 터치 패드(touch pad)가 유저의 모션을 검출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개별적인 아이콘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성을 반드시 나타내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있어서, 개별적인 아이콘이 화상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엄지손톱-사이즈 등의 화상으로 이루어지고, 카테고리 아이콘은 데이터를 분류하기 위한 (폴더-꼴 화상과 같은) 화상이다. 본 발명의 개별적인 아이콘 상술한 전자 티켓을 나타낼 수도 있다. 개별적인 아이콘은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해 데이터에 할당되는 화상의 일 예이다.
또, 본 발명의 카테고리 아이콘은, 부분적으로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겹치고 있는, 개별적인 아이콘들의 배경에 표시되는 화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테고리 아이콘은 개별적인 아이콘이 전개 상태에 있을 때 사라졌다가 개별적인 아이콘이 수납 상태일 때 다시 표시된다. 간단히 말하면, 본 발명의 카테고리 아이콘의 세부는, 카테고리 아이콘이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테고리 또는 카테고리 아이콘의 수는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실시 형태들과 유사하게, 핀치-아웃 모션 또는 핀치-인 모션에 따라 개별적인 아이콘을 수납/전개하기 위한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서 유저는 개별적인 아이콘의 표시 상태를 바꿀 수 있다.
(3)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별적인 아이콘의 수가 많을 때, 개별적인 아이콘의 사이즈가 변경되지 않고, 아이콘 목록의 일부만이 표시된다. 개별적인 아이콘 또는 카테고리 아이콘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서, 스크린내에 모든 개별적인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있어서, 명령들이, 손가락에 의하지 않고, 스타일러스(stylus)에 의해 또는 유저가 지니거나 손에 장착하는 다른 지시 기구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인풋 유닛은, 적외선이나 초음파에 의해서 상술한 지시 기구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자성 재료가 지시 기구의 첨단에 구비되는 경우에, 위치가 자기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에 반드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지는 않는다. 핀치-인 모션이나 핀치-아웃 모션은, 한 손의 손가락과 다른 손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유저의 스크린의 터치는 반드시 의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부(130)의 감지가 정전 용량에 있어서의 변화에 의거하여 행해지는 경우에, 손가락의 위치가, 손가락이 스크린(101)에 근접하는 경우에 감지될 수 있다.
(5) 본 발명에 있어서, 탭 조작은 반드시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 중에서 특정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모션이
다른 모션들이, 핀치-아웃 모션과 핀치-인 모션과는 구별적인 한, 선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모션은 더블-탭 조작을 포함한다.
(6) 본 발명은, 게임 콘솔, 음악 플레이어, 전자 서적 리더 또는 다른 전자 기기에 대해서 순응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표시 장치와는 독립적으로 구비된 다른 장치와 스크린을 갖는 장치를 협동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른 장치는, 도 4에 나타낸 적어도 기능성을 갖는다. 인풋 유닛 또는 스크린이 반드시 다른 장치에 구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도 4에 나타낸 기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프로그램은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개입시켜 전자 기기로 다운로드되어 전자 기기에 인스톨될 수 있다.
100: 표시 장치 101: 스크린
110: 주 제어부 111: 센싱 유닛
112: 모션 인식부 113: 표시 제어부
120: 기억부 130: 터치 스크린부
131: 표시부 132: 인풋 유닛
140: 통신부
110: 주 제어부 111: 센싱 유닛
112: 모션 인식부 113: 표시 제어부
120: 기억부 130: 터치 스크린부
131: 표시부 132: 인풋 유닛
140: 통신부
Claims (11)
- 화상(image)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갖는 표시부(display);
유저(user)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input unit);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 및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display controller); 및
상기 인풋 유닛에 의해 검출된 모션(motion)에 기초하여, 상기 표면을 터치하는 2점들 사이의 거리를 넓히는 핀치-아웃 모션(pinch-out motion)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enfolded state)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unfolded state)로 전환하는, 표시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개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카테고리들의 수를,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되는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속도 또는 양에 기초하여,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개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2 터치 점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전개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되는 핀치-아웃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이동량들에서의 차이에 기초하여,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인식부는,
상기 인풋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유저의 터치에 기초하여, 2 터치 점이 상기 2점들 사이의 거리를 좁히도록 이동하는 핀치-인 모션(pinch-in motion)을 감지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한 핀치-인 모션의 감지시에,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전개 상태로부터 상기 수납 상태로 전환하는, 표시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의 수를,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된 핀치-인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속도들 또는 이동량에 기초하여,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수납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된 핀치-인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위치들에 기초하여,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수납 상태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들을,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감지된 핀치-인 모션에 있어서의 상기 2 터치 점의 이동량들의 차이에 기초하여, 변화시키는, 표시 장치. - 화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갖는 표시부;
유저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 및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각각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인풋 유닛에 의해 검출된 유저의 터치에 기초하여, 2 터치 점의 거리가 변화되는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 인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 사이에서 전환하는, 표시 장치. -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과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 - 그 카테고리 아이콘들의 각각이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나타냄 - 와, 유저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이 구비되는 표시 장치에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될 때 상기 표면상의 2 터치 점 사이의 거리를 넓히기 위한 핀치-아웃 모션을 감지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핀치-아웃 모션의 감지시에,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 방법. -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들과 각각이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카테고리를 스크린상에 나타내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유저의 터치가 검출되는 표면을 갖는 인풋 유닛이 구비되는 표시 장치의 컴퓨터로 하여금,
하나 또는 복수의 카테고리 아이콘이 상기 스크린상에 표시될 때 상기 표면을 터치하는 2점 사이의 거리를 넓히기 위한 핀치-아웃 모션을 감지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핀치-아웃 모션의 감지시에,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와 관련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의 상태를,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비표시되는 수납 상태로부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아이콘이 표시되는 전개 상태로 전환하는 제2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108669 | 2011-05-13 | ||
JP2011108669A JP5485220B2 (ja) | 2011-05-13 | 2011-05-13 |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
PCT/JP2012/062148 WO2012157562A1 (ja) | 2011-05-13 | 2012-05-11 |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186A true KR20130099186A (ko) | 2013-09-05 |
Family
ID=4717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6808A KR20130099186A (ko) | 2011-05-13 | 2012-05-11 | 표시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059492A1 (ko) |
EP (1) | EP2708996A4 (ko) |
JP (1) | JP5485220B2 (ko) |
KR (1) | KR20130099186A (ko) |
CN (1) | CN103299263A (ko) |
BR (1) | BR112013018113A2 (ko) |
RU (1) | RU2013127503A (ko) |
WO (1) | WO201215756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2361B1 (ko) | 2020-11-03 | 2021-12-01 | 주식회사 해성 | 블록용 거푸집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395440A3 (en) * | 2010-06-14 | 2012-01-1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conrolling method thereof |
US9552376B2 (en) | 2011-06-09 | 2017-01-24 | MemoryWeb,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files |
JP5502943B2 (ja) * | 2012-06-29 | 2014-05-28 | 楽天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認証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JP2014109803A (ja) * | 2012-11-30 | 2014-06-12 | Toshiba Corp |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
TWI566134B (zh) * | 2013-02-05 | 2017-01-11 |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 摺疊式顯示器、可撓式顯示器及電腦圖像之控制方法 |
JP2014238725A (ja) * | 2013-06-07 | 2014-12-18 | シャ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
US9395837B2 (en) * | 2013-09-30 | 2016-07-19 | Your Voice S.P.A. | Management of data in an electronic device |
JP2015087995A (ja) * | 2013-10-31 | 2015-05-07 | 株式会社ソリマチ技研 |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システムの表示方法 |
CN105637466A (zh) * | 2014-01-15 | 2016-06-01 |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 终端操控方法和终端操控装置 |
US20170131824A1 (en) * | 2014-03-20 | 2017-05-11 | Nec Corporatio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
WO2015159498A1 (en) * | 2014-04-14 | 2015-10-22 | Sony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dditional objects on a graphical user interface based on pinch gesture |
KR102418119B1 (ko) * | 2014-08-25 | 2022-07-0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시계 화면 구성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웨어러블 전자장치 |
CN105786352B (zh) * | 2014-12-26 | 2019-08-06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快速定位页面内容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
CN104881224A (zh) * | 2015-05-18 | 2015-09-02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一种卡片的添加方法及装置 |
CN105426107A (zh) * | 2015-11-30 | 2016-03-23 | 北京拉酷网络科技有限公司 | 基于触控板的手势识别方法 |
CN105446601B (zh) * | 2015-12-10 | 2019-02-12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播放列表管理方法及移动终端 |
CN106648372A (zh) * | 2016-12-29 | 2017-05-10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图像管理方法及装置 |
USD852814S1 (en) * | 2017-03-23 | 2019-07-02 | Facebook, Inc. |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advertisement management application |
US10466889B2 (en) | 2017-05-16 | 2019-11-05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ng notifications |
CN109032734B (zh) * | 2018-07-13 | 2020-09-01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后台应用程序显示方法和移动终端 |
US10936178B2 (en) | 2019-01-07 | 2021-03-02 | MemoryWeb,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organizing digital photos and videos |
US11416127B2 (en) | 2020-03-10 | 2022-08-16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pplications |
CN115079891B (zh) * | 2021-03-01 | 2024-03-15 |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 文档内容展示方法、装置和电子设备 |
US11842028B2 (en) | 2022-05-06 | 2023-12-12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
EP4273677A1 (en) | 2022-05-06 | 2023-11-08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a session region |
CN116048327A (zh) * | 2022-07-07 | 2023-05-02 | 荣耀终端有限公司 | 任务显示区的显示方法、窗口的显示方法及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23846B1 (en) * | 1998-01-26 | 2001-11-27 | University Of Delaware |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manual input |
US7509588B2 (en) | 2005-12-30 | 2009-03-24 | Apple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
US8564544B2 (en) * | 2006-09-06 | 2013-10-22 | Apple Inc. |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ustomizing display of content category icons |
US8681104B2 (en) * | 2007-06-13 | 2014-03-25 | Apple Inc. | Pinch-throw and translation gestures |
KR101586627B1 (ko) * | 2008-10-06 | 2016-01-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 터치를 이용한 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JP4683110B2 (ja) * | 2008-10-17 | 2011-05-11 | ソニー株式会社 |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8669945B2 (en) * | 2009-05-07 | 2014-03-11 | Microsoft Corporation | Changing of list views on mobile device |
US8493344B2 (en) * | 2009-06-07 | 2013-07-23 | Apple Inc. |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
EP2480957B1 (en) * | 2009-09-22 | 2017-08-09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
US8766928B2 (en) * | 2009-09-25 | 2014-07-0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
US8619100B2 (en) * | 2009-09-25 | 2013-12-31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ouch-based gestural input on an electronic canvas |
US8786559B2 (en) * | 2010-01-06 | 2014-07-22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tables using multi-contact gestures |
US8698762B2 (en) * | 2010-01-06 | 2014-04-15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nd displaying content in context |
CN101819500A (zh) * | 2010-03-08 | 2010-09-01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手持设备列表行显浏览调整方法 |
US9081494B2 (en) * | 2010-07-30 | 2015-07-14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pying formatting attributes |
US9098182B2 (en) * | 2010-07-30 | 2015-08-04 | Apple Inc.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pying user interface objects between content regions |
-
2011
- 2011-05-13 JP JP2011108669A patent/JP5485220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5-11 RU RU2013127503/08A patent/RU2013127503A/ru unknown
- 2012-05-11 CN CN2012800048476A patent/CN103299263A/zh active Pending
- 2012-05-11 BR BR112013018113A patent/BR112013018113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5-11 WO PCT/JP2012/062148 patent/WO201215756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5-11 US US13/946,403 patent/US2014005949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5-11 KR KR1020137016808A patent/KR201300991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5-11 EP EP12786353.8A patent/EP2708996A4/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2361B1 (ko) | 2020-11-03 | 2021-12-01 | 주식회사 해성 | 블록용 거푸집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708996A4 (en) | 2014-12-24 |
WO2012157562A1 (ja) | 2012-11-22 |
RU2013127503A (ru) | 2015-06-20 |
CN103299263A (zh) | 2013-09-11 |
US20140059492A1 (en) | 2014-02-27 |
EP2708996A1 (en) | 2014-03-19 |
JP2012242847A (ja) | 2012-12-10 |
JP5485220B2 (ja) | 2014-05-07 |
BR112013018113A2 (pt) | 2016-1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99186A (ko) | 표시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프로그램 | |
US9047006B2 (en) |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US9448714B2 (en) | Touch and non touch based interaction of a user with a device | |
US10318146B2 (en) | Control area for a touch screen | |
US9015584B2 (en) |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9696882B2 (en) | Operation processing method, oper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 |
US9513791B2 (en) |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process continu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US20110283212A1 (en) | User Interface | |
WO2014061097A1 (ja) | 情報表示装置および表示情報操作方法 | |
WO2014061098A1 (ja) | 情報表示装置および表示情報操作方法 | |
US20140055385A1 (en) | Scaling of gesture based input | |
WO201208056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 user interface effects for different imple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 touch event | |
US9891812B2 (en) | Gesture-based selection and manipulation method | |
KR102161061B1 (ko) |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 |
KR20130124061A (ko) |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
WO2005096132A1 (en) | Method of navigating, electronic device, user interfa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KR20130124139A (ko) |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
KR101294201B1 (ko) | 휴대형 장치 및 그 조작 방법 | |
KR102194778B1 (ko) |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
KR20130124143A (ko) |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
JP7337520B2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 |
KR102061254B1 (ko) |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
JP7030527B2 (ja) | 電子機器、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KR20130124138A (ko) | 공간상의 상호 작용을 이용한 단말의 제어 방법 및 그 단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