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102B1 -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 Google Patents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102B1
KR101447102B1 KR1020130086034A KR20130086034A KR101447102B1 KR 101447102 B1 KR101447102 B1 KR 101447102B1 KR 1020130086034 A KR1020130086034 A KR 1020130086034A KR 20130086034 A KR20130086034 A KR 20130086034A KR 101447102 B1 KR101447102 B1 KR 10144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
pipe
heat exchanger
weld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규
임낙성
지경하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9/00Joints or fittings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절체 구간을 갖는 열교환관을 다관 커넥터를 통해 연결하는데 있어서 외부 변형력에 의한 용접 이음부의 전단과 크랙을 방지하고 연결 작업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열교환관(110)을 다른 관과 관벽을 맞추어 상통하도록 이어주는 다관 커넥터(200); 다관 커넥터(200) 일측에 형성된 인서트 헤드(210), 열교환관 외벽과 내접하는 용접 이음 홀(220)을 포함하는 다관 커넥터 본체(230); 용접 이음 홀(220)의 내벽(240)이 열교환관(110)의 외벽과 접촉하는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HEAT EXCHANG PIPE OF HEAT EXCHANGER FOR STEAM OVEN}
본 발명은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절체 구간을 갖는 열교환관을 다관 커넥터를 통해 연결하는데 있어서 외부 변형력에 의한 용접 이음부의 전단과 크랙을 방지하고 연결 작업성을 개선하는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용 목적에 따라 보일러 분야에서 정의되는 열교환기는 온도가 다른 2개의 유체를 전열면을 사이에 두고 흐르게 하여 고온의 유체가 가진 열을 저온의 유체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가열기에 속하게 된다. 넓은 의미에서 열교환기는 다른 유체 간에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기기로 기능 한다.
열교환기를 통한 열전달 방법 중 대류식은 기체나 액체와 같이 유동성이 있는 유체 내에서 일어나는 열전달 방법으로서 온도차에 의해서 생겨난 유체의 흐름에 의해서 열을 전달한다. 음식물을 익힐 때 사용하는 컨벡션 오븐(Convection Oven)은 열교환기의 대류열을 이용한 오븐으로서 음식물에 열을 전달하여 고르게 익히는 가열기로 기능 하는 열교환기를 이용한 대표적인 기기이다.
열교환기를 컨벡션 오븐에 가열기로 적용한 사례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51984호(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 의하면 열교환기는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열교환관을 적어도 1개 이상 가지는 다관식 열교환관들이 배치된다. 도 1은 다관식 열교환기를 컨벡션 오븐의 캐비넷 일부에 장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이고, 도 2는 열원에 의한 열교환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컨벡션 오븐(10)의 가열기로 장치되는 열교환기(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1) 벽면에 장착되며 연소실(21)과 열교환부(22) 그리고 배기부(23)로 구분되어 연소실(21)에서 발화된 고온의 연소 가스를 다관 열교환관(24)을 통해 유도하고 그 과정에서 고온의 연소 가스가 가진 열을 캐비넷(11)의 조리실(12) 내부 저온의 유체와 접촉시켜 열교환 하고 열교환을 마친 유체 또는 유동 유체를 대류팬(13)의 구동으로 조리실에 전달한다.
컨벡션 오븐에 열교환기를 가열기로 적용한 다른 사례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72202호(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기재를 보면 연소실과 열교환부측 열교환관의 형식 등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도 3은 컨벡션 오븐에 열교환기를 가열기로 적용한 또 다른 사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소실(21)과 열교환부의 열교환관(24) 형식 등이 도 2의 열교환기(20)와 일부 차이가 있다. 열교환기(10)는 성능 개선과 보완을 위하여 연소실과 배기부의 위치 그리고 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열교환관(24)의 형상 등을 열전달 효율 등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관(24)의 일단은 연소실(21)과 다관 커넥터(25)를 통해 연결된다.
도 4는 절체된 열교환관(24)을 연소실(21)측 구조물과 대응 열교환관(24) 사이에 매입하여 한 번에 피팅(fitting)하기 위한 4개의 홀(26)이 형성된 다관 커넥터(25) 형상을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다관 커넥터(25)는 여러 개의 열교환관(24) 들을 대응 구조물에 한번에 맞추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능 한다. 다관 커넥터(25)는 열교환관(24) 들과 피팅되는 용접 기준 범위 범위는 대략 1 내지 2mm 내외의 짧은 범위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다관 커넥터(25)를 이용하는 종래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관(24)의 형상이 불규칙하고 절단면도 일정하지 않아 불안정한 기울기 θ를 형성할 수 있고 다관 커넥터(25)의 홀(26)과 열교환관(24) 사이의 틈새(27)가 벌어져 조립 공차가 커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접 기준점이 불규칙해져 정밀한 용접 접합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용접 기준 범위가 지나치게 짧아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다관 커넥터(25)를 중심으로 발생 되는 불규칙한 조립 틈새 및 용접 기준점 등은 용접 시 이음부의 용접 강도를 일정하게 지속시키지 못하게 하는 요인이 되었고 이에 따라 열교환관 또는 주변 구조물에 전달되는 변형력들, 예를 들면 열충격과 휨 및 비틀림 모멘트가 작용 되면 다관 커넥터를 중심으로 하는 용접 이음부에 크랙(crack)이 형성되어 연소 가스가 누설되는 문제로 발전 된다.
특히 컨벡션 오븐의 가열기로 기능 하는 열교환기의 경우 미세한 가스 누설로도 음식물에 직접 유해 물질이 접촉하여 식품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관을 비롯한 각 용접 이음부에 대한 가스 누설은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9-0051984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07220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의 열교환관에 가해지는 외부 변형력에 의한 열교환관의 용접 이음부 크랙을 방지하여 연소 가스 누설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교환기의 열교환관을 다관 커넥터를 통해 접합 조립시 용접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관 커넥터를 이용하여 열교환관을 연결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재질의 열교환관에 대하여 일정하고 안정적인 용접 강도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접 분사방식(DI) 스팀 컨벡션 오븐과 같이 열충격이 가해지는 컨벡션 오븐의 가열기로 적합한 고품질의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는, 유체를 열교환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교환관, 상기 열교환관을 대응되는 상대 구조물 또는 이웃하는 다른 열교환관과 관경 또는 관벽을 맞추어 상통하도록 이어주는 다관 커넥터, 상기 다관 커넥터 일측에 형성된 열교환관 인서트 헤드, 그리고 그 열교환관 인서트 헤드가 상기 열교환관의 외벽과 내접하는 용접 이음 홀을 포함하는 다관 커넥터 본체 및 그 형상을 포함하는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접 이음 홀은 배후면에 열교환관의 단부를 접합하는 용접 간격;을 형성하고 내벽이 열교환관의 외벽과 대면 접촉하는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는 용접 간격과 비용접 간격을 형성하고 그들 간격들은 단턱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에 의해 구분된 비용접 간격을 통해 인서트 되는 열교환관의 선단에 대한 축관 또는 확관을 유도하는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열교환관의 관 단면과 다관 커넥터의 용접 이음 홀의 단면이 타원형, 원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선택하여 대응 단면으로 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의 길이는 용접 간격을 포함하여 적어도 3mm 이상의 범위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는, 열교환관 용접 이음부의 내구성을 증가시켜 열교환관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과 열충격에 의한 용접 이음부의 변형과 크랙을 없애 연소 가스 및 유체 누설을 방지하는 고신뢰성의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는, 열교환관을 다관 커넥터를 통해 연결 조립시 용접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용접 작업성을 좋게 하여 양산성을 높이고 열교환기의 제조 원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는, 다양한 재질의 열교환관에 대하여 일정하고 안정적인 용접 강도를 유지하는 고품질의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는, 직접 분사식 스팀 컨벡션 오븐과 같이 열충격이 가해지는 컨벡션 오븐의 가열기로 적합한 고품질 고신뢰성의 열교환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팀 컨벡션 오븐의 가열기로 장착된 일반적인 열교환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스팀 컨벡션 오븐의 가열기로 사용되는 열교환기의 열교환 사이클 도식도.
도 3은 스팀 컨벡션 오븐에 가열기로 장착된 또 다른 열교환기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다관 커넥터에 의한 열교환관의 이음부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로서 종래의 다관 커넥터에 의한 열교환관의 용접 이음부 확대도.
도 6은 열교환기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열교환관들을 연결하는 다관 커넥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 커넥터에 의한 열교환관의 용접 이음부 확대도.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관 커넥터에 의한 열교환관의 이음부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열교환기를 스팀 컨벡션 오븐의 가열기로 장착한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의 예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6은 스팀 컨벡션 오븐의 열교환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열교환기(100)가 연료를 공급하는 흡입구(111), 흡입구(111)로 유도된 연료를 발화하여 열을 내는 연소실(112), 연소열을 유체로 이동시키는 유로를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열교환을 유도하는 열교환관(110), 열교환관(110) 속을 경유하는 연소 가스를 포함하는 유체를 내보는 배기구(113)를 포함하는 가열기 형식의 열교환기(100)의 예이다.
도 7은 열교환관(110)을 연소실(112)측 상대 구조물(120)과 상통하도록 연결하는 다관 커넥터(200)의 형상 예이다. 여기서 '다관 커넥터(200)'의 의미는 여러 개의 관을 연결하는 매개체의 의미이다.
도 7에 도시된 다관 커넥터(200)는 일측이 여러 개의 관, 즉 열교환관(110) 들을 연결할 수 있는 4개의 인서트 헤드(210)와 4개의 용접 이음 홀(220)을 가지고 있고 다른 한쪽인 반대편은 상대 구조물(120)이 갖는 유로 형상에 추종하는 형상으로 제작된 예로서 본 발명과 직접 관련되는 인서트 헤드(210)와 용접 이음 홀(220)을 제외한 반대편 형상은 상대 구조물(120)의 유로 형상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도시한 가열기로 기능 하는 열교환기 형식은 연소실(112)의 위치를 다른 위치에 둘 수 있으며 또한 상대 구조물(120)의 유로도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다관 커넥터(200)의 형상은 도 6에서 제시된 열교환기(100) 형식에 맞춘 형상 설계의 예이다. 상대 구조물(120)은 이웃하는 다른 열교환관일 수 있고 이 경우 다관 커넥터(200)의 인서트 헤드(210)은 양편에 대칭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가능한 다관 커넥터(20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의 예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다관 커넥터(200)가 유체를 열교환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교환관(110)을 대응되는 상대 구조물(120) 또는 이웃하는 다른 열교환관과 관경 또는 관벽을 맞추어 상통하도록 열교환관(110)을 이어주는 인서트 헤드(210)를 갖는다.
그리고 다관 커넥터 본체(230)는 열교환관 인서트 헤드(210)가 열교환관(110)의 외벽과 내접 하는 용접 이음 홀(220)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다관 커넥터(200)는 용접 이음 홀(220)의 내벽(240)이 열교환관(110)의 외벽과 대면 접촉하는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관(110) 그리고 다관 커넥터(200)의 용접 이음 홀(220)의 형상은 타원형으로 제시되었다. 타원형의 형상은 구조물의 연결 또는 결합에서 회전 방향 유동을 피하는 일반적인 결합이다. 이 결합에 의해서 열교환관(110)의 회전 유동을 억제하여 안전한 연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도면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은 열교환관(110)의 관 단면과 다관 커넥터(200)의 용접 이음 홀(220)의 기타 단면 형상들,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열교환관(110)의 연결 결합도 가능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단면을 통해 얻어지는 회전 방향 유동 억제는 면이 주어지는 다각형 단면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원형 단면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나타 나지 않는데 본 발명은 용접 이음 강도 개선을 통해 원형 단면을 갖는 열교환관(110)에서도 대등하거나 동일한 특성을 얻는다. 용접 강도 개선과 내구성 제고에 관한 구체적인 예는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이음 홀(220)의 배후면에 열교환관(110)의 단부를 접합하는 용접 간격(L1)을 형성한다. 용접 간격(L1)은 열교환관(110)의 단면과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에 일정한 간격을 두는 것으로 이 간격 범위 안에서 용접 작업을 실시하면 형성되는 비드(bead)는 직각으로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집중되어 견고한 융착점을 만든다.
열교환관(110)을 용접 이음 홀(220)에 인서트 하여 배후에서 용접 작업을 실시하면 융착면 확장을 통해 넓은 면적을 용착면에 포함시킬 수 있고 넓은 융착면을 통해 접합 견고성과 내구성이 확보되고 용접 불량이나 사행 융착 등과 같은 작업 불량이 낮아진다. 열교환관(110)의 선단면을 구배면으로 가공한 후 전술한 바와 같은 용접 작업을 실시하면 보다 넓은 융착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관 커넥터(200)에 형성하는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의 길이는 용접 간격(L1)을 포함하여 적어도 3mm 이상으로 확보된다.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의 전체 길이가 3mm인 경우 'L1'이 1mm이면 나머지 'L2'는 2mm 이다.
그리고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의 내벽(240)은 용접 간격(L1)과 비용접 간격(L2)을 구분하는 단턱(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턱(260)을 두면 열교환관(110)에 대한 용접 포인트 설정과 삽입 위치가 자율적으로 진행되므로 작업성도 개선된다.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의 용접 간격(L1)은 이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접 간격(L2)에 비해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일 경우 열교환관(110)의 축방향 비틀림 또한 회전 방향 모멘트가 작용하면 열교환관(110)의 축방향 이탈이나 단락 가능성이 있다. 즉 용접 간격(L1)과 비용접 간격(L2)는 열교환관(110)을 견고하면서도 기계적으로 고강도로 결합하는 상호 보완적 치수 관계를 형성한다. 열교환기 관련 분야에서 다관 커넥터를 이용하는 종래의 유사 이음 구조에서는 이러한 용접 간격에 대한 고려가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고 다관 커넥터 용접 이음부에서 주로 나타나는 열교환기의 축 방향 이탈과 단락 그리고 크랙 등에 대한 원인 규명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 커넥터(200)의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간으로 구분되는 명확한 용접 간격(L1)과 비용접 간격(L2)을 형성하는 동시에 인서트 되는 열교환관(110)의 선단에 대한 축관 또는 확관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여기서 '축관'은 관경을 인위적으로 축소하는 의미이고 '확관'은 그 반대로서 열교환관(110)을 끼워서 연결할 때 상대측 홀의 내벽에 최대한 접촉하도록 관사이즈를 조정하여 연결하는 용접 전 사전 작업이다.
열교환관(110)의 확관과 축관 작업은 먼저 다관 커넥터(200)의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의 내벽(240)인 용접 이음 홀(220)의 비용접 간격(L2) 부분에 열교환관(110)의 선단을 집어넣어 간격이 사이 간격 벌어짐 정도를 관측하여 틈새를 측정해내고 틈새가 크면 도구를 이용하여 열교환관(110)의 관경을 넓혀서 정확히 열교환관(110)의 선단이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의 비용접 간격(L2)측 내벽(240)과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조정한다. 반대로 용접 이음 홀(220)에 열교환기(110)의 선단을 집어넣어 잘 들어가지 않거나 사행 삽입이 되면 열교환기(110)의 관경을 좁히는 작업을 실시하여 정확하게 열교환기(110) 선단이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의 비용접 간격(L2) 구간의 내벽(240)에 밀착되어 삽입되도록 조정한다.
이렇게 다관 커넥터(200)를 기준으로 열교환기(110)의 선단을 틈새 정도와 자체 관경에 따라 확관과 축관 작업을 거치면 용접 작업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후 열교환관(110)의 직진도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고 용접 강도로 좋아지며 휨과 비틀림 변형 등에 대한 내력도 증가 되어 쳐짐과 이탈 그리고 용접 단락, 크랙 등 이음부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불안전한 열교환기(110)의 이음부 구조를 안전한 구조로 바꿔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는, 다관 커넥터(200)를 중심으로 열교환관(110)을 결합하여 열교환부를 구성하는 열교환기(100)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열교환관(110)의 이음부에서 흔히 발생 되는 크랙이나 강도 저하 문제를 개선하여 고품질 고신뢰성의 열교환기를 제조할 수 있도함으로서 열충격이 작용되는 직접 분사식 스팀 컨벡션 오븐에 장치하여 가열기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열교환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열교환기(100)를 스팀 컨벡션 오븐(300)의 가열기로 적용하여 대류팬(310)에 의해 열을 조리실로 전달하도록 설치된 열교환기(100)의 구체적 사용 예이다. 본 발명은 스팀 컨벡션 오븐(300)의 가열기로 사용되는 경우 가스 누설에 대비할 수 있으므로 식품 안전 위생이 중요한 컨벡션 오븐 등의 식품 조리용 기기에서 탁월한 사용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은 스팀 컨벡션 오븐(300)을 포함하여 다양한 사용 목적을 갖는 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관(110)을 상대 구조물(120) 또는 이웃하는 다른 열교환관들과 용접 접합으로 유로를 이어주는 용도로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진 것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00: 열교환기 110: 열교환관
120: 상대 구조물 200: 다관 커넥터
210: 인서트 헤드 220: 용접 이음 홀
230: 다관 커넥터 본체 240: 내벽
250: 리드 페이스(ride face) 260: 단턱

Claims (5)

  1. 유체를 열교환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열교환관(110), 상기 열교환관(110)을 대응되는 상대 구조물(120) 또는 이웃하는 다른 열교환관과 관경 또는 관벽을 맞추어 상통하도록 이어주는 다관 커넥터(200), 상기 다관 커넥터(200) 일측에 형성된 열교환관 인서트 헤드(210), 그리고 그 열교환관 인서트 헤드(210)가 상기 열교환관(110)의 외벽과 내접하는 용접 이음 홀(220)을 포함하는 다관 커넥터 본체(230) 및 그 형상을 포함하는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에 있어서,
    상기 용접 이음 홀(220)은 배후면에 열교환관(110)의 단부를 접합하는 용접 간격(L1);을 형성하고 내벽(240)이 열교환관(110)의 외벽과 대면 접촉하는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는 용접 간격(L1)과 비용접 간격(L2)을 형성하고 그들 간격(L1)(L2)들은 단턱(260)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단턱(260)에 의해 구분된 비용접 간격(L2)을 통해 인서트 되는 열교환관(110)의 선단에 대한 축관 또는 확관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관(110)의 관 단면과 다관 커넥터(200)의 용접 이음 홀(220)의 단면이 타원형, 원형, 다각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선택하여 대응 단면으로 조합된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기준 리드 페이스(250)의 길이는 상기 용접 간격(L1)을 포함하여 적어도 3mm 이상인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5. 삭제
KR1020130086034A 2013-07-22 2013-07-22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KR10144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34A KR101447102B1 (ko) 2013-07-22 2013-07-22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034A KR101447102B1 (ko) 2013-07-22 2013-07-22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102B1 true KR101447102B1 (ko) 2014-11-03

Family

ID=5228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034A KR101447102B1 (ko) 2013-07-22 2013-07-22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163A (ko) * 2019-04-26 2021-02-03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매니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7975U (ko) * 1986-05-21 1987-11-30
KR0114427Y1 (ko) * 1994-09-07 1998-04-18 최진민 열기기용 열교환기
KR20080095628A (ko) * 2007-04-25 200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1141098A (ja) * 2010-01-08 2011-07-21 Kometsuto Kato:Kk スチームコンベクションオーブ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7975U (ko) * 1986-05-21 1987-11-30
KR0114427Y1 (ko) * 1994-09-07 1998-04-18 최진민 열기기용 열교환기
KR20080095628A (ko) * 2007-04-25 200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11141098A (ja) * 2010-01-08 2011-07-21 Kometsuto Kato:Kk スチームコンベクションオーブ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163A (ko) * 2019-04-26 2021-02-03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매니폴드
KR102403862B1 (ko) 2019-04-26 2022-05-31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매니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703B1 (ko)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튜브시트와 튜브의 접합방법 및 쉘앤튜브 열교환기
JP6202391B2 (ja)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89500A (ja) 電子ビーム又はレーザ溶接のための溶接プレップジョイント
JP4818643B2 (ja) 冷却プレート
EP3159642B1 (en) Heat exchangers
KR101447102B1 (ko) 스팀 컨벡션 오븐 열교환기의 열교환관 이음 구조
KR20130081440A (ko)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튜브시트와 튜브의 접합방법 및 쉘앤튜브 열교환기
KR102323398B1 (ko) 열교환기의 입출구파이프 용접구조
BR102018006714A2 (pt) Coletor, trocador de calor, e, método para montagem de um trocador de calor
KR101359778B1 (ko) 쉘앤튜브 용접방법
US20050155748A1 (en) Concentric tube heat exchanger end seal therefor
BR102015000401A2 (pt) conjunto de troca de calor, e, aparelho de troca de calor
CN101290110B (zh) 锅炉
JP6150380B2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101194004B1 (ko) 라디에이터의 연결튜브 접합방법 및 그에 따른 라디에이터의 연결튜브 접합구조
RU161303U1 (ru) Биметаллический секционный радиатор
KR20150012831A (ko) 열교환기
WO2010120127A2 (ko) 보일러 열교환기의 유로캡 접합방법
KR100681343B1 (ko) 보일러 온수코일의 용접구조
CA2439023C (en) Concentric tube heat exchanger and end seal therefor
JPH09133491A (ja) 熱交換器の製造方法
RU2731725C1 (ru) Тройник для дымохода
JP2017089927A (ja) アルミニウム製熱交換器
JP7335690B2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CN209945111U (zh) 燃气热水器的换热器的焊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