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074B1 - Auxiliary Driving System for Train in Inclined Track - Google Patents

Auxiliary Driving System for Train in Inclined T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074B1
KR101447074B1 KR1020130110878A KR20130110878A KR101447074B1 KR 101447074 B1 KR101447074 B1 KR 101447074B1 KR 1020130110878 A KR1020130110878 A KR 1020130110878A KR 20130110878 A KR20130110878 A KR 20130110878A KR 101447074 B1 KR101447074 B1 KR 10144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
traction
track
connecting beam
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0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성권
이준석
방춘석
사공명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1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0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0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3/00Shunting or short-distance haulage devices; Similar devices for hauling trains on steep gradients or as starting aids; Car propelling devices therefor
    • B61J3/04Car shunting or haulage devices with cable traction or endless-chain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to tow a train in a steep grade section of a railway installed around a main track in a steep grade section of a railway having a steep upward slope to tow a train while moving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train when the train enters the steep grade section in order to enable the train to smoothly pass the steep grade section. The device to tow a train in a steep grade section of a railway includes: a first auxiliary track (1a) and a second auxiliary track (1b) installed in an upward steep grade section; a hinge mounting stand (2) and a backward mounting stand (4) moving in the steep grade section along the first auxiliary track (1a); a forward mounting stand (5) moving in the steep grade section along the second auxiliary track (1b); and a connection beam (3). In a tow beginning point, each of the hinge mounting stand (2), the backward mounting stand (4), and the forward mounting stand (4) tows the train (200) while moving in the upward steep grade section along the first auxiliary track (1a) and the second auxiliary track (1b) while the connection beam (3) is arranged by crossing the main track (100) to be coupled to the train (200). In a tow ending point, after the train (200) is passed by rotating the connection beam (3), the hinge mounting stand (2), the backward mounting stand (4), the forward mounting stand (4), and the connection beam (3) return to the tow beginning point to tow a newly-entering train.

Description

철도의 급구배 구간에서의 열차견인장치{Auxiliary Driving System for Train in Inclined Track}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ction device for a train,

본 발명은 철도의 급구배 구간에서 열차를 견인(牽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열차의 주행방향으로 따라 상향으로 심한 경사를 가지는 철도의 급구배(急勾配) 구간에서 본선 궤도의 주변에 설치되어 열차가 급구배 구간으로 진입하게 되면 열차와 결합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열차를 견인함으로써, 열차가 급구배 구간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 급구배 구간에서의 열차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action of a train in a rapid-train section of a railw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traction of a railway train in the vicinity of a railway track in a steep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in pulling apparatus in a railway speed increasing section, which allows a train to travel smoothly in a speed changing section by pulling a train while moving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a train when the train enters a speed changing section.

철도의 종단노선에서 어떤 지역은 급구배를 가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철도를 지하화(地下化)할 때, 지하 구간에서 지상 구간으로 이어지는 접속부에 열차가 주행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급한 상향 경사를 가지는 급구배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Some areas on railroad end roads may have steep grades. For example, when a railway is underground (underground), there may be a rapid-speed section having a very steep upward slope such that the train is difficult to travel on the connection section from the underground section to the ground section.

이와 같은 급구배 구간에서 열차가 원활하게 주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차의 주행을 보조해주는 장치가 필요한데,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329708호에는 자석벨트를 이용한 보조구동식 궤도주행장치를 철도 열차에 설치하여 열차의 주행을 보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위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329708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자석벨트를 구비한 주행장치를 직접 열차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열차를 개조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해당 급구배 구간을 주행하는 모든 열차에 이러한 자석벨트 주행장치를 일일이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라 큰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allow a train to run smoothly in such a rapid-speed-train section, a device for assisting the running of the train is requir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Hei 10-329708, an auxiliary drive type track traveling device using a magnet belt is installed on a railroad train A technique for assisting the running of a train is disclosed.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Hei 10-329708, since a traveling device including a magnet belt must be installed directly on a train, it is necessary to remodel a train, and all the trains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magnet belt traveling device in a single unit.

특히, 열차에 자석벨트 주행장치를 장착하게 되면 그에 따라 열차의 중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자석벨트 주행장치는 급구배 구간에서만 활용되는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자석벨트 주행장치가 항상 열차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자석벨트 주행장치가 필요하지 않은 대부분의 철도 구간에서는 불필요하게 무거운 중량의 보조장치를 열차에 싣고 다니는 것이 되며, 그에 따라 열차 주행을 위한 연료 소비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Particularly, when a magnet belt driving device is mounted on a train, the weight of the train increases accordingly. However, since the magnet belt driving device is always used on a train, In most of the railway sections where a traveling device is not required, an unnecessarily heavy auxiliary device is carried on the train, which leads to a disadvantage that the fuel consumption for running the train unnecessarily increases.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329708호(1998. 12. 15. 공개) 참조.Se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329708 (published on December 15, 199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열차에 장착되지 않으면서도, 철도의 상향 급구배 구간에서는 열차의 주행을 보조하여 열차가 급구배 구간을 원활하게 주행하여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assists the running of the train in the uphill portion of the railwa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device for enabling a device to be operated by a user.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열차의 견인개시지점부터 견인종료지점까지 오르막 급구배 구간에서 본선 궤도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보조궤도와 제2보조궤도; 제1보조궤도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이동하는 힌지거치대와 후진거치대; 제2보조궤도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이동하는 전진거치대; 및 일단은 힌지거치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힌지단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열차와 결합되는 연결기를 구비하고 있는 연결빔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견인개시지점에서는 연결빔이 본선 궤도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자유단이 전진거치대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기가 열차와 결합하고; 연결빔에 열차)가 결합한 상태에서 힌지거치대와 후진거치대 및 전진거치대가 각각 제1보조궤도와 제2보조궤도를 따라 오르막의 급구배 구간을 이동하면서 열차를 견인하고; 견인종료지점에서는 열차와 분리된 연결빔이 힌지단을 중심으로 제1보조궤도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차를 통행시킨 다음, 새로 진입할 열차의 견인을 위해, 힌지거치대, 후진거치대, 전진거치대 및 연결빔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급구배 구간에서의 열차견인장치가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first sub-orbit and a second sub-orbit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main track in an uphill accelerating section from a traction start point to a traction end point of a train; A hinge mount and a back mount that move along the first sub-orbit and in the up-and-down section; A forwarding cradle for moving the feeding section along the second auxiliary orbit; And a connecting beam having a hinge end at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mount and the other end being a free end and having a coupler coupled to the train; At the traction start point, the connecting beam is coupled to the train with the connecting beam disposed across the main track and the free end coupled to the forward receiving stand; The hinge stand, the backward mount stand and the forward mount stand traverse the train while traveling along the first auxiliary orbit and the second auxiliary orbit, respectively, in the uphill section; At the traction end point, the connecting beam separated from the train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bordinate orbit about the hinge end to pass the train. Then, in order to tow the train to be newly entered, the hinge cradle, the reverse cradle, Wherein the traction towing device is configured to return to the traction starting point.

위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후진거치대에는 상기 연결빔의 자유단을 물어서 고정하거나 또는 자유롭게 해제시키는 잠금체결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연결빔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할 때, 상기 연결빔의 자유단이 상기 후진거치대의 잠금체결장치에 결합되어 본선 궤도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복귀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회전거치대, 후진거치대, 및 전진거치대는 구동케이블에 의하여 보조궤도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ck rest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or freeing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by bending, so that when the connecting beam is returned to the traction starting point again, The retractable rest, and the forward retractor may be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auxiliary orbit by the drive cable, and the retractable rest, the retractable rest, and the forward rest are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auxiliary track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하면, 급구배 구간이 시작되는 위치 부근의 견인개시지점에서 연결빔이 열차와 결합된 후, 연결빔이 오르막을 올라가면서 열차를 견인하게 되며, 따라서 열차는 오르막의 급구배 구간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necting beam is coupled to the train at the traction starting point near the start position of the train speed section, the connecting beam trains the train while climbing the ascent, and thus the train travels smoothly .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열차견인장치는 본선 궤도의 주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차의 견인이 완료된 이후 연결빔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하여, 후속 진입 열차를 반복적으로 견인하게 되는 바, 열차의 개조 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아니하며, 급구배 구간에서 본선 궤도 주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급구배 구간으로 진입하는 모든 열차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치를 모든 열차에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설치 및 운영에 따른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Particularly, the traction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main track, and after the traction of the train is completed, the connecting beam is returned to the traction starting point again and the trailing trailing train is repeatedly pulle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the trains entering the emergency section in a state where the emergency trains ar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railway track in the emergency train section. Therefo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n which a separate device must be installed in every train, The cost of the system can be greatly reduc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열차견인장치는, 열차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열차 중량의 증가를 가져오지 않으며, 따라서 종래 기술처럼 불필요하게 무거운 중량의 보조장치를 열차에 싣고 다니기 때문에 야기되는 불필요한 연료 소비의 증가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more, since the traction tow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ounted directly on the train, it does not increase the weight of the train, and thus unnecessary heavy fuel consumption of the auxiliary device is unnecessary. The effect to be prevented in advance can be exhibi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가 설치되는 철도의 상향 급구배 구간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견인개시지점에서 열차가 도달하기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의 연결빔이 본선 궤도 가로질러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견인개시지점에서 열차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의 연결빔에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견인개시지점에서 열차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의 연결빔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빔이 열차와 결합된 후 급구배 구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에 의해 열차가 견인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견인종료지점에 열차와 연결빔이 도달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은 견인종료지점에서 열차가 통과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의 연결빔이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견인종료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의 연결빔이 완전히 회전되고 열차가 통과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에서 제1보조궤도에 힌지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열차주행방향으로 바라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에서 제1보조궤도에 후진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열차주행방향으로 바라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에서 제2보조궤도에 전진거치대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열차주행방향으로 바라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견인종료지점에서 열차가 통과한 후, 연결빔의 자유단이 전진거치대의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상태에 후속하여 연결빔의 자유단이 전진거치대에 결합되고, 전진거치대, 후진거치대 및 회전거치대가 다시 견인개시시점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후퇴하려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upward power raising section of a railroad where a train pu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ng beam of a train t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versed along a main track before a train arrives at a traction starting point;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dition immediately before the trains are coupled to the connecting beams of the traction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raction starting point.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in at a traction start point coupled to a connecting beam of a train tow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in is pulled by a train pul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quadrature section after a connecting beam is combined with a train.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train and a connecting beam reach a trailing end point; FIG.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ing beam of a train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so that a train passes at a trailing end point. FIG.
8 and 9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t the traction termination point,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eam of the train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rotated and the train passes.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ction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a train, to show a state in which a hinge rest is coupled to a first subordinate track;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ction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a train, to show a state in which a back rest cradle is coupled to a first subordinate track.
FIG.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train tra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a train, to show a state where a forward resting stand is coupled to a second auxiliary orbit.
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is rotated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forward cradle after the train has passed at the traction end point.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is coupled to the forwarding cradle and the forward cradle, the back cradle and the rotating cradle retract to return to the start of traction following the state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견인장치가 설치되는 철도의 상향 급구배 구간을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5에는 각각 상향 급구배 구간의 시점(始點) 부근의 견인개시지점(도 1의 원 A부분)에서 본 발명의 열차견인장치가 열차(200)와 결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에는 견인개시지점에서 열차(200)가 아직 도달하기 전에 연결빔(3)이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견인개시지점에서 열차(200)가 연결빔(3)에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견인개시지점에서 연결빔(3)이 열차(200)와 결합되어 열차의 견인을 시작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4의 상태에 후속하여 열차견인장치의 연결빔(3)이 오르막을 오르면서 열차(200)를 견인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9에는 각각 상향 급구배 구간의 종점(終點) 부근의 견인종료지점(도 1의 원 B부분)에서 본 발명의 열차견인장치가 열차(200)와 분리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에는 견인종료지점에 열차(200)와 연결빔(3)이 도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견인종료지점에서 열차(200)가 통과하도록 연결빔(3)이 회전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견인종료지점에서 연결빔(3)이 완전히 회전되고 열차(200)가 통과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upwardly-directed upward / downward section of a railroad where a train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s. 2 to 5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ction tow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with the train 200 at the traction start point (the circle A portion in Fig. 1) near the start point of the upwardly- 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eam 3 traverses the main track 100 before the train 200 has yet reached the traction starting point and Figure 3 shows the traction starting point < RTI ID = 0.0 > A state immediately before the train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eam 3 is shown.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eam 3 is coupled with the train 200 at the starting point of traction to start traction of the train.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beams 3 ) Towing the train 200 while climbing the ascent. 6 to 9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ction tow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train 200 in the traction end point (circle B portion in FIG. 1) near the end point of the upwardly directed power train section,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train 200 and the connecting beam 3 reach the end point of traction and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eam 3 3 are rotated. 8 and 9 show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eam 3 is completely rotated and the train 200 passes at the traction end point.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drawings.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지하 구간에서 지상 구간으로 이어지는 접속부에 열차가 주행하기 어려울 정도로 상향 경사가 심한 급구배(急勾配) 구간이 존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열차견인장치는 이러한 상향 급구배 구간에서 철도의 본선 궤도를 따라 설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열차견인장치는 이러한 지하 구간에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고, 기타 상향 급구배 구간으로서 열차 견인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re may be a steep slope in which the upward slope is severe enough to prevent the train from running on the connection portion leading to the ground section from the underground section. The train pu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along the main railway track of the railway. However, the traction tow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only in the underground section, but can be installed anywhere where traction is required as an upwardly-upwardly-directed section.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열차견인장치는, 본선 궤도(100)의 급구배 구간 양측에서 각각 본선 궤도(10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궤도(1a, 1b), 한 쌍의 보조궤도 중에서 일측의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오르고 내리는 힌지거치대(2)와 후진거치대(4), 일단은 상기 힌지거치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열차 견인시에는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연결빔(3), 및 열차 견인을 위해 연결빔(3)이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되었을 때 연결빔(3)의 자유단과 결합되며 한 쌍의 보조궤도 중 타측의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오르고 내리는 전진거치대(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9, the traction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trajectories 1a and 1b provided on both sides of a turntable 100 on a main track 100, A hinge mount 2 and a back mount 4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upply section along one side of the first auxiliary orbit 1a of the pair of auxiliary trains and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mount 2, A coupling beam 3 disposed across the main track 100 at the time of traction and a coupling beam 3 disposed at the free end of the coupling beam 3 when the coupling beam 3 is disposed across the main track 100 for traction. And a forwarding cradle (5)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feeding section along the second auxiliary orbit (1b) on the other side of the pair of auxiliary trajectories.

본 발명에서 보조궤도는 본선 궤도(100)의 급구배 구간 양측에서 각각 본선 궤도(10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궤도 즉, 제1보조궤도(1a)와 제2보조궤도(1b)로 구성된다. 제1보조궤도(1a)와 제2보조궤도(1b)는 오르막 급구배의 시점 부근의 견인개시지점부터 오르막 급구배 종점 부근의 견인종료지점까지 길게 연장되어 설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orbit is a pair of auxiliary orbits, that is, a pair of first and second auxiliary orbits la and lb, which are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main line orbit 100 on both sides of the first- .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nd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are extended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traction near the starting point of the uphill ramp to the end point of traction near the uphill ramp ending point.

상기 제1보조궤도(1a)에는 힌지거치대(2)와 후진거치대(4)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힌지거치대(2)는 연결빔(3)의 양단 중에서 회전단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재로서 이를 위해서 연결빔(3)의 회전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6)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는 힌지거치대(2)가 제1보조궤도(1a)에 결합된 상태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제1보조궤도(1a)의 길이방향(열차주행방향/종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 즉, 도 2의 선 C-C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 예시된 것처럼, 힌지거치대(2)는 폭이 넓은 상부부재(21)와 하부부재(22), 그리고 그 사이에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중간부재(23)로 구성되어 I자 형태의 종방향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조궤도(1a)는 속이 비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22)를 감싸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종방향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보조궤도(1a)가 힌지거치대(2)의 하부부재(22)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면, 힌지거치대(2)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승하강할 때 탈선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힌지거치대(2)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부재(22)의 하면에는 바퀴부재(24)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제1보조궤도(1a)에서 힌지거치대(2)의 중간부재(23) 측면을 마주하는 부분에도 바퀴부재(2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힌지거치대(2)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이동하여 승하강하는 구성은 위에서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일반적인 철도 레일의 형태로 제1보조궤도(1a)를 구성하고 힌지거치대(2)의 하면에 철도열차의 바퀴와 같은 형태의 바퀴를 장착하여 철도 레일을 따라 힌지거치대(2)가 이동하는 구성과 같이 기타 다양한 형태로 힌지거치대(2)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 hinge platform 2 and a reverse platform 4 are movably installed. The hinge stand 2 is a member to which the rotary end is rotatably coupl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eam 3, and has a rotary shaft 26 to which the rotary end of the connection beam 3 is rotatably engaged.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rain running direction /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show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hinge stand 2 is coupled to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CC of Fig. 2 is shown. 10, the hinge holder 2 is composed of an upper member 21 and a lower member 22 having a wide width, and an intermediate member 23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therebetween, And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may be formed of a member having a vertical cross section in which a hollow is formed and a channel surrounding the lower member 2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lower member 22 of the hinge base 2, when the hinge base 2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t this time, the wheel member 2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22 so that the hinge mount 2 can smoothly move alo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Further,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The wheel member 24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hinge mount 2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23.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stand 2 moves alo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nd ascends and descend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constitutes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in the form of a general railway rail The hinge stand 2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inge stand 2 such that the hinge stand 2 is moved along the rail rail by mounting wheels of the same type as the wheels of the railroad train, 1 a).

후진거치대(4)는 힌지거치대(2)와 마찬가지로 제1보조궤도(1a)에 설치되어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승하강하는 것으로서, 상기 힌지거치대(2)보다 연결빔(3)의 길이 이하의 간격을 두고 열차주행방향(종방향)으로의 전방에 위치한다. 특히, 후진거치대(4)와 힌지거치대(2) 사이의 종방향 간격은 연결빔(3)의 길이 이하가 되며, 따라서 열차의 견인이 완료되어 열차를 통행시키거나 또는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원상복귀하는 과정에서 연결빔(3)이 제1보조궤도(1a)와 나란하게 배치되었을 때, 후진거치대(4)에 의해 연결빔(3)의 자유단(회전단의 반대쪽 단부)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후진거치대(4)에는 상기 연결빔(3)의 자유단과 체결 및 분리되는 잠금체결장치(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에는 후진거치대(4)가 제1보조궤도(1a)에 결합된 상태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제1보조궤도(1a)를 열차주행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 즉, 도 8의 선 D-D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연결빔(3)이 본선 궤도(100) 쪽으로부터 쉽게 회전하여 후진거치대(4)에 결합되거나 또는 연결빔(3)이 본선 궤도(100) 쪽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선 궤도(100)를 향하는 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ㄷ자 형태의 잠금체결장치(7)가 후진거치대(4)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잠금체결장치(7)의 형상 및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열차의 견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연결빔(3)의 자유단을 붙잡아서 고정하고, 열차의 견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연결빔(3)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빔(3)의 자유단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잠금체결장치(7)는 다양한 형태의 체결기구를 이용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빔(3)의 자유단이 단순히 잠금체결장치(7)에 거치되는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Like the hinge mount 2, the backward mount 4 is mounted on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nd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The hinge mount 4 is disposed above the hinge mount 2,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n interval equal to or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train. In particular, the longitudinal spacing between the back rest 4 and the hinge rest 2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beam 3, so that the traction of the train is completed and the train is allowed to pass, (The opposite end of the rotation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can be supported by the back rest 4 when the connecting beam 3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auxiliary orbit 1a . To this end, the back rest 4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fastener 7 which is fasten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viewed in the train traveling direction in order to show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rear mount table 4 is coupled to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re shown in cross sectio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connecting beam 3 can be easily rotated from the main track 100 side to be coupled to the rear mount 4 or the connecting beam 3 can be easily rotated toward the main track 100 Shaped locking device 7 in the form of a side opening to the main track 10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ck rest cage 4. [ However,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7 are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traction of the train is not performed,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s caught and fixed, and when traction of the train is required, So that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can be moved freely, the locking device 7 can be constructed using various types of fastening mechanisms. Therefore,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may simply be mounted on the locking device 7.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후진거치대(4) 역시 회전거치대(2)와 마찬가지로 상부부재(41)와 하부부재(42), 그리고 그 사이에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중간부재(43)로 구성되어 I자 형태의 종방향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보조궤도(1a)가 하부부재(42)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후진거치대(4)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이동하여 승하강하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힌지거치대(2)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이동하여 승하강하는 구성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후진거치대(4)가 제1보조궤도(1a)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후진거치대(4)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승하강하는 구성은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rear mount table 4 is also constituted by an upper member 41 and a lower member 42, and an intermediate member 43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therebetween in the same manner as the rotary mount table 2 Shaped longitudinal cross section, and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is installed so as to enclose the lower member 42.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ck rest stand 4 moves along the first auxiliary orbit 1a and ascends and descends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inge rest 2 described above moves along the first auxiliary orbits 1a and ascends and descends And the repetitiv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back rest 4 is installed and moved on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will be omitted. Of cours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back rest 4 descends alo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is not limited to tha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후진거치대(4)와 상기 힌지거치대(2)는 그 사이의 종방향 간격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함께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서는 후진거치대(4)와 힌지거치대(2)는 결속부재(9)에 의해 종방향 간격을 계속 유지한 상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속부재(9)는 종방향으로 배치된 빔(beam)으로 이루어져 후진거치대(4)와 힌지거치대(2)를 일체로 연결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후진거치대(4)와 힌지거치대(2)는 결속부재(9)에 의해 종방향 간격을 계속 유지한 상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으므로, 후진거치대(4)와 힌지거치대(2)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동력을 부여하여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이동시키게 되면, 나머지 다른 하나의 거치대는 종방향 간격을 유지한 채로 함께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mount table 4 and the hinge mount table 2 are moved together alo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while maintaining the longitudinal distance therebetween. The back rest stand 4 and the hinge stand base 2 are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spacing is maintained by the binding member 9. [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binding member 9 is composed of a beam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grally joins the back rest 4 and the hinge rest 2 togeth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backrest base 4 and the hinge base 2 are integrally coupled with each other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intained by the binding member 9, the back base 4 and the hinge base 2 So that the other one of the cradles is moved alo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while maintaining the longitudinal spacing.

본선 궤도(1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보조궤도(1a)를 마주본 형태로 제2보조궤도(1b)가 배치되며, 상기 제2보조궤도(1b)에는 전진거치대(5)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보조궤도(1b)는, 제1보조궤도(1a)와 마찬가지로 급구배 구간에서 상기 제1보조궤도(1a)와 마주본 상태로 본선궤도(100)와 나란하게 본선궤도(10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A second subordinate track 1b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with the main track 10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orwarding cradle 5 is movable Respectively.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track 100 in parallel with the main track 100 in a state of faci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in a first- As shown in FIG.

전진거치대(5)는, 열차 견인을 위해 연결빔(3)이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되었을 때 연결빔(3)의 자유단이 결합 고정되는 부재로서, 상기 전진거치대(5)에도 연결빔(3)의 자유단과 체결 및 분리되는 잠금체결장치(7)가 구비되어 있다. 도 12에는 전진거치대(5)가 제2보조궤도(1b)에 결합된 상태의 일예를 보여주기 위하여 열차주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 즉, 도 2의 선 E-E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회전되는 연결빔(3)이 쉽게 결합/분리될 수 있도록 전진거치대(5)의 상면에는 열차주행방향의 전방을 향하는 측면이 개방된 형태의 ㄷ자 형태의 잠금체결장치(7)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잠금체결장치(7)의 형상 및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열차의 견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연결빔(3)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빔(3)의 자유단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고, 열차의 견인을 수행하는 상태에서는 연결빔(3)의 자유단을 견고하게 붙잡아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잠금체결장치(7)는 다양한 형태의 체결기구를 이용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The forwarding cradle 5 is a member to which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s engaged and fixed when the connecting beam 3 is arranged across the main track 100 for traction of the train, And a locking device 7 for fastening and separating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are provided.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EE of FIG. 2, which is view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train to show an example of the state that the forwarding stand 5 is coupled to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Respectively.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rward mount 5, the front side of the train running direction is opened so that the connecting beam 3, which is rotated across the main track 100, can be easily engaged / disengaged Shaped locking device 7 in the form of a U-shape. However,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fastener 7 are not limited to this. When the traction operation of the train is not performed,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can freely move so that the connecting beam 3 can rotate The locking device 7 may have a configuration using various types of fastening mechanisms if it is configured to firmly hold and fix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n the state of traction of the train .

한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전진거치대(5)는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이동하여 급구배 구간을 오르고 내리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진거치대(5)도 회전거치대(2)와 마찬가지로 상부부재(51)와 하부부재(52), 그리고 그 사이에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중간부재(53)로 구성되어 I자 형태의 종방향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보조궤도(1b)가 하부부재(52)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orwarding cradle 5 moves along the second auxiliary orbit 1b and ascends and descends in the forward cradle sec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the forward cradle 5 is also mov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otating cradle 2 It may be constituted by a member having an I-shaped longitudinal cross section and composed of an upper member 51 and a lower member 52 and an intermediate member 53 having a relatively narrow width therebetween, (1b) surrounds the lower member (52).

또한 전진거치대(5)가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이동하여 승하강하는 구성이, 앞서 설명한 힌지거치대(2)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이동하여 승하강하는 구성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바, 전진거치대(5)가 제2보조궤도(1b)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전진거치대(5)가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승하강하는 구성은 도면에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orward resting platform 5 moves along the second auxiliary orbit 1b and ascends and descends is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hinge rest platform 2 described above moves along the first auxiliary orbit 1a and ascends and descends And the repetitiv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dvancing restraint 5 is installed and moved on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will be omitted. Of cours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dvancing table 5 ascends and descends along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is not limited to tha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연결빔(3)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그 일단은 회전단으로서 상기 회전거치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자유단으로서 열차를 견인할 때에는 전진거치대(5)와 견고하게 체결되어 고정되며 열차의 견인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후진거치대(4)에 거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빔(3)에는 열차와 체결/분리되는 연결기(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빔(3)은, 열차를 견인할 경우에는 본선 궤도(100)와 직교한 상태로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되며, 열차(200)를 통과시킬 때에는 열차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1보조궤도(1a)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beam 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ry mount 2 as a rotary end, and the other end is a free end. When the train is pulled, the connection beam 3 is firmly fastened to the forward mount 5, When the traction of the train is completed, it is placed on the back rest (4). The connecting beam (3) is provided with a connector (30) for fastening / separating the train. This connecting beam 3 is disposed across the main track 100 in a state of being orthogonal to the main track 100 when the train is towed and is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assage of the train when passing the train 200 And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다음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에 의해 열차를 견인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Hereinafter, a process of towing a train by the train pu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열차가 상향 급구배 구간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은 이미 급구배 시점 부근의 견인개시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빔(3)은 종방향과 직교하여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으며, 연결빔(3)의 자유단은 전진거치대(5)에 고정되어 있다. 즉, 연결빔(3)이 종방향과 직교하여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된 상태에서, 그 자유단이 전진거치대(5)에 구비된 잠금체결장치(7)에 견고하게 물려서 체결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First, before the train reaches the uphill section,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the forward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are already located at the traction start point near the point. 2, the connecting beams 3 are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main track 100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ree ends of the connecting beams 3 are fixed to the forwarding cradle 5 . That is, in the state where the connecting beam 3 is arranged across the main track 100 an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s securely fastened to the locking fastener 7 provided on the forwarding cradle 5, .

참고로, 급구배 구간으로 진입하는 열차(200)는 소정의 주행속도를 가지고 주행하고 있던 상태이므로, 열차(200)의 견인을 시작하게 되는 견인개시지점이 반드시 급구배의 시점 즉, 오르막이 시작되는 위치에 해당할 필요는 없으며, 오르막이 시작된 위치로부터 열차주행방향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가 견인개시지점이 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오르막이 시작되는 위치보다 더 뒤쪽에 존재하는 위치 즉, 아직 오르막이 시작되지 아니한 위치가 견인개시지점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견인개시지점이 급구배의 시점 부근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For reference, since the train 200 entering the emergency division section is traveling at a predetermined traveling speed, the traction starting point at which the traction of the train 200 starts is always the point at which the rising portion, that is, A position that is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position where the uphill starts is a traction starting point may be a trailing start point or a position that is further behind the position where the uphill starts May be the starting point of traction.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traction starting point is located near the point of the eccentricity.

도 2에 도시된 열차(200)가 견인개시지점에 도달하여 연결빔(3)에 접근하게 되면, 후속하여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열차(200)의 전방에 원래 장착되어 있던 열차연결부재(210)가 연결빔(3)에 구비되어 있던 연결기(30)와 결합된다. 이렇게 연결빔(3)과 열차(200)가 결합되면,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또는 전진거치대(5)를 연차진행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키게 된다. 즉, 구동동력에 의해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또는 전진거치대(5)가 보조궤도를 따라 움직이기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열차견인상태에서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은 서로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하나로 움직이게 된다. 예를 들어, 구동동력에 의해 회전거치대(2)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올라가게 되면, 결속부재(9)에 의해 회전거치대(2)와 연결된 후진거치대(4)도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움직이게 되고, 전진거치대(5) 역시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올라가게 된다. 그에 따라 연결빔(3)도 본선 궤도(100)를 가로지른 상태로 급구배 구간을 올라가게 되면서 그에 연결된 열차(200)를 급구배 구간의 상향으로 견인하게 되는 것이다(도 5 참조). 물론 급구배 구간을 올라갈 수 있는 구동동력은 회전거치대(2)가 아닌 후진거치대(4) 또는 전진거치대(5)에 직접 가해질 수도 있으며,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의 모두에 동시에 구동동력이 가해질 수도 있다. When the train 200 shown in FIG. 2 reaches the traction starting point and approaches the connecting beam 3, the train connecting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 train connecting member " 210 are coupled with the connector 30 provided in the connecting beam 3. When the connection beam 3 and the train 200 are coupled, the rotary cradle 2, the rear cradle 4, or the forward cradle 5 are driven to move in the annual progress direction. That is,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or the forward cradle 5 starts to move along the auxiliary orbit by the driving power. In the train pulling state,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the forward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move substantially together. For example, when the rotary cradle 2 moves upward along the first auxiliary track 1a by the drive power, the rear cradle 4 connected to the rotary cradle 2 by the coupling member 9 The forward moving platform 5 is moved along the first auxiliary orbit 1 a, and the forward moving platform 5 is also moved upward along the second auxiliary orbit 1 b. As a result, the connecting beam 3 also traverses the railroad track section while crossing the main track 100, and trains connected thereto are pulled upward in the railroad track section (see FIG. 5). Of course, the driving power for climbing the speed division section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rear mount table 4 or the forward mount table 5 instead of the rotary mount table 2, and the rotational mount table 2, the reverse mount table 4 and the forward mount table 5 ) May be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driving forc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회전거치대(2)와 후진거치대(4), 그리고 전진거치대(5)가 보조궤도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거슬러 올라가게 되고, 그에 따라 연결빔(3)이 열차(200)에 연결되어 열차(200)를 견인하게 되므로, 열차(200)는 급구배 구간을 수월하게 통과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and the forward cradle 5 ar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auxiliary trajectory so that the connecting beams 3 are transmitted to the train 200 So that the train 200 can be easily passed through the emergency division.

연결빔(3)이 열차(200)를 견인하여 급구배 구간의 종점 부근에 위치하는 견인종료지점에 이르게 되면(도 6 참조), 열차(200)의 열차연결부재(210)와 연결빔(3)의 연결기(30)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연결빔(3)의 자유단은 전진거치대(5)와의 결합 고정으로부터 풀리게 된다. 즉, 연결빔(3)의 자유로운 회전을 위하여 전진거치대(5)의 잠금체결장치(7)와 연결빔(3)의 자유단의 체결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연결빔(3)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단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제1보조궤도(1a)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결빔(3)의 자유단이 제1보조궤도(1a) 방향으로 움직여서 연결빔(3)이 회전되어 본선 궤도(100)를 막지 않게 되면, 열차(200)는 주행방향으로 계속 주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열차(200)가 통과할 때, 연결빔(3)은 제1보조궤도(1a)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연결빔(3)의 자유단은 후진거치대(4)의 잠금체결장치(7)에 물려서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ng beam 3 trains the train 200 and reaches the traction end point located near the end point of the train speed section (see FIG. 6), the train connecting member 210 of the train 200 and the connecting beam 3 And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s released from the engagement and fixation with the forward mount 5. That is, for the free rotation of the connecting beam 3, the locked state of the free ends of the locking device 7 and the connecting beam 3 of the forward mount 5 is released. Accordingly, the connecting beam 3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with the rotation end as the center of rotation as shown in FIG. If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nd the connecting beam 3 is rotated so as not to obstruct the main track 100, the train 200 continues to run in the running direction. When the train 200 passes, the connecting beam 3 is preferably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In this case,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rear holder 4 It can be fixed to the lock fastening device 7 by being tied.

참고로, 열차(200)의 견인을 종료하는 견인종료지점이 반드시 급구배의 종점 즉, 오르막이 끝나는 위치에 해당할 필요는 없으며, 오르막이 끝나기 전에 미리 견인이 종료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오르막이 종료된 후 열차가 일정 거리 더 주행한 후에 견인이 종료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견인종료지점이 급구배의 종점 부근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For reference, the traction end point for ending the traction of the train 200 does not necessarily correspond to the end point of the trajectory,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uphill ends, or the traction may be terminated before the uphill ends, The traction may be terminated after the train travels a certain distance.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traction end point is located near the end point of the turbulence.

열차의 견인이 종료되면, 후속하여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은 다시 보조궤도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내려와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하게 되고, 앞으로 다가오게 될 새로운 열차를 다시 견인할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즉,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이 다시 급구배 구간을 내려와서 견인개시지점으로 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할 때, 상기 연결빔(3)의 자유단은 상기 후진거치대(4)의 잠금체결장치(7)에 결합되어 본선 궤도(100)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연결빔(3)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복귀 과정에서의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When the traction of the train is completed,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the forwarding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are returned to the traction starting point again along the auxiliary trajectory , It is in a state where it is ready to tow a new train that will come to the future. That is,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the forwarding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descend again to the traction start point and come to the traction start point. When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the forward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return to the traction starting point again,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s returned to the forward cradle 4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beam 3 is restored to a fixed state, so that the returning position of the connecting beam 3 can be restored, And the stability in the process is further improved.

한편, 이와 같이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함에 있어서, 전진거치대(5)에도 독자적인 구동동력이 존재하고, 회전거치대(2) 또는 후진거치대(4)에도 독자적인 구동동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연결빔(3)이 위와 같이 제1보조궤도(1a)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구동동력이 전진거치대(5)에만 존재하는 경우, 또는 전진거치대(5)를 제외하고 회전거치대(2) 또는 후진거치대(4)에만 구동동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이 함께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열차(200)가 통과한 후에 연결빔(3)이 회전하여 다시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그 자유단이 전진거치대(5)에 결합된다. 도 13에는 견인종료지점에서 열차(200)가 통과한 후, 연결빔(3)의 자유단이 전진거치대(5)의 방향으로 다시 회전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에 도시된 과정에 의하여 연결빔(3)의 자유단이 전진거치대(5)에 결합되고, 전진거치대(5), 후진거치대(4) 및 회전거치대(5)가 다시 견인개시시점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후퇴하려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과정 즉, 열차(200)가 통과한 후에 연결빔(3)이 회전하여 다시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그 자유단이 전진거치대(5)에 결합되는 과정에 의해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이 일체화된 상태에서 함께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the forward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are returned to the traction starting point, the driving cradle 5 has its own driving power, When there is an independent driving force in the rotary mount 2 or the rear mount 4, the connecting beams 3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s described above, The backward cradle 4, the forwarding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can be returned to the traction start point again. However, when driving power exists only in the forwarding cradle 5 or in the case where driving power exists only in the rotating cradle 2 or the backward cradle 4 except for the forward cradle 5, In order to allow the cradle 4, the forwarding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to return to the traction starting point, the connecting beam 3 rotates again after the train 200 passes, And its free end is coupled to the forward mount 5.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rotates again in the direction of the forward cradle 5 after the train 200 has passed at the traction end point,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s coupled to the forwarding cradle 5 and the forward cradle 5, the backward cradle 4 and the rotating cradle 5 are returned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s shown showing the state of retraction. 13 and 14, that is, after the train 200 has passed, the connecting beam 3 is rotated and arranged again across the main track 100, and its free end is coupled to the forwarding cradle 5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traction start point together with the rotary cradle 2, the backward cradle 4, the forward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integrated.

앞서 언급한 것처럼, 열차를 견인할 때, 그리고 열차 견인 후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할 때,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는 보조궤도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가 보조궤도를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여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 즉, 구동동력장치는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 자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의 각각에 구동모터와 같은 구동동력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서, 구동동력장치가 작동하여 구동동력을 발휘함으로써 각각 제1보조궤도(1a) 및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구동모터에 의해 바퀴부재(24)가 구동되어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가 보조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As mentioned above, when towing a train, and after returning to traction start point after towing a train, the rotary cradle (2), reverse cradle (4) and forward cradle (5) are moved along the secondary orbit. A device for giving drive power to move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and the forward cradle 5 forward or backward along the auxiliary trajectory includes a rotary cradle 2, (4) and the forward mount (5), respectively. That is, a driving power device such as a driving motor is provided in each of the rotating mount 2, the rear mount 4 and the forward mount 5, so that the driving power device operates to generate driving power, (1a) and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For example, the wheel member 24 is driven by the drive motor so that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and the forward cradle 5 can move along the auxiliary orbit.

앞서 언급한 것처럼 열차견인상태에서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은 서로가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하나로 움직이게 되므로, 위와 같은 개별적인 구동동력장치는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의 거치대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raction state of the trains,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the forward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s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move substantially in unison, It may be provided only in one of the cradle 2, the backrest cradle 4 and the forward cradle 5 or in two cradles.

그러나 본 발명에서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또는 전진거치대(5)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동력은 위에서 예시한 것처럼 각각의 거치대 자체에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동력장치에 의해서 발휘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구동케이블(8)에 의해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가 각각 보조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구동동력이 구동케이블(8)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것인데, 회전거치대(2) 또는 후진거치대(4)에 구동케이블(8)을 결합하여, 상기 구동케이블(8)을 열차진행방향으로 당겨서 회전거치대(2)와 후진거치대(4)가 급구배 구간을 거슬러서 상향 이동하게 만들고, 반대로 상기 구동케이블(8)을 열차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겨서 회전거치대(2)와 후진거치대(4)를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전진거치대(5)에도 별도의 구동케이블(8)을 결합하여 구동케이블(8)을 열차진행방향 또는 열차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전진거치대(5)를 열차진행방향으로 전진시키거나 견인개시시점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또는 전진거치대(5)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동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power for moving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or the forward cradle 5 can be changed by a driving power device such as a motor individually provided in each cradle itself But is not limited to being exercised.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and the forward cradle 5 are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auxiliary orbit respectively by the drive cable 8. That is,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 driving power is generated by the driving cable 8, and the driving cable 8 is coupled to the rotation cradle 2 or the backrest cradle 4, And pulls the drive cable 8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in so as to move the rotary cradle 2 and the backward cradle 4 upward in the train cradle 2, And the back rest table 4 to the starting point of traction. Of course, a separate drive cable 8 is also coupled to the forwarding platform 5 to pull the forwarding platform 5 in the direction of train travel by pulling the drive cable 8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rain o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rain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e starting point of tra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power for moving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or the forward cradle 5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의 열차견인장치에서는, 급구배 구간이 시작되는 위치 부근의 견인개시지점에서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연결빔(3)을 배치하여, 본선 궤도(100)를 따라 열차(200)가 급구배 구간으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연결빔(3)이 열차(200)와 결합된 후, 연결빔(3)의 양단에 결합된 회전거치대(2)와 전진거치대(5)가 보조궤도(1a, 1b)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이동하면서 열차(200)를 견인함으로써, 열차(200)가 급구배 구간을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raction tow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beam 3 is disposed across the main track 100 at the traction starting point near the position where the speed distribution section starts, The connecting beam 3 is coupled to the train 200 and then the rotary cradle 2 and the forward cradle 5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eam 3 are connected to the auxiliary trajectory The trains 200 can be driven smoothly by traction of the trains 200 while moving along the traverse sections along the trains 1a and 1b.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열차견인장치에서는, 열차(200)의 견인이 완료된 다음에 회전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5) 및 연결빔(3)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하여, 후속하여 진입하는 열차(200)를 반복적으로 견인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차견인장치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329708호에 개시된 종래 기술처럼 열차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본선 궤도의 주변에 설치된다. 따라서 열차에 직접 장착되는 종래 기술의 장치와 달리, 열차를 개조하는 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아니하며, 급구배 구간에서 본선 궤도 주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급구배 구간으로 진입하는 모든 열차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를 모든 열차에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설치 및 운영에 따른 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the traction tow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raction of the train 200 is completed, the rotary cradle 2, the reverse cradle 4, the forward cradle 5 and the connecting beam 3 are returned to the traction start point So as to repeatedly tow the train 200 which is to be subsequently entered. As described above, the train pu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directly on a train as in the prior ar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329708 but is installed around the main track. Thus, unlike the prior art devices that are directly mounted on a train, there is no need to retrofit a train,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trains entering the emergency section in a state where the train is installed around the main track in the emergency section. Therefore, compared to the prior art in which a separate device is installed in every train, the cost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is greatly reduce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열차견인장치는, 열차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아니므로, 열차 중량의 증가를 가져오지 않으며, 따라서 종래 기술처럼 불필요하게 무거운 중량의 보조장치를 열차에 싣고 다니기 때문에 야기되는 불필요한 연료 소비의 증가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Further, since the traction tow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ounted directly on the train, it does not increase the weight of the train. Therefore, unnecessary heavy equipment, such as a conventional technique, The increase in consumption also exert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1a: 제1보조궤도
1b: 제2보조궤도
2: 회전거치대
3: 연결빔
4: 후진거치대
5: 전진거치대
1a: first auxiliary orbit
1b: second auxiliary orbit
2: Rotating cradle
3: connecting beam
4: Retractor
5: Forward cradle

Claims (4)

열차의 견인개시지점부터 견인종료지점까지 오르막 급구배 구간에서 본선 궤도(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보조궤도(1a)와 제2보조궤도(1b);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이동하는 힌지거치대(2)와 후진거치대(4);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급구배 구간을 이동하는 전진거치대(5); 및
일단은 힌지거치대(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힌지단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자유단으로 이루어지고 열차(200)와 결합되는 연결빔(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견인개시지점에서는 연결빔(3)이 본선 궤도(100)를 가로질러 배치되고 자유단이 전진거치대(5)에 결합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빔(3)이 열차(200)와 결합하고;
연결빔(3)에 열차(200)가 결합한 상태에서 힌지거치대(2)와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4)가 각각 제1보조궤도(1a)와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오르막의 급구배 구간을 이동하면서 열차(200)를 견인하고;
견인종료지점에서는 열차(200)와 분리된 연결빔(3)이 힌지단을 중심으로 제1보조궤도(1a) 방향으로 회전하여 열차(200)를 통행시킨 다음, 새로 진입할 열차(200)의 견인을 위해 힌지거치대(2), 후진거치대(4), 전진거치대(4) 및 연결빔(3)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급구배 구간에서의 열차견인장치.
A first sub-orbit (1a) and a second sub-orbit (1b)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track (100) in the ascending acceleration section from the traction start point to the traction end point of the train;
A hinge mount 2 and a back mount 4 that move along the first sub-orbit 1a in the radial acceleration section;
A forwarding cradle 5 for moving the feeding section along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And
And a connecting beam (3) formed of a hing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mount (2) at one end and a free end at the other end and coupled to the train (200);
At the traction starting point, the connecting beam 3 is placed across the main track 100 and the free end is engaged and fixed to the forwarding platform 5, and the connecting beam 3 engages with the train 200;
When the train 20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eam 3, the hinge mount 2, the back mount table 4 and the forward mount table 4 are moved along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nd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Trains the train 200 while moving in the uphill section of the ascent;
The connection beam 3 separated from the train 200 rotate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bout the hinge end to pass the train 200 and then the train 200 Wherein the hinge unit (2), the rear mount table (4), the forward mount table (4), and the connecting beam (3) return to the traction start point again for traction.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진거치대(4)에는 상기 연결빔(3)의 자유단을 물어서 고정하거나 또는 자유롭게 해제시키는 잠금체결장치(7)가 구비되어 있어서,
연결빔(3)이 다시 견인개시지점으로 복귀할 때, 상기 연결빔(3)의 자유단이 상기 후진거치대(4)의 잠금체결장치(7)에 결합되어 본선 궤도(100)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복귀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급구배 구간에서의 열차견인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 rest (4)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7) for locking and releasing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The free end of the connecting beam 3 is coupled to the locking fastener 7 of the back rest berth 4 and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main track 100 when the connecting beam 3 returns to the traction starting point again Wherein the train tra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return to a state where the train is travers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거치대(2) 또는 후진거치대(4)에는 구동케이블(8)이 결합되어, 구동케이블(8)의 움직임에 의하여 회전거치대(2)와 후진거치대(4)가 제1보조궤도(1a)를 따라 움직이며;
전진거치대(5)에도 구동케이블(8)이 결합되어, 구동케이블(8)의 움직임에 의하여 전진거치대(5)가 제2보조궤도(1b)를 따라 움직이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급구배 구간에서의 열차견인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driving cable 8 is coupled to the rotating mount 2 or the back mount 4 so that the rotation mount 2 and the back mount 4 can move the first orbit 1a Moving along;
Wherein the drive cable (8) is coupled to the forwarding platform (5) so that the forwarding platform (5) moves along the second auxiliary orbit (1b) by the movement of the drive cable (8) Train towing device in the s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힌지거치대(2), 후진거치대(4) 및 전진거치대(5)는, 각각 상부부재(21), 하부부재(22), 및 그 사이의 중간부재(23)로 구성되어 I자 형태의 종방향 단면을 가지며;
제1보조궤도(1a) 및 제2보조궤도(1b)는 각각 속이 비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22)를 감싸는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종방향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성되며;
하부부재(22)의 하면에는 바퀴부재(24)가 구비되어 있고, 제1보조궤도(1a) 및 제2보조궤도(1b)에서 힌지거치대(2)의 중간부재(23) 측면을 마주하는 부분에도 바퀴부재(24)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의 급구배 구간에서의 열차견인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inge mount 2, the back mount 4 and the forward mount 5 are each composed of an upper member 21, a lower member 22 and an intermediate member 23 therebetween, Having a cross-section;
The first subordinate track (1a) and the second subordinate track (1b) are each composed of a member having a longitudinal cross section in which the hollow is hollow and a channel surrounding the lower member (22) is formed;
A wheel member 24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22 and a portion of the first auxiliary track 1a and the second auxiliary track 1b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intermediate member 23 of the hinge mounting table 2 And a wheel member (24) is provided on the railway traction section.
KR1020130110878A 2013-09-16 2013-09-16 Auxiliary Driving System for Train in Inclined Track KR1014470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78A KR101447074B1 (en) 2013-09-16 2013-09-16 Auxiliary Driving System for Train in Inclined Tr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878A KR101447074B1 (en) 2013-09-16 2013-09-16 Auxiliary Driving System for Train in Inclined Tr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7074B1 true KR101447074B1 (en) 2014-10-06

Family

ID=5199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878A KR101447074B1 (en) 2013-09-16 2013-09-16 Auxiliary Driving System for Train in Inclined Tr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07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927A (en) * 1994-03-08 1995-09-26 Nippon Cable Co Ltd Cable traction type transportation facility equipped with horizontal posture maintaining mechanism
JP2001130408A (en) 1999-11-02 2001-05-15 Tokyo Metropolis Traction type track inspection car
KR20130029627A (en) * 2011-09-15 2013-03-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ransporting vehicle moving on the rail for transporting load on the stairway
KR20130063796A (en) * 2011-12-07 2013-06-17 박인덕 Traction apparatus for tracked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6927A (en) * 1994-03-08 1995-09-26 Nippon Cable Co Ltd Cable traction type transportation facility equipped with horizontal posture maintaining mechanism
JP2001130408A (en) 1999-11-02 2001-05-15 Tokyo Metropolis Traction type track inspection car
KR20130029627A (en) * 2011-09-15 2013-03-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Transporting vehicle moving on the rail for transporting load on the stairway
KR20130063796A (en) * 2011-12-07 2013-06-17 박인덕 Traction apparatus for tracke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7360B1 (en) A continuously moving cableway
JP5336491B2 (en) Vehicle guidance and ground-based electrical energy capture device, and urban traffic vehicles equipped with such a device
WO2019144961A1 (en) Vehicle conveying device and scanning inspection system
JP2021521047A (en) Hybrid cable / rail transport systems, transport units for such transport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transport systems.
KR20180069196A (en) Rack rail gap adjusting device for for mountain railway vehicle and gap adjusting method using thereof
KR20140131224A (en) Mountain railway vehicle
TW202131588A (en) System for facilitating delivery, placement, and/or installation of a cable
CN102673602A (en) Double-wedge block brak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monorail of inclined shaft mine car rail
JP2009179190A (en) Movable fence unit
KR101447074B1 (en) Auxiliary Driving System for Train in Inclined Track
KR200471700Y1 (en) A Device for Retracking Railway Wheel with Preventing Eccentric
EP3239016A1 (en) System for pushing or retaining a train on steep slopes
CN201317902Y (en) Unballasted track lathe long rail bar paving machine set
CN107415982B (en) Traction method and device for railway vehicle
JP4187961B2 (en) Dual-mode vehicle transport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for both railway and road
CN220974156U (en) Ground-attached cableway capable of turning
JPH05131920A (en) Hybrid-type circulation cableway usable with railway
CN202608796U (en) Double-track and double-wedge brake system for inclined shaft mine car track transport
CN107139935B (en) Rail transit system
JPH08240100A (en) Transport facility for inclined shaft
JP4879816B2 (en) Heterogeneous orbit transfer device and heterogeneous orbit transfer method
CN201101885Y (en) Recreational machine of cliff volplane wing
CN210504417U (en) Transverse moving feeding vehicle
CN221294036U (en) Water equipment dragging device and water equipment distributing and recovering system
CN212532045U (en) Towing pulley dragging device and material spreading trave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