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014B1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014B1
KR101447014B1 KR1020100053294A KR20100053294A KR101447014B1 KR 101447014 B1 KR101447014 B1 KR 101447014B1 KR 1020100053294 A KR1020100053294 A KR 1020100053294A KR 20100053294 A KR20100053294 A KR 20100053294A KR 101447014 B1 KR101447014 B1 KR 101447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imaging
record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508A (ko
Inventor
히토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4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0Circuit details for pick-up tub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촬상영역의 일부를 클립하여 기록하는 줌 모드에서 표시영역으로서 기록영역보다 넓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촬상장치는, 촬상영역에 대하여 클립된 기록 영역 사이즈를 점점 작게 할 때, 클립 기록 영역에 대한 표시 영역의 비율을 일정하게 하거나 또는 증가시키고, 촬상영역에 대하여 클립된 기록 영역 사이즈를 점점 크게 할 때, 클립 기록 영역에 대한 표시 영역의 비율을 일정하게 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되는 영역보다 넓은 영역을 표시하면서 프레이밍(framing) 가능한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는, 이미지 센서에 결상된 화상을 카메라 본체의 뷰파인더(view finder)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면서, 유저가 소망하는 타이밍에서 촬상한 정지화상을 순차로 메모리 카드 등에 기록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대부분은, 유저의 조작에 따라 광학부내의 렌즈계를 제어하면서 피사체의 촬상 영역을 원하는 배율로 줌인 또는 줌아웃시키는 광학 줌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는, 이미지 센서에 결상된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화상처리를 실행해서 보간 및 확대 처리시키는 전자 줌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상기의 전자 줌 기능을 사용해서 유저가 촬상을 행할 때, 정지 상태에 있는 피사체이면, 피사체는 원하는 배율로 줌인하여 용이하게 촬상 영역내에 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운동회나 스포츠 이벤트 등 비교적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에 줌인하려고 하는 경우, 항상 촬상 영역내에 피사체를 추적하는 것은 곤란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14221호에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영역 중, 화상의 기록에는 사용되지 않는 주변부분을 사용하고, 뷰파인더의 표시 화면에, 기록하는 화상의 주변부분도 표시시키는 기술(이하, 와이드 뷰라고 함)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6-14221호에서는, 와이드 뷰(view)에서 표시된 기록 영역의 주변영역을 유저의 지시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줌 조작과의 연동은 이 기술에서 고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줌인(zoom-in) 조작의 뒤에 와이드 뷰에 있어서의 주변영역을 크게 한다, 줌 아웃 조작의 뒤에 와이드 뷰에 있어서의 주변영역을 작게 한다고 하는 등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촬상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촬상부의 촬상영역에 있어서, 화상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지시하는 지시부; 및 상기 촬상부의 상기 촬상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보다 넓고 상기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의 화상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기록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작아지도록 변경되고, 상기 지시부에 의해 지시된 상기 기록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상기 기록 영역에 대한 상기 표시 영역의 비율이 더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줌 처리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줌 처리시의 기록 영역,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텔레컨버터(electronic teleconverter) 처리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텔레컨버터 처리시의 기록 영역, 표시 영역을 나타낸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에 있어서, 촬상장치(100)는, 촬영 렌즈(10), 조리개 기능을 갖는 셔터(12), 이미지 센서(14), 및 A/D변환기(16)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4), A/D변환기(16), 및 D/A변환기(26)에 클록 신호와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타이밍 발생부(18)는, 후술의 메모리 제어부(22) 및 시스템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된다.
화상처리부(20)는, A/D변환기로부터의 데이터와 메모리 제어부(22)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처리와 색변환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0)는, 화상의 일부를 클립하고, 클립 화상에 대해 변배처리를 행하여 전자 줌 기능을 실현한다. 이 화상처리부(20)는,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한다. 상기 얻어진 연산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시스템 제어부(50)가, 노광 제어부(40) 및 오토포커스(AF) 제어부(42)에 대하여, 스루 더 렌즈(through the lens)(TTL)방식의 오토포커스(AF)처리, 자동노출(AE)처리, 오토 화이트 밸런스(AWB)처리, 및 플래쉬 사전발광(EF) 처리를 행하게 한다.
메모리 제어부(22)는, A/D변환기(16), 타이밍 발생부(18), 화상처리부(20), 화상표시 메모리(24), D/A변환기(26), 메모리(30), 및 압축/신장부(32)를 제어한다. 상기 A/D변환기(16)로부터의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0) 및 메모리 제어부(22)를 통해 송신되거나, 또는 직접 메모리 제어부(22)를 통과하고, 후술의 화상표시 메모리(24) 또는 메모리(30)에 기록된다.
표시용 화상 데이터는, 화상표시 메모리(24)로부터 출력되고, D/A변환기(26)에 의해 변환되고, TFT LCD로 이루어진 화상표시부(28)에 표시된다. 전자 뷰파인더는, 화상표시부(28)에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순차로 표시하여서 실현될 수 있다. 화상표시부(28)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의해 임의로 ON 및 OFF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시를 OFF로 함으로써 촬상장치(100)의 전력소비를 실질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메모리(30)는 촬상한 정지화상과 동화상을 격납한다. 메모리(30)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압축/신장부(32)는, 적응 이산 코사인 변환(ADCT) 또는 웨이브렛 변환등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압축 또는 신장한다. 압축/신장부(32)는, 메모리(30)로부터 화상을 판독하고, 그 화상에 대해 압축 처리 또는 신장 처리를 행하고, 이 처리된 데이터를 메모리(30)에 기록한다. 노광 제어부(40)는 조리개 기능을 갖는 셔터(12)를 제어한다. AF부(42)는, 촬영 렌즈(10)의 포커싱을 제어하고, 줌 제어부(44)는 촬영 렌즈(10)의 광학적인 주밍을 제어하고, 배리어(barrier) 제어부(46)는 보호렌즈 배리어인 보호부재(102)의 동작을 제어한다. 플래쉬 라이트(48)는, AF보조광의 투광기능과 플래쉬 사전발광 기능을 가진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상장치(100) 전체를 제어하고, 메모리(52)는, 시스템 제어부(50)의 정수, 변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표시부(54)는, 시스템 제어부(50)에서의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라, 문자 또는 화상을 사용해서 동작 상태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액정표시장치다. 이 표시부(54)는, LCD와 LED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촬상장치(100)의 조작부 부근의 보기 쉬운 위치에 단수의 개소 또는 다수의 개소에 배치된다. 표시부(54)는 그 일부의 기능이 광학 파인더(104)내에 탑재되어 있다.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예를 들면 EEPROM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유저가 전원 스위치(메인 스위치)(60), 스위치(SW1)(62), 스위치(SW2)(64), 모드 다이알(66), 조작부(70) 및 줌 스위치(72) 등의 여러 가지 동작 지시를 입력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한다. 이들 조작부재는, 스위치들, 다이알, 터치패널, 시선검지에 의한 포인팅 디바이스, 및 음성인식장치 중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성된다.
조작부(70)는, 전자 텔레컨버터 설정 버튼을 가진다. 줌 스위치(72)는, 망원측으로 줌 시키는 텔레(TELE) 스위치와, 광각측으로 줌 시키는 와이드(WIDE)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이 줌 스위치(72)를 사용해서, 유저는, 줌 제어부(44)에 촬영 렌즈(10)의 주밍을 지시하고, 광학 줌 조작을 행하고, 화상처리부(20)에 의한 화상을 클립하고, 변배처리를 행하거나, 전자 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80)는, 커넥터 82와 커넥터 84를 통해 전원부(86)에 연결되고, 그 전원부는, 예를 들면 일차전원, 이차전원 또는 AC어댑터로 이루어진다. 인터페이스(90)는, 메모리 카드와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커넥터(92)를 거쳐 연결된 인터페이스다.
보호부재(102)는, 촬상장치의 렌즈(10)를 포함하는 촬상부를 덮고, 촬상부의 오물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보호 배리어다. 광학 파인더(104)는, 화상표시부(28)에 의한 전자 뷰파인더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서, 광학 파인더(104)만을 사용해서 촬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부(110)는, RS232C, USB, IEEE1394, P1284, SCSI, 모뎀, LAN 및 무선통신등의 각종 통신기능을 준수한다. 커넥터(112)는 통신부(110)에 의해 촬상장치(100)를 외부 기기와 접속하고, 또한 무선통신에서 안테나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기억부(200)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등을 구비한다. 상기 기억부(200)는, 반도체 메모리나 자기디스크 등으로 구성된 기록부(202)를 구비하고, 또한, 촬상장치(100)와의 인터페이스(204)와, 촬상장치(100)와 접속하는 커넥터(206)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도 2∼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에서의 전자 줌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줌 스위치(72)가 조작될 때, 시스템 제어부(50)는, 전자 줌 처리를 시작한다. 전자 줌 처리에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이미지 센서(14)에 결상되는 화상의 일부의 영역을 화상처리부(20)를 사용해서 클립하고, 화소보간등에 의한 확대 처리 또는 화소 건너뛰기 등에 의한 축소 처리를 한다. 압축/신장부(32)를 사용해서 화상을 압축한 후, 압축된 정지화상을 기억부(200)의 기록부(202)에 기록함으로써 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줌 스위치(72)의 조작에 따라, 이미지 센서(14)에 결상되는 화상으로부터 화상처리부(20)를 사용해서 클립되는 영역을 확대 또는 축소시킴으로써 기록 화각의 변경을 행한다. 이 때, 화상표시부(28)의 전자 뷰 파인더 표시에 관해서 아래와 같이 제어한다. 이 때문에, 번거로운 조작없이, 줌 배율에 의하지 않고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를 프레이밍 하는 개선된 기능을 갖는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201에서, 줌 스위치(72)의 상태를 조사한다. 텔레 스위치가 ON이면(단계S201에서 텔레), 단계S202로 진행된다. 이 단계S202에서는, 기록 영역, 즉 기록시에 있어서의 화상처리부(20)에 의한 화상으로부터 클립되는 영역을 감소시키고, 전자 줌 배율을 증가(UP)시킨다. 이렇게, 망원측으로 화각 변경을 행하고, 표시 영역을 감소시킨다.
이 때, 전자 줌 위치n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 사이즈를 S(n)이라고 하고, 표시 영역 사이즈를 V(n)이라고 하는 경우, 기록영역과 표시영역은 식(1)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S(n+1)=S(n)×α(α<1)
V(n+1)=V(n)×β(β≤1) (1)
α, β는 계수다. 전자 줌 배율이 높아질수록 피사체가 화면으로부터 더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전자 줌 배율을 점점 증가(UP)시킬수록 기록 영역외에 표시된 영역을 보다 증가시키도록, 즉, 표시 영역에 대한 기록 영역의 비율이 보다 작아지도록, 부등식 α<β를 만족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전자 줌 위치n에 있어서의 전자 줌 배율M(n)은 식(2)로 나타낸다. S(0)는, 전자 줌 배율이 1인 전자 줌 위치0에서의 기록 영역의 사이즈다.
M(n)=S(0)/S(n) (2)
한편, 단계S201에서 와이드(WIDE) 스위치가 ON이면(단계S201에서 와이드),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201로부터 단계S203까지의 처리를 진행시킨다. 기록 영역, 즉 화상처리부(20)에 의해 화상으로부터 클립되는 영역을 증가시키고, 전자 줌 배율을 감소(DOWN)시킨다. 이렇게, 광각측으로 화각을 변경하고, 표시 영역을 보다 크게 한다.
이러한 처리에서, 전자 줌 위치n에 있어서의 기록 영역 사이즈를 S(n)이라고 하고, 표시 영역 사이즈를 V(n)이라고 했을 때, 기록영역과 표시영역은 이하의 식(3)을 만족하도록 설정된다.
S(n-1)=S(n)×α(α>1)
V(n-1)=V(n)×β(β≥1) (3)
α, β는 계수다. 전자 줌 배율을 점점 감소(DOWN)시킬 때마다 기록 영역외에 표시된 영역을 보다 작게하도록, 즉 표시 영역에 대한 기록 영역의 비율이 커지도록 부등식 α>β가 필요하다.
지금까지, 기록 영역 사이즈 및 표시 영역 사이즈는 상기 식(1) 및(3)으로 설정했다. 그렇지만, 각 전자 줌 위치에서의 기록 영역 사이즈 및 표시 영역 사이즈를 기억하도록 테이블을 준비하여도 되고, 필요한 경우 각 기록 영역 사이즈와 각 표시 영역 사이즈를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설정하여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전자 줌 배율을 증가(UP)시킬수록, 와이드 뷰에 있어서의 주변영역이 보다 커지도록 촬상장치(10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주변영역이 너무 커지고 표시 화면내의 기록 영역이 너무 작아지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상기 촬상장치(100)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번거로운 조작 없이, 쉬운 프레이밍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S2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가, 전자 줌 배율이 최대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전자 줌 배율이 최대이면(단계S204에서 YES), 전자 줌 처리를 종료한다. 그 전자 줌 배율이 최대가 아니면(단계S204에서 NO), 단계S205로 진행된다. 단계S2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가, 전자 줌 배율이 1배, 즉 전자 줌이 사용되지 않는가를 판정한다. 전자 줌 배율이 1배이면(단계S205에서 YES), 전자 줌 처리를 종료한다.
전자 줌 배율이 1배가 아니면(단계S205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205로부터 단계S206까지 처리를 진행시키고, 줌 스위치(72)의 상태를 조사한다. 그 줌 스위치가 OFF이면(단계S206에서 YES), 전자 줌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줌 스위치가 ON이면(단계S206에서 NO), 단계S201로 되돌아가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기록 영역, 표시 영역, 표시 화상, 기록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촬상영역(300)은 이미지 센서(14)의 풀 사이즈에 해당하고, 기록영역(301a 내지 301e)은 줌 오프 위치, 및 줌 위치1 내지 4인 전자 줌 위치(a)∼(e)에서의 촬상된다. 표시 영역(302a 내지 302e)은 전자 줌 위치(a)∼(e)에서 촬상된다. 표시 화면 화상(303a 내지 303e)은, 전자 줌 위치(a)∼(e)에서 어떻게 보이는지를 나타낸다. 프레임(304b 내지 304e)은, 전자 줌 위치(b)∼(e)에서 촬상된 기록 범위를 나타낸다.
전자 줌 배율을 (a)로부터 (e)로 상승시켜가면, 기록 영역은 기록 영역 301a로부터 301e까지 이미지 센서(14)의 촬상영역(300)에 대하여 사이즈가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 302a로부터 표시 영역 302e까지 촬상영역(300)에 대하여 사이즈가 감소한다. 그렇지만, 그 표시 영역의 변화율이 기록영역의 변화율보다 작으므로, 기록 영역에 대한 표시 영역의 비율은, 점점 커진다. 이 때문에, 표시 화면 화상(303b 내지 303e)으로부터 명백하듯이, 전자 줌 배율을 상승시킴에 따라서, 와이드 뷰의 주변영역이 보다 커진다.
전자 텔레컨버터 모드는, 전자 줌 배율, 즉 화상으로부터 클립되어 기록하는 영역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 광학 줌 조작을 가능하게 한 모드이다. 마치 광학 렌즈에 텔레컨버터가 부착된 것처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에서의 전자 텔레컨버터 처리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조작부(70)의 전자 텔레컨버터 설정 버튼(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나 메뉴 조작에 의한 전자 텔레컨버터 모드 설정 지시에 의해,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상장치(100)를 전자 텔레컨버터 모드로 설정한다. 전자 텔레컨버터 처리시에, 전자 줌 동작과 마찬가지로, 이미지 센서(14)에 결상되는 화상으로부터 일부의 영역을 화상처리부(20)를 사용해서 클립하고, 그 클립된 화상 데이터를 화소보간에 의한 확대 처리 또는 화소 건너뛰기에 의한 축소 처리를 해서, 그 화상 데이터를 기록부(202)에 기록한다. 줌 스위치(72)의 유저의 조작에 따라, 줌 제어부(44)에 의해 촬영 렌즈(10)의 촬상화각의 변경을 행하는 광학 줌에 의해, 기록 화각의 변경을 행한다. 이 때문에, 촬영 렌즈(10)에 텔레컨버터를 장착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광학 줌 배율을 줌 스위치(72)로 조작할 때, 시스템 제어부(50)는, 전자 텔레컨버터 모드에서의 줌 처리를 시작한다. 단계S401에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줌 스위치(72)의 상태를 조사하고, 텔레 스위치가 ON이면(단계S401에서 텔레), 단계S402로 진행되고, 줌 제어부(44)에 촬영 렌즈(10)의 촬상화각을 망원측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하고, 광학 줌 배율을 증가시키고(UP), 표시 영역을 증가시킨다.
위 동작에서, 광학 줌 위치n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 사이즈를 V(n)이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4)을 만족하도록 표시 영역을 설정한다. β는 계수다.
V(n+1)=V(n)×β(β≥1) (4)
한편, 와이드 스위치가 ON이면(단계S401에서 와이드),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401로부터 단계S403까지의 처리를 진행시키고, 줌 제어부(44)에 촬영 렌즈(10)의 촬상화각을 광각측으로 변경하도록 지시하고, 광학 줌 배율을 감소시키고(DOWN), 표시 영역을 증가시킨다.
위 동작에서, 광학 줌 위치n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 사이즈를 V(n)이라고 했을 때, 이하의 식(5)를 만족하도록 표시 영역을 설정한다. β는 계수다.
V(n-1)=V(n)×β(β≤1) (5)
지금까지, 기록 영역 사이즈와 표시 영역 사이즈를 상기 식 (4)와 (5)로 설정된다. 그렇지만, 각 전자 줌 위치에 기록 영역 사이즈와 표시 영역 사이즈를 기억하도록 테이블을 준비하여도 되고, 필요한 경우 그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기록 영역 사이즈와 각 표시 영역 사이즈를 설정하여도 된다.
전자 텔레컨버터 처리시에 클립되어 기록되는 영역의 사이즈가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일정하기 때문에, 광학 줌 배율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와이드 뷰의 주변영역이 커지도록 촬상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고, 번거로운 조작 없이, 쉬운 프레이밍으로 화상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단계S404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가, 광학 줌이 망원단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광학 줌이 망원단이면(단계S404에서 YES), 전자 텔레컨버터 모드에서의 줌 처리를 종료한다. 광학 줌이 망원단이 아니면(단계S404에서 NO), 단계S405로 진행된다. 단계S405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가, 광학 줌이 광각단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광학 줌이 광각단이면(단계S405에서 YES), 전자 텔레컨버터 모드에서의 줌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광학 줌이 광각단이 아니면(단계S405에서 NO),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406으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줌 스위치(72)의 상태를 조사한다. 그 줌 스위치가 OFF이면(단계S406에서 YES), 전자 텔레컨버터 모드에서의 줌 처리를 종료한다. 줌 스위치가 ON이면(단계S406에서 NO), 단계S401로 되돌아가고,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도 5는, 전자 텔레컨버터 처리시의 기록 영역, 표시 영역, 표시 화면 화상 및 기록 화상의 일례다.
도 5에 있어서, 촬상영역(500)은 이미지 센서(14)의 풀 사이즈에 해당하고, 기록영역(501a 내지 501e)은 광학 줌 광각단 및 광학 줌 위치1로부터 광학 줌 위치4인 광학 줌 위치(a) 내지 (e)에서 촬상된다. 표시영역(502a 내지 502e)은, 광학 줌 위치(a) 내지 (e)에서 촬상된다. 표시 화면 화상(503a 내지 503e)은, 광학 줌 위치(a) 내지 (e)에서 어떻게 보이는지의 예들이다. 프레임(504b 내지 504e)은 광학 줌 위치(b) 내지 (e)에서 촬상된 기록 영역을 나타낸다.
비록 광학 줌 배율을 (a)로부터 (e)로 증가시킬지라도, 전자 줌시와 달리, 전자 텔레컨버터 처리시에, 이미지 센서(14)의 촬상영역(500)에 대하여, 기록 영역(501a 내지 501e)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표시 영역(502a 내지 502e)은, 기록 영역(501a 내지 501e)과 비교하여 같거나 보다 커진다. 이 때문에, 표시된 화면 화상(503b 내지 503e)에서, 광학 줌 배율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와이드 뷰에 있어서의 주변영역이 보다 커진다.
줌 조작에 연동하고, 줌 배율이 증가할수록 와이드 뷰에 있어서의 주변영역이 커지게 할 수 있으므로, 줌 배율에 의하지 않고 번거로운 조작 없이, 프레이밍을 쉽게 개선한 화상들을 표시할 수 있는 유저가 사용하기 좋은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간략하게, 상술한 실시예는, 줌 배율을 걱정하지 않거나 복잡한 조작없이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를 쉽게 프레이밍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6)

  1.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촬상부의 촬상영역에 있어서, 화상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지시하는 지시부; 및
    상기 촬상부의 상기 촬상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보다 넓고 상기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의 화상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기록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작아지도록 변경되고,
    상기 지시부에 의해 지시된 상기 기록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상기 기록 영역에 대한 상기 표시 영역의 비율이 더 증가하는, 촬상장치.
  2. 촬상영역의 일부를 기록하는 컨버터 모드에서 표시영역으로서 기록영역보다 큰 영역을 표시하는 촬상장치로서,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상기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줌 상태가 망원측에 가까워지도록 지시하는 지시부; 및
    상기 촬상부의 상기 촬상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보다 넓고 상기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시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줌 상태가 상기 망원측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즈가 더 커지는, 촬상장치.
  3. 피사체를 촬상하는 단계;
    촬상부의 촬상영역에 있어서, 화상이 기록되는 기록 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지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촬상부의 상기 촬상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보다 넓고 상기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의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기록 영역의 사이즈는 상기 지시에 응답하여 작아지도록 변경되고,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기록영역의 사이즈가 작아질수록 상기 기록영역에 대한 상기 표시영역의 비율이 더 증가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4. 촬상영역의 일부를 기록하는 컨버터 모드에서 표시영역으로서 기록영역보다 큰 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피사체를 촬상하는 단계; 및
    줌 상태가 망원측에 가까워지도록 지시하는 단계; 및
    촬상부의 촬상영역에 있어서, 기록 영역보다 넓고 상기 기록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의 화상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촬상된 화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줌 상태가 상기 지시에 따라서 망원측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표시 영역의 사이즈가 더 커지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록 영역을 나타내는 프레임을 표시하는, 촬상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을 클립하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장치.
KR1020100053294A 2009-06-15 2010-06-07 촬상장치 KR101447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1880A JP5335571B2 (ja) 2009-06-15 2009-06-15 撮像装置
JPJP-P-2009-141880 2009-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508A KR20100134508A (ko) 2010-12-23
KR101447014B1 true KR101447014B1 (ko) 2014-10-08

Family

ID=43306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294A KR101447014B1 (ko) 2009-06-15 2010-06-07 촬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27555B2 (ko)
JP (1) JP5335571B2 (ko)
KR (1) KR101447014B1 (ko)
CN (1) CN1019248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058B1 (ko) * 2011-09-23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US20130147810A1 (en) * 2011-12-07 2013-06-13 Nokia Corporation Apparatus responsive to at least zoom-in user input,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CN102707545B (zh) * 2012-06-21 2014-12-17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dff的自动对焦方法
US20140179369A1 (en) * 2012-12-20 2014-06-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ximity-based zooming
JP6231869B2 (ja) * 2013-12-12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通信機器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6454105A (zh) * 2016-10-28 2017-02-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图像处理装置及方法
CN114390213B (zh) * 2020-10-22 2023-04-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071U (ja) * 1992-05-12 1993-12-1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ファインダ表示装置
JP2004343363A (ja) 2003-05-15 2004-12-02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JP2006014221A (ja) 2004-06-29 2006-01-12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6019882A (ja) 2004-06-30 2006-01-19 Canon Software Inc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7741A (ja) * 1999-12-15 2001-06-29 Minolta Co Ltd 電子カメラおよび表示システム
JP4040951B2 (ja) * 2002-01-11 2008-01-30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135527B2 (ja) 2003-02-21 2008-08-2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メラシステム
JP4379728B2 (ja) * 2005-01-31 2009-12-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956988B2 (ja) * 2005-12-19 2012-06-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8096582A (ja) * 2006-10-10 2008-04-24 Nikon Corp カメラ
US7639935B2 (en) * 2007-03-28 2009-12-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Zoom control
JP2009071592A (ja) 2007-09-13 2009-04-02 Fujifilm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JP2009284309A (ja) * 2008-05-23 2009-12-03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618759B1 (ko) * 2008-12-24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JP5396098B2 (ja) * 2009-02-17 2014-01-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527037B1 (ko) * 2009-06-23 2015-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787906B1 (ja) * 2010-03-30 2011-10-0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61232B2 (en) * 2010-08-12 2017-05-23 John G. Posa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auto zoom in response to relative movement of target subject mat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071U (ja) * 1992-05-12 1993-12-1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ファインダ表示装置
JP2004343363A (ja) 2003-05-15 2004-12-02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JP2006014221A (ja) 2004-06-29 2006-01-12 Sony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6019882A (ja) 2004-06-30 2006-01-19 Canon Software Inc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35571B2 (ja) 2013-11-06
US8427555B2 (en) 2013-04-23
KR20100134508A (ko) 2010-12-23
CN101924877B (zh) 2014-05-28
JP2010288169A (ja) 2010-12-24
CN101924877A (zh) 2010-12-22
US20100315527A1 (en) 201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4388B2 (ja) 撮像装置
KR101447014B1 (ko) 촬상장치
JP5363157B2 (ja) 撮影装置およびライブビュー表示方法
JP5424732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09771A1 (en) Image capturing app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5063372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6601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0028158A (ja) 撮像装置
JP2014143457A (ja) Hdr切り替え制御方法
JP5159573B2 (ja) 撮像装置、ズーム制御方法
JP5496391B2 (ja) 撮像装置
JP449795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カラーバランス制御方法
JP5742237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1086413B1 (ko) 영상 흔들림이 보정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1058036B1 (ko) 아웃포커스 촬영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디지털 이미지처리장치
JP2012039178A (ja) 撮像装置、露出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28896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16836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089522B2 (ja) 撮像装置
JP201110142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686869B2 (ja) 撮像装置
JP2020088663A (ja) 撮像装置
JP5333949B2 (ja) 撮像装置
JP2012104900A (ja) 撮像装置
KR20070076586A (ko) 이미지를 확대 재생하는 디지털 이미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