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207B1 -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207B1
KR101446207B1 KR1020120094432A KR20120094432A KR101446207B1 KR 101446207 B1 KR101446207 B1 KR 101446207B1 KR 1020120094432 A KR1020120094432 A KR 1020120094432A KR 20120094432 A KR20120094432 A KR 20120094432A KR 101446207 B1 KR101446207 B1 KR 101446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side mold
mold
mold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360A (ko
Inventor
이행우
이병우
김은태
Original Assignee
김은태
주식회사 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태, 주식회사 메카 filed Critical 김은태
Priority to KR102012009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2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28B7/0014Fastening means for mould parts, e.g. for attaching mould walls on mould tables; Moul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2Moulds with adjustable parts specially for modifying at will the dimensions or form of the moulded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재료 또는 해안에서 방파제로 사용되는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은, 상호 결합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되어 콘크리트블록(30)으로 양생 가능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면거푸집(100); 및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그 측면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밑판거푸집(2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부(130)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MOULD FOR MAKING THE CONCRETE BLOCK,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CRETE BLOCK USING THE MOULD}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재료 또는 해안에서 방파제로 사용되는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파제는 외해(外海)의 파랑을 막아 내항(內港)을 보호하는 구조물로써 대부분의 인공항에는 방파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파제는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을 막고 안정성을 확보해 선박의 출입, 정박 및 하역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시설물이다.
방파제는 구조에 따라 직립제(直立堤), 사면제(斜面堤), 혼성제(混成堤), 특수 방파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해안을 따라 다양한 입체형태를 갖는 콘크리트 블럭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방파제의 기능 이외에 인공어초로도 사용되는 추세이다.
인공어초는 인공적으로 해저나 해중에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구조물을 설치해 수산동물을 끌어 모으고 보호 및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어장시설이다.
어초에는 해조가 부착하여 번식할 수 있으며 또한 어류들이 숨어살거나 어초가 어류들의 산란장이 된다.
또한 해조를 뜯어먹고 사는 전복, 소라 등과 해조에 붙어 사는 미세한 동물을 먹이로 하는 다른 수산동물이 많이 자랄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으로 된 인공어초 및 해안침식방지용 구조물은 그 크기 및 중량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바닷가 근처에서 제조한 후 해양에 투입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은 상당히 중요한 과정으로서, 지금까지는 상당히 복잡하게 진행되어 왔다.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만들어 고정한 후, 그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 혼합물을 투입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콘크리트 블록을 완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거푸집을 통해 콘크리트 블록이 성형 및 양생 된 후, 그 거푸집을 콘크리트 블록에서 해체하는 작업은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생이 완료된 콘크리트 블록에서 거푸집을 분리한다 해도, 분리 과정에서 거푸집이 훼손되기 때문에 거푸집을 재사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대형의 콘크리트 블록은 양생 되는 소모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거푸집이 재사용 가능하다 하더라도 거푸집은 장시간 콘크리트 블록에 고정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0638363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콘크리트 블록의 양생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도 거푸집을 콘크리트 블록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가능하도록 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콘크리트 블록의 성형을 위한 거푸집을 인양하여 옮기면서도 그 형태의 변형 또는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상호 결합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되어 콘크리트블록(30)으로 양생 가능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면거푸집(100); 및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그 측면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밑판거푸집(2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부(1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볼트부(13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32)와, 상기 플랜지(132)에 형성되되 너트가 고정형성되는 너트고정구(134)과,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결합 되는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32')에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볼트지지면(136') 및 상기 너트고정구(134)과 상기 볼트지지면(136')을 동시에 연결하는 체결볼트(138)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결합 후 분리되는 다른 측면거푸집(100')과의 상호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연결형성되는 거리유지대(1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 각각에 형성되는 봉축(105, 105')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냅후크(142)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유지대(140) 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형성되는 볼나사(14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부양될 수 있도록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유지대(210)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삼각뿔 형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다수 개의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한다.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삼각뿔 형태를 갖을 경우,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의 3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삼각뿔 형태를 갖되, 각각의 꼭지 점 부위가 평평하게 면취 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외형과 대응 되게 형성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면취 된 부위에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사각 판 형태를 갖되, 하부에 지지다리(31)가 형성되는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호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4개의 상기 거리유지대(140)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사각 판 형태를 갖을 경우, 상기 밑판거푸집(200) 상부의 모서리에서 수평방향의 4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로 형성되되 다수 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다른 형상을 갖고,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형태가 무게중심이 편심 되게 형성된다.
두 개 이상의 결합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가능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면거푸집(100)을 이송하기 위한 크레인(50); 상기 크레인(50)에 연결된 다수 개의 와이어(56)가 한곳에 모아 진 후 상호 다른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와이어뭉치(60); 각각의 상기 와이어(56) 하부에 연결되는 후크(55); 및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에 다수 개의 상기 와이어(56)가 각각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56)를 안내하는 안내플레이트(58)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플레이트(58)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수직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와이어(56)가 관통되는 관통홈(59)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기 크레인(50)에 구비된 후크(55)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인양고리(104)를 더 포함한다.
거푸집 내부에 주입된 레미콘(10)이 양생 되어 된 콘크리트블록(30)을 이송하기 위한 크레인(50);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부양하기 위해 감싸는 다수 개의 띠 형태를 갖는 와이어밴드(32);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밴드(32)는, 상기 콘크리트블록(30)과 밀착되는 부위의 상기 와이어밴드(32) 외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보조면(34)을 포함한다.
지면에 밑판거푸집(200)을 고정하고, 상기 밑판거푸집(200) 상부에 거치 되되 복수 개가 결합을 통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가능하도록 하는 측면거푸집(100)을 조립하는 거푸집조립단계(S100); 상기 레미콘(10)이 상기 측면거푸집(100) 내부에서 양생 되어 콘크리트블록(30)을 이루도록 하는 콘크리트양생단계(S200); 양생 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연결된 부위에 형성되는 볼트부(130)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해하는 분해단계(S300); 분해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호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하는 거리유지단계(S400); 및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거리가 유지된 채로 복수 개의 측면거푸집(100, 100')을 크레인(50)과 와이어(56)를 통하여 인양시키는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유지단계(S40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설치시,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이 상기 밑판거푸집(200)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유지대(210)에 거치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면거푸집부양단계(S41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는, 상기 크레인(5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56) 및 후크(55)를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에 구비된 인양고리(104)에 결속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이 인양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56)에 구비된 판 형태의 안내플레이트(58)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의 상부가 상호 이격 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양되도록 하는 간격유지인양단계(S510)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지면에 기 배치된 다른 밑판거푸집(200)에 거치 되어 재사용되는 재사용단계(S5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볼트와 너트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제조하여 거푸집을 이루는 구성들이 상호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콘크리트 블록의 양생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도 거푸집을 콘크리트 블록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그 성형 된 블록에 거푸집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거푸집을 각각 분리 하여 다시 조립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여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인력 사용의 감소 및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는, 콘크리트 블록의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형태변형 또는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콘크리트 블록과 거푸집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측면거푸집과 볼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다른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밑판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밑판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4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도 21은 도 20을 통해 제조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을 통해 제조되는 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을 통해 제조되는 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0을 통해 제조되는 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건축재료 또는 해안에서 방파제로 사용되는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거푸집의 이송장치 및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 [특히, 측면거푸집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해안가에는 바닷물로부터 파랑을 막아서 해안 지대를 보호하는 구조물로 방파제가 사용된다.
이러한 방파제로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한 후 양생시킨 콘크리트 블록이 사용된다.
또한, 건축물에서도 콘크리트를 블록 형태로 성형하여 양생하는 구조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에서는 이러한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블록을 완성하기 위한 거푸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콘크리트 블록과 거푸집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레미콘(10)은 다양한 형틀의 거푸집에 진입되어 굳어지는 양생 공정을 거쳐 콘크리트블록(30)이 완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은, 상호 결합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 가능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면거푸집(10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그 측면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밑판거푸집(200)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부(1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가 상호 결합을 통하여 입체적인 거푸집의 틀을 이루게 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하나 이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 되면서 내부에 입체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호 결합 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에는 반죽이 된 상기 레미콘(10)이 주입될 수 있도록 개구 된 채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결합 된 후, 내부에 진입된 상기 레미콘(1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양생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측면거푸집(100)은, 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미콘(10)이 진입된 후 양생 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완성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는,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밑판거푸집(2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지면의 상부 또는 지면을 부분적으로 파낸 후 그 파낸 위치에 고정배치된다.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밑판거푸집(200)의 내부로는 상기 레미콘(10)이 부분적으로 진입되어 양생 될 수 있다.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유동 없이 견고하게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안정적으로 양생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밑판거푸집(200)이 지면에 앵커볼트(미도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부(1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볼트부(13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상호 결합은 물론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상기 밑판거푸집(200)과의 상호 결합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130)에 대한 내용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측면거푸집과 볼트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다른 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살펴보면,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 중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은 상호 볼트부(13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 된다.
상기 볼트부(13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32)와, 상기 플랜지(13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고정너트(135)가 지지 되도록 하는 너트고정구(134)을 갖는다.
이어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결합 되는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32')에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볼트지지면(136') 및 상기 너트고정구(134)에 지지된 상기 고정너트(135)와 상기 볼트지지면(136')을 동시에 연결하는 체결볼트(138)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볼트부(130)는, 하나 이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3개가 상호 결합 되어 하나의 입체적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측면거푸집(100) 들이 상호 결합 되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면서 상부가 개구 되고, 그 개구 된 부위를 통해서 레미콘가 내부 공간에 진입되게 된다.
레미콘가 상기 측면거푸집(100) 내부로 진입되면 레미콘의 중량으로 인해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파쇄될 수 있는데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호 결속을 견고하게 지탱하는 것이 상기 볼트부(130)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플랜지(132)가 외부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플랜지(132) 일측에는 상기 고정너트(135)가 지지되는 너트고정구(134)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32) 타측에는 볼트지지면(1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기 플랜지(132)와 결합 되는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에는 상기 플랜지(132)와 대항 되도록 너트고정구(134') 또는 볼트지지면(136')이 형성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에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가 밀착되면서 상기 너트고정구(134)에 지지 되는 고정너트(135)와 볼트지지면(136') 또는 너트고정구(134')에 지지 되는 고정너트(135')와 볼트지지면(136)이 하나의 상기 체결볼트(138)에 의해 동시에 연결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양측 테두리 부위에는 각각 플랜지(132)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일측 테두리 부위의 플랜지(132)에는 너트고정구(134)이 형성되며 타측 테두리 부위의 플랜지(132)에는 볼트지지면(1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고정구(134)에는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에 구비되는 볼트지지면(136')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트지지면(136)에는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에 구비되는 너트고정구(134')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체결볼트(138)에는, 상기 고정너트(13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체결볼트(138)에 상기 고정너트(135)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상기 플랜지(132)에 형성되는 상기 너트고정구(134)에 상기 고정너트(135)가 끼움 결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132)와 대응되어 결합 되는 다른 플랜지(132')의 상기 볼트지지면(136')에 상기 체결볼트(138)가 연결되면서 지지 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130)의 형태를 통하여, 작업자는 한 손으로도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32)와 다른 플랜지(132')를 상호 연결시에는, 상기 체결볼트(138)가 상기 볼트지지면(136)을 통과한 후 상기 너트고정구(134')에 지지 되는 고정너트(135')를 통과하여 결합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138)의 선단이 상기 너트고정구(134')가 형성된 플랜지(132')를 통과하면서 상기 너트고정구(134')에 지지 된 고정너트(135')에 결합 되면 상기 체결볼트(138)의 말단은 상기 볼트지지면(136)이 형성된 다른 플랜지(132)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가압고정된다.
특히,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132)에는 다른 플랜지(132')를 밀어내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는, 하나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에 형성되어 실린더 내부에서 유동 되는 실린더로드(미도시)가 그 플랜지(132)에 밀착된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와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플랜지(132')가 상호 견고하게 결합 고정 또는 원활하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밑판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6 및 도 7을 살펴보면, 레미콘(10)은 다양한 형틀의 거푸집에 진입되어 굳어지는 양생 공정을 거쳐 콘크리트블록(30)이 완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은, 상호 결합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가능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면거푸집(100)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그 측면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밑판거푸집(200)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부(1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다수 개가 상호 결합을 통하여 입체적인 거푸집의 틀을 이루게 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하나 이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 되면서 내부에 입체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호 결합 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에는 반죽이 된 상기 레미콘(10)이 주입될 수 있도록 개구 된 채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결합 된 후, 내부에 진입된 상기 레미콘(1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양생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삼각뿔 형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다수 개의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상부에 3개 하부에 3개를 설치하여 총 6개의 상기 거리유지대(140)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부양될 수 있도록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유지대(21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삼각뿔 형태를 갖을 경우,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의 3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분리된 상기 측면거푸집(100) 들이 지면에 닿거나 주변의 구조물에 닿아 훼손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거푸집(100) 들을 안전하게 부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8을 살펴보면,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하나 이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 되면서 내부에 입체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호 결합 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에는 반죽이 된 상기 레미콘(10)이 주입될 수 있도록 개구 된 채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삼각뿔 형태를 갖되, 각각의 꼭지 점 부위가 평평하게 면취 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외형과 대응 되게 형성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면취 된 부위에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한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면취 된 부위는 원형을 이루면서 4개의 원기둥의 선단이 하나의 지점에 뭉쳐있고, 말단이 사방으로 펼쳐져 있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에 3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대한 밑판거푸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9를 살펴보면,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하나 이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 되면서 내부에 입체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호 결합 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에는 반죽이 된 상기 레미콘(10)이 주입될 수 있도록 개구 된 채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사각 판 형태를 갖되, 하부에 지지다리(31)가 형성되는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호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4개의 상기 거리유지대(140)이 설치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사각 판 형태를 갖을 경우, 상기 밑판거푸집(200) 상부의 모서리에서 수평방향의 4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분리된 상기 측면거푸집(100) 들이 지면에 닿거나 주변의 구조물에 닿아 훼손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거푸집(100) 들을 안전하게 부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11을 살펴보면,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하나 이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 되면서 내부에 입체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호 결합 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에는 반죽이 된 상기 레미콘(10)이 주입될 수 있도록 개구 된 채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삼각뿔 형태를 갖되, 각각의 꼭지 점 부위가 평평하게 면취 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외형과 대응 되게 형성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면취 된 부위에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한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면취 된 부위는 사각형을 이루면서 3개의 사각기둥의 선단이 하나의 지점에 뭉쳐있고, 말단이 삼 방향으로 각각 120˚각을 갖으면서 펼쳐지고, 상부는 육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형상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에 3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12를 살펴보면,상기 측면거푸집(100)은, 하나 이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 되면서 내부에 입체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상호 결합 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에는 반죽이 된 상기 레미콘(10)이 주입될 수 있도록 개구 된 채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로 형성되되 다수 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다른 형상을 갖고,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형태가 무게중심이 편심 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중심으로부터 양측이 상호 대응되지 않고 상이한 형상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블록(30) 또한 평면상에서 바라봤을 때 중심으로부터 양측이 상호 상이한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구조물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에 사용되는 상기 거리유지대(140) 또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13 내지, 도 16을 살펴보면,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양생 된 콘크리트블록(30)에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결합 후 분리되는 다른 측면거푸집(100')과의 상호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연결형성되는 거리유지대(1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분리되어 크레인(50)을 통해 인양시에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유동 되면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 각각에 형성되는 봉축(105, 105')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냅후크(14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거리유지대(140)의 선단에는 상기 스냅후크(142)가 형성되고 말단에는 다른 스냅후크(142')가 형성되어 상기 봉축(105, 105')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상기 거리유지대(140) 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형성되는 볼나사(14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볼나사(144)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인양시 이격 되는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인양 과정에서 상호 부딪히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상기 볼나사(144)를 경계로 두 개의 봉이 상호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두 개의 봉으로 이루어진 상기 거리유지대(140)이 상기 볼나사(144)를 기준으로 상호 겹쳐지는 부분이 많아지면 상기 거리유지대(140)의 길이는 짧아지고, 상호 겹쳐지는 부분이 적어지면 상기 거리유지대(140)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거리유지대(140)의 두 개의 봉은 상호 다른 직경갖고, 직경이 작은 봉이 직경이 큰 봉 내부로 진입되며, 직경이 작은 봉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직경이 큰 봉의 내면에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상호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볼나사(140)는, 일 실시 예일 뿐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인양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이격 되는 거리를 원활하게 조절하여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면 스크류볼트(미도시)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레인(5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으로부터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하여 인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들어올리는 크레인(50)에 구비된 후크(55)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인양고리(10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50)은, 하나 이상의 상기 후크(55)를 구비하고, 상기 크레인(50)과 각각의 상기 후크(55) 사이에는, 와이어(5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6)에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 각각에 상기 와이어(56)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플레이트(58)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안내플레이트(58)와 상기 크레인(5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와이어(56)에는, 상기 크레인(50)에 연결된 다수 개의 와이어(56)가 한곳에 모아 진 후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와이어뭉치(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뭉치(60)는, 상기 와이어(56)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플레이트(58)에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수직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와이어(56)가 관통되는 관통홈(59)이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갯 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플레이트(58)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기 크레인(50)을 통해 동시에 인양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가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플레이트(58)의 상기 관통홈(59)을 관통하여 각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인양하는 와이어(56)가 상기 안내플레이트(58) 하부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인해,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는 상호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인양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크레인(50)으로 인양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지면에 기 설치된 밑판거푸집(200)에 다시 배치되어 조립됨으로써 재사용 가능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부양될 수 있도록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유지대(21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부양할 수 있다면 원자재 비용 절감을 위하여 막대형태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거나, 판 형태에서 부분적으로 천공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다수 개가 상호 결합 된 상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상호 분리하게 되면 상기 크레인(50)으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인양하기 전 공정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지면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지면으로 떨어지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유지대(210)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분리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부양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다수 개의 상기 밑판거푸집(200)에 상호 연결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 강철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수평유지대(21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50)은, 하나 이상의 상기 후크(55)를 구비하고, 상기 크레인(50)과 각각의 상기 후크(55) 사이에는, 와이어(5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56)에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 각각에 상기 와이어(56)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플레이트(5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플레이트(58)는, 상기 와이어(56)의 수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원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56)의 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측면거푸집(100)에 따라 다수 개가 상황에 맞도록 사용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안내플레이트(58) 또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상기 안내플레이트(58)가 삼각형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상기 와이어(56)의 수에 따라 다각형을 형성함으로써, 부품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효율적으로 인양 및 이송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안내플레이트(58)와 상기 크레인(5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와이어(56)에는, 상기 크레인(50)에 연결된 다수 개의 와이어(56)가 한곳에 모아 진 후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와이어뭉치(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뭉치(60)는, 상기 와이어(56)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플레이트(58)에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수직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와이어(56)가 관통되는 관통홈(59)이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갯 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플레이트(58)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기 크레인(50)을 통해 동시에 인양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가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플레이트(58)의 상기 관통홈(59)을 관통하여 각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인양하는 와이어(56)가 상기 안내플레이트(58) 하부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인해,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는 상호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인양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도 14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병행참조하여, 도 17 및 도 18을 살펴보면,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양생 된 콘크리트블록(30)에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결합 후 분리되는 다른 측면거푸집(100')과의 상호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연결형성되는 거리유지대(1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분리되어 크레인(50)을 통해 인양시에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유동 되면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호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 각각에 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편(106, 106')을 포함한다.
그리고,상기 거리유지대(140)의 양단에는, 상기 결합편(106, 106')에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결합수용편(141, 14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거리유지대(140)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수용편(141)이 형성되고 말단에는 다른 결합수용편(14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편(106, 106')에 끼움 결합 되면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인양시 이격 되는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인양 과정에서 상호 부딪히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살펴보면, 양생 된 콘크리트블록(30)은, 와이어로 인양할 경우 상기 콘크리트블록(30)과 와이어가 쉽게 훼손되거나 마모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은, 띠 형태의 와이어밴드(32)에 의해 부양되어 이동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와이어밴드(32)는,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 을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펼쳐진 띠 형태로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받는 하중이 선 형태의 와이어에 비하여 넓은 면적으로 분산되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30)과 상기 와이어밴드(32)의 훼손 및 마모가 최소화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밴드(32)는, 상기 콘크리트블록(30)과 밀착되는 부위의 상기 와이어밴드(32) 외면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보조면(34)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보조면(34)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 밀착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하중을 직접 받게 된다.
상기 보조면(34)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직접적인 하중을 받음으로써, 상기 와이어밴드(32)의 훼손 및 마모가 최소화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보조면(34)이 훼손 및 마모될 경우, 상기 와이어밴드(32) 외면에서 간편하게 이탈되도록 하여, 새로운 보조면과 교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거푸집 내부에 주입된 레미콘(10)이 양생 되어 된 콘크리트블록(30)을 이송하기 위해 크레인(50)이 사용된다.
이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부양하기 위해 감싸는 다수 개의 띠 형태를 갖는 와이어밴드(32)가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밴드(32)와 상기 크레인(50)을 연결하며 구비되는 와이어(5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56)에는, 상기 와이어밴드(32)의 상부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이격 배치된 채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와이어(56)의 간격을 유지하는 판 형태의 간격유지판(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크레인(5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인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블록(30)과 상기 크레인(5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와이어(56)에는, 상기 크레인(50)에 연결된 다수 개의 와이어(56)가 한곳에 모아 진 후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와이어뭉치(6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뭉치(60)는, 상기 와이어(56)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판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상기 크레인(50)을 통해 동시에 인양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상기 와이어밴드(32) 또는 상기 와이어(56)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간격유지판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인양하는 와이어(56)가 상기 간격유지판의 하부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블록(30)과 상기 와이어밴드(32) 및 상기 와이어(56)는 상호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인양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밴드(32)와 상기 보조면(34)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감싼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밴드(32)와 상기 보조면(34)의 선단에 슬릿홈(36)을 형성한 후, 상기 와이어밴드(32)와 상기 보조면(34)의 말단이 상기 슬릿홈(36)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밴드(32)와 그 와이어밴드(32)의 외면에 구비된 상기 보조면(34)은, 원형을 이루며 상호 겹쳐지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감싸면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인양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은, 보다 안정적으로 인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양한 형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은, 상기 와이어밴드(32)의 길이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 밀착되는 상기 와이어밴드(3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세워지는 형상이 다양하게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인양한 후 배치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밴드(32)는, 강선 또는 섬유 재질을 혼합하여 완성될 수 있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원활하게 인양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면(34)은, 내부가 여러 가닥의 강선으로 형성되고, 외부가 섬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재질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블록(30)과의 마찰 면적이 넓어 훼손 및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보조면(34)은, 상기 와이어밴드(32)에 연결 및 분리가 간편하고, 재질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은,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블록의 양생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도 거푸집을 콘크리트 블록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의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형태변형 또는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이다.
도 1과 도 2, 도 13 및 도 19를 병행 참조하여, 도 20을 살펴보면, 다수 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 되어 상부가 개구 되면서도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레미콘(10)이 유입가능하도록 조립되는 거푸집조립단계(S100)를 갖는다.
그리고, 조립된 상기 측면거푸집(100) 내부에 상기 레미콘(10)이 유입된 채로 양생 되어 콘크리트블록(30)이 되도록 하는 콘크리트양생단계(S200)를 갖는다.
이어서, 양생 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연결된 부위에 형성되는 볼트부(130)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해하는 분해단계(S300)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분해단계(S300)를 통해 분해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하는 거리유지단계(S400)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릉 측면거푸집(100')의 거리가 유지된 채로 복수 개의 측면거푸집(100, 100')을 크레인(50)과 와이어(56)를 통하여 인양시키는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를 갖는다.
하기에서는 이러한 각각의 공정을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거푸집조립단계( S100 )
상기 거푸집조립단계(S100)는, 지면에 밑판거푸집(200)을 고정하고, 상기 밑판거푸집(200) 상부에 다수 개의 측면거푸집(100)을 배치하되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상호 조립하는 공정이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호 결합을 통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가능하도록 하도록 조립되게 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양측 테두리에는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132)가 형성되는데, 상기 측면거푸집(100)에 형성된 플랜지(132)가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형성된 플랜지(132')가 상호 밀착되면서 상기 볼트부(130)에 의해 결합 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거푸집조립단계(S10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다른 측면거푸집(100')과의 결합을 통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레미콘(10)이 내부로 유입된 채로 굳어지는 양생의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준비공정이다.
상기 거푸집조립단계(S100)에서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사용되며,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형상은 콘크리트블록(3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은, 볼트부(130)를 통해 상호 견고하게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볼트부(130)에 대한 설명은 상기에 언급되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여기에서는 편의상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으로 구분하였지만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3개 이상이 상호 결합 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거푸집조립단계(S100)에서 다수 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 되면, 상기 레미콘(10)이 상기 측면거푸집(100) 내부에서 양생 되어 콘크리트블록(30)을 이루도록 하는 콘크리트양생단계(S200)를 갖게 된다.
콘크리트양생단계( S200 )
상기 콘크리트양생단계(S200)는, 상기 레미콘(10)이 상기 측면거푸집(100) 내부에서 양생 되어 콘크리트블록(30)을 이루도록 하는 공정이다.
상기 콘크리트양생단계(S200)에서, 상기 레미콘(10)의 물과 시멘트 양에 따라 7일 내지 30일 정도 양생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분해단계(S300)는, 상기 레미콘(10)이 완전히 양생 되기 전에 공정이 시작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콘크리트양생단계(S200)는, 상기 레미콘(10)의 외면이 굳어지기 시작하여 상기 분해단계(S300)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공정이다.
즉, 상기 콘크리트양생단계(S200)에서, 상기 레미콘(10)의 외면이 굳어지기 시작하면 바로 상기 분해단계(S300)가 시작되지만 상기 레미콘(10)의 외면을 감싸고 있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제거된 후에도 상기 레미콘(10)의 양생은 유지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양생단계(S200)에서, 상기 레미콘(10)의 외면이 굳기 시작하는 시간은 3일 내지 7일이 소요되게 된다.
분해단계( S300 )
상기 분해단계(S300)는, 상기 레미콘(10)이 양생 되어 콘크리트블록(30)이 되는 과정에서, 상기 레미콘(10)의 외면이 굳기 시작하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외면에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하는 공정이다.
이때, 상기 레미콘(1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하는 시점은, 상기 레미콘(1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하여도 상기 레미콘(10)이 무너지거나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지난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레미콘(1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하는 시점은, 시간 변화에 따른 상기 레미콘(10)의 강도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여 상기 레미콘(10)의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은, 상기 볼트부(130)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체결이 분리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부(130)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상호 체결이 분리되게 된다.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분리되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구비되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동작하는 실린더(미도시) 또는 회전 작용으로 동작하는 볼스크류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완전하게 이격 되도록 하되, 그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거리유지단계( S400 )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분리되어 이격 되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은 다른 콘크리트블록(30)을 제작하기 위해 인양되게 된다.
상기 거리유지단계(S400)는, 이러한 인양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크레인(50)에 의해 인양시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을 상호 연결하면서 막대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거리유지대(14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이격 간격을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거리유지단계(S40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설치시,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이 상기 밑판거푸집(200)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유지대(210)에 거치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면거푸집부양단계(S410)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분해단계(S300)에서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분리되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은 지지될 곳이 없기 때문에 지면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상기 수평유지대(210)이다.
이러한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부양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측면거푸집부양단계(S410)에서 상기 수평유지대(210)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을 안정적으로 부양하게 되면, 상기 거리유지단계(S400)의 공정을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 사이에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하게 된다.
측면거푸집인양단계( S500 )
상기 거리유지단계(S40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거리를 유지한 채로 인양 준비가 끝나면,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거리를 유지한 채로, 크레인(50)과 와이어(56)를 통하여 동시에 인양되는 공정이다.
상기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는, 상기 크레인(5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56) 및 후크(55)를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에 구비된 인양고리(104)에 결속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이 인양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56)에 구비된 판 형태의 안내플레이트(58)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의 상부가 상호 이격 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양되도록 하는 간격유지인양단계(S510)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분리되면 상기 거리유지단계(S400) 공정을 거치게 되고, 그 이후에 상기 측면거푸집(100) 외면에 형성된 상기 인양고리(104)에 상기 후크(55)를 걸어 상기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를 시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유지인양단계(S510)를 통하여, 상기 크레인(50)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와이어(56)가 각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플레이트(58)가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내플레이트(58)에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수직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와이어(56)가 관통되는 관통홈(59)이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갯 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플레이트(58)는,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기 크레인(50)을 통해 동시에 인양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가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상기 안내플레이트(58)의 상기 관통홈(59)을 관통하여 각각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인양하는 와이어(56)가 상기 안내플레이트(58) 하부에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 인해,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는 상호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인양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지면에 기 배치된 다른 밑판거푸집(200)에 거치 되어 재사용되는 재사용단계(S5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재사용단계(S520)는, 상기 크레인(50)으로 인양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그 배치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기 설치된 밑판거푸집(200) 위에 다시 배치되어 재사용할 수 있는 준비를 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상기 재사용단계(S520)에서는, 새로운 콘크리트블록(30)이 양생 될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양생 될 위치를 정하고, 그 위치에 상기 밑판거푸집(200)을 설치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밑판거푸집(200)이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게 되면 상기 크레인(50)을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인양하여 상기 밑판거푸집(200)의 상부로 이송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밑판거푸집(200)에 배치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상호 결합하는 상기 거푸집조립단계(S100)를 통하여 새로운 레미콘(10)이 주입되어 또 다른 콘크리트블록(30)을 양생하게 된다.
도 21은 도 20을 통해 제조되는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20을 통해 제조되는 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0을 통해 제조되는 블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0을 통해 제조되는 블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살펴보면, 도 21에서의 콘크리트블록(30)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이 대지 않고, 상호 보완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일측은 상하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강이나 바다 등의 방파제로 사용되면서 육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면서 견고하게 지면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도 21의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은, 견고하게 지면에 지지 되면서도, 육지로 유입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2에서의 콘크리트블록(30)은, 사방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관통 또는 음각 형성되는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홈이 관통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중의 부력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물 위로 떠오르거나 떠다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홈이 음각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중량을 낮추어 그 콘크리트블록(30)의 설치 및 이송을 원활하게 하고, 설치비용 및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3과 도 24에서의 콘크리트블록(30)은, 사방으로 대칭되는 형태를 갖되, 외관상 미려하게 하여, 강이나 바다에서 육지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면서도 미려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외관을 갖음으로써,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을 막고 안정성을 확보해 선박의 출입, 정박 및 하역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관상 미려한 경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볼트와 너트를 일체로 형성하도록 제조하여 거푸집을 이루는 구성들이 상호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의 양생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도 거푸집을 콘크리트 블록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그 성형 된 블록에 거푸집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간편하게 조립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입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한 후 거푸집을 각각 분리 하여 다시 조립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하여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인력 사용의 감소 및 조립 시간이 단축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 블록의 성형을 위한 거푸집의 형태변형 또는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레미콘 30 : 콘크리트블록
31 : 지지다리 32 : 와이어밴드
34 : 보조면
50 : 크레인 55 : 후크
56 : 와이어 58 : 안내플레이트
59 : 관통홈
60 ; 와이어뭉치
100, 100' : 측면거푸집 104 : 인양고리
105, 105' : 봉축
130 : 볼트부 132, 132' : 플랜지
134, 134' : 너트고정구 135, 135' : 고정너트
136, 136' : 볼트지지면
138 : 체결볼트
140 : 거리유지대 142, 142' : 스냅후크
144 : 볼나사
200 : 밑판거푸집 210 : 수평유지대
S100 : 거푸집조립단계
S200 : 콘크리트양생단계
S300 : 분해단계
S400 : 거리유지단계 S410 : 측면거푸집부양단계
S500 : 측면거푸집인양단계 S510 : 간격유지인양단계
S520 : 재사용단계

Claims (20)

  1. 상호 결합을 통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되어 콘크리트블록(30)으로 양생 가능하게 형성되되, 수평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면거푸집(100); 및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그 측면거푸집(100)을 지지하는 밑판거푸집(200);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 대응되게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볼트부(130); 및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다수 개의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결합 후 분리되는 다른 측면거푸집(100')과의 상호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연결형성되는 거리유지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밑판거푸집(20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이 부양될 수 있도록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유지대(210)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부(13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에서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32);
    상기 플랜지(132)에 형성되되 고정너트(135)가 지지 되도록 하는 너트고정구(134);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결합 되는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돌출형성되는 플랜지(132')에 형성되는 반원 형태의 볼트지지면(136'); 및
    상기 너트고정구(134)에 지지된 상기 고정너트(135)와 상기 볼트지지면(136')을 동시에 연결하는 체결볼트(138);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유지대(14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 각각에 형성되는 봉축(105, 105')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냅후크(14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유지대(140) 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연결형성되는 볼나사(144)가 더 포함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삼각뿔 형태의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다수 개의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삼각뿔 형태를 갖을 경우, 상기 밑판거푸집(200)에서 수평방향의 3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삼각뿔 형태를 갖되, 각각의 꼭지 점 부위가 평평하게 면취 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외형과 대응 되게 형성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면취 된 부위에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의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4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결합을 통해 사각 판 형태를 갖되, 하부에 지지다리(31)가 형성되는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리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호 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4개의 상기 거리유지대(1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대(210)은,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이 사각 판 형태를 갖을 경우, 상기 밑판거푸집(200) 상부의 모서리에서 수평방향의 4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은,
    입체형태로 형성되되 다수 개의 측면거푸집(100)이 상호 다른 형상을 갖고,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블록(30)의 형태가 무게중심이 편심 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면에 밑판거푸집(200)을 고정하고, 상기 밑판거푸집(200) 상부에 거치 되되 복수 개가 결합을 통하여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로부터 레미콘(10)이 유입가능하도록 하는 측면거푸집(100)을 조립하는 거푸집조립단계(S100);
    상기 레미콘(10)이 상기 측면거푸집(100) 내부에서 양생 되어 콘크리트블록(30)을 이루도록 하는 콘크리트양생단계(S200);
    양생 된 상기 콘크리트블록(30)에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연결된 부위에 형성되는 볼트부(130)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을 분해하는 분해단계(S300);
    분해된 상기 측면거푸집(100)의 상호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거리유지대(140)을 설치하는 거리유지단계(S400); 및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의 거리가 유지된 채로 복수 개의 측면거푸집(100, 100')을 크레인(50)과 와이어(56)를 통하여 인양시키는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를 포함하고,
    상기 거리유지단계(S40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에 상기 거리유지대(140)을 설치시,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이 상기 밑판거푸집(200)에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수평유지대(210)에 거치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측면거푸집부양단계(S410)를 포함하는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는,
    상기 크레인(5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56) 및 후크(55)를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에 구비된 인양고리(104)에 결속하여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이 인양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56)에 구비된 판 형태의 안내플레이트(58)를 통해 상기 측면거푸집(100, 100')의 상부가 상호 이격 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양되도록 하는 간격유지인양단계(S510)를 포함하는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거푸집인양단계(S500)는,
    상기 측면거푸집(100)과 다른 측면거푸집(100')이 지면에 기 배치된 다른 밑판거푸집(200)에 거치 되어 재사용되는 재사용단계(S520)를 더 포함하는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KR1020120094432A 2012-08-28 2012-08-28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KR101446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432A KR101446207B1 (ko) 2012-08-28 2012-08-28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432A KR101446207B1 (ko) 2012-08-28 2012-08-28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186A Division KR20140029206A (ko) 2013-08-21 2013-08-21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
KR1020130099185A Division KR20140029205A (ko) 2013-08-21 2013-08-21 거푸집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60A KR20140028360A (ko) 2014-03-10
KR101446207B1 true KR101446207B1 (ko) 2014-10-15

Family

ID=5064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432A KR101446207B1 (ko) 2012-08-28 2012-08-28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895B1 (ko) * 2020-11-12 2021-03-15 주식회사 한길 보강 구조가 적용된 테트라포드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620A (ja) * 1994-03-17 1995-10-09 Hayashi Kensetsu Kogyo Kk 4脚消波根固ブロックの製造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4脚消波根固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0334715A (ja) * 1999-05-28 2000-12-05 Fujitaka Matsumoto 消波用等ブロックの製造装置
KR101027785B1 (ko) * 2010-09-30 2011-04-13 (주) 신아건설 소파블록 제조용 가대,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소파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파블록
KR101150585B1 (ko) * 2009-10-21 2012-06-12 양준석 슈퍼블록 자동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탈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6620A (ja) * 1994-03-17 1995-10-09 Hayashi Kensetsu Kogyo Kk 4脚消波根固ブロックの製造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4脚消波根固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2000334715A (ja) * 1999-05-28 2000-12-05 Fujitaka Matsumoto 消波用等ブロックの製造装置
KR101150585B1 (ko) * 2009-10-21 2012-06-12 양준석 슈퍼블록 자동탈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탈착 방법
KR101027785B1 (ko) * 2010-09-30 2011-04-13 (주) 신아건설 소파블록 제조용 가대,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소파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파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895B1 (ko) * 2020-11-12 2021-03-15 주식회사 한길 보강 구조가 적용된 테트라포드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360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460B1 (ko)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장치와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소파블록 및 소파블록에 의해 축조된 구조물
CA2395433A1 (en) Interlocking erosion control block with integral mold
JP6612581B2 (ja) アーチ橋構造用の連接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体及び上路式アーチ橋
KR102027848B1 (ko) 소파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소파블록의 제조 방법
CN105773833A (zh) 一种t型板桩成型模具及t型板桩的生产方法
JP6576206B2 (ja) アーチ橋構造用の連接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体及び上路式アーチ橋
KR20140029206A (ko) 거푸집에 의해 제조된 블록의 이송장치
KR101446207B1 (ko) 콘크리트 블록 제조를 위한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CN113043419A (zh) 四周不出筋凹槽叠合板的生产装置和生产方法
KR20140029205A (ko) 거푸집의 이송장치
CN110821164A (zh) 一种现浇大面积钢筋砼镂空异形柱体模及其施工方法
CN110284729A (zh) 一种历史建筑墙体分块式切割拆除方法
EA034179B1 (ru) Штабелируемый стеночный дистанц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CN110788990A (zh) 一种预应力带肋混凝土叠合板生产线及其生产方法
CN107116667B (zh) 一种混凝土箱形容器的钢制浇筑模具及其组装拆卸方法
KR100521251B1 (ko) 다공질 콘크리트 자갈 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415415B1 (ko) 양면이 연결된 자연석블럭의 제조방법 및 그 자연석블럭
KR101786813B1 (ko) 방사형 헥사포드를 갖는 인공어초 거푸집
CN220593536U (zh) 一种混凝土联锁排模具
GB2441763A (en) Building block with connection formation and engaging formations
KR102658309B1 (ko) 소파블록 제조용 거푸집
JP6576207B2 (ja) アーチ橋構造用の連接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体に用いるブロック群の製造方法
US20040123553A1 (en) Method of reinforcing a tower
JPH06193391A (ja) 沈埋函の製作進水方法
DE102014213760B4 (de) Muringsteinschalungs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