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179B1 -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6179B1
KR101446179B1 KR1020100081822A KR20100081822A KR101446179B1 KR 101446179 B1 KR101446179 B1 KR 101446179B1 KR 1020100081822 A KR1020100081822 A KR 1020100081822A KR 20100081822 A KR20100081822 A KR 20100081822A KR 101446179 B1 KR101446179 B1 KR 10144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extract
cells
arthritis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959A (ko
Inventor
윤봉식
이인경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179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에는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바우미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 및 이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nflammatory Disorder comprising the polyphenol extracts from Phellinus baumii}
본 발명은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염 활성이 우수하여 염증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식품조성물 또는 약학조성물 로서 유용한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 추출물 및 이 추출물에서 분리된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용버섯의 약리효과에 대해서도 지금까지 여러 분야에서 발표되어 왔으며,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게 된 현대에 이르러 먹으면서 건강을 증진시킨다고 하는 일석이조인 버섯식이에 의하여 이룰 수 있는 역할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수백만 년 동안 버섯은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등의 침입자들을 막아내기 위해체내에서 방어 물질들을 생산하여, 체내의 독성물질을 해독시키면서 환경에 적응 하여왔다.
지금까지 알려진 약용 버섯들로부터, 이들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인 이른바 방어 물질은 인류에게 수 천년 동안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의약품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수 천 종에 이르는 버섯 균류들은 독특하며 다양한 화합물들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신약개발을 위한 좋은 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버섯으로부터의 천연물 연구는 다른 미생물에 비해 저조한 편이며 특히 식용버섯 외에 영지, 표고, 차가버섯 등 전통 약용버섯에 대한 정확한 성분 및 함량분석 및 이들이 나타내는 효능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연구된 바가 없어, 버섯을 소재로 한 천연약물의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 및 이 추출물에 함유되어있는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활성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활성화합물은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에서 분리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활성화합물은 인터푼진 A (Interfungin A), 바우민 (Baumin=피비211(Pb211)), 다발리아락톤 (Davallialactone), 히스피딘 (Hispidin), 히폴로민 B (Hypholomine B), 펠리그리딘 D (Phelligridin D) 및 이노스카빈 A (Inoscavin A)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증질환은 관절염 또는 치수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는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도 염증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사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상황버섯 폴리페놀군의 조추출물 제조과정을 나타낸다.
도 2는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 폴리페놀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
는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7개 화합물의 화학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Interfungin A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a: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b: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도 4는 Baumin (=Pb211)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a: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b: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도 5는 Davallialactone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a: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b: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도 6은 Hispidin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a: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b: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도 7은 Hypholomine B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a: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b: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도 8은 Phelligridin D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a: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도 9는 Inoscavin A 화합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a:수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b: 탄소핵자기공명스펙트럼
도 10은 바우미 상황버섯의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 아세테이트의 용해 분획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1. Interfungin A; 2. Davallialacton 3. Hypholomine B)
도 11은 콜라겐-유도된 관절염 모델에서의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에 의한 염증저해를 나타낸다. 관절염 증상의 정도는 4주의 연속 치료하는 동안 AI로 평가 되었다.
도 12는 콜라겐-유도된 관절염 모델에서의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에 의한 anti-collagen II antibody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3은 관절을 사용하여 얻은 병리조직검사 결과이다.
도 14는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 폴리페놀 추출물이 콜라겐-유도된 관절염의 AI를 감소시키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혈액학적 분석 (Hematological Parameters)을 나타낸다.
도 16은 림프 및 관절의 총세포수를 나타낸다.
도 17은 림프 및 관절의 형광유세포 분석을 나타낸다.
도 18은 혈청 내에서 Type II collagen IgG를 타나낸다.
도 19는 혈청 내에서 RA factor IgG를 나타낸다.
도 20은 혈청 내에서 RA factor IgM을 나타낸다.
도 21은 혈청 내에서 싸이토카인의 레벨을 나타낸다.
도 22는 생쥐의 관절 (joint)을 통한 조직분석을 나타낸다.
도 23은 혈전의 무게를 나타낸다.
도 24는 다발리아락톤 (DAVA)의 치수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도 25는 다발리아락톤 (DAVA)에 의한 세포접착 분자의 억제를 나타낸다.
도 26은 다발리아락톤 (DAVA)에 의한 염증관련 신호전달 및 활성산소 전달신호의 억제를 나타낸다.
도 27은 다발리아락톤 (DAVA)에 의한 활성산소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8은 다발리아락톤 (DAVA)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염증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또는 약학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여러 연구를 한 결과,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 폴리페놀 추출물이 항염, 항염증, 항관절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은 일명 장수 상황버섯이라 일컫는 것으로써, 야생의 자연산 상황버섯의 일종으로서 단백 다당체를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번식이 잘되지 않는 희귀한 담자균류의 다년생 버섯 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은 최근 인공재배가 가능하고 1~2년만 지나면 수확을 할 수 있어 많은 농가에서 재배를 하고 있는 추세로, 바우미 상황버섯에 0.10~0.16%의 베티글루칸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NK (Natural Killer)세포와 인체면역 활성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에서 분리된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활성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효능들을 나타내는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의 항염, 항염증, 항관절염 효과를 나타내는 주요성분들을 확인한 결과,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들이 분리되었다.
상기 분리된 화합물들은 구조분석을 통하여 화학구조를 확인한 결과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인 인터푼진 A (Interfungin A), 바우민 (Baumin=피비211(Pb211)), 다발리아락톤 (Davallialactone), 히스피딘 (Hispidin), 히폴로민 B (Hypholomine B), 펠리그리딘 D (Phelligridin D) 및 이노스카빈 A (Inoscavin A) 등 총 7개의 화합물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이외에도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계열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으나 미량의 성분으로 함유되어 통상의 방법으로는 분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활성화합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7개의 화합물들은 바우미 상황버섯 (Phellinus baumii) 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우미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염 효과 및 추출물에 함유되어있는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화합물을 지표물질로 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인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증질환으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만성 신경성 염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만성 신경성 염증 증상은 다양한 사람의 질환을 기반으로 하는 질환의 큰, 무관한 그룹과 관련될 수 있다. 증상으로서 만성 신경성 염증을 나타내는 질환의 비-제한적인 예는, 제한없이, 여드름 (acne), 산 역류/속쓰림 (acid reflux/heartburn),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충수염 (appendicitis), 동맥염 (arteritis), 관절염,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자가면역 질환, 귀두염, 안검염, 세기관지염, 기관지염, 활액낭염 (bursitis), 암, 심장염, 셀리악 병 (celiac disease), 소포염 (cellulitis), 자궁경관염 (cervicitis), 담관염, 담낭염, 융모양막염 (chorioamnionitis),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간경변, 대장염, 결막염, 방광염, 일반 감기, 누선염, 치매, 피부염, 피부근염, 폐기종, 뇌염, 심내막염, 자궁내막염, 장염, 소장결장염, 상과염 (epicondylitis), 부고환염, 근막염, 섬유조직염 (fibrositis), 위염, 위장염, 치은염, 사구체신염, 설염, 심장 질환, 간염, 화농성한선염 (hidradenitis suppurativa), 고혈압, 회장염, 염증성 신경병증, 인슐린 저항성, 간질성 방광염, 홍채염, 허혈성 심장 질환, 각막염, 각결막염, 후두염, 유방염, 유양돌기염 (mastoiditis), 수막염, 대사 증후군(증후군X), 편두통, 척수염, 심근염, 근염, 신장염, 비만, 제대염 (omphalitis), 난소염, 고환염, 골연골염, 골감소증 (osteopenia), 골다공증, 골염, 이염, 췌장염, 파킨슨 병 (Parkinson's disease), 이하선염, 골반 염증 질환, 심낭염, 복막염, 인두염, 정맥염, 늑막염, 간질성 폐렴 (pneumonitis), 직장염 (proctitis), 전립선염, 치수염 (pulpitis), 신우신염, 문맥염 (pylephlebitis), 류마티즘 열, 비염, 난관염, 타액선염, 부비강염, 경직 대장 (spastic colon), 구내염, 활막염 (synovitis), 건염, 건병증 (tendinosis), 건초염, 혈전정맥염 (thrombophlebitis), 편도선염, 삼각부염 (trigonitis), 종양, 요도염, 포도막염, 질염, 혈관염, 및 외음염 (vulvitis)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염증질환 중에서 관절염 또는 치수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의학적으로 관절염은 관절의 염증성 변화로 관절에 국한된 압통이 있고, 관절이 부으며, 관절의 운동범위가 감소하는 것으로서 특히, 퇴행성 관절 질환은 골관절염으로 관절염 중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흔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염증성 변화 없이 연골이 소실되고 관절이 변형되면서 국소적으로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며 여러 가지 생물학적 요인에 의해 연골이 변화되고,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절염에는 골관절염 (osteoarthritis)과 류마티스 관절염 (rheumatoid arthritis) 및 다발성 관절염 (polyarthritis)이 있다. 골관절염은 동통과 경직으로 인해 중년기 이후 만성적인 무능력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기본적인 병리학적 과정은 염증성인 류마티스 관절염과 달리 변성성이다 (Govan, A. D. T.et al., Pathology Illustrated 3rd ed., pp 811-821, Churchill Livingstone, 1991).
일반적으로 류마티스라하면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chronic rheumatoid arthritis)을 의미하며 이러한 질환은 관절을 중심으로 전신에 분포되어 있는 결합조직에 대한 질환이므로 발병원인의 규명이 어려운 난치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치수염이란 충치는 충치균 (주로 streptococcus mutans)이, 치아를 부식시켜 가는 질환이다. 치수염은 충치나 치주염에 의해서 일어나는 질병이며, 치수 (이의 중심부에 있는 신경이라든가 혈관이 지나가는 곳)에 세균이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킨 것을 말한다. 치료가 늦으면 염증이 턱, 혈액 등으로 번져 악관절염, 패혈증 등이 유발된다.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바우미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과 이 추출물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바우미 상황버섯을 알콜류, 아세테이트류, 에테르류, 아세톤류, 탄화수소류 등 중에서 선택된 유기용매에 의하여 추출, 물의 분배, 컬럼 크로마토그라피 등 버섯성분의 분리 추출에 이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단독 또는 적합하게 조합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이때, 바우미 상황버섯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 양액을 사용하여 추출하기도 하며, 조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서 상법에 따라서 더욱 정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우미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과 이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7개의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바우미 상황버섯 추출물을 탄소수 1 내지 6의 지방족 알콜 및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 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는 과정 2) 상기 용매 추출물을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용매를 사용하여 분배 추출하여 폴리페놀 분획을 획득하는 과정 3) 상기 폴리페놀 추출액을 클로로포름-메탄올 용리액을 사용하여 실리카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는 과정 4) 상기 용출액을 메탄올을 사용하여 세파덱스 LH-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는 과정 또는 상기 용출액을 40 ~60 % 메탄올을 사용하여 분취용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preparative HPLC)를 실시하여 화합물을 각각 분리 수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에 함유되어있는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계열의 7개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도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 및 이 추출물에 분리된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화합물은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시, 조성물 전체중량 대비 0.0001 ~ 10.0 중량 %로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1 ~ 10.0 중량 %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염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10 중량 %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면서, 제형상의 안정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 및 이 추출물에 분리된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화합물을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할 시,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그 자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또는 주사제등의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고, 이들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 투여량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 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 및 이 추출물에 분리된 스티릴파이론 (styrylpyrone) 화합물을 식품 조성물은 건강을 위한 식품, 음료, 또는 음료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내지 10 중량%로 물에 혼합하여 항산화 효과를 목적으로 한 기능성 음료 또는 상기 조성 성분을 건조 분말화하여 충진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의 형태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항염 효과를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캔디, 과자류,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 식품류 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상황버섯 ( 바우미종 , Phellinus baumii ) 폴리페놀군의 동물효능 검정을 위한 조추출물의 확보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상황버섯인 바우미종으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폴리페놀군의 관절염 예방 및 치료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폴리페놀군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금산 약초시장에서 구입한 1 kg의 국내산 상황버섯을 메탄올로 24시간동안 homogenizer로 저어주면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감압건조한 후 hexane으로 분배 추출하여 유지성분을 제거하고, 남은 물층은 ethyl acetate로 재차 분배 추출하였다. Ethyl acetate 층은 감압 건조하고 건조물을 갈아 분말로 만들어 조추출물 50 g을 제조하였다 (도 1참조).
< 실시예 2> 상황버섯 ( Phellinus baumii ) 추출물의 quality control ( QC )을 위한 지표성분 선정 및 간편 분석방법 확립
1. 지표성분의 선정
상황버섯의 항산화 폴리페놀군 조추출물로부터 QC를 위한 지표성분을 설정하였다. 지표성분은 상황버섯의 주요 항산화 활성성분인 interfungin A, davallialactone 및 hypholomine B로 선정하였으며, 이들 화합물은 상황버섯 바우미종을 특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물활성에 있어서도 주요 활성성분이다. 따라서 이들 성분을 QC를 위한 지표성분으로 선정하였다 (도 10참조).
2. 간편 분석방법 확립
상기의 선정된 지표성분 검출을 통하여 상황버섯의 폴리페놀군 조추출물의 QC를 위한 HPLC 간편 분석 방법을 확립하였다. 즉 조추출물을 10 mg/ml의 농도로 만들어 분석용 column을 이용하여 HPLC를 수행하며, 지표성분을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HPLC 설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컬럼 (Column : 역상컬럼(150 x 4.6 mm; Cosmosil, Nacalai tesque, Japan), 이동상 (Mobile phase : A linear gradient solvent system (용매 A, 5% (v/v) 메탄올, 0.04% (v/v) TFA ; 용매 B, 메탄올): 02 분, 20% B; 210 분, 2045% B; 10-20 분, 45% B; 2025 분, 70% B; 2532 분, 70% B; 3236 분, 100% B; 3640 분, 100% B; 4043 분, 20% B), 유속 (Flow rate : 1 ml/min).
<적용례 1> 상황버섯 ( Phellinus baumii ) 폴리페놀 추출물의 관절염 개선 in vivo 활성 평가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이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기반으로 anti-inflammation 활성을 지닌 것을 선행 연구에 의하여 밝혔다. 본 실험에서는 이들 폴리페놀성분이 관절염 모델동물에서 염증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의 작용기작을 검토하였다.
1. 연구 방법
1)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 CIA ) 모델 제조
CIA 유발은 8주령의 DBA/1 OlaHsd 쥐에 100 μg의 bovine type II collagen과 0.1 ml Complete Freund's Adjuvants를 혼합하여 쥐 꼬리의 등위 부분에 피하 주사하고, 21일 후 동량을 boosting 하여 CIA 모델을 제조하였다.
2) Arthritis index ( AI ) and incidence 분석
Type II collagen으로 boosting 후 DBA/1 OlaHsd 쥐의 각 4개의 발 (paw)에서 관절염 징후를 아래의 기준으로 관절염 지수 (index)를 결정하고, CIA유발정도를 1 주일에 1회씩 아래 표 1과 같이 기록하였다.
CIA index 유 발 정 도
0 no arthritis
1 small degree of arthritis
2 light swelling
3 medium swelling
4 severe swelling
5 severe swelling and non-weight-bearing
3) 관절염 평가 항목
림프 (draining lymph node, DLN) 그리고 관절 (joints)의 총세포수 측정.
PBMC, 림프, 그리고 관절의 형광유세포 분석
생쥐의 혈청 및 비장세포 배양상층액내 싸이토카인 측정
염증싸이토카인 및 Rheumatoid factor (RF) 분석
혈청 내 collagen II antibody량 측정
혈청 내 liver function test (LFT) 분석
병리 조직 검사
2. 연구 결과
1) 관절염 지수에 의한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의 관절염 억제정도 평가
2차 collagen 주사 2주후에 실험 시작일 (0 weeks)로 하고 4주간 관절염 지수 (arthritis index)를 측정하였다. 관절염 유발 대조군은 실험시작일 (0 weeks)의 관절염 지수가 11.8 ± 1.9에서 실험시작일 4주후에 17.8 ± 0.5로 증가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관절의 염증상태가 악화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 50 mg/kg은 실험시작일 (0 weeks)의 관절염 지수가 11.6 ± 1.9에서 실험시작일 4주후에 10.4 ± 0.9로 감소하였으며 고농도의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 150 mg/kg의 경우 실험시작일 (0 weeks)의 관절염 지수가 11.8 ± 1.2에서 실험시작일 4주후에 8.4 ± 0.8로 유의성 있는 억제정도를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메토트랙세이트 (MTX)를 동일한 기간 동안 3 mg/kg로 투여하여 관찰하였으며 도 11에서와 같이 실험 4주후에 관절염지수는 강력히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2) 혈청 중에 형성된 type II collagen 항체에 대한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의 효과
관절염유발 동물에 대한 억제작용의 작용기작 중에 우선 혈청 중에 형성된 collagen type II 항체 형성 정도를 확인해 본 결과 도 12에서와 같이 collagen 유발 관절염 유발 동물에서 항체는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1,174,270 unit/ml에서 867,815 unit/ml와 667,088unit/ml로 감소하였음).
3) 병리 조직검사
도 13은 실험 종료 후에 관절을 사용하여 얻은 병리조직검사 결과이다. Collagen 유발 관절염 모델동물은 (CIA control I 과 CIA control II)은 정상대조군 (normal)에 비해 관절조직의 손상과 염증세포의 침윤 등이 관찰되었으며,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 50 mg/kg와 150 mg/kg 처리군은 메토트랙세이트 (MTX) 3 mg/kg를 처리한 양성대조군에 견줄만한 억제경향을 나타내었다.
4) 류마티스 관절염 생쥐 ( CIA ) 모델에서 상황버섯 ( Phellinus baumii ) 폴리페놀 추출물의 효과 ( CIA 유발 생쥐의 관절염 지수( AI )에 미치는 영향
5주간 CIA 생쥐모델에 MTX와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을 투여한 후 arthritis index (AI)를 관찰한 결과, 에서 같이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인 MTX, 그리고 P. baumii (50 mpk, or 150 mpk등 모든 처리군이 2주 후부터 index값이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최종 5주후 MTX와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 150mpk 처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 50% 이상 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1). 또한 상황버섯 폴리페놀 추출물 (50mpk)등 처리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30% 이상 유의성 있는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4참조).
5) 혈액학적 분석 ( Hematological Parameters )
백혈구는 과립구 (granulocyte), 림프구 (lymphoctres), 단핵구 (monocytes)로 구분하고 말초액에서 일반적으로 외부 항원에 대한 면역기능을 갖는다. 최근의 연구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말초혈액에서 과립구의 세포수가 증가하면서 백혈구의 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과립구의 특징을 알아보면 과립구란 세포질에 특징적인 과립을 갖는 호중구, 호산구, 호염구를 통칭하여 사용하는 명칭이다. 이 세포들은 골수에서 만들어 지고 혈액을 거쳐 전신조직에 분포한다. 전골수구 단계부터 각 세포의 특이한 과립이 나타나 호중구성, 호산구성, 호염구성 등으로 세포를 분류한다. 과립구는 성숙함에 따라 peroxidase 양성인 아주르 친화성 과립 (azurophilic granule)이 감소되고, peroxidase 음성인 특이과립 (specific granule)이 많아지며, 세포표면 Fc 수용체와 CRI나 CR3 등 보체에 대한 수용체가 나타난다. 호중구 (neutrophil) 는 2~6%로 세균이 인체에 침입하는 즉시 그 수가 극적으로 증가하며 대식세포와 함께 다양한 세균들의 표면에 있는 공통성분을 인지, 결합하여 식세포 작용을 하며, 싸이토카인 (cytokines) 이라는 생물학적 활성분자를 분비하는데 이 활성 분자들은 근처의 혈관을 확장시켜 국소 혈류를 늘리고 체액의 누출을 증가시키는 관절염 같은 염증효과를 나타내는 한편, 근처의 다른 백혈구를 불러 모으는 역할을 한다. 단핵구 (Monocyte) 는 2~9%로 혈관을 돌아다니면서 대식세포 (macrophage)로 분화하는데 백혈구 중에서 가장 크고 운동성이 있어 병원체나 독소가 침입하면 호중구와 함께 혈관 밖으로 빠져나가 침입한 병원체를 식세포 작용으로 처리한다. 호산구 (Eosiniphil)는 1 ∼ 5%로 피부나 소화기관의 내벽이나 호흡기도의 내벽과 같이 외부에 접해있는 부위에 다량 군집되어 외부로부터 체내로 들어오는 독성 물질을 해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아토피 및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에서 증가 되어 폐로 침착되어 천식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호염기구 (Basophil)는 0 ∼ 2%로 염증 관련 물질 생산, 천식, 알레르기, 과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만성 질환의 경우 체내의 염증반응과 호산구의 증가 등으로 혈소판 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말초 혈액 중 WBC수는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정상 DBA/1 생쥐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3mpk MTX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의 WBC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고, P.baumii를 투여한 실험군의 WBC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WBC 내의 neutrophils, eosinophils, basophils 의 빈도 (%)는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정상 DBA/1 생쥐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한 결과를 얻었고, 3mpk MTX을 투여한 양성대조군의 neutrophils의 빈도 (%) 는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P.baumii를 투여한 실험군의 neutrophils, eosinophils, basophils의 빈도 (%)는 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감소를 나타내었다 (도 15참조).
WBC 내의 lymphocytes, monocytes의 빈도 (%)는 neutrophils의 빈도와 상대적으로 반비례하여 빈도 (%)가 나타났다.
6) 림프 ( draining lymph node , DLN ) 및 관절 ( joints )의 총 세포수
DBA/1 OlaHsd 생쥐에 5주간 약물을 처리하여 실험을 종료하고, 실험동물을 ethyl ether로 마취시킨 후 림프 그리고 관절을 분리하여 총 면역세포수를 측정하였다.
림프의 T 세포는 항원으로 감작된 APC세포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세포증식과 분화로 세포수가 증폭된다. 이런 증폭된 활성세포는 조직병변으로 Joint-homing T cell 작용하여migration이 일어난다.
그래서 DLN에서 정상 DBA/1 생쥐에 비하여 관절염 유발 CIA 대조군이 7배이상 총세포수가 증가하고, 약물투여로 T 세포 활성을 억제, Treg세포 활성을 증진, Th17세포의 분화를 억제, 또는 Th2-Th1 역-조절 (counter regulation) 등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정상군에 가깝게 총세포수가 감소한다.
또한 관절부분에는 DLN와 PBMC에 있던 면역염증활성세포들이 여러 가지 recruit facter에 의하여 관절염증조직으로 accumulation 하여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총세포수가 4배 이상 증가하였고, 약물투여로 관절염증조직의 치료 및 완화로 총세포수가 감소를 나타내었다 (도 16참조).
7) 림프 및 관절의 형광유세포 분석
도 17 A), B)는 CIA생쥐모델에 4주간 MTX, P.baumii 를 투여한 후 각 DLN와 관절조직에서 면역세포를 분리하여 면역형광염색으로 표지하여 FACS로 분석한 결과로 림프와 관절의 총세포수를 적용한 DLN내의 총 absolute number 와 관절내의 총 absolute number 를 나타낸다.
도 17A)는 CD4+CD25+ (Th 활성세포), CD3+CD69+ (초기 T 활성세포), CD4+ (Th 세포), CD8+ (cytoxtic/supression T 세포), B220+CD23+ (B 활성세포), MHC-II4+CD11c+ (DC 활성세포)등 모두 DLN에서 관절염증을 유발 원인이 되는 세포들로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총 absolute No.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약물투여로 정상군에 가깝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17B)는CD3+ (T세포)와 CD19+ (B 세포)의 DLN내 총 absolute no.도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총 absolute No.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약물투여로 정상군에 가깝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17C)는 CIA생쥐모델에 4주간 MTX, P.baumii 를 투여한 후 각 관절조직에서 면역세포를 분리하여 면역형광염색으로 표지하여 FACS로 분석한 결과로 림프와 관절의 총세포수를 적용한 관절내의 총 absolute number 를 나타낸다.
관절내의 CD3+ (T 세포)와 CD11b+Gr-1+ (gralurocytes, neutrophils, eosinophil, basophil, mast 세포)등 모두 관절에서 염증작용으로 세포수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관절염증을 유발 원인이 되는 세포들로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의 총 absolute No.가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약물투여로 정상군에 가깝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8) 혈청 내에서 싸이토카인 ( cytokine ) 및 anti - type collagen antibody level 측정
관절염이 유발된 실험동물의 혈청 내에서 cytokines (TNF-α, IL-1β, IL-6) 을 측정하고, total antibody 혹은 anti-type Ⅱ collagen antibody과 같은 항원 특이적 항체의 level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18은 Collagen type II를 감작하여 Th1 관절염 자가면역질환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약물에 치료효능을 anti-type II Collagen antibody의 항체수준을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효능측정 중 하나로, 실험종료 후 혈청을 분리하여 ELISA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100배 이상 증가하였고, 약물의 치료 효력능에 따라 anti-type II Collagen antibody의 항체수준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19는 Collagen type II를 감작하여 Th1 관절염 자가면역질환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약물에 치료효능을 total antibody로 체액성면역을 담당하는 B세포가 CII항원에 대한 anti-type Ⅱ collagen antibody를 분비하는 과정 중 total RA factor IgG 항체수준을 측정한 결과로, 실험종료 후 혈청을 분리하여 ELISA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2배 이상 증가하였고, 약물의 치료 효력능에 따라 total RA factor IgG의 항체수준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도 20은 Collagen type II를 감작하여 Th1 관절염 자가면역질환을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약물에 치료효능을 total antibody로 체액성면역을 담당하는 B세포가 CII항원에 대한 anti-type Ⅱ collagen antibody를 분비하는 과정 중 total RA factor IgM 항체수준을 측정한 결과로, 실험종료 후 혈청을 분리하여 ELISA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하였고, 약물의 치료 효력능에 따라 total RA factor IgM의 항체수준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9) 배양된 비장세포에서의 cytokine level 측정
관절염이 유발된 실험동물의 비장을 무균상태에서 적출하여 cell suspension을 준비하고 lysis buffer을 사용하여 적혈구를 제거한다. RPMI 1640 배양액에서 필요한 cell수를 일정량의 type Ⅱ collagen이 처리된 well plate에서 일정시간 동안 배양한다. 상층액을 취한 후, ELISA kit를 사용하여 cytokines (IFN-g, TNF-α, IL-1β, IL-6) level을 측정하였다.
단, Flowcytometry를 이용하여 측정 시에서는 well plate에서 일정시간 동안 배양한 cell을 직접 사용하였다.
관절염 유발 생쥐 중 염증싸이토카인 측정은 관절염 치료효력실험 판정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관절염 생쥐의 혈청 내 염증싸이토카인 인 IL-1b, IL-6, TNF-a, IFN-g 혈청수준을 ELISA로 측정한 결과, 정상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증가하였고, 약물의 치료 효력능에 따라 혈청내 염증싸이토카인 인 IL-1b, IL-6, TNF-a, IFN-g 혈청수준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IL-10은 염증싸이토카인 억제 인자로 약물에 의한 치료효능으로 IL-10수준이 증가하여 염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의 결과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 P.baumii 150mpk에서 유의성 있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도 21참조).
10) 생쥐의 관절 ( joint )를 통한 조직분석
CIA생쥐모델에 5주간 MTX, P.baumii (150mpk) 그리고 P.baumii (50mpk)을 투여하고, 실험 종료 후 생쥐의 관절 (joint)를 적출하여 H&E 염색과 M-T 염색을 통하여 조직을 분석하였다 (도 22참조). CIA의 대조군으로 CII에 의한 관절염 유발 생쥐에 대식세포, 과립구세포, 단핵구 세포, 활막염증화 세포, 그리고 활막세포 hyperplasia의 침투가 일어나 연골과 뼈의 침하로 joint architecture의 손실이 일어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MTX처리군, P.baumii (150mpk) 투여군에서는 SM (synovial membrane)과 ST (synovial tissue)등에서 염증 세포 등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관절주변에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면역세포의 침투나 연골의 부식(erosion), 그리고 활막세포의 손상이 정상군에 가깝게 회복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P.baumii (50mpk) 에서는 약간 감소되었다.
<적용례 2> 상황버섯 ( Phellinus baumii ) 폴리페놀 추출물의 치수염 개선 평가
바우미 상황버섯으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 화합물인 다발리아락톤 화합물을 이용하여 치수염증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독성 검사
치아우식을 유발하는 치수염증 억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먼저 다발리아락톤의 치수세포에 미치는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치아의 제3 대구치에서 분리하여 정상적으로 배양된 치수세포 (1 X 105 cell)에 다발리아락톤을 각각의 농도별로 처리하였다. 이후 5% CO2 incubator에서 각각 24시간, 48시간 배양 후 MTT assay를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1차적으로 분리 배양한 치수세포에서 다발리아락톤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100 μM 농도에서 세포성장이 약간 억제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에는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1 μM과 10μM을 사용하였다 (도 24).
치수세포의 염증을 유도하기 위하여 0.5% FBS가 포함된 배지에 세포를 18시간 starvation 후 각각의 농도별로 다발리아락톤을 처리하고 1시간 후에 LPS 10 μg/ml을 처리 12시간 후 세포의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이후 Western blot 으로 세포접착인자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Zymography MMP -9,2의 발현
LPS에 의해 유도된 세포접착 분자가 다발리아락톤과 NAC에 의해 억제되었다. 또한 MMP-9,2 발현도 억제되었다. 이는 다발리아락톤이 치수염증 분자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5).
염증관련 신호전달 경로 및 cytokine 들의 발현
LPS에 의하여 AKT signal과 ERK signal이 활성화되었으나 다발리아락톤은 두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였다. 다발리아락톤은 또한 염증반응시 유도되는 cytokine의 활성을 억제시켰다 이는 다발리아락톤이 염증관련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하며 활성산소 전달신호 경로를 억제하여 두 신호전달 경로의 억제 결과로 cytokine들이 억제되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26).
다발리아락톤에 의한 활성산소 억제 효과
정상적으로 배양된 1X106 개의 치수세포에 다발리아락톤 10 및 20 μM을 전처리하고 1시간 후에 각각 H2O2 200 μM과 LPS 10 μg을 처리하였다. 이후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반응시킨 후 DCFH-DA 5 μM을 처리하고 30분간 반응 후 세포를 수확하였다. 이후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세포 10,000개당 형성된 활성산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치수세포에 H2O2 200 μM과 LPS 10 μg 처리 시 정상 배양된 치수세포와 비교하여 많은 활성산소가 유도되었다. 그러나 다발리아락톤이 처리된 그룹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산소의 형성이 억제되었다 (도 27).
Macrophage 세포에서 LPS 유도에 의한 다발리아락톤의 염증 억제 효과
박테리아 감염 등 염증반응 시 먼저 활성화를 보이는 macrophage 세포에서 LPS 유도에 의한 다발리아락톤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Raw 264.7 세포에 염증을 유도하기 위하여 0.5% FBS가 포함된 배지에 세포를 18시간 starvation 후 다발리아락톤 10 μM을 처리하고 1시간 후에 LPS 10 μg/ml을 처리 12시간 후 세포의 단백질을 회수하였다. 이후 Western blot 으로 염증관련 cytokine 발현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관련 cytokine들이 다발리아락톤에 의해 억제되었다. 이는 다발리아락톤이 치수염뿐만 아니라 다양한 염증관련 반응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28).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바우미 상황버섯(Phellinus baumii)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치수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우미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은 인터푼진 A (Interfungin A), 다발리아락톤 (Davallialactone) 또는 히폴로민 B (Hypholomine B)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치수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바우미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치수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81822A 2010-08-24 2010-08-24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4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822A KR101446179B1 (ko) 2010-08-24 2010-08-24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822A KR101446179B1 (ko) 2010-08-24 2010-08-24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959A KR20120021959A (ko) 2012-03-09
KR101446179B1 true KR101446179B1 (ko) 2014-10-01

Family

ID=46130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822A KR101446179B1 (ko) 2010-08-24 2010-08-24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1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0823A (zh) * 2018-12-21 2019-04-16 浙江中医药大学 一种Hypholomine B在制备免疫激活剂中的应用
KR20200071410A (ko) * 2018-12-11 2020-06-1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질진흙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스티릴파이론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2767A (ko) 2021-12-17 2023-06-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복실기를 포함하는 폴리페놀 트로메타민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907B1 (ko) * 2012-06-12 2014-08-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다발리아락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또는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460237B1 (ko) * 2012-09-19 2014-11-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히스피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CN102977114B (zh) * 2012-11-20 2015-01-14 浙江省中医药研究院 桑黄中单体成分-纤孔菌素a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29998B1 (ko) * 2013-06-25 2015-06-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히스피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뉴라미니데이즈 활성 억제용 조성물
KR101704111B1 (ko) * 2014-02-21 2017-0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차가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된 폴리페놀성분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4059080A (zh) * 2014-03-24 2014-09-24 浙江省中医药研究院 火木层孔菌桑黄中单体成分Hypholomine B的制备方法
TWI654298B (zh) 2017-02-10 2019-03-21 綠品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刺槐木層孔菌子實體的培養方法及其萃取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753A (ko) * 2008-03-31 2008-06-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페리너스 속 버섯 또는 이노노투스 속 버섯의 균사체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히스피딘 유사체를 포함하는 항산화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5753A (ko) * 2008-03-31 2008-06-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페리너스 속 버섯 또는 이노노투스 속 버섯의 균사체배양물로부터 분리된 히스피딘 유사체를 포함하는 항산화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 Pharm. Bull., 26(6), 823-831 (2003) *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54, 852-863 (2008) *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54, 852-863 (2008)*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3, 240-247 (2007)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13, 240-247 (2007)*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1410A (ko) * 2018-12-11 2020-06-1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질진흙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스티릴파이론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9265B1 (ko) * 2018-12-11 2020-07-2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목질진흙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스티릴파이론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기능 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620823A (zh) * 2018-12-21 2019-04-16 浙江中医药大学 一种Hypholomine B在制备免疫激活剂中的应用
CN109620823B (zh) * 2018-12-21 2021-03-16 浙江中医药大学 一种Hypholomine B在制备免疫激活剂中的应用
KR20230092767A (ko) 2021-12-17 2023-06-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복실기를 포함하는 폴리페놀 트로메타민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959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6179B1 (ko) 바우미 상황버섯 유래의 폴리페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13502456A (ja) リポタイコ酸由来の糖脂質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EP2133693B1 (en) Screening method for substance having action of activating/suppressing innate immunity.
KR101817552B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Xu et al. Structure properties, acquisition protocol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oleuropein aglycone
JP2014087364A (ja) 食用アピオス花、食品素材、血糖値上昇抑制効果具有物、血糖値上昇抑制物質およびアピオス花の使用方法
JP2016539184A (ja) 免疫調節剤としての用いるための藻類抽出物
Zhang et al. Ginsenoside Rg3 alleviates complete freund’s adjuvant-induced rheumatoid arthritis in mice by regulating CD4+ CD25+ Foxp3+ Treg cells
JP2018529637A (ja) ハマナスの花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il−6媒介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薬学的組成物
Nalli et al. TNF-α and IL-6 inhibitory effects of cyclic dipeptides isolated from marine bacteria Streptomyces sp
Liu et al.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picatechin-(2 β→ O→ 7, 4 β→ 8)-ent-epicatechin isolated from Rhododendron spiciferum in vitro
JP2011037800A (ja) アピオス花を用いた血糖値上昇抑制物質および糖尿病予防用食品素材
Ialenti et al. A novel lipid A from Halomonas magadiensis inhibits enteric LPS‐induced human monocyte activation
KR20120069221A (ko) 봉독조성물
KR101247802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6923100B1 (ja) 新規イソフラボン化合物
Qiao et al. Asperosin A, a [4+ 2] Diels–Alder cycloaddition polyketide dimer from Aspergillus rugulosa with immunosuppressive activity
KR101184343B1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97644B1 (ko) 갈대 내생균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59308B1 (ko) 불가사리 추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204500B1 (ko) 파테노라이드화합물의 패혈증 치료제로서의 새로운 용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70613B1 (ko) 라티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725464B (zh) 減脂之益生菌株及其組合物與用途
JP2009276245A (ja) 持続性皮膚炎症性疾患の改善剤をスクリーニングする方法及びその改善剤
WO2004004708A9 (en)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eful for treating chronic myeloid leukem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