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792B1 - 캠핑카의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캠핑카의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792B1
KR101445792B1 KR1020130004425A KR20130004425A KR101445792B1 KR 101445792 B1 KR101445792 B1 KR 101445792B1 KR 1020130004425 A KR1020130004425 A KR 1020130004425A KR 20130004425 A KR20130004425 A KR 20130004425A KR 101445792 B1 KR101445792 B1 KR 101445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topper
mattress
panel
mattress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103A (ko
Inventor
원종서
Original Assignee
(주)성우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우특장 filed Critical (주)성우특장
Priority to KR102013000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7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핑카의 시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캠핑카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를 쉽고 빠르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하고 의자와 매트리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편안하고 안락한 시트를 제공하는 동시에 차 실내 공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캠핑카의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는, 차량 차체(100) 및 지붕면(110), 그리고 지붕면(110) 위에서 접고 펼쳐지는 지붕 덮개(300)를 포함하는 캠핑카에 있어서, 시트 쿠션부(171)와 등받이부(172)로 구분되어 힌지(173)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차체(100)의 실내 공간(160)에 설치되는 시트(170); 상기 등받이부(172)의 후미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패널(174), 작동대(176)가 설치되어 진퇴 작동하도록 매트리스 패널(174)에 설치된 스토퍼(175); 상기 스토퍼(175)를 안착시켜 매트리스 패널(174)을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175)에 대응되는 차 실내 공간(160)의 벽면(161)에 설치된 스토퍼 홀더(177) 및 스토퍼 홈(1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캠핑카의 시트 장치{SEAT DEVICE FOR CAMPING CAR}
본 발명은 캠핑카의 시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캠핑카 내부에 설치되는 시트를 쉽고 빠르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하고 의자와 매트리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편안하고 안락한 시트를 제공하는 동시에 차 실내 공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캠핑카의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이용한 다양한 오토 캠핑 장비들이 소개되었다. 일반적으로 레저용 차량은 밴 타입의 차량이 주로 이용된다.
레저용 차량에는 이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목적 기능을 부가적으로 구비한 오토 캠핑 차량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루프(지붕) 상부에 화물이나 짐을 보관할 수 있는 캐리어를 장착하거나 루프를 개폐 가능한 구조로 변경한 차량 등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73213호에는 '차량용 텐트'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차량 차체의 지붕면에 고정되며 하부 내측 전후 방향으로 각각 두 개씩 양측으로 연장되고 그 끝단은 막혀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양측은 각각 개방부가 형성되는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가 가이드 홈에 각각 상응하여 일정 길이 양측 방향으로 확장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양측에 확장판이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확장판의 끝단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하부로 연장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이 구성된다.
그리고 확장판의 끝단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입설 되고 상호 대응하는 끝단을 연결 가능하도록 텐트의 골격을 형성하는 골조프레임이 구성되며 골조프레임을 덮을 수 있는 천막이 포함된다.
이 기술은 평상시에는 차량의 지붕에 바닥판과 확장판을 고정 장착해 놓고 사용할 때는 바닥판에서 확장판을 당겨내고 지지프레임과 골조프레임을 펼치고 위에서 천막을 덮어 차량 지붕에 일체화되는 차량 텐트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텐트를 차량에 수납하여 필요할 때 펼쳐서 사용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09-290643호에는 차량 지붕을 캠핑시 상부로 확장시키기 위해 보강대와 접철 링크를 구비하고 팝업 지붕을 승강시키기 위한 가스 댐퍼가 설치된 캠핑용 차량의 팝업 지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캠핑카 관련 기술들에는 차량의 실내에 접고 펼칠 수 있는 시트를 설치하여 필요할 때 시트를 접어서 의자로 사용하고 펼쳐서 매트리스로 사용할 수 있는 시트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캠핑카 시트 구조는 손쉽게 접고 펼칠 수 없으며 펼칠 경우 편안하고 안락한 시트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73213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 특개평 09-290643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차체 지붕에 천막을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되는 캠핑카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시트를 쉽고 빠르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캠핑카의 시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핑카 시트를 의자와 매트리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편안하고 안락한 캠핑카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캠핑카 시트의 절첩에 따라 차 실내 공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제고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는,
차량 차체 및 지붕면, 그리고 지붕면 위에서 접고 펼쳐지는 지붕 덮개를 포함하는 캠핑카에 있어서,
시트 쿠션부와 등받이부로 구분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차체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시트;
상기 등받이부의 후미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패널, 작동대가 설치되어 진퇴 작동하도록 매트리스 패널에 설치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를 안착시켜 매트리스 패널을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에 대응되는 차 실내 공간의 벽면에 설치된 스토퍼 홀더 및 스토퍼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에는 등받이부를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그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매트리스 패널은 쿠션이 있는 매트리스 쿠션부와 매트리스 쿠션부를 지지하는 백 패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매트리스 패널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트리스 패널을 스토퍼 홀더에 지지하는 지지 로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지붕에 천막을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되는 캠핑카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시트를 쉽고 빠르게 절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캠핑카 시트를 의자와 매트리스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편안하고 안락한 캠핑카 시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캠핑카 시트의 절첩에 따라 차 실내 공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간 활용도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를 펼친 상태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일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 시트 장치의 펼침 상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 시트 장치의 참고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 시트 장치의 후미부인 매트리스 패널의 참고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캠핑카 시트 장치의 매트리스 패널의 펼침 상태를 보인 참고 사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일측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를 펼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를 펼친 상태로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 (c)는 일측면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 시트 장치의 펼침 상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 시트 장치의 참고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 시트 장치의 후미부인 매트리스 패널의 참고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캠핑카 시트 장치의 매트리스 패널의 펼침 상태를 보인 참고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는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차체(100) 및 지붕면(110), 그리고 지붕면(110) 위에서 접고 펼쳐지는 지붕 덮개(300)를 포함하는 캠핑카로 구성된다.
그리고 시트 쿠션부(171)와 등받이부(172)로 구분되어 힌지(173)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차체(100)의 실내 공간(160)에 설치되는 시트(170)가 구성된다.
그리고 등받이부(172)의 후미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패널(174), 작동대(176)가 설치되어 진퇴 작동하도록 매트리스 패널(174)에 설치된 스토퍼(175)가 구성된다.
그리고 스토퍼(175)를 안착시켜 매트리스 패널(174)을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175)에 대응되는 차 실내 공간(160)의 벽면(161)에 설치된 스토퍼 홀더(177) 및 스토퍼 홈(178);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시트(170)에는 등받이부(172)를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그립(180)이 설치된다. 그립(180)은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끈과 같은 것으로 그립(180)을 잡고 당기면 시트 쿠션부(171)와 등받이부(172)를 결합하는 힌지(173)를 중심으로 등받이부(172)의 각도가 변화되고, 최대 수평 상태까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립(180)을 잡아당겨 등받이부(172)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은 상업적인 시트 각도조절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동차 시트 기술 분야에서 착석부인 시트 쿠션부(171)와 등받이부(172)의 각도 조절 관련 기술은 공지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동 및 수동식 각도조절장치들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시트 쿠션부(171)와 등받이부(172)의 구체적인 각도 조절 구성은 생략되었다.
또한, 매트리스 패널(174)은 쿠션이 있는 매트리스 쿠션부(174a)와 매트리스 쿠션부(174a)를 지지하는 백 패널부(174b)로 구성된다.
매트리스 쿠션부(174a)는 신체가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쿠션이 있는 부분이며, 백 패널부(174b)는 매트리스 쿠션부(174a)를 견고하게 받쳐주고 일정한 지지강도로 매트리스 패널(174)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매트리스 패널(174)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매트리스 패널(174)을 스토퍼 홀더(178)에 지지하는 지지 로드(179)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로드(179)는 손으로 잡고 매트리스 패널(174)의 조절 각도에 따라 매트리스 패널(174)을 뒤에서 받쳐 주거나 스토퍼 홀더(178)로부터 이탈시키면 수평 상태에 이르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시트(170)의 등받이부(172)와 매트리스 패널(174)이 거의 수평에 가깝도록 평행한 상태로 나타나 있다.
미설명 부호 181은 시트 쿠션부(171)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받쳐주는 '가이드 트랙'으로서 통상의 슬라이드 트랙 및 레일 형식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캠핑카의 일반적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체(100)의 절개부(120)는 지붕 덮개(300)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막혀있는 차체(100)의 지붕면(110)을 공간으로 뚫어놓은 형식이다.
지붕 덮개(300)는 절개부(120)를 가려주는 동시에 접혀지고 펼쳐지는 천막(130)을 포함한다. 천막(130)은 지붕 덮개(300)가 절개부(120)를 중심으로 여닫힐 때 지붕덮개(300)와 개방면(120) 사이 공간 틈을 가려주기 위한 천막과 같은 것이다.
천막(130)의 소재는 지붕 덮개(300)를 올리고 내릴 때 접혀지고 펼쳐짐이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소재가 적당하다. 합성수지 인조 섬유 및 비닐, 그리고 방수성과 내습성을 갖는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펼쳐짐 탄성과 자체 형상 유지를 위한 몇 가닥의 보강 띠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체(100)의 지붕면(110)에 뚫려 있는 절개부(120)에는 하부 프레임(200) 및 그 하부 프레임(200)을 따라 절첩 되는 상부 프레임(210)이 구성된다.
하부 프레임(200)을 따라 유압실린더기구(230) 및 그 로드(240)가 구성된다. 그리고 로드(240)에 일단이 조인트 되고 타단은 상부 프레임(210)과 결합 되어 상부 프레임(210)을 받쳐주고 로드(240)의 직선 운동에 따른 이동 거리에 따라 절첩 되면서 상부 프레임(210)을 들어올리고 내려주는 제1 서포터(250)와 제2 서포터(260)가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제2 서포터(250)(260)와 구분되는 떨어진 위치에서 상부 프레임(210)을 절첩 가능하도록 상부 프레임(210)의 일단을 하부 프레임(200)을 중심으로 받쳐주는 링크기구(400)가 구성된다.
링크기구(400)는, 제1 링크(410)(420)와 제2 링크(430)(440)로 구분되며 각각 힌지핀으로 결합된 2절 링크로 구성되고, 제1 링크(410)(420)와 제2 링크(430)(440)가 교차하는 부분은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교합 된다.
유압실린더기구(230)는, 지붕 덮개(300)를 작동하기 위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펌프, 유압펌프를 통해 발생 되는 유압을 유압실린더기구(230)에 공급하고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 유압펌프와 유압실린더기구를 연결하여 제어된 유압을 유압실린더기구측으로 송출하는 유압송출파이프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의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카의 시트 장치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시트(170)는 시트 쿠션부(171)와 등받이부(172)로 구분되어 힌지(173)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차체(100)의 실내 공간(160)에 설치되어 있어 필요할 때 그립(180)을 당겨 등받이부(172)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시트 쿠션부(171)에 대하여 등받이부(172)의 각도가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시트(170)의 예이다. 이 상태는 등받이부(172)의 각도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로서 의자의 기능을 한다.
도 5는 등받이부(172)를 거의 수평에 가깝도록 각도를 조절한 상태로서 그립(180)을 잡아 당겨 힌지(173)를 중심으로 등받이부(172)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이다. 도 6은 등받이부(172)의 각도를 시트 쿠션부(171)와 나란하도록 각도를 조절한 상태의 (a)정면, (b)평면, (c)일측면 도면이다.
도 7은 등받이부(172)의 후미부에 매트리스 패널(174)을 설치하고 그 매트리스 패널(174)과 등받이부(172)가 거의 나란한 평행 상태에 놓이도록 각도 조절을 마친 상태의 도면이다.
이 상태는 시트(170)의 최대 면적과 매트리스 패널(174)의 최대 면적을 더한 면적을 차 실내 공간(160)에서 확보한 상태에 해당한다.
시트(170)는 자체적으로 시트 쿠션부(171)와 시트 등받이부(172)로 되어 있어 쿠션 처리되어 있고 매트리스 패널(174)은 쿠션부(174a)로 되어 있어 마찬가지로 충격을 완화하고 안락한 휴식 공간 면적을 캠핑카의 실내 공간(160)에 제공한다.
매트리스 패널(174)의 각도 조절은 작동대(176)와 같은 작동체를 설치하고 이것을 손으로 잡고 진퇴 작동함으로서 스토퍼(175)를 움직일 수 있게 하여 매트리스 패널(17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 실내 공간(160)의 벽면(161)에는 스토퍼(175)를 안착시켜 매트리스 패널(174)을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175)에 대응되는 스토퍼 홀더(177) 및 스토퍼 홈(178)이 설치되어 있다.
매트리스 패널(174)를 수평에 가깝도록 내리면 백 패널부(1740b)에 설치된 스토퍼(175)가 하부로 이동하고 매트리스 패널(174)이 평행한 지점 근처에 이르면 스토퍼(175)는 대응되는 스토퍼 홀더(177)의 스토퍼 홈(178)에 안착 되어 더 이상 밑으로 내려가지 않고 평행한 상태에 정착된다.
이 상태에서 매트리스 패널(174)의 각도를 조절하려면 작동대(176)를 움직여서 스토퍼(175)가 스토퍼 홀더(177)의 스토퍼 홈(178)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고 상부로 들어올려 매트리스 패널(174)의 각도를 1차 조절한다.
매트리스 패널(174)의 1차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매트리스 패널(174)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매트리스 패널(174)을 스토퍼 홀더(178)에 지지 로드(179)의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은 매트리스 패널(174)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매트리스 패널(174)의 각도 조절을 완료한다.
시트(170)의 등받이부(172) 각도 조절은 등받이부(172)를 잡고 힌지(173)를 중심으로 움직여서 적당한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등받이부(172)의 각도 조절 방식은 수동, 전동식 등 다양한 형식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시트(170)의 실물 참고 사진으로서 등받이부(172)의 각도가 수직 방향으로 놓인 상태를 촬영한 참고 사진이다.
도 9는 매트리스 패널(174)의 실물 참고 사진으로서 패트리스 패널(174)이 수평에서 어긋나 올라간 위치에 위치결정되어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촬영한 참고 사진이다.
도 10은 매트리스 패널(174)을 수평에 가까운 평행 상태로 펼친 상태로서 스토퍼(175)가 스토퍼 홀더(177)에 안착 되어 매트리스 패널(174)의 백 패널부(174b)를 받쳐주고 있는 상태를 촬영한 참고 사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차체
110: 지붕면
120: 절개부
130: 천막
160: 실내공간
170: 시트
171: 시트 쿠션부
172: 등받이부
173: 힌지
174: 매트리스 패널
174a: 매트리스 쿠션부
174b: 백 패널부
175: 스토퍼
176: 작동대
177: 스토퍼 홀더
178: 스토퍼 홈
179: 지지 로드
180: 그립
200: 하부 프레임
210: 상부 프레임
230: 유압실린더기구
300: 지붕 덮개
400: 링크기구

Claims (4)

  1. 차량 차체(100) 및 지붕면(110), 그리고 지붕면(110) 위에서 접고 펼쳐지는 지붕 덮개(300)를 포함하는 캠핑카에 있어서,
    시트 쿠션부(171)와 등받이부(172)로 구분되어 힌지(173)를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차체(100)의 실내 공간(160)에 설치되는 시트(170);
    상기 등받이부(172)의 후미부에 설치되는 매트리스 패널(174), 작동대(176)가 설치되어 진퇴 작동하도록 매트리스 패널(174)에 설치되는 스토퍼(175);
    상기 스토퍼(175)를 안착시켜 매트리스 패널(174)을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175)에 대응되는 차 실내 공간(160)의 벽면(161)에 설치되는 스토퍼 홀더(177) 및 스토퍼 홈(17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의 시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70)에는 등받이부(172)를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그립(18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의 시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패널(174)은 쿠션이 있는 매트리스 쿠션부(174a)와 매트리스 쿠션부(174a)를 지지하는 백 패널부(174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의 시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 패널(174)의 각도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매트리스 패널(174)을 스토퍼 홀더(178)에 지지하는 지지 로드(17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핑카의 시트 장치.
KR1020130004425A 2013-01-15 2013-01-15 캠핑카의 시트 장치 KR101445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425A KR101445792B1 (ko) 2013-01-15 2013-01-15 캠핑카의 시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425A KR101445792B1 (ko) 2013-01-15 2013-01-15 캠핑카의 시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03A KR20140092103A (ko) 2014-07-23
KR101445792B1 true KR101445792B1 (ko) 2014-10-06

Family

ID=51738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425A KR101445792B1 (ko) 2013-01-15 2013-01-15 캠핑카의 시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80123B (en) * 2018-12-21 2021-06-16 Winters Luke Raising roof assembl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780A (ja) * 1995-05-23 1996-12-03 Honda Motor Co Ltd キャンピングカー
JPH0975173A (ja) * 1995-09-09 1997-03-25 San Jidosha Kogyo:Kk 自動車用キャンピングユニット
US6113172A (en) 1998-12-22 2000-09-0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ulti-positional vehicle shelf
KR100590162B1 (ko) * 2004-07-28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간이 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780A (ja) * 1995-05-23 1996-12-03 Honda Motor Co Ltd キャンピングカー
JPH0975173A (ja) * 1995-09-09 1997-03-25 San Jidosha Kogyo:Kk 自動車用キャンピングユニット
US6113172A (en) 1998-12-22 2000-09-05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ulti-positional vehicle shelf
KR100590162B1 (ko) * 2004-07-28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용 간이 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103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939B1 (ko) 캠핑카의 지붕 덮개 절첩장치
JP5690737B2 (ja) 折り畳み式座席
US8388015B2 (en) Folding wagon with seats
US7201426B2 (en) Vehicle seating apparatus
US8011686B2 (en) Folding wagon
US7014241B2 (en) Combination structure of storage box and center seat for vehicle
KR101376300B1 (ko) 캠핑카의 지붕 천막 절첩 유도장치
CN105163624A (zh) 手提箱,特别是登机手提箱
JP2018532632A (ja) 格納式テーブル
US20120313395A1 (en) Table and chair(s) removable from an automotive vehicle
WO2003057525A9 (en) Rear seats for a vehicle
US20130168988A1 (en) Utility vehicle
US7794005B2 (en) Motor vehicle seat assembly equipped with a load floor for a trunk
KR20070101929A (ko)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CN107627923A (zh) 用于车辆座椅的可变尺寸的座椅靠背
US8128144B2 (en) Pick-up style utility vehicle with expandable cargo bed
TR201606787A2 (tr) Konfor ve depolama amaçli kendi̇nden ayarli arka koltuk mi̇nderi̇
KR101445792B1 (ko) 캠핑카의 시트 장치
KR101367938B1 (ko) 캠핑카의 루프 바닥 구조
WO2011077888A1 (ja) 車両用シート
KR101938640B1 (ko) 캠핑 장치
US10343562B2 (en) Collapsible storage enclosure for vehicle
KR102035967B1 (ko) 차량 내부용 접이식 침대장치
US20230021185A1 (en) Convertible interior fixture with foldable cushion for a vehicle
JP3635639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