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525B1 -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 Google Patents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525B1
KR101445525B1 KR1020140037007A KR20140037007A KR101445525B1 KR 101445525 B1 KR101445525 B1 KR 101445525B1 KR 1020140037007 A KR1020140037007 A KR 1020140037007A KR 20140037007 A KR20140037007 A KR 20140037007A KR 101445525 B1 KR101445525 B1 KR 101445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ens
frame
caulking
filt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마루미코키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미코키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루미코키 카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6Filter hol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변형을 부여하지 않고 고착할 수 있는 박형이고 유효 직경이 큰 필터 유지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 유지 기구에서,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후방에 끼워 장착 유지되어 필터 렌즈를 이면에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는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로부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코킹 설형부의 원통 형상 환형체는 필터 렌즈의 모따기부 접촉면을 피복하여 필터 렌즈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 가공면 가장자리까지를 피복하는 길이를 갖는다.

Description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FILTER LENS HOLDING MECHANISM IN FILTER FRAME}
본 발명은,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 유지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의 두께를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필터 구경이 정해진 필터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최대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여,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의 전면(前面)에 장착해도 비네팅(vignetting)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 유지할 때의 고착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 렌즈에는, 물리적인 변형이나 가열에 의한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프레임 내에 각종의 필터 렌즈를 유지 가능한 코킹 가공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프레임은, 특히 렌즈 보호용의 필터, 원편광 필터, 광량 감소용 필터나, 특수 효과를 초래하는 줄무늬 효과용 필터, 피사체를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는 소프트 포커스용 필터 등, 이용 가치가 큰 디지털 카메라용의 각종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1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보급에 수반하여 파인더나 액정 화면으로 필터의 사용 효과를 다이렉트로 확인하면서 촬영하는 것이나, 여러 가지의 교환 렌즈를 장착하고, 그 교환 렌즈 경통 선단부에 각종 효과를 갖는 필터를 장착하여 카메라 촬영을 즐기는 것이 가능해져 왔다.
그러나, 필터는, 필터 프레임 본체 내에 각종의 효과를 갖는 원반형의 필터 렌즈를 내장, 유지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의 내경에는, 그 전연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후드 등의 어태치먼트나 상이한 필터의 중합용으로 암나사부가 나사 형성되어 있는 전통(前筒) 프레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필터 프레임 본체의 카메라 렌즈 경통측의 외경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 내경부에 형성된 장착용의 암나사부에 나사 장착되는 수나사부가 나사 형성되어 있는 후통(後筒) 프레임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 프레임 본체에 있어서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 본체의 두께는, 상기 암나사부가 나사 형성된 전통 프레임부와, 필터 렌즈의 두께, 및 필터 렌즈 유지용의 환형 링의 두께, 그리고 카메라 렌즈 경통측 내경부에 나사 장착되는 후통 프레임부를 더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래의 필터 프레임은, 아무래도 필터 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져, 상기 필터 프레임은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하여 이용하면 비네팅 현상을 일으키게 해버린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또한, 필터는, 정해진 필터 구경을 갖는 필터 프레임 본체 내에 원반형의 필터 렌즈를 유지하는 기구가 필요하고, 이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예컨대 필터 유지용의 누름 고리나 링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법, 혹은 필터 렌즈 후프레임의 일부를 코킹함으로써 고정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코킹에 의한 필터 유지 기구에 있어서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 내경부에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 가장자리부를 마련하고, 상기 환형 가장자리부의 후방에 필터 렌즈를 끼워 장착한 후, 상기 필터 렌즈의 후방 주연부를 코킹용 금형 공구나 코킹용 가열 공구로 코킹 가공함으로써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본체 내에 고착,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상기 코킹 가공에 의한 필터 렌즈의 고착 방법에서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 내경부에 마련되는 환형 가장자리부가 필터 렌즈의 후부에 마련되는 코킹 설형부(tongue)의 형상 가공이나, 코킹 가공을 행할 때의 코킹용 금형 공구의 외경 치수나 코킹용 가열 공구의 외경 치수에 의해 제한되어 버리기 때문에 필터 렌즈의 환형 가장자리부가 구성하는 유효 직경이 축소되어 일반적으로 작아지고, 애써 필터 프레임 본체를 얇게 제작해도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이 작아짐으로써 비네팅 현상을 일으키게 해버리는 결점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박형 형상을 갖는 필터 프레임을 구성한 일례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0-113016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예의 설명에서는, 필터 프레임에의 광학 필터(필터 렌즈)의 고정 방법에 관해서, 멈춤 링(누름 고리)을 이용한 예를 개시하여 설명하고, 상기 멈춤 링의 폭치수를 짧게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또한 다종다양한 광학 필터의 두께 치수를 일률적으로 얇게 하는 것은 곤란하며, 이 때문에 필터 프레임의 치수를 짧게 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카메라용 필터 유닛은, 통형의 필터 프레임과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한 통형의 필터 유지링과, 상기 필터 유지링의 내측에 유지되어 있는 광학 필터와, 상기 광학 필터의 전후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는 전측 스토퍼 및 후측 스토퍼를 갖고, 상기 전측 스토퍼는, 상기 필터 유지링의 전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측 스토퍼는, 상기 필터 유지링의 후단 가장자리 혹은 상기 필터 프레임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 유지링 및 상기 광학 필터는, 상기 필터 프레임의 전후의 단부로부터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발명에 있어서, 카메라용 필터 유닛은, 필터 프레임의 내측에 필터 유지링이 고정되어 있고, 이 필터 유지링의 내측에 광학 필터가 유지되어 있다. 즉, 광학 필터를 필터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부재인 필터 유지링이, 광학 필터의 전후에 배치되는 것은 아니고, 광학 필터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필터 유지링 및 광학 필터를 필터 프레임으로부터 노출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할 때에, 필터 프레임과 필터 유지링과 광학 필터는 동심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필터 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치수를 짧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예와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의 차이는, 종래예가 광학 필터의 고정구로서 멈춤 링을 이용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특허문헌 1의 발명은, 필터 유지링을 이용한 것이고, 광학 필터는 돌기와 코킹용 금속 금형에 의한 코킹 가공에 의해 상기 필터 유지링에 고정되며, 이 필터 유지링이 필터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발명과 같이 필터 프레임 내에 필터 유지링으로 고정되는 광학 필터를 원환형의 돌기(전측 스토퍼)나 원환형의 코킹부(후측 스토퍼)로 고정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돌기나 코킹부가 형성하는 부재의 두께 만큼의 치수를 짧게 할 뿐이고, 대폭적인 필터 프레임의 박형화는 구현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발명에 있어서는, 광학 필터를 입사광측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필터 유지링을 사용하고 있고, 이 필터 유지링이 광축측으로 돌출하여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축소하고 있는 것, 덧붙여 필터 유지링의 전단 가장자리(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연부라 함)에서 광축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원환형 돌기가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의 크기를 축소하고 있고, 애써 박형 필터를 제공해도, 정해진 필터 구경을 갖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이 축소되는 것에 따른 비네팅 현상의 발생 요인에 관한 언급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비네팅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 박형의 필터 프레임의 형상, 및 필터 구경이 정해진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최대한 크게 취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의 형상을 얻는 것이고, 그리고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고착할 때에, 필터 렌즈에는 물리적인 변형이나 가열에 의한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협지 가능한 코킹 가공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부터, 이 목적을 구현화하기 위해서 필터 렌즈의 후방에 마련되는 코킹 설형부의 구성이나 형상이 요건이 되는 것으로, 이것에 관련된 종래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8-191412호(이하, 특허문헌 2라 칭함)의 발명을 개시한다.
즉, 특허문헌 2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거울 프레임 본체에 있어서, 열코킹에 의해 렌즈가 고정되는 구성의 렌즈 거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렌즈 거울 프레임에 고정되는 렌즈에 변형을 부여하지 않고 거울 프레임에 고착할 수 있는 렌즈 거울 프레임을 제공한다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의 발명의 구성은, 광학 부재(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광학 부재의 일면과 맞닿기 때문에 광축 방향으로 돌출하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소의 돌기부와, 상기 돌출부 각각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광학 부재를 끼우도록 열코킹하기 위한 3개소의 코킹부를 갖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거울 프레임인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특허문헌 2의 발명에 있어서의 열코킹에 의한 렌즈 고정 방법에서는, 고정하기 위해서 프레임, 및 렌즈에 대하여 하중을 가하기 때문에, 특히 렌즈가 박육(薄肉)인 경우에는, 열코킹 하중 부여에 의해 잔류 응력이 남고, 코킹 고정 후의 상태라도 그 변화가 남은 채로 렌즈 프레임에 고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프레임의 유지 정밀도 확보를 위해, 렌즈 받침면을 3개소의 볼록면부에서 받는 유지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이러한 경우, 렌즈면의 변형이 특히 조장되어 버리는 일이 많다는 과제의 해결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목한 특허문헌 2의 구성은, [도 1] 및 [도 3]에 기재된 볼록형 코킹부(1c)의 단면 형상이며, 또한 [도 4] 및 [도 6]에 기재된 코킹용 금형(3)의 단면 형상도이다. 특허문헌 2의 [도 1]에 있어서, 거울 프레임 본체(1)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통형 부재이며, 전방측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렌즈 장착용 단차부(1a)가 마련되고, 이 단차부(1a) 상의 3개소에 광축과 직교하는 일평면을 형성하는 둘레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3개의 렌즈 광축 방향 위치 결정용 돌출부인 원호형상의 볼록 평면부(1b)가 마련된다. 또한, 렌즈(2)가 간극없이 삽입 가능한 내경부(1d), 및 상기 내경부를 따라서 볼록 평면부(1b)로부터 이격되고, 렌즈(2)의 주변의 두께에 대응하여 코킹하기 위한 필요 치수만큼 상방으로 연장되며, 둘레 방향으로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3개소의 원호 형상의 볼록형 코킹부(1c)가 마련되어 있다(특허문헌 2의 단락 번호[0023]참조).
또한, 볼록 평면부(1b)에 대하여 대응하는 볼록형 코킹부(1c)는, 둘레 방향동일 위치에 있고, 둘레 방향의 크기(폭)도 대략 동일하게 된다. 단, 볼록 평면부(1b)의 둘레 방향의 크기(폭)는, 볼록형 코킹부(1c)의 둘레 방향 크기(폭)와 상이하게 해도 상관없다. 또한, 볼록형 코킹부(1c)의 상방 외측은, 코킹을 행하기 위해서 근소한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특허문헌 2의 단락 번호[0024]).
렌즈 거울 프레임(10)은, 도 4~도 6에 나타내는 코킹용 금형(3)에 의해서 열코킹되고, 거울 프레임 본체(1)에 렌즈(2)가 고착된다. 이 코킹용 금형(3)은 하면측에 전체 둘레 링형의 평면 코킹부(3a)와, 그 외주에 테이퍼부(3b)를 갖고 있다. 평면 코킹부(3a)는,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링형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코킹용 금형(3)에 의해 렌즈 거울 프레임(10)의 열코킹을 행하는 경우, 렌즈(2)를 설치대(4) 상에 세트된 거울 프레임 본체(1)의 내경부(1d)에 삽입하고, 렌즈(2)의 하면(2b)을 볼록 평면부(1b) 상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볼록형 코킹부(1c)의 선단은, 렌즈(2)의 주위 표면으로부터 코킹양만큼 돌출되어 있다. 가열 상태의 코킹용 금형(3)을 내려놓아 볼록형 코킹부(1c)의 선단 부분을 평면 코킹부(3a)에서 가열하면서 클로형으로 압박 변형시켜 렌즈(2)를 거울 프레임 본체(1)에 고착한다. 이 열코킹시, 코킹용 금형(3)의 평면 코킹부(3a)는, 볼록형 코킹부(1c) 이외에 맞닿는 일이 않는다(특허문헌 2의 단락 번호[0025]).
렌즈(2)가 고착된 렌즈 거울 프레임(10)에 있어서,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2)의 외주 (3)개소가 거울 프레임 본체(1)의 볼록 평면부(1b)와 볼록형 코킹부(1c)의 압박 열변형된 선단(클로부)에 의하여 협지된다. 따라서, 렌즈(2)에는 상기 3개소의 협지 부분[볼록 평면부(1b)와 볼록형 코킹부(1c)] 이외에서의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고, 렌즈(2)의 코킹에 의한 변형은 매우 적다(특허문헌 2의 단락 번호[0026])는 점이다(이상, 특허문헌 2의 공보 참조. 괄호 내의 부호는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부호를 나타냄).
이렇게 하여, 상기 특허문헌 2의 발명에 있어서의 결점은, 렌즈(2)의 외주 (3)개소가 거울 프레임 본체(1)의 볼록 평면부(1b)와 볼록형 코킹부(1c)가 압박 열변형될 때에, 간극없이 내경부(1d)에 삽입되어 있는 렌즈(2)의 주연부의 코너부가, 코킹 가공 시에 코킹 설형부에 압박되어 렌즈(2)에 코킹 가공에 의한 변형을 부여해버리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알루미늄이나 놋쇠 등의 금속 환형 링을 절삭 가공하여 제작되는 렌즈 거울 프레임 본체(1)에 있어서도 동일한 현상이 발견되는 것 외에,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거울 프레임 본체(1)에 있어서는, 열코킹에 의해 렌즈(2)가 고정되는 구성의 렌즈 거울 프레임이며, 가열 상태의 코킹용 금형(3)을 내려놓아 평면 코킹부(3)로 가열하면서 압박 변형시킬 때에 고착되는 렌즈(2)에는, 볼록 평면부(1b), 볼록형 코킹부(1c), 내경부(1)를 통해 열이 직접 전해져 렌즈(2)에 열변형을 부여해버린다는 결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의 도 4, 및 도 5의 (A), (B)는, 알루미늄이나 놋쇠 등의 환형 링을 절삭하여 제조하는 금속제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의 종래예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4는, 필터 프레임 본체와 렌즈 경통의 장착 위치 설명도이며, 도 5의 (A), (B)는, 종래의 필터 렌즈 유지 기구에 있어서의 제조 공정, 및 가공 후의 유지 기구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5의 (A), (B)는, 도 4의 A-A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51은 필터 프레임 본체, 52는 필터 렌즈, 53은 디지털 카메라 본체, 54는 카메라 렌즈 경통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51)를 중심으로 하여, 55는 입사광측, 56은 카메라 렌즈 경통측, C는 필터 프레임 본체와 카메라 렌즈 경통의 광축, φ은 필터 구경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51)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52)에는, 렌즈 보호용의 필터, 원편광 필터, 광량 감소용 필터나, 특수 효과를 초래하는 줄무늬 효과용 필터, 피사체를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는 소프트 포커스용 필터 등의 각종 필터 렌즈가 이용되고 있다.
도 5의 (A), (B)에 있어서, 51은 필터 프레임 본체로서 알루미늄이나 놋쇠로 이루어지는 금속제의 환형 링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52는 필터 렌즈, t는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두께, 55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 56은 필터 프레임 본체의 카메라 렌즈 경통측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51)는 필터 프레임 본체를 대략 이분하여 입사광측(55)을 전통 프레임(57), 카메라 렌즈 경통측(56)을 후통 프레임(58)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프레임 본체(1)의 전통 프레임(57)의 내경부(59)에는, 후드 등의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60)가 나사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60)의 나사 베이스부에는, 언더컷(61)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언더컷(61)은, 암나사부(60)에 나사 결합하는 어태치먼트의 수나사가 여유를 갖고서 나사 장착되어 나사 베이스부에 마련된 스토퍼면(62)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상기 어태치먼트의 수나사가 단단히 맞물리지 않고 전통 프레임(57)의 암나사부(60)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조작 가능하다.
다음으로,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후통 프레임(58)의 외주부(63)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54)에의 장착용 수나사부(64)가 나사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64)의 나사 베이스부에는, 언더컷(65)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이 언더컷(65)은, 수나사부(64)가 나사 결합하는 카메라 렌즈 경통(54)의 암나사에 여유를 갖고서 나사 장착되어 나사 베이스부에 마련된 스토퍼면(66)에 접촉하는 구성을 갖고 있고, 상기 카메라 렌즈 경통(54)의 선단부에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수나사부(64)가 단단히 맞물리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조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통 프레임(57)과 후통 프레임(58)의 중앙부 내부측(67)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가 광축(C) 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으로 마련되고, 이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필터 렌즈(52)의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이 마련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의 후방부[카메라 렌즈 경통측(56)]에는,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킹 설형부(70)가 원환형 절삭 홈(71)을 새겨둠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이 코킹 설형부(70)는 외주 선단부에 코킹 보조용의 테이퍼(72)를 갖고 광축(C)을 중심으로 환형의 통형상으로 배치되며, 또한 상기 통형상의 코킹 설형부(70)의 내경부에는 필터 렌즈(52)를 감합 가능한 필터 렌즈 감합부(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 렌즈 감합부(73)의 내경부에 감합된 필터 렌즈(52)는, 코킹 설형부(70)의 테이퍼(72)부를 환형의 코킹용 금형(74)의 테이퍼부(75)와 코킹부(76)에 의해 가압 변형하고,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킹 설형부(70)의 테이퍼(72)의 선단부를 코킹 가공하며, 필터 렌즈(52)는,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과 코킹 가공된 코킹 설형부(70) 사이에서 협지되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이다.
이렇게 하여,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코킹용 금형(74)에 의해 코킹 설형부(70)의 선단부를 코킹 가공할 때에, 코킹에 의한 절곡 부분이 직접 필터 렌즈(52)의 후방 주연부에 마련된 코너부(77)[도 5의 (B)에 도시함]에 접촉하고 있고, 코킹 가공시에 있어서는 상기 코너부(77)가 지지점이 되어 버려 필터 렌즈 전연부(69)에도 코킹 가공을 위한 가압 변형력이 가해지게 되어, 필터 렌즈 전연부(69)나 필터 렌즈 전연부(69)를 형성하는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의 두께는, 코킹 가공을 위해 큰 두께(t2)를 갖는 튼튼한 형상이 필요로 되고 있다.
따라서,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두께(t)를 암나사부(60)와 언더컷(61)의 최소 기능(암나사의 나사 결합과 스토퍼 기능) 두께(t1)로 구성된 전통 프레임(57), 수나사부(63)와 언더컷(65)의 최소 기능(수나사의 나사 결합과 스토퍼 기능) 두께(t3)로 구성된 후통 프레임(58)에 두껍게 구성된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의 두께(t2)를 더하는 것은, 전체적으로,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광축 방향의 두께(t)를 크게 해버리기 때문에,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 비네팅이 발생하기 쉬운 요인을 만들어 버리는 결점이 생기고 있다.
또한,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코킹용의 코킹 설형부(70) 전체를 제작함에 있어서, 원환형 절삭 홈(71)을 새겨둠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원환형 절삭 홈(71)은 광축(C) 방향으로 깊게 절삭하여 코킹 설형부(70)를 형성하고, 그리고 원환형 절삭 홈(71)에 코킹용 금형(74)을 삽입하여 가압 변형 가공을 하는 것이므로, 이 원환형 절삭 홈(71)은 그 내경 치수(φ2)를 크게 설정하여 새겨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원환형 절삭 홈(71)의 내경(φ2)을 크게, 이 원환형 절삭 홈(71)의 폭(W)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여, 상기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마련되는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의 내경을 광축(C) 방향으로 이행시키게 되고, 필터 구경(φ)이 정해진 필터 프레임 본체(51)에 있어서, 그 유효 직경(φ3)을 현저하게 작게 해버려 비네팅의 발생 요인을 만들어 버리는 결점을 생기게 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코킹용 금형(74)에 의해 코킹 설형부(70)의 선단부를 90도로 절곡하여 코킹 가공하는 것으로, 그 굽힘 각도는 커진다. 또한, 상기 종래예는, 코킹에 의한 절곡 부분이 직접 필터 렌즈(52)의 후방 주연부나 코너부(77)에도 접촉하고 있고, 코킹 가공시에는 코너부(77)가 지지점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상기 필터 렌즈(52)에는 코킹 가공을 위한 가압 변형력이 변형으로서 가해지게 되고, 그 물리적인 변형은 필터 렌즈(52)의 유지 정밀도나 필터 렌즈면을 변형시키게 되기 때문에,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46359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칭함)에는,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1) 필터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의 두께를 박형으로 형성한 디지털 카메라용의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고, 이 필터 프레임은,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한다.
2) 필터 구경이 정해진 필터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최대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여,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의 전면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한다.
3)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 유지할 때의 고착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 렌즈에는, 물리적인 변형이나 가열에 의한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프레임 내에 각종의 필터 렌즈를 유지 가능한 코킹 가공 수단을 제공한다.
는 과제를 갖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에 관한 발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3의 발명은, 본 발명과 동일 발명자, 동일 출원인의 발명에 따른 것으로, 도 4 및 도 6의 (A), (B)에 있어서 특허문헌 3의 발명을 설명한다. 도 4는, 필터 프레임 본체와 렌즈 경통의 장착 위치 설명도이며, 도 6의 (A), (B)는, 도 4의 A-A 부분 확대 단면도로 종래의 필터 렌즈 유지 기구에 있어서의 제조 공정, 및 가공 후의 유지 기구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4 및 도 6의 (A), (B)에 있어서, 51은 필터 프레임 본체, 52는 필터 렌즈, 53은 디지털 카메라 본체, 54는 카메라 렌즈 경통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51)를 중심으로 하여, 55는 입사광측, 56은 카메라 렌즈 경통측, C는 필터 프레임 본체와 카메라 렌즈 경통의 광축, φ은 필터 구경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51)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52)에는, 렌즈 보호용의 필터, 원편광 필터, 광량 감소용 필터나, 특수 효과를 초래하는 줄무늬 효과용 필터, 피사체를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는 소프트 포커스용 필터 등의 각종 필터 렌즈가 이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3을 설명하는 도 6의 (A), (B)에 있어서, 51은 필터 프레임 본체로서 알루미늄이나 놋쇠에 의한 금속제의 환형 링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52는 필터 렌즈, t는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두께, 55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 56은 필터 프레임 본체의 카메라 렌즈 경통측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51)는 필터 프레임 본체(51)를 대략 이분하여 입사광측(55)을 전통 프레임(57), 카메라 렌즈 경통측(56)을 후통 프레임(58)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전통 프레임(57)의 내경부(59)에는, 후드 등의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60)가 나사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60)의 나사 베이스부에는, 언더컷(61)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언더컷(61)은, 암나사부(60)에 나사 결합하는 어태치먼트의 수나사가 여유를 갖고서 나사 장착되어 나사 베이스부에 마련된 스토퍼면(62)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상기 어태치먼트의 수나사가 단단히 맞물리지 않고 전통 프레임(57)의 암나사부(60)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조작 가능하다.
다음으로,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후통 프레임(58)의 외주부(63)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에의 장착용 수나사부(64)가 나사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64)의 나사 베이스부에는, 언더컷(65)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이 언더컷(65)은, 수나사부(64)가 나사 결합하는 카메라 렌즈 경통의 암나사에 여유를 갖고서 나사 장착되어 나사 베이스부에 마련된 스토퍼면(66)에 접촉하는 구성을 갖고 있고, 상기 카메라 렌즈 경통의 선단부에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수나사부(64)가 단단히 맞물리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조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통 프레임(57)과 후통 프레임(58)의 중앙부 내부측(67)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가 광축(C)측으로 돌출된 환형으로 마련되고, 이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필터 렌즈(52)의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과 그 후부에는 후부 감합 프레임(69a)이 마련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과 후부 감합 프레임(69a)의 후방부에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킹 설형부(70)가 원환형 절삭 홈(71)과 굽힘 변형용 원주 홈(78)을 새겨둠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이 코킹 설형부(70)는 카메라 렌즈 경통측에 개구되는 원환형 절삭 홈(71)과 상기 필터 렌즈(2)의 원주연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78)을 새겨두는 것에 의해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의 후방부로부터 L자형 형상을 갖고 필터 렌즈(52)의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체를 갖는 코킹 설형부(70)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57)의 후부에서 끼워 장착 유지되는 필터 렌즈(52)의 후단부에는 상기 L자형 형상의 코킹 설형부(70)의 선단부 내경측에 마련되는 코킹 접촉부(79)가 맞닿도록 적어도 필터 렌즈(52)의 광축(C)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접촉면(80)을 마련하고 있고, 이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80)에 코킹 설형부(70)의 코킹 접촉부(79)가 코킹 가공에 의해 맞닿아 필터 렌즈(52)를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57)과 코킹 설형부(70)의 코킹 접촉부(79)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킹 설형부(70)는 환형의 코킹용 금형(74)의 테이퍼부(75)와 코킹부(76)에 의해 가압 변형되는 것으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킹 설형부(70)의 코킹 접촉부(79)의 선단부를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80)에 접촉하는 물리적인 코킹 가공이 실시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3의 발명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 본체(51)는, 원환형의 필터 프레임 본체를 대략 이분하여 입사광측(55)을 전통 프레임(57)으로 하고 카메라 렌즈 경통측(56)을 후통 프레임(58)으로 하여 형성하며, 상기 전통 프레임(57)에는 입사광측(55)으로부터 전통 프레임(57)의 내경부(59)에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60)를 나사 형성하고, 또한 상기 후통 프레임(58)의 외주부(63)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에의 나사 장착용 수나사부(64)가 나사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60)와 수나사부(64)로 이루어지는 필터 프레임 본체(51)의 중앙부 내부측(67)에는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가 광축(C)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며, 이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68)의 선단부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이 마련되고, 이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의 후부 감합 프레임(69a)으로 필터 렌즈(52)를 끼워 장착 유지하며, 이 후부 감합 프레임(69a)에 끼워 장착 유지된 필터 렌즈(52)를 후방 이면으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70)는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의 후부에서 L자형 형상을 갖고 필터 렌즈(52)의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체를 형성하고, 상기 L 자형 형상의 코킹 설형부(70)의 선단부 내경측에는 상기 필터 렌즈(52)의 후단부에 맞닿아 필터 렌즈(52)를 협지하기 위한 코킹 접촉부(79)를 마련하며, 이 코킹 접촉부(79)의 굽힘 변형 부위에는 상기 필터 렌즈(52)의 원주연부에 코킹 설형부(70)의 내경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필터 렌즈(52)의 원주연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78)을 새겨두어 상기 코킹 설형부(70)의 가압 변형시에 코킹 설형부(70)의 변형부가 필터 렌즈(52)의 원주연부나 필터 렌즈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의 발명은,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의 후부에서 끼워 장착 유지되는 필터 렌즈(52)의 후단부에는 L자형 형상의 코킹 설형부(70)의 선단부의 내경측에 마련되는 코킹 접촉부(79)가 맞닿도록 적어도 필터 렌즈(52)의 광축(C)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접촉면(80)을 마련하고 있고, 이 필터 렌즈(52)의 모따기 접촉면(80)에 상기 코킹 설형부의 코킹 접촉부(79)가 코킹 가공에 의해 맞닿아 필터 렌즈(52)를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과 코킹 설형부(70)의 코킹 접촉부(79) 사이에서 협지하도록 구성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3의 발명은,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렌즈(52)를 필터 렌즈 전연부(69)와 후방에 마련한 코킹 설형부(70) 사이에서 협지하여 고착할 때에, 필터 렌즈(52)의 모따기 접촉면(80)에 코킹 설형부(70)의 코킹 접촉부(79)를 맞닿게 한 구조인 것과, 필터 렌즈(52)의 모따기 접촉면(80)만을 코킹 접촉부(79)로 맞닿게 하여 협지하고 있는 구조이며, 필터 렌즈(52)를 협지하여 고착하기 위한 코킹 접촉부(79)의 결합 접촉면의 폭이 작고, 또한 코킹 접촉부(79)의 접촉면은, 필터 렌즈(52)의 광축(C)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기울기를 갖고 구성된 모따기 접촉면(80)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부터 코킹 가공되어 맞닿고 있는 것으로부터, 필터 렌즈(52)의 고착 상태가 아무리 해도 견고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고착할 수 없는 결점이 생기고 있다.
또한, 필터 렌즈(52)의 모따기 접촉면(80)은, 광축(C)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기울기를 갖는 외주원 가장자리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 렌즈(52)를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69)의 후부 감합 프레임(69a)에 끼워 장착 유지한 후, 상기 필터 렌즈(52)의 모따기 접촉면(80)에 코킹 접촉부(79)를 코킹 가공으로 균일하게 접촉하는 것은 가공 정밀도 상 매우 무리가 있고, 현실상의 문제로서, 모따기 접촉면(80)이 코킹 접촉부(79)에 의해 완전히 피복할 수 없기 때문에, 이 피복할 수 없는 모따기 접촉면(80) 부분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필터 렌즈(52)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이 있어 균일성을 중시한 생산 활동에 있어서는, 품질면에서는 큰 결점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의 발명에 있어서, 필터 렌즈(52)의 제작은 원판 형상으로 잘라낸 필터 렌즈(52)의 원주연부에 광축(C)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가공을 실시하여 예리한 절단면을 없애고, 안전하고 코너 균열이 없는 취급하기 쉬운 필터 렌즈(52)를 만들어, 상기 모따기 가공 부분을 필터 렌즈(52)의 모따기 접촉면(80)으로 하고 있으며, 필터 렌즈(52)는 모따기 접촉면(80)의 가공후에 필터 렌즈(52)의 양면에 빛의 반사 방지 피막(81a, 81b)을 피복 가공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필터 렌즈(52)에 있어서, 모따기 접촉면(80)의 가공후에 필터 렌즈(52)의 양면에 빛의 반사 방지 피막(81a, 81b)을 피복 가공함에 있어서는, 상기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가공면을 피하여 반사 방지 피막(81a, 81b)을 피복 가공해야 하기 때문에 모따기 가공면, 즉 모따기 접촉면(80)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81a, 81b)의 원주연부까지는, 0.5 ㎜~1.0 ㎜ 정도의 간극이 생겨 버린다. 이렇게 하여, 모따기 접촉면(80)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81a)의 원주연부까지의 간극은, 빛의 반사 방지 피막 가공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되고, 반사 방지 피막이 없는 간극으로부터는, 반사광이 입사하여 필터 렌즈(52)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0-113016호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8-191412호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46359호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필터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의 두께를 박형으로 형성한 디지털 카메라용의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고, 이 필터 프레임은,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구경이 정해진 필터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최대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여,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의 전면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 유지할 때의 고착시에 있어서, 이 필터 렌즈에는, 물리적인 변형이나 가열에 의한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프레임 내에 각종의 필터 렌즈를 유지 가능한 코킹 가공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가, 필터 렌즈의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의 코킹 접촉부를 이용한 모따기 접촉면에의 접촉에 의한 협지에 의해 고정하고 있었던 구조상의 결점을 해소하고, 충격이나 진동에 강한 견고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가, 필터 렌즈의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의 코킹 접촉부를 이용한 모따기 접촉면에의 접촉에 의해 협지하고 있었던 구조상의 이유로 인해, 모따기 접촉면이 코킹 접촉면에 의해 상기 모따기 접촉면을 완전히 피복할 수 없고, 피복할 수 없는 모따기 접촉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나, 필터 렌즈에 있어서, 모따기 접촉면의 가공 후 필터 렌즈의 양면에 빛의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함에 있어서는,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가공면을 피하여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해야 하여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는, 0.5 ㎜~1.0 ㎜ 정도의 간극이 생기고 있고, 이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의 간극은, 빛의 반사 방지 피막 가공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되며, 반사 방지 피막이 없는 간극으로부터는, 반사광이 입사하여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 본체는 원환형의 필터 프레임 본체를 대략 이분하여 입사광측을 전통 프레임으로 하고 카메라 렌즈 경통측을 후통 프레임으로서 형성하며, 상기 전통 프레임에는 입사광측으로부터 전통 프레임 내경부에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를 나사 형성하고, 또한 상기 후통 프레임의 외주부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에의 나사 장착용 수나사부가 나사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로 이루어지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중앙부 내부측에는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가 광축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이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의 선단부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이 마련되며, 이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후방에 필터 렌즈를 끼워 장착하여 유지하고, 이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에 끼워 장착하여 유지된 필터 렌즈를 후방의 이면으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는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후부로부터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로부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를 형성하며,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의 밑동부 내경측에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을 새겨둠으로써 상기 굽힘 변형용 원주 홈의 바닥부 후방부에 굽힘 변형 내각부(內角部)를 마련하고, 이 굽힘 변형 내각부를 기점으로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상기 코킹 설형부의 원통 형상 환형체는 굽힘 변형 내각부로부터 상기 필터 렌즈의 모따기부 접촉면을 피복하여 필터 렌즈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 가공면 가장자리부까지를 피복하는 길이를 갖는 코킹 설형부로 이루어지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유효 구경과 필터 렌즈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에 의해 협지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구경이 동일해지도록 코킹 설형부를 형성함으로써 원통 형상 환형체의 길이를 설정하여 필터 전연 프레임과 코킹 설형부의 가장자리부를 가지런히 하고, 상기 가장자리부를 깨끗하게 가공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형 환형체의 밑동부에 새겨진 굽힘 변형 내각부의 내경측에 코킹 설형부의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형 환형체 선단부에 있어서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 단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굽힘 변형 내각부의 내경측에 코킹 설형부의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을 형성하는 것, 및 코킹부의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 코너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킹 설형부의 코킹 가공면은, 코킹 가공시에 균열이나 금 균열에 의한 변색이 없는 깨끗한 도금 마무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은, 필터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의 두께를 박형으로 형성한 디지털 카메라용의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은,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 가능하게 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구경이 정해진 필터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최대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고,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의 전면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 가능하게 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 유지할 때의 고착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 렌즈에는, 물리적인 변형이나 가열에 의한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프레임 내에 각종의 필터 렌즈를 유지 가능한 코킹 가공 수단을 제공 가능하게 하고, 필터 렌즈(2)의 유지 정밀도의 향상이나 필터 렌즈면에 변형을 부여하지 않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을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오토포커스용 모터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가, 필터 렌즈의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의 코킹 접촉부를 이용한 모따기 접촉면에의 접촉에 의해 협지하고 있었던 구조상의 이유로 인해, 모따기 접촉면이 코킹 접촉면에 의해 상기 모따기 접촉면을 완전히 피복할 수 없고, 피복할 수 없는 모따기 접촉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나, 필터 렌즈에 있어서, 모따기 접촉면의 가공 후 필터 렌즈의 양면에 빛의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함에 있어서는,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가공면을 피하여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해야 하여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는, 0.5 ㎜~1.0 ㎜ 정도의 간극이 생기고 있고, 상기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의 간극은, 빛의 반사 방지 피막 가공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되며, 반사 방지 피막이 없는 간극으로부터는, 반사광이 입사하여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결점을 해소하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를 필터 본체의 부품과 필터 렌즈의 조합과 같이 극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조립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코킹 가공에 의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유효 구경과 필터 렌즈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에 의해 협지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구경이 동일해지도록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 환형체의 길이를 설정하여 필터의 유지 기구부의 외관 형상을 아름답게 구성하고, 충격이나 진동에 강한 견고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렌즈의 코킹 가공부에 있어서, 코킹 설형부에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을 형성하거나, 코킹 설형부의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 코너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함으로써, 코킹 가공면은 코킹 가공시에 균열이나 금 균열에 의한 변색이 없는 깨끗한 도금 마무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는 필터 프레임 본체를 나타내는 주요부종단면도.
도 2의 (A)는 도 1의 A-A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의 (B)는 도 2의 (A)의 확대 단면도로 코킹 가공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3의 (B)는 도 4의 (A)의 확대 단면도로 코킹 가공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래예를 설명하는 필터 프레임 본체와 렌즈 경통의 장착 위치 설명도.
도 5의 (A)는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예의 설명도로서 도 4의 A-A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의 (B)는 종래예의 설명도로서 도 6의 (A)의 코킹 가공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의 (A)는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종래예의 설명도로서 도 4의 A-A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의 (B)는 종래예의 설명도로서 도 6의 (A)의 코킹 가공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의 두께를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필터 구경이 정해진 필터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최대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여,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의 전면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 유지할 때의 고착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 렌즈에는, 물리적인 변형이나 가열에 의한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프레임 내에 각종의 필터 렌즈를 유지 가능한 코킹 가공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프레임은, 특히 렌즈 보호용의 필터, 원편광 필터, 광량 감소용 필터나, 특수 효과를 초래하는 줄무늬 효과용 필터, 피사체를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는 소프트 포커스용 필터 등, 이용 가치가 큰 디지털 카메라용의 각종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1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보급에 수반하여 파인더나 액정 화면으로 필터의 사용 효과를 다이렉트로 확인하면서 촬영하는 것이나, 여러 가지의 교환 렌즈를 장착하여, 그 교환 렌즈 경통 선단부에 각종 효과를 갖는 필터를 장착하여 카메라 촬영을 즐기는 것이 가능해져 왔다.
그러나, 필터는, 필터 프레임 본체 내에 각종의 효과를 갖는 원반형의 필터 렌즈를 내장, 유지하고, 이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의 내경에는, 그 전연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후드 등의 어태치먼트나 다른 필터의 중합용으로 암나사부가 나사 형성되어 있는 전통 프레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필터 프레임 본체의 카메라 렌즈 경통측의 외경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 내경부에 형성된 장착용의 암나사부에 나사 장착되는 수나사부가 나사 형성되어 있는 후통 프레임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터 프레임 본체에 있어서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 본체의 두께는, 상기 암나사부가 나사 형성된 전통 프레임부와, 필터 렌즈의 두께, 및 필터 렌즈 유지용의 환형 링의 두께, 그리고 카메라 렌즈 경통측 내경부에 나사 장착되는 후통 프레임부를 더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래의 필터 프레임은, 아무리 해도 필터 프레임의 두께가 두꺼워져, 상기 필터 프레임은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하여 이용하면 비네팅 현상을 일으키게 해버린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필터는, 정해진 필터 구경을 갖는 필터 프레임 본체 내에 원반형의 필터 렌즈를 유지하는 기구가 필요하고, 이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예컨대 필터 유지용의 누름 고리나 링 스프링을 이용하는 방법, 혹은 필터 렌즈 후프레임의 일부를 코킹함으로써 고정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상기 코킹에 의한 필터 유지 기구에 있어서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 내경부에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 가장자리부를 마련하고, 이 환형 가장자리부의 후방에 필터 렌즈를 끼워 장착한 후, 상기 필터 렌즈의 후방 주연부를 코킹용 금형 공구나 코킹용 가열 공구로 코킹 가공함으로써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본체 내에 고착, 유지하고 있다.
그렇게 하여, 상기 코킹 가공에 의한 필터 렌즈의 고착 방법에서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 내경부에 마련되는 환형 가장자리부가 필터 렌즈의 후부에 마련되는 코킹 설형부의 형상 가공이나, 코킹 가공을 할 때의 코킹용 금형 공구의 외경 치수나 코킹용 가열 공구의 외경 치수에 의해 제한되어 버리기 때문에 필터 렌즈의 환형 가장자리부가 구성하는 유효 직경이 축소되어 일반적으로 작아지고, 애써, 필터 프레임 본체를 얇게 제작해도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이 작아짐으로써 비네팅 현상을 생기게 해버린다는 결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코킹용 금형에 의해 코킹 설형부의 선단부를 절곡하여 코킹 가공할 때에, 코킹에 의한 절곡부분이 직접 필터 렌즈의 주연부에 접촉하고 있고, 이 필터 렌즈의 주연부에 있어서의 코너부가 지지점이 되어 코킹 가공에 있어서는, 상기 필터 렌즈에 코킹 가공을 위한 가압 변형력이 변형으로서 가해지게 되며, 그 물리적인 변형은 필터 렌즈의 유지 정밀도나 필터 렌즈면을 변형시키게 되어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 본체는 원환형의 필터 프레임 본체를 대략 이분하여 입사광측을 전통 프레임으로 하고 카메라 렌즈 경통측을 후통 프레임으로 하여 형성하며, 상기 전통 프레임에는 입사광측으로부터 전통 프레임 내경부에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를 나사 형성하고, 또한 상기 후통 프레임의 외주부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에의 나사 장착용 수나사부가 나사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로 이루어지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중앙부 내부측에는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가 광축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의 선단부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후방에 필터 렌즈를 끼워 장착 유지하고,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에 끼워 장착 유지된 필터 렌즈를 후방의 이면에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는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후부로부터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로부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를 형성하며,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의 밑동부 내경측에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을 새겨둠으로써 이 굽힘 변형용 원주 홈의 바닥부의 후방부에 굽힘 변형 내각부를 마련하고, 이 굽힘 변형부를 기점으로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상기 코킹 설형부의 원통 형상 환형체는 굽힘 변형 내각부로부터 상기 필터 렌즈의 모따기부 접촉면을 피복하여 필터 렌즈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 가공면 가장자리부까지를 피복하는 길이를 갖는 코킹 설형부로 이루어지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유효 구경과 필터 렌즈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에 의해 협지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구경이 동일해지도록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 환형체의 길이를 설정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형 환형체의 밑동부에 새겨진 굽힘 변형 내각부의 내경측에 코킹 설형부의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이기도 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형 환형체 선단부에 있어서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 단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한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이기도 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굽힘 변형 내각부의 내경측에 코킹 설형부의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을 형성하는 것, 및 코킹부의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 코너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킹 설형부의 코킹 가공면은, 코킹 가공시에 균열이나 금 균열에 의한 변색이 없는 깨끗한 도금 마무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의 두께를 박형으로 형성한 디지털 카메라용의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은,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 가능하게 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구경이 정해진 필터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최대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여,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의 전면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 가능하게 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 유지할 때의 고착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 렌즈에는, 물리적인 변형이나 가열에 의한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프레임 내에 각종의 필터 렌즈를 유지 가능한 코킹 가공 수단을 제공 가능하게 하며, 필터 렌즈의 유지 정밀도의 향상이나 필터 렌즈면에 변형을 부여하지 않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을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오토포커스용 모터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가, 필터 렌즈의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의 코킹 접촉부를 이용한 모따기 접촉면에의 접촉에 의해 협지하고 있었던 구조상의 이유로 인해, 모따기 접촉면이 코킹 접촉면에 의해 상기 모따기 접촉면을 완전히 피복할 수 없고, 피복할 수 없는 모따기 접촉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나, 필터 렌즈에 있어서, 모따기 접촉면의 가공 후 필터 렌즈의 양면에 빛의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함에 있어서는,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가공면을 피하여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해야 하여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는, 0.5 ㎜~1.0 ㎜ 정도의 간극이 생기고 있고, 이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의 간극은, 빛의 반사 방지 피막 가공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되며, 반사 방지 피막이 없는 간극으로부터는, 반사광이 입사하여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결점을 해소하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를 필터 본체의 부품과 필터 렌즈의 조합과 같이 극단적으로 경감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조립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코킹 가공에 의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유효 구경과 필터 렌즈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에 의해 협지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구경이 동일해지도록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 환형체의 길이를 설정하여 필터의 유지 기구부의 외관 형상을 아름답게 구성하며, 충격이나 진동에 강한 견고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렌즈의 코킹 가공부에 있어서, 코킹 설형부에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을 형성하거나, 코킹 설형부의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 코너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함으로써, 코킹 가공면은 코킹 가공시에 균열이나 금 균열에 의한 변색이 없는 깨끗한 도금 마무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는 필터 프레임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이 필터 프레임은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 경통 전면(前面)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도 2의 (A)는, 도 1의 A-A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의 단면도로 코킹 가공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필터 프레임 본체, 2는 필터 렌즈를 나타내고 있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1)를 중심으로 하여, 3은 입사광측, 4는 카메라 렌즈 경통측, C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광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t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두께, φ1은 필터 구경, φ3은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1)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2)에는, 렌즈 보호용의 필터, 원편광 필터, 광량 감소용 필터나, 특수 효과를 초래하는 줄무늬 효과용 필터, 피사체를 부드럽게 표현할 수 있는 소프트 포커스용 필터 등의 각종 필터 렌즈가 이용되고 있다.
실시예 1은, 렌즈 경통의 전면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 본체(1)의 광축 방향 C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 본체(1)의 두께(t)를 박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필터 구경(φ1)이 정해진 필터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 본체(1) 내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φ3)을 최대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 프레임 본체(1)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2)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여,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의 전면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 본체(1)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2)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2)를 필터 프레임 본체(1) 내에 내장, 유지할 때의 고착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 렌즈(2)에는, 물리적인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프레임 본체(1) 내에 각종의 필터 렌즈(2)를 유지 가능한 코킹 가공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2의 (A), (B)에 있어서, 1은 필터 프레임 본체로서 알루미늄이나 놋쇠에 의한 금속제의 환형 링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2는 필터 렌즈, t는 필터 프레임 본체(1)의 두께, 3은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 4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카메라 렌즈 경통측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1)는 필터 프레임 본체(1)를 대략 이분하여 입사광측(3)을 전통 프레임(5), 카메라 렌즈 경통측(4)을 후통 프레임(6)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프레임 본체(1)의 전통 프레임(5)의 내경부(7)에는, 후드 등의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8)가 나사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8)의 나사 베이스부에는, 언더컷(9)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언더컷(9)은 암나사부(8)에 나사 결합하는 어태치먼트의 수나사가 여유를 갖고서 나사 장착되어 나사 베이스부에 마련된 스토퍼면(10)에 맞닿는 구성으로, 상기 어태치먼트의 수나사가 단단히 맞물리지 않고 전통 프레임(5)의 암나사부(8)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조작 가능하다.
다음으로, 필터 프레임 본체(1)의 후통 프레임(6)의 외주부(11)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에의 장착용 수나사부(12)가 나사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12)의 나사 베이스부에는, 언더컷(13)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이 언더컷(13)은, 수나사부(12)가 나사 결합하는 카메라 렌즈 경통의 암나사에 여유를 갖고서 나사 장착되어 나사 베이스부에 마련된 스토퍼면(14)에 맞닿는 구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 렌즈 경통의 선단부에 필터 프레임 본체(1)의 수나사부(12)가 단단히 맞물리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조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통 프레임(5)과 후통 프레임(6)의 중앙부 내부측(15)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가 광축(C)측으로 돌출된 환형으로 마련되고, 이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필터 렌즈(2)의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과 필터 렌즈(2)의 감합 프레임(17a)이 마련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과 감합 프레임(17a)의 후방부에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킹 설형부(18)가 원환형 절삭 홈(19)과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을 새겨둠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이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과 감합 프레임(17a)에 의해 끼워 장착 유지되는 필터 렌즈(2)를 그 후방 이면에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18)는,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과 감합 프레임(17a)의 후부에서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21)로부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를 형성하고, 상기 코킹 설형부(18)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의 밑동부 내경측에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을 형성함으로써, 이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의 바닥부 후방부에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설정하며, 이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기점으로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상기 코킹 설형부(18)의 원통 형상 환형체(22)는 굽힘 변형 내각부(23)로부터 상기 필터 렌즈의 모따기부 접촉면(24)을 피복하여, 필터 렌즈(2)의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25)의 가공면 가장자리(26)까지를 피복하는 길이를 갖는 코킹 설형부(18)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A)에 있어서의 φ4는 반사 방지 피막의 피복 가공부 직경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가 형성하는 코킹 설형부(18)의 내경부측에는, 필터 렌즈(2)의 후부에 맞닿아 필터 렌즈(2)를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 사이에서 협지 고정하는 코킹 접촉부(2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킹 접촉부(27)에 대향하는 필터 렌즈(2)의 이면 후부에는 필터 렌즈(2)의 광축(C)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기울기를 갖는 상기 모따기 접촉면(24)을 마련하고 있고, 상기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24)을 코킹 설형부(18)의 코킹 접촉부(27)가 코킹 가공에 의해 접촉 피복하고, 상기 코킹 설형부(18)의 선단 원주연부(28)는, 필터 렌즈(2)의 이면측에 코킹되어 필터 렌즈(2)의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25)의 가공면 가장자리부(26)까지를 피복하고 있다.
또한, 상기 코킹 설형부(18)는 환형의 코킹용 금형(29)의 형부(30)와 코킹 가공부(31)에 의해 가압 변형되는 것으로,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킹 설형부(18)의 접촉부(27)의 선단부를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24)에 접촉하는 물리적인 코킹 가공이 실시된다.
따라서, 실시예 1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 본체는, 원환형의 필터 프레임 본체(1)를 대략 이분하여 입사광측(3)을 전통 프레임(5)으로 하고 카메라 렌즈 경통측(4)을 후통 프레임(6)으로 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통 프레임(5)에는 입사광측(3)으로부터 전통 프레임 내경부(7)에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8)를 나사 형성하고, 또한 상기 후통 프레임(6)의 외주부(11)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에의 나사 장착용 수나사부(12)가 나사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8)와 수나사부(12)로 이루어지는 필터 프레임 본체(1)의 중앙부 내부측(15)에는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가 광축(C)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의 선단부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이 마련되며, 이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의 후방에 필터 렌즈(2)를 끼워 장착 유지하고, 이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에 끼워 장착 유지된 필터 렌즈(2)를 후방의 이면에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18)는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의 후부로부터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21)로부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를 형성하며, 상기 코킹 설형부(18)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의 밑동부 내경측에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을 새겨둠으로써 상기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의 바닥부 후방부에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마련하고, 상기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기점으로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상기 코킹 설형부(18)의 원통 형상 환형체(22)는 굽힘 변형 내각부(23)로부터 상기 필터 렌즈(2)의 모따기부 접촉면(24)을 피복하여 필터 렌즈(2)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25)의 가공면 가장자리(26)까지를 피복하는 길이를 갖는 코킹 설형부(18)로 이루어지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실시예 1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코킹용 금형(29)에 의해 코킹 설형부(18)의 선단부를 코킹 가공할 때에, 코킹에 의한 절곡 부분이 직접 필터 렌즈(2)의 후주연부 등에 접촉하고 있지 않고, 코킹 가공시에 있어서는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에는 코킹 가공을 위한 가압 변형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며, 필터 렌즈 전연부(17)나 필터 렌즈 전연부(17)를 형성하는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의 두께(t2)는, 코킹 가공시에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얇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프레임 본체(1)의 두께(t)는, 암나사부(8)와 언더컷(9)의 최소 기능으로 구성한 전통 프레임(5)의 두께(t1)와 수나사부(12)와 언더컷(13)의 최소 기능으로 구성한 후통 프레임(6)의 두께(t3)에, 종래보다도 얇게 제작 가능한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의 두께(t2)를 더하여 얻어지고, 전체적으로, 필터 프레임 본체(1)의 광축 방향의 두께(t)를 최소한 작게 할 수 있어,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비교하여 비네팅이 발생하기 어려운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코킹용의 코킹 설형부 전체를 제작함에 있어 원환형 절삭 홈을 새겨두는 것에 의해, 이 원환형 절삭 홈은 광축(C) 방향으로 깊게 절삭하여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것이고, 그리고 상기 원환형 절삭 홈은 코킹용 금형을 삽입하여 가압 변형 가공을 하는 것으로, 상기 원환형 절삭 홈은 절삭 가공시에 있어서 그 원환형 절삭 홈의 내경(φ2) 치수 및 원환형 절삭 홈의 폭(W)을 크게 설정하여 새겨두어야 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킹 설형부(18)의 형상은, 카메라 렌즈 경통측에 개구되는 원환형 절삭 홈(19)과 상기 필터 렌즈(2)의 원주연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을 새겨둠으로써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의 후부로부터 링 형상을 갖고 필터 렌즈(2)의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환형체(22)를 갖는 코킹 설형부(18)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원환형 절삭 홈(19)의 깊이를 매우 얕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원환형 절삭 홈(19)의 폭(W)을 작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의 선단 가장자리부에 마련되는 필터 렌즈 전연부(17)의 내경을 크게 할 수 있고, 필터 구경(φ)이 정해진 필터 프레임 본체(1)에 있어서, 그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φ3)을 현저히 크게 하여 비네팅이 발생하기 어려운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에 있어서, 코킹용 금형(29)에 의해 코킹 설형부(18)의 선단부를 절곡하여 코킹 가공할 때에, 코킹에 의한 절곡 부분은, 필터 렌즈(2)의 원주연부 방향으로 개구되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에 의해 큰 공간을 형성하여 직접 필터 렌즈(2)의 후주연부의 코너부 등에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필터 렌즈(2)에 코킹 가공을 위한 가압 변형력이 변형으로서 필터 렌즈(2)에 가해지지 않고, 필터 렌즈(2)의 유지 정밀도나 필터 렌즈면의 변형을 시키지 않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가, 필터 렌즈의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의 코킹 접촉부를 이용한 모따기 접촉면에의 접촉에 의해 협지하고 있었던 구조상의 이유로 인해, 모따기 접촉면이 코킹 접촉면에 의해 상기 모따기 접촉면을 완전히 피복할 수 없고, 피복할 수 없는 모따기 접촉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나, 필터 렌즈에 있어서, 모따기 접촉면의 가공 후 필터 렌즈의 양면에 빛의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함에 있어서는,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가공면을 피하여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해야 하여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는, 0.5 ㎜~1.0 ㎜ 정도의 간극이 생기고 있으며, 상기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의 간극은, 빛의 반사 방지 피막 가공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되고, 반사 방지 피막이 없는 간극으로부터는, 반사광이 입사하여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결점을 해소하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은, 필터 렌즈(2)를 후방의 이면에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18)를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의 후부로부터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21)로부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를 형성하고, 이 코킹 설형부(18)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의 밑동부 내경측에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을 새겨둠으로써 이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의 바닥부 후방부에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마련하며, 이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기점으로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상기 코킹 설형부(18)의 원통 형상 환형체(22)는 굽힘 변형 내각부(23)로부터 상기 필터 렌즈(2)의 모따기부 접촉면(24)을 피복하여 필터 렌즈(2)의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25)의 가공면 가장자리부(26)까지를 피복하는 길이를 갖는 코킹 설형부(18)를 마련한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를 필터 본체의 부품과 필터 렌즈의 조합과 같이 극단적으로 경감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조립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코킹 가공에 의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의 유효 구경(φ3)과 필터 렌즈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18)에 의해 협지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구경(φ3)이 동일해지도록 코킹 설형부(18)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 환형체(22)의 길이를 설정하여 필터의 유지 기구부의 외관 형상을 아름답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상기 코킹 설형부(18)의 형상은,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에서 코킹 설형부의 길이, 즉 필터 렌즈(2)로의 코킹 결합 여유분을 크게 구성할 수 있어, 충격이나 진동에 강한 견고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3의 (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는 것으로, 상기 도 2와 동일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A), (B)에 있어서, 1은 필터 프레임 본체로서 알루미늄이나 놋쇠에 의한 금속제의 환형 링을 절삭 가공함으로써 제조된다. 또한, 2는 필터 렌즈, t는 필터 프레임 본체(1)의 두께, 3은 필터 프레임 본체의 입사광측, 4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카메라 렌즈 경통측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필터 프레임 본체(1)는 필터 프레임 본체(1)를 대략 이분하여 입사광측(3)을 전통 프레임(5), 카메라 렌즈 경통측(4)을 후통 프레임(6)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필터 프레임 본체(1)의 전통 프레임(5)의 내경부(7)에는, 후드 등의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8)가 나사 형성되어 있고, 이 암나사부(8)의 나사 베이스부에는, 언더컷(9)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언더컷(9)은, 암나사부(8)에 나사 결합하는 어태치먼트의 수나사가 여유를 갖고서 나사 장착되어 나사 베이스부에 마련된 스토퍼면(10)에 맞닿는 구성으로, 상기 어태치먼트의 수나사가 단단히 맞물리지 않고 전통 프레임(5)의 암나사부(8)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조작 가능하다.
다음으로, 필터 프레임 본체(1)의 후통 프레임(6)의 외주부(11)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에의 장착용 수나사부(12)가 나사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나사부(12)의 나사 베이스부에는, 언더컷(13)이 새겨져 있다. 그리고, 이 언더컷(13)은, 수나사부(12)가 나사 결합하는 카메라 렌즈 경통의 암나사에 여유를 갖고서 나사 장착되어 나사 베이스부에 마련된 스토퍼면(14)에 맞닿는 구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 렌즈 경통의 선단부에 필터 프레임 본체(1)의 수나사부(12)가 단단히 맞물리지 않고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 조작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통 프레임(5)과 후통 프레임(6)의 중앙부 내부측(15)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가 광축(C)측으로 돌출한 환형으로 마련되고, 이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16)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필터 렌즈(2)의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과 필터 렌즈(2)의 감합 프레임(17a)이 마련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과 감합 프레임(17a)의 후방부에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킹 설형부(18)가 원환형 절삭 홈(19)과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을 새겨둠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과 감합 프레임(17a)에 의해 끼워 장착 유지되는 필터 렌즈(2)를 그 후방 이면에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18)는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17)과 감합 프레임(17a)의 후부에서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21)로부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를 형성하며, 상기 코킹 설형부(18)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22)의 밑동부 내경측에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의 바닥부 후방부에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설정하고, 상기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기점으로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상기 코킹 설형부(18)의 원통 형상 환형체(22)는 굽힘 변형 내각부(23)로부터 상기 필터 렌즈의 모따기부 접촉면(24)을 피복하며, 필터 렌즈(2)의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25)의 가공면 가장자리(26)까지를 피복하는 길이를 갖는 코킹 설형부(18)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실시예 2는, 코킹 설형부(18)의 코킹 가공에 있어서, 굽힘 변형용 원주 홈(20)의 바닥부 후방부에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설정하고, 이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기점으로 코킹 가공에서 굽힘 변형 내각부(23)를 예각으로 절곡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코킹 설형부(18)는, 필터 렌즈(2)의 모따기 접촉면(24)을 피복한 후, 필터 렌즈(2)의 이면측에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25)의 가공면 가장자리부(26)까지를 피복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코킹 설형부(18)의 선단 원둘레 가장자리부(28)[도 2의 (B)에 나타냄]는, 필터 렌즈(2)의 이면측에서 코킹 가공에 의해 또 한번 절곡 가공된다.
그러나, 필터 프레임 본체(1)는, 통상 금속제 소재(알루미늄)로 도금하고 흑색 알루마이트를 화학적으로 연마하여 표면을 거칠게 한 새틴 마무리를 실시한 것이 많고, 상기 굽힘 변형 내각부(23)와 필터 렌즈(2)의 모따기 접촉면(24)을 피복한 후의 코킹 가공부(32)는, 코킹 가공 표면에 균열이나 금 균열에 의한 마무리 변색부가 생겨버려,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이 있다.
실시예 2는, 코킹 가공 표면에 균열이나 금 균열에 의한 마무리 변색부가 생겨버려,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킹 설형부(18)의 코킹 가공의 기점이 되는 굽힘 변형 내각부(23)에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32)과 코킹 설형부(18)의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24)의 코너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33)을 새겨두었다.
따라서, 굽힘 변형 내각부(23)의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30) 부분과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33)부는, 코킹 가공에 의해 절곡된 경우에 코킹 설형부(18)의 표면에 나타나는 각 R이 작고 날카로운 것이 되며, 코킹 가공에 의한 균열이나 금 균열에 의한 마무리 변색부가 눈에 띄지 않는 깨끗한 줄무늬 형상의 외관 형상을 갖는 필터 유지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은, 필터 프레임의 광축 방향의 치수, 즉 필터 프레임의 두께를 박형으로 형성한 디지털 카메라용의 필터 프레임을 제공하고, 이 필터 프레임은,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 가능하게 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구경이 정해진 필터에 있어서,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을 최대한 크게 취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여,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의 전면에 장착해도 비네팅이 일어나기 어려운 필터 프레임을 제공 가능하게 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를 필터 프레임 내에 내장, 유지할 때의 고착시에 있어서, 상기 필터 렌즈에는, 물리적인 변형이나 가열에 의한 변형을 부가하지 않는 상태로 필터 프레임 내에 각종의 필터 렌즈를 유지 가능한 코킹 가공 수단을 제공 가능하게 하고, 필터 렌즈(2)의 유지 정밀도의 향상이나 필터 렌즈면에 변형을 부여하지 않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을 박형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오토포커스용 모터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가능한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가, 필터 렌즈의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의 코킹 접촉부를 이용한 모따기 접촉면에의 접촉에 의해 협지하고 있었던 구조상의 이유로 인해, 모따기 접촉면이 코킹 접촉면에 의해 상기 모따기 접촉면을 완전히 피복할 수 없고, 피복할 수 없는 모따기 접촉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결점이나, 필터 렌즈에 있어서, 모따기 접촉면의 가공의 후 필터 렌즈의 양면에 빛의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함에 있어서는, 기울기를 갖는 모따기 가공면을 피하여 반사 방지 피막을 피복 가공해야 하여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는, 0.5 ㎜~1.0 ㎜ 정도의 간극이 생기고 있고, 이 모따기 접촉면의 가장자리로부터 반사 방지 피막의 원주연부까지의 간극은, 빛의 반사 방지 피막 가공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부분이 되며, 반사 방지 피막이 없는 간극으로부터는, 반사광이 입사하여 필터 렌즈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결점을 해소하는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수를 필터 본체의 부품과 필터 렌즈의 조합과 같이 극단적으로 경감할 수 있어, 비용 절감과 조립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코킹 가공에 의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는,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유효 구경과 필터 렌즈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에 의해 협지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구경이 동일해지도록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 환형체의 길이를 설정하여 필터의 유지 기구부의 외관 형상을 아름답게 구성하며, 상기 코킹 설형부(18)의 형상은,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에서 코킹 설형부의 길이, 즉 필터 렌즈(2)에의 코킹 결합 여유분을 크게 구성할 수 있어, 충격이나 진동에 강한 견고한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렌즈의 코킹 가공부에 있어서, 코킹 설형부에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을 형성하거나, 코킹 설형부의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 코너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함으로써, 코킹 가공면은 코킹 가공시에 균열이나 금 균열에 의한 변색이 없는 깨끗한 도금 마무리면을 유지할 수 있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1 : 필터 프레임 본체 2 : 필터 렌즈
3 : 입사광 4 : 카메라 렌즈 경통측
5 : 전통 프레임 6 : 후통 프레임
7 : 내경부 8 : 암나사부
9 : 언더컷 10 : 스토퍼면
11 : 외주부 12 : 수나사부
13 : 언더컷 14 : 스토퍼면
15 : 중앙부 내부측 16 :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
17 :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 17a : 감합 프레임
18 : 코킹 설형부 19 : 원환형 절삭 홈
20 : 굽힘 변형용 원주 홈 21 :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
22 : 원통 형상 환형체 23 : 굽힘 변형 내각부
24 : 모따기부 접촉면 25 : 반사 방지 피막
26 : 가공면 가장자리부 27 : 코킹 접촉부
28 : 선단 원주연부 29 : 코킹용 금형
30 : 형부 31 : 코킹 가공부
32 :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
33 :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 커트 홈
C : 광축 t : 필터 프레임 본체의 두께
t1 : 전통 프레임의 두께
t2 :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의 두께
t3 : 후통 프레임의 두께 φ1 : 필터 구경
φ2 : 원환형 절삭 홈의 내경 φ3 : 필터 렌즈의 유효 직경
φ4 : 반사 방지 피막의 피복 가공 직경 W : 원환형 절삭 홈의 폭

Claims (4)

  1. 카메라 렌즈 경통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터 프레임 본체는 원환형의 필터 프레임 본체를 이분(二分)하여 입사광측을 전통(前筒) 프레임으로 하고 카메라 렌즈 경통측을 후통(後筒) 프레임으로 하여 형성하며,
    상기 전통 프레임에는 입사광측으로부터 전통 프레임 내경부에 어태치먼트 장착용의 암나사부를 나사 형성하고,
    상기 후통 프레임의 외주부에는 카메라 렌즈 경통에의 나사 장착용 수나사부가 나사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로 이루어지는 필터 프레임 본체의 중앙부 내부측에는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가 광축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필터 렌즈 유지 고리부의 선단부에는 환형의 필터 렌즈 전연(前緣) 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후방에 필터 렌즈를 끼워 장착 유지하고,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에 끼워 장착 유지된 필터 렌즈를 후방의 이면에서 협지하는 코킹 설형부는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후부로부터 광축(C)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가장자리 외주부로부터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를 형성하며,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 형상 환형체의 밑동부 내경측에는 굽힘 변형용 원주 홈을 새겨둠으로써 상기 굽힘 변형용 원주 홈의 바닥부 후방부에 굽힘 변형 내각부(內角部)를 마련하고,
    상기 굽힘 변형 내각부를 기점(起點)으로 코킹 가공을 실시하는 상기 코킹 설형부의 원통 형상 환형체는 굽힘 변형 내각부로부터 상기 필터 렌즈의 모따기부 접촉면을 피복하여 필터 렌즈 이면에 피복 가공된 반사 방지 피막 가공면 가장자리까지를 피복하는 길이를 갖는 코킹 설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렌즈 전연 프레임의 유효 구경과 필터 렌즈 후방에서 코킹 설형부에 의해 협지되는 필터 렌즈의 유효 구경이 동일해지도록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원통 형상 환형체의 길이를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형 환형체의 밑동부에 새겨진 굽힘 변형 내각부의 내경측에 코킹 설형부의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 설형부를 형성하는 링 형상의 원통형 환형체 선단부에 있어서 필터 렌즈의 모따기 접촉면 코너부에 선단 절곡 보조용의 V자 형상의 커트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KR1020140037007A 2014-01-31 2014-03-28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KR101445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7019A JP5577474B1 (ja) 2014-01-31 2014-01-31 フィルター枠におけるフィルターレンズの保持機構
JPJP-P-2014-017019 2014-01-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525B1 true KR101445525B1 (ko) 2014-09-29

Family

ID=5157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007A KR101445525B1 (ko) 2014-01-31 2014-03-28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77474B1 (ko)
KR (1) KR101445525B1 (ko)
CN (1) CN104820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1079A (ja) * 2014-09-29 2016-05-09 株式会社ツーソー カメラ用フィルタ枠およびカメラ用フィルタユニット
TWI667507B (zh) * 2018-04-20 2019-08-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環形光學元件、成像鏡頭以及取像裝置
JP7175057B1 (ja) 2021-11-26 2022-11-18 株式会社ケンコー・トキナー 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14488525B (zh) * 2022-04-15 2022-08-23 中国科学院光电技术研究所 一种超构表面成像系统、设计方法和探测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4017A (ja) 2011-11-29 2013-06-10 Marumi Koki Kk フィルター枠におけるフィルターレンズの保持機構
JP2013156483A (ja) 2012-01-31 2013-08-15 Marumi Koki Kk 高分子弾性体からなるデジタルカメラ用フィルター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7218U (ko) * 1979-05-18 1980-12-01
JP2008191412A (ja) * 2007-02-05 2008-08-21 Olympus Imaging Corp レンズ鏡枠
JP5264417B2 (ja) * 2008-11-04 2013-08-14 株式会社ツーソー カメラ用フィルタユニット
JP5524255B2 (ja) * 2012-02-29 2014-06-18 マルミ光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用のフィルター枠
CN104081274A (zh) * 2012-01-31 2014-10-01 玛露美光机株式会社 由高分子弹性体构成的数码照相机用滤光镜框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4017A (ja) 2011-11-29 2013-06-10 Marumi Koki Kk フィルター枠におけるフィルターレンズの保持機構
JP2013156483A (ja) 2012-01-31 2013-08-15 Marumi Koki Kk 高分子弾性体からなるデジタルカメラ用フィルター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20330B (zh) 2016-08-24
CN104820330A (zh) 2015-08-05
JP5577474B1 (ja) 2014-08-20
JP2015143767A (ja)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2234B2 (ja) 光学素子の保持構造、カメラ用フィルタ枠、カメラ用フィルタユニット、および、撮像レンズ
JP5264417B2 (ja) カメラ用フィルタユニット
KR101445525B1 (ko) 필터 프레임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의 유지 기구
WO2016121427A1 (ja) カメラ用フィルター枠およびカメラ用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2008175992A (ja) 光学素子および光学ユニット
EP1947500A1 (en) Optical element and optical unit
WO2018163754A1 (ja) カメラ用フィルター枠およびカメラ用フィルターユニット
JP2008191412A (ja) レンズ鏡枠
JP3905844B2 (ja) レンズの熱かしめ構造、熱かしめ方法及び熱かしめ工具
JP5431611B1 (ja) フィルター枠におけるフィルターレンズの保持機構
JP4030520B2 (ja) デジタル1眼レフカメラ用フィルター枠
JP5324324B2 (ja) 光学部品および撮像装置
JP2014153461A (ja)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3073044A (ja) ガラス・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24383B1 (ja) デジタルカメラ用のフィルター枠
JPS5925209B2 (ja) フランジバツク変換アダプタ−
JP7175057B1 (ja) フィルターユニット及びフィルタ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7898751B2 (en) Projection lens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rojection lens unit
JPH07113935A (ja) レンズ装置およびレンズ取付け方法
US9876947B2 (en) Optical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10072053A (ja) レンズ鏡筒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JPH0449610Y2 (ko)
JP5500441B2 (ja) レンズアダプタ
JP2024018135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カメラユニット
JP2024001703A (ja) レンズ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