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394B1 -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394B1
KR101445394B1 KR1020080029373A KR20080029373A KR101445394B1 KR 101445394 B1 KR101445394 B1 KR 101445394B1 KR 1020080029373 A KR1020080029373 A KR 1020080029373A KR 20080029373 A KR20080029373 A KR 20080029373A KR 101445394 B1 KR101445394 B1 KR 10144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pdate
service
information
firmw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632A (ko
Inventor
이종효
황승오
정보선
금지은
이병래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394B1/ko
Priority to JP2011501721A priority patent/JP5301649B2/ja
Priority to PCT/KR2009/001550 priority patent/WO2009120027A2/en
Priority to EP09725079.9A priority patent/EP2255525B1/en
Priority to CN200980110723.4A priority patent/CN101981922B/zh
Priority to CA2717795A priority patent/CA2717795C/en
Priority to AU2009229621A priority patent/AU2009229621B2/en
Priority to US12/414,294 priority patent/US8396464B2/en
Publication of KR2009010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OS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9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dedicated tools, e.g. video decoder software or IPMP to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 가입자 관리부(BroadCAST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가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들을 위한 업데이트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가입자 관리부가,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BSDA 가,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80029373
휴대 방송 시스템, BCAST, DM, 단말 프로비져닝, 펌웨어

Description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SOFTWAR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Broadcast Service: 이하 'BCAST'라 칭함)를 지원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방송 시스템을 통해 휴대 방송 단말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장은 기존 기술들의 재조합 또는 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생산을 지속적으로 요구받고 있으며, 오늘날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방송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휴대 단말기(이하, "이동 단말"이라 칭함)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있다. 이러한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시장 수요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급증하는 사용자 요구, 기존의 음성 서비스 외에 방송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전략, 그리고 수요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이동 통신 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IT 기업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이동 통신 서비스와 IP의 융합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는 이동 통신 시장 뿐 아니라, 일반 유선 시장 속에서도 무선 또는 방송 등에 존재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도입, 적용시키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전방위적인 융합은 유선, 무선 방송 등에 상관없이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해 동일한 소비 환경을 만들게 되었다.
한편,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pen Mobile Alliance : 이하 "OMA"라 칭함)는 개별 모바일 솔루션의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을 연구하는 단체로서, 이동통신용 게임, 인터넷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특히, 상기 OMA의 워킹 그룹 중 OMA BCAST(Mobile Broadcast Working Group)에서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표준을 연구하고 있다. OMA BCAST는 서비스 가이드,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전송기술, 서비스 및 컨텐츠 보호 기술, 서비스 가입, 로밍 등 휴대 단말 환경에서 IP기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표준화하고 있다.
상기 설명한 유무선 환경의 융합으로 인한 통합 서비스 제공의 시장 흐름에 따라, OMA BCAST등 휴대 방송 기술도 모바일 환경을 넘어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화할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예를 들기 위하여 휴대 방송 기술 표준 중의 하나인 OMA BCAST 기술을 바탕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OMA BCAST 기술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휴대 방송 서비스에 대하여 응용 계층 및 그 이하 계층 전송 계층까 지의 표준 기술을 제정하고 있는 OMA의 BCAST 작업 그룹의 논리 구조도이다.
먼저 도 1에 나타낸 논리 개체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CC)(101)는 BCAST 서비스의 기초가 되는 컨텐츠를 공급하며, 상기 컨텐츠는 통상의 방송 서비스를 위한 파일, 예를 들면 영화, 오디오, 비디오를 위한 데이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는 서비스 가이드 생성 및 상기 서비스가 전송될 전송 베어러(bearer)를 결정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속성(Attribute)을 BCAST 서비스 애플리케이션(BCAST Service Application: BSA)(102)에 제공한다.
BSA(102)은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로부터 BCAST 서비스의 데이터를 공급받아서 이를 이용해 미디어 인코딩, 컨텐츠 보호, 양방향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속성을 BSDA(B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103)와 BCAST 가입 관리부(B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104)에 제공한다.
BSDA(103)는 상기 BSA(102)으로부터 공급받은 BCAST 서비스 데이터들을 이용해서 파일 및 스트리밍 전송, 서비스 수집, 서비스 보호, 서비스 가이드 생성 및 전달, 서비스 공지(Notification)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BSDA(103)는 상기 서비스를 방송 분배 시스템(Broadcast Distribution System)(112)에 맞도록 조정한다.
BSM(104)는 BCAST 서비스 사용자의 가입 및 요금 관련 기능과 같은 서비스 규정, BCAST 서비스에 사용되는 정보의 규정, BAST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기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관리한다.
단말기(Terminal)(105)는 컨텐츠 및 서비스 가이드와 컨텐츠 보호등과 같은 프로그램 지원 정보를 수신하며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BDS 서비스 분배부(BDS Service Distribution)(111)는 상기 방송 분배 시스템(112) 및 연동 네트워크(Interaction Network)(113)와 상호 통신을 통해서 휴대 방송 서비스를 다수의 단말기들에게 전송한다.
방송 분배 시스템(112)은 방송 채널을 통한 휴대 방송 서비스를 전송하며, 그 예를 들면, 3GPP의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3세대 동기 이동통신 표준기구인 3GPP2(3rd Generation Project Partnership 2)의 BCMCS(Broadcast Multicast Service), 디지털 방송 표준 기구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의 DVB-H(DVB-Handheld) 또는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방송/통신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겠다. 연동 네트워크(113)는 양방향 채널을 제공하며, 그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논리 개체들 간의 연결 통로인 참조 포인트(reference point)들을 설명한다. 참조 포인트는 목적에 따라 다수개의 인터페이스들을 가지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소정의 목적을 위해서 2개 이상의 논리 개체들간의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며, 이를 위한 메시지 형식과 프로토콜 등이 적용된다.
도 1에서 BCAST-1(121)은 컨텐츠 및 컨텐츠 속성의 전송로이며, BCAST-2(122)는 컨텐츠가 보호(Content-protected)되거나 컨텐츠가 보호되지 않 은(Content-unprotected) BCAST 서비스와 상기 BCAST 서비스의 속성 및 컨텐츠 속성의 전송로이다.
도 1에서 BCAST-3(123)는 BCAST 서비스의 속성, 컨텐츠의 속성, 사용자 우선(User preference) 및 가입(Subscription) 정보, 사용자 요청,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전송로이다. BCAST-4(124)는 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 서비스 가이드에 사용되는 속성,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및 서비스 보호(Service Protection)에 사용되는 키(Key)의 전송로이다. BCAST-5(125)는 보호된(Protected) BCAST 서비스, 보호되지 않은(Unprotected) BCAST 서비스, 컨텐츠가 보호된(Content-protected) BCAST 서비스, 컨텐츠가 보호되지 않은(Content-unprotected) BCAST 서비스, BCAST 서비스 속성, 컨텐츠 속성, 공지(Notification), 서비스 가이드,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킷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와 방송(Broadcast : BCAST)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와 시그널의 전송로이다.
도 1에서 BCAST-6(126)은 보호된(Protected) BCAST 서비스, 보호되지 않은(Unprotected) BCAST 서비스, 컨텐츠가 보호된(Content-protected) BCAST 서비스, 컨텐츠가 보호되지 않은(Content-unprotected) BCAST 서비스, BCAST 서비스 속성, 컨텐츠 속성, 공지(Notification), 서비스 가이드,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킷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와 연동(Interaction)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모든 데이 터와 시그널의 전송로이다.
도 1에서 BCAST-7(127)은 서비스 규정(provisioning), 가입(Subscription) 정보,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키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 등의 수신에 관련된 제어 정보의 연동(Interaction) 채널을 통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우선(preference) 정보의 전송로이다. BCAST-8(128)은 BCAST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데이터가 연동(Interaction)되는 전송로이다. BDS-1(129)은 보호된(protected) BCAST 서비스, 보호되지 않은(Unprotected) BCAST 서비스, BCAST 서비스 속성, 컨텐츠 속성, 공지(notification), 서비스 가이드 및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키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의 전송로이다.
도 1에서 BDS-2(130)는 서비스 규정(provisioning), 가입(Subscription) 정보,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및 BCAST 서비스 보호(protection)에 사용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RO 및 키값 등의 보안 요소(Security material)의 전송로이다. X-1(131)은 상기 BDS 서비스 분배부(111)와 방송 분배 시스템(112)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2(132)는 상기 BDS 서비스 분배부(111)와 연동 네트워크(113)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3(133)은 방송 분배 시스템(112)과 단말기(105)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4(134)는 BDS 서비스 분배부(111) 및 방송 채널을 통한 상기 단말기(105)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5(135)는 BDS 서비스 분배부(111) 및 인터랙션 채널을 통한 상기 단말 기(105)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X-6(136)은 연동 네트워크(113)와 단말기(105)간의 참조(reference) 포인트이다.
한편, OMA DM(Open Mobile Alliance Device Management)은 무선 단말기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무선 기기들을 관리해주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이 필요하였고, 무선 사업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무선으로 단말기들과 통신을 하며 단말기의 펌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을 관리하기 위한 이동 단말 관리 방법이 개발되었다. OMA DM은 자체적으로 표준화한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오브젝트(object)를 읽거나 추가, 변경, 실행함으로써 단말기 내부의 펌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을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단말 프로비져닝(Terminal provisioning) 서비스"라 부른다.
상기 단말 프로비져닝 서비스의 일종으로, 단말기들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제조사에서 주기적으로 제공해주는 펌웨어를 업데이트해야만 최신 소프트웨어 사용은 물론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동작 할 수 있다.
삭제
OMA DM에서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서의 사용을 위한 설계가 되어 있어 모든 통신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한 사업자가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단말기의 모델 종류는 많지 않지만 단말기들의 수는 매우 많기에 양방향으로 일대일로 각 단말기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를 수행할 경우 매우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함으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 때문에 BCAST와 같은 방송 시스템을 통하여 일괄적으로 같은 종류의 여러 단말을 대량으로 동시에 업데이트 해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특정 모델의 단말기들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들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함에 있어서, 방송을 통하여 동시에 같은 종류의 복수의 단말기들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할 수 있는 효율적인 단말기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사용하여 단말기에게 프로비져닝하는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방법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방송 가입자 관리부(BroadCAST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가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들을 위한 업데이트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방송 가입자 관리부가,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BSDA 가,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단말 방법은, 휴대 방송 시스템의 단말기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들을 위한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을 통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업데이트 명령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들을 위한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로 전송하는 방송 가입 관리부(B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와,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명령을 수신하여 방송하는 상기 BSD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단말 장치는, 휴대 방송 시스템의 단말기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을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 명령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본 발명은 그 동안 각 단말기의 펌웨어를 개별적으로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 오버헤드를 방송을 통하여 동시에 대량의 단말기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펌웨어 업데이트 효과를 갖는다. 이를 통하여 네트워크에서 같은 종류의 단말들에 대해 일률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단말기의 성능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혹은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의 표준 기구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BCAST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 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방송 시스템인 OMA BCAST 시스템 내에서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생성을 위한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BCAST 시스템에서 단말기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안한 구조이다.
상기 “서비스 가이드”란 방송 구성에 대한 전체 정보를 나타낸다. 즉,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여 방송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방송의 수신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방송 시스템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들의 정보와, 각각의 방송 서비스에 포함된 프로그램들의 정보 및 각각의 프로그램들이 방송되는 스케줄 정보 등을 획득하여야 하며, 이러한 정보들이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OMA BCAST에서는 하나의 서비스 가이드를 각각의 목적을 가지는 프래그먼트(Fragment)로 구성하였다. 일 예로,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래그먼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래그먼트, 프로그램들의 방송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프래그먼트 등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2는 OMA BCAST의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프래그먼트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개체는 각각 하나의 프래그먼트를 나타낸다. 한편, 프래그먼트들은 그 목적의 유사성에 따라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룹”은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프래그먼트를 연결하는 실선은 각 프래그먼트 간의 상호 참조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가이드는 전체 서비스 가이드의 상위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그룹(Administrative)(200), 서비스, 컨텐츠, 스케줄 등 서비스 가이드의 핵심 부분인 핵심 그룹(Core)(220), 서비스 또는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억세스 그룹(Access)(230), 가입 및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공급 그룹(Provisioning)(210)과, 프리뷰 데이터(PreviewData)(241) 프래그먼트와 인터랙티브 데이터(InteractivityData)(251) 프래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 그룹(200)은 서비스 가이드 전달 해석기(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201) 프래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공급 그룹(210)은 구입 아이템(PurchaseItem)(211), 구입 데이터(PurchaseData)(212), 구입 채널(PurchaseChannel)(213) 프래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핵심 그룹(220)은 서비스(Service)(221), 스케줄(Schedule), 컨텐츠(Content)(223) 프래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억세스 그룹(230)은 억세스(Access)(231), 세션 해석(Session Description)(232) 프래그먼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프래그먼트의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서비스 가이드 전달 해석기(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 프래그먼트(201)는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프래그먼트를 담고 있는 서비스 가이드 전달 유닛(ServiceGuideDeliveryUnit : SGDU)이 위치하는 전달 세션 정보와, 상기 SGDU에 대한 그룹핑(Grouping) 정보 및 통지 (Notification)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입점(Entry Poin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프리뷰 데이터(PreviewData) 프래그먼트(241)를 통해 서비스, 스케줄, 컨텐츠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제공하거나 인터랙티브 데이터(InteractivityData) 프래그먼트(251)를 통해 해당 서비스, 스케줄, 컨텐츠에 따라 방송 중에 인터랙티브(Interactive)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삭제
서비스(Service) 프래그먼트(221)는 전체 서비스 가이드 중심으로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컨텐츠(Content)들의 상위 집합체로 서비스의 내용, 장르, 서비스 지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스케줄(Schedule) 프래그먼트(222)는 스트리밍(Streaming), 다운로딩(Downloading)등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츠 각각의 시간정보를 나타낸다.
컨텐츠(Content) 프래그먼트(223)는 방송되는 컨텐츠에 대한 상세한 설명, 타겟 유저 그룹, 서비스 지역, 장르 등을 포함한다.
억세스(Access) 프래그먼트(231)는 사용자가 서비스를 볼 수 있도록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며 해당 접속 세션에 대한 전달 방법, 세션 정보 등을 제공한다. 세션 해석(SessionDescription) 프래그먼트(232)는 상기 억세스 프래그먼트(Access)(231)에 포함될 수도 있고 URI 형태로 위치 정보를 알려주어 단말기가 해당 세션 해석 프래그먼트(232)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세션 해석 프래그먼트(232)는 해당 세션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주소 정보, 코덱 정보 등을 제공한다.
구입 아이템(PurchaseItem) 프래그먼트(211)는 서비스, 컨텐츠, 시간 등의 번들(Bundle)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구입 아이템 프래그먼트(211)에(를) 가입 또는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구입 데이터(PurchaseData) 프래그먼트(212)는 서비스 혹은 서비스 번들에 대한 가격 정보, 프로모션 정보 등 구매, 가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구입 채널(PurchaseChannel) 프래그먼트(213)는 가입 혹은 구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알려준다.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은 상기 도 2의 상위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상세 내용 및 값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 값(Element) 및 속성 (Attribute) 값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가이드의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세한 요소 값 및 속성 값을 본 명세서에 포함하지 않았으나 상기의 상세한 요소 값 및 속성 값이 후술할 본 발명을 제약하지 않으며 휴대 방송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가이드 제공에 있어 필요에 의해 정의된 모든 요소 값 및 속성 값에 본 발명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스키마 테이블을 하기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13027129043-pat00019

상기 <표 1>에서 이름(Name)은 해당 메시지를 구성하는 요소값과 속성값에 대한 명칭을 나타낸다. 타입(Type)은 해당 이름이 요소값 혹은 속성값 중 어떤 형태인지를 의미한다. 요소값은 E1, E2, E3, E4와 같은 값을 가지며, E1은 전체 메시지에 대한 상위 요소값을 의미하며, E2는 E1의 하위 요소값, E3는 E2의 하위 요소값, E4는 E3의 하위 요소값을 나타낸다. 속성값은 A로 표시하며 A는 해당 요소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예로 E1 아래의 A는 E1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카테고리(Category)는 해당 요소값 혹은 속성값이 필수 내용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필수인 경우 M 값을 갖고, 옵션인 경우 O 값을 가진다. 카디넬리티(Cardinality)는 요소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0, 0..1, 1, 0..n, 1..n의 값을 가진다. 0은 옵션을 의미하며, 1은 필수관계를 의미하며, n은 다수의 값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로 0..n은 해당 요소값이 없을 수도 있고 n 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Description)은 해당 요소 또는 속성값이 의미하는 바를 나타내며, 데이터형(Data Type)은 해당 요소값 혹은 속성값에 대한 데이터 형태를 나타낸다.
삭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장치 구조도는 기존 BCAST의 구조도에서 본 발명을 위하여 필요한 각 논리 객체 및 각 객체를 구성하는 기능으로 구성이 된다.
도 3의 단말기(301), BSDA(302) 및 BSM(303)은 각각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단말기(105), BSDA(103) 및 BSM(104)와 동일하며 각각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상기 단말기(301)는 TP-C(Terminal Provisioning - Client)(304), FD-C(File Delivery - Client)(305), NT-C(NoTification - Client)(306), BSP-C(BACST Service Provisioning - Client)(307) 및 SG-C(Service Guide - Client)(308)를 포함한다.
상기 TP-C(304)는 단말 프로비져닝 기능으로 단말기(301)가 수신하는 단말 프로비져닝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행한다. 상기 TP-C(304)는 앞서 설명한 OMA DM에서 단말기 측에서 갖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펌웨어를 관리한다. 상기 FD-C(305)는 단말기(301)에서 방송을 통하여 전달되는 펌웨어 파일을 수신하며, NT-C(306)은 방송을 통한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확인하여 단말기(301) 내의 다른 기능 블록들에게 통지 메시지에 따른 지시 사항을 수행토록 한다. 상기 BSP-C(307)는 BCAST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하고 서비스 사용에 대한 보고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SG-C(308)은 단말기 (301)가 수신하는 서비스 가이드 정보를 처리하는 기능으로 그 처리된 정보를 사용자 또는 단말기(301)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BSM(303)의 각 기능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SG-SS(Service Guide - SubscriptionSource)(309)는 서비스 가이드에 필요한 서비스 프로비져닝 및 단말 프로비져닝, 서비스 구매, 서비스 가입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TP-M(Terminal Provisioning - Management)(310)은 단말 프로비져닝 기능을 관리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301)에게 전송될 단말 프로비져닝 메시지를 생성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OMA DM에서 서버 측에서 갖는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의 펌웨어를 관리한다.
상기 BSP-M(BCAST Service Provisioning - Management)(311)은 BCAST 서비스에 대한 가입 관리 및 구매/과금 관리 기능을 한다. 상기 NT-G(NoTification - Generation)(312) 는 여러 BCAST 객체들의 요청을 받아서 단말기(301)에게 전송할 통지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으로 사용자를 위한 통지 메시지와 서비스 관리를 위한 시스템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도 4에 도시된 메시지 흐름도에 나타나는 각 논리 객체 및 그 기능(401~412)은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각 논리 객체 및 그 기능(301~312)과 일치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도 4의 과정은 크게 다섯 개의 과정을 포함한다.
첫 번째 과정은, 413 단계 내지 416 단계로서 펌 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단말프로비져닝 업데이트 서비스(이하 “업데이트 서비스”로 약칭함)에 단말들을 강제 가입시키는 과정이다. 즉, 종래에는 펌 웨어 업데이트를 단말들과 개별적으로 수행하였기 때문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할지 여부가 단말기 사용자의 의사에 따랐다. 그러나 본 발명은 모든 단말기들을 업데이트 서비스에 강제로 가입시켜 사용자의 의사와 무관하게 펌웨어 업데이트가 수행되도록 한다.
413단계에서 TP-M(410)은 단말들에게 펌웨어 업데이트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단말들에게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SG-SS(409)에게 업데이트 서비스의 생성을 요청한다. 상기 업데이트 서비스 생성 요청을 받은 SG-SS(409)는 414단계에서 BSDA(402)에게 업데이트 서비스를 위한 업데이트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생성을 요청한다.
한편, 상기 414단계에서 SG-SS(409)가 업데이트 서비스 프래그먼트 생성을 요청하기 위하여 BSDA(402)에게 보내는 메시지는 하기 <표 2a> 내지 <표 2c>에 나타난 BCAST에서 정의된 전달 메시지(Delivery Message)이다. 이를 위하여 전달 메시지에 업데이트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생성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가하고, 이는 하기 <표 2c>의 body 요소에 표시되었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SG-SS(409) 자신이 업데이트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생성하여 이를 BSDA(402)에게 전달할 수 도 있다. 즉, <표 2b>의 “type” 요소에 "단말 프로비져닝 서비스 프래그먼트(Terminal Provisioning Service Fragment)"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달 메시지의 type 요소는 해당 전달 메시지의 용도를 알리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type 요소에 단말 프로비져닝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추가함으로써 BSDA(402)에게 단말 프로비져닝 서비스의 설정을 알린다.
하기 <표 2a> 내지 <표 2c>는 하나의 표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일 뿐 실제로는 하나의 표임을 주의해야 하며 각 표에서 각 항목들의 정의는 아래 <표 2a>의 정의를 따른다.
Figure 112008022904773-pat00002
Figure 112008022904773-pat00003
Figure 112008022904773-pat00004
상기 414단계에서 단말 프로비져닝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생성 요청을 받은 BSDA(402)는 전달 메시지의 body 요소 등을 통해 제공된 정보를 이용하여 하기 <표 3a> 내지 <표 3b>와 같이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서비스 프래그먼트에 “자동 가입(AutoSubscribe)”이라는 요소를 추가한다. 상기 AutoSubscribe 요소는 단말기(401)에게 업데이트 서비스에 강제로 가입할 것을 지시하는 요소이다. 하기 <표 3a> 내지 <표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프래그먼트의 구성을 보여준다. BSDA(402)는 하기 <표 3a>의 Description 요소에 포함된 ServiceType을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하면, 단말기는 이를 통하여 해당 단말기가 가입할 서비스의 종류가 업데이트 서비스 및 통지 서비스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업데이트 서비스는 통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구현되기 때문에 단말에게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지 서비스에 함께 가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삭제
하기 <표 3a> 내지 <표 3b>는 하나의 표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일 뿐 실제로는 하나의 표임을 주의해야 하며 각 표에서 각 항목들의 정의는 아래 <표 3a>의 정의를 따른다.
Figure 112008022904773-pat00005
Figure 112008022904773-pat00006
415단계에서는 상기 <표 3>에 따라 BSDA(402)에서 생성된 상기 업데이트 서비스 프래그먼트가 포함된 서비스 가이드가 방송된다.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한 단말 내의 SG-C(408)는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서 변경된 부분을 확인한다. 서비스 가이드 내에는 업데이트 서비스 프래그먼트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확인한다. 즉, 업데이트 서비스 프래그먼트에 포함된 AutoSubscribe 요소의 지시에 따라 상기 SG-C(408)는 416단계에서 BSP-C(407)를 통하여 BSP-M(411)에게 업데이트 서비스 가입을 요청한다.
구현 또는 사업 모델에 따라서는 AutoSubscribe 요소를 생략하고, 업데이트 서비스를 수신한 단말기(401)가 자동으로 업데이트 서비스에 가입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413단계 내지 416단계를 통하여 단말기가 업데이트 서비스에 자동으로 가입하도록 한다.
두 번째 과정은 417단계로서 보안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416단계 완료 후 417단계에서는 BCAST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보안 절차가 수행된다. 이는 기존 BCAST에 존재하는 메카니즘에 준하므로 본 특허에서는 서술하지 않는다.
세 번째 과정은 418단계 내지 422 단계로서, 업데이트를 위한 파일들을 단말들에게 방송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417단계 완료 후 TP-M(410)에서 특정 모델의 단말기들의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자 할 때, 418단계에서 TP-M(410)은 SG-SS(409)에게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펌웨어 파일에 대한 컨텐츠 프래그먼트 생성을 요청한다. 상기 생성 요청을 받은 SG-SS(409)는 419단계에서 상기 414단계에서 사용한 전달 메시지에 본 발명을 위하여 "Content Fragment"라는 type 요소 값을 추가한다.
이 때의 전달 메시지 형식은 하기 <표 4a> 내지 <표 4c>와 같다. 하기 <표 4c>의 타입(Type) 요소의 설명(Description)의 마지막 행에 “Content Fragment”가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하기 <표 4a> 내지 <표 4c>는 하나의 표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일 뿐 실제로는 하나의 표임을 주의해야 하며 각 표에서 각 항목들의 정의는 아래 <표 4a>의 정의를 따른다.
Figure 112008022904773-pat00007
Figure 112008022904773-pat00008
Figure 112008022904773-pat00009
상기 418단계에서 컨텐츠 프래그먼트 생성 요청을 받은 BSDA(402)는 419단계에서 컨텐츠 프래그먼트를 BCAST 표준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생성된 프래그먼트를 상기 Delivery Message를 통하여 받거나, 제공된 정보를 통하여 프래그먼트를 생성하게 된다.
420단계에서 TP-M(410)은 BSDA(402)에게 펌웨어 파일을 전달한다. 현재 BCAST 표준에는 TP-M(410)과 BSDA(402) 사이에 파일을 전달하는 방법은 정의되어 있지 않으나 BSDA(402)와 BSA(102) 사이에서 파일을 전달하는 방법이 정의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절차에서도 동일 형태로 전달이 되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BCAST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BSDA(402)와 BSA(102) 사이의 파일 전달 방법을 따르기로 한다.
421단계에서는 BSDA(402)가 상기 419단계에서 생성된 컨텐츠 프래그먼트를 모든 단말기에게 방송하고, 422단계에서는 업데이트를 위하여 필요한 펌웨어 파일을 모든 단말에게 방송한다.
네 번째 과정은 423 내지 425 단계로서, BSM(403)이 특정 제조사 및 특정 모델의 단말들을 위한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여 방송하는 과정이다.
즉, 423단계에서 TP-M(410)은 특정 모델의 단말기들에 대한 펌웨어 업데이트를 결정되면, NTG(412)에게 펌웨어 업데이트 통지 메시지 생성을 요청한다. 이때 TP-M(410)은 펌웨어 업데이트 대상인 단말기 제조사(Manufacturer), 모델 (Model), 펌웨어 버전(FwVersion) 및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어(Command)를 NTG(412)로 전달한다.
상기 통지 메시지 생성 요청을 받은 NTG(412)는 하기 <표 5a> 내지 <표 5d>와 같이 통지 메시지를 생성한다.
삭제
하기 <표 5a> 내지 <표 5d>는 단말 프로비져닝(Terminal Provisioning)이 추가된 통지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인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 통지 메시지(firm ware update command update message)의 구성을 나타낸다.
하기 <표 5a> 내지 <표 5d>는 하나의 표를 편의상 구분하여 나타낸 것일 뿐 실제로는 하나의 표임을 주의해야 하며 각 표에서 각 항목들의 정의는 아래 <표 5a>의 정의를 따른다.
Figure 112008022904773-pat00010
Figure 112008022904773-pat00011
Figure 112008022904773-pat00012
Figure 112008022904773-pat00013
상기 <표 5d>를 살펴보면 “Terminal Provisioning” 이라는 요소가 추가되었고 그 하위 요소로서 각각 “manufacturer”, “model”, “fwVersion” 및 “command”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manufacture 요소는 펌웨어 업데이트 대상인 단말기 제조사를 식별하기 위한 값이며, model 요소는 단말기 모델을 식별하기 위한 요소이다. fwVersion 요소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위하여 제공되는 펌웨어 버전을 나타낸다. Command요소는 실제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하여 필요한 업데이트 명령어로써 OMA DM의 표준에 준한다. 또한, 상기 command 요소는 필요 시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MD5와 같은 해쉬(hash)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manufacturer, model 및 fwVersion 요소들은 단말기의 펌웨어 필터링을 위해 사용되는 필터링 요소값들이다. 즉, 단말기는 상기 manufacturer, model 및 fwVersion 요소들을 이용하여 단말기 스스로 자신에게 해당하는 펌웨어를 필터링하여 펌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통지 메시지의 다른 요소 값들은 기존 BCAST 표준 문서인 OMA-TS-BCAST_Services-V1_0-20080312-D에 준하며, 이 중 eventType 요소로 가능한 항목으로 하기 <표 6>와 같이 66번 항목을 추가하며 세션 정보(Session information)의 경우에는 상기 422단계를 통하여 방송되는 펌웨어 파일에 대한 정보로 구성된다.
Figure 112008022904773-pat00014
이후, NTG(412)는 424단계에서 상기 생성한 펌웨어 업데이트 통지 메시지를 BSDA(402)에게 전달하고, 425단계에서 BSDA(402)는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 통지 메시지를 단말기들에게 방송한다.
다섯 번째 과정은 426 단계 내지 429 단계로서, 단말이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 이후,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이다.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 통지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기(401)는 426단계에서 상기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 통지 메시지의 단말 프로비져닝(TerminalProvisioning) 요소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는 단말기의 NTC(401)가 수행한다. 즉, TPC(406)는 본 발명에서 추가된 TerminalProvisioning 요소 중 제조사(Manufacturer), 모델(Model) 및 펌웨어버젼(FwVersion)을 검사하고, 제조사 및 모델에 해당이 되고 검사한 펌웨어 버젼보다 현재 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펌웨어 버전이 낮을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를 결정하고, 상기 425단계에서 수신한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 통지 메시지에 있던 command 요소의 내용인 DM command를 추출하여 FD-C(405)에게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을 전달한다.
한편, 427단계에서 NTC(406)는 상기 422단계에서 방송되고 있는 펌웨어 파일을 획득하고, 이를 FD-C(405)에게 전달한다.
428단계에서 상기 FD-C(405)는 상기 전달받은 펌웨어 업데이트 명령 및 펌웨어 파일을 TP-C(404)에게 전달하고, TP-C(404)는 429단계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한편, TP-C(404)는 필요한 경우 BSM(403)의 TP-M(410)에게 펌웨어 업데이트 성공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Command 요소에 무결성 지원을 위하여 MD5와 같은 해쉬가 적용되어 있으면 명령어 추출 전에 해쉬를 처리해야 한다.
지금까지 단말기의 펌웨어 업데이트의 실시예를 서술하였으나 단말 프로비져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경우라면, 펌웨어가 아닌 일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OMA BCAST에서 서비스 가이드 기능의 논리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방송 시스템인 OMA BCAST 시스템 내에서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생성을 위한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

Claims (25)

  1.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단말들이 업데이트 서비스에 자동으로 가입되는 과정과,
    방송 가입자 관리부(BroadCAST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가, 업데이트 패키지를 생성하여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로 전달하는 과정과,
    BSDA가, 상기 업데이트 패키지를 상기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하여 방송하는 과정과,
    상기 BSM이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들을 위한 업데이트 명령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BSM이,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명령을 상기 BSDA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BSDA 가, 상기 생성된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단말 제조사 정보와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단말의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명령은,
    통지 메시지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방법.
  7. 휴대 방송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업데이트 서비스에 자동으로 가입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로부터 업데이트 패키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들을 위한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을 통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업데이트 명령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단말 제조사 정보와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단말의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11. 삭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명령은
    통지 메시지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13.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단말들에게 업데이트 서비스 자동 가입을 제공하고, 업데이트 패키지를 생성하여 방송 서비스 분배/적응부(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 BSDA)로 전달하고,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들을 위한 업데이트 명령을 상기 BSDA로 전송하는 방송 가입 관리부(BAST Subscription Management: BSM)와,
    상기 업데이트 패키지를 상기 단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하여 방송하고, 상기 전송된 업데이트 명령을 수신하여 방송하는 상기 BSDA를 포함하는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단말 제조사 정보와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단말의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18. 삭제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명령은
    통지 메시지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네트워크 장치.
  20. 휴대 방송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자동으로 업데이트 서비스에 가입하는 BSP-C(BACST Service Provisioning - Client)와,
    네크워크로부터 업데이트 패키지를 수신하는 FD-C(File Delivery-Client)와,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명령을 방송을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 명령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Terminal Provisioning -Client(TP-C)를 포함하는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정보는,
    단말 제조사 정보와 단말 모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
  22. 삭제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기 단말의 펌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
  24.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명령은
    통지 메시지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에서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장치.
  25. 삭제
KR1020080029373A 2008-03-28 2008-03-28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144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373A KR101445394B1 (ko) 2008-03-28 2008-03-28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JP2011501721A JP5301649B2 (ja) 2008-03-28 2009-03-26 携帯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機のソフトウェアアップデート方法及び装置
PCT/KR2009/001550 WO2009120027A2 (en) 2008-03-28 2009-03-26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update of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9725079.9A EP2255525B1 (en) 2008-03-28 2009-03-26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update of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0980110723.4A CN101981922B (zh) 2008-03-28 2009-03-26 在移动通信系统中用于终端的软件更新的方法和设备
CA2717795A CA2717795C (en) 2008-03-28 2009-03-26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update of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U2009229621A AU2009229621B2 (en) 2008-03-28 2009-03-26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update of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2/414,294 US8396464B2 (en) 2008-03-28 2009-03-30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update of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373A KR101445394B1 (ko) 2008-03-28 2008-03-28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632A KR20090103632A (ko) 2009-10-01
KR101445394B1 true KR101445394B1 (ko) 2014-09-26

Family

ID=4111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373A KR101445394B1 (ko) 2008-03-28 2008-03-28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96464B2 (ko)
EP (1) EP2255525B1 (ko)
JP (1) JP5301649B2 (ko)
KR (1) KR101445394B1 (ko)
CN (1) CN101981922B (ko)
AU (1) AU2009229621B2 (ko)
CA (1) CA2717795C (ko)
WO (1) WO200912002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3637A (ko) * 2008-03-28 200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과 장치 및 그시스템
KR20120024082A (ko) * 2010-09-03 2012-03-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계량기에 대한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과 그 방법,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 기능이 있는 전력량계
CN102136934B (zh) * 2010-10-21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Zigbee设备远程升级的方法、装置及网络系统
CN102638823A (zh) * 2011-02-12 2012-08-15 苏州达联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铁路轨道监测传感器节点集中固件更新方法
JP6204775B2 (ja) * 2013-09-27 2017-09-27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289004B2 (ja) * 2013-09-27 2018-03-07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ユーザ端末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5224413B (zh) * 2015-10-09 2018-05-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提升应用程序稳定状态的方法和处理系统
KR20190117719A (ko) 2017-03-14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11965989B (zh) * 2020-08-14 2024-01-26 深圳市欧瑞博科技股份有限公司 系统更新方法、装置、智能家居控制面板以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368A (ko) * 2005-09-23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펌웨어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9250A (en) * 1995-02-19 1997-04-08 Microware Systems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set top box utilizing dynamic system upgrades
US5915207A (en) * 1996-01-22 1999-06-22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obile and wireless information dissemination architecture and protocols
US6625135B1 (en) * 1998-05-11 2003-09-23 Cargenie Mellon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s
US6535743B1 (en) * 1998-07-29 2003-03-18 Minorplanet Systems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rections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US6469742B1 (en) * 1999-04-12 2002-10-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sumer electronic devices with adaptable upgrade capability
JP2001067232A (ja) * 1999-08-31 2001-03-16 Hitachi Ltd ソフトウエアの配信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エアの受信端末装置
KR100892311B1 (ko) * 2002-01-23 2009-04-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장치 및 방법
JP4179813B2 (ja) * 2002-06-19 2008-11-12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123916B2 (ja) * 2002-11-29 2008-07-2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位置情報検索装置、送信方法、受信方法および位置情報検索方法
EP1631110A4 (en) * 2003-05-28 2010-06-02 Nec Corp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ERVER, PORTABLE TERMINAL, AND DATA TRANSFER METHOD USED IN THIS SYSTEM
KR100677509B1 (ko) * 2004-08-04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WO2006014076A1 (en) * 2004-08-04 2006-02-0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JP4712040B2 (ja) * 2004-08-04 2011-06-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ネットワーク間のローミングを提供する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13882B1 (ko) * 2005-01-25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에 대한 통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60221882A1 (en) 2005-04-02 2006-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e distribu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US8351363B2 (en) 2005-04-08 2013-01-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file distribution in multicast or broadcast
CN1933440A (zh) * 2005-09-12 2007-03-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广播系统实现文件分发的方法
JP4524658B2 (ja) 2005-09-14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U2006300029B2 (en) * 2005-10-14 2010-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aming service method in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0978277B1 (ko) 2005-11-07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생성을 위한 공급 정보 전달 방법과 통지 이벤트/통지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시스템
CN100486277C (zh) * 2005-11-23 2009-05-06 苏成春 彩景式回铃/来电显示方法
CN101009515A (zh) * 2006-01-24 2007-08-0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终端设备管理方法及通信终端
KR100693593B1 (ko) * 2006-02-08 2007-03-14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
JP5090066B2 (ja) * 2006-06-08 2012-1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ータ格納装置、管理サーバ、集積回路、データ更新システム、家電機器、データ更新方法、暗号化方法、および、暗復号鍵生成方法
CN101132573A (zh) * 2006-08-23 2008-02-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批量升级的实现方法
EP2074826A4 (en) * 2006-10-11 2011-11-09 Nokia Corp SERVICE DISCOVERY IN BROADCAST NETWORKS
US20100131642A1 (en) * 2007-04-17 2010-05-27 Metrometrix Pty Ltd. System for monitoring the use of content in a vehicle
JP2009159470A (ja) * 2007-12-27 2009-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90103637A (ko) * 2008-03-28 200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과 장치 및 그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4368A (ko) * 2005-09-23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펌웨어업그레이드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81922B (zh) 2014-05-21
JP5301649B2 (ja) 2013-09-25
EP2255525B1 (en) 2018-10-24
AU2009229621B2 (en) 2013-07-11
KR20090103632A (ko) 2009-10-01
EP2255525A4 (en) 2015-09-02
US20090247145A1 (en) 2009-10-01
CN101981922A (zh) 2011-02-23
AU2009229621A1 (en) 2009-10-01
WO2009120027A2 (en) 2009-10-01
US8396464B2 (en) 2013-03-12
EP2255525A2 (en) 2010-12-01
WO2009120027A3 (en) 2009-12-23
CA2717795A1 (en) 2009-10-01
JP2011518477A (ja) 2011-06-23
CA2717795C (en) 201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394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0890037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또는 서비스 가이드프레그먼트에 대한 공유 방법 및 시스템
JP4914950B2 (ja) 移動体ブロードキャスト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定義バンドル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800390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for roaming user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95739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35359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EP2353289B1 (en) Service guide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service
US201402897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firmware of terminals in a broadcast system
EP2276255A2 (en) User-personalized service-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within a broadcasting system, as well as a system therefor
KR20070049020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송수신 방법과 이를위한 서비스 가이드 콘텍스트의 구성 방법
KR101263504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콘텐츠 및 통지이벤트 정보의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70039449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콘텍스트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2008001724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AU2013211498B2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firmware of terminals in a broadcast system
KR20090106327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06334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