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7509B1 -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7509B1
KR100677509B1 KR1020050017041A KR20050017041A KR100677509B1 KR 100677509 B1 KR100677509 B1 KR 100677509B1 KR 1020050017041 A KR1020050017041 A KR 1020050017041A KR 20050017041 A KR20050017041 A KR 20050017041A KR 100677509 B1 KR100677509 B1 KR 10067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broadcast
user
b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3295A (ko
Inventor
한규성
심동희
손민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752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JP4712040B2/ja
Priority to CN2008101903560A priority patent/CN101483815B/zh
Priority to MX2007001408A priority patent/MX2007001408A/es
Priority to EP05773884A priority patent/EP1774718B1/en
Priority to PCT/KR2005/002526 priority patent/WO2006014076A1/en
Priority to BRPI0514010A priority patent/BRPI0514010A8/pt
Priority to US11/196,344 priority patent/US8112080B2/en
Publication of KR2006004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509B1/ko
Priority to HK07111593.1A priority patent/HK1106358A1/xx
Priority to US12/173,769 priority patent/US811208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switching information during the broadcast or the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6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s [DVB-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종 또는 이종 네트워크간을 로밍하는 경우에 홈 네트워크 또는 방문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BCAST 서비스 시스템은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BCAST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에서 방문 네트워크로 로밍하여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홈 네트워크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홈 네트워크가 직접 로밍 사용자에게 서비스 가이드를 전달하는 단계와; 전달된 서비스 가이드내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로밍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홈 및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이지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이거나 BDS가 서로 다른 방송형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형 네트워크이고, 상기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GSM 또는 CDMA네트워크이다.
이동 방송 서비스, 로밍, 홈 네트워크, 방문 네트워크

Description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BROADCAST SERVICE SYSTEM AND METHOF FOR SUPPORTING ROAMING BETWEEN NETWORKS}
도 1은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에서 방문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동 방송 서비스의 로밍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홈 네트워크에서 방문 네트워크로 로밍한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에서 방송 서비스를 받는 유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사용자가 BDS가 방송형 네트워크간을 로밍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동일한 경우 방송 서비스 제공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사용자가 BDS가 방송형 네트워크간을 로밍하는 경우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다른 경우 방송 서비스 제공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사용자가 방송형 네트워크에서 비방송형 네트워크(이동통신 네트워크)로 로밍하는 경우 일반 이동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홈 네트워크에서 제공 받던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종 및 이종망간에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바일 브로드캐스트 서비스(BCAST)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서비스는 공중파 방송이나 여러 부가적인 정보 등을 이동 단말로 서비스하는 형태를 일컫는 것으로서, 사업자가 자신의 서비스에 가입한 모든 가입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서비스 하는 형태(방송 서비스)와, 일정한 주제 혹은 컨텐츠(content)에 미리 가입한 일정한 그룹의 가입자에게만 서비스하는 형태(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모두 포함하는 새로운 형태의 이동 단말기용 서비스이다. (현재 OMA에서는 상기 두 가지 형태의 서비스를 총칭하여 브로드캐스트(BCAST) 서비스라고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동 통신망상에서는 간단한 정보들을 가입자에게 서비스하는 간단한 형태의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만 멀티미디어 형태의 방송이나 다양한 컨텐츠들을 서비스하는 형태의 BCAST 서비스는 아직 제공되고 있지 않다. 향후 상기 BCAST 서비스가 제공된다고 하더라도 각 사업자마다 독립적으로 운용될 것이고,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하여 다른 사업자 지역으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Roaming case) 특정 지역에서만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가입한 네트워크에서 이동하여 방문(Visited) 네트워크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속한네트워크에서 제공받던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가 정의되 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동종 및 이종망간을 로밍할 경우 BCAST 서비스에 대한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BCAST 서비스 시스템은, 방송 서비스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생성개체와; 상기 방송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제공된 방송 컨텐츠를 단말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와; 상기 단말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에서 이동한 경우 상기 홈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로밍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문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형 네트워크로서,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송형 네트워크이다. 이 경우 상기 EDS는 DVB-H, MBMS, BCMCS, ISDB-T, T/S-DMB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면에서, 상기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는 각각은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BSA (Broadcast Service Application)와; 특정 베어러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BCAST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스케줄링기능을 수행하는 BSD(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와; 상기 방송 서비스를 분배하고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호 능을 수행하는 BDS(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또는 IN(Interaction Network)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SA는 로밍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며, 상기 BSA는 홈 네트워크와 사용자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홈 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형 네트워크이고, 상기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방송형 네트워크는 DVB-H, MBMS, BCMCS, ISDB-T, T/S-DMB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GSM 또는 CDMA네트워크이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서, 상기 방송형 네트워크는 상기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BSA (Broadcast Service Application)와; 특정 베어러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BCAST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컨텐츠, 스케줄링기능을 수행하는 BSDA(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Adaptation)와; 서비스/컨텐츠 보호 관리 기능, 사용자의 가입정보 등을 유지 관리하는 BSM(Broadcast Subscription Management)과; 상기 방송 서비스를 분배하고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호 능을 수행하는 BDS(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또는 IN(Interaction Network)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BSM은 로밍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면 망에서 서비스 가능한 서비스 속성정보들을 BSDA로 전달하고, 상기 BSDA는 서비스 속성에 따라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BSA에서 생성되는 서비스 가이드는 홈 네트워크의 BSDA에서 생성하는 서비스 가이드와 다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CAST 서비스 방법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단말 사용자가 제1네트워크에서 제2네트워크로 로밍하여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가이드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로밍 사용자가 서비스 가이드내의 여러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방문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2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이고, 상기 BDS는 DVB-H, MBMS, BCMCS, ISDB-T, T/S-DMB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제1네트워크의 서비스 가이드와 동일하거나 제2네트워크의 서비스 속성에 따라 생성된 서비스 가이드로서 제1네트워크의 서비스 가이드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BCAST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가 제1네트워크에서 제2네트워크로 로밍하여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1네트워크와 정보를 교환을 통하여 제2네트워크가 제1,제2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프로그램이 서로 상이한지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제1,제2네트워크의 방송서비스 프로그램이 서로 상이하면 제2네트워크에서 제1네트워크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1네트워크가 로밍 사용자에게 직접 서비스 가이드를 전달 하는 단계와; 전달된 서비스 가이드내의 여러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로밍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2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이지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BDS는 DVB-H, MBMS, BCMCS, ISDB-T, T/S-DMB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제2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서로 다른 방송형 네트워크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제1,제2네트워크간의 IP터널링을 통하여 단말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형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이다. 이 경우 방송형 네트워크는 DVB-H, MBMS, BCMCS, ISDB-T, T/S-DMB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GSM 또는 CDMA네트워크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종 또는 이종 네트워크로 로밍하는 경우에 해당 네트워크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BCAST 서비스 시스템은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간 구성 요소, 추가되어야 할 개체(entity) 및 인터페이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로드캐스트(BCAST)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는 컨텐츠(Content)를 제공하는 컨텐츠 생성개체(Content Creation)와; 상기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컨턴츠를 제공받아, 가입자들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원하는 BCAST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네트워크는 방송형 네트워크 또는 방송형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비방송형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는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소정의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동영상 오디오/비디오 또는 영화 다운로드 같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나 기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지/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BSA(Broadcast Service Application)와, 특정 베어러(bearer)(DVB-H, MBMS, BCMCS ..etc)를 통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BCAST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스케줄링기능을 수행하는 BSD(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와, 방송 서비스를 분배하고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호(Interaction)기능을 수행하는 BDS(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또는 IN(Interaction Network)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목록의 일부분을 저장 및 편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 또한 저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목록의 일부를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으 며, 사업자는 자신의 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외에 로밍 협약이 체결되어 있는 다른 사업자의 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목록도, 다른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임을 명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BCAST 시스템의 제1실시예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로밍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서 방문 네트워크(Visited Network)로 이동한 경우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이하 홈 NW로 약칭함)에서 방문 네트워크(이하 방문 NW로 약칭함)로 이동함으로 인하여 로밍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방문 NW의 BSD로 방송 서비스 또는 상기 방문 NW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 SG)를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이 로밍하는 경우는 방송 서비스 이용중 단말이 로밍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홈 NW에서 방송 서비스 가입자가 로밍을 한 후 방문 NW에서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로 나룰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로밍전에 방송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었던 경우, 사용자는 방문 NW에서 지원하는 BCAST 서비스를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방문 NW의 BSD로 서비스 가이드(SG)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은 BSA까지 전달된다.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방문 NW의 BSD는 홈 NW와 사용자의 권한을 체크하는 인증절차를 수행하는데, 만약 사용자의 권한이 인증되면 방문 NW의 BSA로부터 SG를 제공받아 단말로 제공한다. 이 경우 방문 NW의 BSA에서 제공하는 SG는 시 간경과등으로 인하여 홈 NW에서 제공하던 SG와 다를 수 있다. 이때, 상기 BSA는 어려 프로그램의 성격, 방송사 및 방송시간등과 같은 서비스 속성(Attributes)들을 상기 BSD(Broadcast Service Disiribution)으로 전달함으로써 BSD는 실질적인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 후 가장 최신의 서비스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
방문 NW로부터 SG를 수신한 사용자는 SG에 포함된 여러 프로그램이나 서비스중의 하나를 선택한 다음 방문 NW의 BSD로 해당 프로그램 혹은 서비스의 컨텐츠를 요청하고, 해당 요청은 BSA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BSA는 컨텐츠 생성개체(Content Creation)로부터 컨텐츠를 직접 제공받아 BSD로 전달하고, BSD는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홈 NW에서 제공받던 방송 서비스를 방문 NW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로밍전에 BCAST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방문 NW의 BSD로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며, 역시 해당 요청은 BSA까지 전달된다. 상기 BSD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홈 NW와 사용자 인증절차를 수행한 후 BSA로부터 SG를 제공받아 단말로 제공한다. 상기 SG를 수신한 사용자는 SG내의 여러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들중의 하나를 선택한 후 방문 NW로 해당 프로그램 혹은 서비스의 컨텐츠를 요청한다. 이 요청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BSD를 거쳐 BSA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BSA는 컨텐츠 생성개체(Content Creation)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BSD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은 방문 NW에서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BCAST 서비스 시스템의 제1실시예와 네트워크의 상세 구성이 상이한 BCAST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BCAST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나 기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유지/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BSA과, 특정 베어러(DVB-H, MBMS, BCMCS ..etc)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BCAST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컨텐츠, 스케줄링기능을 수행하는 BSDA(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Adaptation)와; 서비스/컨텐츠 보호 관리 기능, 사용자의 가입정보 등을 유지 관리하는 BSM(Broadcast Subscription Management)과; 방송 서비스를 분배하고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호 기능을 수행하는 BDS 또는 IN을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에는 방송 서버와 사용자를 확인하여 현재 서비스 제공 유무를 체크하는 방송 리스트 체킹 기능(Broadcast List Checking Function)이 존재하고, 사용자의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저장하는 서버 방송 리스트(Server Broadcast List)가 존재한다. 이러한 개체들은 추후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아울러 다른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한 경우 그 정보를 상기 서버 방송 리스트에 함께 저장하여 향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가 별도로 편집하여 제공하지 않는 경우에도 해당 정보를 서버에만 일단 저장하여 추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말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목록의 일부분을 저장 및 편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호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 또한 저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목록의 일부를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으며, 사업자는 자신의 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외에 로밍 협약이 체결되어 있는 다른 사업자의 망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목록도, 다른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임을 명시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망에 접속하여 방송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노트북과 같은 장치가 존재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프로그램 정보를 알 수 있는 서비스 가이드(SG)를 지원하며, 디바이스 관리 기능이 가능하며 상호채널(Interaction Channel)을 통한 양방향 통신서비스도 지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BCAST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로밍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로밍한 단말이 방송 서비스를 받는 경우를 세 가지로 분류한 그림이다.
첫번째 그림은 사용자가 BDS가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간(e.g., MBMS사이) 을 로밍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두번째 그림은 사용자가 BDS가 서로 다른 방송형 네트워크간(e.g., MBMS과 V-DVB-H사이)을 로밍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세번째 그림은 사용자가 방송형 네트워크와 비방송형 네트워크(예를들면,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 GSM 또는 CDMA네트워크)간의 이종 네트워크간을 로밍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방송 서비스를 위한 로밍방법은, 단말 사 용자가 동종 또는 이종 네트워크로 로밍하였을 경우 방문 NW에서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방문 NW가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를들어, 홈 NW에서 제공하는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가 방문 NW로 이동하였을 경우, 방문 NW에서 MBMS서비스 또는 MBMS서비스가 아닌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또는 방문 NW에서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일반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BDS의 종류는 DVB-H, MBMS, BCMCS, ISDB-T, T/S-DMB등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베어러이다.
도 3은 사용자가 BDS가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간을 로밍하는 경우 홈 NW에서 제공받던 방송 서비스(동일한 프로그램)를 방문 NW에서도 제공받기를 원할 경우의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홈 NW의 BDS와 방문 NW의 BDS는 MBMS로서 동일하며, 방문 NW는 홈 NW와 동일한 서비스 가이드를 사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에서, 사용자가 홈 NW에서 방문 NW로 이동하면 로밍이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방문 NW의 BSA로 방송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를 요청할 지 아니면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할지의 여부는 사용자가 로밍전에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결정된다.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방문 NW의 BSM은 내부통신을 통해 상기 BSA로 부터 방송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받아, 홈 NW의 BSM과 사용자(로밍 가입자)의 권한을 체크하는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그런데, 사용자의 방송 서비스에 대한 가입 정보 즉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 또는 서비스 그룹(Service Bundle)에 가입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홈 NW에 존재하므로 방문 NW의 BSM은 홈 NW의 BSM으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BSM은 가입자가 어떤 방송 서비스에 가입했는지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개체로서 방송 서버내에 또는 별도의 개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일단 사용자의 인증이 수행되면, 방문 NW의 BSA는 망에서 서비스 가능한 서비스 속성(Service Attributes) 정보(여러 프로그램의 성격, 방송사 정보, 방송시간 등)를 내부 통신을 통해 BSDA (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 Adaptation)로 전달하고, BSDA는 서비스 속성에 따라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 다음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 이때, 방문 NW의 BSA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속성들은 홈 NW의 BSA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속성들과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방문 NW의 BSDA에서 생성되는 서비스 가이드 역시 홈 NW의 BSDA에서 생성하는 서비스 가이드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한 사용자는 서비스 가이드내의 여러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중의 하나를 선택한 후 방문 NW의 BSA로 해당 프로그램 혹은 서비스의 컨텐츠를 요청한다.
따라서, 상기 방문 NW의 BSA는 컨텐츠 생성개체(Content Creation)로부터 직접 컨텐츠를 제공받아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은 홈 NW에서 제공받던 방송 서비스를 방문 NW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컨텐츠에 대한 과금 정보를 홈 NW와 방문 NW사이에 주고 받는데, 이것은 실제 컨텐츠를 전달한 홈 NW의 BSA에서 BSM으로 내부적으로 전달한 후 홈 NW의 BSM과 방문 NW의 BSM 사이에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4는 동일한 BDS을 갖지만 홈 NW와 방문 NW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다른 경우 방송 서비스 제공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4는 홈 NW의 특정 컨텐츠 서비스를 방문 NW에서 계속 이용하기 위해 방문 NW에서 홈 NW로 홈 NW에서 지원 가능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실시예이다. 이러한 실시예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는 서비스 가이드를 홈 NW로부터 갱신하며 또한 갱신된 서비스 가이드에서 선택한 컨텐츠 또한 홈 NW로부터 전달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홈 NW에서 방문 NW로 이동하여 로밍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방문 NW의 BSA로 방송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한다. 이때, 방송 서비스를 요청할지 아니면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할지는 로밍전에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이용하고 있었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방문 NW의 BSM은 내부통신을 통해 상기 BSA로부터 방송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받아, 홈 NW의 BSM과 사용자(로밍 가입자)의 권한을 체크하는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그런데, 사용자의 방송 서비스에 대한 가입 정보 즉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 또는 서비스 그룹(Service Bundle)에 가입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홈 NW에 존재하므로 방문 NW의 BSM은 홈 NW의 BSM으로 사용자의 가입 정보를 요청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BSM은 가입자가 어떤 방송 서비스에 가입했는지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개체로서 방송 서버내에 또는 별도의 개체로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방문 NW의 BSM은 홈 NW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여 홈 NW의 BSM과 방문 NW의 BSM 사이의 정보를 교환한다.
일단 사용자의 권한이 인증되면 방문 NW에서 홈 NW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한다. 이 경우 상기 홈 HW의 BSA까지 전달된 BCAST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홈 NW의 BSA까지 전달된다. 서비스 가이드가 요청되면 홈 NW는 홈 NW와 방문 NW간의 IP 터널링을 통해 방문 NW로 서비스 가이드를 전송한다. 이때, 홈 NW의 BSA는 여러 프로그램의 성격, 방송사, 방송시간등과 같은 서비스 속성(Attributes)들을 홈 NW의 BSDA(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 Adaptation)로 전달함으로써 BSDA는 실질적인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 후 가장 최신의 서비스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한 사용자는 서비스 가이드내의 여러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중의 하나를 선택한 후 해당 프로그램 혹은 서비스의 컨텐츠를 방문 NW의 BSA로 요청하고, 이 요청은 홈 NW의 BSA로 전달된다.
따라서, 홈 NW는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홈 NW과 방문 NW간의 IP 터널링을 통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컨텐츠에 대한 과금 정보를 홈 NW와 방문 NW사이에 주고 받게 되는데, 이것은 실제 컨텐츠를 전달한 홈 NW의 BSA에서 BSM으로 내부적으로 전달하고, 홈 NW의 BSM은 방문 NW의 BSM으로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은 BDS가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간의 로밍뿐만 아니라 BDS가 다른 방송형 네트워크간의 로밍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이중모드(Dual Mode)를 지원하며, 홈 NW의 BDS와 방문 NW는 모두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지만 홈 NW의 BDS와 방문 NW의 BDS는 서로 상이하다. 즉, 두 네트워크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 상이한 네트워크를 서로 구비하고 있다. 이때 방문 NW에서 제공받는 방송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만을 위해 홈 NW에서 방문 NW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방문 NW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만을 위해 방문 NW의 방송 망의 상호채널(interaction channel)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경우라도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홈 NW에서 제공받던 방송 서비스를 BDS가 다른 방문 NW에서 제공받기 위한 상세 절차는 도 4와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문 NW의 네트워크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가 아닌 경우(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일반적인 GSM 또는 CDMA),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홈 NW에서 제공 받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 실시예는 방문 NW에서 방송 서비스르 제공하고 있지 않더라도 단말 사용자가 방문 NW의 Unicast방법을 통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에 사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망(Wireless Network)으로 표시되는 이동 통신망(GSM,CDMA)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이 없기 때문에 자신의 이동 통신망 의 패킷교환(Packet Switched) 망을 통해 홈 NW로부터 전달 받은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한다
먼저, 사용자가 홈 NW에서 방문 NW인 비 방송형 이동통신 망(GSM 또는 CDMA)으로 이동하여 로밍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방문 NW로 방송 서비스를 요청한다. 방문 NW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홈 NW의 BSM과 사용자(로밍 가입자)의 권한을 체크하는 인증절차를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되면 방문 NW는 홈 NW의 BSA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고, 상기 홈 NW의 BSA는 서비스 속성들을 NW의 BSDA로 전달한다. 따라서, BSDA는 상기 서비스 속성들에 따라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 후 홈 NW와 방문 NW간의 IP 터널링을 통해 단말로 직접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한 사용자는 서비스 가이드내의 특정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선택한 후 해당 프로그램 혹은 서비스의 컨텐츠를 방문 NW로 요청하고, 이 요청은 홈 NW의 BSA로 전달된다.
따라서, 홈 NW의 BSA는 상기 컨텐츠 요청을 BSDA로 전달하고, 상기 BSDA는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직접 컨텐츠를 제공받아, 홈 NW과 방문 NW간의 IP 터널링을 통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이동통신 망은 BCAST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없기 때문에 자신의 이동통신 망의 패킷 교환(Packet Switched)망을 통하여 홈 NW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즉, 컨텐츠는 BCAST서버와 사용자 단말간의 Unicast 방법을 통하여 1:1로 전달되며, 이때 사용되는 망은 BDS가 아닌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의 채널을 통하여 전달된 다.
이때, 방송을 지원하는 망에서 지원하는 오디오/비디오 코덱등과 셀룰러 망에서 제공하는 오디오/비디오 코덱등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적당한 변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들어, MPEG4를 지원하고 셀룰러 망에서는 MPEG4를 지원하지 않고 MPEG2를 지원하는 경우 방송 망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MPEG2로 다시 인코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 경우 방송 망에서 지원하는 컨텐츠 코딩방법들과 셀룰러 망에서 지원하는 컨텐츠 인코딩방법들을 사전에 교환하는 절차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잇다. 아울러 컨텐츠 인코딩방법 뿐만 아니라 홈 NW에서 사요자 단말의 capability(예를들어, 지원하는 코덱, 데이터 율, 단말 화면의 해상도등)를 사전에 알고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함께 방문 NW로 전송하여, 방문 NW에서 홈 NW에서 수신한 컨텐츠를 사요자 단말로 전달하기 전에 적절한 변형을 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컨텐츠에 대한 과금 정보를 홈 NW와 방문 NW사이에 주고 받게 되는데, 이것은 실제 컨텐츠를 전달한 홈 NW의 BSA에서 BSM으로 내부적으로 전달하고, 홈 NW의 BSM은 방문 NW의 BSM으로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동종 또는 이종 네트워크로 로밍한 경우 해당 네트워크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BCAST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방송 서비스를 위치에 관계 없이 연속성 있게 제공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1)

  1. 방송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생성개체와;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서비스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요청 네트워크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고, 가입자의 컨텐츠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1네트워크와;
    로밍 사용자의 요청신호에 따라 제1네트워크와 사용자 인증절차의 수행함과 함께 서비스 가이드를 가입자 단말로 전달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의 컨텐츠 요청신호에 따라 방송 컨텐츠를 가입자 단말로 전달하는 제2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신호는
    방송 서비스 또는 방송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네트워크는
    방송형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송형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DS는
    DVB-H, MBMS, BCMCS, ISDB-T 및 T/S-DM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 네트워크는
    상기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BSA (Broadcast Service Application)와;
    특정 베어러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BCAST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스케줄링기능을 수행하는 BSD(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와;
    상기 방송 서비스를 분배하고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호 능을 수행하는 BDS(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또는 IN(Interaction Networ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SA는
    로밍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며, 상기 BSA는 홈 네트워크와 사용자 인증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형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 네트워크는
    DVB-H, MBMS, BCMCS, ISDB-T 및 T/S-DMB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GSM 또는 CDMA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 네트워크는
    상기 컨텐츠 생성개체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BSA (Broadcast Service Application)와;
    특정 베어러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BCAST 서비스, 인터페이스 및 컨텐츠, 스케줄링기능을 수행하는 BSDA(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 Adaptation)와;
    서비스/컨텐츠 보호 관리 기능, 사용자의 가입정보 등을 유지 관리하는 BSM (Broadcast Subscription Management)과;
    상기 방송 서비스를 분배하고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호 능을 수행하는 BDS(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또는 IN(Interaction Network)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SM은
    로밍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 또는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면 망에서 서비스 가능한 서비스 속성정보들을 BSDA로 전달하고, 상기 BSDA는 서비스 속성에 따라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 후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SDA에서 생성되는 서비스 가이드는
    제1네트워크의 BSDA에서 생성하는 서비스 가이드와 다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시스템.
  13. 단말 사용자가 제1네트워크에서 제2네트워크로 로밍하여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제1네트워크와 정보를 교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가이드를 전달하는 단계와;
    단말 사용자의 방송 컨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DS는
    DVB-H, MBMS, BCMCS, ISDB-T 및 T/S-DM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제1네트워크에서 생성하여 가입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제2네트워크에서 생성하여 가입자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제1네트워크의 서비스 가이드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제2네트워크의 서비스 속성에 따라 생성된 서비스 가이드로서 제1네트워크의 서비스 가이드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0. 사용자가 제1네트워크에서 제2네트워크로 로밍하여 방송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2네트워크가 제1네트워크와 정보를 교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제1네트워크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1네트워크가 로밍 사용자에게 서비스 가이드를 전달하는 단계와;
    전달된 서비스 가이드내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로밍 사용자가 제1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이지만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DS는
    DVB-H, MBMS, BCMCS, ISDB-T 및 T/S-DM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서로 다른 방송형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제1,제2네트워크간의 IP터널링을 통하여 단말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형 네트워크이고, 상기 제2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형 네트워크는
    DVB-H, MBMS, BCMCS, ISDB-T 및 T/S-DMB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고,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GSM 또는 CDMA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7. 로밍 가입자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의 BSD(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로 방송 서비스 또는 방송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 네트워크의 BSD가 홈 네트워크의 BSD와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 네트워크의 BSD가 상기 로밍 가입자 단말로 서비스 가이드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가이드에서 로밍 가입자가 원하는 방송 서비스 목록을 선택하면, 상기 로밍 가입자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의 BSA로 상기 선택된 방송 서비스 목록에 대한 방송 서비스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BSA가 상기 요청된 방송 서비스 컨텐츠를 상기 로밍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요청은
    BSD를 통해 BSA까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BDS는
    DVB-H, MBMS, BCMCS, ISDB-T 및 T/S-DM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1. 로밍 가입자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의 BSA(Broadcast Service Application)로 방송 서비스 또는 방송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방문 네트워크의 BSM(Broadcast Subscription Management)이 홈 네트워크의 BSM과 정보를 교환하여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 권한이 인증되면 방문 네트워크의 BSDA(Broadcast Service Distribution /Adaptation)가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 가이드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가이드내에서 원하는 방송 서비스 목록을 선택하여 방문 네트워크의 BSA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전달된 방송 서비스 목록에 대한 방송 서비스 컨텐츠를 방문 네트워크의 BSA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서비스 요청은
    내부통신을 통하여 BSM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한 방송형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BDS는
    DVB-H, MBMS, BCMCS, ISDB-T, T/S-DM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5. 로밍 사용자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의 BSA(Broadcast Service Application)로 방송 서비스 또는 방송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방문 네트워크의 BSM(Broadcast Subscription Management)이 홈 네트워크의 BSM과 정보를 교환하여 사용자의 권한을 인증하는 단계와;
    사용자 권한이 인증되면 방문 네트워크 BSA가 홈 네트워크의 BSA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홈 네트워크의 BSDA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가이드내에서 원하는 방송 서비스 목록을 선택하여 방문 네트워크의 BSA를 통해 홈 네트워크의 BSA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홈 네트워크의 BSA가 상기 전달된 방송 서비스 목록에 대한 방송 서비스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 분배 시스템(BDS)이 서로 다른 방송형 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BDS는
    DVB-H, MBMS, BCMCS, ISDB-T 및 T/S-DMB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이중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40. 로밍 가입자 단말이 방송 서비스 또는 방송 서비스 가이드를 방문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방문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의 BSM(Broadcast Subscription Management)과 정보를 교환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인증되면 방문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의 BSA로 서비스 가이드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홈 네트워크의 BSDA가 지원 가능한 서비스 가이드를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받은 서비스 가이드내에서 단말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방문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방문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의 BSA로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홈 네트워크의 BSDA가 선택된 방송 서비스를 컨텐츠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네트워크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GSM 또는 CDMA네트워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이중모드를 지원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홈 네트워크가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방송 컨텐츠는 방송 서버와 가입자 단말간의 유니캐스트(Unicast) 방식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방법.
  44.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로 사용자 가입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방문 네트워크에서 홈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 가입 정보와 인증에 관련된 값을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홈 네트워크에서 방문 네트워크로 상기 사용자 가입정보와 상기 인증에 관련된 값에 대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단말이 방문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브로드캐스트 서비스(Bcast)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로 사용자 가입정보를 제공할 때 구매하려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가입정보는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된 컨텐츠를 구매하려는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단말이 사전에 소유하고 있거나, 홈네트워크에서 전달받거나, 방문 네트워크에서 전달받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방법.
  48. 방문 네트워크로 사용자 가입정보를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방문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로 사용자 가입 정보와 인증에 관련된 값을 전달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면, 상기 방문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바일 브로드캐스트 서비스(Bcast)를 제공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수신 단말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로 사용자 가입정보를 제공할 때 구매하려는 컨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수신 단말기.
  50.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가입정보는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된 컨텐츠를 구매하려는 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수신 단말기.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가이드는
    단말이 사전에 소유하고 있거나, 홈네트워크에서 전달받거나, 방문 네트워크에서 전달받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BCAST 서비스 수신 단말기.
KR1020050017041A 2004-08-04 2005-02-28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77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8101903560A CN101483815B (zh) 2004-08-04 2005-08-03 提供网络间漫游的广播/组播业务系统和方法
MX2007001408A MX2007001408A (es) 2004-08-04 2005-08-03 Sistema de servicio de difusion/multidifusion y metodo que proporciona itineracion entre redes.
EP05773884A EP1774718B1 (en) 2004-08-04 2005-08-03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PCT/KR2005/002526 WO2006014076A1 (en) 2004-08-04 2005-08-03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JP2007524748A JP4712040B2 (ja) 2004-08-04 2005-08-03 ネットワーク間のローミングを提供する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BRPI0514010A BRPI0514010A8 (pt) 2004-08-04 2005-08-03 Sistema e método de serviço de radiodifusão/difusão múltipla que proporcionam migração de ligação entre redes
US11/196,344 US8112080B2 (en) 2004-08-04 2005-08-04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HK07111593.1A HK1106358A1 (en) 2004-08-04 2007-10-26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US12/173,769 US8112081B2 (en) 2004-08-04 2008-07-15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844704P 2004-08-04 2004-08-04
US60/598,447 200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295A KR20060043295A (ko) 2006-05-15
KR100677509B1 true KR100677509B1 (ko) 2007-02-02

Family

ID=37148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041A KR100677509B1 (ko) 2004-08-04 2005-02-28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7509B1 (ko)
CN (2) CN1005837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256B1 (ko) * 2005-10-14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 및방법
AU2006300029B2 (en) 2005-10-14 2010-07-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aming service method in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0943558B1 (ko) * 2006-01-12 2010-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729925B1 (ko) * 2006-04-12 2007-06-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방송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34654B1 (ko) * 2006-05-1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07136196A1 (en) * 2006-05-18 2007-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encrypted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vb-h cbms system
KR100800737B1 (ko) * 2006-06-23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Dvb-h 시스템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100832318B1 (ko) * 2006-12-19 2008-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핸드오버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 및방법
KR101308856B1 (ko) * 2006-12-28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단말기에서 ip 플랫폼 전환 제어 방법
KR100951951B1 (ko) * 2007-11-27 2010-04-09 주식회사 케이티 해외 로밍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및 시스템
KR101445394B1 (ko) * 2008-03-28 2014-09-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20090103637A (ko) * 2008-03-28 200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과 장치 및 그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516A (ko) * 2002-04-27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KR20050007823A (ko) * 2003-07-11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sgsn 간에 소프트 핸드오버가 발생하는경우 연속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8200A (ko) * 2004-04-06 2005-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KR20060020749A (ko) * 2004-08-28 2006-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서의 ip 터널을 통한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2573A1 (en) * 1999-04-14 2000-10-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notifying mobile subscribers of unsupported service features by a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WO2003039167A1 (de) * 2001-10-19 2003-05-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ein mobil-kommunikationsnetz zur bereitstellung von multicast- und/oder broadcastdiensten
US20040137885A1 (en) * 2002-11-08 2004-07-15 Sinikka Sarkkinen Method of coupling user equipment information specific to a multicast/broadcast service with a multicast/broadcast service context of a controlling network ent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516A (ko) * 2002-04-27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KR20050007823A (ko) * 2003-07-11 2005-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sgsn 간에 소프트 핸드오버가 발생하는경우 연속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8200A (ko) * 2004-04-06 2005-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KR20060020749A (ko) * 2004-08-28 2006-03-0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에서의 ip 터널을 통한컨텐츠 전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3295A (ko) 2006-05-15
CN101483815B (zh) 2013-07-03
CN1993934A (zh) 2007-07-04
CN100583795C (zh) 2010-01-20
CN101483815A (zh) 200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7509B1 (ko)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112081B2 (en)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EP1774718B1 (en)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KR10083465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5739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18090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roaming and service roam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20080109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0525499C (zh) 一种向漫游用户提供数字广播的鉴权方法和系统
CN100471314C (zh) 一种向漫游用户提供数字广播的方法和系统
KR101575767B1 (ko) 무선 통신 단말기의 원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0066082A1 (zh) 移动电视网络间切换方法及装置
KR100866194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암호화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404552B (zh) 多媒体广播业务的控制方法、系统及终端
EP233543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roaming during streaming
KR20060087368A (ko)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1724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00285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20080041981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098624A (zh) 多媒体广播业务的控制方法及终端
KR20080017245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