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390B1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390B1
KR100957390B1 KR1020080005429A KR20080005429A KR100957390B1 KR 100957390 B1 KR100957390 B1 KR 100957390B1 KR 1020080005429 A KR1020080005429 A KR 1020080005429A KR 20080005429 A KR20080005429 A KR 20080005429A KR 100957390 B1 KR100957390 B1 KR 100957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over
network
roaming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8578A (ko
Inventor
쉬이링
송재연
이국희
황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68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8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송신 방법은,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이동성 정보를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시스템, 핸드오버, 로밍, 이동성 정보, 양방향 네트워크, ESG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ITY INFORMATION SUPPORTING HANDOVER AND/OR ROAMING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이하 CBMS라 칭함)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방송 시스템 혹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휴대 방송을 제공하고 있으며, 음성 및 화상에 제한되는 통상적인 방송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패킷 데이터를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방송(Mobile Broadcast)이 논의되고 있다. 휴대 방송은, 휴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발견(Discovery),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가입,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어 정보의 제공, 상기 서비스의 송신 및 이동 단말에 의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형 이동성 협의체(Open Mobile Alliance: 이하 OMA라 칭함)는, 개별 이동성 솔루션의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을 연구하는 단체들 중의 하나로서, 이동통신용 게임, 인터넷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OMA의 워킹 그룹 중 특히 OMA BAC(Browser and Content) BCAST(Mobile Broadcast)의 서브 워킹 그룹(Sub Working Group)에서는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와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융합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휴대 방송 단말 표준 기구중의 하나인 DVB-CBMS(Digital Video Broadcasting -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에서도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융합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 및 인터페이스 등을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은, 서비스 자체에 대한 설명 정보,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 그리고 서비스의 수신 방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전자 서비스 안내(Electronic Service Guide: 이하 ESG라 칭함)를 수신하며, 상기 ESG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이 이동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홈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즉 홈 네트워크)가 아닌 타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즉 방문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의 방송 서비스나 로밍 계약관계에 있는 타서비스 제공자(foreign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를 받기를 원한다. 이러한 절차를 로밍이라고 한다. 또한 단말이 방송 서 비스를 수신하는 도중에 홈 네트워크로부터 방문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단말을 통해 상기 방송 서비스를 끊김없이 수신하기를 원하는데, 이러한 절차를 핸드오버라고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는, 방송 서비스의 로밍 및 핸드오버를 위한 명확한 절차를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로밍 및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 가능한 단말의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를 통해 핸드오버 및 로밍의 유형과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BMS)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의 지원을 위해 핸드오버 및 로밍에 관련된 이동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다른 시그널링 수단을 통해 핸드오버 및 로밍에 관련된 이동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이동성 정보를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이동성 정보를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 엔터티와,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관리하는 이동성관리(MM) 블록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MM)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의 핸드오버/로밍 수행에 필요한 이동성 정보를 ESG, 통지 메시지 혹은 다른 시그널링 수단을 통하여 단말에게 사전에 제공함으로써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BMS) 시스템에서, 방송 수신기, 즉 단말이 홈 네트워크로부터 방문 네트워크로 이동하거나 혹은 상기 홈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영역으로부터 타서비스 제공자(foreign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함에 있어서, 핸드오버 혹은 로밍이 일어나기 이전에 단말이 액세스 가능한 홈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핸드오버 및/또는 로 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에 관련된 이동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BM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기반의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캐스트(Internet Protocol(IP) Data Cast: 이하 IPDC라 칭함)를 위해 요구되는 기능들을 달성하기 위한 논리적인 엔터티(Entity)들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엔터티들은 주요한 기능들의 차이에 따라 구분되어 도시되었으며, 물리적으로 구분된 서버들 혹은 동일한 서버 안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block: 이하 CC라 칭함)(110)에서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 소스를 생산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ervice application: 이하 SA라 칭함) 블록(120)으로 보낸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A) 블록(120)에서는 상기 컨텐츠 공급자(110)로부터 전달되어 온 컨텐트들과 부가적으로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에 필요한 관련 메타데이터를 결합(aggregate)하여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컨텐트들을 단말이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부호화하여 스트리밍 혹은 파일 카루셀 전달(File carousel delivery)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하고, ESG에서 사용되기 위한 서비스 디스크립션 메타 데이터(service description metadata)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은 IP 데이터캐스트의 각 서비스를 위해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하는 여러 개의 하위 엔터티들(sub-entities)로 이루어진다.
서비스 관리(Service Management block: 이하 SM이라 칭함) 블록(115)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A) 블록(120)과 단말(160)의 사이에서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 리소스 할당, 전자 서비스 안내 프로비져닝(provisioning), 보안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방송 네트워크(140)는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로서, 일 예로서 DVB-H 시스템이 된다. 양방향 네트워크(15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따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2에 따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혹은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과 같은 일반적인 셀룰러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단말(160)로부터 전송하는 정보나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방송 네트워크(140)와 양방향 네트워크(150)는 CBMS 시스템에서의 전송 베어러(transmission bearers)로 동작한다. 단말(160)은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며, 양방향 네트워크(150)에 접속 가능하고 방송 네트워크(140)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신기를 나타낸다. CBMS 시스템에서 단말(160)은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며, 양방향 네트워크(150)와는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양방향으로 통신한다.
하기에는 상기한 논리적 엔터티들을 포함하는 각 엔터티간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X-1, X-2, X-3 인터페이스들은 방송 네트워크와 다른 엔터티 간의 참조점을 의미하는 것인데, DVB-H를 기반으로 한 양방향 규격에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X-1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공급자(110)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간을 연결하며, X-2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네트워크(150)와 단말(160)간을 연결하고, X-3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관리 블록(115)과 양방향 네트워크(150) 간을 연결한다.
CBMS-1 인터페이스는 방송 관련된 시그널링을 운송하며, CBMS-2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파일 등의 컨텐츠들을 운송한다. CBMS-3 인터페이스는 전자 서비스 안내(ESG)를 운송한다. CBMS-4 인터페이스는 단-대-단(Point to Point: PtP) 전송의 형태로 전자 서비스 안내를 운송한다. CBMS-5 인터페이스는 단-대-단 전송의 형태로 단문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등을 운송한다. CBMS-6 인터페이스는 DVB-H 전송을 위하여 서비스들의 개수, 할당된 대역폭 등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운송한다. CBMS-7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선언이나 메타데이타들을 운송한다. 전술한 설명은 각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대표적인 것만을 서술한 것으로 위의 서술만으로 각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데이터 모델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각 블록은 ESG 데이터의 프래그먼트(fragment)들을 나타낸다. 즉 ESG 데이터 모델은 서비스 프래그먼트(202),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204), 콘텐츠 프래그먼트(206), 획득(Acquisition) 프래그먼트(208),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210), 구매(Purchase) 프래그먼트(212), 구매채널 프래그먼트(214)로 구성된다.
서비스 프래그먼트(202)는 서비스 전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 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204)는 시간에 따른 서비스의 정보를 나타내며, 획득 프래그먼트(208)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서비스 접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210)는 여러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 번들로 묶는 경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구매 프래그먼트(212)는 상기 서비스 번들을 구매하기 위한 가격 정보를 알려주며, 구매채널 프래그먼트(214)는 상기 구매를 위한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해야 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데이터 모델의 각 프래그먼트들은 다른 프래그먼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프래그먼트들 간의 화살표는 상기 참조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라 함은 현재 프래그먼트가 자신의 프래그먼트와 연관이 있는 정보를 다른 프래그먼트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알려주는 것이다. 즉 하나의 서비스가 여러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프래그먼트(202)에서는 서비스 전체에 대한 설명, 예를 들어 서비스의 이름과 서비스의 언어 등을 포함하고 있을 뿐, 상기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자체에 대한 설명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해당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프래그먼트(206)에서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참조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를 단말이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정보들, 예를 들어 전송되는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세션 정보 등을 알기 위해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202)가 참조하고 있는 획득 프래그먼트(208)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서 상기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ESG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과는 별도의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스트림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별도로 전송된다. 따라서 서비스 공급자는 ESG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수신하기 이전에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들을 서비스의 전송 이전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ESG 스트림을 수신함으로서 단말은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때 단말은 상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가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한 후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단말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들은 도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획득 프래그먼트(208)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한 ESG 데이터 모델은 각 프래그먼트별로 몇 개씩 묶여서 하나의 컨테이너에 담겨지고 각 컨테이너는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protocol) 세션에서의 하나의 객체(object)로 간주되어 전송된다.
CBMS 시스템에서 핸드오버가 필요할 때, 상이한 조건들에 따른 여러 핸드오버 유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들 들면, 양방향 채널(interactive channel)의 이용 가능 여부에 따라, 수동 핸드오버(passive handover)가 사용되거나 혹은 능동 핸드오버(active handov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양방향 채널을 통해 전달이 가능한 것이 시그널링 정보인지 혹은 서비스 데이터인지에 따라, 양방향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 전달 혹은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이 사용된다. 또한 핸드오버 결정을 내리는 것이 네트워크인지 단말인지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와 단말 제어 핸드오버가 사용될 수 있다.
사전에 어떠한 조건 정보(condition information) 없이 단말이 전체 핸드오버/로밍 절차를 즉시 알 수는 없으므로,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에 관련된 정보(이하 이동성 정보라 칭함)를 얻기 위해서 네트워크와 통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방송 서비스에 관련된 전자 서비스 안내(ESG)에 상기한 이동성 정보를 추가한다. 단말은 핸드오버가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ESG로부터 상기 이동성 정보를 얻어서, ESG로부터 얻는 다른 조건 정보 및 상기 이동성 정보를 토대로 핸드오버/로밍이 필요한 시점 및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적절히 판단한다.
하기의 <표 1a>에 이동성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는 핸드오버 유형들과 그 설명을 개시하였다.
핸드오버 유형들
No. 핸드오버 유형 설명
1 수동 핸드오버(Passive handover) 1. 단말 제어(terminal control)
2 시그널링이 필요한 단말 제어 능동 핸드오버(Terminal control Active handover with assistant signaling) -. 단말 제어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단말이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획득 가능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3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한 단말 제어 능동 핸드오버(Terminal control active handover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 단말 제어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단말이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4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한 단말 제어 능동 핸드오버(Terminal control active handover with assistant signaling and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 단말 제어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단말이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획득 가능함 -. 단말이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5.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Network control handover) -. 네트워크 제어(network control)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네트워크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핸드오버를 지원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6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한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Network control handover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 네트워크 제어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네트워크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핸드오버를 지원함 -.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서비스가 전달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7 단말 제어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양자가 선택 가능한 결합 핸드오버(Both terminal contro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 단말 제어와 네트워크 제어의 양자가 선택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네트워크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핸드오버를 지원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8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한 결합 핸드오버(Both terminal contro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 단말 제어와 네트워크 제어의 양자가 선택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네트워크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핸드오버를 지원함 -.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서비스가 전달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로밍 또한 핸드오버와 유사한 조건들에 따른 여러 로밍 유형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b>에 이동성 정보에 의해 지시될 수 있는 로밍 유형들과 그 설명을 개시하였다.
로밍 유형들
No. 로밍 유형 설명
1 수동 로밍(Passive handover) -. 단말 제어(terminal control)
2 시그널링이 필요한 단말 제어 능동 로밍(Terminal control Active roaming with assistant signaling) -. 단말 제어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단말이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로밍 관련 정보를 획득 가능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3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한 단말 제어 능동 로밍(Terminal control active roaming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 단말 제어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단말이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4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한 단말 제어 능동 로밍(Terminal control active roaming with assistant signaling and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 단말 제어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단말이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로밍 관련 정보를 획득 가능함 -. 단말이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5. 네트워크 제어 로밍(Network control roaming) -. 네트워크 제어(network control)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네트워크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로밍을 지원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6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한 네트워크 제어 로밍(Network control roaming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 네트워크 제어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네트워크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로밍을 지원함 -.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서비스가 전달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7 단말 제어와 네트워크 제어 로밍의 양자가 선택 가능한 결합 로밍(Both terminal control and network control roaming are optional) -. 단말 제어와 네트워크 제어의 양자가 선택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네트워크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로밍을 지원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8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한 결합 로밍(Both terminal control and network control roaming are optional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 단말 제어와 네트워크 제어의 양자가 선택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함 -. 네트워크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로밍을 지원함 -.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서비스가 전달 가능함 -.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상기 <표 1a> 및 <표 1b>에서는 다양한 핸드오버/로밍 유형들을 개시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지 않은 핸드오버/로밍 유형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후술되는 이동성 정보의 상세한 관련 파라미터 및 정보 요소들은 적용되는 시스템이나 서비스 및 다른 핸드오버/로밍 유형들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동성 정보는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직접적으로 지시하거나, 혹은 하나 이상의 정보 요소들을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지시하고 핸드오버/로밍의 수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지시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지시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성 정보(302)는 누가 핸드오버/로밍을 제어하는지를 지시하는 제1 정보 요소(304),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2 정보 요소(306),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제3 정보 요소(30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312)은 수신된 이동성 정보(302)에 기초하여 어떤 유형의 핸드오버/로밍을 수행할지의 여부(314)를 결정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지시 유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성 정보(322)는 어떤 유형의 핸드오버/로밍을 수행할지(324)를 직접적으로 지시하며, 단말(332)은 수신된 이동성 정보(322)에 기초하여, 누가 핸드오버/로밍을 제어하는지(334),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유효한지의 여부(336),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유효한지의 여부(338)와 같은 상세한 조건들을 인지한다.
이동성 정보는 전자 서비스 안내(ESG) 혹은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통지(notification) 메시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독립적인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통지 메시지는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컨텐츠, 혹은 운용의 변동사항을 단말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동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일 예로서 통지 메시지의 헤더(이하 통지 헤더라 칭함) 내에 구비되는 '이벤트 유형(EventType)' 필드가 사용된다. 하기의 <표 2a>는 핸드오버 유형을 지시하기 위한 '이벤트 유형' 필드의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통지 메시지의 헤더
EventType content
Handover Handover type: 1. terminal control handover 1.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1.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2. terminal control with network assistant 2.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2.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3. both terminal could network control are available 3.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3.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4. network control 4.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4.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Handover 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if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its type, provider, address and so on could be provided here.
하기 <표 2b>는 '이벤트 유형' 필드 내의 일부 비트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유형을 지시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통지 메시지의 헤더
EventType Bits in content Description
Handover 2 00: terminal control 01: network control 10: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available
1 0: 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is not available 1: 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1 0: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is not available 1: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통지 메시지의 통지 헤더에 '이벤트 유형' 필드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 하기 <표 3a>와 같이, 핸드오버/로밍 관련 정보는 통지 메시지의 콘텐트를 통해 직접적으로 지시된다.
통지 메시지
Handover information carried in notification content
Handover type: 1. terminal control handover 1.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1.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2. terminal control with network assistant 2.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2.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3. both terminal could network control are available 3.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3.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4. network control 4.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4.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Handover 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if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its type, provider, address and so on could be provided here.
하기 <표 3b>와 같이, 통지 메시지 내의 일부 비트를 이용하여 핸드오버 유형들을 지시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통지 메시지
Handover information carried in notification Bits in content Description
2 00: terminal control 01: network control 10: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available
1 0: 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is not available 1: 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1 0: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is not available 1: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하기 <표 4a>는, 핸드오버/로밍 관련 정보를 운반하기 위해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이하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시지라 칭함)가 사용되는 경우의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시지의 헤더를 통해 핸드오버 유형들이 지시된다.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시지
Header Content
Handover signaling Handover type: 1. terminal control handover 1.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1.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2. terminal control with network assistant 2.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2.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3. both terminal could network control are available 3.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3.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4. network control 4.1.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4.2. without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Handover related information: For example, if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its type, provider, address and so on could be provided here.
하기 <표 4b>는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시지를 사용하여 핸드오버/로밍 관련 정보를 운반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시지 내의 일부 비트를 통해 핸드오버 유형들이 지시된다.
핸드오버 시그널링 메시지
Header Bits in content Description
Handover signaling 2 00: terminal control 01: network control 10: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available
1 0: 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is not available 1: 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1 0: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is not available 1: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ESG에 추가되는 이동성 정보의 포맷을 하기의 <표 5a>에 나타내었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핸드오버 관련 정보만을 나타내었으며, 로밍 관련 정보 또한 유사한 포맷으로 ESG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이 하기된 상세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관련 표준, 시스템 설계 및 네트워크 운영자의 필요에 따라 더 많은 관련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핸드오버 관련 정보 1
<element name="Handover"> <complexType> <sequence> <element name="HandoverControl"> <complex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HandoverCotrolType"> <attribute name="type" type="HandoverCotrolType"/> </ extension> </ complexContent>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 minOccurs="0"/> <element name="RelatedMaterial" type="anyURI" minOccurs="0"/> </ sequenc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xs: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Handover" type=" boolean" use="optional"/> </ complexType> </ element> <simpleType name="HandoverCotrolType"> <restriction base="string"> <enumeration value="terminal control"/> <enumeration value="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enumeration value="network control"/> </ restriction> </ simpleType><complex Type name="handover "> <sequence> <element name="HandoverControlType"type="esg: HandoverControlType">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type="esg: InteractiveNetwork"> <element name="RelatedMaterial" type="anyURI"> <sequence> <attribute name="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type="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handover" type="Boolean" use="optional"/> </complex type>
하기의 <표 5b>는 ESG에 포함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의 다른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핸드오버 관련 정보 2
<element name="Handover"> <complexType> <sequence> <element name="HandoverControl" type="HandoverCotrolType"/>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 minOccurs="0"/> <element name="RelatedMaterial" type="anyURI" minOccurs="0"/> </ sequenc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xs: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Handover" type=" boolean" use="optional"/> </ complexType> </ element> <complexType name="HandoverCotrolType"> <choice minOccurs="0"/> <element name="terminalControl" type="string" fixed="terminal control"/> <element name=" BothTerminalAndNetworkControlAreOptional" type="string" fixed="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 <element name="networkControl" type="string" fixed="network control"/> </choice> </ complexType >
하기의 <표 5c>는 ESG에 포함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의 또 다른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핸드오버 관련 정보 3
<element name="Handover"> <complexType> <sequence> <element name="HandoverControl" type="tva:ControlledTermType" minOccurs="0"/>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 minOccurs="0"/> <element name="RelatedMaterial" type="anyURI" minOccurs="0"/> </ sequenc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xs: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Handover" type=" boolean" use="optional"/> </ complexType> </ element>
상기한 <표 5a> 내지 <표 5c>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요소 'handover'는 '핸드오버 제어 유형(HandoverControlType)'과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Network)' 정보(혹은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InteractiveNetworkType)' 정보)를 포함하며, 선택적인(optional) 속성(Attribute) 값들로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및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를 포함하며, 핸드오버에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버의 주소를 URL(Uniform Resource Locator) 형태로 나타내는 '관련 매체(RelatedMaterial)'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은 핸드오버 제어의 유형을 지정하는 불린(Boolean) 유형의 정보요소로서, 예를 들어 단말 제어 핸드오버가 필수임('terminal control handover is mandatory')을 나타내거나 혹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가 필수임('network control handover is mandatory') 등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은 단말 제어 핸드오버 및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양자가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함('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을 나타낼 수 있다. 하기 <표 6>에 '핸드오버 제어 유형'의 상세 포맷을 나타내었다.
핸드오버 제어 유형
<ClassificationScheme uri="urn:dvb:ipdc:esg:cs:HandoverControlTypeCS:> <Term termID="1.0"<Name xml:lang="en"> Handover Control Type</Name> <Definition xml:lang="en">Type of handover control, e.g. terminal control handover is mandatory,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network control handover is mandatory</Definition> <Term termID="1.1> <Name xml:lang="en"> terminal control handover </Name> <Definition xml:lang="en">A terminal control handover </Definition> <Term termID="1.2> <Name xml:lang="en">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Name> <Definition xml:lang="en">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Definition> <Term termID="1.3> <Name xml:lang="en"> network control handover </Name> <Definition xml:lang="en">A network control handover </Definition> <ClassificationScheme uri="urn:dvb:ipdc:esg:cs:MobilityCS"> <Term termID="1"> <Name xml:lang="en">HandoverCotrolType</Name> <Definitionxml:lang="en">Type of handover control, e.g. terminal control handover is mandatory,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network control handover is mandatory </Definition> <Term termID="1.1"> <Namexml:lang="en"> terminal control</Name> <Definition xml:lang="en">A terminal control handover </Definition> </Term> <Term termID="1.2"> <Namexml:lang="en">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Name> <Definition xml:lang="en">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Definition> </Term> <Term termID="1.3"> <Namexml:lang="en"> network control</Name> <Definition xml:lang="en">A network control handover </Definition> </Term> </Term> </ClassificationScheme>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는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양방향 네트워크의 특성을 지정하며, 양방향 네트워크 제공자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양방향 네트워크의 유형, 접근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획득 참조위치(Acquisition Reference), 양방향 네트워크의 IP 주소 및 포트번호를 포함한다.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가 이용 가능할 때 존재한다.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
<complexType name="InteractiveNetwork"> <all>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Provider" type="InteractiveNetwork ProviderType"/>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 <complexType> <complexContent> <extension base="InteractiveNetworkType"> <attribute name="type" type="InteractiveNetworkType"/> </ extension> </ complexContent>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AcquisitionRef" type="anyURI"/>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IPAddress" type="anyURI"/>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PortNumber" type="anyURI"/> </ all> </ complexType> <complexType name="InteractiveNetworkProviderType"> <sequence> <element name="ProviderURI" type="anyURI"/> <element name="ProviderName" type="mpeg7:TextualType" minOccurs="0"/> <element name="ProviderLogo" type="mpeg7:TitleMediaType" minOccurs="0"/> <element name="ProviderID" type="positiveInteger" minOccurs="0"/> <element name="ProviderInformationURL" type="anyURI" minOccurs="0"/> <element name="PrivateAuxiliaryData" type="anyType" minOccurs="0"/> </ sequence> </ complexType><complex Type name="interactive network"minOccurs = "0"maxOccurs="unbounded"/> <all>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Provider"type= "anyURIHandoverControlType">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 type="esg: InteractiveNetworkType"> <element name="AcquisitionRef"type="anyURI">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IPAddress"type="anyURI">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PortNumber"type="anyURI"> </all> </complex type>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에서 지시하는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은 일 예로서 3GPP, 3GPP2,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Bro(Wireless and Broadband Internet) 등이 있다. 하기 <표 7b>는 몇 가지 가능한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들을 나열한 것이다.
양방향 네트워크 유형
<simpleType name="InteractiveNetworkType"> <restriction base="string"> <enumeration value="3GPP"/> <enumeration value="3GPP2"/> <enumeration value="WLAN"/> <enumeration value="WIBRO"/> </restriction> </simpleType>
상기 <표 5>에 나타낸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true)"으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함을 나타내며, "불가(false)"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은,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함을 나타내며, "불가"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동성 정보가 ESG의 서비스 프래그먼트에 삽입되는 경우, 서비스 프래그먼트에서 이동성 정보와 관련되어 삽입되는 필드들을 하기 <표 8a>에 나타내었다.
필드 이름 의미
HandoverControlType 핸드오버 제어 유형을 지시함. 예를 들어 핸드오버 제어 핸드오버가 필수인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가 필수인지, 혹은 단말/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가 선택적으로 가능한지 등등.
InteractiveNetwork 양방향 네트워크의 특성을 지시함. 예를 들어 양방향 네트워크 지시자, 유형, 액세스 파라미터 등등.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한 경우에만 존재함.
RelatedMaterial 핸드오버에 관련된 매체에 대한 참조 정보를 지시함. 예를 들어 IP 플랫폼, 정보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 신호 주파수, 셀 정보 등.
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참(true)"으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함을 나타내며, "거짓(false)"으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냄.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handover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함을 나타내며, "불가"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냄.
일 예로서 상기 <표 8a>의 필드들은 하기 <표 8b>와 같은 포맷을 가진다.
<element name="Handover"> <complexType> <sequence>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 minOccurs="0"/> <element name="RelatedMaterial" type="anyURI" minOccurs="0"/> </ sequenc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xs: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Handover" type=" 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NetworkControlAbailabilty" type="xs: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NetworkControlIsMandatory" type="xs:boolean" use="optional"/> </s:complexType> </ element><complex Type name="handover " <sequence>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type="esg: InteractiveNetwork"> <element name="RelatedMaterial" type="anyURI"> <sequence> <attribute name="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type="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type="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network control availability" type="Boolean" use="optional"/> <attribute name="network control is mandatory" type="Boolean" use="optional"/> </complex type>
하기 <표 9>는 서비스 프래그먼트에 포함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의 다른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필드 이름 의미
InteractiveNetwork 양방향 네트워크의 특성을 지시함. 예를 들어 양방향 네트워크 지시자, 유형, 액세스 파라미터 등등.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한 경우에만 존재함.
RelatedMaterial 핸드오버에 관련된 매체에 대한 참조 정보를 지시함. 예를 들어 IP 플랫폼, 정보 제공자, 서비스 식별자, 신호 주파수, 셀 정보 등.
Signaling over interactive network "참(true)"으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함을 나타내며, "거짓(false)"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냄.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handover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함을 나타내며, "불가"로 설정된 경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데이터의 전달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냄.
network control availability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함을 나타내며, "불가"로 설정된 경우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냄.
network control is mandatory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네트워크 제어가 필수임을 나타내며, "불가"로 설정된 경우 네트워크 제어가 필수적이지 않음을 나타냄.
상기 <표 8a/b> 및 <표 9>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에 대한 설명은 앞서와 동일하다.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속성 값으로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network control availability)'는,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네트워크 제어가 이용 가능함을 나타내고, "불가"로 설정된 경우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다른 속성 값인 '네트워크 제어 필수(network control is mandatory)'는, "가능"으로 설정된 경우 네트워크 제어가 필수임을 나타내고 "불가"로 설정된 경우 네트워크 제어가 필수가 아님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네트워크 및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후술되는 네트워크측 동작은 네트워크 내에서 핸드오버 제어를 담당하는 엔터티로서, 예를 들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 서비스 관리 블록(115) 혹은 다른 핸드오버 제어 엔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네트워크 및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었다. 후술되는 네트워크측 동작은 네트워크 내에서 핸드오버 제어를 담당하는 엔터티로서, 예를 들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 혹은 서비스 관리 블록(115) 혹은 다른 핸드오버 제어 엔터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도 4a 및 도 4b로 분리하여 도시함)를 참조하면, 40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이한 핸드오버 매커니즘들에 근거하여 관련 정보요소들을 설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단말들의 성능(capability), 양방향 네트워크와의 협약 등을 고려하여, 사용 가능한 핸드오버 매커니즘들을 분석하고, 404단계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하다면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된다. 406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하면, 408단계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로서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이 "가능"으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 410단계에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은 "불가"로 설정된다.
41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매커니즘을 확인하여 414, 422, 430, 438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로 진행한다. 414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수동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416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불가"로 설정되며, 418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은 "불가"로 설정되고, 420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필수'는 "불가"로 설정된다.
42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네트워크 지원 단말 제어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424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되며, 426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은 "불가"로 설정되고, 428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필수'는 "불가"로 설정된다.
430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단말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432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되며, 434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은 "가능"으로 설정되고, 436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필수'는 "불가"로 설정된다.
438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440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되며, 442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은 "가능"으로 설정되고, 444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필수'는 "가능"으로 설정된다.
414 내지 444 단계에 걸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될 정보요소들의 설정이 완료되면, 450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이동성 정보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성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ESG 스트림에 실어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핸드오버가 실제로 발생한 경우 45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처리하거나 관리한다. 수동 핸드오버의 경우라면 네트워크 엔터티는 핸드오버 절차에 관련되지 않는다. 단말 제어 및 네트워크 제어가 결합된 핸드오버의 경우라면, 네트워크 엔터티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인지 혹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인지에 따라 동작한다.
도 5를 참조하면, 502단계에서 단말은 CBM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ESG 스트림을 통해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고, 504단계에서 상기 이동성 정보에 포함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검출하며, 506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의 미리 정해지는 구문에 의거하여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된 '핸드오버 제어 유형' 및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에 따라 확인된 핸드오버 유형에 근거하여 단말은 단말 제어 핸드오버인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인지 혹은 단말 제어 및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양자가 선택가능인지를 판단한다.
508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에 따라 단말 제어 핸드오버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510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을 분석하여, 512단계에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따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하지 않으면 516단계에서 단말은 수동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514단계에서 네트워크 지원 수동 핸드오버, 즉 네트워크 지원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530단계로 진행한다.
518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에 따라 단말 제어 핸드오버 및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양자가 선택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520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을 분석한다.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522단계에서 단말은 단말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530단계로 진행한다.
52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인 것을 확인하고, 526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을 분석한다.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528단계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530단계로 진행한다.
530단계에서 단말은 필요한 경우 상기 508 내지 528단계에서의 결정에 따라 가능한 핸드오버 매커니즘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이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후에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받게 될 수 있다. 상기 530단계의 핸드오버를 결정함에 있어서, 단말 제어인지 네트워크 제어인지에 따라 단말은 자체적으로 핸드오버를 결정하거나,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를 지시받는다. 핸드오버의 결정은 기본적으로 단말이 측정한 홈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및/또는 방문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단말 혹은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네트워크 및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도 6a 및 도 6b로 분리하여 도시함)을 참조하면, 60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이한 핸드오버 매커니즘들에 근거하여 관련 정보요소들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핸드오버 매커니즘들을 분석하고, 604단계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되기 위한 양방향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설정한다. 즉 이때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하다면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관련 매체 정보가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설정된다. 606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이용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하면, 608단계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로서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이 "가능"으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 610단계에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은 "불가"로 설정된다.
61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매커니즘을 확인하여 914, 620, 626, 632 단계들 중 하나로 진행한다. 614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수동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616단계에서 '핸드오버 제어 유형'은 "단말 제어 핸드오버"로 설정되며, 618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불가"로 설정된다.
620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단말에 의해 제어되는 네트워크 지원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622단계에서 '핸드오버 제어 유형'은 "단말 제어 핸드오버"로 설정되며, 624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된다.
626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단말 제어 및 네트워크 제어가 결합된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628단계에서 '핸드오버 제어 유형'은 단말 제어 핸드오버 및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 양자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선택가능"으로 설정되며, 630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된다.
63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634단계에서 '핸드오버 제어 유형'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로 설정되며, 636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된다.
614 내지 636 단계에 걸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될 정보요소들의 설정이 완료되면, 640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이동성 정보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성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ESG 스트림에 실어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핸드오버가 실제로 발생한 경우 64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처리하거나 관리한다. 수동 핸드오버의 경우라면 네트워크 엔터티는 핸드오버 절차에 관련되지 않는다. 단말 제어 및 네트워크 제어가 결합된 핸드오버의 경우라면, 네트워크 엔터티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인지 혹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인지에 따라 동작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2단계에서 단말은 CBM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ESG 스트림을 통해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고, 704단계에서 상기 이동성 정보에 포함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검출하며, 706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의 미리 정해지는 구문에 의거하여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된 '핸드오버 제어 유형'과 '관련 매체' 정보 및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를 분석한다.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에 따라 확인된 핸드오버 유형에 근거하여 단말은 단말 제어 핸드오버인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인지 혹은 단말 제어 및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양자가 선택가능인지를 판단한다.
708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에 따라 단말 제어 핸드오버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710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을 분석하여, 712단계에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따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하지 않으면 716단계에서 단말은 수동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714단계에서 네트워크 지원 수동 핸드오버, 즉 네트워크 지원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730단계로 진행한다.
718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에 따라 단말 제어 핸드오버 및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양자가 선택가능한 것임을 확인하고, 720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을 분석한다.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722단계에서 단말은 단말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730단계로 진행한다.
72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제어 유형'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인 것을 확인하고, 726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을 분석한다.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728단계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으로 결정하고 730단계로 진행한다.
730단계에서 단말은 필요한 경우 상기 708 내지 728단계에서의 결정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만일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이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후에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받게 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필요한 경우 '관련 매체' 정보를 통해 액세스한 서버로부터 추가적인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핸드오버의 수행에 이용한다. 상기 730단계의 핸드오버를 결정함에 있어서, 단말 제어인지 네트워크 제어인지에 따라 단말은 자체적으로 핸드오버를 결정하거나,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를 지시받는다. 핸드오버의 결정은 기본적으로 단말이 측정한 홈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및/또는 방문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단말 혹은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네트워크 및 단말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도 8a 및 도 8b로 분리하여 도시함)을 참조하면, 80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이한 핸드오버 매커니즘들에 근거하여 관련 정보요소들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 가능한 핸드오버 매커니즘들을 분석하고, 804단계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되기 위한 양방향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설정한다. 즉 이때 양방향 네트워크가 유효하다면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관련 매체 정보가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설정된다. 806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이용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서비스 전달이 가능하면, 808단계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로서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이 "가능"으로 설정되며, 그렇지 않다면 810단계에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은 "불가"로 설정된다.
81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 매커니즘을 확인하여 814, 822, 830, 838 단계들 중 하나로 진행한다. 814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수동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816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불가"로 설정되며, 818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은 "불가"로 설정되고, 820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필수'는 "불가"로 설정된다.
82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네트워크 지원 단말 제어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824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되며, 826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은 "불가"로 설정되고, 828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필수'는 "불가"로 설정된다.
830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단말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832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되며, 834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은 "가능"으로 설정되고, 836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필수'는 "불가"로 설정된다.
838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의 매커니즘에 대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설정할 것으로 결정하면, 840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가능"으로 설정되며, 842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은 "가능"으로 설정되고, 844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 필수'는 "가능"으로 설정된다.
814 내지 844 단계에 걸쳐서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될 정보요소들의 설정이 완료되면, 850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이동성 정보에 삽입하고 상기 이동성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ESG 스트림에 실어 단말들에게 전송한다. 핸드오버가 실제로 발생한 경우 852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의존하여 상기 핸드오버를 처리하거나 관리한다. 수동 핸드오버의 경우라면 네트워크 엔터티는 핸드오버 절차에 관련되지 않는다. 단말 제어 및 네트워크 제어가 결합된 핸드오버의 경우라면, 네트워크 엔터티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인지 혹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인지에 따라 동작한다.
도 9를 참조하면, 902단계에서 단말은 CBM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ESG 스트림을 통해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고, 904단계에서 상기 이동성 정보에 포함된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검출하며, 906단계에서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의 미리 정해지는 구문에 의거하여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된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와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 및 '관련 매체' 정보를 분석한다.
908단계에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분석하여, 910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912단계에서 단말은 수동 핸드오버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고 928단계로 진행하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한 시그널링이 가능하면 914단계로 진행한다. 914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된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을 분석하여, 916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918단계에서 네트워크 지원 수동 핸드오버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고 928단계로 진행하며,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하면 920단계로 진행한다.
920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핸드오버 관련 정보에 포함된 '네트워크 제어 필수'를 분석하여, 922단계에서 네트워크 제어가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되면, 924단계에서 단말 제어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결정하고 928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네트워크 제어가 수행되어야 한다면, 926단계에서 단말은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를 수행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928단계로 진행한다.
928단계에서 단말은 필요한 경우 상기 결정된 핸드오버 매커니즘에 따라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만일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이 "가능"으로 설정되어 있었다면, 핸드오버가 이루어진 후에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받게 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필요한 경우 '관련 매체' 정보를 통해 액세스한 서버로부터 추가적인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핸드오버의 수행에 이용한다. 상기 928단계의 핸드오버를 결정함에 있어서, 단말 제어인지 네트워크 제어인지에 따라 단말은 자체적으로 핸드오버를 결정하거나,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핸드오버를 지시받는다. 핸드오버의 결정은 기본적으로 단말이 측정한 홈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 및/또는 방문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단말 혹은 네트워크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성 정보의 포맷 이외에 다른 종류의 포맷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기에 이동성 정보의 다른 포맷들을 나타내었다.
1. 이동성 정보의 다른 포맷 1
<?xml version="1.0" encoding="UTF-8"?>
<schema xmlns:xs="http://www.w3.org/2001/XMLSchema" elementFormDefault="qualified" attributeFormDefault="unqualified">
<ClassificationScheme uri="urn:dvb:ipdc:esg:cs:MobilityCS">
<Term termID="1">
<Name xml:lang="en">HandoverCotrolType</Name>
<Definition xml:lang="en">Type of handover control, e.g. terminal control handover is mandatory,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network control handover is mandatory
</Definition>
<Term termID="1.1">
<Name xml:lang="en"> terminal control</Name>
<Definition xml:lang="en">A terminal control handover </Definition>
</Term>
<Term termID="1.2">
<Name xml:lang="en">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Name>
<Definition xml:lang="en">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Definition>
</Term>
<Term termID="1.3">
<Name xml:lang="en"> network control</Name>
<Definition xml:lang="en">A network control handover </Definition>
</Term>
</Term>
<Term termID="2">
<Name xml:lang="en">HandoverType</Name>
<Definition xml:lang="en">HandoverType</Definition>
<Term termID="2.1">
<Name xml:lang="en">Passive handover</Name>
<Definition xml:lang="en">1. terminal control</Definition>
</Term>
<Term termID="2.2">
<Name xml:lang="en">
Terminal control Active handover with assistant signaling
</Name>
<Definition xml:lang="en">
1. terminal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terminal could get handover assistant from network side over interactive network
4.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3">
<Name xml:lang="en">
Terminal control active handover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Name>
<Definition xml:lang="en">
1. terminal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terminal could receive service over interactive network
4.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4">
<Name xml:lang="en">
Terminal control active handover with assistant signaling and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Name>
<Definition xml:lang="en">
1. terminal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terminal could get handover assistant from network side over interactive network
4. the terminal could receive service over interactive network
5.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5">
<Name xml:lang="en">
Network control handover
</Name>
<Definition xml:lang="en">
1. network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network could assistant the terminal for handover over interactive network
4.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6">
<Name xml:lang="en">
Network control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handover
</Name>
<Definition xml:lang="en">
1. network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network could assistant the terminal for handover over interactive network
4. the service could delivered to the terminal over interactive network.
5.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7">
<Name xml:lang="en">
Both terminal control and network control handover are optional
</Name>
<Definition xml:lang="en">
1.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network could assistant the terminal for handover over interactive network
4.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8">
<Name xml:lang="en">
Both terminal contro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handover
</Name>
<Definition xml:lang="en">
1.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network could assistant the terminal for handover over interactive network
4. the service could delivered to the terminal over interactive network
5.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 termID="3">
<Name xml:lang="en">RoamingType</Name>
<Definition xml:lang="en">RoamingType</Definition>
<Term termID="2.1">
<Name xml:lang="en">Passive roaming</Name>
<Definition xml:lang="en">1. terminal control</Definition>
</Term>
<Term termID="2.2">
<Name xml:lang="en">
Terminal control Active roaming with assistant signaling
</Name>
<Definition xml:lang="en">
1. terminal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terminal could get handover assistant from network side over interactive network
4.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3">
<Name xml:lang="en">
Terminal control active roaming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Name>
<Definition xml:lang="en">
1. terminal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terminal could receive service over interactive network
4.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4">
<Name xml:lang="en">
Terminal control active handover with assistant signaling and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Name>
<Definition xml:lang="en">
1. terminal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terminal could get roaming assistant from network side over interactive network
4. the terminal could receive service over interactive network
5.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5">
<Name xml:lang="en">
Network control roaming
</Name>
<Definition xml:lang="en">
1. network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network could assistant the terminal for roaming over interactive network
4.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6">
<Name xml:lang="en">
Network control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roaming
</Name>
<Definition xml:lang="en">
1. network contro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network could assistant the terminal for roaming over interactive network
4. the service could delivered to the terminal over interactive network.
5.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7">
<Name xml:lang="en">
Both terminal control and network control roaming are optional
</Name>
<Definition xml:lang="en">
1.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network could assistant the terminal for roaming over interactive network
4.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termID="2.8">
<Name xml:lang="en">
Both terminal contro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with service delivery over interactive network roaming
</Name>
<Definition xml:lang="en">
1. 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2. Interactive network is available.
3. the network could assistant the terminal for roaming over interactive network
4. the service could delivered to the terminal over interactive network
5. interactive network type
</Definition>
</Term>
</Term>
</ClassificationScheme>
</schema>
2. 이동성 정보의 다른 포맷 2
<?xml version="1.0" encoding="UTF-8"?>
<schema xmlns:xs="http://www.w3.org/2001/XMLSchema" elementFormDefault="qualified" attributeFormDefault="unqualified">
<element name="HandoverType">
<complexType>
<choice>
<element name="PassiveHandover" minOccurs="0">
<complexType>
<attribute nam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fixed="urn:dvb:ipdc:esg:cs:MobilityCS:2.1"/>
<attribute name="HandoverControlType" type="HandoverCotrolType" fixed="terminal control"/>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TerminalControlActiveHandover WithAssistantSignaling" minOccurs="0">
<complexType>
<attribute nam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fixed="urn:dvb:ipdc:esg:cs:MobilityCS:2.2"/>
<attribute name="HandoverControlType" type="HandoverCotrolType" fixed="terminal control"/>
<attribute name="InterativeNetwork" type=" boolean" fixed="tru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Type"/>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TerminalControlActiveHandoverWithServiceDilivery OverInteractiveNetwork" minOccurs="0">
<complexType>
<attribute nam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fixed="urn:dvb:ipdc:esg:cs:MobilityCS:2.3"/>
<attribute name="HandoverControlType" type="HandoverCotrolType" fixed="terminal control"/>
<attribute name="InterativeNetwork" type=" boolean" fixed="true"/>
<attribute name="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 Handover"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Type"/>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TerminalCotrolActiveHandoverWithAssistant SignalingAnd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 minOccurs="0">
<complexType>
<attribute nam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fixed="urn:dvb:ipdc:esg:cs:MobilityCS:2.4"/>
<attribute name="HandoverControlType" type="HandoverCotrolType" fixed="terminal control"/>
<attribute name="InterativeNetwork" type=" boolean" fixed="tru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 Handover"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InteractiveNetworkType"type= "InteractiveNetworkType"/>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NetworkCotrolHandover" minOccurs="0">
<complexType>
<attribute nam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fixed="urn:dvb:ipdc:esg:cs:MobilityCS:2.5"/>
<attribute name="HandoverControlType" type="HandoverCotrolType" fixed="network control"/>
<attribute name="InterativeNetwork" type=" boolean" fixed="tru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Type"/>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NetworkCotrol WithServiceDeliveryOver InteractiveNetworkHandover" minOccurs="0">
<complexType>
<attribute nam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fixed="urn:dvb:ipdc:esg:cs:MobilityCS:2.6"/>
<attribute name="HandoverControlType" type="HandoverCotrolType" fixed="network control"/>
<attribute name="InterativeNetwork" type=" boolean" fixed="tru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Handover"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Type"/>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BothTerminalControlAndNetworkControl HandoverAreOptional" minOccurs="0">
<complexType>
<attribute nam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fixed="urn:dvb:ipdc:esg:cs:MobilityCS:2.7"/>
<attribute name="HandoverControlType" type="HandoverCotrolType" fixed="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attribute name="InterativeNetwork" type=" boolean" fixed="tru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Type"/>
</ complexType>
</ element>
<element name="BothTerminalControlAndNetworkControlAreOptional With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Handover" minOccurs="0">
<complexType>
<attribute name="type" type="tva:ControlledTermType" fixed="urn:dvb:ipdc:esg:cs:MobilityCS:2.8"/>
<attribute name="HandoverControlType" type="HandoverCotrolType" fixed="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attribute name="InterativeNetwork" type=" boolean" fixed="true"/>
<attribute name="SignalingOverInteractiveNetwork"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ServiceDeliveryOverInteractiveNetworkHandover" type=" boolean" use="optional" fixed="true"/>
<attribute name="InteractiveNetworkType" type="InteractiveNetworkType"/>
</ complexType>
</ element>
</ choice>
</ complexType>
</ element>
< simpleType name="HandoverCotrolType">
<restriction base=" string">
<enumeration value="terminal control"/>
<enumeration value="both terminal and network control are optional"/>
<enumeration value="network control"/>
</ restriction>
</ simpleType>
<simpleType name="InteractiveNetworkType">
<restriction base=" string">
<enumeration value="3GPP"/>
<enumeration value="3GPP2"/>
<enumeration value="WLAN"/>
<enumeration value="WIBRO"/>
</ restriction>
</ simpleType>
</ schema>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ESG의 기본 데이터 모델에서 이동성 정보가 배치되는 위치는 다음 설명과 같이 다양하게 정해진다.
1. ESG 프래그먼트
이동성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ESG가 사용되는 경우, 이동성 정보는 도 2에 설명한 서비스 프래그먼트(202), 콘텐츠 프래그먼트(206), 획득 프래그먼트(208) 중 적어도 하나에 새로운 정보요소로서 추가되거나, 혹은 ESG 내에 새로운 프래그먼트(예를 들어 핸드오버 프래그먼트)로서 추가된다.
2. ESG 공지 카루셀(Announcement carousel) 세션
ESG 수신을 위해, 단말은 방송 시스템의 제어 채널 신호인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으로부터 ESG 부트스트랩(Bootstrap)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protocol) 세션의 IP 주소를 확인한다. 상기 부트스트랩 세션의 역할은 ESG의 기본적인 정보, 즉, ESG 제공자와 해당 ESG 제공자가 제공하는 ESG 리스트 등에 대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정보들은 각각 ESG 제공자 발견 디스크립터(Provider Discovery Descriptor)와 ESG 액세스 디스크립터(Access Descriptor)에서 전송되며, 특히 ESG 액세스 디스크립터는 각 ESG의 공지 카루셀 FLUTE 세션의 IP 주소를 알려준다. 각 ESG마다 하나의 공지 카루셀 세션이 존재하며, 공지 카루셀 세션의 역할은 ESG 전송 및 구조에 대한 간략한 정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이동성 정보의 전달을 위해 공지 카루셀 세션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공지 카루셀 세션(1002)은 ESG 초기화 컨테이너(ESG Init Container)(1004) 및 다수의 ESG 인덱스 컨테이너들을 운반하는데, 여기서 ESG 초기화 컨테이너(1004)는, 이어지는 ESG 컨테이너들의 압축방식과 관련 파라미터들이 포함하는 초기화 메시지(1006)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이동성 정보(1008)를 포함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이동성 정보(1014)는 공지 카루셀 세션(1010)을 통해 운반되는 독립적인 ESG 속성 컨테이너(attribute container)(1012)를 통해 전달된다.
3. ESG 부트스트랩
단말은 ESG 공지 카루셀 세션을 액세스하기 이전에, ESG의 기본적인 정보를 운송하는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ESG 부트스트랩 세션(1102)을 통해 이동성 정보를 획득한다. 각 IP 플랫폼에 대해 독립적인 ESG 부트스트랩 세션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성 정보는 각 ESG, 각 ESG 제공자 혹은 각 IP 플랫폼에 대하여 지시될 수 있다.
3.1. 각 ESG에 대한 이동성 정보
각 ESG에 대한 이동성 정보는 ESG 부트스트랩 세션(1102)을 통해 전송되는 ESG 액세스 디스크립터(1106) 및/또는 ESG 제공자 발견 디스크립터(1104)에 추가되거나, 혹은 새로운 독립적인 디스크립터(1108)에 기록된다.
3.2. 각 ESG 제공자에 대한 이동성 정보
각 ESG 제공자에 대한 이동성 정보는 ESG 부트스트랩 세션(1102) 상의 ESG 제공자 발견 디스크립터(1104) 혹은 독립적인 디스크립터(1108)에 추가된다.
3.3. 각 IP 플랫폼에 대한 이동성 정보
각 IP 플랫폼에 대한 이동성 정보는 독립적인 디스크립터(1108) 혹은 PSI/SI 신호에 추가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성 정보는 이미 존재하는 ESG 부트스트랩 세션(1112)과는 다른 FLUTE 세션(1120)을 통해 전송되는 디스크립터(1122)에 기록된다. 이때 상기 ESG 부트스트랩 세션(1112) 상의 ESG 제공자 발견 디스크립터(1114) 및/또는 ESG 액세스 디스크립터(1116)를 통해서도 동일한 혹은 추가의 이동성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방문 네트워크 및 홈 네트워크의 SM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있는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티들만을 도시하였다.
도 12를 참조하면, SA 블록(1204)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메타데이터 및 다수의 소스들로부터의 방송 콘텐츠를 결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1220)이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부호화한 후 스트리밍 혹은 파일 카루셀 전달을 통해 단말(1220)에게 제공하며, ESG에 사용될 서비스 설명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SM 블록(1208) 내부에는 ESG 엔터티(1242), 서비스 구성 및 자원 할당(Service Configuration & Resource Allocation) 엔터티(1244), 보안/서비스 보호 제공(Security/Service Protection provision) 엔터티(1246) 및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MM) 블록(1240)이 존재한다. ESG 엔터티(1242)는 SA 블록(1204)으로부터 제공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ESG를 만들고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ESG는 단말(1220)의 핸드오버 및/또는 로밍을 지원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포맷의 이동성 정보를 포함한다. 이동성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ESG가 아닌 다른 수단, 예를 들어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에 이동성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기 위한 송신 엔터티가 SM 블록(1208) 혹은 SA 블록(1204) 내에 포함된다.
서비스 구성 및 자원 할당 엔터티(1244)는 서비스 구성과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담당하며, SA 블록(1204)과 통신하여 방송 전송로(Broadcast bearer)의 대역폭을 협상(contend)하고, 방송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상의 위치에 서비스들을 할당하거나 서비스 대역폭을 결정하고 서비스 시간을 스케줄링한다. 보안/서비스 보호 제공 엔터티(1246)는 보안 및 인증, 서비스 보호, 서비스 제공(provisioning)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엔터티들(1242 내지 1246)은 이동성 관리(MM) 블록(1240)과 연결되어 핸드오버 및 로밍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MM 블록(1240)은 단말(1220)의 이동성, 특히 핸드오버 및 로밍에 관련한 작업들을 수행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신기(1300)는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1302)뿐만 아니라 양방향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양방향 변환기(interactive adaptor)(1304)를 구비하고 있다. 방송 수신기(1302)는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며, 양방향 변환기(1304)는 양방향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서비스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한다. MM 블록(1308)은 네트워크의 MM 블록(1240)과 연동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핸드오버 및 로밍 관련 동작들을 처리한다.
상기 장치들(1302, 1304)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ESG를 수신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 이동성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이동성 정보를 MM 블록(1308)으로 보내며, MM 블록(1308)은, 서비스 가입에 관련된 단말 권한의 관리/취득 및 서비스 콘텐츠의 해독(decryption) 절차를 담당하는 가입 관리(Subscription management) 블록(1310) 및 방송 서비스의 오디오 및 비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수신부(content consumption block)(1312)와 연결되어, 핸드오버/로밍 관련 동작들을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데이터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지시 유형들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송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수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송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수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송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수신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전달 을 위해 공지 카루셀 세션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성 정보의 전달을 위해 부트스트랩 세션을 사용하는 경우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Claims (28)

  1.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과,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이동성 정보를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은,
    상기 핸드오버/로밍을 위해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이용 가능한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 정보 혹은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지 및 상기 핸드오버/로밍의 결정이 네트워크 혹은 상기 단말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특성을 지정하는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로밍에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정보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수동 핸드오버/로밍, 네트워크 지원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로밍, 단말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로밍,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로밍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어 유형 정보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로밍을 수행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로밍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관련 매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 제공자의 주소,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유형, 접근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획득 참조위치,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송신 방법.
  8.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를 설정하고,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이동성 정보를 포함시켜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송신 엔터티와,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관리하는 이동성관리(MM)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은,
    상기 핸드오버/로밍을 위해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이용 가능한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 정보 혹은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지 및 상기 핸드오버/로밍의 결정이 네트워크 혹은 상기 단말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특성을 지정하는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로밍에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정보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수동 핸드오버/로밍, 네트워크 지원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로밍, 단말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로밍,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로밍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어 유형 정보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로밍을 수행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로밍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관련 매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 제공자의 주소,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유형, 접근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획득 참조위치,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5.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은,
    상기 핸드오버/로밍을 위해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이용 가능한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 정보 혹은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지 및 상기 핸드오버/로밍의 결정이 네트워크 혹은 상기 단말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특성을 지정하는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로밍에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정보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수동 핸드오버/로밍, 네트워크 지원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로밍, 단말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로밍,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로밍 중 적어 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어 유형 정보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로밍을 수행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로밍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관련 매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 제공자의 주소,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유형, 접근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획득 참조위치,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정보의 수신 방법.
  22.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방송 서비스들에 대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 통지 메시지 혹은 독립적인 시그널링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핸드오버 및 로밍(이하 핸드오버/로밍이라 칭함)을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사용 가능한지의 여부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요소들을 포함하는 이동성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이동성 정보에 따라 단말의 핸드오버 혹은 로밍을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MM)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은,
    상기 핸드오버/로밍을 위해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이용 가능한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시그널링 정보 혹은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지 및 상기 핸드오버/로밍의 결정이 네트워크 혹은 상기 단말에 의해 이루어지는지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특성을 지정하는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로밍에 관련된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양방향 네트워크 시그널링 정보와,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전달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 전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수동 핸드오버/로밍, 네트워크 지원을 포함하는 단말 제어 핸드오버/로밍, 단말 및 네트워크 제어 결합 핸드오버/로밍, 네트워크 제어 핸드오버/로밍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제어 유형 정보를 통해 상기 핸드오버/로밍 유형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로밍을 수행함에 있어서 네트워크 제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가능성 정보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네트워크 제어 필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정보는,
    상기 핸드오버/로밍에 관련된 추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서버의 주소를 나타내는 관련 매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 제공자의 주소,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유형, 접근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획득 참조위치,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포트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080005429A 2007-01-19 2008-01-17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573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6211 2007-01-19
KR1020070006211 2007-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8578A KR20080068578A (ko) 2008-07-23
KR100957390B1 true KR100957390B1 (ko) 2010-05-11

Family

ID=3963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429A KR100957390B1 (ko) 2007-01-19 2008-01-17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32037B2 (ko)
EP (1) EP2103007B1 (ko)
JP (1) JP5005769B2 (ko)
KR (1) KR100957390B1 (ko)
CN (1) CN101584135B (ko)
AU (1) AU2008205802B2 (ko)
CA (1) CA2675481C (ko)
RU (1) RU2413364C1 (ko)
WO (1) WO2008088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07627B1 (fr) * 2006-10-20 2008-12-19 Alcatel Sa Dispositif de selection de type de canal de transport pour la diffusion de contenus vers des terminaux de communication
AU2009213729B2 (en) * 2008-02-15 2014-07-31 Nokia Technologies Oy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notification messages
KR101481824B1 (ko) * 2008-03-06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 선택 장치 및방법
KR20130124399A (ko) * 2009-05-08 2013-11-1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운링크-전용 무선 네트워크들을 이용한 이동성 관리
US9331800B2 (en) * 2009-11-24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home channel for mobile broadcast networks
US8599796B2 (en) * 2010-01-08 2013-12-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 and broadcast network
FR2973634A1 (fr) * 2011-03-31 2012-10-05 France Telecom Procede de selection d'un reseau de communication au travers duquel transmettre un flux de donnees multicast
GB2500016A (en) * 2012-03-06 2013-09-11 Renesas Mobile Corp Indicating closed subscriber group membershi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237081A (zh) * 2013-04-27 2013-08-07 徐煊旺 医院业务信息交互方法及系统
CN108449781B (zh) * 2018-04-16 2020-07-17 福建科立讯通信有限公司 一种窄带无线数字通信系统中终端实现漫游的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076A1 (en) * 2000-03-21 2001-09-27 Nokia Corporation Handover in a multi-bearer-type network
US20020166128A1 (en) 2000-07-28 2002-11-07 Tamotsu Iked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5034396A1 (en) * 2003-10-03 2005-04-14 Nokia Corporation A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handover in a broadcast system
WO2007091686A1 (ja) 2006-02-09 2007-08-1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積層体、薄膜センサ、薄膜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薄膜センサ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785B1 (ko) 2002-04-27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 핸드오버 방법
US6977914B2 (en) 2002-12-23 2005-12-20 Nokia Corporation Broadc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CN1788513B (zh) 2003-06-13 2010-05-05 诺基亚公司 用于控制蜂窝终端的切换的方法、系统、网络实体和最终用户终端
US20050068917A1 (en) * 2003-09-17 2005-03-31 Sayeedi Shahab M. Providing and maintaining F-PDCH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6014076A1 (en) * 2004-08-04 2006-02-0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US7738863B2 (en) * 2005-08-25 2010-06-15 Nokia Corporation IP datacasting middleware
KR20070108324A (ko) 2006-02-09 2007-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2076A1 (en) * 2000-03-21 2001-09-27 Nokia Corporation Handover in a multi-bearer-type network
US20020166128A1 (en) 2000-07-28 2002-11-07 Tamotsu Iked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5034396A1 (en) * 2003-10-03 2005-04-14 Nokia Corporation A method and a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a handover in a broadcast system
WO2007091686A1 (ja) 2006-02-09 2007-08-1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積層体、薄膜センサ、薄膜セ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薄膜センサ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15333A (ja) 2010-05-06
WO2008088177A1 (en) 2008-07-24
CN101584135B (zh) 2013-05-29
AU2008205802A1 (en) 2008-07-24
CN101584135A (zh) 2009-11-18
AU2008205802B2 (en) 2011-04-07
EP2103007A1 (en) 2009-09-23
CA2675481C (en) 2013-12-03
EP2103007B1 (en) 2018-10-31
CA2675481A1 (en) 2008-07-24
US8532037B2 (en) 2013-09-10
KR20080068578A (ko) 2008-07-23
EP2103007A4 (en) 2015-01-14
US20090310566A1 (en) 2009-12-17
RU2413364C1 (ru) 2011-02-27
JP5005769B2 (ja)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39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3465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1774718B1 (en)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US200802017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890037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또는 서비스 가이드프레그먼트에 대한 공유 방법 및 시스템
EP18090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roaming and service roam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445394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US200801098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48182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 선택 장치 및방법
KR2007010980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방법 및 장치
KR20090106292A (ko)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과 장치및 그 시스템
KR2008001724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297922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안내의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10100285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20080017245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0443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80068419A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의전자 서비스 가이드 관련 정보의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