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654B1 -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654B1
KR100834654B1 KR1020070048703A KR20070048703A KR100834654B1 KR 100834654 B1 KR100834654 B1 KR 100834654B1 KR 1020070048703 A KR1020070048703 A KR 1020070048703A KR 20070048703 A KR20070048703 A KR 20070048703A KR 100834654 B1 KR100834654 B1 KR 100834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g
service
network
roaming
spe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054A (ko
Inventor
쉬이링
송재연
이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1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BMS)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엔터티는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생성하고, 상기 일반 ESG 및 특수 ESG를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게 전송한다.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인 상기 단말은 상기 일반 ESG와 특수 ESG를 수신하고,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사용자 로밍 절차 혹은 서비스 로밍 절차를 수행한다.
Figure R1020070048703
디지털 방송 시스템, CBMS, ESG, roaming user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FOR ROAMING USER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BM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기본 시스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로밍에 관련된 아키텍쳐와 각 엔티티 안의 논리적인 기능 블록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CBMS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간 로밍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들의 서비스 안내 정보들을 포함하는 특수 ESG의 전송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의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들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ESG와 특수 ESG에 대한 분리된 부트스트랩 구조의 3가지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이용한 단말의 로밍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이용한 단말의 로밍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이용하여 로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이하 CBMS라 칭함) 시스템의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lectronic Service Guide: 이하 ESG라 칭함)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방송 시스템 혹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휴대 방송을 제공하고 있으며, 음성 및 화상에 제한되는 통상적인 방송 서비스뿐만이 아니라 패킷 데이터를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는 휴대 방송(Mobile Broadcast)이 논의되고 있다. 휴대 방송은, 휴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이동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발견(Discovery),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한 서비스의 가입, 상기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어 정보의 제공, 상기 서비스의 송신 및 이동 단말에 의한 상기 서비스의 수신의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형 이동성 협의체(Open Mobile Alliance: 이하 OMA라 칭함)는, 개별 이동성 솔루션의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을 연구하는 단체들 중의 하나로서, 이동통신용 게임, 인터넷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OMA의 워킹 그룹 중 특히 OMA BAC(Browser and Content) BCAST(Mobile Broadcast)의 서브 워킹 그룹(Sub Working Group)에서는 양방향 네트워크(interactive network)와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융합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휴대 방송 단말 표준 기구중의 하나인 DVB-CBMS(Digital Video Broadcasting -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에서도 방송 서비스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융합하기 위한 시스템 구조 및 인터페이스 등을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은, 서 비스 자체에 대한 설명 정보,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 그리고 서비스의 수신 방법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안내(Service Guide: SG)를 수신하며, 상기 서비스 안내를 이용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단말은 단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플랫폼에 속한 홈 네트워크를 벗어나서 다른 IP 플랫폼에 속한 이웃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를 로밍 절차라고 한다. 따라서 로밍을 통해 이웃 네트워크로 이동한 단말, 즉 로밍 사용자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안내 정보들을 구분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진입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로밍 사용자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전자 서비스 안내(ESG)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견지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들을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방송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방송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ESG 및 특수 ESG를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견지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들을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방송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방송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사용자 로밍 절차 혹은 서비스 로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견지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들을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방송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방송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생성하는 ESG 엔터티와,
상기 일반 ESG 및 특수 ESG를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견지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 용자들을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방송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방송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하는 양방향 변환기 및 방송 수신기와,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사용자 로밍 절차 혹은 서비스 로밍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방송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융합(CBMS) 시스템에서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진입한 단말, 즉 로밍 사용자를 위해 예상되는 제공 가능한 서비스들에 관련된 서비스 안내 정보들을 별도의 전자 서비스 안내(ESG) 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ESG는 지역 사용자(local user)를 위한 일반(normal) ESG와 구분하기 위해 특수(special) ESG라 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CBMS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에서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 - Handheld) 기반의 IP 데이터 캐스트(IP Data Cast: 이하 IPDC라 칭함)를 위해 요구되는 기능들(capabilities)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 연동되는 논리적인 엔터티(Entity)들을 도시하였다. 도시한 엔터티들은 주요한 기능들의 차이에 따라 구분되어 도시되었으며, 물리적으로 구분된 서버들 혹은 동일한 서버 안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block: 이하 CC라 칭함)(110)에서 방송 서비스의 컨텐츠 소스를 생산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ervice application: 이하 SA라 칭함) 블록(120)으로 보낸다.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에서는 상기 컨텐츠 공급자(110)로부터 온 컨텐츠 소스들과 부가적으로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에 필요한 메타데이터를 결합(aggregate)하여 특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은 각 서비스를 위하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하는 여러 개의 하위 엔터티들(sub-entities)로 이루어진다. 서비스 관리(Service Management: 이하 SM이라 칭함) 블록(130)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과 단말(160)의 사이에서 서비스 구성(service configuration), 리소스 할당, 전자 서비스 안내 프로비져닝(provisioning), 보안,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이하 MM이라 칭함) 등 의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 엔터티들을 포함한다.
방송 네트워크(140)는 방송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로서, 일 예로서 DVB-H 시스템이 된다. 양방향 네트워크(150)는 일반적으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따른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2에 따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2000 혹은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과 같은 셀룰러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다른 예로서 단말(160)로부터 전송하는 정보나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나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방송 네트워크(140)와 양방향 네트워크(150)는 CBMS 시스템에서의 전송 베어러(transmission bearers)로 동작한다.
단말(160)은 사용자 단말을 의미하며, 양방향 네트워크(150)에 접속 가능하고 방송 네트워크(140)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수신기를 나타낸다. CBMS 시스템에서 단말(160)은 방송 네트워크(140)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며, 양방향 네트워크(150)와는 서비스 데이터 및 시그널링 정보를 양방향으로 통신한다.
하기에는 상기한 논리적 엔터티들을 포함하는 각 엔터티간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CBMS-x 및 X-x는 서로 다른 기능적 엔터티들 간의 기준점들(reference points)로서, CBMS-x는 DVB-H 스펙에 대한 IP 데이터캐스트의 범위 내의 기준점이고, X-x는 DVB-H 스펙에 대한 IP 데이터캐스트의 범위 밖의 기준점이다.
X-1. X-2, X-3 인터페이스들은 방송 네트워크와 다른 엔터티 간의 참조점을 의미하는 것으인데, 일반적으로 DVB-H를 기반으로 한 양방향 규격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X-1 인터페이스는 컨텐츠 공급자(110)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간을 연결하며, X-2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네트워크(150)와 단말(160)간을 연결하고, X-3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관리 블록(130)과 양방향 네트워크(150) 간을 연결한다.
CBMS-1 인터페이스는 방송 네트워크(140)로부터 단말(160)로 방송 관련된 시그널링을 운송하며, CBMS-2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비디오, 파일 등의 컨텐츠들을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으로부터 단말(160)로 운송한다. CBMS-3 인터페이스는 전자 서비스 안내(ESG)를 방송 네트워크(140)를 통해 일대다(point-to-multipoint: 이하 ptm이라 칭함) 전송의 형태로 서비스 관리 블록(130)으로부터 단말(160)로 운송한다. CBMS-4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관리 블록(130)과 단말(160) 간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접근 제어 및 전자 서비스 안내(ESG) 메타 데이터의 일대일(point-to-point: 이하 ptp라 칭함)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CBMS-5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과 단말(160) 간의 점대점 전송 서비스를 위한 것으로서, 양방향 네트워크(150)를 통해 단문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등을 운송한다. CBMS-6 인터페이스는 DVB-H 전송을 위하여 서비스들의 개수, 할당된 대역폭 등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서비스 관리 블록(130)과 방송 네트워크(140) 간에 운송한다. CBMS-7 인터페이스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20)과 서비스 관리 블록(130) 간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선언이나 컨텐츠 디스크립션과 메타데이타를 포함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기술(description)을 위해 사용된다.
전술한 설명은 각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에 대한 대표적인 것만을 서술한 것으로 위의 서술만으로 각 인터페이스들의 기능이 제한되지 않는다.
CBMS 시스템에서 하나의 서비스 관리 인스턴스는 하나의 IP 플랫폼에 매핑된다. 따라서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라는 의미는 "하나의 서비스 관리 블록(130) 내에서"라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IP 플랫폼은 다른 서비스 관리 블록, 즉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서비스 관리 블록을 의미한다.
도 2는 도 1의 기본 시스템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로밍에 관련된 아키텍쳐와 각 엔티티 안의 논리적인 기능 블록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블록들(212, 232)은 각기 다른 네트워크들(210, 230)에 속하며, 각각의 IP 플랫폼들(214, 234)에 매핑된다. 또한 서비스 관리 블록들(212, 232)은 방송 네트워크들(218, 238)을 통해 서비스 및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들을 해당 네트워크(210, 230) 내의 단말들에게 제공하고, 양방향 네트워크들(216, 236)을 통해 해당 네트워크(210, 230) 내의 단말들과 통신한다. 네트워크(230) 내의 단말(220)이 홈 IP 플랫폼(234)의 서비스 영역 내에서 이동하면(224) 이는 핸드오버(202)에 해당하며, 다른 네트워크(210)에 속한 IP 플랫폼(214)의 서비스영역으로 이동하면 이는 로밍(204)에 해당한다.
도 3은 CBMS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간 로밍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302)에서 서비스 관리 블록(304)에 의해 관리되는 방송 네트워크(308)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수신 가능한 단말(320)이 이웃 네 트워크(310)로 로밍하는 경우, 이웃 네트워크(310)에서 단말(320)의 로밍은 양방향 네트워크(306)를 통해 지원된다. 여기서 양방향 네트워크(306)는 이웃 네트워크(310)의 서비스 관리 블록 또는 관리자(administrator)(312)에 의해서 관리된다. 구체적으로 양방향 네트워크(306)는 이웃 네트워크(310) 내의 로밍 사용자들을 위한 서비스 안내 정보들을 포함하는 특수 ESG를 요청하고 수신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양방향 네트워크(306)가 서비스 관리 블록(312)에 의해 관리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지만, 다른 관리자에 의해 양방향 네트워크(306)가 관리되는 경우에도 후술되는 설명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원래(original) IP 플랫폼이 아닌 새로운 IP 플랫폼에서 IPDC 서비스를 액세스하는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가 새로운 IP 플랫폼에서 이용가능한지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종류의 로밍이 있다. 먼저 서비스 로밍은 원래 IP 플랫폼의 선택된 서비스가 새로운 IP 플랫폼에서 수신될 수 있는 경우에 지원되며, 선택된 서비스는 DVB-H 네트워크 내의 새로운 IP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전송 스트림을 통해 수신되거나 혹은 양방향 네트워크의 양방향 채널을 통해 수신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로밍은 원래 IP 플랫폼의 선택된 서비스가 새로운 IP 플랫폼에서 수신될 수 없는 경우에 지원되며, 로밍 사용자는 원래 IP 플랫폼이 아닌 새로운 IP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액세스할 수 있다.
각 네트워크에서 지역 사용자를 위한 ESG, 즉 일반 ESG는 무료(free to air)로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데, 이웃 네트워크로부터 방문한 사용자, 즉 로밍 사용자는 현재 네트워크의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일반 ESG를 수신할 수 있지만 상기 일반 ESG 만으로는 원하는 서비스를 정확히 선택하기에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수 ESG는 이러한 로밍 사용자를 위해 예상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안내 정보들을 제공한다.
특수 ESG의 컨텐츠는 일반 ESG와는 달리, 일 예로서 다음과 같은 타입들에 대한 서비스 안내 정보들을 포함한다.
1. 방문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현재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일부 서비스 혹은 전체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
2. 현재 네트워크에서 방문 사용자들에 대해서 특별히 제공하는 서비스, 즉 방문 서비스들(visited services)에 대한 정보로서, 지역 지도(local map), 서비스 가이드라인, 지역 문화(local culture), 지역 날씨(local weather)의 소개 등과 같이, 방문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 이러한 정보는 방문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것으로서, 특별한 종류의 사용자 로밍 서비스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지역 언어가 아니라 공용 언어, 즉 영어로 제공되는 지역 지도는 방문 사용자들이 원하는 위치(expect location)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3. 이용 가능한 홈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로밍에 대한 정보. 이는 홈 네트워크의 ESG(즉 홈 ESG) 또는 이웃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일부 홈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a>는 특수 ESG를 위한 상기 1.의 서비스 타입인 '사용자 로밍' 서비스에 대한 관련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서비스 리스트 관련 정보
각 '사용자 로밍' 서비스 서비스 ID(ServiceID)
제공자 ID(ProviderID)
IP 주소(IP address)
IP 플랫폼 ID(IP platform_id)
서비스 ID(Service_id)
전송 스트림 ID(Transport stream_id)
최초 네트워크 ID(Original network_id)
셀 ID(Cell_id)
네트워크 ID(Network_id)
주파수 정보
권리(Right) 정보
과금(Charging) 정보
하기의 <표 1b>는 특수 ESG를 위한 상기 2.의 서비스 타입인 '방문'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리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서비스 리스트 관련 정보
각 '방문' 서비스 서비스 ID(ServiceID)
제공자 ID(ProviderID)
IP 주소(IP address)
IP 플랫폼 ID(IP platform_id)
서비스 ID(Service_id)
전송 스트림 ID(Transport stream_id)
원래 네트워크 ID(Original network_id)
셀 ID(Cell_id)
네트워크 ID(Network_id)
주파수 정보
권리 정보
과금 정보
하기의 <표 1c>는 특수 ESG를 위한 상기 3.의 서비스 타입인 '서비스 로밍'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리스트를 나타낸 것이다.
서비스 리스트 관련 정보
각 '서비스 로밍' 서비스 서비스 ID(ServiceID)
제공자 ID(ProviderID)
IP 주소(IP address)
IP 플랫폼 ID(IP platform_id)
서비스 ID(Service_id)
전송 스트림 ID(Transport stream_id)
원래 네트워크 ID(Original network_id)
셀 ID(Cell_id)
네트워크 ID(Network_id)
주파수 정보
권리 정보
과금 정보
'사용자 로밍' 서비스와 '방문' 서비스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로밍' 서비스는 지역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로밍 사용자에게도 허용된 것이다. '방문' 서비스는 네트워크 내에서 특히 로밍 사용자를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컨텐츠와 재생 방법 모두가 로밍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독일에 위치한 지역 영역(local area)에 영어를 사용하는 로밍 사용자가 진입하였으며, 상기 지역 영역에서는 독일 운용자에 의해 지도 정보에 대한 지도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지도 서비스가 '사용자 로밍'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경우, 지도 정보는 독일어로 제공되며, 로밍 사용자는 언어 문제 때문에 지도 정보를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지도 정보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면 지도 서비스가 '방문' 서비스로서 제공되는 경우, 지도 정보는 로밍 사용자를 위해 영어로 제공되며, 로밍 사용자는 지도 정보를 용이하게 해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지도 서비스는 지역 사용자 혹은 로밍 사용자를 위한 다른 서비스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들의 서비스 안내 정보들을 포함하는 특수 ESG의 전송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네트워크에 속한 IP 플랫폼(406, 410, 414)은 각각 자신의 ESG 제공자(408, 412, 416)를 가지고 있다. IP 플랫폼 A(406)는 제공 가능한 모든 서비스들, 즉 서비스 1 내지 7 중에서 일부인 서비스 1 내지 5를 제공하고 있으며, 서비스 6, 7은 각각 인접한 IP 플랫폼 B(410)와 IP 플랫폼 C(414)에서 제공된다. 로밍 사용자(422)에게 어떤 서비스들이 유효한지는 네트워크들 간의 로밍 협정(roaming agreement)에 의해 결정된다.
IP 플랫폼 A(406)에서 지역 사용자(420)를 위해 제공하는 서비스들 중 일부, 예를 들어 뉴스, 음악, 드라마 등은 로밍 사용자(422)에 의해 공유된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1 ~ 4는 지역 사용자(420)를 위한 것이지만 서비스 4는 로밍 사용자(422)에게도 허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4는 특수 ESG를 위한 타입 1.인 '사용자 로밍' 서비스에 해당한다.
또한 IP 플랫폼 A(406)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특히 로밍 사용자(422)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로밍 사용자(422)를 위한 목적의 이러한 서비스는 특히 로밍 사용자(422)가 관심있어 하는 컨텐츠로서, 예를 들어 지역 지도, 지역 문화, 지역 날씨 등에 대한 소개를 포함하며, 로밍 사용자(422)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로밍 사용자(422)에게 더 적합한 언어로 구성된다. 도 4에서 서비스 5는 IP 플랫폼 A(406)에 의해 특히 로밍 사용자(422)를 위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서비스 5는 특수 ESG를 위한 타입 2.인 '방문' 서비스에 해당한다.
다른 IP 플랫폼들(410, 414)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 중 일부 또한 상기 로밍 협정에 의해 IP 플랫폼 A(406)에서도 제공된다. 일 예로서 주식 뉴스에 대한 서비스는 원래 IP 플랫폼으로부터 이동한 로밍 사용자(422)가 주식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IP 플랫폼 A(406)에서 재전송된다. 도 4에서 IP 플랫폼 B(410)로부터의 서비스 6은 IP 플랫폼 B(410)로부터의 로밍 사용자(422)를 위해서 IP 플랫폼 A(406)에서도 제공되며, 이러한 서비스 6은 특수 ESG를 위한 타입 3.인 '서비스 로밍' 서비스에 해당한다.
이상과 같이 로밍 사용자(422)를 위해 유효한 서비스들은, 지역 사용자(420)를 위한 일반 ESG(430)와는 구별되어, 로밍 사용자(422)를 위한 특수 ESG(432)에 의해 타입 별로 구분되어 안내된다. 로밍 사용자(422)는 IP 플랫폼 A(406)의 네트워크로 진입하면 해당 네트워크에서 특수 ESG(432)를 수신하고, 상기 특수 ESG(432)를 참조함으로써 로밍 사용자들을 위해 유효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얻어 관심있는 서비스를 선택하며, 선택된 서비스의 서비스 타입에 따라 서비스 액세스 절차를 수행한다.
이하 지역 네트워크에서 특수 ESG를 전송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설명한다. 특수 ESG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free-to-air)로 제공되거나, 암호화를 이용하여 전송되거나, 또는 단말의 요청에 의해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의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들을 도시한 것이다. 방송 표준의 정의 혹은 ESG 제공자의 선택에 따라 도 5의 (A) 혹은 (B)의 데이터 모델이 사용될 수 있다.
(A)는 특수 ESG(504)에 대한 정보 요소들을 일반 ESG(502)에 부가하여, 하나의 ESG 데이터 모델을 일반 ESG(502)와 특수 ESG(504) 모두에 대해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B)는 2개의 데이터 모델들이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데이터 모델은 일반 ESG(512)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의 ESG 데이터 모델은 특수 ESG(514)를 위한 것이다. 즉 일반 ESG(512)와 특수 ESG(514)는 두 개의 서로 다른 ESG 데이터 모델을 이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에 적용 가능한 데이터 모델을 나타낸 것으로서, 특수 ESG의 정보 요소들 중 일부가 관련된 프래그먼트(fragment)들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각 블록은 ESG 데이터의 프래그먼트들을 나타낸다. 즉 ESG 데이터 모델은 서비스 프래그먼트(602),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604), 콘텐츠 프래그먼트(606), 획득(Acquisition) 프래그먼트(608),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610), 구매(Purchase) 프래그먼트(612), 구매채널 프래그먼트(614)로 구성된다.
서비스 프래그먼트(602)는 서비스 전반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스케쥴이벤트 프래그먼트(604)는 시간에 따른 서비스의 정보를 나타내며, 획득 프래그먼트(608)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서비스 접근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서비스번들 프래그먼트(610)는 여러 서비스를 하나의 서비스 번들로 묶는 경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구매 프래그먼트(612)는 상기 서비스 번들을 구매하기 위한 가격 정보를 알려주며, 구매채널 프래그먼트(614)는 상기 구매를 위한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해야 할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데이터 모델의 각 프래그먼트들은 다른 프래그먼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프래그먼트들 간의 화살표는 상기 참조 관계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라 함은 현재 프래그먼트가 자신의 프래그먼트와 연관이 있는 정보를 다른 프래그먼트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알려주는 것이다. 즉 하나의 서비스가 여러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프래그먼트(602)에서는 서비스 전체에 대한 설명, 예를 들어 서비스의 이름과 서비스의 언어 등을 포함하고 있을 뿐, 상기 서비스를 통해 전송되는 콘텐츠 자체에 대한 설명은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다만 해당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프래그먼트(606)에서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참조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를 단말이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정보들, 예를 들어 전송되는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세션 정보 등을 알기 위해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602)가 참조하고 있는 획득 프래그먼트(608)를 수신하여 복조함으로서 상기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상기 ESG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과는 별도의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IP(Internet Protocol) 스트림을 이용하여 단말에게 별도로 전송된다. 따라서 서비스 공급자는 ESG 데이터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서비스를 수신하기 이전에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들을 서비스의 전송 이전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ESG 스트림을 수신함으로서 단말은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들을 수신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게 되고,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하였을 때 단말은 상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가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한 후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단말이 상기 서비스 데이터 스트림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들은 도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획득 프래그먼트(608)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ESG 데이터 모델은 각 프래그먼트별로 몇 개씩 묶여서 하나의 컨테이너에 담겨지고 각 컨테이너는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protocol) 세션에서의 하나의 객체(object)로 간주되어 전송된다. ESG의 수신을 위해 단말은 ESG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운반하는 ESG 부트스트랩(bootstrap) FLUTE 세션에 접속하여 ESG 제공자들을 발견하고,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ESG 제공자로부터 관련된 ESG 액세스 디스크립터(Access descriptor)를 수신하고 분석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은 ESG 액세스 디스크립터에 따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즉시 ESG를 액세스한다.
각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ID는 서비스 프래그먼트(602)에 명시되어 있고, IP 주소는 획득 프래그먼트(608)에 명시되어 있으며, 과금 정보는 구매 프래그먼트(612)에 명시되어 있다. 여기서 서비스 ID, 전송 스트림 ID, 원래 네트워크 ID, 셀 ID, 네트워크 ID 및 주파수 정보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제어 정보인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 and Service information)를 통해 전달된다.
특수 ESG의 서비스 타입(이하 로밍 서비스 타입이라 칭함)을 기술하는데 두 가지 방안들이 있다. 첫 번째는 상기 로밍 서비스 타입을 기 존재하는 서비스 타입 필드에 부가하며 명시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서비스 프래그먼트(602)에 로밍 서비스 타입을 기술하기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로밍 서비스 타입이 서비스 타입 필드에 부가하여 명시되는 경우 하기의 <표 2a> 혹은 <표 2b>와 같은 요소들이 추가된다.
<ClassificationScheme uri="urn:dvb:ipdc:esg:cs:RoamingServiceTypeCS:> <Term termID="1.0"<Name xml:lang="en"> Roaming Service Type</Name> <Definition xml:lang="en">Type of roaming service, e.g. user roaming, visited service, service roaming</Definition> <Term termID="1.1> <Name xml:lang="en">User roaming</Name> <Definition xml:lang="en">A User roaming service</Definition> <Term termID="1.2> <Name xml:lang="en">Visited service</Name> <Definition xml:lang="en">A Visited service</Definition> <Term termID="1.3> <Name xml:lang="en">Service roaming</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roaming service</Definition>
<ClassificationScheme uri="urn:dvb:ipdc:esg:cs:RoamingServiceTypeCS:> <Term termID="1.0"<Name xml:lang="en"> Roaming Service Type</Name> <Definition xml:lang="en">Type of roaming service, e.g. user roaming, visited service, service roaming</Definition> <Term termID="1.1> <Name xml:lang="en">User roaming</Name> <Definition xml:lang="en">A User roaming service</Definition> <Term termID="1.2> <Name xml:lang="en">Visited service</Name> <Definition xml:lang="en">A Visited service</Definition> <Term termID="1.3> <Name xml:lang="en">Service roaming</Name> <Definition xml:lang="en">A Service roaming service</Definition>
로밍 서비스 타입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자 로밍' 서비스는 '01', '방문' 서비스는 '10', '서비스 로밍' 서비스는 '11'과 같은 서로 다른 비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주어진 3개의 로밍 서비스 타입들 이외에 추가의 타입들이 더 필요한 경우 로밍 서비스 타입들을 구분하기 위해 추가의 비트들이 더 사용될 수 있다.
'서비스 로밍' 서비스를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던 원래 IP 플랫폼 혹은 네트워크가 표시되어야 하므로, 하기 <표 3>과 같이 '서비스 로밍'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정보 요소가 필요하다. 상기 '서비스 로밍' 서비스를 위한 정보 요소는 서비스 프래그먼트, 획득 프래그먼트 또는 ESG 데이터 모델의 다른 프래그먼트에 부가될 수 있다.
<complexType name = "service roaming service" minOccur="0" maxOccur="unbounded"> <all> <element name="home IP platform_id" type="anyURI"> <element name="home IP address" type="anyURI"> <element name="home providerID" type="anyURI"> <element name="home serviceID" type="anyURI"> <element name="home network_id" type="anyURI"> <element name="interactive network" type="esg: interactive network"> </all> </complexType>
상기 <표 3>에서 "interactive network"는, 서비스 로밍에 따라 홈 네트워크로부터 방문 네트워크로 서비스 전달하기 위해 양방향 네트워크가 이용되는 경우에 필요한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는 하기 <표 4>와 같이 구성되며, '서비스 로밍' 서비스의 정보 요소, 서비스 프래그먼트 또는 획득 프래그먼트를 통해서 단말로 제공된다.
<complex Type name="interactive network" minOccurs = "0" maxOccurs="unbounded"/> <all> <element name="InteractiveNetworkProvider"type="anyURI"> <element name="AcquisitionRef"type="anyURI"> <element name="InteractiveEntrypoint"type="anyURI"> <element name=" InteractiveNetworkTypeRef"type="InteractiveNetworkType"> </all> </complex type>
상기 <표 4>에서 "InteractiveEntrypoint"는 서비스 로밍을 위해 사용되는 양방향 네트워크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웹 사이트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또는 양방향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전화번호가 될 수 있다.
양방향 네트워크의 타입은 3GPP, 3GPP2, WIBRO 등으로 다양할 수 있으므로, 양방향 네트워크 정보는 양방향 네트워크 타입을 하기 <표 5>와 같이 기술한다.
<simpleType name="InteractiveNetworkType"> <restriction base="string"> <enumeration value="3GPP"/> <enumeration value="3GPP2"/> <enumeration value="WLAN"/> <enumeration value="WIBRO"/> </restriction> </simpleType>
<표 1a> 내지 <표 1c>에 나타낸 권리(Right) 정보는 사용자가 로밍 서비스를 소비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 알기 위해 이용된다. 두 네트워크들(IP 플랫폼들) 사이의 로밍 협정에 따라, 일부 네트워크들로부터의 특수 사용자 그룹은 특정 서비스를 직접 소비할 수 있지만, 다른 사용자들은 먼저 상기 특정 서비스를 구매해야 한다. 하기의 <표 6>에 상기 권리 정보를 위한 정보 요소를 나타내었다.
<complexType name = RightInformtion" minOccur="0" maxOccur="unbounded"> <all> <element name="group_id" type="anyURI"> <element name="IP platform_id" type="anyURI"> <element name="network_id" type="anyURI"> <element name="Protection" type="Boolean" > <<element name="ProtectionRef " type="Boolean" > </all> </complexType>
상기 <표 6>에서 그룹 ID, IP 플랫폼 ID 및 네트워크 ID는 권리 정보가 어떤 IP 플랫폼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어떤 그룹의 사용자들을 위한 것인지를 나타낸다. 해당 서비스가 직접 액세스될 수 있으면, "Protection"은 "false"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true"로 설정된다. 권리의 획득에 관련된 정보는 "ProtectionRef."를 참조한다. 상기 권리 정보를 위한 정보 요소는 서비스 프래그먼트 혹은 구매 프래그먼트에 포함되거나 혹은 ESG 데이터 모델의 다른 프래그먼트에 포함된다.
단말이 특수 ESG를 이용하여 이웃 네트워크로 로밍하고자 할 때, 상기 단말은 특수 ESG를 해석하여 어떤 서비스가 로밍을 통해 이용가능한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단말은 특수 ESG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를 찾는다.
일 실시예로서 단말은 PSI/SI로부터 ESG 부트스트랩 주소(ESG bootstraping address)를 얻고, ESG가 무료라면, ESG 부트스트랩 주소를 이용하여 획득한 ESG 부트스트랩 정보(ESG bootstrap information)로부터 특수 ESG에 대한 엔트리 포인트(즉 IP 주소)를 찾아낸다. 여기서 ESG 부트스트랩 정보란 ESG의 수신에 필요한 정보로서 ESG 부트스트랩 프로토콜을 통해 전달되는 ESG 부트스트랩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단말은 ESG 부트스트랩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ESG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각종 정보를 얻는다.
한편 ESG가 무료가 아니라면, 단말은 ESG 제공자에게 특수 ESG를 요청하며, ESG 제공자에 대한 액세스 정보는 ESG 부트스트랩 정보로서 제공된다. 인증이 이루어진 후, ESG 제공자는 단말에게 특수 ESG를 제공하는데, 일 예로서 특수 ESG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직접 전송되거나, 혹은 암호화된 특수 ESG에 대한 키가 단말에게 전송된다.
특수 ESG에 대한 ESG 부트스트랩 정보(이하 특수 ESG 부트스트랩 정보라 칭함)는, "ESG 제공자 발견 디스크립터(ESG Provider Discovery Descriptor)" 또는 "ESG 액세스 디스크립터(ESG Access Descriptor)" 내에 "특수 ESG 부트스트랩 정보(special ESG bootstrap)"라는 새로운 정보 요소를 부가하거나 "특수 ESG 부트스트랩 디스크립터(special ESG Bootstrap Descriptor)"라는 새로운 디스크립터를 부가함으로써 나타내어진다.
특수 ESG 부트스트랩 정보는 일반 ESG에 대한 ESG 부트스트랩 정보(이하 일반 ESG 부트스트랩 정보라 칭함)와 분리되어 전송될 수 있다. 특히, 이동성 정보를 위한 특수 ESG는 IP 플랫폼의 서로 다른 ESG 제공자들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도 7a, 7b,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반 ESG와 특수 ESG에 대한 분리된 부트스트랩 구조의 3가지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는 일반 ESG와 특수 ESG가 하나의 ESG 데이터모델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를 위한 것으로서, 공통의 ESG 부트스트랩 세션(700)을 통해 일반 ESG 부트스트랩 정보(702)와 특수 ESG 부트스트랩 정보(704)가 함께 전송된다.
도 7b와 도 7c는 일반 ESG와 특수 ESG가 각각 서로 다른 ESG 데이터모델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를 위한 것이다. 도 7b의 경우 일반 ESG를 위한 ESG 부트스트랩 세션(710)을 통해 일반 ESG 부트스트랩 정보(712)가 전송되며, 특수 ESG를 위한 ESG 부트스트랩 세션(714)을 통해 특수 ESG 부트스트랩 정보(716)가 전송된다. 여기서 특수 ESG를 위한 ESG 부트스트랩 세션(714)을 지시하는 특정 IP 주소는 일 예로서 고정적으로 정해지거나 혹은 PSI/SI를 통해 획득된다. 도 7c의 경우 일반 ESG를 위한 ESG 부트스트랩 세션(720)을 통해 일반 ESG 부트스트랩 정보(722)가 전송되며, 특수 ESG를 위한 ESG 부트스트랩 세션(724)을 통해 특수 ESG 부트스트랩 정보(726)가 전송된다. 여기서 특수 ESG를 위한 ESG 부트스트랩 세션(724)을 지시하는 IP 주소는 일반 ESG 부트스트랩 정보(722)에 의해 지시된다.
특수 ESG 부트스트랩 정보가 지시하는 특수 ESG의 전달 방식은 방송 네트워크나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수 ESG는 보안을 위해 암호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이용한 단말의 로밍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특수 ESG가 무료인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802 단계에서 단말은 방문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으로 진입하면서 방문 네트워크의 방송 네트워크 혹은 다른 수단을 통해 특수 ESG를 수신한다. 804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방문 네트워크에서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사용자 로밍을 수행할지 혹은 서비스 로밍을 수행할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사용자 로밍은 단말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방문 네트워크에서 수신될 수 없는 경우에 선택되며, 서비스 로밍은 상기 원하는 서비스가 방문 네트워크에서 수신될 수 있는 경우에 선택된다. 상기 804 단계의 판단에 따라 806 단계에서 사용자 로밍 절차가 수행되거나, 혹은 808 단계에서 서비스 로밍 절차가 수행된다. 상기 사용자 혹은 서비스 로밍 절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와 관련이 없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서비스 로밍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라면, 단말은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반면 사용자 로밍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라면, 단말은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네트워크로 전송할 필요가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이용한 단말의 로밍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특수 ESG는 무료가 아니며, 암호화되어 방송 네트워크 혹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거나 혹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서만 전달된다. 이러한 특수 ESG의 전송 방식은 표준의 정의 혹은 네트워크의 선택에 따라 정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902 단계에서 단말은 서비스 로밍을 직접 시작할 것인지, 혹은 먼저 특수 ESG를 확인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서비스 로밍을 직접 시작할 것을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혹은 서비스 로밍이 가능함을 단말이 알게 되면, 918 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로밍 절차가 이루어진다. 반면 먼저 특수 ESG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904 단계에서 단말은 방문 네트워크로 특수 ESG를 요청하고, 906 단계에서 방문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특수 ESG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상기 특수 ESG에 대한 요청 및 응답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다. 이때 상기 906 단계에서는 표준의 정의 혹은 네트워크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응답으로서 상기 특수 ESG 자체가 수신되거나 혹은 상기 특수 ESG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키(이하 키라 칭함)가 수신된다.
따라서 908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응답이 상기 특수 ESG인지 혹은 상기 키인지 판단하고, 만일 키가 수신되었다면 910 단계로 진행하여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암호화된 특수 ESG를 수신한 후 상기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특수 ESG를 해독하여 암호화되지 않은 특수 ESG를 획득하고 912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응답이 상기 특수 ESG라면 상기 912 단계로 바로 진행하여 단말은 상기 특수 ESG를 해석한다.
914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방문 네트워크에서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사용자 로밍을 수행할지 혹은 서비스 로밍을 수행할지를 판단한다. 상기 914 단계의 판단에 따라 916 단계에서 사용자 로밍 절차가 수행되거나, 혹은 918 단계에서 서비스 로밍 절차가 수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특수 ESG가 무료인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였다. 후술되는 동작들은 네트워크 내의 ESG 제공자 및 이동성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엔터티에 의해 수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2 단계에서 특수 ESG는 방송 네트워크 혹은 다른 수단을 통해 무료로(freely) 전송된다. 1004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로밍 제안 메시지가 수신되면, 1006 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로밍 제안 메시지가 사용자 로밍 절차를 요청하는지 또는 서비스 로밍 절차를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1006 단계의 판단에 따라 1008 단계에서 사용자 로밍 절차가 수행되거나, 혹은 1010 단계에서 서비스 로밍 절차가 수행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특수 ESG는 무료가 아니며, 단말의 요청에 의해 전달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2 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단말로부터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1104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특수 ESG에 대한 요청인지 혹은 서비스 로밍 제안 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서비스 로밍 제안 메시지라면 1116 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로밍 절차가 이루어진다. 반면 특수 ESG에 대한 요청이라면, 1106 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단말이 인증된 사용자임을 확인한다. 상기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네트워크 엔터티는 표준의 정의 혹은 네트워크의 선택에 따라, 1108a 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상기 특수 ESG를 획득하는데 필요한 키를 전달하거나, 혹은 1108b 단계에서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수 ESG를 전달한다. 상기 1108a 단계에서는 상기 키를 이용하여 해독할 수 있도록 암호화된 상기 특수 ESG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다.
상기 키 혹은 상기 특수 ESG를 전달한 이후 111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로밍 제안 메시지가 수신되면, 1112 단계에서 네트워크 엔터티는 상기 로밍 제안 메시지가 서비스 로밍을 요청하는지 혹은 사용자 로밍을 요청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1112 단계의 판단에 따라 1114 단계에서 사용자 로밍 절차가 수행되거나, 혹은 1116 단계에서 서비스 로밍 절차가 수행된다.
도 12a 내지 도 12c(이하 도 12라 통칭함)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수 ESG를 이용하여 로밍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메시지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각 네트워크의 서비스 관리(SM) 블록은 네트워크 간을 이동하는 단말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성 관리(MM) 블록을 구비한다. 여기서 MM 블록은 로밍 및 핸드오버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성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로밍의 경우 MM 블록은, 로밍 요청 및 응답을 송수신하고, 로밍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다른 엔터티들 및 서브 엔터티들과 통신하며, 로밍 정보에 대해 다른 네트워크들의 MM 블록과 통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1205 단계는 특수 ESG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홈 네트워크로부터 방문 네트워크로 이동한 로밍 사용자의 단말을 지원하기 위하여 방문 네트워크의 MM 블록(이하 방문 MM 블록이라 칭함)은 방송을 위한 특수 ESG를 생성하여 방송 네트워크로 전달하며[1] 상기 특수 ESG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전달된다.[2] 상기 특수 ESG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를 위해 유효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특수 ESG가 무료로 전달되는 경우, 단말은 별도의 정보 없이 상기 특수 ESG를 해석하고 도 12b의 1215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특수 ESG가 무료가 아닌 경우 상기 특수 ESG는 암호화되어 있어 그대로 해석될 수 없으며, 따라서 단말은 1210 단계로 진행한다.
1210 단계는 특수 ESG가 무료가 아닌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방문 네트워크에 진입한 단말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방문 MM 블록에게 특수 ESG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3,4] 상기 특수 ESG 요청 메시지에 대한 포맷의 일 예를 하기의 <표 7>에 나타내었다.
특수 ESG 요청 메시지
명칭 설명
Special ESG request ID 특수 ESG 요청 메시지를 위한 식별자
User ID 사용자 식별자
Home network ID 홈 네트워크 식별자
Home IP platform_id 홈 IP 플랫폼 식별자
Roaming key (옵션) 로밍 협정에 따라, 로밍 키는 방문된 네트워크에서 로밍을 요청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방문 MM 블록은 상기 특수 ESG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단말이 이동해 온 홈 네트워크의 MM 블록(이하 홈 MM 블록이라 칭함)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5]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하는 인증 응답을 수신한다.[6] 상기 인증 요청과 인증 응답에 의해 상기 단말이 성공적으로 인증되면, 방문 MM 블록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수 ESG를 위한 키를 단말로 전달하거나[7] 혹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수 ESG를 전달한다.[8] 만일 1205 단계에서 이미 특수 ESG를 수신한 경우 단말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특수 ESG를 다시 수신할 필요가 없다. 반면 상기 1205 단계에서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특수 ESG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라면, 단말은 상기 키를 이용하여 상기 특수 ESG를 해독한다.
상기 [7]에서 키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 전달 메시지에 대한 포맷의 일 예를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특수 ESG를 위한 키 전달 메시지
명칭 설명
Key for special ESG ID 특수 ESG 메시지를 위한 키의 식별자
Visited network ID 방문된 네트워크를 위한 식별자
Visited IP platform_id 방문된 IP 플랫폼 식별자
Key 특수 ESG를 위한 키
Charging (옵션) 해당 과금 정보
Rights (옵션) 서비스 소비를 위한 권리를 얻는 방법에 대한 정보
상기 [8]에서 특수 ESG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 ESG 전달 메시지에 대한 포맷의 일 예를 하기의 <표 9>에 나타내었다.
특수 ESG 전달 메시지
명칭 설명
Special ESG ID 특수 ESG 메시지를 위한 식별자
Visited network ID 방문된 네트워크를 위한 식별자
Special ESG 로밍 정보를 위한 ESG
Charging (옵션) 해당 과금 정보
Rights (옵션) 서비스 소비를 위한 권리를 얻는 방법에 대한 정보
도 12b를 참조하면, 1215 단계에서 단말은 특수 ESG를 참조하여 방문 네트워크에서 로밍 사용자들을 위해 유효한 서비스들을 확인하고 사용자 로밍을 수행할지 혹은 서비스 로밍을 수행할지를 판단한다. 상기 1215 단계의 판단에 따라 1220 단계에서 사용자 로밍 절차가 수행되거나, 혹은 도 12c의 1230 단계에서 서비스 로밍 절차가 수행된다.
상기 1220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은 원하는 서비스를 나타내는 사용자 로밍 제안 메시지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방문 MM 블록에게 전송하며,[9-1,10-1] 방문 MM 블록은 상기 사용자 로밍 제안 메시지에 응답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홈 MM 블록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11-1]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하는 인증 응답을 수신한다.[12-1] 상기 인증 요청과 인증 응답에 의해 상기 단말이 성공적으로 인증되면, 방문 MM 블록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로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13-1,14-1] 단말로부터 사용자 로밍을 위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15-1,16-1]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방문 MM 블록은 단말에게 사용자 로밍을 위한 로밍 키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한다.[17-1,18-1] 상기 로밍 키는 단말이 방문 네트워크에서 수신하는 서비스를 해독하는데 사용된다. 단말이 원하는 서비스는 방문 네트워크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A) 블록으로부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다.[19-1,20-1]
상기 1230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c를 참조하면, 단말은 홈 네트워크에서 수신하고 있던 서비스를 나타내는 서비스 로밍 제안 메시지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방문 MM 블록에게 전송하며,[9-2,10-2] 방문 MM 블록은 상기 서비스 로밍 제안 메시지에 응답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홈 MM 블록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인증 요청을 전송하고[11-2] 상기 인증 요청에 대응하는 인증 응답을 수신한다.[12-2] 상기 인증 요청과 인증 응답에 의해 상기 단말이 성공적으로 인증되면, 방문 MM 블록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로밍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13-2,14-2] 단말로부터 서비스 로밍을 위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한다.[15-2,16-2]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후 방문 MM 블록은 홈 MM 블록으로부터 유효한 홈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18-2] 상기 유효한 홈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에게 통보한다.[19-2] 단말은 상기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한 서비스를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방문 MM 블록에게 보고하며,[20-2] 방문 MM 블록은 단말이 선택한 서비스를 홈 MM 블록 및 홈 네트워크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A) 블록(이하 홈 SA 블록이라 칭함)에게 알린다.[21-2,22-2] 상기한 사용자 로밍 절차 중, 상기 확인 메시지가 수신된 이후 혹은 선택된 서비스가 홈 SA 블록에게 통보된 이후에, 홈 네트워크와 방문 네트워크 사이에 서비스 로밍을 위한 자원 할당 협상(Resource allocation negotiation)이 이루어진다.[17-2 혹은 23-2] 단말이 선택한 서비스는 홈 SA 블록으로부터 방문 MM 블록의 제어 하에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거나,[24-2] 혹은 홈 SA 블록으로부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다.[25-2]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네트워크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있는 논리적 기능을 수행하는 엔터티들만을 도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SA) 블록(1302)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메타데이터 및 다수의 소스들로부터의 방송 콘텐츠를 결합하여 서비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단말이 이해할 수 있는 포맷으로 부호화한 후 스트리밍 혹은 파일 카루셀(carrousel) 전달을 통해 단말에게 제공하며, ESG에 사용될 서비스 설명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특히 로밍 사용자에게 유효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서비스 타입들의 서비스들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특수 ESG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별도로 제공한다.
서비스 관리(SM) 블록(1304) 내부의 ESG 엔터티(1306)는 SA 블록(1302)으로부터 제공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ESG를 만들고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ESG 엔터티(1306)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 ESG 및 특수 ESG에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수집하여 각 ESG를 생성하고, 상기 ESG들은 MM 블록(1312)에 의해 방송 네트워크 및/또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1320)에게 전달된다. 이때 필요한 경우 ESG 엔터티(1306)는 특수 ESG에 대한 키를 생성하여 단말(1320)에게 전달한다.
서비스 구성 및 자원 할당(Service Configuration & Resource Allocation) 엔터티(1308)는 서비스 구성과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을 담당하며, SA 블록(1302)와 통신하여 방송 전송로(Broadcast bearer)의 대역폭을 협상(contend)하고, 방송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상의 위치에 서비스들을 할당하거나 서비스 대역폭을 결정하고 서비스 시간을 스케쥴링한다. 보안/서비스 보호 제공(Security/Service Protection provision) 엔터티(1310)는 보안 및 인증, 서비스 보호, 서비스 제공(provisioning)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엔터티들(1306 내지 1310)은 MM 블록(1312)과 연결되어 핸드오버에 필요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MM 블록(1312)은 단말의 이동성, 특히 핸드오버 및 로밍에 관련한 작업들을 수행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수신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수신기(1400)는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1402)뿐만 아니라 양방향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양방향 변환기(interactive adaptor)(1404)를 구비하고 있다. 방송 수신기(1402)는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서비스 데이터 혹은 PSI/SI 및 ESG와 같은 시그널링 정보를 수신하며, 양방향 변환기(1404)는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 혹은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한다. 제어 블록(1408)은 서비스 가입에 관련된 단말 권한의 관리/취득 및 서비스 콘텐츠의 해독(decryption) 절차를 담당하는 가입 관리(Subscription management) 블록(1410)과 연동하여 핸드오버 관련 동작들을 처리하는 이동성 관리(MM)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송 수신기(1402) 혹은 양방향 변환기(1404)를 제어하여 일반 ESG 및 특수 ESG를 수신하도록 한다. 필요한 경우 제어 블록(1408)은 특수 ESG에 대한 키를 양방향 변환기(1404)에 의해 수신하고, 방송 수신기(1402)에 의해 수신한 특수 ESG를 상기 키에 의해 해독한다.
상기 장치들(1402, 1404) 중 적어도 하나에서는 방송 네트워크 혹은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일반 ESG 및 특수 ESG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된 ESG들은 제어 블록(1408)에서 사용자 로밍 혹은 서비스 로밍을 판단되는데 이용되는 한편, 방송 서비스의 오디오 및 비디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수신부(content consumption block)(1412)로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즉시 제공되거나 혹은 추후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로밍 사용자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에 대한 서비스 안내 정보들을 포함하는 특수 ESG를, 지역 사용자를 위한 일반 ESG와는 별도로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로밍 사용자의 로밍 절차를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한다.

Claims (28)

  1.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들을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를 생성하는 과정과,
    인접 네트워크로부터 진입한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일반 ESG 및 특수 ESG를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ESG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중 상기 로밍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로밍' 서비스 정보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로밍 사용자들에 대해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문' 서비스 정보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로밍을 통해 이용 가능한, 상기 단말이 속한 홈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로밍'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들 각각은,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식별 정보와, 원래 네트워크 식별자와, 셀 식별자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권리 정보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ESG 및 상기 특수 ESG는,
    단일 ESG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함께 전송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ESG 데이터 모델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특수 ESG를 암호화하여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수 ESG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특수 ESG를 해독하는데 사용되는 키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특수 ESG를 암호화하지 않고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ESG를 전송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의 로밍 제안에 따라 사용자 로밍 절차 혹은 서비스 로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방법.
  8.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들을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와, 인접 네트워크로부터 진입한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사용자 로밍 절차 혹은 서비스 로밍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ESG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중 상기 로밍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로밍' 서비스 정보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로밍 사용자들에 대해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문' 서비스 정보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로밍을 통해 이용 가능한, 각 로밍 사용자가 속한 홈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로밍'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들 각각은,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식별 정보와, 원래 네트워크 식별자와, 셀 식별자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권리 정보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ESG 및 상기 특수 ESG는,
    단일 ESG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함께 수신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ESG 데이터 모델들을 사용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특수 ESG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특수 ESG를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된 특수 ESG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현재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특수 ESG를 해독하는데 사용되는 키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특수 ESG를 암호화되지 않은 채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각 로밍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서 수신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로밍 절차를 선택하며, 상기 원하는 서비스가 방문 네트워크에서 수신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로밍 절차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방법.
  15.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들을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와, 인접 네트워크로부터 진입한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생성하는 ESG 엔터티와,
    상기 일반 ESG 및 특수 ESG를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게 전송하는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ESG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중 상기 로밍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로밍' 서비스 정보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로밍 사용자들에 대해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문' 서비스 정보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로밍을 통해 이용 가능한, 상기 단말이 속한 홈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로밍'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들 각각은,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식별 정보와, 원래 네트워크 식별자와, 셀 식별자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권리 정보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ESG 및 상기 특수 ESG는,
    단일 ESG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함께 전송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ESG 데이터 모델들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네트워크는, 상기 특수 ESG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특수 ESG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는,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특수 ESG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특수 ESG를 해독하는데 사용되는 키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장치.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는,
    상기 특수 ESG를 암호화하지 않고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ESG를 전송한 후, 상기 단말로부터의 로밍 제안에 따라 사용자 로밍 절차 혹은 서비스 로밍 절차를 수행하는 이동성 관리(MM)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송신 장치.
  22.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들을 위한 전자 서비스 안내(ESG)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
    현재 네트워크 내의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일반 ESG와, 인접 네트워크로부터 진입한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의 로밍 사용자들에게 유효한 서비스들을 나타내는 특수 ESG를 양방향 네트워크 및 방송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수신하는 양방향 변환기 및 방송 수신기와,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사용자 로밍 절차 혹은 서비스 로밍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ESG는,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중 상기 로밍 사용자들이 이용 가능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 로밍' 서비스 정보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 내에서 상기 로밍 사용자들에 대해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문' 서비스 정보와,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로밍을 통해 이용 가능한, 상기 단말이 속한 홈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로밍' 서비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들 각각은,
    해당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식별 정보와, 원래 네트워크 식별자와, 셀 식별자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주파수 정보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권리 정보와, 상기 해당 방송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ESG 및 상기 특수 ESG는,
    단일 ESG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함께 수신되거나 혹은 서로 다른 ESG 데이터 모델들을 사용하여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기는, 상기 특수 ESG를 포함하는 암호화된 특수 ESG를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며,
    상기 양방향 변환기는, 상기 암호화된 특수 ESG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현재 네트워크로 송신하고, 상기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암호화된 특수 ESG를 해독하는데 사용되는 키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변환기는,
    상기 특수 ESG를 암호화되지 않은 채 상기 양방향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블록은,
    상기 특수 ESG를 참조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가 상기 현재 네트워크에서 수신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로밍 절차를 선택하며, 상기 원하는 서비스가 방문 네트워크에서 수신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 로밍 절차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SG의 수신 장치.
KR1020070048703A 2006-05-18 2007-05-18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34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108106P 2006-05-18 2006-05-18
US60/801,081 2006-05-18
US83588506P 2006-08-07 2006-08-07
US60/835,885 2006-08-07
US83837906P 2006-08-18 2006-08-18
US60/838,379 2006-08-18
US89400307P 2007-03-09 2007-03-09
US60/894,003 2007-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054A KR20070112054A (ko) 2007-11-22
KR100834654B1 true KR100834654B1 (ko) 2008-06-02

Family

ID=3872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703A KR100834654B1 (ko) 2006-05-18 2007-05-18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39078A1 (ko)
EP (1) EP2018788A1 (ko)
KR (1) KR100834654B1 (ko)
WO (1) WO20071361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8741B1 (en) * 2005-10-20 2013-11-19 Microsoft Corporation Using EAP instead of PPP for authentication
EP1898645A1 (en) * 2006-09-07 2008-03-12 Gemplus Specific broadcast service when roaming
CN102064899B (zh) * 2007-09-18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业务指南获取方法及装置
KR101418591B1 (ko) * 2007-10-05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8528020B2 (en) * 2007-11-20 2013-09-03 Cedric DeLaCruz Universal and portable channel designations
KR100951951B1 (ko) * 2007-11-27 2010-04-09 주식회사 케이티 해외 로밍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서비스 제어 방법및 시스템
KR20090076765A (ko) * 2008-01-09 2009-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모바일 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전자 서비스 가이드발견 방법 및 장치
KR20090088771A (ko) * 2008-02-15 200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통신채널로 통지메시지를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81824B1 (ko) 2008-03-06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 선택 장치 및방법
US20090239514A1 (en) * 2008-03-21 2009-09-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to a mobile device
US8995995B2 (en) * 2008-06-18 2015-03-31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automatic roaming
US8107671B2 (en) 2008-06-26 2012-01-31 Microsoft Corporation Script detection service
US8266514B2 (en) 2008-06-26 2012-09-11 Microsoft Corporation Map service
JPWO2010016368A1 (ja) 2008-08-07 2012-01-19 シャープ株式会社 小型基地局装置、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120040643A1 (en) * 2010-08-13 2012-02-16 John Diachina Network access control based on serving node identifiers
EP2695417A1 (en) * 2011-04-04 2014-02-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Excluding roaming users from area based mdt data transmission
US9596632B2 (en) * 2012-11-06 2017-03-14 Firetide, Inc. Context-aware wireless roaming
US9872319B2 (en) * 2014-09-23 2018-01-16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IP type during roaming
KR102618277B1 (ko) * 2016-10-06 2023-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환경에서 로밍 단말이 망에 접속하는 초기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699A (ko) * 2003-08-27 2006-04-06 노키아 코포레이션 서비스 선택 제공 및 서비스 획득
KR20060043295A (ko) * 2004-08-04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88240B (ko) * 1995-01-31 1996-10-11 Qualcomm Inc
US6148198A (en) * 1998-08-05 2000-11-14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US6977914B2 (en) * 2002-12-23 2005-12-20 Nokia Corporation Broadcast hand-over in a wireless network
WO2004112417A1 (en) * 2003-06-13 2004-12-23 Nokia Corporation Method, system, network entity, and end-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a handover of a cellular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699A (ko) * 2003-08-27 2006-04-06 노키아 코포레이션 서비스 선택 제공 및 서비스 획득
KR20060043295A (ko) * 2004-08-04 2006-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6199A1 (en) 2007-11-29
US20080039078A1 (en) 2008-02-14
EP2018788A1 (en) 2009-01-28
KR20070112054A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65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4712040B2 (ja) ネットワーク間のローミングを提供する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5739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및 로밍을 지원하기 위한이동성 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890037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또는 서비스 가이드프레그먼트에 대한 공유 방법 및 시스템
EP1774718B1 (en)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and method providing inter-network roaming
RU249625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руководства по услуге в мобильной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системе
EP18090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roaming and service roaming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481824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 선택 장치 및방법
EP192177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ervice variation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07010980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로밍방법 및 장치
KR100866194B1 (ko)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암호화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11168B1 (ko) 파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과정에서 핸드오버 또는 로밍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8001724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94355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00285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변화 정보의 송수신 방법및 장치
KR20080017245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채널을 통한 서비스 전달및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0443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로밍 사용자를 위한 전자 서비스안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