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8200A -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8200A
KR20050098200A KR1020040023540A KR20040023540A KR20050098200A KR 20050098200 A KR20050098200 A KR 20050098200A KR 1020040023540 A KR1020040023540 A KR 1020040023540A KR 20040023540 A KR20040023540 A KR 20040023540A KR 20050098200 A KR20050098200 A KR 2005009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broadcast service
content
list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8200A/ko
Publication of KR2005009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20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송서비스 서버에서 이동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만 진행되는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여 방송서비스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이용하는 기지국의 변동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별결과, 이동단말기가 해당 방송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에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방송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업데이트 목록을 요청하는 제 4 단계; 접속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기존에 저장된 인증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목록을 결정하여 이동단말기로 전달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서 제공되는 해당 방송서비스 영역을 벗어남에 따라 발생되는 방송서비스의 불연속성에 대해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자동으로 업데이트시켜 줌으로써 이동단말기 사용자의 방송서비스에 대한 불편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방송서비스 컨텐츠의 폭 넓은 선택의 권리를 이동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Method for updating broadcast contents of mobile station moved position}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지역의 방송서비스 이용중에 해당 방송서비스 지역을 벗어날 경우에 방송서비스 컨텐츠의 업그레이드를 자동으로 알려주어 방송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위성을 이용한 방송서비스(위성 DMB)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망 기술이 향상되어 이동단말기를 통한 방송서비스 구현도 가능해졌다.
기존 이동통신기술에서는(IS-95, CDMA2000 1x 등) 기술의 한계에 따라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제공하지 못했다. 즉, 기존 기술의 방식은 각 사용자마다 각기 다른 무선채널 및 RP채널이 할당됨에 따라 대역폭의 한계로 많은 고객을 한꺼번에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갖고 있었다.
여기서, RP채널이란 엑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 AN)에서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들(Packet Data Serving Node ; 이하, “PDSN”이라 함)까지의 채널을 의미한다. 이 RP채널은 이동단말기(Mobile Station ; MS)와 PDSN간의 PPP(Point-to-Point Protocol) 설정에 의해 각 고객마다 할당되고, 상기 PDSN에서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IGMP) 메시지를 이용하여 라우터에 멀티캐스트를 위한 그룹을 등록하고 방송용 서버로부터 수신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고객별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통신망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방송서비스는 별도의 방송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설정하여 방송서비스에서 요구되는 네트워크 자원을 최소화하면서 고객의 수에 관계없이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기망에서는 1xEV-DO/EV-DV를 중심으로 하여 BCMCS(Broadcast/Multicast Service)를 통해 방송서비스가, 비동기망에서는 WCDMA(Wideband CDMA)를 중심으로 하여 MBMS를 통해 구현되어 진다. 그 중에서도 현재 1xEV-DO를 중심으로 하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BCMCS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CMCS(Broadcast/Multicast Service)는 동일한 정보(스트리밍, 텍스트 메시지, 음성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를 다수의 사용자에게 하나의 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무선 구간에서 동일 정보의 반복 전송을 없애는 서비스이다. BCMCS는 1xEV-DO 망을 구축한 각국의 통신사업자 등이 1xEV-DO 시스템에서의 BCMCS 필요성 주장을 하면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표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비스는 시스템 및 단말기 개발에 따라 서비스가 가능하다. BCMCS는 이동통신망의 특성에 따라 모든 기지국들이 동일한 컨텐츠(Contents)를 가지고 동시에 방송이 가능하고, 또한 각 지역의 특수한 환경 및 설정에 따라 각 기지국들이 별도의 컨텐츠를 가지고 방송이 가능하다. 물론 WCDMA에서 제공하는 MBMS도 동일하다.
한편,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 이하, “LBS”라 함) 또한 계속적으로 기술이 발전되고 있다. 기존에는 위성의 신호가 도달하지 않거나 신호세기가 미약한 In-Building내에서 LBS를 고객에게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GPS를 탑재한 단말기 기술의 발전과 In-Building내에 정확한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노력에 따라 In-Building내에서 고객들에게 정확한 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 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더욱 더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컨텐츠들이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방송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방송서비스 컨텐츠가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방송될 경우에는 기지국 변동에 따른 방송서비스 컨텐츠의 업데이트(Update)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데, 만약 특정 지역이나 건물에서 제공된 특화된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이용할 경우에는 해당 방송서비스 지역의 이동에 따라 이용 중이던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지역의 방송서비스 이용중에 해당 방송서비스 지역을 벗어날 경우에 방송서비스 컨텐츠의 업그레이드를 자동으로 알려주어 방송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와, 방송서비스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적용되는데, 본 발명의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은, 상기 방송서비스 서버에서 이동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만 진행되는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여 방송서비스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이용하는 기지국의 변동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별결과, 이동단말기가 해당 방송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에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방송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업데이트 목록을 요청하는 제 4 단계; 접속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기존에 저장된 인증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목록을 결정하여 이동단말기로 전달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서비스 식별자에 해당하는 방송채널에 동조함으로써 방송을 수신하는 제 6 단계를 더 진행하다.
한편, 상기 제 2 단계는, 이동단말기에서 컨텐츠별로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를 수행하기 위해 컨텐츠별로 이웃 기지국들이 동일하게 컨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이웃 리스트(Neighbor list) 정보를 통하여 컨텐츠 목록 업데이트 여부를 판별하거나,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신호세기와 PER(Packet Error Rate)을 통해 컨텐츠 목록 업데이트 여부를 판별한다.
또한,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증이 완료되면 이동단말기 위치정보에 따른 해당 지역의 방송서비스 컨텐츠 목록 작성을 위해, 이동단말기 위치정보를 위치기반서비스(LBS)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에서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방송서비스 서버로 응답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5 단계의 인증은, 제 1 단계의 방송서비스 제공시 인증결과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 5 단계의 인증 과정에서 유료 또는 무료 방송서비스 컨텐츠 정보에 따라 방송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방송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방송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은 크게, 이동단말기(Mobile Station ; MS)(1)와, 방송서비스 시스템(2)과,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송서비스 시스템(2)은 인증서버(21)(Authentif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 server ; 이하 “AAA”라 함)와, BCMCS 컨트롤러(22)와, BCMCS 컨텐츠 서버(23)와, BCMCS 컨텐츠 제공자(2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AAA(21)는 이동단말기(1)의 방송서비스 가입을 확인하고, BCMCS 컨트롤러에게 확인 결과를 알려준다.
BCMCS 컨트롤러(BCMCS Controller)(22)는 가입 상태와 관련된 고객 프로파일(profile) 정보 관리 및 비밀키(Security Key)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BCMCS 컨텐츠 서버(BCMCS Content Server)(23)는 방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 제공 및 소스 컨텐츠(source content)를 암호화(encryption)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BCMCS 컨텐츠 제공자(24)는 상기 BCMCS 컨텐츠 서버(23)로 방송용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media content)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AAA(21)를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 포함시키고 있으나, 상기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서 별도로 분리될 수도 있다.
한편,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3)은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상의 LBS 서버(31)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단말기(1)와 방송서비스 시스템(2) 및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3)은 BSC/PCF(4) 및 PDSN(5)으로 연결되게 된다.
상기 BSC/PCF(4)는 기지국 송수신기(Base Transceiver Subsystem ; BTS)와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에 패킷제어부(Packet Control Function ; PCF)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이동통신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PDSN(Packet Data Serving Node)(5)은 방송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 지원 및 BSC/PCF(4)와의 연결 설정 및 해제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서 방송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도중에 해당 방송서비스 지역을 벗어날 경우에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방송서비스 시스템(2)은 특정 지역내에서 방송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그 기능을 한정하여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AAA(21)가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동단말기(1), 방송서비스 시스템(2), LBS 서버(31) 간의 제어흐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기(1) 사용자가 방송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동단말기(1)를 이용하여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 접속을 수행하고, 접속이 이루어지면 이동단말기(1)에서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 방송 컨텐츠 목록을 요청한다(S1).
이 목록 요청에 대응하여 이동단말기(1)가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서비스를 기지국을 통해서 PDSN(5)에 등록하고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방송서비스 시스템(2)은 먼저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S2). 이 때, 인증이 완료되어 방송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이어서 방송서비스 시스템(2)은 이동단말기(1)로 목록을 제공한다(S3). 이 때, 목록을 제공하기 전 이동단말기의 LBS 서버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지국 단위보다도 더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여 그 위치에서 제공하는 방송서비스 목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이동단말기에 출력된 목록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S4) 방송서비스 시스템(2)으로 선택된 목록을 전달한다(S5). 이에 방송서비스 시스템(2)은 해당 목록의 방송서비스를 이동단말기(1)에 제공하게 된다(S6).
이와 같이, 이동단말기(1)를 통해 특정 지역내에서 방송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특정 지역을 벗어날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단말기(1)의 이동이 있을 경우에 즉, 이동단말기(1)가 이용중인 기지국의 이동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방송서비스 컨텐츠 목록 업데이트의 필요여부를 체크한다(S7).
상기 방송서비스 컨텐츠 목록 업데이트의 판단 근거는, 상기 방송서비스 시스템(2)으로부터 전달되는 이웃 기지국 정보들과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지국의 전파환경에 의해 판단된다. 예를 들어, 1xEV-DO는 이동단말기(1)에서 컨텐츠별로 자발적인 소프트 핸드오프(Autonomous Soft Handoff)를 수행할 수 있도록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은 각 컨텐츠별로 이웃 기지국들이 동일하게 컨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는지를 이동단말기들에게 주기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이동단말기는 컨텐츠별로 이웃 리스트(Neighbor list) 정보를 통하여 컨텐츠의 목록을 업데이트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또는 방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지국의 전파환경[신호세기와 PER(Packet Error Rate) 등]을 통해 컨텐츠 목록 업데이트 여부를 판별한다. 물론, 컨텐츠 목록 업데이트 여부를 판별하는데 상기한 방법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이동단말기(1)가 해당 방송서비스 지역을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이동단말기(1)를 통해 자동으로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알려주고(S8), 고객이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여부를 결정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가 컨텐츠 업데이트를 결정하였을 경우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요청을 상기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 요청하게 된다(S9).
이에 방송서비스 시스템(2)은 고객의 정보(기존에 수행된 인증결과 등)를 검토한 후(S10), 상기 방송서비스 시스템(2)은 이동단말기(1) 호설정시 제공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위도 및 경도 등)를 가지고 이동단말기(1)의 위치정보를 LBS 서버(31)에 요청한다(S11).
이에 LBS 서버(31)는 이동단말기(1)의 위치를 계산하고, 이 계산된 결과를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 제공한다(S12). 즉, 이동단말기(1)의 위치정보, 예를 들어 건물정보 등을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S11 및 단계 S12는, 방송서비스 시스템(2)이 LBS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지국 단위보다 더 정확한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방송서비스 목록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 진행할 수 있는 단계들이다. 즉, 방송서비스 시스템(2)이 LBS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하지 않고 기지국에 의해 파악된 이동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방송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방송서비스 시스템(2)은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목록을 검색 및 결정한다(S13). 즉, 이동단말기(1)의 위치정보(건물 등)에 따라 그 지역에서 제공 가능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목록을 결정함과 아울러, 이동단말기(1) 사용자에 대한 인증 결과에 따라 유료/무료 방송서비스 컨텐츠 목록을 결정한다. 이 때, 검색되는 컨텐츠는 고객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고객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에서 진행되는 특수한 방송서비스 컨텐츠이다.
이와 같이,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목록이 결정되면,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서 컨텐츠 목록 및 목록에 관련된 정보를 고객의 이동단말기(1)로 전달하여 업데이트시킨다(S14∼S15). 이와 동시에 방송서비스 시스템(2)에는 고객에 대한 정보의 저장이 이루어지게 된다(S16).
한편, 고객의 이동단말기(1)로 전달된 업데이트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고, 이 디스플레이된 목록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S17) 상기한 단계 S5 및 단계 S6의 과정에 준하는 목록 전달 및 해당 방송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S18∼S19).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은, 특정 지역에서 제공되는 해당 방송서비스 영역을 벗어남에 따라 발생되는 방송서비스의 불연속성에 대해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기반으로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자동으로 업데이트시켜 줌으로써 이동단말기 사용자의 방송서비스에 대한 불편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방송서비스 컨텐츠의 폭 넓은 선택의 권리를 이동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방송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동단말기
2 : 방송서비스 시스템 21 : AAA
22 : BCMCS 컨트롤러 23 : BCMCS 컨텐츠 서버
24 : BCMCS 컨텐츠 제공자
3 : 위치기반서비스 시스템 31 : LBS 서버
4 : BSC/PCF
5 : PDSN

Claims (7)

  1. 이동단말기와, 방송서비스 서버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비스 서버에서 이동단말기의 현재 위치에서만 진행되는 방송서비스 컨텐츠를 제공하여 방송서비스를 제공받는 제 1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이용하는 기지국의 변동여부를 판별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별결과, 이동단말기가 해당 방송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 상기 이동단말기에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는 제 3 단계;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방송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 업데이트 목록을 요청하는 제 4 단계;
    접속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기존에 저장된 인증정보에 따라 제공 가능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목록을 결정하여 이동단말기로 전달하여 업데이트시키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이후에, 상기 이동단말기의 목록 선택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서비스 식별자에 해당하는 방송채널에 동조함으로써 방송을 수신하는 제 6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이동단말기에서 컨텐츠별로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를 수행하기 위해 컨텐츠별로 이웃 기지국들이 동일하게 컨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이웃 리스트(Neighbor list) 정보를 통하여 컨텐츠 목록 업데이트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이동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신호세기와 PER(Packet Error Rate)을 통해 컨텐츠 목록 업데이트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에서 인증이 완료되면 이동단말기 위치정보에 따른 해당 지역의 방송서비스 컨텐츠 목록 작성을 위해,
    이동단말기 위치정보를 위치기반서비스(LBS)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기반서비스 서버에서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방송서비스 서버로 응답하는 단계
    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인증은, 제 1 단계의 방송서비스 제공시 인증결과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인증 과정에서 유료 또는 무료 방송서비스 컨텐츠 정보에 따라 방송서비스 컨텐츠 목록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KR1020040023540A 2004-04-06 2004-04-06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KR200500982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540A KR20050098200A (ko) 2004-04-06 2004-04-06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540A KR20050098200A (ko) 2004-04-06 2004-04-06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200A true KR20050098200A (ko) 2005-10-11

Family

ID=3727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540A KR20050098200A (ko) 2004-04-06 2004-04-06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820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509B1 (ko) * 2004-08-04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1774B1 (ko) * 2005-12-23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셀 방송 메시지의 업데이트 방법 및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48470B1 (ko) * 2006-09-29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방송정보 저장방법 및 장치
KR100800862B1 (ko) * 2004-05-07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영역 식별자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US8248991B2 (en) 2004-05-07 2012-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ervice using broadcast zone identif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2128487A3 (ko) * 2011-03-23 2012-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 방법
KR101398167B1 (ko) * 2010-09-10 2014-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의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862B1 (ko) * 2004-05-07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영역 식별자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US8248991B2 (en) 2004-05-07 2012-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ervice using broadcast zone identif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677509B1 (ko) * 2004-08-04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간 로밍을 지원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01774B1 (ko) * 2005-12-23 200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셀 방송 메시지의 업데이트 방법 및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748470B1 (ko) * 2006-09-29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방송정보 저장방법 및 장치
KR101398167B1 (ko) * 2010-09-10 2014-05-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의 무선통신시스템을 위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799949B2 (en) 2010-09-10 2014-08-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ing service for different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O2012128487A3 (ko) * 2011-03-23 2012-11-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 방법
US9635122B2 (en) 2011-03-23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ont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5872B2 (en) Distributed Caching and Re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101823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CN1914934B (zh) 在访问网络中提供多媒体广播/组播服务的方法与装置
US7236784B2 (en) Method of and system for selecting a PLMN for network sharing
RU2344558C2 (ru) Способ запуска сеанса услуг мультимедийного широковещания/группового вещания и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этого система
KR100915437B1 (ko) 무선 시스템에서 상위 계층 시스템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및 무선랜의 자동적인 시스템 선택 방법
WO2020192274A1 (zh) 一种选择定位管理功能的方法及设备
US9030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multicasting content from mobile user equipment over an MBMS network
EP1363466A1 (en)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3510920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間のハンドオーバ
US622303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subscriber record for packet data registration of a mobile station
RU200712358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услуг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групповой передачи мультимедия в соответствии с мобильностью абонент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101473577A (zh) 用于在通信网络中管理通信会话的方法
US75361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6174447A (ja) ネットワーク共有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機により選択されたコアネットワークを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に通知する方法及び装置
US7532885B2 (en) Method for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for a service, which can be received by a mobile station via a radio access network and which is provided by at least two service providers, and a corresponding selecting device
KR10055355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또는 지역을 고려하여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8200A (ko) 이동단말기 이동에 대응한 방송서비스 컨텐츠 업데이트 방법
KR100624243B1 (ko) 이동통신 방송서비스 접속 방법 및 장치
US7197311B2 (en) Data routing in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87004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ell-based advertisement broadcast servic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5001327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registering 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a high-rate packet data system
US200501522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ccess terminal therefor
CN116420380A (zh) 标识确定方法、指示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9942745B1 (en) Proxy server and method thereof for forwarding location requests to a position determining e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