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359A -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359A
KR20090035359A KR1020070100604A KR20070100604A KR20090035359A KR 20090035359 A KR20090035359 A KR 20090035359A KR 1020070100604 A KR1020070100604 A KR 1020070100604A KR 20070100604 A KR20070100604 A KR 20070100604A KR 20090035359 A KR20090035359 A KR 20090035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guide
service
information
guide
fra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8591B1 (ko
Inventor
정보선
이국희
황승오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8591B1/ko
Priority to PCT/KR2008/005830 priority patent/WO2009045073A2/en
Priority to CN2008801195226A priority patent/CN101919243B/zh
Priority to EP08835943A priority patent/EP2201766A4/en
Priority to RU2010112861/07A priority patent/RU2496256C2/ru
Priority to JP2010527891A priority patent/JP4974398B2/ja
Priority to US12/246,344 priority patent/US8400956B2/en
Publication of KR20090035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359A/ko
Priority to JP2012044388A priority patent/JP539273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8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8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또 다른 서비스 가이드와 상기 제공될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상세 정보를 알려준다.
Figure P1020070100604
휴대 방송 시스템, BCAST, 서비스 가이드

Description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ANNOUNCING SERVICE GUID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Broadcast Service, 이하 BCAST)를 지원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기본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다른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장은 기존 기술들의 재조합 또는 통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의 생산을 지속적으로 요구받고 있으며, 오늘날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발달로 인해 종래의 방송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휴대 단말기(이하 이동 단말)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있다. 이러한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시장 수요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급증하는 사용자의 요구, 기존의 음성 서비스 외에 방송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의 전략, 그리고 수요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이동 통신 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IT 기업들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이동 통신 서비스와 IP(Internet Protocol)의 융합은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개발의 큰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는 이동 통신 시장 뿐 아니라, 일반 유선 통신 시장에서도 무선 또는 방송 등에 존 재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도입, 적용시키기에 이르렀고, 이러한 전방위적인 융합은 유선 방송, 무선 방송 등에 상관없이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해 동일한 소비 환경을 만들게 되었다.
한편, 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Open Mobile Alliance, 이하 OMA)는 개별 모바일 솔루션의 상호 연동을 위한 표준을 연구하는 단체로서, 이동통신용 게임, 인터넷 서비스 등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표준을 정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특히, 상기 OMA의 워킹 그룹 중 OMA BCAST(Mobile Broadcast Working Group)에서는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표준을 연구하고 있다. 즉, OMA BCAST는 서비스 가이드,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전송기술, 서비스 및 컨텐츠 보호 기술, 서비스 가입, 로밍 등 휴대 단말 환경에서 IP기반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표준화 하고 있다.
상기 설명한 유무선 통신 환경의 융합으로 인한 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장 흐름에 따라, OMA BCAST등 휴대 방송 기술도 모바일 환경을 넘어 유무선 통합 환경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화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구체적인 예를 들기 위하여 휴대 방송 기술 표준 중의 하나인 OMA BCAST 기술을 바탕으로 설명하나, 이 설명이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로 서비스 가이드를 전송하는 구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아래 <표 1>과 <표 2>는 도 1의 구성 요소(논리 개체)들 간에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한 것이다.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1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2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자(Content Creation) 블록(101)은 방송 서비스(이하 BCAST 서비스)의 공급자이며, 상기 BCAST 서비스는 종래의 음성/영상 방송 서비스, 음악 파일 또는 데이터 파일의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공급자(101)는 서비스 가이드 컨텐츠 공급 소스(Service Guide Content Creation Source, 이하 SGCCS)부(102)를 이용하여 BCAST 서비스의 서비스 가이드 구성을 위해 필요한 컨텐츠 정보, 이동 단말의 성능 정보, 사용자 프로파일, 컨텐츠 시간 정보 등을, 상기 <표 1>의 SG1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BCAS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04)의 서비스 가이드 어플리케이션 소스(Service Guide Application Source, 이하 SGAS)부(105)로 전달한다.
BCAS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04)은 컨텐츠 공급자 블록(101)으로부터 BCAS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공급받아 BCAST 네트워크에 적합한 형태로 가공하여 BCAST 서비스 데이터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BCAS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04)은 휴대 방송 안내에 필요한 표준화된 메타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SGAS부(105)는 SGCCS부(102)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함께 서비스 및 컨텐트 상세 정보, 스케쥴 정보, 위치 정보 등 서비스 가이드의 구성에 필요한 각종 소스를, 인터페이스 SG2(106)를 통해 후술할 BCAST 서비스 분배/적응(Distribution/Adaption) 블록(108)의 서비스 가이드 생성(Service Guide Generation, 이하 SG-G)부(109)로 전달한다.
BCAST 서비스 분배/적응 블록(108)은 BCAS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블록(104)으로부터 공급받은 BCAST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베어러(bearer)를 설정하는 역할과 BCAST 서비스의 전송 스케쥴을 결정하는 역할 그리고 휴대 방송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BCAST 서비스 분배/적응 블록(108)은 BCAST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인 방송 분배 시스템(Broadcast Distribution System, 이하 BDS)(122) 및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양방향 네트워크(123)와 연결된다.
상기 SG-G부(109)로부터 생성된 서비스 가이드는 서비스 가이드 분배(SG Distribution, 이하 SG-D)부(110)와 SG-5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이동 단말(Terminal)(119)로 전달된다. 만일 BDS(122) 또는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양방향 네트워크(123)를 통해 서비스 가이드를 전달하거나 또는 해당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와 관련하여 정합이 필요할 경우에는 SG-G부(109)로부터 생성된 서비스 가이드는 서비스 가이드 적응(SG Adaptation, 이하 SG-A)부(111)에서 정합되어 SG-D부(110)로 전달되거나, SG-B1 인터페이스(116)를 통해 후술할 BSC 서비스 분배(BDS Service Distribution) 블록(121)으로 전달된다.
BCAST 가입 관리(BCAST Subscription Management) 블록(113)은 BCAST 서비스의 수신을 위한 가입 정보와 서비스 제공 정보 및 BCAST 서비스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에 대한 장치 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BCAST 가입 관리 블록(113)의 서비스 가이드 가입 소스(Service Guide Subscription Source, 이하 SGSS)부(114)는 서비스 가이드의 생성과 관련한 가입 관련, 공급(Provisioning) 관련 소스 및 구매 정보, 홍보 관련 정보 등의 소스를 SG4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하는 상기 SG-G부(109)로 전달한다.
BDS 서비스 분배 블록(121)은 모든 수신된 BCAST 서비스를 방송 채널(Broadcast channel) 또는 양방향 채널(interaction channel)을 통해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BDS 서비스 분배 블록(121)은 BDS(122)의 종류에 따라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개체이다. 상기 BDS(122)는 BCAST 서비스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이며, 예를 들어 DVB-H, 3GPP의 MBMS, 3GPP2의 BCMCS 등의 방송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양방향 네트워크(123)는 일대일로 BCAST 서비스를 전송하거나 또는 BCAST 서비스 수신에 관련된 제어 정보 및 부가 정보들을 양방향으로 교환하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도 1에서 단말기(119)는 BCAST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며, 단말기의 성능에 따라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단말기(119)는 서비스 가이드 클라이언트(Service Guide Client, 이하 SG-C)를 구비하여 SG5 인터페이스(117)를 통해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거나, SG6 인터페이스(118)를 통해서 전송되는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BCAST 서비스 수신을 위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한다.
아래 <표 3> 내지 <표 5>는 OMA BCAST 서비스의 표준에서 도 1의 주요 구성 요소(논리 개체)들에 대한 기능을 정리한 것이다.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3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4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5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OMA BCAST 내에서 서비스 가이드(Service Guide) 생성을 위한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데이터 모델(Data Model)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각 프래그먼트를 연결하는 실선은 각 프래그먼트 간의 상호 참조를 의미한다.
첨부된 도 2와 같이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Service Guide Data) 모델은 전체 서비스 가이드의 상위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그룹(Administrative)(200), 서비스, 컨텐츠, 스케쥴 등 서비스 가이드의 핵심 부분인 핵심 그룹(Core)(220), 서비스 또는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억세스 그룹(Access)(230), 가입 및 구매 정보를 포함하는 공급 그룹(Provisioning)(210)으로 구성된다. 관리 그룹(200)은 서비스 가이드 전달 해석기(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201)를 포함하며, 공급 그룹(210)은 구입 아이템(PurchaseItem)(211), 구입 데이터(PurchaseData)(212) 및 구입 채널(PurchaseChannel)(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핵심 그룹(220)은 서비스(Service)(221), 스케쥴(Schedule)(222) 및 컨텐트(Content)(2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억세스 그룹(230)은 억세스(Access)(231), 세션 해석(Session Description)(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외에 서비스 가이드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4개의 그룹(200, 210, 220, 230) 이외에 프리뷰 데이터(PreviewData)(241)와 상호 데이터(InteractivityData)(2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각 구성들을,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인 프래그먼트(Fragment)라 부른다.
상술한 각 프래그먼트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서비스 가이드 전달 해석기(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 프래그먼트(201)는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프래그먼트를 담고 있는 서비스 가이드 전달 유닛(ServiceGuideDeliveryUnit : SGDU)이 위치하는 전달 세션 정보를 알려주며, SGDU에 대한 그룹핑(Grouping) 정보 및 통지 (Notification)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인입점(Entry Point)을 알려준다.
서비스(Service) 프래그먼트(221)는 전체 서비스 가이드를 중심으로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컨텐트(Content)들의 상위 집합체로 서비스의 내용, 장르, 서비스 지역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스케쥴(Schedule) 프래그먼트(222)는 스트리밍(Streaming), 다운로딩(Downloading) 등 서비스에 포함된 컨텐트 각각의 시간정보를 나타낸다.
컨텐트(Content) 프래그먼트(223)는 방송되는 컨텐트에 대한 상세한 설명, 타겟 유저 그룹, 서비스 지역, 장르 등을 포함한다.
억세스(Access) 프래그먼트(231)는 서비스를 볼 수 있도록 접속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며 해당 접속 세션에 대한 전달 방법, 세션 정보 등을 제공한다.
세션 해석(SessionDescription) 프래그먼트(232)는 억세스 프래그먼트(Access)(231)에 포함될 수도 있고,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형태로 위치 정보를 알려주어 단말기가 해당 세션 해석(SessionDescripion) 프래그먼트(232)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세션 해석 프래그먼트(232)는 해당 세션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대한 주소 정보, 코덱 정보 등을 제공한다.
구입 아이템(PurchaseItem) 프래그먼트(211)는 서비스, 컨텐트, 시간 등의 번들(Bundle)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구입 아이템(PurchaseItem) 프래그먼트(211)에 가입하거나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구입 데이터(PurchaseData) 프래그먼트(212)는 서비스 혹은 서비스 번들에 대한 가격 정보, 프로모션 정보 등 구매, 가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구입 채널(PurchaseChannel) 프래그먼트(213)는 서비스 혹은 서비스 번들의 가입 혹은 구매를 위한 접속 정보를 알려준다.
서비스 가이드 전달 해석기(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 프래그먼트(201)는 서비스 가이드 수신을 위한 인입점(Entry Point) 및 프래그먼트의 컨테이너(Container)인 SGDU에 대한 그룹핑 정보(Grouping Information)를 알려준다.
또한, 프리뷰 데이터(PreviewData) 프래그먼트(241)를 통해 서비스, 스케쥴, 컨텐트에 대한 프리뷰 정보를 제공하거나, 상호 데이터(InteractivityData) 프래그먼트(251)를 통해 해당 서비스, 스케쥴, 컨텐트에 따라 방송 중에 양방향(Interactive)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들은 첨부된 도 2의 상위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상세 내용과 값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 값(Element) 및 속성 (Attribute) 값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비스 가이드의 각각의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세한 요소 값 및 속성 값은 본 명세서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나 상기 상세한 요소 값 및 속성 값이 본 발명을 제약하지는 않으며 휴대 방송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가이드 제공에 있어 필요에 의해 정의된 모든 요소 값 및 속성 값에 본 발명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데이터 모델에 따라 SG-G(109)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 후 각 프래그먼트들을 SG-D(110)와 사용자 단말인 SG-C(120)를 통해 제공하는 과정에 있어서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컨텐츠의 양이 많아질수록 제공해야 하는 정보가 많아지고, 이에 따라 서비스 가이드의 프래그먼트의 사이즈 및 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에서 전체 프래그먼트를 수신하고 서비스 가이드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서 오버헤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함에 있어, 효율적인 전달을 위하여 최소한의 기본 서비스 가이드를 우선적으로 배포하고, 상기 기본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상기 기본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추가 정보 혹은 별도의 다른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서비스 프래그먼트 목록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목록들에 제2 서비스 가이드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가이드와 제2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수신 정보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에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를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된 상기 수신 정보를 통해 접속한 단말에게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제1 서비스 가이드와 제2 서비스 가이드를 획득하는 서비스 가이드 수신부와,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를 해석하여 제2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수신 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 가이드 해석부와, 상기 획득한 제1 서비스 가이드 또는 제2 서비스 가이드를 표시하는 서비스 가이드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서비스 가이드와 제2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수신 정보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에 추가하는 서비스 가이드 생성부와,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를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된 상기 수신 정보를 통해 접속한 단말에게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 가이드 전송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또 다른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용량이 큰 서비스 가이드를 기본 서비스 가이드와 기본 서비스에 대한 추가 상세 정보 혹은 독립적인 서비스 가이드로 분리 배포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가이드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먼저 기본 서비스 가이드를 우선 전송함으로써 초기 서비스 가이드 수신 시간을 절약하여 사용자에게 좀 더 신속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표준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혹은 이동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의 표준 기구인 OMA BCAST에서 정의하고 있는 개체들의 명칭들을 동일하게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 스키마 테이블에 대하여 <표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6
<표 6>에서 이름(Name)은 해당 메시지를 구성하는 요소값과 속성값에 대한 명칭을 나타낸다. 타입(Type)은 해당 이름이 요소값 혹은 속성값 중 어떤 형태인지를 의미한다. 요소값은 E1, E2, E3, E4와 같은 값을 가지며, E1은 전체 메시지에 대한 상위 요소값을 의미하며, E2는 E1의 하위 요소값, E3는 E2의 하위 요소값, E4는 E3의 하위 요소값을 나타낸다. 각 요소의 속성값은 A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E1 아래의 A는 E1의 속성값을 나타낸다. 범주(Category)는 해당 요소값 혹은 속성값이 필수 내용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필수인 경우 M 값을, 옵션인 경우 O 값을 가진다. 카디넬리티(Cardinality)는 요소들간의 관계를 나타내며 0, 0..1, 1, 0..n, 1..n 의 값을 가진다. 0은 옵션을 의미하고, 1은 필수관계를 의미하며, n은 다수의 값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로 0..n은 해당 요소값이 없을 수도 있고 n 개의 값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Description)은 해당 요소 또는 속성값이 의미하는 바를 나타내며, 데이터형(Data Type)은 해당 요소값 혹은 속성값에 대한 데이터 형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방법 및 기본 서비스 가이드를 통해 다른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SG-C(120)는 Announcement Session(310)에 접근하여 해당 세션에서 전달되는 ServiceGuideDeliveryDescriptor(이하 SGDD, 310)를 수신한다. SGDD(3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SGDU리스트 및 SGDU가 전달되는 전송 세션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도 3에서는 SGDD(310)에서 기본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프래그먼트를 담고 있는 SGDU 리스트와, 해당 SGDU가 전송되는 전송 세션(Delivery Session) X(302)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단말은 SGDD(310)의 정보를 해석하고 Delivery Session X(302)에 접속하여 기본 서비스 가이드를 위한 SGDUs(311)을 수신하며, 수신된 SGDU(311)에서 기본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프래그먼트를 추출하고 최종적으로 기본 서비스 가이드(320)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다.
기본 서비스 가이드(320)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한 추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또한 기본 서비스 가이드(320)를 통해 다른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접속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단말은 기본 서비스 가이드(320)를 통해 서비스 가이드 1(321)과 서비스 가이드 2(322)에 대한 수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수신 정보는 서비스 가이드 1(321)에 대한 SGDU(312)를 전송하는 Delivery Session Y(303)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가이드 2(322)에 대한 SGDU(313)을 전송하는 Delivery Session Z(304)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은 해당 전송 세션(303 또는 304)에 접속하여 해당 SGDU(312 또는 313)를 수신한 후 서비스 가이드 1(321) 혹은 서비스 가이드 2(322)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 절차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서비스 가이드 수신을 위해 401단계에서 세션(Announcement Session)에 접속하여 해당 세션에서 전달되는 SGDD를 수신한다. 402단계에서는 상기 수신한 SGDD를 해석하여 서비스 가이드 생성에 필요한 프래그먼트가 전달되는 세션 정보 및 SGDU를 확인한다. 403 단계에서는 SGDD에서 소개한 모든 SGDU를 해당 전달 세션으로부터 수신한다. 404 단계에서는 상기 전달 세션으로부터 수신한 SGDU로부터 프래그먼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프래그먼트들을 해석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한다. 405단계에서는 상기 구성된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서비스 프래그먼트 목록들을 확인한다. 도 5는 서비스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위 속성값과 요소값을 도식화한 것이다.
406 단계에서는 서비스 프래그먼트 목록들에 있는 서비스 프래그먼트들을 해석하여 Service Guide값인 ServiceType(501)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Service Guide값이 없다면, 해당 서비스 가이드 내에는 또 다른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정보가 없으며 수신한 서비스 가이드가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의 전부인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40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서비스 가이드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만일 Service Guide 값을 가지는 ServiceType(501)이 있으면, 이는 해당 서비스 가이드 내에 또 다른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수신 및 접속을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408단계에서 ServiceType(501)이 Service Guide인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관련한 모든 접속(Access) 프래그먼트를 찾는다. 도 6은 Access 프래그먼트에 대한 상위 속성값과 요소값을 도식화한 것이다.
409단계에서는 검색된 모든 Access 프래그먼트를 해석하여 해당 Access 프래그먼트에 ServiceClass(601)에 해당하는 값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ServiceClass(601)에 해당하는 값이 없다면 410 단계에서 추가로 제공되는 서비스 가이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또한 ServiceClass(601)에 해당하는 값이 있으면 이는 추가로 제공되는 서비스 가이드가 있음을 의미하며 ServiceClass(601) 값을 확인한다. ServiceClass(601)에 해당하는 값이 'urn:oma:oma_bsc:sg:1.0'이면 해당 access프래그먼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접속 정보에 해당하는 전달 세션 내에는 독립적인 스탠드얼론 서비스 가이드(standalone SG)가 있음을 의미하며, 'urn:oma:oma_bsc:csg:1.0'이면 해당 access 프래그먼트 내에 포함되어 있는 접속 정보에 해당하는 전달 세션 내에는 해당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추가 상세 정보를 담고 있는 컴플리멘터리 서비스 가이드(complementary SG)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411 단계에서 ServiceClass의 하위 요소값인 ReferredSGInfo을 확인하여 standalone SG 및 complementary SG에 대한 사전 정보를 획득한다. 사전 정보에 대한 내용은 다음 <표 7>에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412 단계에서는 standalone SG 혹은 complementary SG를 수신하여 해당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7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8
Figure 112007071792579-PAT00009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0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1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2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3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4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5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6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7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8
Figure 112007071792579-PAT00019
Figure 112007071792579-PAT00020
Figure 112007071792579-PAT00021
Figure 112007071792579-PAT00022
Figure 112007071792579-PAT00023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411단계의 ReferredSGInfo에 정의되어 있는 하위 요소값은 상기 <표 7>에서 보듯이 'BSMSelector', 'ServiceIDRef', 그리고 'ServiceGuideDeliveryUnit'가있다. standalone SG 혹은 complementary SG에 대한 그 밖의 사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는 ReferredSGInfo의 하위 요소값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ReferredSGInfo에 정의되어 있는 하위 요소값 각각의 사용례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BSMSelector는 standalone SG 혹은 complementary SG가 어떤 서비스 사업자로부터 제공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BSMSelector에 대한 ID를 idRef를 통해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Name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만일 idRef를 통해 BSMSelector에 대한 식별자가 제공되는 경우, 기본 서비스 가이드 수신시 사용된 SGDD내에 정의되어 있는 BSMList를 확인하고, 해당 BSMList중 idRef와 일치하는 BSMSelector 정보로부터 서비스 사업자에 해당하는 BSM Code나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서비스 사업자 명 등의 정보를 확보한다. 이러한 정보는 standalone SG나 complementary SG를 수신한 후 단말 내에서 해당 서비스 가이드를 사업자별로 분류하여 관리할 때 Code 혹은 사업자 이름별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기본 서비스 가이드에서 해당 사전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idRef와 같은 식별자 이외에 'Name'을 통해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이름을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ServiceIDRef는 수신받을 standalone SG 혹은 complementary SG가 기본 서비스 가이드 내의 어떠한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인지 알려줄 수 있다. ServiceIDRef 내에는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식별할 수 있는 ID값이 포함된다. 따라서 ID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기본 서비스 가이드 내에서 해당 ID값과 일치하는 서비스 프래그먼트를 찾아내고, 수신받을 standalone SG 혹은 complemntary SG가 검색된 서비스 프래그먼트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ServiceGuideDeliveryUnit은 해당 Access 프래그먼트에서 제공되는 세션 정보를 통해 해당 전달 세션에 접속할 경우 어떠한 SGDU들이 standalone SG 혹은 complementary SG와 관련이 있는지 알려줄 수 있다. SGDU 리스트 제공을 통해 서비스 사업자는 기본 서비스 가이드 및 standalone SG 혹은 complementary SG를 동일한 전달 세션을 통해서 제공하며 SGDU 리스트에 따라 수신, 분류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CAST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망 구조도 및 BCAST 단말의 구조도를 도식화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BCAST Network System(710)은 BCAS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도 1의 Content Creation(101), BCAST Service Application(104), BCAST Service Distribution/Adaptation(108), BCAST Subscription Management(113)의 엔터티들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할 수 있다. BCAST Network System(710)은 서비스 가이드와 관련하여 서비스 가이드 소스 생성부(711), 서비스가이드생성부(712), 서비스 가이드 전송부(713)를 포함한다.
서비스 가이드 소스 생성부(711)는 도 1의 SGCCS(102), SGAS(105), SGSS(114)와 같은 엔티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이드 생성을 위한 서비스 및 프로그램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제공한다.
서비스 가이드 생성부(712)는 서비스 가이드 소스 생성부(711)로부터 이러한 정보들을 수신하여 서비스 가이드를 생성한다. 서비스 가이드 생성부(712)는 도 1에서 SG-G(109) 및 SG-A(111)의 엔티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가이드 생성부(712)는 서비스 가이드 프래그먼트를 생성하고 프래그먼트간의 연결 관계를 정의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기본 서비스 가이드 및 Standalone 또는 Complementary 서비스 가이드를 위한 프래그먼트 및 연결 관계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서비스 가이드 전송부 (713)는 도 1의 SG-D(11)의 엔티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비스 가이드 생성부(712)에서 생성된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전달을 담당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가이드 전송부 (713)는 서비스 가이드 생성부(712)에서 생성된 프래그먼트에 대해 기본 서비스 가이드 및 Standalone 또는 Complementary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전달 세션을 형성하고, 형성된 전달 세션에 해당 프래그먼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BDS(720)는 방송채널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방송전송시스템(721)을 포함하며, 방송전송시스템(721)으로는 DVB의 DVB-H, 3GPP의 MBMS, 3GPP2의 BCMCS와 같은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
BCAST Terminal(730)은 도 1의 Terminal(119)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고 해석하여 단말에 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BCAST Terminal(730)은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주는 방송데이터 수신부(731), 서비스 가이드 수신을 위한 서비스 가이드 수신부(732), 수신한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해석을 담당하는 서비스 가이드 해석부 (733), 해석한 서비스 가이드를 Display(735)에 표시하는 서비스 가이드 표시부(734)를 포함한다.
서비스 가이드 수신부(732), 서비스 가이드 해석부(733), 서비스 가이드 표시부(734)는 도 1에서 SG-C(120)에 해당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가이드 수신부(732)는 기본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고, 서비스 가이드 해석부(733)에서 기본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프래그먼트를 해석하며, 서비스 가이드 표시부(734)는 해석 결과를 Display(735)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그 중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해당 서비스와 관련한 상세 정보는 기본 서비스 가이드 내의 관련된 Access 프래그먼트를 확인하며, 방송 데이터 수신부(731)를 거쳐 서비스 가이드 수신부(732)에서 해당 프래그먼트를 수신한 후, 서비스 가이드 해석부(733)에서 해석하여 서비스 가이드 표시부(734)를 통해 Display(735)에 표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OMA BCAST에서 서비스 가이드 기능의 논리 구조도,
도 2는 일반적인 OMA BCAST에서 서비스 가이드의 데이터 모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이드를 통한 서비스 가이드 수신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이드를 통한 서비스 가이드 수신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OMA BCAST에서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 모델 중 Service 프래그먼트에 제공되는 상세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OMA BCAST에서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 모델 중 Access 프래그먼트에 제공되는 상세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단말의 구조도

Claims (4)

  1.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서비스 프래그먼트 목록들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 목록들에 제2 서비스 가이드에 해당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비스 가이드 수신 방법.
  2.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서비스 가이드와 제2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수신 정보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에 추가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를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된 상기 수신 정보를 통해 접속한 단말에게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3.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방송 데이터로부터 제1 서비스 가이드와 제2 서비스 가이드를 획득하는 서비스 가이드 수신부와,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를 해석하여 제2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수신 정보를 획득하는 서비스 가이드 해석부와,
    상기 획득한 제1 서비스 가이드 또는 제2 서비스 가이드를 표시하는 서비스 가이드 표시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이드 수신 장치.
  4.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서비스 가이드와 제2 서비스 가이드를 구성하며,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에 대한 수신 정보를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에 추가하는 서비스 가이드 생성부와,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를 단말로 제공하며, 상기 제1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된 상기 수신 정보를 통해 접속한 단말에게 상기 제2 서비스 가이드를 제공하는 서비스 가이드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가이드 제공 장치.
KR1020070100604A 2007-10-05 2007-10-05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418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604A KR101418591B1 (ko) 2007-10-05 2007-10-05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PCT/KR2008/005830 WO2009045073A2 (en) 2007-10-05 2008-10-02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guide in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CN2008801195226A CN101919243B (zh) 2007-10-05 2008-10-02 用于在移动广播系统中提供和接收服务指南的方法和设备
EP08835943A EP2201766A4 (en) 2007-10-05 2008-10-02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SERVICE MANUAL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RU2010112861/07A RU2496256C2 (ru) 2007-10-05 2008-10-02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руководства по услуге в мобильной широковещательной системе
JP2010527891A JP4974398B2 (ja) 2007-10-05 2008-10-02 移動通信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ガイド通信方法及び提供方法並びにそれらの装置
US12/246,344 US8400956B2 (en) 2007-10-05 2008-10-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guide in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JP2012044388A JP5392733B2 (ja) 2007-10-05 2012-02-29 移動通信放送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ガイド受信方法及び提供方法並びにそれら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604A KR101418591B1 (ko) 2007-10-05 2007-10-05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359A true KR20090035359A (ko) 2009-04-09
KR101418591B1 KR101418591B1 (ko) 2014-07-10

Family

ID=40524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604A KR101418591B1 (ko) 2007-10-05 2007-10-05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00956B2 (ko)
EP (1) EP2201766A4 (ko)
JP (2) JP4974398B2 (ko)
KR (1) KR101418591B1 (ko)
CN (1) CN101919243B (ko)
RU (1) RU2496256C2 (ko)
WO (1) WO200904507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187A1 (ko) * 2014-04-27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591B1 (ko) * 2007-10-05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EP3595264B1 (en) 2007-10-27 2021-04-07 BlackBerry Limited Content disposi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message content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KR20100063238A (ko) * 2008-12-03 201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461197A (zh) * 2009-05-08 2012-05-16 诺基亚股份有限公司 用于配置业务指南演示的方法及装置
KR101585246B1 (ko) * 2009-07-03 2016-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방송 서비스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
WO2011054281A1 (zh) * 2009-11-09 2011-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基于http的流媒体业务的方法、系统和网络设备
CN103503439A (zh) * 2011-05-01 2014-01-08 三星电子株式会社 在数字广播系统中发送/接收广播服务的方法和装置及其系统
WO2015064211A1 (ja) 2013-10-30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FR3018125B1 (fr) * 2014-03-02 2017-07-21 Viaccess Sa Procede de fourniture, a un terminal, de contenus multimedias proteges
US20170111692A1 (en) * 2014-05-20 2017-04-2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ing transmission device, method for operating broadcasting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WO2016060422A1 (ko) * 2014-10-12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05830459B (zh) * 2014-11-20 2019-06-18 Lg电子株式会社 发送广播信号的设备、接收广播信号的设备、发送广播信号的方法和接收广播信号的方法
US10820053B2 (en) 2018-12-05 2020-10-27 Hulu, LLC Extension bundle generation for recording extensions in video delivery
CN114363792A (zh) * 2021-11-26 2022-04-15 赛因芯微(北京)电子科技有限公司 传输音轨格式串行元数据生成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311A (ja) * 1996-11-12 1998-05-29 Casio Comput Co Ltd 送受信システム、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CA2284153C (en) * 1997-03-21 2005-08-30 Canal + Societe Anonyme Method of downloading of data to an mpeg receiver/decoder and mpeg transmission system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0742244B1 (ko) * 2002-12-18 2007-07-24 노키아 코포레이션 세션들을 고지하는 방법
GB2407242A (en) * 2003-06-30 2005-04-20 Nokia Corp Method of announcing sessions in an electronic service guide
JP3520873B2 (ja) * 2003-08-08 2004-04-1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US8145120B2 (en) * 2003-10-27 2012-03-27 Nokia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ervice selection and sorting
KR100735218B1 (ko) * 2004-12-14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방송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US7614068B2 (en) * 2005-03-18 2009-11-03 Nokia Corporation Prioritization of electronic service guide carousels
CA2615311C (en) * 2005-08-11 2014-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ccess information of broadcast service in a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1209425B1 (ko) * 2005-08-17 2012-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과 그 시스템
KR101270275B1 (ko) * 2005-08-17 201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06283334A1 (en) * 2005-08-24 2007-03-01 Nokia Corporation Mapping between URI and ID for service guide
US8607271B2 (en) * 2005-08-26 2013-12-10 Nokia Corporation Method to deliver messaging templates in digital broadcast service guide
TW200719718A (en) * 2005-09-06 2007-05-16 Nokia Corp Optimized broadcast to ESG with simple fragment management scheme
US20070072543A1 (en) * 2005-09-06 2007-03-29 Nokia Corporation Enhanced signaling of pre-configured interaction message in service guide
JP2009507445A (ja) * 2005-09-07 2009-02-19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適合されたロケーションベース放送
US8316132B2 (en) * 2005-09-08 2012-11-20 Nokia Corpor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completeness of a service guide
CA2624374A1 (en) * 2005-10-07 2007-04-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ed a notification of a change in a service
KR100810251B1 (ko) * 2005-10-11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07042907A2 (en) * 2005-10-14 2007-04-19 Nokia Corporation Declaring terminal provisioning with service guide
EP2285143B1 (en) * 2005-10-14 2019-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aming service methods and systems in a mobile broadcasting system
US8320819B2 (en) * 2005-11-01 2012-11-27 Nokia Corporation Mobile TV channel and service access filtering
TW200746695A (en) * 2005-11-01 2007-12-16 Nokia Corp Identifying scope ESG fragments and enabling hierarchy in the scope
US20070110056A1 (en) * 2005-11-07 2007-05-17 Sung-Oh Hwa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 guide contents and notification event information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KR100978277B1 (ko) * 2005-11-07 201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생성을 위한 공급 정보 전달 방법과 통지 이벤트/통지 메시지 전달 방법 및 시스템
WO2007052989A1 (en) * 2005-11-07 2007-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ervice guide sourc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KR20070055970A (ko) * 2005-11-28 200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버전의 전자 서비스가이드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59574B1 (ko) * 2006-01-11 2010-05-27 노키아 코포레이션 모바일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스트리밍 서버들에 의해사용되는 리치 미디어 컨테이너 형식에 대한 확장들
KR101120778B1 (ko) * 2006-02-03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가이드의 관리 객체 변경 방법,시스템 및 단말
KR100890037B1 (ko) * 2006-02-03 200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또는 서비스 가이드프레그먼트에 대한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7778638B2 (en) * 2006-02-28 2010-08-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roaming in broadcast service and system and terminal thereof
EP1830589B1 (en) * 2006-03-03 2017-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in a mobile broadcast system
KR101340720B1 (ko) * 2006-03-24 2013-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형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통융합 서비스 시스템에서서비스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070240189A1 (en) * 2006-04-06 2007-10-11 Nokia Corporation Utilizing presence service for service discovery in mobile broadcast
US7702337B2 (en) * 2006-05-16 2010-04-2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quick service access
WO2007136199A1 (en) * 2006-05-18 2007-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for roaming user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WO2007148194A2 (en) * 2006-06-19 2007-12-27 Nokia Corporation Optimized acquisition method
KR100800737B1 (ko) * 2006-06-23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Dvb-h 시스템에서 유사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FR2903256B1 (fr) * 2006-07-03 2008-10-31 Alcatel Sa Procede de fragmentation de guides sg, serveur et un terminal destines a 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s
US20080092163A1 (en) * 2006-07-21 200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0800857B1 (ko) * 2006-08-1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Dvb―h시스템에서 통지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800858B1 (ko) * 2006-08-19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Dvb―h 시스템에서 esg 데이터 전송을 최적화하기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80017202A (ko) * 2006-08-21 200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방송 안내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790195B1 (ko) * 2006-08-21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Dvb―h 시스템에서 esg 데이터를 효율적으로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080070557A1 (en) * 2006-09-14 2008-03-20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signaling virtual multi-access platforms
US8332327B2 (en) * 2006-10-31 2012-12-11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Legal text distribution and processing in mobile broadcasting
KR100856208B1 (ko) * 2006-12-15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Dvb-h 시스템에서 방송 데이터 서비스의 어플리케이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7827580B2 (en) * 2006-12-22 2010-11-02 Nokia Corporation Dynamically adjustable electronic service guide
US7870377B2 (en) * 2007-02-07 2011-01-11 Nokia Corporation Automatic electronic-service-guide selection
US8218559B2 (en) * 2007-05-15 2012-07-10 Nokia Corporation Providing best effort services via a digital broadcast network using data encapsulation
US20090015660A1 (en) * 2007-07-12 2009-01-15 Nokia Corporation Virtual TV room service with interactive capabilities signaling
KR101418591B1 (ko) * 2007-10-05 201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8526350B2 (en) * 2008-05-23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arrying broadcast services over a mobile broadcast network
US8572648B2 (en) * 2008-06-18 2013-10-29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WO2010082782A2 (en) * 2009-01-15 2010-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ich media-enabled service guide provision method and system for broadcast service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7187A1 (ko) * 2014-04-27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US9888271B2 (en) 2014-04-27 2018-02-0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284886B2 (en) 2014-04-27 2019-05-07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or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306277B2 (en) 2014-04-27 2019-05-2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306278B2 (en) 2014-04-27 2019-05-28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567815B2 (en) 2014-04-27 2020-02-1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666993B2 (en) 2014-04-27 2020-05-2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743044B2 (en) 2014-04-27 2020-08-1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848797B2 (en) 2014-04-27 2020-11-24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887635B2 (en) 2014-04-27 2021-01-05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939147B2 (en) 2014-04-27 2021-03-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1070859B2 (en) 2014-04-27 2021-07-2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1570494B2 (en) 2014-04-27 2023-01-31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541461A (ja) 2010-12-24
WO2009045073A3 (en) 2009-05-22
RU2496256C2 (ru) 2013-10-20
JP5392733B2 (ja) 2014-01-22
CN101919243B (zh) 2013-07-24
CN101919243A (zh) 2010-12-15
EP2201766A4 (en) 2012-01-25
EP2201766A2 (en) 2010-06-30
US20090094644A1 (en) 2009-04-09
JP4974398B2 (ja) 2012-07-11
WO2009045073A2 (en) 2009-04-09
US8400956B2 (en) 2013-03-19
JP2012165392A (ja) 2012-08-30
RU2010112861A (ru) 2011-10-10
KR101418591B1 (ko) 2014-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35359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0156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access information of broadcast service in a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KR100890037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또는 서비스 가이드프레그먼트에 대한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20180152256A1 (en) Methods for broadcast service signaling
AU20092296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ware update of termi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80048408A1 (en) Service signaling extensions
CN109964486A (zh) 广播标识符信令
US20140289721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firmware of terminals in a broadcast system
US20090254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in broadcasting system and system thereof
KR20100084107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리치미디어를 이용한 서비스 가이드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0389461B2 (en) Method for decoding a service guide
KR101230181B1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콘텍스트 송수신 방법및 장치
US20180359518A1 (en) Service list
KR20090106327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90106334A (ko) 휴대 방송 시스템에서 사용자 정의 번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