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357B1 -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 Google Patents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357B1
KR101445357B1 KR1020140095707A KR20140095707A KR101445357B1 KR 101445357 B1 KR101445357 B1 KR 101445357B1 KR 1020140095707 A KR1020140095707 A KR 1020140095707A KR 20140095707 A KR20140095707 A KR 20140095707A KR 101445357 B1 KR101445357 B1 KR 10144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gas
pipe
bubble generator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Priority to KR1020140095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1/00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 C03C21/001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 C03C21/002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diffusing ions or metals in the surface in liquid phase, e.g. molten salts, solutions to perform ion-exchange between alkali 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7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는 내부에 유리가 적재될 수 있는 퍼니스룸이 형성되며, 상기 질산칼륨용액이 채워지고, 기포가 발생되며, 내부를 가열할 수 있게 하여 내부에 적재된 유리를 강화시키는 강화로와; 상기 강화로의 상부에 형성되어 강화 시 급격한 온도차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열하고, 강화 후 서냉하는 예열로와; 강화할 유리를 효율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예열로와 강화로로 이송하기 쉽게 하는 유리적재 지그와; 상기 예열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균일한 예열과 강화를 위하여 상기 유리적재 지그를 좌우, 전후, 상하 및 회전시키는 지그구동부와; 제품을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고형화되어 붙어 있는 KNO3 염(Salt)를 세척하기 쉽게 하며 기포 발생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된 유리를 강화하기 전에는 상기 예열로에 위치하다가 강화를 시작할 때는 상기 강화로로 내려오고 강화가 끝나면 다시 상기 예열로로 올라가며, 강화공정 기간 동안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에서 일정 간격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한 기포발생부와; 상기 강화로, 예열로, 지그구동부 및 기포발생부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부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르면 강화 전공정 중 강화로 상하부에서의 K+, Na+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강화된 유리의 강화 균일도가 극대화되고,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것을 동일한 강화로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1 batch 당 최대 생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유리의 처리가 가능해지며, 공정 시작 및 온료 단계에서 액상의 상태의 KNO3 용탕에 가스분출부를 탈삽입함으로써 기포발생을 위한 기체 유입관리 및 세척 공정 등이 단순해져 총 공정 시간의 단축과 장비 유지 관리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Chemical Strengthening Furnace with Up and Down Movable Bubble Productor}
본 발명은 알카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가 포함된 일반적인 유리를 질산칼륨용액에 침지시켜 유리의 나트륨 이온을 질산칼륨 용액의 칼륨이온과 치환하여 강화유리를 만드는 화학 강화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강화방식에 의한 강화 유리의 제작시 강화로 내의 용탕에서 기포를 균일하게 발생시킴으로써 용탕 내에서 전공정 중 K+ 이온의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강화 유리의 강화 균일도 품질을 극대화하며, 기포발생기를 강화로 내부에 고정형이 아닌 자유롭게 탈삽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정의 용이성을 확보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 또는 크기의 유리 강화에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태블렛 PC 기술 발전에 따라 이들 기기에 대한 사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과거의 핸드폰이나 PC에는 일부에만 채택되었던 터치 기능이 이들 기기에서는 일반적이고도 핵심적인 요소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조만간 멀티 터치 기능이 내장된 모니터급 더 나아가 TV 급 디스플레이의 상용화가 이루어 질 것이 확실시 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인 상황에서 터치 기능이 내장된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종전의 플라스틱 기반의 디스플레이로는 이와 같은 터치기능이 내장된 디스플레이의 활용에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유리를 이용한 전면 표시창의 사용이 필수적이 되었다.
현재 스마트폰급 (3-5인치) 표시창 유리는 화학강화방법으로 표면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있다.
공정 관점에서 K+ 이온 소스(Source)를 녹이고, 약 450℃의 용융액 속에 유리를 담구고 특정 시간 동안 이온교환 반응을 가진 후 꺼내어 세척하는 단순 과정이다.
그러나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강화로의 상부와 하부 간의 K+ 이온 농도차가 발생하며 이러한 차이는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유리의 강화 정도의 차이를 가져오게 되어 불량률이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대형 유리의 경우는 동일 유리 내에서 강화 균일도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어 파괴 특성이 매우 저하되게 된다.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강화 공정 중 강화로의 상부와 하부에서 K+ 이온의 농도가 항상 같도록 해야 한다.
등록특허 10-1333289로 게시된 균일 강화유리 제작을 위한 화학 강화로 장치는 내부에 적재된 유리를 강화시키는 강화로와; 강화 시 급격한 온도차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열하고, 강화 후 서냉하는 예열로와; 강화할 유리를 효율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예열로와 강화로로 이송하기 쉽게 하는 유리적재 지그와; 상기 예열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균일한 예열과 강화를 위하여 상기 유리적재 지그를 좌우, 전후, 상하 및 회전시키는 지그구동부와; 강화공정 기간 동안 하부로부터 상부로의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부와; 상기 강화로, 예열로, 지그구동부 및 기포발생부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나 본 발명과는 상이하게 상기 기포발생부가 상기 강화로의 내부 아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기포발생부의 구조가 상이하다.
등록특허 10-1143303로 게시된 균일 강화유리 제작을 위한 화학 강화로 장치 또한 상술한 특허와 대동소이하다.
등록특허 10-1120262로 게시된 강화유리 제작을 위한 강화로 장치는 가스발생부가 없는 타입으로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학강화로는 내부에 유리가 적재될 수 있는 퍼니스룸이 형성되며, 상기 질산칼륨용액이 채워지고, 기포가 발생되며, 내부를 가열할 수 있게 하여 내부에 적재된 유리를 강화시키는 강화로와; 상기 강화로의 상부에 형성되어 강화 시 급격한 온도차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열하고, 강화 후 서냉하는 예열로와; 강화할 유리를 효율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예열로와 강화로로 이송하기 쉽게 하는 유리적재 지그와; 상기 예열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균일한 예열과 강화를 위하여 상기 유리적재 지그를 좌우, 전후, 상하 및 회전시키는 지그구동부와; 제품을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고형화되어 붙어 있는 KNO3 염(Salt)를 세척하기 쉽게 하며 기포 발생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된 유리를 강화하기 전에는 상기 예열로에 위치하다가 강화를 시작할 때는 상기 강화로로 내려오고 강화가 끝나면 다시 상기 예열로로 올라가며, 강화공정 기간 동안 하부에서 상부 및 수직파이프에서 일정 간격으로 중심쪽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기포발생부와; 상기 강화로, 예열로, 지그구동부 및 기포발생부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는 알카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가 포함된 일반적인 유리를 질산칼륨용액에 침지시켜 유리의 나트륨 이온을 질산칼륨 용액의 칼륨이온과 치환하여 강화유리를 만드는 장치로서, 내부에 유리가 적재될 수 있는 퍼니스룸이 형성되며, 상기 질산칼륨용액이 채워지고, 기포가 발생되며, 내부를 가열할 수 있게 하여 내부에 적재된 유리를 강화시키는 강화로와; 상기 강화로의 상부에 형성되어 강화 시 급격한 온도차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열하고, 강화 후 서냉하는 예열로와; 강화할 유리를 효율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예열로와 강화로로 이송하기 쉽게 하는 유리적재 지그와; 상기 예열로의 상부에 설치되어 균일한 예열과 강화를 위하여 상기 유리적재 지그를 좌우, 전후, 상하 및 회전시키는 지그구동부와; 제품을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고형화되어 붙어 있는 KNO3 염(Salt)를 세척하기 쉽게 하며 기포 발생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된 유리를 강화하기 전에는 상기 예열로에 위치하다가 강화를 시작할 때는 상기 강화로로 내려오고 강화가 끝나면 다시 상기 예열로로 올라가며, 강화공정 기간 동안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에서 일정 간격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기포발생기를 포함한 기포발생부와; 상기 강화로, 예열로, 지그구동부 및 기포발생부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기포발생부는 상기 강화로 내에서 가스가 분출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와 상기 기포발생기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로 구성된다.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예열로나 강화로 내에 위치하여 불활성가스가 분출되는 가스분출부와; 상기 가스분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가스분출부를 상기 예열로에서 상기 강화로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에서 예열로로 올리는 장치인 업다운장치부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분출부는 상부에 설치되어 불활성가스가 하부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헤드 역할을 하며, 원형으로 된 헤더파이프부와; 상기 헤더파이프부에서 일정 간격으로 하부로 다수 개 형성된 분배파이프로 가스가 분출되는 분배파이프부와; 상기 헤더파이프부와 가스공급기의 가스배관 사이의 배관으로 상기 업다운 장치부를 통과하며, 일단은 상기 헤더파이프부와 유니온이나 퀵커플링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가스배관의 플랙시블 파이프와 유니온이나 퀵커플링으로 결합되는 연결파이프부로 구성된다.
상기 헤더파이프부는 상기 분배파이프에 균일하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3개의 소스에서 각각 가스가 공급되는 3개의 헤더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파이프부는 8~12개의 분배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파이프는 상기 헤더파이프부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수직노즐이 형성된 수직파이프와; 상기 수직파이프에서 상기 강화로의 중심 방향으로 90도 밴딩되어 형성된 단관으로, 상부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수평노즐이 형성된 수평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노즐은 150mm 간격으로 형성되며 노즐직경은 1mm이고, 상기 수평노즐은 50mm 간격으로 형성되며 노즐직경은 1mm 이다.
상기 업다운 장치부는 상기 가스분출부를 상기 예열로에서 강화로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에서 예열로로 올리는 동력을 주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에서 동력을 받아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상기 가스분출부를 업 다운시키는 볼스크류부와; 상기 볼스크류부가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며, 상기 강화로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브래킷와; 상기 볼스크류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분출부와 볼스크류부를 결합시켜주고 상기 가스분출부를 지지해주며, 내부로 연결파이프부가 관통하는 탑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볼스크류부는 하부에 풀리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에서 회전력을 받은 회전축부; 상기 회전축부가 내부로 인입될 때는 하부로 내려오고 내부에서 배출될 때는 상부로 올라가는 볼스크류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공급기는 불활성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용기와; 상기 가스용기에서 상기 기포발생기의 연결파이프부까지의 가스배관과; 상기 가스배관의 압력을 조정하여 압력조절밸브와; 상기 가스배관의 가스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가스배관의 압력이 셋팅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압력조절밸브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압력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가스압력센서와; 상기 가스배관의 말단에 부착되어 상기 질산칼륨용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가스 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된다.
상술한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르면 강화 전공정 중 강화로 상하부에서의 K+, Na+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강화된 유리의 강화 균일도가 극대화되고,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것을 동일한 강화로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1 batch 당 최대 생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유리의 처리가 가능해지며, 공정 시작 및 온료 단계에서 액상의 상태의 KNO3 용탕에 가스분출부를 탈삽입함으로써 기포발생을 위한 기체 유입관리 및 세척 공정 등이 단순해져 총 공정 시간의 단축과 장비 유지 관리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예열로 내의 상부에 가스분출부가 있고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지 않았을 때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강화로 내의 하부에 가스분출부가 있고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지 않았을 때의 정면도
도 3은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예열로 내의 상부에 가스분출부가 있고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강화로 내의 하부에 가스분출부가 있고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었을 때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부 시스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상부에 있을 때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상부에 있을 때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하부에 있을 때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기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었을 때의 기포발생기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유리적재 지그 정면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예열로 내의 상부에 가스분출부가 있고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지 않았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강화로 내의 하부에 가스분출부가 있고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지 않았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예열로 내의 상부에 가스분출부가 있고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었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강화로 내의 하부에 가스분출부가 있고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부 시스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상부에 있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상부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하부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기포발생기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유리적재 지그가 안치되었을 때의 기포발생기 평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른 유리적재 지그 정면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는 알카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가 포함된 일반적인 유리를 질산칼륨용액에 침지시켜 유리의 나트륨 이온을 질산칼륨 용액의 칼륨이온과 치환하여 강화유리를 만드는 화학강화로이다.
상기 화학강화로는 내부에 유리가 적재될 수 있는 퍼니스룸이 형성되며, 상기 질산칼륨용액이 채워지고, 기포가 발생되며, 내부를 가열할 수 있게 하여 내부에 적재된 유리를 강화시키는 강화로(1)와; 상기 강화로(1)의 상부에 형성되어 강화 시 급격한 온도차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열하고, 강화 후 서냉하는 예열로(2)와; 강화할 유리를 효율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예열로(2)와 강화로(1)로 이송하기 쉽게 하는 유리적재 지그(3)와; 상기 예열로(2)의 상부에 설치되어 균일한 예열과 강화를 위하여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좌우, 전후, 상하 및 회전시키는 지그구동부(4)와; 제품을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고형화되어 붙어 있는 KNO3 염(Salt)를 세척하기 쉽게 하며 기포 발생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된 유리를 강화하기 전에는 상기 예열로에 위치하다가 강화를 시작할 때는 상기 강화로로 내려오고 강화가 끝나면 다시 상기 예열로로 올라가며, 강화공정 기간 동안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에서 일정 간격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기포발생기(51)를 포함한 기포발생부(5)와; 상기 강화로(1), 예열로(2), 지그구동부(4) 및 기포발생부(5)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6)로 구성되며, 추가로 상기 유리적재 지그를 상기 예열로(2)로 이송시키는 지그 이송장치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포발생부(5)는 상기 강화로 내에서 가스가 분출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51)와 상기 기포발생기(51)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52)로 구성된다.
상기 기포발생기(51)는 상기 예열로(2)나 강화로(1) 내에 위치하여 불활성가스가 분출되는 가스분출부(511)와; 상기 가스분출부(511)와 결합되어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상기 예열로(2)에서 상기 강화로(1)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1)에서 예열로(2)로 올리는 장치인 업다운장치부(51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화학강화로의 가동은 먼저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업더운장치부(512)를 가동하여 먼저 상기 강화로(1) 내부로 내려놓고 가스를 분출시켜 질산칼륨 용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면서, 다음에 전면도어(22)를 통하여 유리가 적재된 상기 유리적재 지그(3)을 예열로 내로 인입시킨 후 예열히터(211)를 가동하여 예열한 후 예열이 끝나면, 상기 지그구동부(4)를 구동하여 상기 유리적재 지그(3)을 상기 강화로(1) 내부로 내려 강화를 착수한다.
강화가 끝나면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상기 예열로(2)로 다시 올려 서냉한 후 냉각이 끝나면 상기 전면도어(22)를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배출하며, 필요 시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올려 세척을 시행하고, 유니온이나 퀵커플링(51112)를 풀어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연결파이프부(5113)에서 분리하여 외부로 반출하여 세척을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가스분출부(511)은 화학강화로를 가동할 때는 항상 상기 강화로(1)로 내려가 가스를 분출하는 버플링으로 질산칼륨 용액의 농도를 균일하게 하며, 화학강화로를 가동하지 않을 때나 상기 가스분출부(511)의 노즐이 막히거나 하여 세척이 필요할 때는 상부의 상기 예열로(2)로 올려 놓거나, 상부의 상기 예열로(2)로 올린 후 해체하여 세척한다.
상기 화학 강화로의 하부에는 상기 화학 강화로를 이동시키기 쉽게 하는 4개소의 캐스터(7)가 형성되며, 상기 캐스터(7)에는 일정 장소에 설치 시 움직이지 않게 하는 스토퍼(71)가 구비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 지그구동부(4)가 구성되어 유리(312)가 적재된 상기 유리적재 지그(3)가 동적인 움직을 하게 하여, 강화유리 기판 표면과 강화로 내의 양이온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단위 부피당 최대의 유리 장입이 가능함은 물론 중대형 유리의 경우는 화학강화도를 균일하게 달성함으로써 제품의 특성 향상은 물론 곡면유리, 3D유리와 같은 다양한 구조의 유리의 균일강화에 적합하고, 그라스 표면의 농도 균일도 확보가 가능하여, 아주 밀집된 배치의 유리 사이에서 양이온 농도의 균일화가 가능하여 제품 수율의 극대화할 수 있어 생산 단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강화로(1)는 내부에 강화 대상물인 유리(312)가 적재된 상기 유리적재 지그(3)이 투입되어 가열할 수 있도록 한 작업공간인 퍼니스룸(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퍼니스룸(14)는 단열을 위해 내화벽돌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강화로(1)는 보다 우수한 단열효과 및 제작 단가를 낮추기 위해 세라믹 울과 세라믹 보드를 이용하여 두 재료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제작된다.
상기 강화로(1)에는 상기 질산칼륨 용액을 가열하여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체 구간을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구성된 강화로 가열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강화로 가열부(11)는 4방 측면벽에 설치되어 측면벽으로부터 상기 질산칼륨용액에 열을 전달하는 다수 개의 측면히터(111)와; 바닥에 설치되어 하부부터 상기 질산칼륨용액에 열을 전달하는 다수 개의 저면히터(112)와; 상기 센터칼럼(14) 내부에 설치되어 중앙에서 상기 질산칼륨용액에 열을 전달하는 다수 개의 중앙히터(113)로 구성된다.
상기 강화로(1)에는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트렌스미터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강화로(1)의 상부에는 상부로의 열배출을 차단하고, 상기 예열로(2)에서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상기 예열로(2)에서 상기 강화로(1)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1)에서 상기 예열로(2)로 올릴 때 개폐하기 위한 로체도어(12)가 형성된다.
상기 로체도어(12)는 슬라이딩 도어 타입으로 상기 로체도어(12)를 강화로 상부로 밀어 넣거나 외부로 배출시켜 도어를 개폐하는 로체도어 이송장치(121)가 구비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체도어 이송장치(121)는 상기 로체도어(12)를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실린더 또는 모터 구동기구가 포함된 장치이다.
상기 지그구동부(4)는 상기 예열로(2)의 상부에 설치되어 균일한 예열과 강화를 위하여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좌우, 전후, 상하 및 회전시키는 장치이며,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좌우, 전후, 상하 이동 및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는 2개 이상의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41)의 회전수를 변경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유리적재 지그(3)와 결합하는 지그결합구(421)와, 상기 감속기(42)의 동력을 전달받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좌우 전후 상하로 이동 회전되는 회전축부(42)와; 상기 회전축부(42)의 좌우 전후 상하 이동 및 회전을 상기 제어부(6)에서 제어하기 위하여 회전각 변위 또는 직선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부(42)의 위치를 출력하기 위한 인코더로 구성된다.
상기 예열로(2)의 내측벽에는 유리적재 지그에 적재된 유리를 예열하기 위한 예열로 가열부(21)가 형성되는 구조이며, 상기 예열로 가열부(21)는 내측벽면에 유리를 예열시키기 위한 다수 개의 상부히터(211)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히터(211)는 상기 예열로(2)의 내측의 공간을 최대한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해 내측벽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열로(2)의 상부에는 강화 후 서냉 시 냉각 속도 조절 및 상기 유리적재 지그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호이스트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상부도어(23)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열로(2)의 전면에는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로딩하기 위한 전면도어(2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예열로(2)의 상기 기포발생기(51)이 설치되는 우측 측면에는 상기 기포발생기(51)의 탑지지부(5125)가 지나다닐 수 있는 좁고 기다란 슬릿오픈닝이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슬릿오프닝은 열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실링이 될 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상기 예열로(2)에는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트렌스미터가 설치되는 구조이다.
상기 제어부(6)에는 강화로 장치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가 설치되며, 상기 강화로(1)와 예열로(2)의 온도를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게 온도컨트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강화로(1)와 예열로(2)의 온도의 설정값(SV)와 지시값(PV)이 표시되고, 상기 예열시간과 강화시간을 세팅할 수 있는 타이머가 설치되며, 상기 로체도어(12) 와 전면도어(22)의 개폐 상태 표시가 표시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에 입력된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 운전되는 자동 운전 버턴이 설치되며, 비상 시 가열부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이머전시 버턴이과 상술한 사항은 기본적으로 설치되며 리셋스위치, 전원스위치, 2가지 이상의 자동 운전을 할 수 있는 자동 절환 스위치, 비상 시나 공정이 끝났을 때 경보음을 발신하는 부저나 알람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포발생기(51)의 가스분출부(511)는 제품을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고형화되어 붙어 있는 KNO3 염(Salt)를 세척하기 쉽게 하며 기포 발생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된 유리를 강화하기 전에는 상기 예열로에 위치하다가 강화를 시작할 때는 상기 강화로로 내려오고 강화가 끝나면 다시 상기 예열로로 올라가며, 강화공정 기간 동안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에서 일정 간격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킨다.
기포 발생을 위한 사용 기체는 산화성, 환원성, 불활성 등 사용자가 자유로이 선택함으로써 유리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으나, 상기 기포발생기(51)는 안정적이고 화학반응을 하지 않는 불활성기체인 아르곤가스(Ar)나 질소가스(N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부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르면 수직노즐(5112111)과 수평노즐(5112121)이 형성되어 바닥에서는 50mm 간격으로, 용액의 높이에 따라서는 150mm 간격으로 가스가 분출되므로 강화 전공정 중 강화로 상하부에서의 K+, Na+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강화된 유리의 강화 균일도가 극대화되고, 상기 가스분출부(511)가 탈부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것을 동일한 강화로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1 batch 당 최대 생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유리의 처리가 가능해지며, 공정 시작 및 온료 단계에서 액상의 상태의 KNO3 용탕에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탈삽입함으로써 기포발생을 위한 기체 유입관리 및 세척 공정 등이 단순해져 총 공정 시간의 단축과 장비 유지 관리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기포발생부(5)는 제품을 탄력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고형화되어 붙어 있는 KNO3 염(Salt)를 세척하기 쉽게 하며 기포 발생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적재된 유리를 강화하기 전에는 상기 예열로에 위치하다가 강화를 시작할 때는 상기 강화로로 내려오고 강화가 끝나면 다시 상기 예열로로 올라가며, 강화공정 기간 동안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에서 일정 간격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기포발생기(51)를 포함한다.
상기 기포발생부(5)는 상기 강화로 내에서 가스가 분출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51)와 상기 기포발생기(51)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52)로 구성된다.
상기 기포발생기(51)는 상기 예열로(2)나 강화로(1) 내에 위치하여 불활성가스가 분출되는 가스분출부(511)와; 상기 가스분출부(511)와 결합되어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상기 예열로(2)에서 상기 강화로(1)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1)에서 예열로(2)로 올리는 장치인 업다운장치부(512)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공급기(52)는 불활성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용기(521)와; 상기 가스용기(521)에서 말단에 형성된 3개 라인의 플렉시블파이프(5221)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발생기(51)의 연결파이프부(5113)까지의 가스배관(522)과; 상기 가스배관(522)의 압력을 조정하여 압력조절밸브(523)와; 상기 가스배관(522)의 가스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가스배관(522)의 압력이 셋팅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부(6)를 통해 상기 압력조절밸브(523)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압력조절밸브(523)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가스압력센서(524)와; 상기 가스배관(522)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기포발생기(51)에서 균일하게 기포가 발생하도록 3개의 라인의 플렉시블파이프(5221)로 가스를 보내기 위한 가스헤더(525)와; 가스 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밸브(526)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가스분출부(511)는 상부에 설치되어 불활성가스가 하부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헤드 역할을 하며, 원형으로 된 헤더파이프부(5111)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에서 일정 간격으로 하부로 다수 개 형성된 분배파이프(51121)로 가스가 분출되는 분배파이프부(5112)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와 가스공급기(52)의 가스배관 사이의 배관으로 상기 업다운 장치부(512)를 통과하며, 일단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와 유니온이나 퀵커플링(51112)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가스배관의 플랙시블파이프(5221)와 유니온이나 퀵커플링(51131)으로 결합되는 연결파이프부(5113)로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기포발생기는 상기 강화로(1) 내에서 가스가 분출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51)와 상기 기포발생기(51)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52)로 구성된다.
상기 기포발생기(51)는 상기 예열로(2)나 강화로(1) 내에 위치하여 불활성가스가 분출되는 가스분출부(511)와; 상기 가스분출부(511)와 결합되어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상기 예열로(2)에서 상기 강화로(1)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1)에서 예열로(2)로 올리는 장치인 업다운장치부(512)로 구성된다.
상기 가스분출부(511)는 상부에 설치되어 불활성가스가 하부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헤드 역할을 하며, 원형으로 된 헤더파이프부(5111)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에서 일정 간격으로 하부로 다수 개 형성된 분배파이프(51121)로 가스가 분출되는 분배파이프부(5112)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와 가스공급기(52)의 가스배관 사이의 배관으로 상기 업다운 장치부(512)를 통과하며, 일단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와 유니온이나 퀵커플링(51112)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가스배관의 플랙시블파이프(5221)와 유니온이나 퀵커플링(51131)으로 결합되는 연결파이프부(5113)로 구성된다.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는 상기 분배파이프(51121)에 균일하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3개의 소스에서 각각 가스가 공급되는 3개의 헤더파이프(51111)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파이프(51121)는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수직노즐(5112111)이 형성된 수직파이프(511211)와; 상기 수직파이프(511211)에서 상기 강화로(1)의 중심 방향으로 90도 밴딩되어 형성된 단관으로, 상부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수평노즐(5112121)이 형성된 수평파이프(511212)로 구성된다.
상기 업다운 장치부(512)는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상기 예열로(2)에서 강화로(1)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1)에서 예열로(2)로 올리는 동력을 주는 모터부(5121)와; 상기 모터부(5121)에서 동력을 받아 모터(5121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업 다운시키는 볼스크류부(5122)와; 상기 볼스크류부(5122)가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케이싱부(5123)와; 상기 케이싱부(5123)를 상기 강화로(1)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브래킷부(5124)와; 상기 볼스크류부(51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분출부(511)와 볼스크류부(5122)를 결합시켜주고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지지해주며, 내부로 상기 연결파이프부(5113)가 관통하는 탑지지부(5125)로 구성된다.
상기 볼스크류부(5122)는 하부에 풀리(512211)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에서 회전력을 받은 회전축부(51221); 상기 회전축부(51221)가 내부로 인입될 때는 하부로 내려오고 내부에서 배출될 때는 상부로 올라가는 볼스크류(51222)와; 상기 회전축부(51221)과 볼스크류(51222)의 말단을 지지해주는 레일(51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부(51221)의 하부에는 풀리(512211)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5121)의 풀리(51212)와 V벨트(51213)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분배파이프부(5112)는 6개의 분배파이프(51121)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노즐(5112111)은 150mm 간격으로 형성되며 노즐직경은 1mm이고, 상기 수평노즐(5112121)은 50mm 간격으로 형성되며 노즐직경은 1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배파이프(51121)에는 4개 이상의 수직노즐(5112111)과 2개의 수평노즐(5112121)이 설치되므로 상기 분배파이프(51121) 1개당 6개 이상의 노즐이 설치되며, 상기 분배파이프부(5112)는 6개의 분배파이프(51121)로 구성되므로 총 36개 이상의 노즐이 설치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유리적재 지그(3)는 강화할 유리(312)가 적재되는 유리적재부(31)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부(32)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부(32)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축부(42)의 지그결합구(421)와 체결되는 체결부재(321)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32)는 중앙이 원통형으로 비어 상기 센터칼럼(13)이 내부로 들어가 상기 강화로(1)의 노 내에 안착할 수 있고, 상기 지그구동부(4)에 의해 회전되거나 이동될 때는 상기 센터칼럼(13)과는 닿지 않아야 한다.
상기 유리적재부(31)에는 상기 프레임부(32)의 외측에 방사상 다수의 거치대(311)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311) 상에 다수의 유리(312)를 장착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유리적재 지그(3)는 유리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하기 위해 유리가 장착되는 상기 거치대(311)를 교체하거나 또는 상기 유리적재부(31) 전체를 교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유리적재부(31)의 거치대(311)와 프레임부(32)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 또는 별도의 록킹구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적재 지그(3)는 상기 전면도어(22)를 통하여 상기 예열로(2)의 내부로 반입되고, 상기 예열로(2) 상부에서 내려온 회전축부(42)의 지그결합구(421)에 체결부재(321)를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지그결합구(421)와 체결부재(321)를 결합했을 때는 상기 지그구동부(4)로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전후, 좌우, 상하 이동 및 회전시켜도 결합이 해제되거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는 결합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부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에 따르면 강화 전공정 중 강화로 상하부에서의 K+, Na+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강화된 유리의 강화 균일도가 극대화되고, 기포발생기의 가스분출부가 탈부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것을 동일한 강화로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1 batch 당 최대 생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크기나 형태의 유리의 처리가 가능해지며, 공정 시작 및 온료 단계에서 액상의 상태의 KNO3 용탕에 가스분출부를 탈삽입함으로써 기포발생을 위한 기체 유입관리 및 세척 공정 등이 단순해져 총 공정 시간의 단축과 장비 유지 관리가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1 : 강화로 11 : 강화로 가열부
111 : 측면히터 112 : 저면히터
113 : 센터히터
12 : 로체도어 121 : 로체도어 이송장치
122 : 로체도어오프닝
13 : 센터칼럼 14 : 퍼니스룸
2 : 예열로 21 : 예열로 가열부
211 : 예열히터 22 : 전면도어
221 : 전면도어 이송장지 23 : 상부도어
3 : 유리적재 지그
31 : 유리적재부 311 : 거치대
312 : 유리 32 : 프레임부
321 : 체결부재
4 : 지그구동부 41 : 구동모터
42 : 회전축부 421 : 지그결합구
5 : 기포발생부 51 : 기포발생기
511 : 가스분출부
5111 : 헤더파이프부 51111 : 헤더파이프
51112 : 유니온이나 퀵커플링 5112 : 분배파이프부
51121 : 분배파이프 511211 : 수직파이프
5112111 : 수직노즐 511212 : 수평파이프
5112121 : 수평노즐 5113 : 연결파이프부
51131 : 유니온이나 퀵커플링
512 : 업다운장치부 5121 : 모터부
51211 : 모터 512111 : 전원케이블
51212 : 풀리
51213 : V 벨트 5122 : 볼스크류부
51221 : 회전축부 512211 : 풀리
51222 : 볼스크류 51223 : 레일
5123 : 케이싱부 5124 : 브래킷부
5125 : 탑지지부
52 : 가스공급기 521 : 가스용기
522 : 가스배관 5221 : 플렉시블파이프
523 : 압력조절밸브 524 : 가스압력센서
525 : 가스헤드 526 : 개폐밸브
6 : 제어부
7 : 캐스터 71 : 스토퍼

Claims (3)

  1. 알카리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가 포함된 유리를 질산칼륨 용액에 침지시켜 유리의 나트륨 이온을 질산칼륨 용액의 칼륨이온과 치환하여 강화유리를 만드는 화학강화로에 있어서,
    상기 화학강화로는 내부에 유리가 적재될 수 있는 퍼니스룸이 형성되며, 상기 질산칼륨 용액이 채워지고, 기포가 발생되며, 내부를 가열할 수 있게 하여 내부에 적재된 유리를 강화시키는 강화로(1)와;
    상기 강화로(1)의 상부에 형성되어 강화 시 급격한 온도차로 유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열하고, 강화 후 서냉하는 예열로(2)와;
    강화할 유리를 효율적으로 장착하고 상기 예열로(2)와 강화로(1)로 이송하기 쉽게 하는 유리적재 지그(3)와;
    상기 예열로(2)의 상부에 설치되어 균일한 예열과 강화를 위하여 상기 유리적재 지그(3)를 좌우, 전후, 상하 및 회전시키는 지그구동부(4)와;
    강화를 시작할 때는 상기 강화로로 내려오고 강화가 끝나면 다시 상기 예열로로 올라가며, 강화공정 기간 동안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에서 일정 간격으로 기포를 발생시켜 양이온 교반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강화로 내에서 양이온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기포발생기(51)를 포함한 기포발생부(5)와;
    상기 강화로(1), 예열로(2), 지그구동부(4) 및 기포발생부(5)를 운전하고 제어하는 제어부(6)로 구성되는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부(5)는 상기 강화로(1) 내에서 가스가 분출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51)와, 상기 기포발생기(51)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기(52)로 구성되며,
    상기 기포발생기(51)는 상기 예열로(2)나 강화로(1) 내에 위치하여 불활성가스가 분출되는 가스분출부(511)와;
    상기 가스분출부(511)와 결합되어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상기 예열로(2)에서 상기 강화로(1)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1)에서 예열로(2)로 올리는 장치인 업다운장치부(512)로 구성되고,
    상기 가스분출부(511)는 상부에 설치되어 불활성가스가 하부로 균일하게 분배되도록 하는 헤드 역할을 하며, 원형으로 된 헤더파이프부(5111)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에서 일정 간격으로 하부로 다수 개 형성된 분배파이프(51121)로 가스가 분출되는 분배파이프부(5112)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와 가스공급기(52)의 가스배관 사이의 배관으로 상기 업다운 장치부(512)를 통과하며, 일단은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와 유니온이나 퀵커플링(51112)으로 결합되며, 타단은 가스배관의 플랙시블파이프(5221)와 유니온이나 퀵커플링(51131)으로 결합되는 연결파이프부(5113)로 구성되며,
    상기 가스공급기(52)는 불활성가스를 저장하는 가스용기(521)와;
    상기 가스용기(521)에서 말단에 형성된 3개 라인의 플렉시블파이프(5221)를 포함하며 상기 기포발생기(51)의 연결파이프부(5113)까지의 가스배관(522)과;
    상기 가스배관(522)의 압력을 조정하여 압력조절밸브(523)와;
    상기 가스배관(522)의 가스압력을 센싱하여 상기 가스배관(522)의 압력이 셋팅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어부(6)를 통해 상기 압력조절밸브(523)에 신호를 보내어 상기 압력조절밸브(523)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가스압력센서(524)와;
    상기 가스배관(522)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기포발생기(51)에서 균일하게 기포가 발생하도록 3개의 라인으로 가스를 보내기 위한 가스헤더(525)와;
    가스 공급을 개폐하는 개폐밸브(526)로 구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파이프(51121)는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에서 수직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수직노즐(5112111)이 형성된 수직파이프(511211)와;
    상기 수직파이프(511211)에서 상기 강화로(1)의 중심 방향으로 90도 밴딩되어 형성된 단관으로, 상부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의 수평노즐(5112121)이 형성된 수평파이프(511212)로 구성되고,
    상기 업다운 장치부(512)는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상기 예열로(2)에서 강화로(1)로 내리거나 상기 강화로(1)에서 예열로(2)로 올리는 동력을 주는 모터부(5121)와;
    상기 모터부(5121)에서 동력을 받아 모터(51211)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시켜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업 다운시키는 볼스크류부(5122)와;
    상기 볼스크류부(5122)가 내부에 설치되어 지지되는 케이싱부(5123)와;
    상기 케이싱부(5123)를 상기 강화로(1)의 측면에 결합시키는 브래킷부(5124)와;
    상기 볼스크류부(512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분출부(511)와 볼스크류부(5122)를 결합시켜주고 상기 가스분출부(511)를 지지해주며, 내부로 상기 연결파이프부(5113)가 관통하는 탑지지부(5125)로 구성되며,
    상기 볼스크류부(5122)는 하부에 풀리(512211)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에서 회전력을 받은 회전축부(51221);
    상기 회전축부(51221)가 내부로 인입될 때는 하부로 내려오고 내부에서 배출될 때는 상부로 올라가는 볼스크류(51222)와;
    상기 회전축부(51221)과 볼스크류(51222)의 말단을 지지해주는 레일(51223)로 구성되고,
    상기 헤더파이프부(5111)는 상기 분배파이프(51121)에 균일하게 가스를 공급하기 위하여 3개의 소스에서 각각 가스가 공급되는 3개의 헤더파이프(51111)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파이프부(5112)는 6개의 분배파이프(51121)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노즐(5112111)은 150mm 간격으로 형성되며 노즐직경은 1mm이고,
    상기 수평노즐(5112121)은 50mm 간격으로 형성되며 노즐직경은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KR1020140095707A 2014-07-28 2014-07-28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KR10144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07A KR101445357B1 (ko) 2014-07-28 2014-07-28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707A KR101445357B1 (ko) 2014-07-28 2014-07-28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5357B1 true KR101445357B1 (ko) 2014-10-02

Family

ID=5199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707A KR101445357B1 (ko) 2014-07-28 2014-07-28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3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69B1 (ko) * 2019-03-06 2019-05-07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공기공급부를 가지는 판유리 적재용 지그
KR101994320B1 (ko) * 2019-03-11 2019-09-30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생산수율이 대폭 향상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1995324B1 (ko) * 2019-03-12 2019-10-02 정창수 공기공급부를 가지는 원형 배치타입의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20220022964A (ko) * 2020-08-20 2022-03-02 (주) 엔피홀딩스 복수의 열처리 챔버를 포함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된 글라스 화학 강화 설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박형 글라스의 강화 방법
CN117534341A (zh) * 2024-01-02 2024-02-09 江苏苏钏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薄柔性玻璃加工强化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036A (ja) 2003-05-19 2004-12-02 Nishiyama Stainless Chem Kk 高強度ガラス板及びガラスの強化方法。
KR101143303B1 (ko) 2011-11-15 2012-05-1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균일 강화유리 제작을 위한 화학 강화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9036A (ja) 2003-05-19 2004-12-02 Nishiyama Stainless Chem Kk 高強度ガラス板及びガラスの強化方法。
KR101143303B1 (ko) 2011-11-15 2012-05-14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균일 강화유리 제작을 위한 화학 강화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69B1 (ko) * 2019-03-06 2019-05-07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공기공급부를 가지는 판유리 적재용 지그
KR101994320B1 (ko) * 2019-03-11 2019-09-30 주식회사 삼성플랜텍 생산수율이 대폭 향상되는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101995324B1 (ko) * 2019-03-12 2019-10-02 정창수 공기공급부를 가지는 원형 배치타입의 화학강화 유리 제조장치
KR20220022964A (ko) * 2020-08-20 2022-03-02 (주) 엔피홀딩스 복수의 열처리 챔버를 포함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된 글라스 화학 강화 설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박형 글라스의 강화 방법
KR102625134B1 (ko) 2020-08-20 2024-01-15 (주) 엔피홀딩스 복수의 열처리 챔버를 포함하여 공정 효율이 향상된 글라스 화학 강화 설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초박형 글라스의 강화 방법
CN117534341A (zh) * 2024-01-02 2024-02-09 江苏苏钏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薄柔性玻璃加工强化设备
CN117534341B (zh) * 2024-01-02 2024-03-26 江苏苏钏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薄柔性玻璃加工强化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357B1 (ko) 상·하부로 이동이 가능한 기포발생기를 갖춘 화학강화로
KR101143303B1 (ko) 균일 강화유리 제작을 위한 화학 강화로 장치
KR101333289B1 (ko) 균일 강화유리 제작을 위한 화학 강화로 장치
CN106029587B (zh) 利用化学钢化的钢化玻璃制作装置及制作方法
US81964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vitreous silica crucible
JP5294275B2 (ja) フロートガラス製造用フロート槽システム及びその冷却方法
KR101754629B1 (ko) 믹서 스윙식 부정형 내화물 유입시공기
KR101651037B1 (ko)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JP2013100196A (ja) ガラス強化装置
JP6761425B2 (ja) 溶融ガラス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17014073A (ja) シリコン融液供給装置及び方法並びにシリコン単結晶製造装置
TWI471275B (zh) A raw material supply method, a raw material supply device, and a glass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267286B2 (ja) ガラス製品製造装置
CN104370437B (zh) 一种玻璃熔窑定量脉冲鼓泡装置
KR101692525B1 (ko) 슬릿 코터용 슬릿 노즐 및 이를 사용한 약액 공급 시스템
WO2012086470A1 (ja) ガラス溶融装置、ガラス繊維製造装置およびガラス繊維製造方法
JPH03108717A (ja) シリコンウエハーの洗浄装置
EP3765413B1 (en) Vacuum refining of molten glass
JP2002128528A5 (ko)
KR101987654B1 (ko) 보온재 투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투입 방법
JP5867413B2 (ja) ガラス溶融装置、ガラス繊維製造装置及びガラス繊維製造方法
KR102184963B1 (ko) 강화유리 제조장치
KR101406464B1 (ko) 발열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화학강화로를 갖는 박판유리 강화열처리장치
WO2023100688A1 (ja) ガラス物品の製造方法
US861401A (en) Means for pouring glass directly from melting-furn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