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5066B1 -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5066B1
KR101445066B1 KR1020120138182A KR20120138182A KR101445066B1 KR 101445066 B1 KR101445066 B1 KR 101445066B1 KR 1020120138182 A KR1020120138182 A KR 1020120138182A KR 20120138182 A KR20120138182 A KR 20120138182A KR 101445066 B1 KR101445066 B1 KR 101445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argo
pipe
liquid
storage tank
intermediat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0097A (ko
Inventor
신찬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5066B1/ko
Publication of KR20140070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0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5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5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20Arrangements or systems of devices for influencing or altering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s, e.g. for damping pulsations caused by opening or closing of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8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convey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액상화물의 정확한 물리량을 계측할 수 있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는, 액상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액상화물의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장치와, 저장탱크와 계측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액상화물을 계측장치로 이송하는 제1 배관과,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중간탱크, 및 중간탱크를 통과하며 저장탱크와 계측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액상화물을 계측장치로 이송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되, 저장탱크 내의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배관을 통하여 액상화물을 이송하고,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2 배관을 통하여 액상화물을 이송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Bubble removal device of liquid cargo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액상화물의 정확한 물리량을 계측할 수 있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Natural Gas; NG)는 육상 또는 해상의 파이프라인을 통해 소비처로 운반되거나, 생산지에서 극저온으로 액화되어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최근에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FSO(Floating Storage and Off-loading)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LNG를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에 옮겨 소비처로 운반하기도 한다.
한편, LNG를 소비처에 하역할 때, LNG 수송선의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된 펌프를 이용하여 LNG를 하역한다. 펌핑(pumping)된 LNG는 계측장치를 통과시켜 하역되는 LNG의 양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가격을 책정한다. 그러나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LNG의 양이 적은 상태에서 펌핑을 하는 경우, 다수의 기포가 LNG에 섞여 LNG와 함께 계측장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하역되는 LNG의 정확한 물리량을 계측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액상화물의 정확한 물리량을 계측할 수 있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액상화물의 정확한 물리량을 계측할 수 있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는, 액상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액상화물의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장치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계측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화물을 상기 계측장치로 이송하는 제1 배관과, 상기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중간탱크, 및 상기 중간탱크를 통과하며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계측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화물을 상기 계측장치로 이송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탱크 내의 상기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배관을 통하여 상기 액상화물을 이송하고, 상기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배관을 통하여 액상화물을 이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중간탱크는, 상기 중간탱크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기포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을 처리하는 증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탱크는, 상기 중간탱크에 불활성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은,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액상화물을 중간탱크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간탱크에 저장된 상기 액상화물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액상화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탱크에 저장된 상기 액상화물을 상기 계측장치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액상화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중간탱크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중간탱크를 가압하여 상기 중간탱크로부터 상기 계측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액상화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화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기포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을 상기 증발장치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여 액상화물의 정확한 물리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제거된 기포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은 따로 처리하여 휘발성 물질이 대기 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4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는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을 하역할 때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데 사용하는 장치로, FSO나 FPSO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나 선박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가 해상 구조물이나 선박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액상화물을 하역하는 다양한 구조물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액상화물의 정확한 물리량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제거된 기포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은 따로 처리하여 휘발성 물질이 대기 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는 저장탱크(10)와, 계측장치(20)와, 저장탱크(10)와 계측장치(20)를 연결하는 제1 배관(30)과, 기포를 제거하는 중간탱크(40)와, 중간탱크(40)를 통과하여 저장탱크(10)와 계측장치(20)를 연결하는 제2 배관(50)을 포함한다.
저장탱크(10)는 액상화물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나 선박 등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액상화물은 일정한 압력과 온도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므로, 저장탱크(10)의 내부는 일정한 압력과 온도를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저장탱크(10)는 저장된 액상화물이 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이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10)의 외측이 단열재로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액상화물의 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탱크(10)의 내부에는 공급펌프(11)가 설치된다.
공급펌프(11)는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을 외부로 이송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저장탱크(10)의 바닥부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급펌프(11)는 저장탱크(10)의 바닥부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에 잔류하는 액상화물이 적은 경우에도 액상화물을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공급펌프(11)는 일 측에 제1 배관(30)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관(30)은 공급펌프(11)를 통해 펌핑된 액상화물이 이동하는 통로로, 일정한 직경을 갖는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액상화물은 제1 배관(30)을 통하여 이송된다. 제1 배관(30)의 일 측에는 제1 밸브(31)가 결합될 수 있는데, 제1 밸브(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액상화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배관(30)은 일단부가 공급펌프(11)에 결합되어 저장탱크(10) 내부에 수용되고, 타탄부는 계측장치(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배관(30)은 저장탱크(10)와 계측장치(20) 사이를 연결하여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을 계측장치(20)로 이송한다.
계측장치(20)는 저장탱크(10)로부터 이송된 액상화물의 물리량을 계측하는 장치로, 저장탱크(1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계측장치(20)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송되는 액상화물의 양을 계측할 수 있다. 그러나 계측장치(20)가 센서를 이용하여 액상화물의 양을 계측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액상화물의 양을 계측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계측장치(20)를 통과한 액상화물은 소비처로 하역된다.
한편, 제1 배관(30)의 일 측에는 제2 배관(50)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배관(50)은 액상화물이 이동하는 통로로, 제1 배관(30)과 같이 중공형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액상화물은 제2 배관(50)을 통하여 이송된다.
제2 배관(50)은 일단부가 제1 배관(30)의 일 측과 연통되고, 타단부는 계측장치(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배관(50)의 일단부가 제1 배관(30)과 연통되는 구조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배관(50)은 일단부가 저장탱크(10) 내부에 설치된 공급펌프(11)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배관(50)은 중간탱크(40)를 통과하여 저장탱크(10)와 계측장치(20) 사이를 연결하며, 액상화물을 계측장치(20)로 이송한다.
제2 배관(50)에는 제2 밸브(51)와 제3 밸브(52)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밸브(51)는 저장탱크(10)와 중간탱크(40) 사이에 설치되어 저장탱크(10)에서 중간탱크(40)로 이동하는 액상화물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52)는 중간탱크(40)와 계측장치(20) 사이에 설치되어 중간탱크(40)에서 계측장치(20)로 이동하는 액상화물의 이동을 제어한다.
중간탱크(40)는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공간으로, 저장탱크(10)와 계측장치(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탱크(40)가 설치될 수 있다. 중간탱크(40)는 내부에 일정량의 액상화물이 유입되었을 때, 내부 공간을 진공상태로 만들어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한다. 기포가 제거된 액상화물은 계측장치(20)로 이동하여 정확한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중간탱크(40)는 일 측에 진공배관(41)과 가스공급관(42)이 결합될 수 있다.
진공배관(41)은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진공압을 발생시키도록 조절할 수 있다. 진공배관(41)을 개방하여 진공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중간탱크(40)의 내부공간은 음압이 되어 액상화물 내의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가스공급관(42)은 중간탱크(40)에 불활성가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불활성가스를 제공함으로써, 폭발성이 있는 액상화물과 반응하여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가스공급관(42)과 진공배관(41)은 서로 동시에 개폐되지 않으며, 독립적으로 개폐되어 작동한다. 가스공급관(42)은 불활성가스를 제공하여 중간탱크(40)의 내부를 가압한다. 중간탱크(40)가 가압되면, 기포가 제거된 액상화물은 제2 배관(50)을 통해 원활하게 계측장치(20)로 이송되어 계측을 완료하게 된다. 가스공급관(42)은 계측장치(20)에서 요구하는 특정 압력에 따라 불활성가스를 제공하여 액상화물이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고, 도 4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는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낮은 경우, 중간탱크(40)로 이동하게 하여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장치(20)에서 액상화물의 정확한 물리량을 계측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배관(30)을 통해 액상화물을 이송한다.
저장탱크(10)는 내부에 공급펌프(11)가 설치되고, 공급펌프(11)에는 제1 배관(30)이 결합된다. 제1 배관(30)은 저장탱크(10)와 계측장치(20)를 서로 연결하며, 제1 배관(30)에는 제1 밸브(31)가 형성된다. 제2 배관(50)은 중간탱크(40)를 통과하여 저장탱크(10)와 계측장치(20)를 연결하며, 제2 배관(50)에는 제2 밸브(51)와 제3 밸브(52)가 형성된다. 중간탱크(40)에는 진공배관(41)과 가스공급관(42)이 결합된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제1 배관(30)의 제1 밸브(31)는 개방하고, 제2 배관(50)의 제2 밸브(51)와 제3 밸브(52)는 폐쇄한다. 제2 배관(50)이 폐쇄됨으로써, 액상화물은 공급펌프(11)에 의해 펌핑되어 제1 배관(30)을 통하여 이송된다. 제1 배관(30)을 통해 이송된 액상화물은 계측장치(20)로 이송되어, 물리량을 계측한 후 소비처로 하역된다.
이어서, 도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2 배관(50)을 통해 액상화물을 이송한다.
액상화물이 제1 배관(30)을 통해 이송되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S100), 제1 밸브(31)는 폐쇄하고 제2 밸브(51)를 개방한다. 제1 배관(30)이 폐쇄됨으로써, 액상화물은 공급펌프(11)에 의해 펌핑되어 제2 배관(50)을 통하여 이송된다(S110). 액상화물은 제2 배관(50)을 통하여 중간탱크(40)로 이송된다(S120).
중간탱크(40)에 일정량의 액상화물이 유입되었을 때, 제2 밸브(51)는 폐쇄하고 진공배관(41)을 개방한다(S130). 진공배관이 개방되면, 진공압이 발생하여 중간탱크(40)의 내부는 음압이 된다. 따라서 액상화물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는 쉽게 제거된다.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가 제거되면, 진공배관(41)은 폐쇄하고(S140), 가스공급관(42)과 제3 밸브(52)를 개방한다(S150). 가스공급관(42)이 개방되면, 중간탱크(40)의 내부에는 불활성가스가 유입된다.
유입된 불활성가스에 의해 중간탱크(40)의 내부는 가압되고(S160), 기포가 제거된 액상화물은 압력을 제공받아 제2 배관(50)을 통해 계측장치(20)로 이송된다(S170). 계측장치(20)로 이송된 액상화물은 물리량을 계측한 후 소비처로 하역된다. 액상화물이 이송되어 중간탱크(40)에 잔류하는 액상화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스공급관(42)과 제 3밸브(52)를 폐쇄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는 진공배관(41)에 증발장치(43)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는 진공배관(41)에 증발장치(43)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진공배관(41)에는 증발장치(43)가 결합될 수 있다.
증발장치(43)는 액상화물로부터 제거된 기포에 포함되어 있는 휘발성 물질을 처리하는 장치로, 진공배관(41)의 일 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증발장치(43)가 진공배관(41)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증발장치(43)가 결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장치(43)는 중간탱크(40)에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증발장치(43)가 설치됨으로써, 기포에 포함되어 있던 휘발성 물질이 대기 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증발장치(43)는 휘발성 물질을 연소하여 산화시키거나, 촉매를 이용하여 산화시키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물질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증발장치(43)가 휘발성 물질을 산화시켜 처리하는 방법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그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1)의 동작에 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제1 배관(30)은 폐쇄하고, 제2 배관(50)을 개방한다.
제2 밸브(51)를 개방하여 공급펌프(11)에 의해 펌핑되는 액상화물을 중간탱크(40)로 이송한다. 중간탱크(40)에 유입된 액상화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인 경우, 제2 밸브(51)는 폐쇄하고, 진공배관(41)을 개방한다. 진공배관(41)에 의해 진공압이 발생하면, 중간탱크(40)의 내부는 음압이 되어 액상화물에 포함되어 있던 기포는 제거된다. 이 때, 제거된 기포에 포함되어 있던 휘발성 물질은 증발장치(43)로 이동하여 산화 등의 방법으로 처리된다.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가 제거되면 진공배관(41)은 폐쇄하고, 가스공급관(42)과 제3 밸브(52)를 개방한다. 가스공급관(42)이 개방되어 불활성가스가 유입되면, 중간탱크(40)의 내부는 가압되어 액상화물은 계측장치(20)로 이송된다. 중간탱크(40)에 잔류하는 액상화물이 없는 경우, 가스공급관(42)과 제3 밸브(52)를 폐쇄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10. 저장탱크
11. 공급펌프 20. 계측장치
30. 제1 배관 31. 제1 밸브
40. 중간탱크 41. 진공배관
42. 가스공급관 43. 증발장치
50. 제2 배관 51. 제2 밸브
52. 제3 밸브

Claims (7)

  1. 액상화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액상화물의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장치;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계측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화물을 상기 계측장치로 이송하는 제1 배관;
    상기 액상화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중간탱크; 및
    상기 중간탱크를 통과하며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계측장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액상화물을 상기 계측장치로 이송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저장탱크 내의 상기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배관을 통하여 상기 액상화물을 이송하고, 상기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배관을 통하여 액상화물을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탱크는,
    상기 중간탱크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진공배관을 더 포함하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배관에 결합되어 상기 기포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을 처리하는 증발장치를 더 포함하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탱크는,
    상기 중간탱크에 불활성 가스를 제공하는 가스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5.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상화물의 액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액상화물을 중간탱크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중간탱크에 저장된 상기 액상화물에 진공압을 발생시켜 상기 액상화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탱크에 저장된 상기 액상화물을 계측장치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화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중간탱크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중간탱크를 가압하여 상기 중간탱크로부터 상기 계측장치로 이송되는 상기 액상화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화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다음에,
    상기 기포에 포함된 휘발성 물질을 증발장치로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KR1020120138182A 2012-11-30 2012-11-30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KR101445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182A KR101445066B1 (ko) 2012-11-30 2012-11-30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8182A KR101445066B1 (ko) 2012-11-30 2012-11-30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097A KR20140070097A (ko) 2014-06-10
KR101445066B1 true KR101445066B1 (ko) 2014-09-26

Family

ID=5112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182A KR101445066B1 (ko) 2012-11-30 2012-11-30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506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204A (ja) * 1992-09-30 1994-04-26 Fuji Oil Co Ltd 気液分離装置及び液体供給装置
JPH11301612A (ja) * 1998-04-17 1999-11-02 Toyo Seikan Kaisha Ltd 液化不活性ガス充填システム
KR100317051B1 (ko) 1999-07-28 2001-12-22 최상락 가스용기 충전소의 충전장치용 유량계
JP2002181291A (ja) 2000-12-12 2002-06-26 Iwatani Internatl Corp 自動車への液化石油ガス燃料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204A (ja) * 1992-09-30 1994-04-26 Fuji Oil Co Ltd 気液分離装置及び液体供給装置
JPH11301612A (ja) * 1998-04-17 1999-11-02 Toyo Seikan Kaisha Ltd 液化不活性ガス充填システム
KR100317051B1 (ko) 1999-07-28 2001-12-22 최상락 가스용기 충전소의 충전장치용 유량계
JP2002181291A (ja) 2000-12-12 2002-06-26 Iwatani Internatl Corp 自動車への液化石油ガス燃料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0097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3157B1 (ko) Lng선박 냉각시험 및 치환용 질소공급시스템
JP4600840B2 (ja)
CN106068418B (zh) 一种用于惰化液化燃料储气罐壁的方法和系统
RU2466075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срабатывающий при утечке аварий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опасных хим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WO2017010083A1 (ja) 液化水素移送方法
KR101445066B1 (ko)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장치 및 액상화물의 기포 제거 방법
KR200476889Y1 (ko) 카고 탱크의 가스 배출 장치
KR101826685B1 (ko) 액체화물 증발 저감 시스템 및 방법
KR101847021B1 (ko) Lng 운반선의 lng 선적 시스템 및 방법
JP2005053358A (ja) 高圧ガス貯蔵装置
KR20150125659A (ko) 액화 가스 공급용 접속 기구
KR101788744B1 (ko) 저온 가스 액화물 운반선의 기화식 하역장치 및 방법
EP2311755B1 (en) Rescue device for treating leakage of dangerous chemicals and corresponding method
US6134941A (en) Method of testing sensors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76359B1 (ko) Lngc 언로딩 시스템의 안전 장치
JP4248989B2 (ja) 高圧処理装置および高圧処理方法
JP2008045669A (ja) 円筒バルブ型三方弁
AU2015329208A1 (en) Liquefied hydrogen transferring system
CN102285504A (zh) 大型低温液态烃储罐的氮气吹扫方法
US200803081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Fill Gas to a Cargo Tank
CN113494845A (zh) 船仓干燥系统以及船仓干燥方法
JP2009161712A (ja) ガスハイドレート製造水供給設備
WO2011063962A3 (de) Transport von kryogenem gas
KR20140004355A (ko) 빌지 처리 장치
KR102393099B1 (ko) 액화천연가스 적재제어시스템 및 그 적재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