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302B1 -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4302B1 KR101444302B1 KR1020130137743A KR20130137743A KR101444302B1 KR 101444302 B1 KR101444302 B1 KR 101444302B1 KR 1020130137743 A KR1020130137743 A KR 1020130137743A KR 20130137743 A KR20130137743 A KR 20130137743A KR 101444302 B1 KR101444302 B1 KR 1014443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ck
- opening
- stiffener
- reinforcing member
- op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인방벽돌에 형성된 개구형 걸림부를 통해 인방벽돌을 보강재에 걸어주는 과정만으로 인방벽돌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빠르고 간편하게 인방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보강재 연결구를 통해 보강재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연결해줌으로써 보강재가 겹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는 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는 인방벽돌 및 상기 인방벽돌을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는 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는 인방벽돌 및 상기 인방벽돌을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방벽돌에 개구형 걸림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형 걸림부를 통해 인방벽돌을 보강재에 걸어주는 과정만으로 인방벽돌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은 건축물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외기에 대하여 건물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역할은 보온이나 통기, 차양 등이 가장 대표적인 예이다.
건축물 외벽은 내력벽, 내력벽의 내,외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단열재, 단열공간 및, 조적된 다수개의 조적부재를 갖는 외부벽돌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벽돌벽에는 창틀 설치를 위해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는 개구부 상측으로 조적되는 조적벽돌을 지지하기 위한 인방이 형성된다.
상기 인방은 외부벽돌벽의 조적부재에 접합되고 측방향으로 복수개의 중공이 형성된 복수개의 인방벽돌을 갖는다.
상기 인방벽돌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인방벽돌의 구조적인 안정 및 처짐을 방지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인방벽돌 설치구조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1266호에서와 같이 인방벽돌에 형성되는 중공에 지지바를 끼워 넣어 인방벽돌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바는 벽돌지지브래킷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인방벽돌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중공으로 지지바가 끼워지도록 설치할 경우에는, 길게 형성되는 지지바의 형태에 따라 지지바의 처짐이 발생하거나 인방벽돌의 배열상태에 따라 지지바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방벽돌을 지지바에 끼워 넣을 경우에는 지지바의 끝에서부터 인방벽돌을 끼워 넣어야 하기 때문에 인방벽돌의 설치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방벽돌에 형성된 개구형 걸림부를 통해 인방벽돌을 보강재에 걸어주는 과정만으로 인방벽돌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빠르고 간편하게 인방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보강재 연결구를 통해 보강재가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연결해줌으로써 인방벽돌을 보강재에 걸어주는 과정에서 정밀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측면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높이 방향이 길이방향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형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1개구형 걸림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2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개구형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몸체의 전방측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부로 삽입된 보강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서 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안내부를 통해 이동된 보강재가 걸려지게 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개구형 걸림부는 몸체의 후방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몸체의 상부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보강재가 걸려지게 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높이 방향이 길이방향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형 걸림부는, 몸체의 후방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보강재가 걸려질 수 있도록 삽입부의 끝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3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부측면에는 빗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물끊기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내력벽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벽돌지지브래킷을 개구부의 폭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벽돌지지브래킷 설치단계; 상기 받침판의 관통홀을 통해 보강재를 끼워 넣어 이웃하는 벽돌지지브래킷들 사이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단계; 외부측면에서 내부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는 인방벽돌을 상기 보강재에 끼워지도록 하여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인방벽돌을 설치하는 인방벽돌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방벽돌 설치단계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1개구형 걸림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2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인방벽돌을 보강재에 걸려지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 설치단계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태의 보강재 연결구의 양단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보강재가 각각 끼워지도록 하여 보강재들이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 연결구의 내부 중심에 격벽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삽입되는 보강재의 삽입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재 연결구의 중심부에서 내경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더 형성하여 보강재의 삽입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방벽돌에 개구형 걸림부를 형성하고 개구형 걸림부를 통해 보강재 상에 걸어주는 간편한 작업만으로 인방벽돌의 시공이 가능하여 빠르고 간편한 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방벽돌에 제1개구형 걸림부와 제2개구형 걸림부를 형성하여 인방벽돌이 보강재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강재 연결구를 통해 보강재를 동일 축상에 위치하도록 연결해줌으로써 정밀한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연결구를 이용하여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보강재 연결구에 격벽을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보강재 연결구에 오목부를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벽돌지지브래킷에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벽돌지지브래킷에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조적벽돌을 조적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 연결구를 이용하여 보강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보강재 연결구에 격벽을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보강재 연결구에 오목부를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벽돌지지브래킷에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벽돌지지브래킷에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조적벽돌을 조적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내력벽(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다수개의 조적벽돌(40)을 조적하여 형성되는 외부벽돌벽(10)에 있어 창이나 출입구 등을 설치하기 위해 개구부(60)가 형성되는데 이때 인방에 설치되는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100)은 높이 방향의 길이보다 길이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인방벽돌이 눕혀진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인방벽돌(100)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제1개구형 걸림부(120)와, 상기 몸체(110)의 후방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200)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2개구형 걸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개구형 걸림부(120)는 몸체(110)의 상부측면에서 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200)가 삽입되는 삽입부(121)와,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서 몸체(110)의 전방측면 방향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삽입부(121)로 삽입된 보강재(200)가 이동하게 되는 안내부(122)와, 상기 안내부(122)의 끝단에서 몸체(110)의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안내부(122)를 통해 이동된 보강재(200)가 걸려지게 되는 고정부(1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개구형 걸림부(130)는 몸체(110)의 후방측면에서 몸체(110)의 내측방향으로 개구 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200)가 걸려지게 되는 삽입부(131)와, 상기 삽입부(131)의 끝단에서 몸체(110)의 상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삽입부를 통해 삽입되어 이동된 보강재(200)가 걸려지게 되는 고정부(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실시예의 인방벽돌(100)은 외부측면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 제1개구형 걸림부(120)와 제2개구형 걸림부(130)를 통해 보강재(200)의 측면으로 끼워져 걸려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인방벽돌(100)의 설치 과정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을 향상시켜주게 된다.
즉 인방벽돌(100)을 보강재에 고정되도록 설치할 경우, 종래와 같이 보강재의 양 끝단에서부터 인방벽돌(100)을 끼워서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보강재(200)의 측면에서 제1개구형 삽입부(120)과 제2개구형 삽입부(130)을 통해 인방벽돌(100)을 걸어주는 간편한 과정만으로 인방벽돌(100)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작업이 용이하고 시공 시간을 단축시켜주게 된다.
한편 도 2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100)은 높이방향의 길이 보다 길이방향의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인방벽돌이 세워진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인방벽돌(100)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보강재(200)에 걸려질 수 있도록 몸체(110)의 전방측면에서 몸체(110)의 내측방향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삽입부(141)와, 상기 삽입부(141)를 통해 삽입된 보강재(200)가 걸려질 수 있도록 삽입부(141)의 끝단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정부(142)로 이루어진 제3개구형 걸림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100) 또한 제3개구형 걸림부(140)를 통해 보강재(200)에 걸어주는 작업만으로 간편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100)의 하부측면에는 빗물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물끊기 홈(150)이 더 형성된다.
한편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벽돌지지브래킷(300)은 내력벽(20)에 앵커(340)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앵커홀(311)이 형성되는 부착판(310)과, 상기 부착판(310)의 양측단에서 외부벽돌벽(10)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보강재(2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321)이 형성되어 있는 받침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벽돌지지브래킷(300)은 보강재(200)를 지지해줌으로써 보강재(200)에 걸려지도록 설치되는 인방벽돌(100)을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200)는 금속재 봉으로써 벽돌지지브래킷(300)에 끼워져 지지되고 개구부(6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인방벽돌(100)을 지지해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인방벽돌(100)을 이용하여 인방구조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인방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부(60)의 상부에 위치하고 개구부(60)의 폭 방향을 따라 다수의 벽돌지지브래킷(300)을 설치한다.
이후 벽돌지지브래킷(300)의 받침판(320)에 형성된 관통홀(321)을 통해 보강재(200)를 끼워 넣어 이웃하는 벽돌지지브래킷(300)들 연결하도록 보강재(200)를 설치한다.
이후 개구형 걸림부를 통해 보강재(200)에 끼워 걸려지도록 하여 개구부(60)의 폭 방향으로 다수의 인방벽돌(100)을 설치하여 완료한다.
상기 벽돌지지브래킷(300)은 부착판(310)에 형성되는 앵커홀(311)을 통해 설치되는 앵커(340)를 이용하여 내력벽(20)에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인방벽돌(100)의 설치시 제1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100)을 설치할 경우에는, 제1개구형 걸림부(120)가 전방에 위치한 보강재(200)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고, 제2개구형 걸림부(130)가 후방에 위치한 보강재(200)에 끼워져 걸려지도록 한다.
이때 인방벽돌(100)은 제1개구형 걸림부(120)의 삽입부(121)로 전방에 위치한 보강재(200)가 삽입되도록 하고 인방벽돌(10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보강재(200)가 안내부(122)로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개구형 걸림부(130)의 삽입부(131)로 후방에 위치한 보강재(200)가 삽입되도록 하며, 2개의 보강재(200)가 모두 삽입된 상태에서 제1개구형 걸림부(120)와 제2개구형 걸림부(130)의 고정부(123)(132)에 보강재(200)가 걸려지도록 한다.
이러한 인방벽돌(100)의 설치과정을 반복하면서 개구부(60)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의 인방벽돌(100)을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1개구형 걸림부(120)와 제2개구형 걸림부(130)를 통해 보강재(200)의 측면에서 인방벽돌(100)을 끼워 넣는 간편한 과정만으로 인방벽돌(100)의 시공이 완료되어 보강재(200)를 길이방향으로 끼워 넣거나 보강재(200)의 끝단에서 인방벽돌(100)을 끼워 넣는 등의 번거로움을 없애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제1개구형 걸림부(120)는 인방벽돌(100)의 상부측면에 형성되고 제2개구형 걸림부(130)는 인방벽돌(100)의 후방측면에 형성됨으로써 인방벽돌(100)이 보강(200)재 상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실시예에 의한 인방벽돌(100)을 설치할 경우에는 인방벽돌(100)의 제3개구형 걸림부(140)를 통해 보강재(200)에 걸어주는 간편한 과정만으로 인방벽돌(100)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보강재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보강재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상기 보강재(2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재(200)를 보강재 연결구(500)를 통해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면서 설치할 수 도 있다.
상기 보강재 연결구(500)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보강재(200)를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연결해줌으로서 보강재(200)에 걸려지는 인방벽돌 또한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면서 조적되어 정밀한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7 은 본 발명의 보강재 연결구에 격벽을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보강재 연결구의 내부 중심에 격벽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삽입되는 보강재의 삽입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도 8 은 본 발명의 보강재 연결구에 오목부를 더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보강재 연결구(500)의 중심부에서 내경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520)를 더 형성하여 보강재의 삽입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격벽(510) 또는 오목부(520)에 의해 보강재(200)의 삽입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2개의 보강재(200)가 동일 깊이로 삽입되어 서로 균형이 맞도록 연결되어 안정적인 이음 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벽돌지지브래킷에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벽돌지지브래킷에 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조적벽돌을 조적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인방구조체의 시공시 벽돌지지브래킷(300)의 상부에 지지플레이트(400)를 더 설치하여 인방벽돌(100) 상부에 조적되는 조적벽돌(40)들을 받쳐줄 수 도 있다.
이때 상기 벽돌지지브래킷(3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4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받침판(320)의 상부에 걸림홈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홈부(330)는 받침판(3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331)과, 상기 걸림홈(331)의 일측면에서 걸림홈(331)의 내측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3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지지플레이트(400)는 상기 걸림홈부(330)에 끼워지되, 받침판(320)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걸려질 수 있도록, 양측면에 다수의 끼움홈(4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400)를 벽돌지지브래킷(30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받침판(320)의 걸림홈부(330)에 지지플레이트(400)를 끼워 넣되, 지지플레이트(400)를 걸림홈(331)에 안착시키면서 지지플레이트(400)의 양측에 형성되는 끼움홈(411)이 걸림홈(331)의 양측벽에 끼워짐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게 지지플레이트(400)의 끼움홈(411)이 걸림홈의 양측벽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400)가 벽돌지지브래킷(300) 상에서 폭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400)의 상부면 일측이 걸림턱(332)에 걸려짐으로써 지지플레이트(400)가 걸림홈부(33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플레이트(400)는 조적벽돌(40)들의 하중이 인방벽돌(10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벽돌지지브래킷(300)을 통해 내력벽(2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400)는 받침판(320)에 형성된 걸림홈부(330)에 끼워지도록 설치되어 좌,우 방향이나, 상부방향으로 구속됨으로써 받침판(320)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이로 인해 받침판에 조적벽돌(40)을 조적할 조적벽돌(40)의 안정적인 설치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적벽돌(40)의 하중이 벽돌지지브래킷(300)을 통해 내력벽(20)에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인방벽돌(100)로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인방구조체의 크랙이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의 상부에 놓여지는 조적벽돌(40)은 지지플레이트(400)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부면 일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걸림단턱(4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외부벽돌벽 (20) : 내력벽
(30) : 인방구조체 (40) : 조적벽돌
(41) : 걸림단턱 (50) : 신축조인트
(60) : 개구부
(100) : 인방벽돌 (110) :몸체
(120) : 제1개구형 걸림부 (121) : 삽입부
(122) : 안내부 (123) : 고정부
(130) : 제2개구형 걸림부 (131) : 삽입부
(132) : 고정부 (140) : 제3개구형 걸림부
(141) : 삽입부 (142) : 고정부
(150) : 물끊기 홈 (200) : 보강재
(300) : 벽돌지지브래킷 (310) : 부착판
(311) : 앵커홀 (320) : 받침판
(321) : 관통홀 (330) : 걸림홈부
(331) : 걸림홈 (332) : 걸림턱
(340) : 앵커 (400) : 지지플레이트
(411) : 끼움홈 (500) : 보강재 연결구
(510) : 격벽 (520) : 오목부
(30) : 인방구조체 (40) : 조적벽돌
(41) : 걸림단턱 (50) : 신축조인트
(60) : 개구부
(100) : 인방벽돌 (110) :몸체
(120) : 제1개구형 걸림부 (121) : 삽입부
(122) : 안내부 (123) : 고정부
(130) : 제2개구형 걸림부 (131) : 삽입부
(132) : 고정부 (140) : 제3개구형 걸림부
(141) : 삽입부 (142) : 고정부
(150) : 물끊기 홈 (200) : 보강재
(300) : 벽돌지지브래킷 (310) : 부착판
(311) : 앵커홀 (320) : 받침판
(321) : 관통홀 (330) : 걸림홈부
(331) : 걸림홈 (332) : 걸림턱
(340) : 앵커 (400) : 지지플레이트
(411) : 끼움홈 (500) : 보강재 연결구
(510) : 격벽 (520) : 오목부
Claims (10)
-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부측면에서 내측방향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질 수 있도록 하는 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몸체는, 높이 방향이 길이방향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형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1개구형 걸림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2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방벽돌.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형 걸림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몸체의 전방측면 방향으로 형성되어 삽입부로 삽입된 보강재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에서 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안내부를 통해 이동된 보강재가 걸려지게 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개구형 걸림부는 몸체의 후방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서 몸체의 상부측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삽입부를 통해 삽입된 보강재가 걸려지게 되는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방벽돌.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부측면에는 빗물이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물끊기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방벽돌. -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내력벽에 고정되는 부착판과, 상기 부착판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폭 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받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벽돌지지브래킷을 개구부의 폭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벽돌지지브래킷 설치단계;
상기 받침판의 관통홀을 통해 보강재를 끼워 넣어 이웃하는 벽돌지지브래킷들 사이에 보강재를 설치하는 보강재 설치단계;
외부측면에서 내부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 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는 인방벽돌을 상기 보강재에 끼워지도록 하여 개구부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인방벽돌을 설치하는 인방벽돌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방벽돌을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방벽돌 설치단계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1개구형 걸림부와, 상기 몸체의 후방측면에서 몸체의 내측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보강재가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제2개구형 걸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인방벽돌을 보강재에 걸려지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방벽돌을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설치단계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태의 보강재 연결구의 양단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보강재가 각각 끼워지도록 하여 보강재들이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방벽돌을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연결구의 내부 중심에 격벽을 형성하여 양측으로 삽입되는 보강재의 삽입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방벽돌을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연결구의 중심부에서 내경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더 형성하여 보강재의 삽입 깊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방벽돌을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7743A KR101444302B1 (ko) | 2013-11-13 | 2013-11-13 |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37743A KR101444302B1 (ko) | 2013-11-13 | 2013-11-13 |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4302B1 true KR101444302B1 (ko) | 2014-09-26 |
Family
ID=5176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37743A KR101444302B1 (ko) | 2013-11-13 | 2013-11-13 |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4302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9748B1 (ko) * | 2014-12-30 | 2016-03-04 | 원도연 |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1636850B1 (ko) * | 2015-05-18 | 2016-07-06 | 최연수 |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
KR20180001181A (ko) * | 2016-06-27 | 2018-01-04 |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
KR101856484B1 (ko) | 2017-09-29 | 2018-06-19 | 유태균 | 개구부 상부 마감용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52880A (ko) | 2017-11-09 | 2019-05-17 | 최연수 |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20200008338A (ko) | 2018-07-16 | 2020-01-28 |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 벽돌벽의 상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2142230B1 (ko) * | 2019-12-31 | 2020-08-07 | 청화요업(주) | 내진용 벽돌 조적 시스템 |
KR102200978B1 (ko) * | 2019-12-31 | 2021-01-12 | 청화요업(주) | 건식 조적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건식 조적 구조 |
KR20210088891A (ko) | 2020-01-07 | 2021-07-15 | 주식회사 두라스택 | 건축물 창호 인방용 건축내장재 마감부를 구비한 인방 벽돌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6872A (ko) * | 2004-10-04 | 2004-11-17 | 전준규 | 치장벽돌의 조적구조 및 조적방법 |
KR200419962Y1 (ko) | 2006-04-19 | 2006-06-26 | 이영윤 | 내공벽돌 |
KR20100125094A (ko) * | 2009-05-20 | 2010-11-30 | 노희숙 | 건축용 블록 |
-
2013
- 2013-11-13 KR KR1020130137743A patent/KR10144430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96872A (ko) * | 2004-10-04 | 2004-11-17 | 전준규 | 치장벽돌의 조적구조 및 조적방법 |
KR200419962Y1 (ko) | 2006-04-19 | 2006-06-26 | 이영윤 | 내공벽돌 |
KR20100125094A (ko) * | 2009-05-20 | 2010-11-30 | 노희숙 | 건축용 블록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9748B1 (ko) * | 2014-12-30 | 2016-03-04 | 원도연 |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1636850B1 (ko) * | 2015-05-18 | 2016-07-06 | 최연수 |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
KR20180001181A (ko) * | 2016-06-27 | 2018-01-04 |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
KR101856484B1 (ko) | 2017-09-29 | 2018-06-19 | 유태균 | 개구부 상부 마감용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20190052880A (ko) | 2017-11-09 | 2019-05-17 | 최연수 |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20200008338A (ko) | 2018-07-16 | 2020-01-28 | 주식회사 대도벽돌시스템 | 벽돌벽의 상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2130369B1 (ko) * | 2018-07-16 | 2020-07-08 | 원지영 | 벽돌벽의 상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KR102142230B1 (ko) * | 2019-12-31 | 2020-08-07 | 청화요업(주) | 내진용 벽돌 조적 시스템 |
KR102200978B1 (ko) * | 2019-12-31 | 2021-01-12 | 청화요업(주) | 건식 조적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건식 조적 구조 |
KR20210088891A (ko) | 2020-01-07 | 2021-07-15 | 주식회사 두라스택 | 건축물 창호 인방용 건축내장재 마감부를 구비한 인방 벽돌 |
KR102322073B1 (ko) * | 2020-01-07 | 2021-11-04 | 주식회사 두라스택 | 건축물 창호 인방용 건축내장재 마감부를 구비한 인방 벽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4302B1 (ko) | 인방벽돌 및 이를 이용한 인방구조체의 시공방법 | |
KR100985829B1 (ko) | 조적식 외장벽체를 갖는 건축물의 외벽 | |
KR101448097B1 (ko) |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 |
KR101854772B1 (ko) | 정밀 시공이 가능한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 |
KR200464451Y1 (ko) | 신호등 지주용 수평지지대 | |
KR101654332B1 (ko) | 외부벽돌벽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유지보수 방법 | |
KR101599748B1 (ko) |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00313B1 (ko) |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1636850B1 (ko) | 외부벽돌벽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벽돌벽 시공방법 | |
KR101465504B1 (ko) |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 |
KR101717746B1 (ko)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 |
KR101960398B1 (ko) | 건식 쌓기형 외부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 |
KR20130003970U (ko) | 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패널 조립체 | |
KR200174943Y1 (ko) | 용접없는 커튼월 고정용 브래킷 | |
JP6336350B2 (ja) | 前枠と垂木の取付構造 | |
JP5005056B2 (ja) | 先付けサッシ | |
JP6333660B2 (ja) | 建物外部構築物の施工方法 | |
KR102095788B1 (ko) | 외장패널 설치구조 | |
KR102130369B1 (ko) | 벽돌벽의 상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96304Y1 (ko) | 낙방사다리 결합구 | |
JP6268641B2 (ja) | 農業用ハウス | |
KR101856484B1 (ko) | 개구부 상부 마감용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JP6431636B2 (ja) | 前枠と垂木の取付構造 | |
KR102606665B1 (ko) | 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200175230Y1 (ko) |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 조적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