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88B1 - 외장패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외장패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88B1
KR102095788B1 KR1020190089164A KR20190089164A KR102095788B1 KR 102095788 B1 KR102095788 B1 KR 102095788B1 KR 1020190089164 A KR1020190089164 A KR 1020190089164A KR 20190089164 A KR20190089164 A KR 20190089164A KR 102095788 B1 KR102095788 B1 KR 10209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units
exterior
fixed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중열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양중열
박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중열, 박종현 filed Critical 양중열
Priority to KR102019008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4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clamp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클립을 이용하여 외장패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 체결공정이 삭제되어 비숙련공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외장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없애 실리콘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공사기간이 대폭 단축되고 비용 또한 대폭 절감되는 외장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외벽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 클립과, 탄성 클립에 결합 걸림되는 외장패널의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클립(15)(16)은 프레임(4)의 전면부(4a)와 측면부(4b)(4c)에 고정되는 "ㄱ" 형상의 수평부(23)(24) 및 수직부(25)(26)와, 수직부(25)(26)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7)(28)와, 수평연장부(27)(28)의 끝단부에서 내향 절곡되는 경사탄지부(29)(30)와, 경사탄지부(29)(30)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부(31)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패널(19)(20)은 가장자리 부분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절곡부(39)(40)와, 절곡부(39)(4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보강부(41)(42)와, 절곡부(39)(40)와 보강부(41)(42)의 선단에 형성되는 만곡형 삽입부(43)(4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장패널 설치구조{External panel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외장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벽(또는 외벽에 고정되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탄성 클립을 이용하여 외장패널을 간편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 체결공정이 삭제되어 비숙련공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외장패널과 외장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없애 실리콘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하고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비용 또한 대폭 절감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밀집도가 높고 지가 수준이 높은 도심지 등에 건축되는 건축물들은 토지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층화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건축물은 철골 및/또는 철골 철근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먼저 시공한 후에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콘크리트 구조체를 시공하고,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에 마감재를 고정시켜 건축물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대형 건축물의 시공 방법은 날로 발전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기술발전과 더불어 대형 건축물의 외관 특히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벽을 마감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기술 또한 날로 발전해 왔다.
상기 건축용 외장재는 벽돌이나 콘크리트의 시공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미려한 외관을 달성할 수 있으며,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외장 패널, 단열재 등을 건축물 외벽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다. 상기 외장재의 재료로는 유리, 석재, 금속, 합성섬유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건물 외벽에 프레임 등을 고정시킨 후 상기 외장재를 장착하게된다.
또한, 외장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숙련된 작업자의 상당한 기술이 요구되므로 인건비가 상승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공사비용도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서로 인접하는 외장재 간에 형성되는 공간을 실리콘 등으로 실링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실리콘이 사용되는 등 시공이 복잡하여 공기가 오래 걸리며, 실리콘이 많이 사용되어 시공 단가가 상승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물의 외장패널(외장재) 설치 구조를 예시한 것으로, 앵커볼트(1)와 브라켓(2)에 의해 건축물 외벽에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4)과, 가장자리 부분에 절곡 형성되는 외장패널(5)(6)의 고정부(7)(8)와, 상기 외장패널(5)(6)의 고정부(7)(8)를 프레임(4)의 전면부에 접촉시킨 다음 복수의 스크류 또는 피스(9)(10)로 체결시켜 외장패널(5)(6)을 프레임(4)에 고정하고, 외장패널(5)과 외장패널(6) 사이에 형성되는 20㎜ 전후의 공간(11)에는 피스(9)(10)가 외부로(바깥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실리콘(12)을 충진시켜 마감 처리하게된다.
이때 고가의 실리콘(12) 충진량(소모량)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공간(11)에 저가의 보조충진재(13)인 섬유, 발포 폴리스티렌폼 등을 억지끼움한 다음 그 바깥부분에 실리콘(12)을 충진시켜 마감처리하고 있다.
상기의 종래 방법은, 외장패널(5)(6)의 고정부(7)(8)를 프레임(4)의 전면부에 접촉시켜 유동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복수의 피스(9)(10)로 체결시켜 프레임(4)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 아니라, 보조충진재(13)를 공간(11)으로 삽입시키는 공정 및 실리콘(12) 충진작업이 수반되므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초래되며, 마감 시공후 실리콘(12) 부분의 오염으로 외장패널(5)(6) 뿐 아니라 건축물의 전체 경관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외장패널(5)(6) 설치작업이 건축물 바깥의 공중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므로 숙련공이더라도 어려움이 따르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2237호(발명의 명칭: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2009. 10. 28. 특허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5937호(발명의 명칭: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2015. 05. 04. 특허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1391호(발명의 명칭: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2016. 02. 03. 특허공고)
본 발명은 탄성 클립을 이용하여 외장패널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 체결공정이 삭제되어 비숙련공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외장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없애 실리콘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하고, 공사기간이 크게 단축되며 비용 또한 대폭 절감되는 외장패널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외장패널 설치구조는, 외벽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탄성 클립과, 탄성 클립에 결합 걸림되는 외장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클립은 프레임의 전면부와 측면부에 고정되는 "ㄱ" 형상의 수평부 및 수직부와, 수직부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와, 수평연장부의 끝단부에서 내향 절곡되는 경사탄지부와, 경사탄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외장패널의 삽입부가 삽입 및 걸림되는 소정 거리의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패널은 가장자리 부분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절곡부와, 절곡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보강부와, 절곡부와 보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만곡형 삽입부와, 보강부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경사탄지부의 끝단부가 걸림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평면부를 포함한다.
삭제
상기 외장패널의 절곡부 거리(h3)는 결합부의 거리(h1) 보다 10 ~ 50% 큰 거리 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의 안쪽에 형성되고 외장패널의 삽입부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 클립의 길이는 외장패널의 한변 길이보다 1/4 ~ 1/10 짧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탄지부는 외장패널의 삽입부가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 각도(θ)는 40~60°일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의 삽입부는 상하좌우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절곡 구성하거나, 상하 가장자리 부분에만 절곡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장패널 설치구조는, 외벽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에 끼워지고 프로파일의 너트홈에 끼워진 너트에 체결되는 볼트와, 복수의 피스로 프로파일에 고정되는 탄성 클립과, 탄성 클립에 결합 걸림되는 외장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클립은, 프로파일에 고정되는 "ㄱ" 형상의 수평부 및 수직부와, 수직부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와, 수평연장부의 끝단부에서 내향 절곡되는 경사탄지부와, 경사탄지부 사이에 형성되고 외장패널의 삽입부가 삽입 및 걸림되는 소정 거리의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패널은, 가장자리 부분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절곡부와, 절곡부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보강부와, 절곡부와 보강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만곡형 삽입부와, 보강부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경사탄지부의 끝단부가 걸림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평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4)에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 클립(15)(16)을 이용하여 외장패널(19)(2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스 체결공정이 삭제되어 비숙련공도 외장패널(19)(20)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장패널(19)과 외장패널(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없애 실리콘 사용을 배제시킴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외장패널(19)(20)은 탄성 클립(15)(16)의 경사탄지부(29)(30)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29a)(30a)의 견고한 걸림구조에 의해 강한 풍압(風壓)이나 외력(外力)이 외장패널(19)(20)에 작용되더라도 외장패널(19)(20)이 탄성 클립(15)(16)이나 외벽(3)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의 복수 탄성 클립(15)(16)을 이용하여 외장패널(19)(20)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비숙련자도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비용이 절감되고 공기가 크게 단축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종래 외장패널 설치 상태 단면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탄성 클립 부분 사시도.
도 3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탄성 클립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5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6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7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8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단면도로, 이웃하는 외장패널을 접촉하기 전의 단면도.
도 9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단면도로, 이웃하는 외장패널을 접촉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10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단면도로, 접촉시킨 외장패널을 탄성 클립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사시도로, 외장패널의 상하좌우가장자리 부분에 삽입부를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
도 12 : 본 발명에서 외장패널의 상하 가장자리 부분에 삽입부를 형성한 상태의 외장패널 사시도.
도 1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단면도.
도 14 : 본 발명 다른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단면도.
도 15 : 본 발명 또 다른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단면도.
도 16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설치 상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하며,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에서 탄성 클립(15)(16)을 프레임(4)에 고정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4 ~ 도 8은 탄성 클립(15)(16)을 프레임(4)이나 프로파일(50)에 고정시킨 상태의 다양한 실시예 단면도로, 앵커볼트(1)와 브라켓(2)으로 외벽(3)에 고정되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4)의 전면부(4a)와 양측면부(4b)(4c)에 고정수단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 클립(15)(16)과, 상기 탄성 클립(15)(16)에 결합 및 걸림되는 외장패널(19)(20)을 포함한다.
상기 앵커볼트(1)는 외벽(3)에 매설되거나 고정되며, 프레임(4)은 앵커볼트(1)에 체결되는 브라켓(2)에 용접, 또는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탄성 클립(15)(16)은 프레임(4)의 전면부(4a)와 측면부(4b)(4c)에 고정되는 "ㄱ" 형상의 수평부(23)(24) 및 수직부(25)(26)와, 수직부(25)(26)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7)(28)와, 수평연장부(27)(28)의 끝단부에서 내향 절곡되는 경사탄지부(29)(30)와, 경사탄지부(29)(30) 사이에 형성되고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삽입 및 걸림되는 소정 거리(L1)의 결합부(31)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클립(15)(16)은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결합되는 결합부(31)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이며, 결합부(31)의 안쪽에는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수용되는 수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41)(42)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평면부(41a)(42a)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 클립(15)(16)은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결합부(31)로 진입할 때 경사탄지부(29)(30)가 벌어지고, 상기 삽입부(43)(44)가 결합부(31)로 완전히 진입하면 벌어졌던 경사탄지부(29)(30)가 탄성에 의해 오무려지면서 원복하여 외장패널(19)(20)의 절곡부(39)(40)의 표면을 가압 지지하게 되며, 경사탄지부(29)(30)의 끝단부(29a)(30a)는 보강부(41)(42) 후단에 형성되는 평면부(41a)(42a)에 걸림되면서 외장패널(19)(20)의 분리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상기 탄성 클립(15)(16)의 길이는 외장패널(19)(20)의 한변 길이보다 1/4 ~ 1/10 정도로 짧게 구성함으로써 프레임(4) 또는 프로파일(50)에 고정할 때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며, 이에 따라 외장패널(19)(20)의 삽입이 쉬워 비숙련자라도 간단히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2 ~ 6개의 탄성 클립(15)(16)이 외장패널(19)(20)의 한변에 결합 및 걸림되며, 본 발명에서는 도 11과 같이 설명의 편의상 2개의 탄성 클립(15)(16)으로 외장패널(19)(20)의 한변이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탄성 클립(15)(16)을 프레임(4) 또는 프로파일(5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은 수평부(23)(24) 및 수직부(25)(26)를 프레임(4)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용접, 또는 스크류 또는 피스(35)(36)(37)(38), 또는 접착제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 클립(15)(16)을 프레임(4)에 용접 고정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5, 도 6은 탄성 클립(15)(16)을 복수의 피스(35)(36)(37)(38)를 이용하여 프레임(4)에 고정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프레임(4) 대신 경량 골재인 프로파일(50)을 이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50)의 경우 복수의 피스(37)(38)를 이용하여 탄성 클립(15)(16)을 고정한 것이다.
상기 프로파일(5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통공(51)과, 개방부(52)를 갖는 너트홈(53)이 복수로 형성되며, 도 15와 같이 브라켓(2)에 끼워지는 볼트(55)를 너트홈(53)에 끼워진 너트(54)에 체결하면 프로파일(50)이 외벽(3)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탄성 클립(15)(16)의 수평부(23)(24)와 수직부(25)(26)에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피스(35)(36)(37)(38)가 결합되는 복수의 통공(23a)(24a)(25a)(26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경사탄지부(29)와 경사탄지부(30)는 프레임(4) 방향으로 대칭 경사지도록 구성되어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억지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 거리(L1)를 갖는 결합부(31)가 형성되며,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분리되지 않는 기울기의 경사 각도(θ)가 유지되며, 상기 각도(θ)는 45°전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60°일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는 도 11과 같이 상하좌우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절곡 구성하거나, 도 12와 같이 중력 작용을 감안하여 상하 가장자리 부분에만 절곡 구성하여 외장패널(19)(20)의 상하 가장자리 부분 위주로 지지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외장패널(19)(20)은 가장자리 부분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절곡부(39)(40)와, 절곡부(39)(40)의 내측 방향으로 360°절곡되어 접하는 보강부(41)(42)와, 절곡부(39)(40)와 보강부(41)(42)의 선단에 형성되는 만곡형 삽입부(43)(44)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3)과 외장패널(19)(20) 사이에는 단열재가 시공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는 외장패널(19)(20)의 가장자리 부분에 직각으로 절곡되며, 물론 미관을 위하여 다단으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외장패널(19)(20)을 탄성 클립(15)(16)에 결합할 때, 도 8과 같이 떨어져 있는 외장패널(19)(20)의 접촉면(39a)(40a)을 도 9와 같이 서로 접촉시킨 다음 도 10과 같이 경사탄지부(29)(30) 사이의 결합부(31)로 밀어 넣어 삽입함으로써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탄성 클립(15)(16)에 결합 및 걸림된다.
즉,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결합부(31)로 진입할 때 경사탄지부(29)(30)가 벌어지고, 상기 삽입부(43)(44)가 결합부(31)로 완전히 진입하면 벌어졌던 경사탄지부(29)(30)가 탄성에 의해 오무려지면서 원복하여 외장패널(19)(20)의 절곡부(39)(40)의 표면을 가압 지지하게 되며, 경사탄지부(29)(30)의 끝단부(29a)(30a)는 보강부(41)(42) 후단에 형성되는 평면부(41a)(42a)에 걸림되면서 외장패널(19)(20)의 분리가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완고한 형태이다.
본 발명에서 도 9와 같이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탄성 클립(15)(16)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접촉된 외장패널(19)(20)의 절곡부(39)(40) 거리(또는 두께)(h3)는 결합부(31)의 거리(h1)와 같거나, 결합부(31)의 거리(h1)보다 10 ~ 50% 큰 거리로 구성함으로써 경사탄지부(29)(30)의 끝단부(29a)(30a)가 탄성력에 의해 절곡부(39)(40)의 표면을 압지하게 되며, 외장패널(19)(20)의 보강부(41)(42) 후단에 형성되는 평면부(41a)(42a)는 경사탄지부(29)(30)의 끝단부(29a)(30a)에 걸림되므로 외장패널(19)(20)의 분리가 방지된다. 상기 삽입부(43)(44)의 거리(h2)는 결합부(31) 거리(h1)의 약 2배이다.
상기 수평연장부(27)(28)와 경사탄지부(29)(30) 사이에는 공간부(47)(48)가 형성되어 있어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삽입될 때 상기 공간부(47)(48)에 의해 경사탄지부(29)(30)가 쉽게 이동하면서(결합부가 벌어지는 방향)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쉽게 삽입되며, 삽입부(43)(44)의 삽입이 완료되면 변형되었던 공간부(47)(48)가 복원되면서 외장패널(19)(20)의 견고한 결합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프레임(4)에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 클립(15)(16)에 의해 외장패널(19)(20)이 간편하게 설치되므로 종래와 같은 피스 체결공정이 삭제되어 비숙련자라도 외장패널(19)(20)을 쉽게 설치할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은 외장패널(19)과 외장패널(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없어지므로, 실리콘 사용이 배제되어 작업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해진다.
본 발명의 외장패널(19)(20)은 복수의 탄성 클립(15)(16)에 의해 견고한 결합과 걸림이 유지되므로 강한 풍압(風壓)이나 외력(外力)이 작용되더라도 외장패널(19)(20)이 탄성 클립(15)(16)이나 외벽(3)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탄성 클립(15)(16)은 탄성에 의해 외장패널(19)(20)의 견고한 결합과 지지가 유지되며, 구성이 간단하여 전체 비용이 절감되고 공기가 크게 단축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앵커볼트 (2)--브라켓
(3)--외벽 (4)--프레임
(4a)--전면부 (4b)(4c)--측면부
(15)(16)--탄성 클립 (19)(20)--외장패널
(23)(24)--수평부 (23a)(24a)(25a)(26a)--통공
(25)(26)--수직부 (27)(28)--수평연장부
(29)(30)--경사탄지부 (31)--결합부
(32)--수용부 (35)(36)(37)(38)--피스
(39)(40)--절곡부 (41)(42)--보강부
(41a)(42a)--보강부 (43)(44)--삽입부
(47)(48)--공간부 (50)--프로파일
(51)--통공 (52)--개방부
(53)--너트홈 (54)--너트
(55)--볼트 (L1)(L2)(L3)--거리
(θ)--경사 각도

Claims (7)

  1. 외벽(3)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프레임(4);
    상기 프레임(4)에 소정 간격으로 대칭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 클립(15)(16);
    상기 탄성 클립(15)(16)에 결합 걸림되는 외장패널(19)(20);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클립(15)(16)은,
    상기 프레임(4)의 전면부(4a)와 측면부(4b)(4c)에 고정되는 "ㄱ" 형상의 수평부(23)(24) 및 수직부(25)(26);
    상기 수직부(25)(26)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7)(28);
    상기 수평연장부(27)(28)의 끝단부에서 내향 절곡되는 경사탄지부(29)(30);
    경사탄지부(29)(30) 사이에 형성되고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삽입 및 걸림되는 소정 거리(L1)의 결합부(31); 를 포함하고,
    상기 외장패널(19)(20)은,
    가장자리 부분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절곡부(39)(40);
    상기 절곡부(39)(4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보강부(41)(42);
    상기 절곡부(39)(40)와 보강부(41)(42)의 선단에 형성되는 만곡형 삽입부(43)(44);
    상기 보강부(41)(42)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경사탄지부(29)(30)의 끝단부(29a)(30a)가 걸림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평면부(41a)(42a);
    를 포함하는 외장패널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사탄지부(29)(30)의 경사 각도(θ)는 40~60°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설치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외장패널(19)(20)의 절곡부 거리(h3)는 결합부의 거리(h1) 보다 10 ~ 50% 큰 거리 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설치구조.
  6. 외벽(3)에 고정되는 브라켓(2);
    브라켓(2)에 끼워지고 프로파일(50)의 너트홈(53)에 끼워진 너트(54)에 체결되는 볼트(55);
    복수의 피스(37)(38)로 프로파일(50)에 고정되는 탄성 클립(15)(16);
    탄성 클립(15)(16)에 결합 걸림되는 외장패널(19)(20);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클립(15)(16)은,
    프로파일(50)에 고정되는 "ㄱ" 형상의 수평부(23)(24) 및 수직부(25)(26);
    수직부(25)(26)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27)(28);
    수평연장부(27)(28)의 끝단부에서 내향 절곡되는 경사탄지부(29)(30);
    경사탄지부(29)(30) 사이에 형성되고 외장패널(19)(20)의 삽입부(43)(44)가 삽입 및 걸림되는 소정 거리(L1)의 결합부(31); 를 포함하고,
    외장패널(19)(20)은,
    가장자리 부분에 직각으로 형성되는 절곡부(39)(40);
    절곡부(39)(4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보강부(41)(42);
    절곡부(39)(40)와 보강부(41)(42)의 선단에 형성되는 만곡형 삽입부(43)(44);
    보강부(41)(42)의 끝부분에 형성되고 경사탄지부(29)(30)의 끝단부(29a)(30a)가 걸림되어 분리가 방지되는 평면부(41a)(42a);
    를 포함하는 외장패널 설치구조.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탄성 클립(15)(16)의 길이는 외장패널(19)(20)의 한변 보다 1/4~1/10 짧게 구성하여 외장패널(19)(20)의 삽입이 쉽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패널 설치구조.
KR1020190089164A 2019-07-23 2019-07-23 외장패널 설치구조 KR10209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64A KR102095788B1 (ko) 2019-07-23 2019-07-23 외장패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164A KR102095788B1 (ko) 2019-07-23 2019-07-23 외장패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788B1 true KR102095788B1 (ko) 2020-04-01

Family

ID=7027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164A KR102095788B1 (ko) 2019-07-23 2019-07-23 외장패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7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346U (ko) * 2008-01-16 2009-07-21 송주근 패널조립체
KR20090112237A (ko) 2008-04-24 2009-10-28 권화숙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KR101515937B1 (ko) 2014-12-12 2015-05-04 백승웅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KR101591391B1 (ko) 2015-11-25 2016-02-03 (주)한은이앤씨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346U (ko) * 2008-01-16 2009-07-21 송주근 패널조립체
KR20090112237A (ko) 2008-04-24 2009-10-28 권화숙 건축물 외장재 고정장치
KR101515937B1 (ko) 2014-12-12 2015-05-04 백승웅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KR101591391B1 (ko) 2015-11-25 2016-02-03 (주)한은이앤씨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320B1 (ko) 건축물의 테라코타 패널 고정장치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KR102212515B1 (ko) 오메가홈 하지 멀리언 및 접합클립으로 구성된 테라코타 세라믹 패널용 내진 하지철물 유닛 및 그의 시공방법
CA2979613C (en) Ventilated facade
KR101939180B1 (ko) 건물 벽체용 내외부 단열재 및 외장패널의 일체화 시공방법 및 그 일체화 된 벽체구조
KR101874580B1 (ko) 커튼월의 연결구조
KR100964509B1 (ko) 건축용 커튼월 구조
JP4520684B2 (ja) 建築用外装材を用いた建造物
KR20140022946A (ko) 건물용 외장 패널 고정용 고정수단 및 그 고정수단을 이용한 외장 패널 시공 방법
KR102095789B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KR101566325B1 (ko) 건축물용 알루미늄 단열 하지틀 및 설치방법
KR101717746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2095788B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JP2010095956A (ja) 外断熱パネルおよび外断熱構造
KR101842150B1 (ko) 시공성이 향상된 패널 고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10255234A (ja) 壁材留具
JP505874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構築体
KR101993905B1 (ko) 외장 일체형 구조 패널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JP5303722B2 (ja) 天井パネル固定装置
KR20200142352A (ko)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102431460B1 (ko) 마감재 건식 시공 시스템
JP3559124B2 (ja) ランナー固定金具の取付構造
KR102051344B1 (ko) 다목적 커튼월용 외부구조체
KR101954571B1 (ko) 테라코타 외장패널 설치용 연결하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테라코타 외장패널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