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245B1 -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245B1
KR101444245B1 KR1020140032804A KR20140032804A KR101444245B1 KR 101444245 B1 KR101444245 B1 KR 101444245B1 KR 1020140032804 A KR1020140032804 A KR 1020140032804A KR 20140032804 A KR20140032804 A KR 20140032804A KR 101444245 B1 KR101444245 B1 KR 101444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information
apparatuses
yield r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비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비엠
Priority to KR102014003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23K11/25Monitoring devices
    • B23K11/252Monitoring devices using digit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23K9/1043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circuit
    • B23K9/1056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circuit by using digital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00Metal working
    • Y10S29/013Method or apparatus with 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자동차 부품을 용접하는 다수의 용접 장치 각각에서 실시되는 용접 진행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측정한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작업 별, 용접 작업 시간 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외부에 표시하는 모니터링 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VEHICLE WELDING INSPECTION SYSTEM AND VEHICLE WELDING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용접 장치들에서 실시되는 용접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보 및 저장함과 아울러, 각 용접 장치에서 실시되는 용접 불량 여부를 판정 및 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은 2가지 고체 재료 사이에 직접 원자간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여 접합시키는 것으로서, 금속 재료를 접합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대략 2만 내지 3만 개가 넘는 부품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경우 용접에 의한 결합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용접에 결함이 있는 경우 운전자의 안전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통상, 자동차 외장 및 프레임을 용접하는 데에는 스팟 용접 및 아크 용접을 사용한다.
또한, 자동차 제조 라인에서는 다수의 용접기를 사용하여 용접 공정을 실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용접의 품질을 검사하기 위해 회전판 위에 용접 검사 대상물을 안착시킨 상태로 그 회전판을 회전시키면서 검사 대상물의 용접부를 비파괴 방식의 검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용접 품질 검사 장치들은 회전판에 안착되는 용접 검사 대상물이 제품별로 치수 오차가 있거나 그 회전판에 비정상적인 자세로 불량하게 안착된 경우, 시스템 자체에서 이를 인지 및 감안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용접부의 양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검사 대상물의 치수 오차 또는 틀어짐으로 인해 용접부의 판정에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검사는 다수의 용접기를 통해 장시간 동안 용접 공정이 진행되는 자동차 제조 라인에서 실시간으로 용접 품질을 모니터링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56600호(2009.06.03)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용접 품질 검사 시스템 및 그 검사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종 및 모델별, 작업 시간대 별로 다수의 용접 장치에서 실시되는 용접 데이터를 확보 및 저장하여 각 용접 장치 별 용접 이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용접 장치 각각에서 실시되는 용접 불량 여부 결과를 저장하고, 용접 양품 및 불량율을 데이터화하여 양품율이 상승되는 비율이 높아지도록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자동차 부품을 용접하는 다수의 용접 장치 각각에서 실시되는 용접 진행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측정한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작업 별, 용접 작업 시간 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외부에 표시하는 모니터링 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접 진행 정보는, 전류, 전압, 용접 열량, 가스 유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 부는,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저장하여 트랜드 정보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트랜드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 트랜드 정보와 비교하여, 용접 양품 및 불량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결정하고, 결정딘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로 이력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력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양품율과, 용접 불량율을 산출하고, 상기 용접 불량율이 높은 순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배치 순서 정보를 재설정하고, 상기 용접 양품율이 기설정된 기준 양품율을 이루도록 재설정된 상기 배치 순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 양품율이 기설정된 기준 양품율을 이루도록 재설정된 상기 배치 순서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전체 작동 시간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측정부를 사용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자동차 부품을 용접하는 다수의 용접 장치 각각에서 실시되는 용접 진행 정보를 측정하는 용접 진행 정보 측정 단계; 및 모니터링 부를 사용하여 측정한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작업 별, 용접 작업 시간 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외부에 표시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용접 진행 정보는, 전류, 전압, 용접 열량, 가스 유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제어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저장하여 트랜드 정보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트랜드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 트랜드 정보와 비교하여, 용접 양품 및 불량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로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부를 사용하여 생성된 상기 이력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양품율과, 용접 불량율을 산출하고, 상기 용접 불량율이 높은 순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배치 순서 정보를 재설정하고, 상기 용접 양품율이 기설정된 기준 양품율을 이루도록 재설정된 상기 배치 순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고,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상태를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접 양품율이 기설정된 기준 양품율을 이루도록 재설정된 상기 배치 순서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전체 작동 시간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에 대한 작동 시간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접은 스팟 용접 또는 아크 용접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종 및 모델별, 작업 시간대 별로 다수의 용접 장치에서 실시되는 용접 데이터를 확보 및 저장하여 각 용접 장치 별 용접 이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용접 장치 각각에서 실시되는 용접 불량 여부 결과를 저장하고, 용접 양품 및 불량율을 데이터화하여 양품율이 상승되는 비율이 높아지도록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을 제어하여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의 구성을 참조 하여,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는 크게 다수의 용접 장치에서의 용접 진행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200)와, 모니터링 부(300)로 구성된다.
용접 장치 (100)
본 발명에 따르는 용접 장치(100)는 다수로 구비된다. 다수의 용접 장치(100)는 호기별 용접 로봇이다.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100) 각각은 적어도 둘 이상의 자동차 부품을 용접 하는 장치이다. 상기 용접의 방식은 스팟 용접 또는 아크 용접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 부품은 차량의 외장 및 프레임을 형성하는 부품일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용접 방식 이외에, 자동차 부품을 용접하는 다른 모든 방식의 용접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100) 각각은 설정되는 용접 조건을 기준으로 용접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용접 조건은, 용접에 투입되는 전류값, 용접 시간과 같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진행 정보는 상기 전류값, 가스 유량, 용접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 (200)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200)는 다수의 용접 장치에 개별적으로 구비되거나, 전기적 신호를 취득할 수 있도록 용접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00)는 각각의 용접 장치(100)에서 실시되는 용접 진행 정보를 취득한다.
예컨대, 상기 측정부(200)가 전류 측정기인 경우,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의 전류값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200)가 타이머인 경우,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의 작업 시간을 측정하고, 가스 유량기인 경우,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에 소요되는 가스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측정부(200)는 전류 측정기 및 타이머, 가스 유량기를 모두 포함하여, 전류값 및 작업 시간, 가스 유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와 같이 측정되는 용접 진행 정보를 후술되는 제어부(300)로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전송한다.
모니터링 부 (300)
본 발명에 따르는 모니터링 부(300)는 크게 제어부(310)와, 저장부(320)와, 표시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310)는 용접이 진행되는 동안 다수의 용접 장치(100) 각각의 이력 정보를 생성 및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용접의 양품율을 상승시키기 위해, 다수의 용접 장치(10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고, 이의 배치 순서 정보를 재설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어부(310)는 용접의 양품률을 상승시키기 위해, 다수의 용접 장치(100)의 작동 시간을 재설정하는 기능도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320)는 메모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310)로부터 상기 이력 정보 및 재설정된 배치 순서 정보, 재설정되는 용접 장치들(100)의 작동 시간에 대한 정보를 받아 저장한다.
이 저장된 정보는 무선 또는 유선랜을 사용하여 원거리의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3은 자동차용접 품질검사결과의 일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은 용접 진행 측정 단계와, 모니터링 단계 순으로 진행된다.
용접 장치 배치 단계
다수의 용접 장치들(100)을 배치한다.
제어부(310)를 사용하여 각 용접 장치들(100)에서의 초기 용접 조건을 설정한다. 상기 초기 용접 조건은, 전류값, 가스 유량 및 작동 시간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310)를 사용하여 기준 트랜드 정보와, 기준 양품율과, 배치순서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기준 트랜드 정보는 전류값을 기준으로 하면, 전류값 트랜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양품율은 각 용접 장치(100)에서 용접되는 결과 중, 자동차 부품이 설정된 기준 이상을 이루는 경우를 양픔이라 한다.
용접 단계
이어, 각 용접 장치들(100)을 사용하여 호기별로 자동차 부품을 용접하도록 한다.
모니터링 단계
본 발명에 따르는 측정부(200)는 각 용접 장치(100)에서의 용접 진행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상기 용접 진행 정보가 전류값인 경우, 측정기는 전류 측정기로써, 용접시 발생되는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310)로 전송한다.
이어,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에서 측정되는 용접 진행 정보를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트랜드 정보로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 별로, 산출된 트랜드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 트랜드 정보와 일치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상기에서 일치되는 경우, 용접 양품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 별 양품율을 산출하고, 이를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상기 각 용접 장치(100) 별 양품율은 이력 정보로서, 저장부(320)에 저장되고, 표시부(330)를 통해 외부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이어,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 별 용접 양품율이 기준 양품율과 크거나 같은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상기에서, 용접 양품율이 기준 양품율과 크거나 같으면, 배치 순서 정보의 재설정없이 용접 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어부(310)는 상기에서 일치되지 않는 경우, 용접 불량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 별 불량율을 산출하고, 이를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상기 각 용접 장치(100) 별 불량율은 이력 정보로서, 저장부(320)에 저장되고, 표시부(330)를 통해 외부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이어,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 별 용접 불량율이 기준 양품율 이하를 이루는 해당 용접 장치(1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어, 제어부(310)는 작동이 중지되지 않은 용접 장치들(100)만을 선정하고, 양품율 순으로 배치되도록 배치 순서 정보를 재설정 및 재설정된 배치 순서 정보를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기준 양품율을 이룰 수 있는 용접 장치만을 선별 및 배치하여, 용접 공정을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용접 품질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예컨대, 단순 전류값 만으로 가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 시간 동안의 트랜드 정보를 산출하여 기준 트랜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용접 결과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5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결과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표이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 별 용접 양품율이 기준 양품율과 크거나 같은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10)는 상기에서, 용접 양품율이 기준 양품율과 크거나 같으면, 작동 시간의 재설정없이 용접 장치(310)의 작동 시간을 유지한다.
한편, 제어부(310)는 상기에서 일치되지 않는 경우, 용접 불량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 별 불량율을 산출하고, 이를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상기 각 용접 장치(100) 별 불량율은 이력 정보로서, 저장부(320)에 저장되고, 표시부(330)를 통해 외부에 가시적으로 표시된다.
이어, 제어부(310)는 각 용접 장치(100) 별 용접 불량율이 기준 양품율 이하를 이루는 해당 용접 장치(100) 및, 기준 양품율 이상을 이루는 해당 용접 장치(100) 모두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어, 제어부(310)는 용접 장치(100) 별 작동 시간을 양품율이 높은 순으로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작동 시간을 용접 장치(100) 별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한다.
여기서, 각 용접 장치들(100)의 작동 시간을 용접 양품율과 비례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전체 용접 장치에서, 상대적으로 용접 양품율이 높은 순으로 작동 시간을 재설정함으로서, 기준 양품율 이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은 기준 양품율 이상의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 보다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게 되어, 결국 용접의 품질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용접이 완료되면 용접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기준 양품율을 이룰 수 있는 용접 장치만을 선별 및 배치하여, 용접 공정을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용접 품질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예컨대, 단순 전류값 만으로 가부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 시간 동안의 트랜드 정보를 산출하여 기준 트랜드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용접 결과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용접 장치
200 : 측정부
300 : 모니터링 부
310 : 제어부
320 : 저장부
330 : 제어부
340 : 표시부

Claims (11)

  1.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자동차 부품을 용접하는 다수의 용접 장치 각각에서 실시되는 용접 진행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측정한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작업 별, 용접 작업 시간 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외부에 표시하는 모니터링 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진행 정보는, 전류, 전압, 용접 열량, 가스 유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부는,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저장하여 트랜드 정보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트랜드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 트랜드 정보와 비교하여, 용접 양품 및 불량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로 이력 정보로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이력 정보를 외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양품율과, 용접 불량율을 산출하고,
    상기 용접 양품율이 기설정된 기준 양품율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배치 순서 정보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상기 배치 순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접 양품율이 기설정된 기준 양품율을 이루도록 재설정된 상기 배치 순서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전체 작동 시간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6. 측정부를 사용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자동차 부품을 용접하는 다수의 용접 장치 각각에서 실시되는 용접 진행 정보를 측정하는 용접 진행 정보 측정 단계; 및
    모니터링 부를 사용하여 측정한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작업 별, 용접 작업 시간 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외부에 표시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진행 정보는, 전류, 전압, 용접 열량, 가스 유량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제어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접 진행 정보를 설정된 기준 시간 동안 저장하여 트랜드 정보로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트랜드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 트랜드 정보와 비교하여, 용접 양품 및 불량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로 이력 정보를 생성하고, 표시부를 사용하여 생성된 상기 이력 정보로 외부에 표시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계에서,
    상기 판단 결과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 별 용접 양품율과, 용접 불량율을 산출하고,
    상기 용접 양품율이 기설정된 기준 양품율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배치 순서 정보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상기 배치 순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고,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여부에 대한 작동 상태를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를 사용하여,
    상기 용접 양품율이 기설정된 기준 양품율을 이루도록 재설정된 상기 배치 순서 정보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전체 작동 시간을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용접 장치의 작동 시간에 대한 작동 시간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사용하여 외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접 품질검사방법.
  11. 삭제
KR1020140032804A 2014-03-20 2014-03-20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KR101444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804A KR101444245B1 (ko) 2014-03-20 2014-03-20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804A KR101444245B1 (ko) 2014-03-20 2014-03-20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4245B1 true KR101444245B1 (ko) 2014-09-26

Family

ID=51761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804A KR101444245B1 (ko) 2014-03-20 2014-03-20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2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107B1 (ko) * 2019-11-04 2020-12-24 풍기산업주식회사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멤버의 용접 열변형 비젼검사 공정관리 방법
KR20210059063A (ko) * 2019-11-13 2021-05-25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스폿 용접 시스템의 실시간 용접 품질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114859A (ko) * 2021-02-09 2022-08-17 광명산업(주) 용접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용접 품질 모니터링 방법
KR102658479B1 (ko) 2023-04-21 2024-04-17 주식회사 파이미디어랩 품질 검사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012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디와이전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용접기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012A (ko) *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디와이전기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용접기 및 이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107B1 (ko) * 2019-11-04 2020-12-24 풍기산업주식회사 자동차용 카울 크로스 멤버의 용접 열변형 비젼검사 공정관리 방법
KR20210059063A (ko) * 2019-11-13 2021-05-25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스폿 용접 시스템의 실시간 용접 품질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87540B1 (ko) * 2019-11-13 2021-08-10 주식회사 파로시스템 스폿 용접 시스템의 실시간 용접 품질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114859A (ko) * 2021-02-09 2022-08-17 광명산업(주) 용접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용접 품질 모니터링 방법
KR102586206B1 (ko) 2021-02-09 2023-10-06 광명산업(주) 용접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용접 품질 모니터링 방법
KR102658479B1 (ko) 2023-04-21 2024-04-17 주식회사 파이미디어랩 품질 검사 서버 및 이의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892B2 (en) Automatic weld arc monitoring system
KR101444245B1 (ko)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자동차용접 품질검사장치
US9015173B2 (en) Spot weld data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AU2007338858B2 (en) Welding job sequencer
US62360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weld quality
US20150051728A1 (en) Detecting method of abnormality of machine tool operation
JP2017106908A (ja) 溶接部の自動インプロセス検査のためのシステム
JP2013184225A (ja) 抵抗溶接のモニタリング装置及びその方法とシステム
US20150330952A1 (en)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Integrity of Stack During Ultrasonic Welding
KR101758900B1 (ko) 스폿용접장치에서의 용접팁 품질검사시스템
KR101642807B1 (ko) 스폿 용접의 품질 판정 방법
US10010978B2 (en) Determination of a quality of an aluminum weld
JP2012173182A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CN105290595A (zh) 焊接控制机构和用于监视焊接工具清洁的方法以及用于操纵焊接工具的装置
US20200276674A1 (en) Wel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613573B1 (ko) 용접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용접 제어 방법
KR20150144138A (ko) 링 프로젝션 용접의 용접품질 평가방법
JP5530912B2 (ja) スポット溶接装置における溶接条件の設定方法
KR20170134937A (ko) 자동차 스팟용접작업 메뉴얼
CN116900541A (zh) 焊接质量检测方法和装置
KR101584421B1 (ko) 아크 용접 모니터링 시스템
JP5869625B2 (ja) スポット溶接ロボットガンの電極研磨検査装置
JP2001353579A (ja) 溶接品質良否判定装置
US11167378B1 (en) Techniques for determining weld quality
KR20150088560A (ko) 용접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