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232B1 -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232B1
KR101444232B1 KR1020120030592A KR20120030592A KR101444232B1 KR 101444232 B1 KR101444232 B1 KR 101444232B1 KR 1020120030592 A KR1020120030592 A KR 1020120030592A KR 20120030592 A KR20120030592 A KR 20120030592A KR 101444232 B1 KR101444232 B1 KR 10144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yal jelly
bee venom
skin
presen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826A (ko
Inventor
한상미
이광길
박관규
조윤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03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23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는 봉독과 피부 보습효과를 갖는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적어 인체에 안전한 봉독과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능과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식이용으로도 이용가능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피부 노화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NHIBITING AGING}
본 발명은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봉독과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능과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온도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며, 체온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세포들의 대사 활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각종 오염물질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세포들이 생리 불활성화를 일으켜 재생과 증식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피부는 큰 손상을 입게 되고 빠른 피부 노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피부 노화는 다양한 부위에서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피부 현상은 피부 칙칙함, 주름 생성, 건조한 피부 등으로 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노화 기작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려고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설명하면, 생체 피부 세포는 나이가 들면서 피부 세포 중의 과산화물의 수치가 성년이 되면서 급격히 증가한다. 활성산소에 의해 세포(또는 세포막)의 구성 성분이 과산화물질로 되고 단백질 손상이 일어난다면 세포 또는 세포막은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즉, 이들의 기능적, 구조적 손상으로 인해 주름이 생기게 되며 이들로 인해 노화가 촉진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노화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현상으로 100% 막을 수 없지만 다양한 방법을 통해 노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더디게 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활성산소 억제 효과가 있는 물질을 함유하는 화장품, 의약품, 식품에 대해 알려져 있지만 이들은 합성품으로써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에 안전성이 나쁘므로 사용이 제한되어 있어, 최근 들어서는 천연성분을 이용하거나 천연성분을 발효시키는 등의 노력을 통해서 제품에 적용되는 소재를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안전성은 보증되어 있으나, 활성산소 억제 효과가 약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실질적인 주름예방 및 개선효과 및 보습능의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에 안전한 봉독과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피부 보습능과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은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는 봉독과 피부 보습효과를 갖는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로열젤리는 상기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0-3~10-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봉독은 상기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0-10~10-8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조성물은 분말제, 과립제, 캅셀제 또는 액상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식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벌에서 분리된 봉독을 물로 용해하고 원심분리한 후 나온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봉독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생로열젤리를 동결건조하여 로열젤리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봉독건조물과 로열젤리건조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피부 노화억제 방법은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을 섭취하여 피부 보습효과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얻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적어 인체에 안전한 봉독과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능과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식이용으로도 이용가능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피부 노화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의 식이 공급에 따른 체중 증가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의 식이 공급에 따른 피부 주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A) UV+
(B) UV-
(C) 실시예3(BRJ3)
(D) 실시예4(BRJ4)
(E) 실시예2(BRJ2)
(F) 실시예1(BRJ1)
도 3은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의 식이 공급에 따른 피부의 수분 보유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의 식이 공급에 따른 혈청 IgE 수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의 식이 공급에 따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용어, 기술 등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봉독과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특징이다.
설명하면, 상기 봉독은 벌의 독낭에 들어있는 것으로, 약 40여 가지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원전부터 인체의 질병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현재 봉독 성분에 따른 작용과 기전, 봉독의 과민성과 독성, 면역요법 및 관절염, 단순포진, 다발성 경화증, 종양 등의 질병 치료 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항균작용과 세포 손상개선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봉독을 본 발명에서는 우선 벌에서 분리해 내고, 그 다음 물로 용해하고 원심분리한 후 나온 상등액을 동결건조한 분말상태의 봉독건조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로열젤리는 벌들이 다량의 화밀과 화분을 먹고 만들어 낸 물질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각종 미량 원소를 고루 함유한 영양 물질이다.
로열젤리 중에는 비타민류나 풍부한 영양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여성의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아세틸콜린의 신경전달물질과 근육, 뼈 및 치아 등을 젊게 하며 노화방지를 하는 타액선 호로몬인 파로틴 유사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로열젤리를 통해 피부표면에 있는 피지선에서 천연의 유분이 분비되어 수분을 적당히 간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부표면에 수분을 적당히 유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로열젤리는 본 발명에서 생로열젤리를 동결건조하여 분말형태로 된 로열젤리건조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로열젤리만을 포함하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 보습능을 갖는 로열젤리와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갖고 있는 봉독을 함께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로써의 로열젤리만으로 부족했던 효과부분을 봉독을 통해 더 부가되어 보다 상승된 피부 노화억제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다.
즉, 피부 주름 억제 효과에 대하여 자외선만 조사한(UV+)할 경우 피부에 주름이 많이 형성된 반면, 자외선을 조사(UV+)하되 봉독과 로열젤리가 포함된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이 식이 공급된 처리군에서 높은 피부 주름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봉독 0.1 ㎍ + 로열젤리 10g이 포함된 조성물에서 가장 높은 피부 주름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보습 효과에서도 자외선만 조사한(UV+)할 경우 피부의 보습 효과가 낮게 나타난 반면, 자외선을 조사(UV+)하되 봉독과 로열젤리가 포함된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이 식이 공급된 처리군에서 높은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열젤리는 상기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0-3~10-1 중량%로 함유되며, 상기 봉독은 상기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10-10~10-8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대적으로 상기 로열젤리와 봉독의 함량범위가 상기 중량% 보다 적은 경우 목적하는 피부의 주름 억제 효과 및 보습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상기 중량%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독성이 우려가 되며 옥수수 전분(corn starch)의 함량이 떨어져 식이하기에 어려워 오히려 식이용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한 상태로 제조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적어 인체에 안전한 봉독과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능과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어느 형태로든 사용이 가능하나, 보다 높은 피부 주름 억제 효과 및 보습효과를 얻기 위해 분말제, 과립제, 캅셀제 또는 액상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져 식이용으로 사용하여 바르는 화장품보다 더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의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물성개선을 위하여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무기염류, 유화제,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첨가제의 첨가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성분들은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수한 피부 보습능과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도록 하기 위해 분말제, 과립제, 캅셀제 또는 액상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타입으로 이루어져 식이용으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섭취를 통해 피부 보습효과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얻어 피부 노화억제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1) 봉독
서양종꿀벌(Apis meliffera L.)을 봉독채집장치를 이용하여 봉독을 채집하고, 채집한 건조봉독을 증류수로 용해한 후, 원심분리시킨 다음, 이를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순수한 봉독을 분리해 내었다.
2) 로열젤리
원액을 채취한 자연 그대로의 상태인 젤리형태의 생로열젤리 100g을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건조 분말형태의 로열젤리를 제조하였다.
3)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합비율로 봉독과 로열젤리를 제조하여 하기의 실험들을 실행하였다.
구성요소 단위 처리군
BRJ1
(실시예1)
BRJ2
(실시예2)
BRJ3
(실시예3)
BRJ4
(실시예4)
카제인
(casein)
g/kg 230 230 230 230
엘-시스틴
(L-cystine)
g/kg 3 3 3 3
옥수수 기름
(corn oil)
g/kg 100 100 100 100
셀룰로오스
(cellulose)
g/kg 50 50 50 50
비타민 혼합물
(vitamin mix)
g/kg 10 10 10 10
미네랄 혼합물
(mineral mix)
g/kg 35 35 35 35
슈크로스
(sucrose)
g/kg 200 200 200 200
옥수수 전분
(corn starch)
g/kg 367 362 347 367
정제봉독 ㎍/kg 0.01 0.01 0.1 0.1
로열젤리 g/kg 10 100 10 100
<실험예 1>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의 식이 공급에 따른 체중 증가 및 식이효율 측정
1. 실험동물
20 g 내외의 SKH-1 생쥐(hairless mouse) 수컷을 사용하였다
2. 실험조건
1) 식이 조건
사육전 1주일 동안 고형배합 사료로 적응시키고, 체중에 따라 난괴법으로 6군으로 나눈 후 실험군은 자외선 조사와 병행하여 실험식이를 6주간 공급하였다.
2) 식이 조성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듯이, 이하 정제봉독 0.01㎍/kg와 로열젤리 10g/kg이 함유된 조성물은 BRJ1, 정제봉독 0.01㎍/kg와 로열젤리 100g/kg이 함유된 조성물은 BRJ2, 정제봉독 0.1㎍/kg와 로열젤리 10g/kg이 함유된 조성물은 BRJ3, 정제봉독 0.1㎍/kg와 로열젤리 100g/kg이 함유된 조성물은 BRJ4라고 표시하였다.
3) 식이 급여군
전체 식이 무게의 1.0%에 상응하는 각 로열젤리 고형분을 식이에 혼합하여 공급하였으며, 로열젤리 시료 첨가에 따른 건분 식이 무게 차이는 옥수수 전분(corn starch)을 감하여 조정하였다.
4) 자외선 조사
UVB(약 30% 정도의 UVA를 함유하고 있음)를 사용하여 처음 1주에는 매일 1회 2MED(200 mJ/cm2)씩 동물의 등 부위에 조사하였고 2주차부터 6주까지 1주일에 3회 동물의 등 부위에 4MED(400 mJ/cm2)씩 조사하여 주름살을 유도하였다.
이하, 자외선을 조사한 것은 UV+라고 표시하였고, 조사하지 않은 군은 UV-라고 표시하였다.
3. 분석방법
식이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1주일에 두번씩 생쥐 각각의 무게와 남은 식이량 및 식이 공급량, 체중을 측정하였다.
4.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2와 도 1과 같이 나타났다.
평균 식이 섭취량(average diet intake, g/mice/1day)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UV- 3.1 2.9 2.8 2.8 2.8 2.8
UV+ 3.6 3.4 3.2 3.3 3.2 3.4
BRJ1 3.4 3.3 3.3 3.5 3.2 3.5
BRJ2 3.8 3.4 3.4 3.6 3.4 3.5
BRJ3 3.5 3.3 3.2 3.3 3.3 3.5
BRJ4 3.5 3.5 3.5 3.5 3.4 3.6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난괴법으로 나누어진 각 실험군의 초기 체중은 21~22g 내외로, 자외선 조사 대조군(UV-)을 비롯한 모든 군의 체중은 실험기간 동안 증가하여 식이 6주째에 각 군의 평균 체중은 26.1g(UV-군), 26.4g(UV+군), 27.3g(BRJ1), 27.4g(BRJ2), 26.3g(BRJ3), 26.1g(BRJ3)으로 군간의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상기 표 2에 나타나 있듯이, 자외선 조사 대조군(UV-)을 비롯한 모든 군에서 6주간의 식이 섭취량은 2.8~3.8 (g/mice/1일) 범위였다.
이에 각 군의 식이 효율(Food Efficiency Rate: 체중 증가량(g)/식이섭취량(g))도 0.01~0.12 범위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의 식이 공급에 따른 피부 주름 억제 효과 측정
1. 실험동물 및 조건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2. 실험방법
1) 피부 주형 제조 및 분석
주형틀을 무모생쥐의 등에 올려놓고 경체중용 실리콘(light bodied silicone)약 1.5g과 촉매제(catalyst), 희석제(thinner)를 각각 1 방울씩 가하여 제조한 실리콘(silicone) 혼합액을 주형틀에 부었다.
완전히 마른 것을 확인한 후 피부에서 주형을 조심스럽게 떼어내어 건조한 곳에서 보관하였다.
빛의 입사각을 20°로 고정하여 생성된 그림자의 명함을 CCD카메라로 찍어 이미지파일을 생성하였다. 이때, 피부용 점도계(Skin viscometer SV 600)를 이용하여 주름 그림자 명암의 정도를 주름의 양으로 환산하여 정량하였다.
2) 동물의 희생
노화가 유도된 무모생쥐 (hairless mouse)의 피부 주름에 대한 효능을 살피기 위해 식이 급여 6주에 경추파열법(cervical dislocation)으로 희생시킨 후, 피부 조직을 샘플링(sampling)하였다.
하기 보습 증진 및 항산화 효능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피부 조직 및 혈을 샘플링(sampling)하였다.
3.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자외선 조사 없이 6주간 정상 식이만을 공급한 정상대조군(A: UV-군)에 비해 자외선을 조사한 UV+군(B)에서 큰 세로 주름 형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자외선 조사와 병행된 본 발명의 조성물의 6주간 식이 공급 후 모든 처리군(C, D, E, F)이 UV+군(B)에 비하여 큰 세로 주름의 형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이 피부 수분 보습에 미치는 효과 확인
1. 실험동물 및 조건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2. 실험방법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며 추가적으로 표피와 진피 모두 수분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희생된 동물의 피부에 1:1 비율의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와 디스파아제(Dispase) 혼합 용액을 첨가하고 4℃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하여 표피와 진피를 분리하여 표피와 진피 모두의 수분보습효과를 확인하였다.
3.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각 실험군의 자외선 조사 직전 (0주차) UV-군, UV+군, 본 발명의 조성물 처리군(BRJ1, BRJ2, BRJ3, BRJ4)의 피부에서 측정된 수분보유량 (mean SEM: 정전부하용량 capacitance in au)과 6주간의 식이 공급 후 피부에서 측정된 수분보유량을 측정한 결과, 자외선 조사군인 UV+군보다 자외선 조사와 함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식이 공급한 피부의 수분 보유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보습 증진의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이 혈청 IgE 수준에 미치는 효과 확인
1. 실험동물 및 조건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2. 실험방법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며 추가적으로 혈청 IgE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였다.
즉, 혈청 IgE 측정방법으로는 동물의 희생 전 안와 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고 3000xg, 4℃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혈청에서의 총 IgE의 농도를 ELISA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나 있듯이, 6주간의 식이 공급 후 UV-군, UV+군, 본 발명의 조성물 식이군인 BRJ1, BRJ2, BRJ3, BRJ4의 혈청에서 측정된 IgE 수준 (ng/ml)은 10.7±5.42, 115.7±12.17, 102.0±12.53, 132.1±9.51, 105.2±12.69, 71.6±17.05로 자외선 조사에 의해 IgE 수준이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인 BRJ1, BRJ2, BRJ3, BRJ4군의 IgE 수준은 UV+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아 IgE 수준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본 발명의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에 의한 항산화효과 확인
1. 실험동물 및 조건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2. 실험방법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하며 추가적으로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자외선에 노출된 쥐에게 6주간 본 발명의 조성물을 보충섭취시킨 후 백혈구의 DNA 손상정도를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항산화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광노화 유발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의 식이 공급에 따른 적혈구의 손상 변화 정도를 Come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설명하면, 동물의 전혈을 채취하여 75㎕의 0.7% LMA(low melting agarose gel)과 섞은 후, 0.5% NMA(normal melting agarose)가 프레코팅(precoating)된 전체 반투명 상태의 슬라이드(fully frosted slide) 위로 LMA의 현탁액이 골고루 분산되게 한 후 커버 글라스(cover glass)로 덮어 4℃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겔(Gel)이 굳으면 커버 글라스(Cover glass)를 벗기고 그 위에 다시 0.7% LMA 용액 75㎕로 한 겹 더 덮어 주었다.
미리 준비해 둔 차가운 알칼리 용해 버퍼(alkali lysis buffer/2.5M NaCl, 100mM EDTA, 10mM tris)에 사용 직전에 1% 트리톤(Triton) X-100을 섞은 후 슬라이드(slide)를 담가 저온으로 유지되는 암실에서 1시간 동안 침지시켜 DNA의 이중가닥(double strand)를 풀어주었다.
용해(Lysis)가 끝난 슬라이드(slide)를 전기영동 통(electrophoresis tank)에 배열하고 4℃의 차가운 버퍼(buffer/ 300mM NaOH, 1mM Na2EDTA)를 채워 풀림(unwinding)시키고 40분 경과후 25V/3003mA의 전압을 걸어 20분간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0.4M Tris 완충용액(pH 7.4)으로 충분히 세척하고 20㎍/㎖ 농도의 브롬화 에티듐(ethidium bromide)로 핵을 염색하여 형광현미경상에서 관찰하고 CCD 카메라(camera)를 통해 보내진 각각의 세포핵 이미지는 코멧 이미지 분석 시스템(comet image analyzing system)이 설치된 컴퓨터 상에서 분석하였다.
임파구 세포의 H2O2에 의한 DNA 손상 및 여러 가지 추출물에 의한 손상억제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한 DNA 파편의 거리(tail length) 또는 DNA 파편의 거리(tail length)에 꼬리부분(tail) 내 함유된 DNA%를 곱해준 tail moment를 구하였고 각각의 처리구에서 2개의 slide를 만들어 각각 100개 세포의 DNA 손상정도를 측정하고 각 처리구는 최소 3회 반복 실험하였다.
3.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Tail DNA의 경우 대조군(UV-)에 비해 UV+에서 손상정도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고, BRJ1, BRJ2, BRJ3, BRJ4를 투여한 그룹에서는 UV+에 비해 유의적으로 손상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를 토대로 본 발명에 의해, 항산화 효과가 있으며,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적어 인체에 안전한 봉독과 로열젤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보습능과 주름 생성 억제능을 갖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며, 또한 식이용으로도 이용가능하여 소비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피부 노화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됨으로써 봉독과 로열젤리의 다양한 제품개발을 통한 농가소득 증대효과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pis meliffera L.의 서양종 꿀벌로부터 봉독채집장치로 봉독을 채집한 후, 이를 증류수로 용해하고 원심분리한 후 나온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봉독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생로얄제리를 동결건조하여 로얄제리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봉독건조물과 로얄제리건조물을 혼합하되, 상기 봉독건조물 0.1㎍당 상기 로얄제리건조물 10g을 넣고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5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Apis meliffera L.의 서양종 꿀벌 유래 상기 봉독 건조물 0.1㎍당 상기 로얄제리건조물 10g이 함유되는 것이 특징인,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30592A 2012-03-26 2012-03-26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92A KR101444232B1 (ko) 2012-03-26 2012-03-26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592A KR101444232B1 (ko) 2012-03-26 2012-03-26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26A KR20130108826A (ko) 2013-10-07
KR101444232B1 true KR101444232B1 (ko) 2014-09-30

Family

ID=4963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592A KR101444232B1 (ko) 2012-03-26 2012-03-26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4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926B1 (ko) 2014-09-22 2019-09-30 주식회사 삼양사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조성물
WO2016171482A1 (ko) * 2015-04-24 2016-10-27 농업회사법인 비센 주식회사 봉독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4977B1 (ko) 2020-09-15 2023-05-22 한국콜마주식회사 로얄젤리의 락토바실러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416A (ja) * 1989-11-21 1991-07-11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2003219816A (ja) 2002-01-31 2003-08-05 Kikuji Yamaguchi ローヤルゼリーを含有する食品および薬剤
KR20090114999A (ko) * 2008-04-30 2009-11-04 학교법인 선목학원 봉독을 포함하는 간경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00118629A (ko) * 2009-04-29 2010-11-08 (주)아모레퍼시픽 봉독 또는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416A (ja) * 1989-11-21 1991-07-11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2003219816A (ja) 2002-01-31 2003-08-05 Kikuji Yamaguchi ローヤルゼリーを含有する食品および薬剤
KR20090114999A (ko) * 2008-04-30 2009-11-04 학교법인 선목학원 봉독을 포함하는 간경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00118629A (ko) * 2009-04-29 2010-11-08 (주)아모레퍼시픽 봉독 또는 봉독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826A (ko) 2013-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8500B1 (en) Compositions suitable for treating cutaneous signs of aging
KR20050114677A (ko) I형 콜라겐 및/또는 엘라스틴 생산 촉진용 조성물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8732A (ko) 항염증, 항산화 또는 항세균 조성물
KR101705938B1 (ko) 피부 콜라겐 생성 촉진제
CN104187679A (zh) 一种雨生红球藻玛咖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101098400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1005941A1 (ja) ネムノキ抽出物含有組成物
KR101444232B1 (ko) 피부 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06132396B (zh) 卤虫提取物用于保护皮肤免受热应力的美容用途
AP732A (en) Substances extracted from dictyotales,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WO2017014375A1 (ko) 꿀벌 화분 조성물
KR101437997B1 (ko) 생캐비어 발효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화장료
CN102960602A (zh) 一种芦荟保健粉
KR101552472B1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783161A (zh) 一种蜂王浆复合口服制剂
KR101898498B1 (ko) 플로로글루시놀을 이용한 방사선 조사에 의한 모낭 손상 또는 모낭줄기세포 손상 억제용 조성물
KR101816739B1 (ko) 염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94820A (ko) 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602924B1 (ko) 대추나무주홍하늘소 유충의 똥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외용약
KR20120136583A (ko)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034436B1 (ko) 베트남 후피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Itoh et al. OM-X®, fermented vegetables extract suppresses antigen-stimulated degranul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action in mice
KR101491927B1 (ko) 컬러감자 외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14315A (ko)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