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664B1 -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664B1
KR101443664B1 KR1020070123527A KR20070123527A KR101443664B1 KR 101443664 B1 KR101443664 B1 KR 101443664B1 KR 1020070123527 A KR1020070123527 A KR 1020070123527A KR 20070123527 A KR20070123527 A KR 20070123527A KR 101443664 B1 KR101443664 B1 KR 10144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nent
powder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6398A (ko
Inventor
김현정
김지은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7012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6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피지흡수 능력을 구현함으로써 피지 분비에 의한 피부의 번들거림 현상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유 파우더 성분, 유상의 오일 성분, 수상의 폴리올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흡유 파우더 성분을 기초화장용 제품내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함량보다 다량 사용함으로써 피지흡수 능력을 극대화하였으며 그에 의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수단을 구체화함으로써 새로운 피지흡수 제형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흡유파우더 * 피지흡수 * 번들거림 * 글리세린 *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Description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controlling skin glossiness}
본 발명은 우수한 피지흡수 능력을 구현함으로써 피지 분비에 의한 피부의 번들거림 현상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초화장용 제품내에 흡유 파우더 성분, 유상의 오일 성분, 수상의 폴리올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페이스파우더, 콤팩트파우더, 트윈케익, 파우더팩트 등 화장의 마무리에 이용되는 메이크업 제품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최근 가볍고 투명한 화장이 트렌드가 되고 있는 점과 바쁜 라이프 사이클에 의해 잦은 수정화장에 불편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점 등으로 메이크업 제품뿐 아니라 기초화장 단계에서부터 번들거림 억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기초화장용 제품류는 스킨이나 에센스 등 가용화 제품을 제외하고는 제형상 유상 성분이 일정 함량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번들거림을 억제하기 위한 용도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져 왔으며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번들거림 억제용 기초화장 제품의 처방을 살펴보면 번들거림을 유발할 수 있는 오일과 폴리올의 함량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면서 피지를 흡수할 수 있는 흡유 파우더를 1~2% 내외로 사용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만약 피지흡수용 흡유 파우더를 그 이상 사용할 경우에는 피부에 도포 시 파우더가 피부결 사이사이에 끼어 골이 하얗게 드러나 보이는 골끼임 현상이나 파우더 자체의 색상이 도드라져 피부색을 부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기초화장용 제품에서는 피지흡수용 흡유 파우더를 다량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지속되어 왔다.
본 발명자는 기초화장용 제품의 피부 번들거림 억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기존에 번들거림을 유발한다는 이유로 번들거림 억제용 기초화장용 제품에서 배합이 제한되어 왔던 오일 및 폴리올을 일정 부분 도입함으로써 피지흡수 파우더 다량 사용에 의한 부정적 효과를 경감시키면서도 흡유 파우더에 의한 피지흡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유 파우더 다량 사용에 따른 부정적 효과를 경감시킬 수 있는 주요 인자에 대하여 파악하여 흡유 파우더를 다량 배합하면서도 기초화장용 제품으로서 우수한 사용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우더 수분산 수중유 제형으로서, 수분산성 흡유 파우더 성분, 유상 성분으로서의 오일 및 수상 성분으로서의 폴리올을 함유함으로써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분산성 흡유 파우더 성분은 입자 크기가 0.1~30㎛이며, 입자 표면적은 그램(g)당 5~500m2이고, 상기 유상 성분으로서의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eate)이며, 상기 수상 성분으로서의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으로서의 사용성을 해치지 않으며 우수한 흡유력을 갖는 파우더를 선별하여 적용하였을 뿐 아니라, 기존에 번들거림 억제용 기초화장 제품에서 제한되어 왔던 오일과 폴리올의 새로운 용도를 발견하고 도입함으로써, 흡유 파우더를 다량 사용함에 따른 문제를 개선하였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성에 문제가 없이 흡유 파우더를 다량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우수한 번들거림 억제 능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흡유 파우더 성분, 유상의 오일 성분 및 수상의 폴리올 성분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흡유 파우더 성분은 친수성으로 수분산이 용이하면서도 흡유가 가능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그 종류는 아래의 조건들을 만족한다면 한정되지 않으나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 파우더, 보론 나이트라이드 파우더, 탈크, 티타늄 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실리콘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10중량%가 함유된다.
파우더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입자의 표면적이 넓어 흡유력이 커지게 되며, 이는 화장료가 피부에 도포된 상태에서 피지가 분비되어 화장료가 피지에 노출되었을 때, 파우더의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파우더의 피지 흡유에 따른 피부 번들 거림의 억제가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유 파우더 성분은 입자 크기가 0.1㎛~30㎛이고, 표면적은 그램(g)당 5~500m2임이 바람직하다. 입자 크기가 작을수록 흡유력은 증가하나 0.1㎛ 미만의 파우더를 사용할 경우에는 파우더가 쉽게 날리고 칭량이 어려워 제조에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30㎛ 초과의 파우더를 사용할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에 따른 표면적의 비율이 작아지게 되어 피지 흡유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피부 번들거림이 만족할 수준으로 억제될 수 없다. 또한, 파우더 입자의 표면적이 클수록 흡유력은 증가하나 일반적으로 입자 크기의 제곱과 표면적 간에 반비례 관계가 성립하기 때문에, 표면적이 그램당 500m2 초과인 파우더는 입자 크기 0.1㎛ 미만의 파우더가 화장료 제조상에 있어 불편을 초래하는 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적합하지 못하다. 이 때 파우더는 다공성이거나 중공성인 특징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파우더의 경우의 수를 포함할 수 있는 입자 크기와 표면적 간의 함수는 존재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또한 파우더가 위의 조건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각 개체가 가지고 있는 친유 특성에 따라 흡유량이 비교적 많거나 적을 수 있으므로 흡유량이 자체 중량의 1배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유량은 일정량의 파우더를 칭량한 후 실제 피지와 비슷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를 조금씩 흡수시켜 파우더가 피지로 완전히 포화되어 엉기기 시작하는 시점에서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첨가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 흡유량이 적을 경 우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를 일정시간 동안 흡수하기 위하여 피부에 도포되어야 하는 파우더의 총량이 증가되고, 따라서 조성물 내에서 파우더의 함량이 증가되어야 하므로 사용성에 있어서의 단점을 극복하기 어렵다.
흡유 파우더는 기존의 화장료에서는 1~2중량% 내외의 함량에서 사용되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번들거림 억제 능력을 수시간 이상 지속시키기 위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10중량%를 사용한다. 3중량%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번들거림 억제 능력의 지속시간이 바람직한 수준이 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사용성에 있어서의 단점을 극복하기 힘들며 수중유 제형 자체의 안정도를 크게 저해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유상 성분은 오일,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한다. 기존에는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피부 번들거림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에 번들거림 억제용 화장품에서 그 사용이 제한되어 왔지만, 본 조성물에서 오일은 흡유 파우더가 피부에 다량 도포되었을 때 피부 요철 사이사이에 끼어 골이 하얗게 드러나 보이는 골끼임 현상이나 파우더 자체의 색상이 도드라져 피부색을 부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다.
본 조성물에서는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eate)를 사용하였으나 실험을 통하여 위에서 선택한 파우더와 함께 배합했을 때 파우더의 골끼임 현상 등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오일이라면 종류에 상관없이 화장료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오일의 함량은 파우더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조성 물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 이상의 파우더를 사용할 때 골끼임 현상 등을 억제하기에 부족하며, 10중량% 초과하여 과량 배합하면 조성물이 끈적끈적하게 되어 화장료의 사용감이 나빠지고 오일감이 느껴지므로 적당하지 못하다. 단, 오일은 피부에 도포 시 일정 부분이 피부에 흡수되어 실제로 파우더의 골끼임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함량은 조성물 중의 함량보다 낮기 때문에 흡유 파우더의 함량 증가분과 사용해야 하는 오일 함량 증가분은 정비례 관계는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서 수상 성분은 폴리올 및 보습제 성분 등을 함유한다. 기존에는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피부 번들거림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인식 때문에 번들거림 억제용 화장품에서 그 사용이 제한되어 왔지만, 본 조성물에서 폴리올은 흡유 파우더가 피부에 다량 도포되었을 때 골끼임 현상이나 파우더 자체의 색상이 도드라져 피부색을 부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필수적인 구성 요소이다.
본 조성물에서는 글리세린(glycerin)을 사용하였으나 실험을 통하여 위에서 선택한 파우더와 함께 배합했을 때 파우더의 골끼임 현상 등을 억제하는 데 효과적인 폴리올이라면 종류에 상관없이 화장료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폴리올의 함량은 파우더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중량% 이상의 파우더를 사용할 때 골끼임 현상 등을 억제하기에 부족하며, 10중량% 초과하여 과량 배합하면 화장료의 사용감이 끈적끈적하고 눅진하게 느껴져 상쾌함이 없으므로 적당하지 않다. 단, 폴리올은 피부에 도포 시 일정 부분이 피부에 흡 수되어 실제로 파우더의 골끼임 현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함량은 조성물 중의 함량보다 낮기 때문에 흡유 파우더의 함량 증가분과 사용해야 하는 폴리올 함량 증가분은 정비례 관계는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에센스, 크림, 밤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폴리올 종류별 골끼임 방지 효과
폴리올의 종류에 따라 동량 첨가시 실리카에 의한 골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을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수중유 에센스 제형을 제조한 다음, 하기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파우더는 입자 크기 3㎛, 표면적 120m2의 실리카 파우더이며,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조성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1) 정제수 To 100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3) 메틸파라벤 0.20
(4) 글리세린 5.00 - - - -
(5) 부틸렌 글라이콜 - 5.00 - - -
(6) 디프로필렌 글라이콜 - - 5.00 - -
(7) 프로필렌 글라이콜 - - - 5.00 -
(8)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 0.50
(9) 실리카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
(10) 트리에탄올아민 0.28
(11) 폴리소르베이트60 0.50
(12)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20
(1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14) 카보머 0.30
<시험방법>
1) 먼저 비이커에 성분 (1)~(8) 및 (10)을 담고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키면서 70℃까지 가온한다.
2) 다른 비이커에서 (11)~(13)을 함께 섞고 70℃까지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3) 상기 1)을 호모믹싱하면서 2)를 서서히 첨가하여 3분간 유화한다.
4) 상기 3)을 호모믹싱하면서 (14)를 서서히 첨가하여 2분간 분산시킨다.
5) 상기 4)를 30℃로 냉각한다.
6) 상기 5)에서 제조한 샘플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실리카를 서서히 조금씩 첨가하여 피부에 도포했을 때 골끼임이 나타나는 시점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 대한 골끼임 시점에서의 실리카 함량은 하기 표 2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실리카 함량(%) 5.0 3.9 4.4 4.5 2.4
골끼임이 관찰되는 실리카 함량이 높을수록 해당하는 종류의 폴리올이 골끼임을 방지하는 능력에 있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2를 보면, 실시예 1~4의 경우는 비교예 1의 경우보다 골끼임이 나타나는 실리카 함량이 훨씬 크며 특히 실시예 1의 경우가 실리카의 함량이 가장 크게 나타나 글리세린을 사용했을 때 실리카에 의한 골끼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오일 종류별 골끼임 방지 효과
오일의 종류에 따라 동량 첨가시 실리카에 의한 골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실시예 5~9 및 비교예 2를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수중유 에센스 제형을 제조한 다음, 하기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파우더는 입자 크기 3㎛, 표면적 120m2의 실리카 파우더이며,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조성 실시예 비교예
5 6 7 8 9 2
(1) 정제수 To 100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3) 메틸파라벤 0.20
(5) 부틸렌 글라이콜 3.00
(6)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 0.50
(7) 실리카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
(8) 트리에탄올아민 0.28
(9) 폴리소르베이트60 0.50
(10)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20
(1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 - - - -
(12) 2-옥틸도데카놀 - 3.00 - - - -
(13) 스쿠알렌 - - 3.00 - - -
(14)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 - - 3.00 - -
(15) 사이클로펜타실록산 - - - - 3.00 -
(16) 카보머 0.30
<시험방법>
1) 먼저 비이커에 성분 (1)~(6) 및 (8)을 담고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키면서 70℃까지 가온한다.
2) 다른 비이커에서 (9)~(15)를 함께 섞고 70℃까지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3) 상기 1)을 호모믹싱하면서 2)를 서서히 첨가하여 3분간 유화한다.
4) 상기 3)을 호모믹싱하면서 (16)을 서서히 첨가하여 2분간 분산시킨다.
5) 상기 4)를 30℃로 냉각한다.
6) 상기 5)에서 제조한 샘플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실리카를 서서히 조금씩 첨가하여 피부에 도포했을 때 골끼임이 나타나는 시점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실시예 5~9 및 비교예 2에 대한 골끼임 시점에서의 실리카 함량은 표 4와 같다.
실시예 비교예
5 6 7 8 9 2
실리카 함량(%) 5.0 4.7 5.5 6.5 3.0 2.2
골끼임이 관찰되는 실리카 함량이 높을수록 해당하는 종류의 오일이 골끼임을 방지하는 능력에 있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4를 보면, 실시예 5~9의 경우는 비교예 2의 경우보다 골끼임이 나타나는 실리카 함량이 훨씬 크며 특히 실시예 8의 경우가 가장 크게 나타나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를 사용했을 때 실리카에 의한 골끼임을 방지하는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폴리올 함량별 골끼임 방지 효과
폴리올의 함량과 실리카에 의한 골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능력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실시예 10~13을 하기 표 5의 조성으로 수중유 에센스 제형을 제조한 다음, 하기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파우더는 입자 크기 3㎛, 표면적 120m2의 실리카 파우더이며,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조성 실시예
10 11 12 13
(1) 정제수 To 100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3) 메틸파라벤 0.20
(4) 글리세린 1.00 3.00 5.00 7.00
(5)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 0.50
(6) 실리카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
(7) 트리에탄올아민 0.28
(8) 폴리소르베이트60 0.50
(9)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20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11) 카보머 0.30
<시험방법>
1) 먼저 비이커에 성분 (1)~(5) 및 (7)을 담고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키면서 70℃까지 가온한다.
2) 다른 비이커에서 (8)~(10)을 함께 섞고 70℃까지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3) 상기 1)을 호모믹싱하면서 2)를 서서히 첨가하여 3분간 유화한다.
4) 상기 3)을 호모믹싱하면서 (11)을 서서히 첨가하여 2분간 분산시킨다.
5) 상기 4)를 30℃로 냉각한다.
6) 상기 5)에서 제조한 샘플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실리카를 서서히 조금씩 첨가하여 피부에 도포했을 때 골끼임이 나타나는 시점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실시예 10~13에 대한 골끼임 시점에서의 실리카 함량은 표 6과 같다.
실시예
10 11 12 13
실리카 함량(%) 5.6 6.5 7.6 8.3
골끼임이 관찰되는 실리카 함량이 높을수록 해당하는 폴리올 함량이 골끼임을 방지하는 능력에 있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6을 보면, 실시예 10에서 13으로 갈수록 골끼임이 나타나는 실리카 함량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비례 관계는 아닌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첫째로 수중유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3중량% 투입한 오일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가 골끼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며, 둘째로 폴리올이 피부에 도포되어 일정량 흡수되므로 피부 표면에서 실리카에 의한 골끼임을 방지하는 데 일부만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폴리올을 증량할수록 끈적임이 심해지고 눅진한 느낌이 강해지기 때문에 글리세린을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은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가 적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시험예 4] 오일 함량별 골끼임 방지 효과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의 함량과 실리카에 의한 골끼임 현상을 방지하는 능력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실시예 14~17을 하기 표 7의 조성으로 수중유 에센스 제형을 제조한 다음, 하기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파우더는 입자 크기 3㎛, 표면적 120m2의 실리카 파우더이며, 함량의 단위는 중량%이다.
조성 실시예
14 15 16 17
(1) 정제수 To 100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3) 메틸파라벤 0.20
(4) 부틸렌 글라이콜 5.00
(5)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 0.50
(6) 실리카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
(7) 트리에탄올아민 0.28
(8) 폴리소르베이트60 0.50
(9)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20
(10)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1.00 3.00 5.00 7.00
(11) 카보머 0.30
<시험방법>
1) 먼저 비이커에 성분 (1)~(5) 및 (7)을 담고 충분히 교반하여 용해시키면서 70℃까지 가온한다.
2) 다른 비이커에서 (8)~(10)을 함께 섞고 70℃까지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3) 상기 1)을 호모믹싱하면서 2)를 서서히 첨가하여 3분간 유화한다.
4) 상기 3)을 호모믹싱하면서 (11)을 서서히 첨가하여 2분간 분산시킨다.
5) 상기 4)를 30℃로 냉각한다.
6) 상기 5)에서 제조한 샘플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실리카를 서서히 조금씩 첨가하여 피부에 도포했을 때 골끼임이 나타나는 시점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실시예 14~17에 대한 골끼임 시점에서의 실리카 함량은 표 8과 같다.
실시예
14 15 16 17
실리카 함량(%) 7.0 7.8 8.4 9.0
골끼임이 관찰되는 실리카 함량이 높을수록 해당하는 오일 함량이 골끼임을 방지하는 능력에 있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8을 보면, 실시예 14에서 17로 갈수록 골끼임이 나타나는 실리카 함량이 점차적으로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정비례 관계는 아닌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첫째로 일반적인 수중유 제형의 조건을 갖추기 위해 5중량%만큼 투입한 폴리올인 부틸렌 글리콜이 함께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며, 둘째로 오일이 피부에 도포되어 일정량 흡수되므로 피부 표면에서 실리카에 의한 골끼임을 방지하는 데 일부만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오일을 증량할수록 끈적임이 심해지고 오일감이 강해지기 때문에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은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가 적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시험예 5] 전문 패널에 의한 사용성 시험
실시예와 비교예를 하기 표 9의 조성으로 수중유 에센스 제형을 제조하였다.
조성 실시예 18 비교예 3
(1) 정제수 To 100
(2)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3) 메틸파라벤 0.20
(4) 글리세린 5.00 1.00
(5)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 0.50
(6) 실리카 8.00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28
(8) 폴리소르베이트60 0.50
(9)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0.20
(10)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5.00 1.00
(11) 카보머 0.30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실시예 18 및 비교예 3을 사용하고 난 후 각각에 대한 선호도와 도포 후 번들거림이 나타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패널 평가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40대 여성 15명(지성 피부타입 5명, 복합성 피부타입 10명)과 30~40대 남성 5명(지성 피부타입 3명, 복합성 피부타입 2명)을 대상으로 기초화장 단계의 마지막에 양쪽 얼굴에 실시예 18과 비교예 3을 각각 도포하여 양쪽을 비교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피부타입 선호도 실시예 사용 후 번들거림이 나타날 때까지 걸린 시간
비사용 대비 비교예 대비
패널1(여) 지성 실시예 18 4 2
패널2(여) 지성 실시예 18 5.5 3
패널3(여) 지성 실시예 18 6 3
패널4(여) 지성 실시예 18 4 2
패널5(여) 지성 실시예 18 5 3
패널6(여) 복합성 실시예 18 5.5 3.5
패널7(여) 복합성 비교예 3 6 5
패널8(여) 복합성 실시예 18 6 4
패널9(여) 복합성 실시예 18 7 4
패널10(여) 복합성 비교예 3 5 2
패널11(여) 복합성 실시예 18 5.5 3
패널12(여) 복합성 실시예 18 6 4
패널13(여) 복합성 실시예 18 6 4.5
패널14(여) 복합성 실시예 18 8 4
패널15(여) 복합성 실시예 18 6.5 5
패널16(남) 지성 실시예 18 4.5 2
패널17(남) 지성 실시예 18 6 5
패널18(남) 지성 실시예 18 6 4
패널19(남) 복합성 실시예 18 8 5
패널20(남) 복합성 실시예 18 7.5 3
종합 - 실시예18: 18 비교예3: 2 평균 5.9시간 평균 3.55시간
상기 표 10을 보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성대로 제조한 실시예 18의 경우 비교예 3에 비하여 번들거림이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져서 번들거림 억제 지속성이 탁월할 뿐 아니라 주관적인 선호도 평가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8가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파우더 수분산 수중유 제형으로서, 수분산성 흡유 파우더 성분, 유상 성분으로서의 오일 및 수상 성분으로서의 폴리올을 함유함으로써 번들거림을 억제하며,
    상기 수분산성 흡유 파우더 성분은 실리카이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10중량% 함유되며,
    상기 유상 성분으로서의 오일은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diisostearyl maleate)이고,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흡유 파우더 성분은 입자 크기가 0.1~30㎛이며, 입자 표면적은 그램(g)당 5~500m2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흡유 파우더 성분은 흡유량이 자체 중량의 1배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으로서의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성분으로서의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센스, 크림 또는 밤 타입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70123527A 2007-11-30 2007-11-30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43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27A KR101443664B1 (ko) 2007-11-30 2007-11-30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3527A KR101443664B1 (ko) 2007-11-30 2007-11-30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98A KR20090056398A (ko) 2009-06-03
KR101443664B1 true KR101443664B1 (ko) 2014-09-30

Family

ID=40987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3527A KR101443664B1 (ko) 2007-11-30 2007-11-30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6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558A (ko) * 1996-03-05 1999-12-27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피부 보호 조성물
KR20040093445A (ko) * 2003-04-28 2004-11-05 로레알 피지 흡수성 분말 및 낮은 임계 표면 에너지를 갖는분말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US20060292108A1 (en) 2005-06-28 2006-12-28 Ibrahim Hanna Topical skin mask for oily and acneic skin
KR20070098770A (ko) * 2004-11-30 2007-10-05 아르끄마 프랑스 미세 다공성 분말 함유 화장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7558A (ko) * 1996-03-05 1999-12-27 레이서 제이코버스 코넬리스 피부 보호 조성물
KR20040093445A (ko) * 2003-04-28 2004-11-05 로레알 피지 흡수성 분말 및 낮은 임계 표면 에너지를 갖는분말을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070098770A (ko) * 2004-11-30 2007-10-05 아르끄마 프랑스 미세 다공성 분말 함유 화장 조성물
US20060292108A1 (en) 2005-06-28 2006-12-28 Ibrahim Hanna Topical skin mask for oily and acneic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398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KR102033449B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86449B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CN112566611B (zh) 油性固态化妆品
WO2009153963A1 (ja) 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4860067B2 (ja) 固形状油中水系化粧料
KR101794555B1 (ko) 천연 세라마이드 및 로즈힙열매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97832B1 (ko) 유성 고형 화장료
KR20070106115A (ko) 탄성을 가지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6620A (ko) 유성타입의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4341A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766682B1 (ko) 우레탄 파우더를 포함하는 에멀젼 바인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3664B1 (ko) 피부 번들거림을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1582A (ko)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JP2005314258A (ja) 固形状油中水型化粧料
KR101543019B1 (ko) 금속수산화물을 함유하는 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4256A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1396277B1 (ko) 바인더로 유중다가알코올 유화물을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194527B1 (ko) 고보습 립스틱 조성물
KR101877179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451107B1 (ko) 립-플럼핑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4877A (ko) 실리콘/실리카 복합 파우더를 함유한 유중수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KR100983387B1 (ko) 수중유 화장료
KR100811462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3807B1 (ko) 휘발성 오일이 담지된 실리카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