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522B1 - 관절형 이젝트핀 - Google Patents

관절형 이젝트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522B1
KR101443522B1 KR1020130052434A KR20130052434A KR101443522B1 KR 101443522 B1 KR101443522 B1 KR 101443522B1 KR 1020130052434 A KR1020130052434 A KR 1020130052434A KR 20130052434 A KR20130052434 A KR 20130052434A KR 101443522 B1 KR101443522 B1 KR 101443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ut
head
mold
joint
ejec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창오
Original Assignee
추창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창오 filed Critical 추창오
Priority to KR1020130052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젝트핀에 관한 것으로, 사출금형을 통해 성형된 사출물을 가동측금형의 가동측형판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언더컷을 처리하는 이젝트핀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핀은 상기 가동측형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가동측형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젝터판에 후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젝터판의 승강 작동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따라 승강 작동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사출물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언더컷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선단 일측에 언더컷성형부가 형성된 헤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헤드를 회동시켜 용이하게 사출물 및 사출물에 형성된 언더컷 부분을 취출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와 헤드를 링크 연결하는 관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이젝트핀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반복되는 취출 작업에도 피로가 누적되지 않아 파손 우려 없이 용이하게 언더컷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출물 및 사출금형에 긁힘이나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불량률이 감소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관절체의 길이에 따라 언더컷을 처리하는 속도 및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관절형 이젝트핀{Eject pin-joint}
본 발명은 이젝트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출금형을 통해 성형된 사출물을 분리시키는데 사용하는 이젝트핀에 있어서, 사출물의 언더컷을 처리하는 헤드와, 이 헤드를 밀거나 당기는 작동로드로 구성하되, 그 사이에 관절체를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종래 일체형 이젝트핀에 비해 원활하고 용이하게 사출물을 취출함과 동시에 사출물에 형성된 언더컷을 처리함은 물론 생산성이 향상되는 관절형 이젝트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은 가장 양산(量産)적인 플라스틱 가공법으로,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금형은 가동측금형(20)과 고정측금형(10)으로 구분되어 상호 형합 및 이형에 의하여 제품을 사출성형하는 것이며, 가동측금형(20)은 가동측설치판(22), 가동측형판(21)으로 구성되고, 고정측금형(10)은 고정측설치판(12), 고정측형판(1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측금형(20)과 고정측금형(10)에 각각 형성된 캐비티에 고온의 액상수지물을 주입 냉각시켜 사출물을 성형하고, 상기 고정측금형(10)을 상향으로 이동시켜 형을 개방한 다음 이젝트핀(40)을 상승시켜 상기 가동측형판(21)에 성형된 사출물(1)을 취출하게 된다.
이러한 사출금형으로 성형된 사출물(1)은 그 소정위치가 특이하게 성형되어 형이 개방된 다음 수직으로 상승하는 이젝트핀(40)에 의해 취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언더컷(2)이라고 한다.
상기한 언더컷(2)을 처리하기 위해 종래 사출금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이젝트핀(40)과 이젝터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젝터판(30)은 상기 가동측설치판(22)과 가동측베이스(24)의 사이에 스페이스블록(23)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한 공간에 승강 작동되는 이젝터판(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동측형판(21)과 가동측설치판(22)에는 이젝트핀(40)이 관통 설치되는 관통공(21a,22a)이 형성되고, 상기 이젝트핀(40)의 단부가 상기 이젝터판(30)에 연결되어 이젝터판(30)의 작동에 따라 이젝트핀(40)이 승강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젝트핀(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터판(30)에 연결되어 이젝터판(30)의 승강에 따라 작동되는 작동로드부(41)와; 상기 사출물(1)의 언더컷(2)을 성형하는 언더컷성형부(45a)를 갖는 헤드부(45)와; 상기 작동로드부(41)의 승강에 따라 상기 헤드부(45)가 유연하게 회동 되도록 일체로 연결하는 병목부(43)로 구성된다.
상기 이젝터판(30)이 상승하면 연결된 이젝트핀(40)에 의해 사출물(1)을 취출 함과 동시에 헤드부(45)가 회동하여 언더컷(2)이 처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젝트핀(40)은 병목부(43)에 누적되는 피로에 의해 이젝트핀(40)이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반복되는 취출 작업에 의해 헤드부(45)의 단부가 사출물(1)의 표면을 긁거나 헤드부(45)의 둘레에 의해 형판의 표면마모에 의해 성형 불량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가동측형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젝터판의 작동에 따라 승강 작동되도록 후단이 연결되며, 가동측형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설치되는 작동로드와; 언더컷을 성형할 수 있는 언더컷성형부가 선단에 형성된 헤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헤드를 회동시켜 용이하게 사출물의 취출 및 사출물에 형성된 언더컷을 처리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와 헤드를 링크 연결하는 관절체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반복되는 취출 작업에도 피로가 누적되지 않아 파손 우려 없이 용이하게 언더컷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출물 및 사출금형에 긁힘이나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사출물 생산에 따른 불량률이 감소할 수 있고, 상기 관절체의 길이에 따라 언더컷을 처리하는 속도 및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절형 이젝트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출금형을 통해 성형된 사출물을 가동측금형의 가동측형판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언더컷을 처리하는 이젝트핀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핀은 상기 가동측형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고, 가동측형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젝터판에 후단이 연결되며, 상기 이젝터판의 승강 작동에 의해 상기 관통공을 따라 승강 작동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사출물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언더컷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선단 일측에 언더컷성형부가 형성된 헤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헤드를 회동시켜 용이하게 사출물 및 사출물에 형성된 언더컷 부분을 취출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와 헤드를 링크 연결하는 관절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이젝트핀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의 선단과 상기 헤드의 후단에는 링크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절체의 양단에는 상기 링크홈에 대응 결합되는 링크돌기가 연장형성되어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작동로드 및 헤드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배를 갖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또는 가이드부싱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의 승강에 의해 상기 헤드가 가이드홈을 따라 출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반복되는 취출 작업에도 피로가 누적되지 않아 파손 우려 없이 용이하게 언더컷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출물 및 사출금형에 긁힘이나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불량률이 감소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관절체의 길이에 따라 언더컷을 처리하는 속도 및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젝트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이젝트핀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젝트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젝트핀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젝트핀 다른 실시예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젝트핀 다른 실시예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젝트핀 다른 실시예 작동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동측금형(200)과 고정측금형(100)으로 이루어져 상호 형합(型合) 및 이형(離型)에 의해 사출물(1)을 성형하는 것으로 가동측금형(200)은 가동측설치판(220), 가동측형판(210)으로 이루어지고, 고정측금형(100)은 고정측설치판(120), 고정측형판(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사출금형은 형합하여 사출물(1)을 성형한 후 이형하여 사출물(1)을 취출하는데, 사출물(1)에 형성된 언더컷(2)을 처리하여 사출물(1)을 가동측형판(210)으로부터 분리하는 이젝트핀(400)이 설치된다.
상기한 이젝트핀(400)은 상기 가동측형판(210)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가동측형판(210)의 하측으로 스페이스블록(2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이젝터판(300)에 의해 승강 작동되어 상기 언더컷(2)이 형성된 사출물(1)을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젝트핀(400)은 상기 가동측형판(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젝터판(300)의 작동에 따라 승강 작동되도록 후단이 연결되며, 가동측형판(210)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관통설치되는 작동로드(410)가 구비된다.
상기 가동측형판(210)의 캐비티 측으로 출몰되도록 상기 관통공(211)에 삽입되며, 상측에 언더컷(2)을 성형할 수 있는 언더컷성형부(421)가 형성된 헤드(420)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로드(41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헤드(420)가 출몰될 수 있도록 작동로드(410)와 헤드(420)를 서로 링크 연결하는 관절체(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410)의 선단에는 링크홈(413)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420)의 후단에는 링크홈(423)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절체(430)의 양단에는 상기 링크홈(413,423)에 대응 결합되는 링크돌기(433)가 연장형성되어 상호 링크 결합된다.
또한, 상기 관통공(211)에는 상기 작동로드(410) 및 헤드(42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싱(50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헤드(420)는 사출물(1)에 형성되는 언더컷(2)의 형상에 따라 언더컷성형부(421)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헤드(420)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배를 갖는 가이드돌기(42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싱(500)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425)와 대응되는 가이드홈(510)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42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싱(500)에 형성된 가이드홈(510)을 따라 상기 가동측형판(210)에 출몰되며, 상기 사출물(1)의 언더컷(2)을 처리함은 물론 사출물(1)과 금형이 손상되지 않도록 경사지게 승강 된다.
또한, 사이 가이드부싱(500)과 마찬가지로 상기 관통공(211)의 내측면에 상기 헤드(42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425)와 대응되는 가이드홈(510)을 형성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싱(500)은 상기 관통공(211)에 결합할 때 설정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 하단 일측에 면취부(52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상기 작동로드(410)가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부시캡(530)을 더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가동측금형(200)의 캐비티에 용융된 액상수지물을 주입한 후 상기 고정측금형(100)이 가동측금형(200)으로 형합하여 사출물(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가동측금형(200)의 가동측형판(210)에는 상기 헤드(420)의 단부가 상기 가동측형판(210)의 캐비티 면과 동일면에 위치되어 상기 헤드(420)의 언더컷성형부(421)를 통해 사출물(1)에 형성되는 언더컷(2)을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사출물(1)을 성형한 후 상기 사출물(1)을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측금형(100)이 상승하여 서로 이형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형 된 후 상기 가동측금형(200)에 포함된 이젝터판(300)이 상승하면서, 상기 작동로드(410)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승하는 작동로드(410)는 링크연결된 관절체(430)에 의해 상기 헤드(420)의 단부가 상기 사출물(1)과 동일면을 이루며 상기 언더컷(2)으로부터 헤드(420)의 언더컷성형부(421)가 이탈되어 원활하게 처리된다.
상기 이젝터판(30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헤드(420)의 단부가 상기 가동측형판(210)의 캐비티 면과 동일면을 이루며 다음 성형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반복되는 취출 작업에도 피로가 누적되지 않아 파손 우려 없이 용이하게 언더컷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출물 및 사출금형에 긁힘이나 마모가 발생하지 않아 불량률이 감소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상기 관절체의 길이에 따라 언더컷을 처리하는 속도 및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사출물 2: 언더컷
200: 가동측금형 210: 가동측형판
211: 관통공 300: 이젝터판
400: 이젝트핀 410: 작동로드
413,423: 링크홈 420: 헤드
421: 언더컷성형부 425: 가이드돌기
430: 관절체 433: 링크돌기
500: 가이드부싱 510: 가이드홈

Claims (4)

  1. 사출금형을 통해 성형된 사출물(1)을 가동측금형(200)의 가동측형판(210)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언더컷(2)을 처리하는 이젝트핀(400)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핀(400)은 상기 가동측형판(210)에 형성된 관통공(211)에 삽입되고, 가동측형판(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젝터판(300)에 연결되며, 상기 이젝터판(300)의 승강 작동에 의해 상기 관통공(211)을 따라 승강 작동되는 작동로드(410)와;
    상기 사출물(1)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언더컷(2)을 성형할 수 있도록 선단 일측에 언더컷성형부(421)가 형성된 헤드(420)와;
    상기 작동로드(410)의 승강 작동에 따라 상기 헤드(420)를 회동시켜 용이하게 사출물(1) 및 사출물(1)에 형성된 언더컷(2) 부분을 취출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작동로드(410)와 헤드(420)를 링크 연결하는 관절체(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헤드(420)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배를 갖는 가이드돌기(42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11) 또는 가이드부싱(500)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425)와 대응되는 가이드홈(510)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410)의 승강에 의해 상기 헤드(420)가 가이드홈(510)을 따라 출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이젝트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410)의 선단과 상기 헤드(420)의 후단에는 링크홈(413,42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절체(430)의 양단에는 상기 링크홈(413,423)에 대응 결합되는 링크돌기(433)가 연장형성되어 상호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이젝트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11)에는 상기 작동로드(410) 및 헤드(420)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싱(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형 이젝트핀.
  4. 삭제
KR1020130052434A 2013-05-09 2013-05-09 관절형 이젝트핀 KR101443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434A KR101443522B1 (ko) 2013-05-09 2013-05-09 관절형 이젝트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434A KR101443522B1 (ko) 2013-05-09 2013-05-09 관절형 이젝트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522B1 true KR101443522B1 (ko) 2014-09-22

Family

ID=51760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434A KR101443522B1 (ko) 2013-05-09 2013-05-09 관절형 이젝트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973A (ko) * 2016-10-13 2018-04-23 임영은 코어가이드세트
KR20210000606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디피엠테크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제작 설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302Y1 (ko) * 2006-03-08 2006-06-08 유경정밀(주) 조인트 결합형 코어유니트를 갖는 사출금형
KR101234028B1 (ko) * 2012-05-07 2013-02-19 주식회사 삼우금형 복합 언더컷부 성형용 사출성형 금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302Y1 (ko) * 2006-03-08 2006-06-08 유경정밀(주) 조인트 결합형 코어유니트를 갖는 사출금형
KR101234028B1 (ko) * 2012-05-07 2013-02-19 주식회사 삼우금형 복합 언더컷부 성형용 사출성형 금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973A (ko) * 2016-10-13 2018-04-23 임영은 코어가이드세트
KR101945994B1 (ko) * 2016-10-13 2019-02-08 임영은 코어가이드세트
KR20210000606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디피엠테크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제작 설비
KR102269011B1 (ko) * 2019-06-25 2021-06-25 주식회사 디피엠테크 가이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경 제작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646B1 (ko) 블로우몰드유닛 및 그를 사용한 블로우성형장치
KR101443522B1 (ko) 관절형 이젝트핀
CN102336003A (zh) 注塑模具机械式锁紧油缸抽芯机构
CN213107990U (zh) 一种用于注塑模具的内缩脱模结构
CN105291382A (zh) 一种内外多方向抽芯注射模具
KR101753960B1 (ko) 3단 사출금형의 제품취출방법
US7543627B2 (en) Method of removing molded article and apparatus for same
CN109397645A (zh) 一种注塑模具内的带斜顶顶针的斜顶结构
KR102197381B1 (ko) 런너 자동 분리형 용기입구측 사출금형
KR102404773B1 (ko) 언더컷 부분 취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사출 성형 금형
KR200421065Y1 (ko) 슬라이드 코어 작동방향 보스 언더컷 처리 구조
US20170080605A1 (en) Mold and method of producing molded article using the mold
CN212171189U (zh) 注塑模具的斜顶早回行位机构
CN202388753U (zh) 开模装置
WO2023040049A1 (zh) 一种注塑模具交叉斜顶脱倒扣机构
KR200451371Y1 (ko) 내외측 이중 언더컷처리용 금형장치
CN107030994B (zh) 一种便于注塑模具内高柱位产品脱模的顶出结构
TWI552854B (zh)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olded article, a molding die and a molded article thereof
CN113733491A (zh) 一种用于注塑模具的二次抽芯结构
JP2003039508A (ja) 射出成形金型
KR20050064973A (ko) 슬라이드캠을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KR100849535B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 유니트
KR20160094630A (ko) 런너게이트 취출시 성형품 손상방지를 위한 2단 취출장치
JP2009126025A (ja) インサート成型品の製造装置
CN211993951U (zh) 乘用车后门槛料件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