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816B1 - 헤어라인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헤어라인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816B1
KR101442816B1 KR1020130041998A KR20130041998A KR101442816B1 KR 101442816 B1 KR101442816 B1 KR 101442816B1 KR 1020130041998 A KR1020130041998 A KR 1020130041998A KR 20130041998 A KR20130041998 A KR 20130041998A KR 101442816 B1 KR101442816 B1 KR 101442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airline
pattern section
pattern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재동
Original Assignee
어재동
(주)에스앤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재동, (주)에스앤디이엔지 filed Critical 어재동
Priority to KR102013004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라인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공대상물의 일 표면상에 여러 방향의 헤어라인을 손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패턴의 문양 복합적으로 형성된 제품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일 표면상에 헤어라인에 의한 문양을 구간별로 여러개 형성시킬 때, 각 문양마다 다른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헤어라인 문양을 국부적으로 형성시킬 때 해당 문양과 주변지점 간의 경계지점이 정확하고 매끄럽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각 헤어라인 문양마다 각기 다른 색상의 착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해당 헤어라인 문양과 주변지점 간의 경계라인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어라인 가공방법{PROCESSING METHOD FOR HAIRLINE}
본 발명은 금속 등의 가공대상물 표면에 해칭 형태의 헤어라인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표면상에 구간별로 다양한 방향의 헤어라인이 표현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 구간별로 다양한 색상의 표면착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품이 갖는 특유의 눈부심 등을 최소화 하거나 금속 특유의 질감을 갖는 문양을 형성시켜 외관상의 미감을 높이기 위해 연마재를 금속표면에 접촉시켜 미세 라인 형태로 깍아내는 헤어라인 가공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헤어라인 가공은 일 표면상에 동일한 방향의 헤어라인만을 가공할 수밖에 없어 전체적인 문양표면이 단순하여 헤어라인에 의한 외관성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일 표면상에 헤어라인에 의한 문양을 구간별로 국부적으로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에도, 각 문양마다 동일한 방향의 헤어라인이 형성될 수밖에 없으므로 입체감 등의 표면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일 표면상에 헤어라인에 의한 문양을 국부적으로 형성시킬 경우 해당 지점에 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연마재가 그 주변 지점 표면에도 접촉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해당 헤어라인 문양과 주변 지점 간의 경계지점이 명확히 구분되지 못하고 지저분하게 가공될 수밖에 없다.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이렇게 국부적으로 형성된 각 헤어라인 문양마다 착색을 하기도 하는데, 기존에는 각 문양마다 다른 색상의 착색을 실시할 경우, 역시 착색과정에서 주변지점까지 착색되어 각 문양간 경계지점이 지저분해질 우려가 크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각 문양마다 동일한 색상의 착색을 실시할 수밖에 없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041747(2006.05.12)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기본적으로 일 표면상에 여러 방향의 헤어라인을 손쉽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패턴의 문양 복합적으로 형성된 제품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헤어라인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일 표면상에 헤어라인에 의한 문양을 구간별로 여러개 형성시킬 때, 각 문양마다 다른 방향의 헤어라인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헤어라인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렇게 헤어라인 문양을 국부적으로 형성시킬 때 해당 문양과 주변지점 간의 경계지점이 정확하고 매끄럽게 구분될 수 있도록 한 헤어라인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각 헤어라인 문양마다 각기 다른 색상의 착색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해당 헤어라인 문양과 주변지점 간의 경계라인이 정확하고 깔끔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한 헤어라인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제1가림용 필름을 부착하는 제1마스킹공정, 상기 제1가림용 필름 중 상기 가공대상물의 제1문양구간에 해당하는 지점을 제거하여 상기 제1문양구간을 노출시키는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 상기 제1문양구간 표면에 연마재를 접촉시켜 일방향의 제1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 상기 제1가림용 필름을 제거하는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 상기 가공대상물 표면에 제2가림용 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제1문양구간과 주변지점을 덮는 제2마스킹공정, 상기 제2가림용 필름 중 상기 가공대상물 표면의 제2문양구간에 해당하는 지점을 제거하여 상기 제2문양구간을 노출시키는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 상기 제2문양구간 표면에 연마재를 접촉시켜 제2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을 통해 형성된 제2헤어라인은 상기 제1헤어라인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은 상기 연마재가 상기 가공대상물 표면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윤활재를 상기 제1가림용 필름과 상기 제1문양구간 간 경계지점 부근에 도포시키는 제1윤활재 도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은 상기 연마재가 상기 가공대상물 표면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윤활재를 상기 제2가림용 필름과 상기 제2문양구간 간 경계지점 부근에 도포시키는 제2윤활재 도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가림용 필름과 상기 제2가림용 필름은 각각 복수개의 필름이 상하 적층되어 있고 각 적층필름 사이에는 완충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과 상기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제1문양구간 표면을 세척하는 제1세척공정, 상기 제1세척공정과 상기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제1문양구간 표면을 착색하는 제1착색공정, 상기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 후 실시되고 상기 제2문양구간 표면을 세척하는 제2세척공정, 상기 제2세척공정 후 실시되고 상기 제2문양구간 표면을 착색하는 제2착색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제1문양지점에 제1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제1문양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제1가림용 필름으로 덮여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헤어라인이 제1문양지점 내에만 정확히 형성될 수 있어 제1문양지점과 주변지점 간의 경계지점이 명확하고 깔끔하게 가공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2문양지점에 제2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도 제2문양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이 제2가림용 필름으로 덮여 있는 상태이므로, 제2헤어라인도 제1문양지점을 비롯한 주변 지점을 침범하지 않고 제2문양지점 내에만 정확히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렇게 각 문양지점마다 각각 개별적으로 헤어라인 형성이 가능함에 따라 각 문양지점의 헤어라인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문양의 입체감 등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 2헤어라인 형성공정 과정에서 윤활재가 제1, 2가림용 필름과 제1, 2문양구간 간 경계지점 부근에 도포되기 때문에, 연마재가 제1, 2가림용 필름 중 각 문양구간 테두리 부근에 접촉되더라도 각 가림용 필름의 테두리가 들뜨거나 마모되는 현상이 최소화 된다.
따라서 각 문양구간의 헤어라인이 주변 지점으로 침범하지 않고 정확히 해당 문양구간내에만 정확히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가림용 필름과 제2가림용 필름이 각각 복수필름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되 각 적층필름 사이에 완충재가 형성됨에 따라, 연마재와의 접촉 시 각 가림용 필름이 찢어져 연마재가 가공대상물 표면과 원치않게 접촉되는 현상이 최소화 됨은 물론,
위층의 필름이 찢어지더라도 완충재가 연마재와 접촉되어 아래층의 필름과 연마재 간의 마찰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제일 아래층의 필름이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더불어 제1헤어라인 형성 후 제1가림용 필름이 주변을 덮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1문양지점에만 정확히 착색이 가능하고, 제2헤어라인 형성 후에도 제2가림용 필름이 제1문양지점을 비롯한 주변지점을 덮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제2문양지점에만 정확히 착색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이렇게 제1, 2가림용 필름에 의해 제1문양지점과 제2문양지점에 개별적인 착색이 가능하므로 각 문양지점마다 다른 색상의 착색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도1은 전체 헤어라인 가공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
도2는 제1마스킹공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3은 도2의 측단면도
도4는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5는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6은 도5의 측단면도
도7은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 과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8은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이 이루어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9는 제1세척공정 후 제1착색공정이 이루어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10은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11은 제2마스킹공정이 이루어진 상태의 평면개략도
도12는 도11의 측단면도
도13은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이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개략도
도14는 도13의 측단면도
도15는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이 이루어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16은 도15의 평면개략도
도17은 제2세척공정 후 제1착색공정이 이루어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18은 제2가림용 필름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 개략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헤어라인 가공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1마스킹공정(S100)과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S200),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S300),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S500), 제2마스킹공정(S600),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S700),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S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제1마스킹공정(S1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가공대상물(1) 중 헤어라인 가공이 적용될 표면 전체에 제1가림용 필름(10)을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이때 사용되는 제1가림용 필름(10)은 특정지점의 헤어라인 가공 시 연마재가 그 주변 지점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가림용 필름(10)은 폴리이미드(polyimide)재질이 사용되는데, 해당 재질은 타 재질에 비해 내 마모성이 높아 후술하는 제1, 2헤어라인 형성공정(S300)(S800)에서 연마재와 접촉되더라도 원치 않게 찢어지는 등의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광기 등에 의한 감광성이 높아 후술하는 제1, 2문양구간 노출공정(S200)(S700) 시 에칭 약품과의 반응에 의한 제거가 쉬운 장점을 가진다.
물론 제1가림용 필름(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어라인 형성공정 과정에서 연마재와의 접촉 시 금속대상물 표면의 보호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특정지점이 손쉽게 가공대상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기타 다양한 재질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제1가림용 필름(10)은 [도 3]처럼 낱장이 아니라 복수개의 필름이 상하 적층된 형태이되, 각 적층필름 사이에는 완충재(12)가 도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완충재(12)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데, 기본적으로 각 적층필름 간의 접착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연마재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율을 최소화 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이다.
먼저 제1가림용 필름(10)을 적층구조로 구현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제1가림용 필름(10)의 두께를 두껍게 함에 따라,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S300) 과정에서 연마재와 접촉되더라도 찢어짐 현상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각 적층필름 사이에 완충재(12)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완충재(12)를 각 적층필름 사이에 도포시키는 이유는, 완충재(12)가 각 적층필름 간의 접착기능을 함과 동시에 위층의 적층필름이 연마재에 의해 찢어질 경우 아래층의 적층필름과 연마재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제일 아래층의 적층필림이 찢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완충재(12)는 특정재질로 한정되지 않고 각 적층필름 간의 접착기능과 더불어 연마재에 의한 마찰력을 줄일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선택적용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제1가림용 필름(10)은 반드시 적층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연마재와의 마찰 시 찢어짐의 우려가 없을 정도의 두께를 갖는 낱장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완충재도 생략이 가능하다.
제1마스킹공정(S100)이 완료되면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S200)을 실시한다.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S200)은 제1가림용 필름(10) 중 가공대상물(1) 표면에 제1헤어라인이 가공될 지점, 즉 제1문양구간(30)과 마주하는 지점을 제거하여 가공대상물(1) 표면의 제1문양구간(3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노광기를 통해 제1가림용 필름(10) 중 제1문양구간(30)에 해당하는 지점에 노광과정을 실시하여 해당 지점에 감광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 일반적인 애칭용액을 해당지점에 접촉시키면 제1문양구간(30)에 해당하는 지점만이 떼어져 분리제거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로 인해 [도 4] 및 [도 5]와 같이 가공대상물(1) 표면의 제1문양구간(30)만이 제1가림용 필름(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참고로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S200)은 이러한 노광 및 애칭용액에 의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단순 절개방식 등을 통해서도 실시될 수 있다.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S200)이 완료되면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S300)을 실시한다.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S300)은 위 과정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1문양구간(30) 표면에 제1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브러시 형태의 연마재(20)가 제1가림용 필름(10) 표면 전체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제1문양구간(30) 표면과 접촉되어 제1문양구간(30) 표면을 깍아내 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가공대상물(1) 표면 중 제1문양구간(30)을 제외한 그 주변이 제1가림용 필름(10)에 의해 덮여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연마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가림용 필름에 의해 덮여져 있는 구간은 연마재와의 접촉이 차단되고, 오로지 제1문양구간(30)의 표면만 연마재와 접촉된다.
따라서 제1헤어라인은 제1문양구간(30)내 구간에만 정확히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연마재(20)가 제1문양구간(30)과 제1가림용 필름(10) 간 경계지점을 지나면서 제1가림용 필름(10)의 테두리가 깍여지기는 한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1가림용 필름(10)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일 위층의 적층필름이 깍여지더라도 연마재가 제일 아래층의 적층필름과 곧바로 접촉되지 않고 우선 완충재(12)와 접촉되므로 제일 아래층의 적층필름을 뚫고 가공대상물(1) 표면 중 제1문양구간(30) 주변면에 접촉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제1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제1헤어라인이 제1문양구간(30)을 넘어 주변지점까지 침범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S300)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1윤활재 도포단계(S310)를 함께 진행하는데, 제1윤활재 도포단계(S310)는 연마재(20)가 제1가림용 필름(10)의 테두리를 깍아내는 현상을 최소화 시키는 과정으로, 별도의 윤활재(60)를 제1가림용 필름(10)과 제1문양구간(30) 간 경계지점 부근에 도포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사용되는 윤활재(60)는 경유 등 자체적으로 미끌미끌한 성질의 액상 상태로 사용되고, 이러한 윤활재(60)가 도포됨에 따라 연마재와 제1가림용 필름(10)간 마찰력이 최소화됨에 따라 제1가림용 필름(10)의 마모율이 저하되어, 결국 제1가림용 필름(10)이 연마재와의 마찰에 의해 찢어지는 등의 현상이 최소화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가림용 필름(10)의 적층구조와 더불어 윤활재(60) 도포에 의해 연마재가 가공대상물 표면 중 제1문양구간(30) 주변면에 원치않게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물론 윤활재(60)는 제1가림용 필름(10)이 적층구조가 아닌 단층 구조일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제1가림용 필름의 두께나 재질등에 의해 찢어짐 현상이 우려되지 않는다면 제1윤활재 도포단계(S310)는 생략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S300)을 거치게 되면 [도 7]과 같이 제1문양구간(30) 표면에는 제1헤어라인이 일방향을 향해 형성된 상태가 되고, 제1헤어라인은 제1문양구간(30)을 벗어나지 않고 오로지 제1문양구간(30) 내에만 형성된 상태가 된다.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S300)이 완료되면 제1세척공정(S400)을 실시한다.
제1세척공정(S400)은 이후 실시될 제1착색공정(S410)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제1헤어라인 형성과정에서 가공대상물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분진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윤활재를 닦아내어 후술하는 제1착색공정(S410)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때 제1세척공정(S400)은 세정수를 이용하거나 초음파세정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1세척공정(S400)이 완료되면 제1착색공정(S410)을 실시한다.
제1착색공정(S410)은 제1헤어라인이 형성된 상태의 제1문양구간(30) 표면에 착색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가공대상물을 염료에 침전시켜 염료가 제1문양구간(30) 표면에 증착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염료를 제1문양구간(30) 표면에 분무하여 도포시키는 방식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가공대상물(1)의 표면은 제1문양구간(30)을 제외하고 제1가림용 필름(10)에 의해 덮여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염료는 제1문양구간(30)에만 도포 또는 증착되어 착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착색과정에서 염료가 제1문양구간(30)의 주변면까지 침범함에 따라 제1문양구간(30)과 그 주면면 간의 경계지점의 착색 상태가 불량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참고로 제1착색공정(S410)은 필요에 따라 제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1착색공정(S410) 없이 단순히 제1헤어라인만을 통해 표면가공 표현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면 제1착색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제1착색공정(S410)이 완료되면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S500)을 실시한다.
이는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S500)을 가공대상물(1)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과정으로, 이렇게 제1가림용 필름(10)이 제거되면 [도 8]과 같이 가공대상물(1) 표면 중 제1문양구간(30)에만 헤어라인이 형성됨은 물론, 제1문양구간(30)에만 착색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S500)이 완료되면 제2마스킹공정(S600)을 실시한다.
제2마스킹공정(S600)은 제1가림용 필름(10)이 제거된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별도의 제2가림용 필름(50)을 다시 가공대상물(1) 표면 전체에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이때 사용되는 제2가림용 필름(50)은 제1가림용 필름(10)처럼 후술할 제2문양구간(40)에 헤어라인 가공 시 연마재가 제1문양구간(30)을 비롯한 그 주변 지점에 불필요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가림용 필름(50)은 제1가림용 필름(10)과 동일한 재질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동일한 적층구조 및 완충재 도포 구조를 갖는다.
물론 제2가림용 필름(50)도 필요에 따라 완충재가 생략된 상태의 낱장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림용 필름(50)이 가공대상물(1) 표면 전체에 부착됨에 따라 [도 10]과 같이 제1문양구간(30)도 제2가림용 필름(50)에 의해 덮여진 상태가 된다.
제2마스킹공정(S600)이 완료되면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S700)을 실시한다.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S700)은 제2가림용 필름(50) 중 가공대상물(1) 표면에 제2헤어라인이 가공될 지점, 즉 제2문양구간(40)과 마주하는 지점을 제거하여 가공대상물(1) 표면의 제2문양구간(4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S200)과 마찬가지로 노광기 및 애칭용액 등을 이용해 제2가림용 필름(50) 중 제2문양구간(40)에 해당하는 지점만을 떼어내 분리제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로 인해 [도 11] 및 [도 12]와 같이 가공대상물(1) 표면의 제1문양구간(30)은 제2가림용 필름(50)에 의해 덮여진 상태에서 제2문양구간(40)만이 제2가림용 필름(5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참고로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S700)의 방식도 노광 및 애칭용액에 의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구현될 수 있다.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S700)이 완료되면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S800)을 실시한다.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S800)은 위 과정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제2문양구간(40) 표면에 제2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S300)과 마찬가지로 연마재(20)가 제2가림용 필름(50) 표면 전체를 따라 직선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제2문양구간(40) 표면과 접촉되어 제2문양구간(40) 표면을 깍아내 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가공대상물(1) 표면 중 제2문양구간(40)을 제외한 그 주변이 제2가림용 필름(50)에 의해 덮여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연마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문양구간(30)을 비롯해 제2가림용 필름(50)에 의해 덮여져 있는 구간은 연마재와의 접촉이 차단되고, [도 13] 및 [도 14]처럼 오로지 제2문양구간(40)의 표면만 연마재와 접촉된다.
따라서 제2헤어라인은 제2문양구간(40)내 구간에만 정확히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도 연마재(20)가 제2문양구간(40)과 제2가림용 필름(50) 간 경계지점을 지나면서 제2가림용 필름(50)의 테두리가 깍여지기는 한다.
하지만 제2가림용 필름(50)도 제1가림용 필름(10)처럼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제일 위층의 적층필름이 깍여지더라도 연마재가 제일 아래층의 적층필름과 곧바로 접촉되지 않고 우선 완충재와 접촉되므로 연마재가 제일 아래층의 적층필름을 뚫고 가공대상물(1) 표면 중 제2문양구간(40) 주변면에 접촉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제2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제2헤어라인이 제2문양구간(40)을 넘어 주변지점까지 침범하는 현상이 최소화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S800)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제2윤활재 도포단계(S810)를 함께 진행하는데, 제2윤활재 도포단계(S810)는 제1윤활재 도포단계(S310)처럼 연마재(20)가 제2가림용 필름(50)의 테두리를 깍아내는 현상을 최소화 시키는 과정으로,
별도의 윤활재(60)를 제2가림용 필름(50)과 제2문양구간(40) 간 경계지점 부근에 도포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사용되는 윤활재(60)도 경유 등 자체적으로 미끌미끌한 성질의 액상 상태로 사용되고, 이러한 윤활재(60)가 도포됨에 따라 연마재와 제2가림용 필름(50)간 마찰력이 최소화됨에 따라 제2가림용 필름(50)의 마모율이 저하되어, 결국 제2가림용 필름(50)이 연마재와의 마찰에 의해 찢어지는 등의 현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가림용 필름(50)의 적층구조와 더불어 윤활재(60) 도포에 의해 연마재(20)가 가공대상물(1) 표면 중 제2문양구간(40) 주변면에 원치않게 접촉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물론 제2가림용 필름(50)의 두께나 재질 등에 따라 찢어짐 현상이 우려되지 않는다면 제2윤활재 도포단계(S810)도 생략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S800)을 거치게 되면 [도 14]와 같이 제2문양구간(40) 표면에는 제2헤어라인이 일방향을 향해 형성된 상태가 되고, 제2헤어라인은 제2문양구간(40)을 벗어나지 않고 오로지 제2문양구간(40) 내에만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때 제2헤어라인은 제1문양구간(30)의 제1헤어라인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시킴에 따라 추후 제2가림용 필름(50)을 제거하였을 때 제1문양구간(30)과 제2문양구간(40)은 상호 다른 패턴의 헤어라인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이는 결국 각 문양구간에 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가림용 필름이 타 문양구간을 덮고 있음에 따라, 각 문양구간 별로 개별적인 헤어라인 가공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S800)이 완료되면 제2세척공정(S900)을 실시한다.
제2세척공정(S900)은 이후 실시될 제2착색공정(S910)을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제2헤어라인 형성과정에서 가공대상물(1)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분진등을 제거함과 동시에 윤활재를 닦아내어 후술하는 제2착색공정(S910)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때 제2세척공정(S900)도 제1세척공정(S400)과 마찬가지로 세정수를 이용하거나 초음파세정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제2세척공정(S900)이 완료되면 제2착색공정(S910)을 실시한다.
제2착색공정(S910)은 제2헤어라인이 형성된 상태의 제2문양구간(40) 표면에 착색을 실시하는 과정으로, 제1착색공정(S410)과 마찬가지로 가공대상물(1)을 염료에 침전시켜 염료가 제2문양구간(40) 표면에 증착되는 방식을 이용하거나 염료를 제2문양구간(40) 표면에 분무하여 도포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가공대상물(1)의 표면 중 제1문양구간(30)을 비롯해 제2문양구간(40)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제2가림용 필름(50)에 의해 덮여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염료는 제2문양구간(40)에만 도포 또는 증착되어 착색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문양구간(30)의 착색 색상과 제2문양구간(40)의 착색 색상을 달리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제2착색공정(S910)도 필요에 따라 제품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2착색공정(S910) 없이 단순히 제2헤어라인만을 통해 표면가공 표현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면 제2착색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제2착색공정(S910)이 완료되면 제2가림용 필름 제거공정(S1000)을 실시한다.
이는 제2가림용 필름 제거공정(S1000)을 가공대상물(1)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과정으로, 이렇게 제2가림용 필름(50)이 제거되면 [도 15]와 같이 가공대상물(1) 표면 중 제1문양구간(30)과 제2문양구간(40)에는 각각 다른 패턴의 헤어라인이 형성됨과 동시에 다른 색상으로 착색이 이루어진 상태가 된다.
참고로 가공대상물(1) 표면의 문양 형태나 개수 등에 따라 위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해 제3문양구간을 비롯해 추가적인 문양구간에 대한 개별적인 헤어라인 형성 및 착색이 이루어질 수 있다.
S100 : 제1마스킹공정 S200 :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
S300 :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 S310 : 제1윤활재 도포단계
S400 : 제1세척공정 S410 : 제1착색공정
S500 :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 S600 : 제2마스킹공정
S700 :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 S800 :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
S810 : 제2윤활재 도포단계 S900 : 제2세척공정
S910 : 제2착색공정 S1000 : 제2가림용 필름 제거공정
10 : 제1가림용 필름 12 : 완충재
20 : 연마재 30 : 제1문양구간
40 : 제2문양구간 50 : 제2가림용 필름
60 : 윤활재 1 : 가공대상물

Claims (5)

  1. 가공대상물의 표면에 제1가림용 필름을 부착하는 제1마스킹공정,
    상기 제1가림용 필름 중 상기 가공대상물의 제1문양구간에 해당하는 지점을 제거하여 상기 제1문양구간을 노출시키는 제1문양구간 노출공정,
    상기 제1문양구간 표면에 연마재를 접촉시켜 일방향의 제1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
    상기 제1가림용 필름을 제거하는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
    상기 가공대상물 표면에 제2가림용 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제1문양구간과 주변지점을 덮는 제2마스킹공정,
    상기 제2가림용 필름 중 상기 가공대상물 표면의 제2문양구간에 해당하는 지점을 제거하여 상기 제2문양구간을 노출시키는 제2문양구간 노출공정,
    상기 제2문양구간 표면에 연마재를 접촉시켜 제2헤어라인을 형성시키는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
    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림용 필름과 상기 제2가림용 필름은 각각 복수개의 필름이 상하 적층되어 있고 각 적층필름 사이에는 완충재가 형성되어 있는
    헤어라인 가공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을 통해 형성된 제2헤어라인은 상기 제1헤어라인과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헤어라인 가공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은,
    상기 연마재가 상기 가공대상물 표면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윤활재를 상기 제1가림용 필름과 상기 제1문양구간 간 경계지점 부근에 도포시키는 제1윤활재 도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은,
    상기 연마재가 상기 가공대상물 표면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윤활재를 상기 제2가림용 필름과 상기 제2문양구간 간 경계지점 부근에 도포시키는 제2윤활재 도포단계를 포함하는
    헤어라인 가공방법.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제1헤어라인 형성공정과 상기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제1문양구간 표면을 세척하는 제1세척공정,
    상기 제1세척공정과 상기 제1가림용 필름 제거공정 사이에 실시되고 상기 제1문양구간 표면을 착색하는 제1착색공정,
    상기 제2헤어라인 형성공정 후 실시되고 상기 제2문양구간 표면을 세척하는 제2세척공정,
    상기 제2세척공정 후 실시되고 상기 제2문양구간 표면을 착색하는 제2착색공정
    을 더 포함하는 헤어라인 가공방법.
KR1020130041998A 2013-04-17 2013-04-17 헤어라인 가공방법 KR101442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998A KR101442816B1 (ko) 2013-04-17 2013-04-17 헤어라인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998A KR101442816B1 (ko) 2013-04-17 2013-04-17 헤어라인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816B1 true KR101442816B1 (ko) 2014-09-23

Family

ID=5176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998A KR101442816B1 (ko) 2013-04-17 2013-04-17 헤어라인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8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641B1 (ko) 2017-03-10 2017-11-17 주식회사 한국디자인 장식문양이 인각된 알루미늄 패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393A (ko) * 1994-10-25 1996-05-22 이희종 착색 및 입체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9646A (ko) * 2005-06-13 2006-12-18 이해식 금속재 키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금속재 키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393A (ko) * 1994-10-25 1996-05-22 이희종 착색 및 입체표면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9646A (ko) * 2005-06-13 2006-12-18 이해식 금속재 키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금속재 키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641B1 (ko) 2017-03-10 2017-11-17 주식회사 한국디자인 장식문양이 인각된 알루미늄 패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32804B (zh) 阳极化和镀覆表面处理
KR20140000549A (ko) 하우징 가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87067A (ko)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
EP3218169A1 (en) Method for counteracting stresses during 3d printing
KR101442816B1 (ko) 헤어라인 가공방법
JPH041078B2 (ko)
JP2015215412A (ja) 金属製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金属製表示パネル
US2028013A (en) Ornamentation
JP6405116B2 (ja) 金属製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金属製表示パネル
KR101244143B1 (ko) 안경테 표면에 돌출되는 문양의 두께 조절이 가능한 양각도금방법
JP2015174163A (ja) ワイヤー工具
US7285319B1 (en) Engraved surface and method
US628348A (en) Process of ornamenting metals.
KR101557093B1 (ko) 투톤 도색 방법
JP5825733B1 (ja) 金めっき装飾品、模擬刀及びその金めっき方法
CN111806138A (zh) 一种金丝彩绘画的制作工艺
WO2008142207A1 (en) Method for coating transparent plastic products
EP2050581A2 (en) Process for decorating metal articles, in particular taps and fittings
KR20160085670A (ko) 휴대 단말기용 고내구성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3677B1 (ko) 필름을 이용한 금속 표면의 가공 방법 및 그 가공 방법에 의해 가공된 금속 재질의 내외장재
CN107829066A (zh) 一种着色工艺、产品
JP7144861B2 (ja) 車両用ホイールのロゴ部形成方法
CN107264160B (zh) 首饰表面图案反向着色工艺
TW201834877A (zh) 超薄轉印膜及其製備方法
TH1801005388A (th) ชิ้นงานแปรรูปโลหะและวิธีปรับปรุงพื้นผิวของชิ้นงานแปรรูปโลห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