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793B1 -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 Google Patents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793B1
KR101441793B1 KR1020130019390A KR20130019390A KR101441793B1 KR 101441793 B1 KR101441793 B1 KR 101441793B1 KR 1020130019390 A KR1020130019390 A KR 1020130019390A KR 20130019390 A KR20130019390 A KR 20130019390A KR 101441793 B1 KR101441793 B1 KR 101441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upport
adult
seat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301A (ko
Inventor
김빈
Original Assignee
김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빈 filed Critical 김빈
Priority to KR102013001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793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 A47C7/506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coupled to fixed parts of the chair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성인의 상체 높이 정도로 상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쿠션이 내재되어 착석시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측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쿠션이 내재되어 착석시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방석부; 상기 방석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석부의 상부와 평행하게 접히거나, 상기 방석부와 수직하게 상기 방석부의 하부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방석부의 양 측면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컵받침대가 형성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기능 없이 소정 높이로 고정된 종래 영화관 좌석에 지지대를 형성한 후, 아동이나 앉은 키가 작은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를 보조 쿠션 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영화 관람시 시야가 앞사람에 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일반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를 발 받침대로 사용하도록 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THEATER CHAIR FOR BOTH ADULT AND CHILD}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기능 없이 소정 높이로 고정된 종래 영화관 좌석에 지지대를 형성한 후, 아동이나 앉은 키가 작은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를 보조 쿠션 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영화 관람시 시야가 앞사람에 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일반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를 발 받침대로 사용하도록 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극장 문화가 대중화되면서 영화관이나 극장에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나 연극 외에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나 연극과 같은 콘텐츠가 다수 상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영화관이나 극장들은 아동 전용관으로 운영되기보다는 성인들을 주 타깃으로 하는 영화나 연극과 아동들을 주 타깃으로 하는 영화나 연극을 시간대에 따라 병행해 상영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위 영화관이나 극장에 설치된 좌석은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아동들은 앞좌석 또는 앞사람의 머리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어 편안한 관람을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영화관이나 극장에서는 별도의 쿠션 등과 같은 받침을 구비하고 있다가 원하는 손님이 있는 경우 이를 제공해 주고 있기는 하나, 위와 같은 받침의 대여 및 반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불편하고, 상기 쿠션 등은 좌석에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시간 착석시 불편함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아동들에게 일반적으로 2시간 가까이 소요되는 영화 등의 상영시간 동안 위와 같은 쿠션 위에 가만히 앉아 있기를 요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때문에 많은 부모들이 영화 관람시 자녀들을 자기 무릎에 앉힌 상태에서 영화를 관람하는 불편을 감수하기도 한다. 또한 앉은 키가 작은 성인들로 하여금 영화 관람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상기 쿠션을 대여하도록 하는 것은 인격권 침해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10. 12. 28. 공개된 공개번호 제10-2010-0136317호, 발명의 명칭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를 통하여 아동들도 편안하게 영화나 연극을 관람할 수 있도록 개선된 영화관이나 극장의 좌석이 개시된바 있다. 위 종래 발명은 좌판 및 상기 좌판의 양측에 마련된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팔걸이부의 내측에는 앉은 키 향상을 위한 보조 쿠션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관람자가 상기 보조 쿠션을 좌판에 내리깔고 그 위에 앉아 영화나 연극 등을 관람하도록 함으로써 아동과 같이 앉은 키가 작은 사람들도 쿠션 등과 같은 별도의 받침을 휴대할 필요 없이, 편안하게 영화나 연극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발명의 의하면 상기 보조 쿠션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쿠션이 팔걸이부의 안쪽면에 좌판과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기 때문에 상기 양쪽 쿠션의 두께만큼 착석 공간이 좁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 성인들의 경우에도 신발을 벗고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 속에서 영화를 관람하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화관 좌석에는 관람자가 발을 얹어 놓을 수 있는 발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관람자들의 위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기능 없이 소정 높이로 고정된 종래 영화관 좌석에 지지대를 형성한 후, 아동이나 앉은 키가 작은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를 보조 쿠션 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영화 관람시 시야가 앞사람에 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일반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를 발 받침대로 사용하도록 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성인의 상체 높이 정도로 상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쿠션이 내재되어 착석시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측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쿠션이 내재되어 착석시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방석부; 상기 방석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석부의 상부와 평행하게 접히거나, 상기 방석부와 수직하게 상기 방석부의 하부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방석부의 양 측면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컵받침대가 형성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이 제공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화관 좌석은 상기 방석부의 타측 좌우측부에 한쌍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양단과 결합되고, 상기 방석부의 타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힌지부 중 적어도 한쪽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상기 방석부의 상부와 평행하게 접히도록 상기 지지대에 상시 회동의 힘을 가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외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지지대의 본체와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부드럽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뒷면에는 쿠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방석부와 수직하게 아래로 회동시 발 받침대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기능 없이 소정 높이로 고정된 종래 영화관 좌석에 지지대를 형성한 후, 아동이나 앉은 키가 작은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를 보조 쿠션 대용으로 사용하도록 하여 영화 관람시 시야가 앞사람에 가리는 것을 방지하고, 일반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를 발 받침대로 사용하도록 하여 보다 안락한 자세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은 일반 성인의 상체 높이 정도로 상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쿠션이 내재되어 착석시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00),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측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쿠션이 내재되어 착석시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방석부(200), 상기 방석부(2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석부(200)의 상부와 평행하게 접히거나, 상기 방석부(200)와 수직하게 상기 방석부(200)의 하부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300), 및 상기 방석부(200)의 양 측면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컵받침대(410)가 형성되는 팔걸이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은 상기 방석부(200)의 타측 좌우측부에 한쌍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300)의 양단과 결합되고, 상기 방석부(200)의 타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300)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힌지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힌지부(310) 중 적어도 한쪽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300)가 상기 방석부(200)의 상부와 평행하게 접히도록 상기 지지대(300)에 상시 회동의 힘을 가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스프링(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평상시에는 상기 방석부(200) 위에 뒷면(도 1에 도시된 지지대의 보이지 않는 면)이 보이도록 위치하다가 관람자가 상기 한쌍의 힌지부(310)를 연결하는 상기 방석부(200)의 타측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300)를 아래로 내리는 경우 상기 관람자의 다리가 상기 지지대(300)의 앞면과 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는 상기 힌지부(310)와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된 절곡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는 상기 지지대(300)의 본체(330)와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부드럽게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320)는 상기 지지대(300)가 상기 힌지부(310)에 의하여 회동 되기 전에는 상기 방석부(200)와 사이에 상기 절곡부의 길이(A) 만큼 소정 간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간격만큼 사용자의 착석시 관람 시야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아동이나 앉은 키가 작은 성인들의 경우 상기 지지대(300)가 상기 방석부(200) 위에 놓이도록 한 뒤 그 위에 착석하여 영화를 감상함으로써 영화 감상 시 작은 앉은 키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시야 방해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는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지지대(300)의 뒷면에 착석한 후 2시간 가까이 영화를 감상해야 하는 관람자의 보다 편안한 영화 관람을 위하여 상기 지지대(300)의 뒷면에는 쿠션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춘자의 선택에 좇아 상기 쿠션부는 상기 등받이부(100) 또는 상기 방석부(200)와 동일한 재질로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300)가 설치된 좌석에 일반 성인이 앉게 되는 경우 관람자는 상기 지지대(300)를 상기 방석부(200)와 수직하게 아래로 회동시킨 후 상기 방석부(200)에 착석하여 영화를 감상할 수 있다. 이때 보다 편안한 영화 감상을 위하여 관람자는 상기 지지대(300)의 타단에 형성된 절곡부(320)를 발 받침대로 활용해 좀더 안락하게 영화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지지대(300)는 아동이나 앉은 키가 작은 성인들에게는 방석부(200)의 높이를 상기 절곡부(320)의 길이(A) 만큼 높여주는 기능을 하게 되고, 일반 성인들에게는 영화 관람 시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 받침대로 기능하게 되어, 상기 지지대(300)가 형성된 좌석은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로써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등받이부
200 : 방석부
300 : 지지대
310 : 힌지부
320 : 절곡부
330 : 지지대 본체
400 : 팔걸이부
410 : 컵받침대

Claims (7)

  1. 내부에 쿠션이 내재되어 착석시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측방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쿠션이 내재되어 착석시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방석부;
    상기 방석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석부의 상부와 평행하게 접히거나, 상기 방석부와 수직하게 상기 방석부의 하부로 회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및
    상기 방석부의 양 측면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컵받침대가 형성되는 팔걸이부; 및
    상기 방석부의 타측 좌우측부에 한쌍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양단과 결합되고, 상기 방석부의 타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지지대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힌지부 중 적어도 한쪽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가 상기 방석부의 상부와 평행하게 접히도록 상기 지지대에 상시 회동의 힘을 가하는 소용돌이 형상의 스프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외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지지대의 본체와 90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부드럽게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뒷면에는 쿠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방석부와 수직하게 아래로 회동시 발 받침대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KR1020130019390A 2013-02-22 2013-02-22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KR101441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90A KR101441793B1 (ko) 2013-02-22 2013-02-22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390A KR101441793B1 (ko) 2013-02-22 2013-02-22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01A KR20140105301A (ko) 2014-09-01
KR101441793B1 true KR101441793B1 (ko) 2014-10-30

Family

ID=5175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390A KR101441793B1 (ko) 2013-02-22 2013-02-22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79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815A (ja) * 1986-10-30 1988-05-17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KR20060002613A (ko) * 2004-07-02 2006-01-09 김성수 극장용의자의 음식물 받침대
KR20060067933A (ko) * 2006-05-22 2006-06-20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815A (ja) * 1986-10-30 1988-05-17 コクヨ株式会社 椅子
KR20060002613A (ko) * 2004-07-02 2006-01-09 김성수 극장용의자의 음식물 받침대
KR20060067933A (ko) * 2006-05-22 2006-06-20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301A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455B2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KR101479647B1 (ko) 유아용 식탁 의자
KR101503516B1 (ko) 의자 겸용 미끄럼틀
KR101441793B1 (ko) 성인 아동 겸용 영화관 좌석
JP2024031988A (ja) 自己適応連動制御の機能シングルチェア
KR100886181B1 (ko) 장애인용 의자
WO2010076781A2 (en) A folded cushion for back support
US7134727B2 (en) Sofa lovers' sofa
US2593623A (en) Body rest for viewing television
KR20200032948A (ko) 배치가 자유로운 보조 등받이를 구비한 소파
JP5680933B2 (ja) ソファ及びソファとこたつを含むユニット家具
KR102298021B1 (ko)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영화관용 소파
KR20170001591U (ko) 소파
KR100806352B1 (ko) 의자 팔걸이 구조
KR100968026B1 (ko) 시트부의 요동 및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JP2017538557A (ja) 座席支持家具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JP3133194U (ja) 座椅子
KR101022761B1 (ko) 의자
JP3234095U (ja) 椅子
JP2007222590A (ja) リビングチェア
JP6105284B2 (ja) 椅子
CN209750442U (zh) 一种剧院、礼堂椅座背联动调节装置
KR20120016445A (ko) 원심축을 이용한 등받이의 기울기 조절 가능한 쇼파
JP2505131B2 (ja) ロビ―チ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