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522B1 -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 - Google Patents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522B1
KR101441522B1 KR1020147019467A KR20147019467A KR101441522B1 KR 101441522 B1 KR101441522 B1 KR 101441522B1 KR 1020147019467 A KR1020147019467 A KR 1020147019467A KR 20147019467 A KR20147019467 A KR 20147019467A KR 101441522 B1 KR101441522 B1 KR 101441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mator
irradiation
neutron
leaf
capture 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760A (ko
Inventor
츠요시 오가사와라
아키라 마루하시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 다이가쿠 호진 교토 다이가쿠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3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2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 A61N5/104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with spatial modulation of the radiation beam within the treatment head using a multi-leaf collimator, e.g. for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or IMRT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G21K1/04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using variable diaphragms, shutters, choppers
    • G21K1/046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using variable diaphragms, shutters, choppers varying the contour of the field, e.g. multileaf collim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85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articles applied to the patient
    • A61N2005/109Neut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2005/1092Details
    • A61N2005/1095Elements inserted into the radiation path within the system, e.g. filters or we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콜리메이터(6)에서는, 복수의 리프판(13B)을 좌우 방향(X)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으로써, 환부(T)에 대해서 조사 영역(F)을 정밀도 좋게 설정한다. 또한, 리프판(13B)의 분할 리프판(15)을 조사 방향(Y)으로도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사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분할 리프판(15)을 환자(P)의 체표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콜리메이터(6)와 환자(P)와의 사이의 간격을 좁혀, 중성자의 산일을 억제한다. 그 결과로서, 시간당 환부(T)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을 확보하여, 조사 시간을 단축한다.

Description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Collimator for neutron capture therapy and neutron capture therapy apparatus}
본 발명은,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기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환자의 체내의 환부에 대해서 중성자선을 조사하는 중성자선 조사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장치에서는, 타겟에 이온빔(하전 입자선)을 조사함으로써 중성자선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중성자선을 감속장치로 감속시킨 후에 환자를 향하여 출사한다.
이 장치는, 감속장치와 환자와의 사이에 배치된 콜리메이터를 가지고 있다. 이 콜리메이터는, 불화리튬 함유 폴리에틸렌 재료로 이루어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며, 그 중앙에는, 소정의 크기의 중성자 취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중성자 취출구의 크기는, 환자마다 조사 범위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다. 감속장치로부터 출사된 중성자는, 콜리메이터의 중성자 취출구를 통과함으로써 소정의 조사 범위에 성형된다.
환자의 환부에 중성자선이 조사되면, 미리 환부에 화합물로서 도입된 붕소와 중성자선이 핵반응하여, 중하전 입자선인 α선(He선)과 Li선이 생성되어, 이들 입자선에 의하여 환부의 세포가 파괴된다. 이 장치에서는, 환자를 싣는 재치대와 콜리메이터가, 중성자의 취출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콜리메이터의 중성자 취출구와 조사 목표와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하여, 조사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9-189725호 공보
상기한 치료법은, 중성자 포착요법(NCT;Neutron Capture Therapy)으로 불린다. 통상, 중성자 포착요법에서는, 치료 개시 전에 환부에 조사하는 중성자의 중성자 선량이 미리 정해져 있다. 상기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조사 정밀도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지만, 조사되는 부위에 따라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콜리메이터와 환자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콜리메이터를 통과한 중성자가, 환자의 체표에 도달하기까지 산일(散逸)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환부 이외의 조직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이 증가해 버린다. 또, 시간당 환부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이 부족해져, 소정의 중성자 선량을 환부에 조사하는 데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시간당 환부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을 확보하여, 조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는, 피조사체에 있어서의 조사 목표에 맞추어 중성자선의 조사 범위를 설정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로서, 중성자선의 조사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중첩된 복수의 리프판을 구비하고, 복수의 리프판 중 적어도 일부의 리프판은, 조사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함과 함께, 조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에 의하면, 복수의 리프판 중 적어도 일부의 리프판은 조사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조사 목표에 대해서 조사 범위를 정밀도 좋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의 리프판은, 조사 방향으로도 슬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피조사체의 조사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리프판의 변 가장자리를 피조사체의 표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콜리메이터와 피조사체와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중성자의 산일이 억제된다. 그 결과로서, 시간당 환부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이 확보되어, 조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상기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리프판은, 제2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 리프판을 가지고, 복수의 분할 리프판은, 조사 방향으로 각각 독립하여 슬라이드 가능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피조사체의 조사 부위가 제2 방향에 걸쳐 둥글게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분할 리프판을 조사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리프판의 변 가장자리를 조사 부위의 표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중성자의 산일이 보다 더욱 억제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는, 피조사체에 있어서의 조사 목표에 맞추어 중성자선의 조사 범위를 설정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로서, 중성자선의 조사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복수 매 중첩됨과 함께, 복수 매 중 적어도 일부는 조사 방향 및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적어도 4개의 분할 리프판으로 분할된 리프판과, 리프판을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방향 지지부와, 제2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리프판 중 내측의 분할 리프판을 조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사 방향 지지부를 구비해도 된다.
이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에 의하면, 내측의 분할 리프판은, 조사 방향으로도 슬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피조사체의 조사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리프판의 변 가장자리를 피조사체의 표면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콜리메이터와 피조사체와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중성자의 산일이 억제된다. 그 결과로서, 시간당 환부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이 확보되어, 조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조사 방향 지지부는, 조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분할 리프판에 인접하는 분할 리프판에 마련됨과 함께, 조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분할 리프판의 단부를 거는 걸이부여도 된다. 이 경우, 외측의 분할 리프판이 조사 방향 지지부를 겸하므로, 내측의 분할 리프판을 지지하는 부재를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콜리메이터 전체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중성자 포착요법장치는, 중성자선을 발생시키는 중성자선 발생부와, 상기의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와,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를 지지하는 콜리메이터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에 의하면, 시간당 환부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을 확보하여, 조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콜리메이터를 구비하는 중성자선 조사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콜리메이터를 통과하는 중성자가 피조사체의 조사 목표에 조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에 있어서, (a)는 콜리메이터의 정면도, (b)는 콜리메이터의 측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a)는 리프판에 의하여 형성된 조사 영역과 조사 목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a)의 IVB-IV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콜리메이터의 단면도, (b)는 종래의 콜리메이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형태에 관한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를 구비한 중성자선 조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중성자선 조사장치(1)는, 환자(피조사체)(P)의 환부(조사 목표)(T)에 대해서 중성자선을 조사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장치이다. 이 중성자선 조사장치(1)는, 미리 환부(T)에 화합물로서 도입시킨 붕소(10B)와 중성자와의 핵반응에 의하여, 환부(T)의 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붕소 중성자 포착요법(BNCT;Boron Neutron Capture Therapy)용의 장치이다. 중성자선 조사장치(1)는, 환자(P)를 재치하는 이동대(2)와, 중성자를 감속시키는 감속장치(3)와, 중성자를 발생시키는 타겟(중성자선 발생부)(7)과, 이동대(2)와 감속장치(3)와의 사이에 마련된 콜리메이터대(콜리메이터 지지부)(4)를 구비하고 있다. 또, 중성자선 조사장치(1)는, 환자(P)의 환부(T)의 X선 화상을 촬상하기 위한 CR시스템(8)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대(2)는, 환자(P)가 앉는 재치대(2a)를 가지고 있다. 이 재치대(2a)는, 형상을 바꿈으로써, 그 위에 환자(P)가 누울 수도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대(2)는, 상하 방향(수직 방향), 좌우 방향(수평 방향으로서, 감속장치(3)에 근접 이간하는 방향), 및 전후 방향(수평 방향으로서, 좌우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타겟(7)은, 가속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출사된 이온빔(예를 들면, 양자선)이 조사됨으로써 중성자를 발생시킨다. 감속장치(3)는, 타겟(7)에서 발생된 중성자를 감속시킨다. 감속장치(3)에서 감속된 중성자는, 환자(P)측으로 출사된다. 차폐벽(W)은,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되어, 환자(P)나 치료실 밖으로의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를 방지한다. 감속장치(3)의 선단부(3a)는, 차폐벽(W)을 관통하고 있다. 이 선단부(3a)는, 콜리메이터대(4)가 이동하여 감속장치(3)에 접근함으로써, 콜리메이터대(4)의 배면측에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콜리메이터대(4)에 관하여, “배면측”은 이온빔의 상류측이며, “정면측”은 환자(P)측이다.
콜리메이터대(4)에는, 이동대(2)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콜리메이터(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6)가 마련되어 있다. 이 콜리메이터(6)는, 감속장치(3)로부터 출사된 중성자를 소정의 형상(조사 범위)으로 성형하여, 중성자를 조사 방향(Y)으로 취출하기 위한 것이다. 콜리메이터대(4)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콜리메이터대(4)의 배면에는, 감속장치(3)의 선단부(3a)를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콜리메이터대(4)는, 배면측의 오목부에 선단부(3a)가 진입한 상태에서 사용된다. 치료 시에는, 환자(P)를 재치한 재치대(2a)를 콜리메이터대(4)의 정면측에 근접시켜, 환자(P)의 환부(T)에 대면하도록 콜리메이터(6)가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콜리메이터(6)는, 환자(P)의 환부(T)의 영역에 맞추어, 중성자선의 조사 범위인 조사 영역(F)을 설정한다. 콜리메이터(6)는,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콜리메이터(6)는, 조사 방향(Y)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제1 방향)(Z)으로 적층된 복수의 리프판(13A, 13B)을 가지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복수의 리프판(13A, 13B)은, 그 판두께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다만, 복수의 리프판(13A, 13B)을, 좌우 방향(X)을 따라 나열해도 된다. 각 리프판(13A, 13B)은, 불화리튬 함유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들 복수의 리프판(13A, 13B)은, 콜리메이터 홀더(11) 내에 지지되어 리프판군(13)을 구성하고 있다.
콜리메이터 홀더(11)와 리프판군(13)과의 사이에는, 리프판(13A, 13B)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16)를 가지는 안내부재(제2 방향 지지부)(12)가 배치되어 있다. 안내부재(12)에 맞닿는 각 리프판(13A, 13B)의 조사 방향(Y)의 단부는, 안내부재(12)의 돌기(16)에 끼워 맞춤 가능한 요철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콜리메이터(6)에 있어서는, 리프판군(1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배치된 리프판(13A)(도 3의 예에서는 상하 4매씩)은, 좌우 방향(X)으로 2분할된 판재이다. 리프판군(13)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제외한 중간부에 배치된 리프판(13B)은, 좌우 방향(제2 방향)(X)으로 분할된 편측에 대해 2매의 분할 리프판(14, 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할 리프판(14) 및 분할 리프판(15)은, 좌우 방향(X)으로 병설되어 있다. 분할 리프판(14)이 외측(즉 콜리메이터 홀더(11)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분할 리프판(14)에 인접하여, 분할 리프판(15)이 내측(즉 조사 영역(F)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분할 리프판(14) 및 분할 리프판(15)은, 일체가 되어 좌우 방향(X)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프판(13B)이 좌우 방향(X)으로 슬라이드 가능함으로써, 조사 영역(F)의 형상 및 크기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리프판(13A)은, 좌우 방향(X)으로 2분할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4분할이어도 된다.
또한, 콜리메이터(6)에 있어서는, 리프판(13B)의 분할 리프판(15)은, 조사 방향(Y)으로도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분할 리프판(14)에 맞닿는 분할 리프판(15)의 단면에는, 좌우 방향(X)으로 돌출됨과 함께 조사 방향(Y)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1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분할 리프판(15)에 맞닿는 분할 리프판(14)의 단면에는, 조사 방향(Y)으로 뻗는 홈부(조사 방향 지지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분할 리프판(14) 및 분할 리프판(15)은, 홈부(18)에 돌출부(17)가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각각 조사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만, 홈부(18)는, 조사 방향(Y)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분할 리프판(15)의 단부를 거는 걸이부로서 기능해도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콜리메이터(6)는, 좌우 방향(X) 및 조사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2축 슬라이드형 다엽 콜리메이터이다. 콜리메이터(6)에서는, 리프판군(13)의 외형을 좌우 방향(X) 및 조사 방향(Y)으로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환자(P)의 환부(T)를 치료할 때에는, 조사 부위의 형상을 미리 조사해 두고, 그 형상을 따르도록 각 리프판(13A, 13B)의 위치를 조정한다. 각 리프판(13A, 13B)의 위치는, 취급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위치 조정이 완료된 콜리메이터(6)에 대해서 환자(P)의 조사 부위를 근접시켜, 미리 정해진 중성자 선량으로, 환부(T)를 향하여 중성자선을 조사한다.
본 실시형태의 콜리메이터(6)에 의하면, 복수의 리프판(13B)은 조사 방향(Y)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X)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환부(T)에 대해서 조사 영역(F)을 정밀도 좋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판(13B)의 분할 리프판(15)은, 조사 방향(Y)으로도 슬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조사 부위의 형상을 따르도록, 분할 리프판(15)의 변 가장자리를 환자(P)의 체표(Pa)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로써 콜리메이터(6)와 환자(P)와의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중성자의 산일이 억제된다. 그 결과로서, 시간당 환부(T)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이 확보되어, 조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것은, 치료 시에 있어서의 환자(P)의 부담의 경감에도 기여한다.
중성자는, 비교적 산일되기 쉬운 성질을 가진다. 종래의 콜리메이터에서는, 외형을 바꿀 수 없었기 때문에, 조사 부위의 형상에 따라 콜리메이터의 단면을 피트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본 실시형태의 콜리메이터(6)에 의하면, 환자(P)의 체표(Pa)와 리프판(13A, 13B)과의 사이의 간극을 한없이 작게 하여, 산일되려고 하는 중성자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중성자 선량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리프판(13B)이 구비하는 복수의 분할 리프판(15)이, 조사 방향(Y)으로 각각 독립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환자(P)의 조사 부위가 좌우 방향(X)에 걸쳐 둥글게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각 분할 리프판(14, 15)을 조사 방향(Y)으로 슬라이드시켜, 리프판(14, 15)의 변 가장자리를 조사 부위의 체표(Pa)에 근접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이로써, 중성자의 산일이 보다 더욱 억제된다.
도 5(a)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콜리메이터의 단면도, 도 5(b)는, 종래의 콜리메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콜리메이터(20)의 리프판(23)이 도 3에 나타낸 콜리메이터(6)의 리프판(13B)과 다른 점은, 편측에 대해 3매 구성으로 된 분할 리프판(24, 25, 26)을 구비한 점과, 각 분할 리프판(24~26)의 환자(P)와는 반대측 또한 내측의 모서리부가 절결됨으로써, 각 분할 리프판(24~26)에 테이퍼부(24a~26a)가 형성된 점이다. 분할 리프판(24, 25, 26) 중, 분할 리프판(24)을 제외한 분할 리프판(25, 26)이 조사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각 분할 리프판(24~26)이 테이퍼부(24a~26a)를 가지는 것과, 분할 리프판(25, 26)이 조사 방향(Y)으로 슬라이드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중성자가 입사해 오는 방향을 보다 넓게 취할 수 있다. 도 5(a)에서는, 환자(P)의 목부(G)에 존재하는 환부(T)(예를 들어 종양)에 중성자선을 조사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환자(P)의 목부(G)는, 턱부(H)와 어깨부(E)와의 사이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환자(P)의 체표(Pa)에 밀착하도록 분할 리프판(25, 26)이 슬라이드함으로써 체표면과 콜리메이터(20)의 간극으로부터의 중성자의 산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의 효과에 의하여 높은 선량률 조사가 가능해져 조사의 단시간화가 도모된다. 나아가서는, 중성자의 입사측에 있어서 비스듬하게 커트된 테이퍼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입사하는 중성자의 방향을 넓게 취할 수 있어, 환부(T)로의 조사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는 중성자를 많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b)에 나타나는 종래의 콜리메이터(50)에서는, 리프판과 환자(P)의 체표(Pa)와의 간극으로부터 중성자가 산일되어 버려, 중성자 선원이 소용없어져 버린다.
콜리메이터의 기본적 역할은, 조사 영역 이외의 방사선을 커트하여 정상 조직으로의 폭사(曝射)를 무시할 수 있는 양 이하로 하는 것이다. 종래의 방사선 치료(예를 들면, X선 치료나 양자선 치료)는 기본적으로 일점으로부터 방사되어 직진하는 방사선을 조사 영역에 맞추어 콜리메이트하는 것이며, 평판 형상의 콜리메이터를 피조사체 표면으로부터 수 cm 떨어진 곳에 세트한다. 중성자의 경우, 원자로여도 가속기여도 그 대부분은 산란선이며 콜리메이터에 비해 매우 큰 영역으로부터 콜리메이터 방향으로 내리쬐는 것을 이용하게 된다. 중성자의 경우, 점 선원이 아니라 체적 선원이 되기 때문에, 종양으로부터 콜리메이터 개공을 바라보는 각도(입체각)가 커, 보다 넓은 선원 영역으로부터의 중성자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선량률을 크게 하기 위한 조건이 된다. 동시에 콜리메이터와 피조사체 표면과의 간극으로부터의 중성자의 산일이 방지되면 그 성분의 선량률의 증가에 반영할 수 있어, 산일된 중성자가 영역 외의 부분을 폭사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 중성자의 이용 효율의 상승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중성자 콜리메이터(6, 20)의 하나의 효과이다. 또 하나의 효과는, 조사 영역 외의 부분을 커트하여 정상 조직의 피폭을 저감시키는 것, 및 이 저감 조치와 상반되는 선량률 증대의 요구와의 상관을 고려한 조사의 최적화를 꾀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분할 리프판은, 2매 또는 3매에 한정되지 않고 4매 이상이어도 된다. 분할 리프판이 3매 이상인 경우, 가장 외측(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콜리메이터 홀더(11)측)의 분할 리프판 이외의 것을 조사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만, 가장 내측(조사 영역(F)측)의 분할 리프판만을 조사 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해도 된다. 또, 리프판(13A) 및 리프판(13B)의 분할 리프판(14, 15)에 각각 접속된 구동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구동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롤러와 모터, 또는 피스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동기구에 의하여, 리프판(13A, 13B)의 이동 및 위치 결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조사 방향 지지부는, 분할 리프판(14)에 마련된 홈부(18)로 해도 되고, 분할 리프판(14)의 단부에 별도 부재로서 지지기구를 마련해도 된다. 콜리메이터대(4)는, 독립하여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예를 들면 차폐벽(W)이나 감속장치(3)에 콜리메이터를 지지하는 부분을 마련해도 된다.
나아가서는, 붕소화합물을 이용하는 BNCT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원소를 이용한 NCT에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중성자와 가돌리늄(157Gd 등)과의 핵반응을 이용한 치료법에 이용되는 콜리메이터로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중성자선 발생부로부터 얻어진 중성자선의 속도가 치료에 적합한 속도인 경우에는, 감속장치는 불필요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시간당 환부에 조사되는 중성자 선량을 확보하여, 조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1: 중성자선 조사장치
6, 20: 콜리메이터
13A, 13B: 리프판
14, 15: 분할 리프판
18: 홈부(조사 방향 지지부)
F: 조사 영역(조사 범위)
P: 환자(피조사체)
T: 환부(조사 목표)
X: 좌우 방향(제2 방향)
Y: 조사 방향
Z: 상하 방향(제1 방향)

Claims (5)

  1. 피조사체에 있어서의 조사 목표에 맞추어 중성자선의 조사 범위를 설정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로서,
    중성자선의 조사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중첩된 복수의 리프판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리프판 중 적어도 일부의 리프판은, 상기 조사 방향에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함과 함께, 상기 조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의 리프판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분할 리프판을 가지고,
    복수의 상기 분할 리프판은, 상기 조사 방향으로 각각 독립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3. 피조사체에 있어서의 조사 목표에 맞추어 중성자선의 조사 범위를 설정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로서,
    중성자선의 조사 방향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복수 매 중첩됨과 함께, 복수 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조사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적어도 4개의 분할 리프판으로 분할된 리프판과,
    상기 리프판을 제2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방향 지지부와,
    상기 제2 방향으로 분할된 분할 리프판 중 내측의 분할 리프판을 상기 조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조사 방향 지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방향 지지부는, 상기 조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분할 리프판에 인접하는 상기 분할 리프판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조사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분할 리프판의 단부를 거는 걸이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5. 중성자선을 발생시키는 중성자선 발생부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와,
    상기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를 지지하는 콜리메이터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성자 포착요법장치.
KR1020147019467A 2012-03-30 2013-03-15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 KR101441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0230A JP5630666B2 (ja) 2012-03-30 2012-03-30 中性子捕捉療法用コリメータ及び中性子捕捉療法装置
JPJP-P-2012-080230 2012-03-30
PCT/JP2013/057485 WO2013146373A1 (ja) 2012-03-30 2013-03-15 中性子捕捉療法用コリメータ及び中性子捕捉療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760A KR20140093760A (ko) 2014-07-28
KR101441522B1 true KR101441522B1 (ko) 2014-09-17

Family

ID=4925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9467A KR101441522B1 (ko) 2012-03-30 2013-03-15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35149B1 (ko)
JP (1) JP5630666B2 (ko)
KR (1) KR101441522B1 (ko)
CN (1) CN104053476B (ko)
TW (1) TWI486189B (ko)
WO (1) WO20131463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099A (ko) * 2018-11-06 2020-05-14 한국원자력의학원 중성자 포획 치료시스템용 콜리메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2056B (zh) 2013-10-15 2016-05-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濾屏與中子束源
US9962560B2 (en) * 2013-12-20 2018-05-08 Mevion Medical Systems, Inc. Collimator and energy degrader
CN104511096B (zh) * 2014-12-08 2018-01-05 南京中硼联康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中子捕获治疗的射束整形体
JP6430264B2 (ja) * 2015-01-19 2018-11-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負イオン源装置
JP6565113B2 (ja) * 2015-03-05 2019-08-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中性子捕捉療法装置
JP6566358B2 (ja) * 2015-10-27 2019-08-2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中性子捕捉療法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中性子捕捉療法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RU2734955C1 (ru) 2017-06-05 2020-10-26 Нойборон Медтех Лтд. Блок формирования пучка для нейтронно-захватной терапии
US10446281B2 (en) * 2017-08-15 2019-10-15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the neutron absorption capability of a control element of a nuclear installation
CN109925611B (zh) * 2017-12-18 2024-04-16 南京中硼联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中子捕获治疗装置
CN109925613B (zh) * 2017-12-18 2024-04-12 南京中硼联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中子捕获治疗装置
JP7207856B2 (ja) * 2018-03-12 2023-01-18 東芝It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Ct撮影装置
JP7082914B2 (ja) * 2018-07-19 2022-06-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中性子捕捉療法用のコリメータ、及び中性子線のコリメータの設置方法
CN109499011B (zh) * 2018-12-21 2020-11-10 苏州雷泰医疗科技有限公司 用于正交双层光栅装置的动态调强子野分割方法
US20210265071A1 (en) * 2020-02-26 2021-08-26 Varian Medical Systems International Ag Beam-blocking leaf and multileaf collimator containing same
CN111388881B (zh) * 2020-03-23 2022-01-28 上海联影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限束装置的控制方法以及系统
CN115120895A (zh) * 2022-08-31 2022-09-30 兰州大学 一种中子俘获辐照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230A (ja) 2001-01-30 2002-08-13 Hitachi Ltd マルチリーフコリメータ
JP2005185321A (ja) 2003-12-24 2005-07-14 Toshiba Corp コリメータ及び放射線治療装置及び放射線治療システム
JP2007195877A (ja) 2006-01-30 2007-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粒子線治療装置
JP2008206563A (ja) 2007-02-23 2008-09-11 Hitachi Ltd マルチリーフコリメー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266A (en) * 1981-02-20 1984-07-31 Instrument Ab Scanditronix Neutron collimator
JPS59230199A (ja) * 1983-06-14 1984-12-2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中性子線用コリメ−ト板
US5818902A (en) * 1996-03-01 1998-10-06 Elekta Ab Intensity modulated arc therapy with dynamic multi-leaf collimation
JP2002186676A (ja) * 2000-12-22 2002-07-02 Hitachi Medical Corp 絞り装置および該絞り装置を用いた放射線治療装置
RU2406171C1 (ru) * 2007-06-21 2010-12-10 Цингхуа Унивесити Мишень, преобразующая излучение в фотонейтроны
JP5154255B2 (ja) 2008-02-18 2013-02-2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中性子線照射装置
US9268027B2 (en) * 2008-05-12 2016-02-23 Nuctech Company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special nuclear materials
CN101757737B (zh) * 2008-12-24 2012-11-14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多叶准直器以及放射线治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230A (ja) 2001-01-30 2002-08-13 Hitachi Ltd マルチリーフコリメータ
JP2005185321A (ja) 2003-12-24 2005-07-14 Toshiba Corp コリメータ及び放射線治療装置及び放射線治療システム
JP2007195877A (ja) 2006-01-30 2007-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粒子線治療装置
JP2008206563A (ja) 2007-02-23 2008-09-11 Hitachi Ltd マルチリーフコリメ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099A (ko) * 2018-11-06 2020-05-14 한국원자력의학원 중성자 포획 치료시스템용 콜리메이터
KR102118077B1 (ko) * 2018-11-06 2020-06-02 한국원자력의학원 중성자 포획 치료시스템용 콜리메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5149A4 (en) 2015-10-21
TW201350166A (zh) 2013-12-16
KR20140093760A (ko) 2014-07-28
EP2835149B1 (en) 2017-11-01
CN104053476A (zh) 2014-09-17
JP2013208257A (ja) 2013-10-10
WO2013146373A1 (ja) 2013-10-03
EP2835149A1 (en) 2015-02-11
TWI486189B (zh) 2015-06-01
JP5630666B2 (ja) 2014-11-26
CN104053476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522B1 (ko) 중성자 포착요법용 콜리메이터 및 중성자 포착요법장치
JP6129899B2 (ja) 中性子捕捉療法用ビーム整形アセンブリ
US10328285B2 (en) Hadron radiation installation and verification method
CN108325092B (zh) 用于中子捕获治疗的射束整形体
US9061143B2 (en) Charged particle beam irradiation system and charged particle beam irradiation planning method
CN107661577B (zh) 用于中子捕获治疗的射束整形体
RU2717363C1 (ru) Блок формирования пучка для нейтрон-захватной терапии
RU272165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экранирования излучения на основе медицинских изображений
US20150031933A1 (en) Range shifter and particle radiotherapy device
WO2018006550A1 (zh) 中子治疗装置
JP2013208257A5 (ko)
US11975216B2 (en) Radiation treatment head and radiation treatment device
CN114073827B (zh) 放射线照射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569779B (zh) 中子治疗装置
TWM549081U (zh) 中子治療裝置
JP2017176438A (ja) 中性子捕捉療法システム及びガンマ線反応素子
Balasubramanian et al. Measurements of peripheral dose for multileaf collimator based linear accelerator
Nunan Multileaf collimator for radiotherapy machines
Goitein Proton Therapy in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