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328B1 -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328B1
KR101441328B1 KR1020120133664A KR20120133664A KR101441328B1 KR 101441328 B1 KR101441328 B1 KR 101441328B1 KR 1020120133664 A KR1020120133664 A KR 1020120133664A KR 20120133664 A KR20120133664 A KR 20120133664A KR 101441328 B1 KR101441328 B1 KR 10144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ylon
copolymer
pyrrolidone
piperidone
tetraalkylammo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436A (ko
Inventor
김혜영
제갈종건
송봉근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3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3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6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24Pyrrolidones or piperid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08G69/16Preparatory processes
    • C08G69/18Anionic polymerisation
    • C08G69/20Anionic polymerisation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단량체로서 2-피롤리돈과 2-피페리돈을 공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열적 특성 및 분자량 특성이 향상되어 가공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므로, 자동차산업, 전기전자산업, 포장재산업, 의류/섬유산업, 건축부품산업 등의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NYLON 4,5 COPOLYMERS BASED ON BIOMAS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일론 4는, 단량체인 2-피롤리돈이 알칼리금속계 화합물 촉매와 반응하여 피롤리돈 금속염을 형성하고, 이것이 개시제와 반응한 뒤, 다시 단량체인 2-피롤리돈과 중합 반응하여 나일론 4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생성된 나일론 4는 용융온도(약 260℃)와 분해온도(약 265℃) 간의 온도 차이가 크지 않아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나일론 5는 2-피페리돈을 단량체로 하여 개환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중합 조건은 나일론 4와 유사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일론 4 및 나일론 5의 물성을 상호 보완하여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제조한다면 보다 유용한 플라스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12876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물성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단량체로서 2-피롤리돈 및 2-피페리돈을 이용하고, 주촉매로서 알칼리금속계 화합물 및 보조촉매로서 테트라알킬암모늄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공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2-피롤리돈 및 2-피페리돈이 5:1 내지 1:1 의 몰비로 공중합된 점도 분자량 10,000 내지 80,000 g/mol인,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분자량 특성 및 열적 특성이 나일론 4보다 향상되어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므로, 자동차산업, 전기전자산업, 포장재산업, 의류/섬유산업, 건축부품산업 등의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도식이다.
도 2 내지 9는 실시예에서 합성한 나일론 4,5 공중합체들의 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17은 실시예에서 합성한 나일론 4,5 공중합체들의 TGA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 내지 29는 실시예에서 합성한 나일론 4,5 공중합체들의 XRD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 내지 43은 실시예에서 합성한 나일론 4,5 공중합체들의 FT-IR 스펙트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단량체인 2-피롤리돈과 2-피페리돈을 적당한 몰비로 혼합하고, 여기에 주촉매 화합물을 첨가한 뒤 반응시키고, 반응물을 증류를 통해 용매를 제거시키고, 개시제와 보조촉매를 첨가한 뒤, 공중합 반응을 실시한다. 이후 중합물을 세척 및 여과를 통해 정제하고 건조하여,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중합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반응식 1
Figure 112012096868116-pat00001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단량체로서 2-피롤리돈과 2-피페리돈을 공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중합 반응의 단량체 중 하나인 2-피롤리돈은 시판되는 물질을 사용하거나,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합성 방법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2-피롤리돈은 석유화학의 C4 유분을 이용한 1,4-부탄디올로부터 제조되거나, 4-아미노부틸산 또는 감마-부틸로락톤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석유화학 원료가 아닌 셀룰로오스, 전분, 글루코스 등과 같은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로부터 본 발명의 출발물질인 2-피롤리돈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128767호를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에는 하기 반응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생물 발효에 의해 생산된 글루탐산 또는 글루탐산나트륨을 출발물질로 하고 글루탐산 디카복실라제(GAD)를 촉매로 이용하여 4-아미노부틸산을 제조한 뒤 이로부터 촉매 또는 탈수제를 이용하여 2-피롤리돈을 얻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공정은 식물 유래의 원료를 사용하므로, 석유화학 원료를 사용하는 공정에서와 같이 추가적인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없어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탄소 중립(carbon neutralization)을 실현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2096868116-pat00002

또한, 상기 공중합 반응의 단량체 중 다른 하나인 2-피페리돈은 탄소수 5 이상의 환상 구조를 갖는 환상 알킬 아마이드이다.
상기 2-피롤리돈과 2-피페리돈의 공중합 몰비는 9:1 내지 1:1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5:1 내지 1:1일 수 있으며, 보다 한정한다면 4:1 내지 2:1 일 수 있고, 특히 3.5:1 내지 2.5:1 일 수 있다. 공중합 몰비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수득된 공중합체의 열 가공성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고, 물리적 성질 또는 분자량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반응의 주촉매로는, 알칼리금속계 화합물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포타슘 t-부톡사이드(PtB), 수산화칼륨(KOH), 수산화나트륨(NaOH), 나트륨(Na)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이들 중에서 포타슘 t-부톡사이드(PtB)를 사용할 수 있다.
주촉매의 첨가량은 상기 단량체 총 100몰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몰부일 수 있고, 더욱 한정한다면 4 내지 10 몰부일 수 있다. 주촉매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일 때, 수득된 공중합체의 분자량, 수율 및 열가공성 면에서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반응의 보조촉매로는, 테트라알킬암모늄계 화합물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테트라알킬암모늄 할로겐화물, 테트라알킬암모늄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C1-3알킬암모늄 할로겐화물, 테트라C1-3알킬암모늄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예시로는 테트라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TMAA),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TMAB),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MAC),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AC),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TPAC),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이들 중에서 테트라C1-3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그 중에서도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MAC)를 사용할 수 있다.
보조촉매의 첨가량은 상기 단량체 총 100몰부를 기준으로 1 내지 10 몰부일 수 있고, 더욱 한정한다면 4 내지 10 몰부일 수 있다. 보조촉매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일 때, 수득된 공중합체의 분자량, 수율 및 열가공성 면에서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 공중합 반응의 개시제로는, 이산화탄소, 아세틸-2-피롤리돈,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C1-3알킬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 이소시아네이트, 에틸 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페닐 이소시아네이트, 클로로메틸 이소시아네이트, 클로로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개시제로서 이산화탄소를 사용할 경우 열가공성이 우수해질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제조 공정을 실현할 수 있다.
개시제의 첨가량은 상기 단량체 100몰부 기준으로 0.1 내지 10 몰부일 수 있으며, 더욱 한정한다면 0.5 내지 5 몰부일 수 있다. 개시제의 첨가량이 상기 범위일 때, 수득된 공중합체의 분자량 등의 물성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반응시의 반응 온도는 40 내지 60 ℃일 수 있고, 더욱 한정한다면 40 내지 50 ℃일 수 있다. 반응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때, 최종 공중합체의 열가공성, 내열성, 분자량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 반응시의 반응 시간은 24 내지 120 시간일 수 있다. 반응 시간이 상기 범위 내일 때, 최종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보다 우수해지고 생성된 공중합체의 수득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반응이 완료되어 생성된 공중합체는 세척 및 건조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세척은 i) 아세톤에서 3~4시간 동안 교반 후 여과하는 방법; ii) 아세톤 용액(아세톤 및 10% 증류수를 혼합한 후 아세트산으로 pH 4.5를 맞춘 용액)에서 3~4시간 동안 교반 후 여과하는 방법; 및 iii) 포름산에 녹여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을 가하여 침전시키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는 세척된 중합체에 대해서 40 내지 50 ℃의 오븐에서 12 내지 2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나일론 4,5 공중합체
또한 본 발명은 2-피롤리돈과 2-피페리돈이 공중합된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나일론 4,5 공중합체에서 단량체인 2-피롤리돈과 2-피페리돈의 공중합 몰비는 9:1 내지 1:1일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5:1 내지 1:1일 수 있으며, 보다 한정한다면 4:1 내지 2:1 일 수 있고, 특히 3.5:1 내지 2.5:1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점도 분자량이 높아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며, 예를 들어 점도 분자량이 2,000 내지 100,000 g/mol의 범위일 수 있고, 보다 한정한다면 10,000 내지 80,000 g/mol의 범위일 수 있으며, 더욱 한정한다면 15,000 내지 60,000 g/mol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용융온도가 분해온도보다 낮아 우수한 성형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분해온도와 용융온도의 차이값(분해온도-용융온도)이 5℃ 초과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이값이 10 내지 50 ℃일 수 있으며, 더욱 한정한다면 차이값이 15 내지 45 ℃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용융온도가 나일론 4 의 용융온도보다 낮으며, 예를 들어 용융온도가 260℃ 미만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00 내지 250 ℃일 수 있으며, 더욱 한정한다면 220 내지 245 ℃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분해온도가 240℃ 이상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250 내지 270 ℃일 수 있으며, 더욱 한정한다면 260 내지 265 ℃의 범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상기 전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가공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 등이 우수하며,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고분자이다.
본 발명의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자동차산업, 전기전자산업, 포장재산업, 의류/섬유산업, 건축부품산업 등의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및 물성 평가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시약 및 재료
(1) 단량체: 2-피롤리돈(m.p.25℃, Sigma-Aldrich사), 2-피페리돈(m.p.35~40℃, Sigma-Aldrich사)
(2) 개시제: 이산화탄소(CO2 가스), 아세틸-2-피롤리돈(Ac-2-PD, TCI사), 벤조일 클로라이드(BzC, Sigma-Aldrich사), 에틸 이소시아네이트(EI, Sigma-Aldrich사), 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PI, Sigma-Aldrich사), 4-클로로페닐 이소시아네이트(CPhI, Sigma-Aldrich사)
(3) 보조촉매: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MAC, TCI사), 테트라메틸암모늄 아세테이트(TMAA, TCI사),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TMAB, TCI사), 테트라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TEAC, TCI사),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TPAC, TCI사)
(4) 포름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등은 별도의 정제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
단량체로서 2-피롤리돈 및 2-피페리돈을 적절한 몰비로 용매인 물에 첨가하고, 여기에 주촉매를 첨가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물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2~3시간 증류시켰다. 이후 단량체의 융점보다 약간 높은 온도까지 냉각한 후, 개시제를 첨가하고, 보조촉매를 첨가한 뒤, 40℃의 오일 배쓰에서 24시간 동안 공중합 반응시켰다. 공중합이 끝난 후 미반응 단량체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포름산에 녹인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에 침전시켜 세척 및 여과하고, 50℃ 진공 오븐에서 12시간 정도 건조하였다.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물성 측정 방법
(1) 점도 분자량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일론 4,5 공중합체 0.03g을 95% 포름산 6mL에 녹인 후 수조에서 30℃로 유지하면서 오스트발트(Ostwald) 점도계(SCHOTT사)로 측정하였다. 점도 분자량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96868116-pat00003
상기 식에서, η은 중합체 용액의 점도이고, c는 농도이고, ηrel은 상대 점도이고, Mη은 점도 분자량이다.
(2) DSC 분석
DSC 분석은 시차주사열량계(DSC, TA Q1000, TA instrument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일론 4,5 공중합체 2~5mg을 알루미늄 팬에 취하여 질소하에서 열 이력을 제거하기 위해 10℃/min의 승온 속도로 -20~250℃(1차 가열)까지 승온시킨 다음 강온시키고 다시 -20~300℃(2차 가열) 까지 승온하여 유리전이온도(Tg) 및 용융점(Tm) 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 내지 9에 나타내었다.
(3) TGA 분석
TGA 분석은 열중량 분석기(themogravimetric analyzer, TA Q500, TA instrument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실온에서 800℃까지 10℃/min의 속도로 승온하면서 온도에 따른 무게 감소와 분해온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 내지 17에 나타내었다.
(4) XRD 분석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모폴로지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분말 타입과 압출 시편인 펠렛 타입으로 제조한 뒤,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말 X-선 회절 분석은 회절분석기(Cu tube 및 graphite-monochromator 부착, D/MAX-2200V diffractometer, Rigaku사)를 이용하여 40kV 및 40mA 조건에서 분석을 실시하였고, JADET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얻었다.
그 결과를 도 18 내지 29에 나타내었으며, 이들 결과를 볼 때 2θ 값이 20°와 23°부근에서 결정회절 패턴이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고유의 2θ 값이 꾸준히 나타나고 있으므로, 함량, 개시제 등에 따라 피크의 강도는 달라지지만 결정 구조는 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5) FT-IR 측정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구조확인을 위하여 푸리에 변환 적외선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으로 측정하였다. FT-IR은 400cm-1 에서 4000 cm-1 까지 스캔하였다.
그 결과를 도 30 내지 43에 나타내었으며, 이들 결과를 볼 때 일차 아마이드 피크(N-H stretch peak 3300 cm-1), C=O 피크(1640 cm-1), 및 이차 아마이드 피크(bending peak 1540cm-1)가 공중합 아마이드의 전형적인 피크를 나타내므로,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중합이 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단량체 몰비 및 개시제 변화에 따른 실시예
단량체 비율과 개시제 종류를 변화시켜가며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제조한 뒤, 이들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2096868116-pat00004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나일론 4,5 공중합체들은 나일론 4 보다 용융온도가 낮았다. 이 때, 단량체 비율을 달리한 공중합체를 비교할 때 2-피롤리돈:2-피페리돈의 비율이 3:1인 경우가 2:1인 경우보다 수율 면에서 더 높았고, 2-피페리돈이 더 많이 들어간 2:1의 비율인 경우에는 용융온도가 더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시제를 아세틸-2-피롤리돈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CO2를 사용하였을 때 용융온도가 낮아졌다. 하지만 CO2를 사용하였을 때에는 반응속도가 느려 수율은 더 낮아졌음을 알 수 있다.
촉매 첨가량 변화에 따른 실시예
주촉매 및 보조촉매의 첨가량을 변화시켜가며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제조한 뒤, 이들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2096868116-pat00005
상기 표 2 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나일론 4,5 공중합체들은 점도분자량 면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이 때 촉매량의 변화에 따른 공중합체의 점도분자량은 촉매의 첨가량이 단량체 100 몰부에 대해 5 몰부일 때 가장 높았다.
보조촉매 종류 변화에 따른 실시예
보조촉매의 종류를 변화시켜가며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제조한 뒤, 이들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2096868116-pat00006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나일론 4,5 공중합체들은 나일론 4 보다 용융온도가 낮고 점도분자량도 대체로 우수하였다. 특히, 다른 보조촉매와 비교했을 때 TMAC를 보조촉매로 사용한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용융온도가 낮고 분자량이 높았다.
개시제 종류 변화에 따른 실시예
개시제의 종류를 변화시켜가며 나일론 4,5 공중합체를 제조한 뒤, 이들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12096868116-pat00007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나일론 4,5 공중합체들은 나일론 4 보다 용융온도가 낮았다. 특히, 개시제를 CO2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분해온도와 용융온도와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의 나일론 4,5 공중합체는 종래의 나일론 4보다 용융온도를 낮추어 용융점과 분해점간의 차이를 크게 함으로써 우수한 가공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그 외 분자량 등의 물성 면에서도 부족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단량체로서 2-피롤리돈 및 2-피페리돈을 이용하고, 주촉매로서 알칼리금속계 화합물 및 보조촉매로서 테트라알킬암모늄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공중합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2-피롤리돈 및 2-피페리돈이 3.5:1 내지 2.5:1의 몰비로 공중합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촉매인 테트라알킬암모늄계 화합물이, 테트라알킬암모늄 할로겐화물, 테트라알킬암모늄 아세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테트라알킬암모늄계 화합물이, 테트라C1-3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 반응이, 개시제로서 아세틸-2-피롤리돈, 이산화탄소,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가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촉매의 첨가량이 상기 단량체 총 100몰부 기준으로 4 내지 10 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피롤리돈이 바이오매스(biomass)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8. 2-피롤리돈 및 2-피페리돈이 3.5:1 내지 2.5:1 의 몰비로 공중합된 점도 분자량 10,000 내지 80,000 g/mol인, 나일론 4,5 공중합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4,5 공중합체가, 용융온도가 220 내지 2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일론 4,5 공중합체가, 분해온도가 용융온도보다 높고, 그 차이가 15 내지 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일론 4,5 공중합체.
KR1020120133664A 2012-11-23 2012-11-23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4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64A KR101441328B1 (ko) 2012-11-23 2012-11-23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664A KR101441328B1 (ko) 2012-11-23 2012-11-23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36A KR20140066436A (ko) 2014-06-02
KR101441328B1 true KR101441328B1 (ko) 2014-09-17

Family

ID=5112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664A KR101441328B1 (ko) 2012-11-23 2012-11-23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331B1 (ko) * 2017-04-25 2018-07-24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폴리에스터아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410B1 (ko) * 1984-02-09 1987-07-30 스태미카본 베·뷔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410B1 (ko) * 1984-02-09 1987-07-30 스태미카본 베·뷔 나일론 블록 공중합체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CHEMISTRY EDITION *
[논문] JOURNAL OF POLYMER SCIENCE: POLYMER SYMPOSIUM *
[논문] POLYMER BULLETI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436A (ko) 201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993B1 (ko) 바이오매스 기반 2-피롤리돈을 사용한 나일론 4,6 공중합체의 제조
KR101527579B1 (ko)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6,5 랜덤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Hsiao et al. Soluble aromatic polyamides bearing asymmetrical diaryl ether groups
WO2010110460A1 (ja) ラクチド・ε-カプロラクトン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2010519342A (ja) ポリラクトンおよびポリラクタムの製造方法
CN107118344A (zh) 一种耐黄变抗氧化阻燃型半芳族聚酰胺及其制备方法
WO2012161174A1 (ja) 物性が改質された2-ピロリドンの重合体又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41328B1 (ko)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4,5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5777134B2 (ja) ポリアミドの製造方法
CN116693477A (zh) 一种呋喃基尼龙盐及其制备方法
CN116622065A (zh) 一种含呋喃环结构的生物基尼龙及其制备方法
CN113214472A (zh) 一种低吸水高韧性聚酰胺共聚物513ti及其制备方法
KR101425173B1 (ko) 낮은 용융온도를 갖는 나일론 4의 제조방법
CN111423579B (zh) 一种阻燃尼龙树脂及其制备方法
Zhou et al. Fully bio-based poly (pentamethylene glutaramide) with high molecular weight and less glutaric acid cyclization via direct solid-state polymerization
CN113943485A (zh) 一种聚硫酯材料在可回收塑料制品中的应用
TWI677514B (zh) 修飾劑、聚醯胺共聚物及聚醯胺共聚物的製備方法
KR101536110B1 (ko) 바이오매스 기반의 나일론 6-모폴리논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TWI744125B (zh) 透明聚醯胺共聚物的製造方法
Abdolmaleki Novel aromatic poly (amide-hydrazide) s based on the bipyridine. Part I: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thermal stability
TWI745133B (zh) 高熱導性聚醯胺共聚物及其製造方法
KR20200128791A (ko) 폴리아마이드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정전기 방지용 섬유
TWI782323B (zh) 二胺化合物、共聚物、及其形成方法
CN113061249B (zh) 聚乙烯亚胺的制备方法
EP3896112A1 (en) Polyalkyleneimine-modified polyamide 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