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124B1 - 전도체를 가진 급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도체를 가진 급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124B1
KR101441124B1 KR1020070084501A KR20070084501A KR101441124B1 KR 101441124 B1 KR101441124 B1 KR 101441124B1 KR 1020070084501 A KR1020070084501 A KR 1020070084501A KR 20070084501 A KR20070084501 A KR 20070084501A KR 101441124 B1 KR101441124 B1 KR 10144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retainer
insert
delete delete
connec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141A (ko
Inventor
케린 짐
리챠드 엠. 페페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1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1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ealising electrical conduction between the two pipe ends of the joint or between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원은, 전도성 커넥터 몸체, 역전부를 갖춘 관형 수 부재, 및 주 리테이너로 이루어진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 리테이너는 커넥터 몸체 내부에 수 부재를 착탈식으로 고정한다. 주 리테이너 몸체는 횡단부재에 의해 연결된 1쌍의 이격진 레그를 구비한다. 리테이너 몸체는 리테이너 레그에서 노출된 접촉면을 가진 전도성 삽입체를 구비하여 수 부재와 접촉하고 횡단부재에서 커넥터 몸체와 접촉한다.
리테이너, 전도체, 커넥터 커플링, 횡단부재, 레그, 삽입체, 래치.

Description

전도체를 가진 급속 커넥터{QUICK CONNECTOR WITH CONNECTIVE RETAINER}
도1은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3-3선을 따라 절취된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구간 저부도이다.
도4는 도1의 4-4선을 따라 절취된 도1의 커넥터 몸체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조립체의 커넥터 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주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주 리테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8은 도6의 주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리테이너의 전도성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리테이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리테이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리테이너 성분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2의 리테이너 몸체용 전도성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커플링 112: 암 커넥터 114: 수 부재
116: 리테이너 126: 관통 구멍 136: 리셉터클
144: 벽 158, 162: 슬롯 196: 레그
210: 선도 구역 220: 삽입체 224: 레그
316: 리테이너 320: 삽입체 325: 밴드
본 출원은 2006년 8월 22일자 제출된 미국 가명세서 60/839,332호에 따른 우선권을 갖고 출원하는 것이다.
본원은 유체 시스템용 급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전하 소산용 전도체를 형성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및 그외 다른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암 커넥터 몸체에 수용되어 밀봉적으로 유지되는 관형 수 부재를 구비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을 주로 사용하여 유체 시스템을 형성한다. 상기 커플링은 가요성 호스와 경성 관(rigid tube)과 같은 2개의 부품 또는 도관, 또는 매니폴드, 연료 펌프, 연료 필터와 같은 시스템과 관 사이에 유체 연결부를 제공한다.
커넥터 커플링 몸체에 관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일 타입의 유지 메카니즘으로, 커넥터 몸체의 외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하여 횡단방향으로 삽입된 클립을 형성하는 리테이너가 있다. 레그는 슬롯을 통해 연장 형성되고 그리고 슬롯을 형 성하는 커넥터 몸체의 전방면과 수 부재 역전부(upset)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커플링의 분리를 방지한다.
상기 리테이너의 물리적 외형상으로 인하여, 리테이너를 "편자" 리테이너로 불리워지기도 한다. 상기 "편자" 리테이너는 커플링의 복잡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지 않고 커플링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타입의 리테이너의 예로서는 본원에 참고로서 그 내용이 기재된 카라하스티(Kalahasthy)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5,586,792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2005년 10월 6일자 공고된 미국 공고 번호 2005/0218650호에는 "편자" 리테이너를 가진 개량된 급속 커넥터를 기재 하였다. 상기 공고 건의 내용은 참고로서 본원에 개재되었다.
유동 탄화수소 연료를 함유한 유체 시스템, 특히 차량의 연료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정전하가 축적되는 것을 막거나 또는 소산시키는 메카니즘을 구비한다. 상기 메카니즘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축적되어지는 임의적인 전하를 소산하도록 접지로를 제공하는 작용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급속 커넥터 몸체는 일반적으로 전도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는 탄소 분말, 탄소 섬유, 섬유성 또는 금속성 섬유와 같은 전도성 재료를 함유한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된다. 연료 시스템용 전도성 성분의 예로는 발명의 명칭이 "정전기적 소산 연료 시스템 성분"으로 1992년 11월 17일자 허여된 미국특허 5,164,879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정전하를 소산시키기 위한 완전한 접지로를 보장하는 작업은 이동식 연료 시 스템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상기 유체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차량 접지부에 연결된 금속관을 구비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금속관을 통해 차량 접지부에 급속 커넥터 몸체를 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특허 5,586,792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급속 커넥터에서, 리테이너는 커넥터 몸체에 형성된 표면과 관의 단부 근방에 형성된 반경방향 확장 역전부와의 사이에 개재물에 의해 상기 관에 커넥터 몸체를 해제 가능하게 연결한다.
커넥터는 몸체와 관 사이를 밀봉하여 시스템 내부에 유체가 있게 한다. 압력을 받게 되면, 유체 압력은 상기 몸체에서 외부방향으로 관을 가압한다. 외부방향으로의 이동은 역전부의 후방향으로 축선적으로 위치하여 있는 리테이너 레그에 의해 억제된다. 관과 리테이너에 작용하는 힘은 커넥터 몸체 상에 억제면에 대하여 몸체를 가압한다.
본 발명은 전도성 요소를 구비한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요소는 전도성 리테이너 몸체 상에 억제면과 관 역전부와의 전도성 접촉을 위해 노출된다. 커넥터 몸체의 유체 흐름로 내부에 발생된 정전하는 전도성 요소가 통하는 금속관에 직접 전도체를 체험한다.
본 발명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유체 라인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상기 커넥터 커플링은 경성 관과 다른 유체 운반 구성요소, 즉, 가요성 호스와의 사이에서 해제 가능한 연결체로서 도시되었다. 상기 커플링은, 유체 기밀하면서 연결을 해제할 수 있게 이루어진 연결이 바람직한 자동차 차량 연료공급 시스템에서와 같은 곳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1 내지 도3은 유체 라인으로 분리식 연결부를 형성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을 설명한다. 커플링(110)에는, 도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전도성 주 리테이너 부재(116)로 함께 착탈식으로 고정된 경성 관 또는 수 부재(114)와 대략 원통형의 암 커넥터 몸체(112)가 포함된다. 도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 부재(114)는 유체 라인 시스템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중공 관의 단부로 형성된다. 암 커넥터 몸체(112)와 수 부재(114)는 유체 라인에 영구적 이지만 분리식인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도3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 부재(114)는 경성 관의 단부에 형성된다. 개방 관 단부 또는 선단부(192)에서 주어진 거리 만큼 반경방향 접합면(191)을 형성하는 반경방향 확장 역전부(190)를 갖는다. 상기 관의 실외면으로 형성된 완만한 대략 원통형의 밀봉 면(194)은 역전부(190)와 관 단부(192) 사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관은 역전부(190) 너머로 관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어져서, 대략 완만한 원통형 면(195)을 형성한다. 대략, 원통형 밀봉 면(194)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커넥터 몸체(112)는 도3 내지 도5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상기 커넥터 몸체(112)는 양호하게, 탄소 분말, 탄소 섬유, 탄소 섬유성(carbon fibrels) 또는 금속성 섬유와 같은 전도성 재료를 함유한 전도성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재료, 양호하게는 폴리프탈아미드(PPA: polyphthalamide)로 성형된다. 몸체 외부는 본 발명 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적으로 필요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커넥터 몸체용으로 일반적인 형태인, 예를 들어, 단부 사이에 90도 밴드(bend)를 갖는다.
커넥터 몸체(112)는 대략 원통형의 단차진 벽(120)으로 형성된다. 벽(120)의 실내 면은 도4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종축선(124)에 대하여 중앙 설정된 관통 구멍(126)을 형성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축선 및 축선적의 표현은 중앙축(124)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측면, 측면적, 횡단, 횡방향의 표현은 상기 축을 향하거나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124)에 대해 대략 수직적으로 있는 평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커넥터 몸체(112)의 구멍(126)은 대직경의 수 부재 수용 단부(128)에서, 소직경의 호스 연결단부(130)까지, 커넥터 몸체(112)를 완전히 통해서 연장 형성된다. 커넥터 몸체(112)의 벽(120)의 다양한 직경은 관통 구멍(126)을, 특정 구간인,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132), 시일 챔버(134), 관 단부 리셉터클(136), 및 유체통로(138)로 나누어진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전방 및 전진방향 표현은 대략적으로 중앙축(124)을 따라서 있는 호스 연결 단부(130)쪽으로 수 부재 수용 단부(128)에서 축선방향을 의미하는데 사용된 것임에 주의 한다. 후방 및 후방방향 표현은 대략적으로 중앙축(124)을 따라서 수 부재 수용 단부(128)를 향하는 방향으로 호스 연결 단부(130)에서 축선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132)은 수 부재 수용 단부(128)에 인접하여 있다. 수 수용 단부(128)에서 관통 구멍(126)으로 개구를 한정하는 횡단 평면 유입 면(129) 을 가진 림(140)으로 형성된다. 림(140)은 도5에서 가장 양호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의 전방 대향 리테이너 접촉 면(141)을 형성한다. 전방 림(142)은 림(140)에서 분리된 후방 대향 면(143)을 형성한다. 전방 림(142)의 후방 대향 면(143)과 림(140)의 전방 대향 리테이너 접촉 면(141) 사이에 축선 분리 부분은 리테이너(116)를 수용하는 부분으로 있다.
도5를 참고로 설명하면, 림(140, 142)은 활모양 상부 지지부재(144), 2개 측 지지부재(146), 및 2개 하부 지지부재(154)로 연결된다.
상부 지지부재(144)의 상부 곡선면(145)은 림(140, 142)의 반경방향 최외측 엣지에서 반경 내부방향으로 어느 정도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면(141, 143)과 상부 지지부재(144)의 상부 곡선 면(145)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주 리테이너(116)의 횡단부재를 수용하는 포켓을 형성한다.
명료한 도시를 위해,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을 수평면에 위치한 길이방향 연장부로 나타내었으며, "상부", "하부", 및 "측부" 표현은 커넥터 몸체(116)를 기술하는데 사용되어진 것임에 주의 한다. 그리고, 사용 시에, 커넥터 커플링(110)은 수평 및 수직 면을 고려하지 않고 임의적인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부" 및 "하부"는 이곳에서 설명과 관련하여서만 기재된 것이다.
상부 지지부재(144)와 2개 측 지지부재(146) 사이에 공간은 1쌍의 제1 또는 상부 슬롯(158)을 형성한다. 하부 지지부재(154)와 2개 측 지지부재(146) 사이에 공간은 1쌍의 측부 슬롯(162)을 형성한다. 슬롯(158, 162)은 관통 구멍(126)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부 슬롯(158)은 커넥터 몸체(112)의 중앙축(124)을 횡단하여 있는 주 리테이너(116)의 레그를 수용하여 위치시킨다. 주 리테이너(116)의 레그 요소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측부 슬롯(162)에 있다.
도4와 도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112)의 전방 림(142)의 후방 대향 면(143)은 림(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 형성된 후방 축선방향 돌출부 또는 몸체 포스트(148, 152, 159)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 또는 몸체 포스트는 커넥터 몸체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상부 몸체 포스트(148)는 곡선진 상부 벽(144)의 측면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 포스트(148)는 각각 공지된 방식으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횡단부재에 캠동작 면과 함께 동작하는 상부 곡선진 면을 구비한다.
하부 돌출부 또는 고원부(159)는 도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탄 면(171)을 형성하는 몸체(112)의 고형체 부분이고, 상기 평탄면(171)은 림(140)의 전방 대향 리테이너 접촉 면(141)쪽으로 후방방향으로 마주하고 있다. 평탄면(141)과 면(171) 사이에 공간은 리테이너(116)의 레그를 수용하는 크기이다.
도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잠금 견부(168)를 각각의 중앙 지지부재(150)가 형성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주 리테이너(116)와 함께 동작 할 것이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일 챔버(134)는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132)의 축선방향 전방에 형성된다.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132)과 상관하여 벽(120)의 감소 직경부로 형성된다. 원추형 견부(78)에서 반경방향 견부(80)까지 축선방향 전방으 로 연장 형성된다. 환형상 리세스(79)는 견부(78)의 축선 전방으로 벽(120)에 설치된다. 시일 챔버(134)는 커넥터 몸체(112)와 수 부재(114)와의 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밀봉 요소를 수용하게 설치된다.
도3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경성 스페이서 링(50)에 의해 분리된 2개 0-링 시일(46, 48)은 시일 챔버(134)에서 벽(120)의 내부 면과 수 부재(134)와의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배치된다. 0-링(46, 48)은 수 부재(114)의 밀봉 면(194) 둘레를 밀봉하고 그리고 시일 챔버(134) 내부에 기밀하게 설치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0-링(46, 48)은 중공 스페이서 슬리브(52)에 의해 시일 챔버(134)에 고정된다. 스페이서 슬리브(52)는 구멍(126) 내부에 슬리브(52)가 위치하도록 벽(120)의 원추형 견부(78)에 대항하여 있는 원추형 확장 단부(54)를 갖는다. 구멍(126) 내부에 스페이서 슬리브(52)의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승 환형상 부분(56)이 슬리브(52)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다. 상승 부분(56)은 슬리브(52)가 제 위치에서 잠금 상태로 있게 벽(120)에 형성된 리세스(79)에 대응적으로 수용된다.
관 단부 리셉터클(136)은 시일 챔버(134)의 축선 전방에 형성된다. 상기 리셉터클은, 반경방향 견부(80)의 소직경 단부에서 원추형 견부(82)까지 축선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시일 챔버(134)와 관련하여, 벽(120)의 감소 직경부로 형성된다. 관 단부 리셉터클(136)은 원통형 밀봉면(194)을 수용하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수 부재(114)를 안내한다.
유체 통로(138)는 벽(120)의 최소 직경부로 형성된다. 원추형 견부(82)의 소직경 단부에서 호스 연결 단부(130)까지 인도된다. 유체 통로(138)를 둘러싸는 벽(120) 부분은 유체 라인에 있는 다른 부품에 연결하기 수월하게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커넥터 몸체(112)는 예를 들어, 가요성 호스(113)에 연결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고, 호스(113)의 내부에 대해 밀봉되게 0-링 시일(84)을 수용하는 그루브와 반경방향 미늘(85)을 갖는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적인 적절한 연결장비를 사용하여 유체 시스템을 완성할 수도 있다.
도6 내지 도11에는 주 "편자"타입 리테이너(116)가 설명된다. PPA와 같은 탄성의 유연한 재료로 양호하게 성형된 타입의 몸체를 갖는다. 리테이너 몸체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도성 삽입체(220)에 의해 전도성으로 만들어진다.
주 리테이너(116)는 횡단부재(198)에서 연장 형성되고 일 단부에서 연결된 1쌍의 신장된 대체로 평행한 레그(196)를 갖는다. 레그(196)사이에 정상 분리부는 수 부재(114)의 원통형 밀봉 면(194)의 외부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레그(196)는 후방면(202)과 전방면(204)을 갖는다.
전도성 주 리테이너(116)는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132)에 배치된다. 리테이너는,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132)의 상부 슬롯(158)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어, 커넥터 몸체(11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116)의 레그(196)는 하부 돌출부(159)에 형성된 평탄면(171)과 전방 림(140)의 전방 대향면(141)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공간은 레그(196)의 축선 두께보다 축선방향으로 더 크게 있다.
방출 돌출부(208)는 횡단부재(198)의 반경방향 내부면에 형성된다. 방출 돌출부(208)는 상부 지지부재(144)의 상부면(145)과 이격져서 횡단부재(198)의 중앙구역을 지지하도록 상부 몸체 포스트(148)와 함께 동작하는 경사 면 또는 캠 동작 면(209)을 형성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부재(198)의 후방 대향면(199)은 레그(196)의 후방면(202)과 축선방향으로 정렬 배치된다. 상기 면(199, 202)은 평면 전방 대향 리테이너 접촉면(141)과 접하는 평면 몸체 접촉면을 형성한다. 횡단부재는 레그(196)의 전방면(204) 너머로 축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 지지부재(144)의 상부면(145) 위에 면(141, 143) 사이에 포켓 내부에 설치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레그(196)는 횡단부재(198)에서 원격진 단부에 형성된 래치(206)를 구비한다. 주 리테이너(116)가 커넥터 몸체(112)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래치(206)가 커넥터 몸체(112)에 대한 위치에서 주 리테이너(116)를 고정한다. 래치(206)로 한정된 래칭 엣지(212)는 커넥터 몸체(112)의 중앙 지지부재(150)로 한정된 잠금 견부(168)와 결합하여 주 리테이너(116)를 제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고정한다.
각각의 레그(196)는, 중앙 지지부재(150)의 상부 측면 외부방향 엣지와 협력 동작하여 주 리테이너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각진 면(205)을 갖는다. 상기 레그(196)의 탄성 성질은 상기 상관 관계를 보장한다. 각각의 상방향 이동은 중앙 지지부재(150)상에 잠금 견부(168)와의 래칭 엣지(212)의 접촉으로 제약을 받는다.
선도 구역(210)은 레그(196)의 후방면(202)에 형성된다. 상기 구역(210)은 각각의 레그의 후방면(202)에서 반경 내부방향과 축선 전방방향으로 경사져서, 각각의 레그의 전방면(204)과 후방면(202)과의 사이에 대략 중간 지점까지 이어진다. 선도 구역(210)의 선도 엣지 사이에 공간은 후방면(202)에 인접하여 최대가 된다.
상기 공간은 수 부재(114)에 형성된 역전부(190)의 외부 직경 또는 외부 둘레면과 거의 동일하다. 선도 구역(210)의 내부 엣지(216)에서, 선도 구역(210) 사이에 공간은 수 부재(210)의 밀봉면(194)의 외부 직경과 거의 같다. 래치(206)에 근접하여 있는 선도 구역(210)의 부분은 수 부재 역전부(190)의 환상 외형상(annular profile)과 대응하게 '218'에서 내부 방향으로 굽어있다. 이러한 형태는 커넥터 몸체에 상기 관이 삽입되는 중에 커넥터 몸체(112) 내로 수 부재(114)를 안내하고 중앙설정 하는데 유익한 것이다.
수 부재(114)를 커넥터 몸체(112)에 연결하는 작업은 수 수용 단부(128)에서 유입 개구를 통해 관 단부(192)를 삽입하고, 구멍(126) 안으로 전진방향으로 관 단부를 가압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 단부(192)는 0-링 시일(46, 48)과 스페이서(50)를 포함하는 "시일 팩"을 통해서, 커넥터 몸체의 벽(120)에 의해 안내되는 관 단부 리셉터클(136) 안으로 통해 지나간다.
상기 관은 레그(196)의 후방면(202)에 형성된 선도 구역(210)의 곡선부분(218)과 역전부(190)가 접촉할 때까지 전진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관의 지속적인 삽입은 상기 역전부(190)가 선도 구역(210)과 결합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레그를 측면으로 이격지게 가압한다. 상기 레그(196)는 레그의 전방면(204) 너머로 내부방향으로 상기 역전부가 지나가게 하기에 충분하게 확장하게 유연한 것이다. 상기 역전부(190)가 레그(196)의 전방면의 전방에 있으면, 레그의 탄성 성질이 관의 원통면(195)에 인접하여 정상 공간으로 돌아오게 한다. 다음, 상기 역전부는 레그(196)의 전방면(204)과 대응 접촉 상태로 있는다. 횡단부재(198)의 후방 대향면(199)과 레그(196)의 후방면(202)은 전방 대향 평면 리테이너 접촉면(141)과 접하여 수 부재(114)가 후퇴되는 것을 방지한다.
주 리테이너(116)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레그(196)의 전방면(204)은 역전부(190)의 접합면(191)과 접한다. 후방면(202)은 림(140)의 평탄면(141)과 접하여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2)에서 후퇴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구(127) 밖으로 역전부를 가압하는 축선방향 힘은 후방 대향면(141)과 리테이너(116)의 레그(196)의 후방면(204)의 접촉으로 저항을 받게 된다. 횡단부재(198)의 후방 대향면(199)도 면(141)과 접촉 상태에 있다.
방출 돌출부(208)의 경사 면은 상부 몸체 포스트(145)의 상부 곡선면에 놓여진다. 횡단부재(198)에 적용된 내부 반경방향 압력은 상부 지지부재(144)의 상부면(145)쪽으로 횡단부재를 가압하여, 측부 슬롯(162) 내부에서 횡단 외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래치(206)로, 레그(196)가 이격 확산되게 한다. 이러한 동작은, 커넥터 몸체(112)에서 수 부재가 철수되어야 하는 경우에, 수 부재(114)가 구속해제 되게 한다.
본 발명에 의거, 리테이너(116)의 몸체는 도9에 도시한 전도성 금속제 삽입체(220)를 이용하여 전도성이 있게 한다. 상기 몸체는 스틸 스탬핑으로 만들어진 단일체 요소이다.
도9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삽입체(220)는 횡단부재(222)와 이격진 레그(224)를 구비한다. 상기 부분은 횡단 링크(226)에 의해 연결된다.
횡단부재(222)는 커넥터 몸체 접촉면(228)을 형성한다. 레그(224)는 관 역전부 접촉면(230)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체는 단일 금속물이므로, 접촉면(228, 230) 사이에서 전도체를 형성한다.
도10 및 도11은 전도성 리테이너(116)를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도10은 레그(196)의 전방면(204)을 나타내고 그리고 도11은 레그(202)의 후방면(202)과 공평면에 있는 횡단부재(198)의 후방 대향면(199)과 레그(196)의 후방면(202)을 나타낸다. 레그(224)의 공간은 수 부재(114)상에 역전부(190)의 직경보다 작다. 이러한 사실은 금속제 삽입체(220)의 접촉면(230)이 역전부(190)의 반경방향 접합면(191)과 확실하게 접촉하게 한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전부 접촉면(230)은 레그(196)의 전방면(204)에서 노출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접촉면(228)은 횡단부재(198)의 후방 대향면(199) 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횡단부재(198)의 후방 대향면(199)에서 노출이 이루어진다.
리테이너(116)에 의해 상기 몸체에 고정된 수 부재(114)와 커넥터 몸체(112) 내의 제위치에 전도성 리테이너(196)가 있는 상태에서, 전도체는 관 역전부(190)로부터 커넥터 몸체(112)의 전방 대향 리테이너 접촉면(141)까지의 삽입체(220)로 형성된다.
유체 시스템 내부에 유체 압력은 커넥터 몸체(112)의 외부방향으로 관 단부(192)를 가압한다. 관 역전부(190)의 반경방향 접합면(191)은 레그(196)의 전방면(204)에 노출된 삽입체(220)의 관 역전부 접촉면(230)과 접한다. 상기와 같은 힘이 몸체(112)의 면(141)을 향하는 방향으로 리테이너를 가압한다. 삽입체(220)의 몸체 접촉면(228)은 커넥터 몸체(112)의 전방 대향 리테이너 접촉면(141)과의 접촉접합부 쪽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전도체는 커넥터 몸체(112)에서 관 역전부(190)까지 리테이너를 통해 제공되게 된다.
전도성 리테이너는 양호하게 리테이너 몸체 안으로 금속제 삽입체(220)를 삽입 성형하여 형성된다. 복합 열(row)로 있는 삽입체(220)가 금속제 스트립에서 스탬프 된다. 상기 스탬프 요소는 공동 당 1개로, 복수개의 공동을 가진 주형 안으로 공급된다. 상기 삽입체는 주형 안에서 지지되어 있으며, 폴리프탈아미드 수지가 주형 공동에 공급되고 경화되어, 레그의 전방면(204)에서 횡단부재(198)의 후방면(199)까지 연장 형성된 전도체를 가진 완전한 리테이너를 형성한다.
도12와 도13은 리테이너에 전도체를 제공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전도성 리테이너(316)는 2개 요소인 몸체(317)와 전도성 삽입체(320)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리테이너는, 성형 삽입체가 아닌, 2개의 함께 조립된 분할 부품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리테이너 몸체(317)는 폴리프탈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수지로 성형된다. 이전 실시예의 리테이너(116)에 있는 것과 같이 형성된 레그(396)와 횡단부재(398)를 갖는다. 즉, 커넥터 몸체(112) 내에 수 부재(114)를 해제가능하게 보유하도록 동작하는데 필요한 리테이너(116)의 특징부와 표면을 모두 구비한다.
리테이너 몸체(317)는 레그(396)의 전방 대향면(304)과 정렬을 이루고 있는 횡단부재(398)에 형성된 슬롯(319)을 갖는다.
또한, 횡단부재(398)는 슬롯(319)까지 연장 형성된 상부면을 따라서 있는 축선방향 슬롯(321)을 구비한다. 횡단부재(398)의 후방 대향면(399)은 슬롯(321)에 연결된 노치(323)를 구비한다.
도13은 금속제 전도성 부착부(32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부착부는 1쌍의 이격져 평행하게 있는 레그와 횡단부재를 형성하는 대략 "U"형상의 밴드(325)를 갖는다. 상기 밴드는 슬롯(319) 내부에 설치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밴드의 각각의 레그는 접촉 패드(330)를 갖는다. 또한, 밴드(325)의 중앙부분에서 연장 형성된 축선방향 웨브(web)(327)도 구비한다. 상기 웨브는 접촉 플랜지(329)에서 끝난다.
전도성 리테이너(316)는 리테이너 몸체(317)에 전도성 삽입체(320)를 조립하여 생성된다. 상기 밴드는 횡단부재(398)의 슬롯(319)에 배치된다. 상기 웨브(327)는 노치(323)에 배치된 접촉 플랜지(329)를 가진 축선 슬롯(321)에 배치된다. 접촉 패드(330)는 레그(396)의 인접 전방면(304)에 배치된다.
금속제 삽입체(320)는 삽입체의 탄성동작으로 리테이너 몸체(317)에 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면에서, 상기 접촉 플랜지는 노치(323) 내부에 리테이너 몸체를 붙잡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접촉 패드는 레그(396)의 외부면을 붙잡고 있다.
커넥터 커플링에 설치된 조립 리테이너(316)를 가진 상태에서, 접촉 패드(330)는 수 부재(114)의 역전부(19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그리고 반경방향 접합면(191)과 접촉하고 있다. 접촉 플랜지(329)는 커넥터 몸체(112)의 전방 대향 리 테이너 접촉면(141)과 접촉하여 있다. 커넥터 몸체가 전도성이기 때문에, 전도체가 경성 관(114)의 역전부(190)와 커넥터 몸체(116)와의 사이에 삽입체(320)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는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지만, 상술된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경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유체 라인에 분리식 연결부를 형성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커넥터 몸체의 수부재 수용단부로부터 전방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며, 전방 대향 리테이너 접촉면을 가진 전도성 커넥터 몸체와;
    상기 커넥터 몸체의 수부재 수용단부를 통해 상기 관통 구멍으로 연장되는 전도성 관형 수부재; 및
    각각의 레그가 비전도성의 전방 대향면과 후방 대향면을 갖는 이격 분리된 레그와, 상기 레그를 연결하며 비전도성 후방 대향면을 가진 횡단부재로 이루어진 비전도성 몸체를 구비하는 커넥터 몸체 내부에 배치되는 관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수부재는 원통형 밀봉면과 환형의 역전부를 갖고, 상기 역전부는 원통형 밀봉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후방 대향 반경방향 접합면을 형성하며;
    리테이너의 비전도성 몸체 내에서 분리된 전도성 삽입체를 가진 상기 리테이너는, 전도성의 관형 수부재의 역전부의 후방 대향 반경방향 접합면과 접촉하는 상기 레그 중 적어도 1개의 레그의 비전도성 전방 대향면상에서 전도성 관의 역전부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진 적어도 1개의 레그와, 상기 전도성 커넥터 몸체의 전방 대향 리테이너 접촉면과 접촉하는 비전도성 관 리테이너의 횡단부재의 비전도성 후방 대향면상에서 전도성 커넥터 몸체와의 접촉면을 가진 횡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삽입체는 금속 삽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삽입체는 2개의 레그를 포함하며, 그 각각의 레그는 상기 리테이너의 각각의 레그의 비전도성 전방 대향면에서 전도성 관 역전부와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삽입체는 상기 삽입체의 레그와 상기 삽입체의 횡단부재를 연결하는 전도성 횡단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삽입체는 단일체 금속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6. 제5항에 있어서, 리테이너 몸체는 폴리프탈아미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7. 제6항에 있어서, 전도성 삽입체는 스틸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8. 제7항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전도성 삽입체를 리테이너 몸체에 삽입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70084501A 2006-08-22 2007-08-22 전도체를 가진 급속 커넥터 KR101441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3933206P 2006-08-22 2006-08-22
US60/839,332 2006-08-22
US11/841,506 US7866711B2 (en) 2006-08-22 2007-08-20 Quick connector with conductive path
US11/841,506 2007-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141A KR20080018141A (ko) 2008-02-27
KR101441124B1 true KR101441124B1 (ko) 2014-09-17

Family

ID=3869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501A KR101441124B1 (ko) 2006-08-22 2007-08-22 전도체를 가진 급속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866711B2 (ko)
EP (1) EP1892450B1 (ko)
JP (1) JP5250224B2 (ko)
KR (1) KR101441124B1 (ko)
CN (1) CN101135407B (ko)
BR (1) BRPI0705982A (ko)
ES (1) ES2416282T3 (ko)
PL (1) PL189245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60641B (en) * 2008-06-02 2013-03-13 Joy Mm Delaware Inc A clip for pin retention
US10711930B2 (en) 2009-12-09 2020-07-14 Nordson Corporation Releasable connection assembly
MY159166A (en) * 2009-12-23 2016-12-30 Nordson Corp Fluid connector latches with profile lead-ins
GB2485331A (en) * 2010-09-22 2012-05-16 Adrian Roger Poulton Conduit connector
CH704182A2 (de) * 2010-12-01 2012-06-15 Agro Ag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s kabels.
JP5687152B2 (ja) * 2011-08-01 2015-03-18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WO2013031272A1 (ja) * 2011-08-29 2013-03-07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コネクタ
DE102011053260B4 (de) * 2011-09-05 2014-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chnellkupplung zur Verbindung medienführender Leitungen
JP6067366B2 (ja) * 2012-12-20 2017-01-25 住友理工株式会社 配管接続構造
US9341295B2 (en) 2013-03-27 2016-05-17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Fluid connectors for reductant systems
EP2796758B1 (de) * 2013-04-23 2016-12-07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Kupplung
JP5753284B1 (ja) * 2014-01-16 2015-07-22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FR3017686B1 (fr) * 2014-02-14 2016-09-30 Sartorius Stedim Fmt Sas Connecteur fluidique avec coulisse de verrouillage.
FR3001276B1 (fr) * 2014-04-14 2015-08-14 Parker Hannifin Mfg France Sas Dispositif de raccordement assurant une continuite electrique entre tubes
US10422459B2 (en) 2015-01-14 2019-09-24 Norma U.S. Holding Llc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US9543677B1 (en) * 2015-07-29 2017-01-10 Stein Industries Inc. Quick connector
USD838366S1 (en) 2016-10-31 2019-01-15 Nordson Corporation Blood pressure connector
FR3060097B1 (fr) * 2016-12-12 2019-08-23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circuit hydraulique
US10816121B2 (en)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DE102017006675B4 (de) * 2017-07-14 2023-12-21 A. Raymond Et Cie Verbinder, System aus einem Verbinder und einem einen Kopf aufweisenden Raststift eines zweiten Bauteils, Verfahren unter Einsatz eines derartigen Systems
USD859618S1 (en) 2017-09-15 2019-09-10 Pentair Water Pool And Spa, Inc. Heating apparatus clip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JP6889756B2 (ja) * 2019-06-18 2021-06-18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11525428B1 (en) * 2021-12-06 2022-12-13 Robert Bosch Gmbh Retaining clip and connection assembly includ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10721A2 (en) * 2001-11-12 2003-05-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Electrical contact for fluid quick connectors
JP2005522658A (ja) * 2002-04-17 2005-07-28 アイティーティー・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エンタープライジ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ランジレスの端末部のための保持クリップを有する流体迅速コネクタ
WO2006055668A2 (en) * 2004-11-18 2006-05-26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8759A (en) * 1937-01-25 1938-02-15 Gates Rubber Co Antistatic gasoline dispensing nozzle
US2966539A (en) * 1957-10-07 1960-12-27 American Cast Iron Pipe Co Electrically conductive pipe joint and gasket
US3093703A (en) * 1960-11-07 1963-06-11 Killark Electric Mfg Company Expansion fitting for electrical conduits
US3963856A (en) * 1974-11-25 1976-06-15 Steward Plastics, Inc. Flexible, corrugated, plastic tubing having conductive helical bead
DE2609034B2 (de) 1976-03-05 1981-04-30 Drägerwerk AG, 2400 Lübeck Anschluß für Atemgerät
JPH0637262Y2 (ja) * 1988-08-26 1994-09-28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JP2502472Y2 (ja) * 1988-09-20 1996-06-26 臼井国際産業 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
US5076920B2 (en) * 1990-08-30 1998-05-05 Allied Signal Inc Electrostatically dissipative fuel filter
WO1993003594A1 (en) * 1991-08-09 1993-02-18 Tandem Computers Incorporated Electronic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and emi shielding
IT1259568B (it) * 1992-04-30 1996-03-20 Bertoldo & C Srl Giunto di collegamento per tubi metallici
GB9402758D0 (en) * 1994-02-11 1994-04-06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DE19511479C2 (de) * 1994-03-29 2000-02-10 Toyoda Gosei Kk Verbindungsvorrichtung
US5527072A (en) * 1994-06-28 1996-06-18 Pilot Industries, Inc. Quick connect coupling
US5586792A (en) 1995-02-21 1996-12-24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US6293596B1 (en) * 1999-01-06 2001-09-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after incident indicator clip
US6805383B2 (en) 2001-11-12 2004-10-19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secure electrical contact
US7244142B2 (en) * 2003-08-07 2007-07-17 Piolax Inc. Connection structure or fastening structure with resonant circuit
JP4264325B2 (ja) * 2003-08-07 2009-05-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接続構造或いは締結構造
US7390025B2 (en) 2004-03-31 2008-06-2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7410370B2 (en) * 2006-12-29 2008-08-12 Sandisk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ESD grounding cli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10721A2 (en) * 2001-11-12 2003-05-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Electrical contact for fluid quick connectors
JP2003185080A (ja) * 2001-11-12 2003-07-03 Itt Mfg Enterp Inc 流体クイックコネクタ用の電気的接触部材
JP2005522658A (ja) * 2002-04-17 2005-07-28 アイティーティー・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エンタープライジ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ランジレスの端末部のための保持クリップを有する流体迅速コネクタ
WO2006055668A2 (en) * 2004-11-18 2006-05-26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89177A (ja) 2008-04-17
EP1892450A2 (en) 2008-02-27
BRPI0705982A (pt) 2008-09-23
PL1892450T3 (pl) 2013-09-30
KR20080018141A (ko) 2008-02-27
ES2416282T3 (es) 2013-07-31
JP5250224B2 (ja) 2013-07-31
US20080048442A1 (en) 2008-02-28
US7866711B2 (en) 2011-01-11
EP1892450B1 (en) 2013-03-27
CN101135407B (zh) 2012-05-23
EP1892450A3 (en) 2012-03-21
CN101135407A (zh)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124B1 (ko) 전도체를 가진 급속 커넥터
KR101426947B1 (ko) 혼합식 급속 커넥터
KR101708495B1 (ko) 밀봉 조립체 리테이너를 가진 급속 커넥터
CN101644368B (zh) 具有拉环检验器的快速连接器联接装置
KR101849152B1 (ko) 관형 연결부용 록킹 부품
US10422459B2 (en)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US4541658A (en)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KR20060115605A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CN101280868B (zh) 流体联结组件
US9377144B2 (en) Release tool for quick connector
US7452247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uel pump
KR20060041657A (ko) 고압력 적용가능 급속 커넥터
JP2023517233A (ja) クイックコネクタ用送信機
US6805383B2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secure electrical contact
CN114593294A (zh) 具有引导式先导件的连接器
US6340180B1 (en) Releasable coupling assembly for securing a vehicle fuel line
US20050236833A1 (en) Tube lock quick connector
EP0462971A1 (en) FEMALE FITTING IN TWO PIECES.
CN112119252A (zh) 流体连接装置和系统
KR200497939Y1 (ko) 검증기 기구를 갖는 퀵 커넥터
KR102481771B1 (ko) 퀵 커넥터
EP4372262A1 (en) Connector with guiding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