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605A -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 Google Patents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605A
KR20060115605A KR1020060039950A KR20060039950A KR20060115605A KR 20060115605 A KR20060115605 A KR 20060115605A KR 1020060039950 A KR1020060039950 A KR 1020060039950A KR 20060039950 A KR20060039950 A KR 20060039950A KR 20060115605 A KR20060115605 A KR 20060115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ick connector
retainer
extra
connector body
connec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375B1 (ko
Inventor
케린 짐
리챠드 엠. 페페
로버트 에이. 코세이
Original Assignee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9174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6011560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티아이 그룹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115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10Hose-clips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원의 급속도 커넥터 커플링은 커넥터 몸체, 업셋을 가진 관형 수 부재, 기본 리테이너 및 분할된 가외 걸쇠/확인체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몸체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수 부재는 상기 구멍 안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기본 리테이너는 상기 커넥터 몸체 내에 상기 수 부재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한다. 가외 걸쇠/확인체는 커넥터 몸체에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비걸림 위치와 걸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동작할 수 있다. 수 부재가 완전 삽입된 후에만 걸림 위치로의 운동을 허용하는 식별 태브를 가진 이격분리된 핑거를 구비한다. 상기 핑거는 릴리스 태브를 구비하여 연장 빔을 수동으로 확산시킨다. 다른 형태에서는, 커넥터 몸체가 내부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잠금 패드를 구비한다. 기본 리테이너의 레그는, 상기 수 부재가 커넥터 몸체로부터 수 부재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레그가 방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막는 동작을 하는 잠금 패드의 내부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걸쇠, 커넥터, 리테이너, 가외 걸림/확인체, 식별 테브, 커넥터 커플링.

Description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도1은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의 3-3선을 따라 절취된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저부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커넥터 몸체의 측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커넥터 몸체의 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6-6선을 따라 절취된 도4의 커넥터 몸체의 측단면도이다.
도7은 도4의 7-7선을 따라 절취된 도4의 커넥터 몸체의 정단면도이다.
도8은 도4의 8-8선을 따라 절취된 도4의 커넥터 몸체의 후방 단면도이다.
도9는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기본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도9의 기본 리테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11은 도9의 기본 리테이너의 정면도이다.
도12는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가외 걸쇠/확인체의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2의 가외 걸쇠/확인체의 후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4는 도12의 가외 걸쇠/확인체의 측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5는 도12의 가외 걸쇠/확인체의 전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6은 비걸림 위치에 가외 걸쇠/확인체와 커넥터 몸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수 부재를 나타낸, 명확한 도시를 이유로 제거된 기본 리테이너를 가진, 도1의 16-16선을 따라 절취된 도1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도17은 비걸림 위치와 걸림 위치와의 사이에 중간 위치에 있는 가외 걸쇠/확인체와 커넥터 몸체 안으로 완전하게 삽입된 수 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도시한, 도16과 유사한 정단면도이다.
도18은 걸림 위치에 있는 가외 걸쇠/확인체와 커넥터 몸체 안에 완전 삽입된 수 부재를 나타낸, 도16과 유사한 정단면도이다.
도19는 커넥터 몸체 내에 상기 튜브가 유지되도록 걸려진 가외 걸쇠/확인체를 가진 걸림 위치에 결합된 기본 리테이너와 커넥터 몸체 안에 완전 삽입된 수 부재를 나타낸, 도16과 유사한 정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특징을 실시하는 개조 또는 변경된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21은 도20의 다른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암 커넥터 몸체의 측면도이다.
도22는 도21의 커넥터 몸체의 저부도이다.
도23은 도21의 23-23선을 따라 절취된 도21의 커넥터 몸체의 정단면도이다.
도24는 도21의 24-24선을 따라 절취된 도21의 커넥터 몸체의 후방 단면도이다.
도25는 도20의 다른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의 가외 걸쇠/확인체의 사시도이다.
도26은 도25의 가외 걸쇠/확인체의 정면도이다.
도27은 비걸림 위치에 있는 가외 걸쇠/확인체를 나타낸, 명확한 도시를 목적으로 제거된 기본 리테이너를 가진, 도20의 27-27선을 따라 절취된 도20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의 정단면도이다.
도28은 비걸림 위치와 걸림 위치와의 사이에 중간 위치에 있는 가외 걸쇠/확인체와 커넥터 몸체 안에 완전하게 삽입된 수 부재를 나타낸, 도27과 유사한 정단면도이다.
도29는 걸림 위치에 있는 가외 걸쇠/확인체와 커넥터 몸체 안으로 완전하게 삽입된 수 부재를 나타낸, 도27과 유사한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급속 커넥터 커플링 112: 커넥터 몸체 113: 호스
114: 수(male) 부재 116: 기본 리테이너
118, 318: 가외 걸림/확인체(redundant latch/verifier)
134: 밀봉실 140: 전방 림 142: 후방 림
144, 154: 지지부재 148: 몸체 포스트 158, 162, 166: 슬롯
190: 업셋(upset) 196: 레그 198: 가로부재
206: 걸쇠(latch) 222: 핑거
225, 425: 관절부(knuckle) 242, 442: 식별 테브(verifying tab)
본 발명은 급속 커넥터 커플링을 가진 유체 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외 걸쇠/확인체를 가진 급속 커넥터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암 커넥터 몸체에 수용되어 기밀하게 유지되는 수 부재를 구비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2개 성분 또는 도관 사이에 유체 연결부를 제공하는데 활용되어, 2개 성분 사이에 유체 라인을 확립한다.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밀봉 고정된 유체 라인이 시간과 비용을 최소로 소비하면서 유체 라인을 확립하는데 유익하게 사용된다.
현재, 급속 커넥터의 수 부재와 암 커넥터 몸체를 함께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수 많은 방법과 메카니즘이 있다.
일 타입의 유지 메카니즘은 커넥터 몸체의 외부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삽입된 유지 클립의 형태로 리테이너의 사용을 포함한다. 슬롯을 통해 연장된 빔은 수 부재 업셋과 슬롯을 형성하는 후방향 면과의 사이에서 평형되어, 상기 커플링의 연결해제동작을 방지한다. 상기 리테이너의 물리적 외관으로 인하여, 리테이너는 일반적으로 "말굽(horseshoe)" 리테이너로 불리어진다. 이러한 타입의 리테이너의 일 예를, 본원에 참고 문헌으로 기재된 카라하씨(Kalahasthy)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586,792호에서 볼 수 있다. 상기 특허 '792호에 기재된 "말굽"리테이너는 상기 커플링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커플링을 용이하게 구속해제할 수 있게 한 다. 2005년 3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11/087,358호는 가외 걸쇠/확인체와 말굽형 리테이너를 가진 다양한 커넥터 장비를 개시하였다.
본 발명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상기 특허 '792호와 상기 출원번호 11/087,358호에 개시된 타입의 커넥터를 개량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 장비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의 조립 시에, 가외 걸쇠/확인체가 그 완전 삽입 위치에 상관 튜브가 있지 않으면 걸림 위치로 이동할 수 없는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위치로서, 튜브가 완전 삽입되지 않았음을 물리적 및 시각적인 지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비는 또한, 기본 리테이너의 레그가, 만일 수 부재가 커넥터 몸체와 상관하여 전진방향으로 당겨지고 그 다음, 수 부재가 그 축선을 중심으로 비틀려지거나 회전하게 되면, 결합 위치에서 결합해제 위치로 우발적으로 잘못 이동될 수 없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걸림 위치에 있게되면, 가외 걸쇠/확인체는 기본 리테이너에 의한 튜브의 우발적인 잘못된 연결해제를 방지한다. 또한, 가외 걸쇠/확인체는 커넥터 몸체에 있는 튜브의 수 부재를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유체라인 시스템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면은 경성 튜브와 특정적으로 가요성 호스와 같은 기타 유체운반성분과의 사이에 해제식 연결부로서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커플링은, 압축 또는 비압축되는, 유체통로의 경성 요소(rigid elements)의 연결과 같이 유체 기밀하면서 연결해제식 연결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다른 적용물에도 이용된다. 일 예로 차량 연료배급 시스템이 있으며, 다른 예로는 차량용 연료충전관 장비(fuel filler pipe arrangement)가 있다.
도1 내지 도3은 유체라인에 복수개 연결부를 형성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커플링(110)은, 기본 리테이너 부재(116)에 의해 함께 해제식으로 고정되고 가외 걸쇠/확인체 부재(118)를 분리하는, 도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대략 원통형의 암 커넥터 몸체(112)와 수 부재(114)로 이루어진다. 수 부재(114)는 유체라인 시스템의 일 부품을 형성하는 중공 튜브의 단부에 형성된다. 사용 시에, 암 커넥터 몸체(112)는 유체라인 시스템의 일 부품인, 도3에 도시된 배관 또는 호스(113)에 연결된다. 암 커넥터 몸체(112)와 수 부재(114)는 유체라인에 영구성으로, 수회 사용할 수 있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연결성질을 갖는다. 개방 튜브 단부 또는 선단부(192)에서 일정 거리에 반경방향 접합면(191)을 형성한 반경방향 확장 업셋(190)을 구비한다. 튜브 단부 또는 선단부(192)는 둥글게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어려움 없이 커넥터 몸체(112) 안으로 수 부재(114)가 삽입되게 한다. 상기 튜브의 외부면으로 형성된 완만한 원통형 밀봉 면(194)은, 업셋(190)과 튜브 단부(192) 사이로 연장된다. 상기 튜브는 업셋(190) 너머로 튜브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완만한 원통면(195)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 밀봉 면(194)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도4 내지 도7은 커넥터 몸체(112)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4 내지 도6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112)는 벽(120)의 대략 원통 형으로 단차진 반경방향 내부면으로 한정된다. 상술된 커넥터 몸체(112)는 양호하게 폴리아미드와 같은 플라스틱재로 성형된다. 몸체 외부는 본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적인 필요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 몸체의 일반적인 형태인, 그 단부 사이에 90도 굽어진 부분을 포함한다.
벽(120)의 내부 면은 도6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축선(124)을 중심으로 중앙에 있는 관통 구멍(126)을 형성한다. 본원에 사용된 '축선'과 '축선방향'의 의미는 중앙 축선(124)을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있는 것으로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측면' '측부', '측면방향', '횡단', '횡단방향'은 상기 축선을 향해 멀어지는 상기 축선(124)에 대해 대체로 수직적인 평면을 의미한다.
커넥터 몸체(112)의 구멍(126)은 대직경의 수 부재 수용단부(128)로부터 소직경의 호스 연결단부(130)로, 커넥터 몸체(112)를 완전하게 통해 연장 된다. 커넥터 몸체(112)의 벽(120)의 직경 변화는 관통 구멍(126)을 식별 구간으로 분할 한다.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132), 밀봉실(134), 튜브 단부 리셉터클(136), 및 유체 통로(138)는, 수 부재 수용단부(128)에서 호스 커넥터 단부(130)로 축선 후방향으로 동작한다. 본원에 사용된 '후방향'은 수 부재 수용부에서 축선방향으로 중심축선(124)을 따라서 호스 연결 단부(130)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데 사용된 것이다. '전방방향'은 호스 연결단부(130)에서 축선방향으로 중심축선(124)을 따라서 수 부재 수용단부(128)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데 사용된 것이다.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132)은 수 부재 수용단부(128)에 인접하여 있고, 수 부재 수용단부(128)에서 관통 구멍(126)에 대한 유입 홀 또는 구멍(127)을 형성한 횡단면 전방 대향 면(129)을 가진 전방 림(140)으로 형성된다. 전방 림(140)은 관통 구멍(126)쪽으로 개방된 갭 또는 공간(139)에 의해 분리된 후방 림(142)으로부터 이격져 있다. 공간(139)의 축선방향 연장은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과 후방 림(142)의 전방 대향 면(143)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 면(141, 143)은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모양 상부 지지부재(144), 2개 측부 지지부재(146), 2개 중앙 지지부재(150), 및 2개 하부 지지부재(154)에 의해 연결된다. 후방 림(142)의 하부에는 노치(147)가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재(144)의 상부 곡선 면은 후방 림(142)의 반경 최외측방향 엣지로부터 어느 정도 오목한 반경 내부방향으로 있다. 상부 지지부재(144)와 면(141, 143)은 기본 리테이너(116)의 가로부재를 수용하는 포켓(177)을 형성한다.
명확한 설명을 목적으로,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을 수평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위치시키어 나타내었으며, 상기 용어 '상부', '하부', 및 '측부'는 커넥터 몸체(116)를 기술하는데 사용되어진 것임에 주의한다. 상기 '상부' 구조는 기본 리테이너(116)와 상관되는 구조이고 그리고 하부 구조는 가외 걸쇠/확인체(118)와 상관된 구조로 이해한다. 그런데, 사용 시에, 커넥터 커플링(110)은 수평 및 수직 면을 고려하지 않은 임의적인 방향성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수직 면과 '상부' 및 '하부'만이 본원에 설명과 관련된다.
상부 지지부재(144)와 2개 측부 지지부재(146)와의 사이에 공간(139)은 1쌍의 제1 또는 상부 슬롯(158)을 형성한다. 2개 중앙 지지부재(150)와 2개 하부 지 지부재(154)와의 사이에 공간(139)은 상부 지지부재(144)와 정반대되는 제2 또는 하부 슬롯(166)을 형성한다. 2개 측부 지지부재(146)와 하부 지지부재(154)와의 사이에 공간(139)은 1쌍의 제3 또는 측부 슬롯(162)을 형성한다. 슬롯(158, 162, 166)은 관통 구멍(126)쪽으로 개방된다.
상기 상부 슬롯(158)은 커넥터 몸체(112)의 중앙축선(124)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를 수용 위치시킨다. 상기 하부 슬롯(166)은 커넥터 몸체(112)의 중앙축선(124)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가외 걸쇠/확인체(118)의 빔을 수용하여 위치시킨다. 기본 리테이너(116)와 가외 걸쇠/확인체(118)의 양쪽 요소는 측부 슬롯(162)에 속해 있다.
도6과 도7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112)의 후방 림(142)의 전방 대향 면(143)은, 부분적으로 림(140, 142)사이에 공간(139)을 충진하는 일렬의 전방 연장 축선 돌출부 또는 몸체 포스트(148, 152, 159)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 또는 몸체 포스트는 커넥터 몸체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1쌍의 제1 또는 상부 몸체 포스트(148)는 곡선진 상부 벽(144)의 측면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 포스트(148)는 각각 상부 곡선진 면(149)을 구비한다. 내부 곡선진 면(151)은 상부 지지부재(144)와 상부 몸체 포스트(148) 밑으로 연장된다. 상부 몸체 포스트(148)는,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과 대면하는, 도7에 가장 잘 도시된 전방 대향 면(137)을 구비한다.
1쌍의 제2 또는 중앙 포물선 형태 몸체 포스트(152)는 대략 180도로 분리된 관통 구멍(126)의 어느 일 측에서 측면방향으로 배치된 선단부 또는 정점(163)을 구비한다. 포물선 형태 중앙 몸체 포스트(152)는 외부 반경방향을 향하고, 중앙 축선(124)을 관통하여 거의 통과하는 대체로 수평인 평면에 있는 정점(163)에서 연결된 하부 곡선진 면(155)과 상부 곡선진 면(153)을 구비한다. 각각의 중앙 몸체 포스트(152)는 부가로, 상부 지지부재(144)와 제1몸체 포스트(148)의 반경내부방향으로 곡선진 면(151)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반경 내부방향 곡선진 면(156)을 구비한다. 내곡선진 면(156)은 캐치(catch)(157)에서 하부 곡선진 면(155)과 교차한다.
제3 또는 하부 돌출부(159)는 하부 지지부재(154)와 중앙 지지부재(150)와의 사이로 연장 형성된 몸체(112)의 고형체부분이다. 도6과 도7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방 대향된 평면(171)을 형성한다. 하부 돌출부(159)는 하부 지지부재(154)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각도진 중앙 지지부재(150)에서 외부방향으로 횡단하여 연장된 이격진 렛지(ledges)(160)를 구비한다. 하부 돌출부(159)의 반경 또는 측면 외부방향 연장부는 짧은 거리로 평행한 다음, 하부 지지부재(154)를 향하는 방향으로 모여지는 이격진 측부 벽(161)에 의해 한정된다.
하부 돌출부(159)는 부가로, 상부 몸체 포스트(152)와 곡선진 상부 지지부재(144)에 의해 한정된 반경방향으로 내부 곡선진 면(151)과 동일한 곡률 반경의 반경방향 내부 곡선 면(164)과,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내부 곡선진 면(156)을 구비한다. 내부 곡선진 면(151, 156, 164)은 원통형 구간이고 업셋 수용 포켓(165)을 형성한다.
하부 슬롯(166)은, 도5와 도7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중앙 지지부재(150)의 이격진 내부방향 대향 면(167)과 하부 지지부재(154)의 이격진 내부방향 대향 면(169)과의 사이로 측부방향으로 연장된 확장 부분과, 측부 면(175)과의 사이에서 횡단방향으로 연장된, 도5와 도8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협폭 부분(narrowed portion)을 구비한다. 측부 면(175)은 서로 면(169)에 대해 평행하고, 구멍(126) 내부로 연장 형성된다. 하부 슬롯(166)의 횡단면은 대략 'T'형태 이다. 하부 돌출부(159)의 평탄 면(171)은 하부 슬롯(166)의 최후방 면을 형성한다. 도5와 도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전방 면(173)은 하부 슬롯(166)의 전방을 한정한다.
각각의 중앙 지지부재(150)는 도7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잠금 견부(168)를 형성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기본 잠금 리테이너(116)와 공동 동작 한다.
잠금 릿지(ridge)(172)는 각각의 하부 지지부재(154)의 외부 엣지로부터 측부방향으로 연장되고, 도7과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면(174)을 형성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릿지(172)는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에서 후방 림(142)의 전방 대향 면(143)으로 축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잠금 릿지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가외 걸쇠/확인체 로서의 기능을 한다.
밀봉실(134)은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132)의 축선 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132)과 상관하여, 벽(120)의 감소된 직경부분에 의해 한정된다. 원추형 견부(78)에서 방사형 견부(80)로 축선 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환형상 리세스(79)는 상기 견부(78)의 축선 후방향으로 벽(120)에 설치된다. 밀봉실(134)은 커넥터 몸체(112)와 수 부재(114)와의 사이에 유체 밀봉부를 형성하도록 밀봉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3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경성의 이격 링(50)에 의해 분리된 2개 0-링 밀봉부(46, 48)는 수 부재(134)와 밀봉실(134)과의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 한다. 0-링(46, 48)은 수 부재(114)의 밀봉 면(194) 주위에 기밀하게 그리고 밀봉실(134) 내에 엄밀하게 끼워지는 크기의 것이다. 0-링(46, 48)은 중공의 이격 슬리브(52)에 의해 밀봉실(134)에 고정된다. 이격 슬리브(52)는 구멍(126) 내에 슬리브(52)가 위치하도록 벽(120)의 원추형 견부(78)에 대항하여 놓여진 원추방향으로 확장된 단부(54)를 구비한다. 구멍(126) 내에 이격 슬리브(52)의 향상된 고정부를 제공하기 위해, 상승 환형상 부분(56)을 슬리브(52)의 외부 둘레에 형성한다. 상승 부분(56)이 벽(120)에 형성된 리세스(79)에 대응하여 수용되어 슬리브(52)를 제위치에 고정시킨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136)은 밀봉실(134)의 축선 후방향에 형성된다. 방사형 견부(80)의 소직경 단부에서 원추형 견부(82)로 축선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밀봉실(134)과 상관하여, 벽(120)의 감소 직경부분으로 형성된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136)은 수 부재(114)의 밀봉 면(194)을 수용하고 그리고 인도 및 안내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유체 통로(138)는 벽(120)의 최소 직경부분으로 형성된다. 원추형 견부(82)의 소직경 단부에서 호스 연결 단부(130)로 유도된다. 유체 통로(138)를 둘러싸는 벽(120) 부분은 유체라인에 다른 성분에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커넥터 몸체(112)는 가요성 호스(113)에 연결되게 특정하게 형성되고, 그리고 호스(113)의 내부에 대하여 밀봉되게 0-링 시일(84)을 수용하는 오목부와 방사형 미늘(barbs)(85)을 구비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기타 다른 적절한 연결 장비가 유체 시스템을 완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9 내지 도11에는 "말굽"형 기본 리테이너(116)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양호하게, 리테이너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의 유연한 재료로 성형된다.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132)의 상부 슬롯(158)을 횡방향으로 통하여 연장된 기본 리테이너(116)는, 커넥터 몸체(112)에 탈착식으로 결합된다.
기본 리테이너(116)는, 가로부재(198)로부터 연장되고 일 단부에서 가로부재(198)에 의해 연결된 1쌍의 신장된 평행한 레그(196)를 구비한다. 릴리즈 돌출부(208)는 상부 지지부재(144)의 어느 일 측에 상부 몸체 포스트(148)의 축선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한 거리로 레그(196)의 후방 면(204)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연장된다. 릴리즈 돌출부(208)는, 기본 리테이너(116)가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되어져 있으면 상부 지지부재(144)와 관련하여 이격진 가로부재(196)의 중앙구역을 지지하는 경사진 또는 캠동작 면(209)을 한정한다. 가로부재(198)는 수 부재(114)의 원통형 밀봉 면(194)의 외부직경과 대략 동일한 레그(196) 사이에 분할부를 제공한다. 상기 레그(196)는, 후방 대향 면(141)과 상부 몸체 포스트(148)의 횡단 단부(139)와의 사이에 상부 슬롯(158)의 축선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한(허용 틈새보다 약간 작음) 축선방향 길이를 가진다. 레그(196)의 측면 폭은 레그(196)의 외부방향 확장을 허용하도록 상부 슬롯(158)의 측면 폭보다 상당히 작아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 부재의 삽입과 해제가 이루어지게 한다.
가로부재(198)는 레그(196)의 길이보다 대체로 더 큰 축선방향 길이를 가진다. 도10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가로부재(198)는 레그(196)의 전방 면(202)과 같이 축선방향으로 정렬되면서, 레그(196)의 후방 면(204) 넘어로 축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각각의 레그(196)는 가로부재(198)에서 원격진 단부에 형성된 걸쇠(206)를 구비한다. 기본 리테이너(116)가 커넥터 몸체(112)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걸쇠(206)는 커넥터 몸체(112)와 관련된 위치에 기본 리테이너(116)를 결합한다. 걸쇠(206)에 의해 형성된 결합 엣지(212)는 커넥터 몸체(112)의 중앙 지지부재(150)에 의해 형성된 잠금 견부(168)와 결합하여, 기본 리테이너(116)를 제위치에 해제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각각의 레그(196)는, 상방향으로 기본 리테이너를 가압하도록 중앙 지지부재(150)의 상부 측면 외부방향 엣지와 함께 동작하는 도9와 도10에 도시된 각진 면(205)을 구비한다. 레그(196)의 탄성성질은 이러한 상관관계를 보장한다.
인입 구역(210)은 레그(196)의 전방 면(202)에 형성된다. 상기 구역(210)은 각각의 레그의 전방 면(202)으로부터 반경 내부방향과 축선 후방향으로 경사지고 그리고, 각각의 레그의 후방 면(204)과 전방 면(202) 사이에 대략 중간부분에서 종결된다. 인입 구역(210)의 인도 엣지 사이에 이격은 전방 면(202)에 인접하여 가장 크다. 상기 이격도는 수 부재(114)에 형성된 업셋(190)의 외부 직경 또는 외부 둘레와 대략 동일하다. 인입 구역(210)의 내부 엣지(216)에서, 상기 인입 구역(210) 사이에 이격도는 수 부재(114)의 밀봉 면(194)의 외부 직경과 대략 동일하 다. 걸쇠(206)에 더 근접하게 있는 인입 구역(210)의 부분은 '218'에서 내부방향으로 곡선져서 수 부재 업셋(190)의 환형상 외형상과 대응한다. 이러한 형태는 커넥터 몸체(112)를 통해 수 부재(114)의 안내 및 중앙설정 동작을 돕는다.
도12 내지 도15에 도시한 가외 걸쇠/확인체(118)는, 측부 슬롯(162)과 하부 슬롯(166) 내에 위치한 요소를 구비하고 그리고 커넥터 몸체(112)에 탈착식으로 결합된다.
양호하게,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의 유연한 물질로 성형되는 가외 걸쇠/확인체(118)는, 곡선진 상부 지지부재(144) 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부 지지부재(156)와 관련된 커넥터 몸체(112)가 횡방향으로 활주하게 있고, 따라서 기본 리테이너(116)가 방사방향 내부 또는 걸림(latch) 위치와 방사방향 외부 또는 비걸림(unlatch) 위치와의 사이에 있다.
가외 걸쇠/확인체(118)는, 리테이너 빔(219)과 동일한 방향으로 커넥팅 부재(224)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1쌍의 측면방향으로 이격져 곡선진 탄성 핑거(222)와, 리테이너 빔(219)이 연장된 반경 내부방향 대향 면(227)을 가진 커넥팅 부재(224)를 구비한다. 커넥터 몸체(112)에 조립할 때에, 내부방향 대향 면(227)은 하부 슬롯(116)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된 리테이너 빔(219)으로 커넥터 몸체(116)의 하부 슬롯(166)을 위에 가로 놓는다. 각각의 핑거(222)는 측부 슬롯(162)에 있다.
각각의 핑거(222)는 내부방향 대향 선단부(231)를 가진 측면 내부방향 후크(230)가 있는 관절부(knuckle)(225)를 구비한다. 후크(230)에 의해 한정된 안착 구역(232)은 하부 지지부재(154)에 의해 한정된 잠금 릿지(172)와 결합하여, 가외 걸쇠/확인체가 그 외부 또는 비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커넥터 몸체(212)에 가외 걸쇠/확인체(118)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한다.
커넥팅 부재(224)와 후크(230)의 안착 구역(232)과의 사이에 위치되어, 각각의 관절부(225)의 내부 면이 경사 면(234)과 측방향 확장 면 또는 잠금 너브(236) 형태의 경과 면(transition surface)과, 유지 구역(237)을 형성한다. 2개 관절부(225)의 경사 면(234) 사이에 거리는 커넥터 몸체 하부 지지부재(154)의 잠금 릿지(172)와의 사이에 거리보다 짧다. 측방향 확장 면(236) 사이에 거리는 잠금 릿지(172)의 측면 외부 엣지 사이에 이격거리 보다 짧다. 2개 핑거의 유지 구역(237) 사이에 거리는 잠금 릿지(172) 사이에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가외 걸쇠/확인체(118)의 리테이너 빔(219)은 측방향 확장 부분(220)과 협폭 부분(221)을 구비한다. 확장 부분(220)의 측면 폭은, 하부 지지부재(154)에 이격진 벽 면(169)과 중앙 지지부재(150)에 이격진 벽 면(169)과의 사이에 하부 슬롯(166)의 확장 부분의 측면 폭보다 약간 더 작다.
도12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219)의 횡단면은 'T'형상이다. 협폭 부분(221)은 'T'의 레그를 형성하고 그리고 확장 부분(220)은 'T'의 상부 가로 막대를 형성한다. 리테이너 빔(219)은 하부 돌출부(159)의 평탄 면(171)과 대면하는 확장 부분(220)에 접합 또는 후방 대향 면(228)을 구비한다. 리테이너 빔 협폭 부분(221)은, 측면(175) 사이에 형성된 하부 슬롯(166)의 협폭 부분과 대면하는 전방 대향 면(229)을 구비한다. 리테이너 빔(219)은 중앙 지지부 재(150)에 벽 면(167)과 하부 지지부재(154)의 벽 면(169)과 상관하여 근접 이격져 활주하는 확장 부분(220)의 측면 벽을 구비한다. 도1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219)의 협폭 부분(221)은 커넥터 몸체(112)의 하부 슬롯(166)의 협폭 부분의 측면 벽(175)과 상관하여 근접 이격져 활주하는 측면 벽을 구비한다. 리테이너 빔(219)의 협폭 부분(221)에 전방 대향 면(229)은 경사 면(233)에 의해 형성된 챔퍼(chamfer)를 구비한다. 가외 걸쇠/확인체(118)가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되면, 경사 면(233)은 커넥터 몸체(118)의 수 수용단부(128)를 향하는 전진방향으로 대면한다.
본 발명에 의거, 가외 걸쇠/확인체(118)의 각 핑거(222)는 부가로, 관절부(225)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그 자유단부 또는 말단부에 형성된 식별 태브(verifying tab)(242)에서 마감된 연장 빔(240)을 구비한다. 식별 태브(242)와 연장 빔(240)의 후방 면(244)은 관절부(225)의 후면(248)은 관절부(225)의 후방 면(248)을 가진 평면이다. 그리고, 식별 태브(242)와 연장 빔(240)의 전방 면(247)은 도12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절부(225)의 전방 면(249)의 후방 축선방향으로 이격져서, 식별 태브(242)와 연장 빔(240)의 축선 두께가 관절부(225)의 축선 두께보다 얇게 된다. 관절부(225)의 두께와 식별 태브(242)와 연장 빔(240)의 두께 사이에 차이는 적어도 업셋(190)의 두께 또는 축선 길이의 크기가 되게 한다.
도1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식별 태브(242)는 둥근 엣지(250), 제1경사진 엣지(252), 제2경사진 엣지(254), 및 잠금 엣지(256)를 구비한 다. 제1경사진 엣지(252)와 둥근 엣지(250)의 접합부는 일 지점(251)을 형성한다. 인입 경사면(lead-in ramp surface)(260)은 각각의 식별 태브(242)의 전방 면(247) 안에 형성된다. 인입 경사면(260)은 각각의 식별 태브(242)의 전방 면으로부터 반경 내부방향과 축선 후방향으로 경사져서, 제1 및 제2경사진 엣지(252, 254)에서 마감된다. 반대편 인입 경사면(260) 사이에 이격은 연장 빔의 전방 면(247) 근처에서 가장 크다. 인입 경사면(260)의 형태와 이격은, 가외 걸쇠/확인체(118)가 비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커넥터 몸체(112) 내에 수 부재(114)의 삽입 시에 인입 경사면(260)과 업셋(190)의 접촉을 허용하는 수 부재 업셋(190)의 환형상 외형상과 조화를 이룬다. 반대편 제1경사진 엣지(252) 사이에 이격은, 가외 걸쇠/확인체(118)가 비걸림 위치에 있으면 식별 태브(242)와의 접촉 없이 커넥터 몸체(112)에 원통형 밀봉 면(194)이 삽입되는데 필요한 이격 정도보다 크다.
상기 연장 빔에 있는 몸체 포스트 엣지(258)는 잠금 엣지(256)쪽으로 연장된다. 잠금 엣지(256)와 몸체 포스트 엣지(258)는, 가외 걸쇠/확인체(118)가 비걸림 위치에 있으면, 중앙 몸체 포스트(152)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262)를 형성한다. 식별 태브(242)의 둥근 엣지(250)는 가외 걸쇠/확인체(118)가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상부 곡선진 면(153)과 결합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1 내지 도3에서 조립된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을 가장 잘 볼 수 있다. 기본 리테이너(116)는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된다.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는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132)의 상부 슬롯(158)을 관통하고 연장 형성된 다. 기본 리테이너(116)는 가로부재(198)와 릴리즈 돌출부(208)가 상부 지지부재(144)의 곡선진 상부 면(145) 위에 위치하도록 방향이 향해진다.
기본 리테이너(116)는 가로부재(198)에 하방향 또는 반경 내부방향 힘을 가하여 상부 슬롯(158)을 통한 레그(196)의 삽입에 의해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된다. 레그(196)가 중앙 지지부재(150)의 측부와 접촉할 때에는 하방향 힘의 증가가 필요하다. 하방향 힘을 충분히 적용하여, 레그(196)의 둥근 단부가 중앙 지지부재(150)의 측부에 대하여 활주하며, 레그(196)가 분리 확산되어 중앙 지지부재(150) 넘어로 레그(196)가 지나가게 한다. 레그(196)상에 걸쇠(206)는 중앙 지지부재(150)가 장애물 없이되면, 레그(196)가 중앙 지지부(150)의 결합 견부(168) 밑에 위치한 래칭 엣지(212)를 측면 내부방향으로 탄성지게 하여 커넥터 몸체(112)에 기본 리테이너(116)를 해제가능하게 결합된다.
기본 걸쇠(116)가 커넥터 몸체(112)에 조립되면, 가로부재(198)가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과, 후방 림(142)의 전방 대향 면(143)과, 상부 지지부재(144)의 곡선진 상부 면(145)으로 한정된 포켓(177)에 있게 된다. 레그(196)는 상부 지지부재(144)와 측부 지지부재(146)와의 사이와,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과 상부 몸체 포스트(148)와의 사이에 갭을 통해 측부 슬롯(162) 안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한 부착 위치에서, 레그(196)는 하부 돌출부(159)에 형성된 평탄 면(171)과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과의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배치된다. 릴리즈 돌출부(208)의 경사 면(209)은 상부 몸체 포스 트(148)의 상부 곡선진 면(149)에 놓여진다. 만일, 방사 내부방향 압력이 가로부재(198)의 중앙에 가해져 상부 지지부재(144)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로부재를 가압하게 되면, 경사 면(209)이 측부 슬롯(162) 내에서 횡단 외부방향으로 걸쇠가 이동하면서, 레그(196)가 이격 확산되게 하는 상부 몸체 포스트와 접촉하여 활주한다. 이러한 동작은 수 부재(114)의 구속 해제가 필요에 의해 커넥터 몸체(112)로부터 수 부재를 철수하게 한다.
도1과 도19는 적절하게 부착된 기본 리테이너(116)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착된 위치에서,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구멍(126)의 축선(124)에 대해 거의 수직적으로 있다. 후방 또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에, 상기 레그(196)는 구멍(126)의 축선(124)으로부터 대략 동일하게 이격져 있다.
커넥터 몸체(112)에 적절하게 부착된 기본 리테이너(116)를 가지고, 가외 걸쇠/확인체(118)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225)의 후크(230)가 하부 지지부재(154)의 잠금 릿지(172)를 포획하고 그리고 핑거(242)의 몸체 포스트 엣지(258)가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하부 곡선진 면(155)과 접합관계로 있을 때까지, 측부 슬롯(162)을 통해서, 횡단 상방향 또는 방사 내부방향으로 핑거(222)를 삽입하여 비걸림 위치에서 커넥터 몸체(112)에 장착된다. 동시적으로, 가외 걸쇠/확인체(118)의 리테이너 빔(219)이 커넥터 몸체(112)의 하부 슬롯(166) 안에 삽입된다. 비걸림 위치에서, 연장 빔(240)과 식별 태브(242)가 도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본 리테이너의 레그(196)와 후방 림(142)의 전방 대향 면(143)과의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비걸림 위치에서, 관절부의 상부 부분은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과 후방 림(142)의 전방 대향 면(143)과의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위치한다.
비걸림 위치에서, 가외 걸림/확인체(118)는 커넥터 몸체(112)와 관련한 축선 방사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약을 받게 된다. 후방향 림(142)의 전방 대향 면(143)과의, 관절부(225)의 연장 빔(240, 248)의 후방향 면(244)의 접합 관계는,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후방 축선방향 이동을 제약한다. 전방 림(140)의 후방 대향 면(141)과의, 관절부(225)의 전방 면(249)의 접합 관계는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전방 축선방향 이동을 제약한다.
연장 빔(240)은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의 후방향으로 측부 슬롯(162)에 위치하게 된다. 잠금 릿지(172)와의 핑거(222)의 후크(230)의 결합은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반경 외부방향 또는 횡단 하방향 이동을 제약한다. 또한, 비 걸림 위치에서, 상기 중앙 몸체 포스트는, 식별 태브(242)의 잠금 엣지(256)의 측부 외부방향으로 중앙 몸체 포스트의 포획부(157)를 가지고, 식별 태브(242)의 몸체 포스트 엣지(258)와 잠금 엣지(256)에 의해 형성된 시트(262)에 안착된다.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하부 곡선진 면(155)과의 식별 태브(242)의 몸체 포스트 엣지(258)의 접합 상관관계는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방사 내부방향 또는 횡단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약한다. 포획부(157)와의 식별 태브(242)의 잠금 엣지(256)의 접합 상관관계는 핑거(222)가 측면 외부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따라서 상당한 양의 방사 내부방향 또는 횡단 상방향 힘이 가 외 걸림/확인체(118)에 가해지게 되더라도, 하부 곡선진 면(155)과의 몸체 포스트 엣지(258)의 접합 상관관계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가 비걸림 위치에서 이동될 수가 없다.
비걸림 위치에서 커넥터 몸체(112)에 부착된 가외 걸림/확인체(118)를 가지고,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2)에 축선방향으로 삽입되어 유체통로를 완성시킨다. 수 부재(114)가 축선방향으로 삽입됨으로서, 튜브(114)의 단부 또는 선단부(192)는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에 형성된 각각의 인입 경사 면(210)과 접촉한다. 수 부재(114)의 밀봉 면(194)은, 레그 사이에 이격동작부가 수 부재(114)의 밀봉 면(194)의 외부 직경과 거의 같음으로, 무저항 또는 약간의 저항을 받고 레그(196) 사이로 밀봉 챔버(134)쪽으로 지나간다.
삽입 저항은 수 부재(114)의 업셋(190)이 레그(196)와 접촉할 때에 발생한다. 레그(196)의 인입 구역(210)은 축선 후방향 힘을 충분하게 적용할 때에만 레그(196) 사이에 업셋(190)의 통과를 허용한다. 업셋(190)이 레그(196) 사이를 지나감으로서, 인입 구역(210)을 따라서 타고 올라가 방사 또는 측면 외부방향으로 레그(196)가 수축된다. 업셋(190)이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를 통과하였으면, 업셋(190)이 레그(196)의 축선 후방향에 안착된 식별 태브(242)의 인입 경사 면(260)과 접촉한다. 상기 업셋은 식별 태브(242)의 인입 경사면(260)과 결합하고 그리고,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가 잠금 위치까지 업셋(190) 뒤에 위치로 반발하는 반면에, 방사 또는 반경 외부방향으로 가외 걸림/확인체(118)의 핑거(222)를 수축한다. 식별 태브(242)의 두께가 수 부재 업셋(190)의 축선 길이보 다 약간 더 크기 때문에, 업셋(190)의 전체 길이는 가외 걸림/확인체(118)의 핑거(222)가 업셋(190)을 수용하도록 방사 또는 측면 외부방향으로 수축되어져 있으면 식별 태브(242)사이에 놓여질 수 있다.
기본 리테이너(116)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레그(196)의 후방 면(204)이 업셋 접합 면(191)과 맞닿아 커넥터 몸체(112)로부터 수 부재(114)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 슬리브(52)는 부가로 커넥터 몸체(112) 내로 수 부재(114)가 후방향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업셋(190)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로 측부 슬롯(162) 내에서 측부 외부방향으로 가외 걸림/확인체(118)의 핑거(222)를 수축한다. 식별 태브(242)가 구멍(126)의 축선(124) 밑으로 횡방향으로 놓여지고 그리고 마찬가지로 수 부재(114)의 축선 밑으로 횡방향으로 놓여짐으로, 즉,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2) 안으로 후방향으로 삽입되어, 업셋(190)의 하부 영역이 핑거(222)의 인입 경사 면(260)과 접촉한다. 핑거(222)와의 업셋(190)의 하부 영역의 접촉은 핑거(222)상에 후방향 힘을 가할 뿐만 아니라, 수 부재(114)의 축선에서 횡단 하방향 또는 방사 외부방향으로 이격지게 가외 걸림/확인체(118)를 가압하는 핑거(222)상에 하방향 힘도 적용하며,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포획부(157) 밑에 결합 엣지(256)가 횡단방향으로 놓여지게 한다. 결합 엣지(256)가 포획부(157)를 방해물 없게 한 상태에서, 핑거(222)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경사진 엣지(245)가 중앙 몸체 포스트의 하부 곡선진 면 바로 밑에 놓여지는 위치로, 방해를 받지 않고, 반경 또는 측면 외부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의 축선 후방향으로 가외 걸림/확인체(118)의 식별 태브(242)를 배치하는, 실시예에서의 가외 걸림/확인체(118)와 기본 리테이너(116)의 설비는, 가외 걸림/확인체(118)의 핑거(222)가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를 업셋(190)이 완전하게 통과한 후에만 측면 외부방향으로 확산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에 주의 한다. 다시 말해서, 가외 걸림/확인체(118)의 핑거(222)는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8)안에 완전하게 삽입되어져 있고 그리고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가 잠금 위치에 있은 후에만 외부방향으로 확산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은 가외 걸림/확인체(118)를 걸림 위치에 위치설정하여 완료된다. 걸림 위치에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위치하도록, 횡단 상방향 또는 방사 내부방향 힘(커넥터(112)방향)을 커넥팅 부재(224)에 가한다. 충분한 횡단 상방향 또는 반경 내부방향 힘으로, 식별 태브(242)의 경사진 엣지(252, 254)가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하부 곡선진 면(155)에 대항하여 활주되며, 부가로 핑거(222)를 분리 확산시키며 식별 태브(242)의 지점(251)이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선단부 또는 정점(163)을 능가하게 한다. 식별 태브(242)의 지점(251)이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선단부(163)를 능가하면, 핑거(222)가 도18과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몸체 포스트의 상부 곡선진 면(153)과 식별 태브의 둥근 엣지(250)가 결합하는 걸림 위치에 대해 측면 내부방향으로 스넵 결합 한다. 상부 곡선진 면(153)과의 둥근 엣지(250)의 결합은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커넥터 몸체(112)로부터 비걸림 위치로 실수에 의한 잘못된 횡단 하방향 또는 반경 외부방향으로의 이동을 방 지한다.
또한,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기본 리테이너(116) 쪽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그 걸림 위치로 이동함으로서, 하부 지지부재(154)의 결합 릿지(172)가 핑거(222)의 안착 구역(232)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경사 면(234)은 결합 릿지(172) 위로 올라타서, 이들이 분리 확산되게 하는 외부방향으로 핑거(222)를 수축하며, 유지 구역(237) 사이에 있게 되는 결합 릿지(172)가 지나가도록 확장 면(236)을 허용한다. 다음, 가외 걸림/확인체(118)는, 결합 릿지(172)와의 측면방향 확장 면(236)의 접합 상관관계 동작으로 결합 릿지(172)와 유지 구역(237)의 협력동작과 핑거(222)의 탄성성질에 의한 걸림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유지된다.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그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핑거(222)의 자유 단부에 있는 후크(230)는 레그(196)의 자유단부에 있는 걸쇠(206)의 측부 외부방향으로 측부 슬롯(162)에 위치하게 된다. 핑거(222)상에 후크(230)의 내부 면 사이에 거리는 걸쇠(206)에 있는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의 외부 면 사이에 거리보다 약간 더 길다. 핑거(222)의 축선 폭은 레그(196)의 축선 폭과 거의 같다. 특히, 핑거(222)의 길이는, 가외 걸림/확인체(118)가 걸림 위치에 있으면 핑거(222)가 레그(196)의 외부방향 수축동작을 방해하여, 핑거(196)가 중앙 지지부재(150)의 결합 견부(168)에 고정된 상태로 남아 있게 한다.
동시에, 리테이너 빔(219)은 수 부재(114)를 향하는 횡단 상방향 또는 반경 내부방향으로 이동된다. 걸림 위치에서, 리테이너 빔(219)의 후방 대향면(228)은 수 부재(114)의 업셋(190)의 접합면(191)과 축선방향으로 접합 관계(axial abutting relationship)로 있다. 또한, 리테이너 빔(219)과 업셋(190)과의 사이에 이러한 축선방향 접합 관계는 수 부재(114)가 튜브 수용 단부(128)의 축선 외부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며, 커넥터 몸체(112)에 수 부재(114)를 유지하기 위한 가외 걸림 특성(redundant latch feature)을 나타낸다. 따라서, 가외 걸쇠/확인체(118)는, 커넥터 몸체(112)에 있는 튜브의 수 부재(114)가 기본 리테이너(116)의 고장과 무관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걸림 위치에 있는 가외 걸쇠/확인체(118)를 가진 상태에서, 가외 걸쇠/확인체(118)의 핑거(222)는,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8)에 완전하게 삽입되어진 후에만 횡단 외부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걸림 위치에 가외 걸쇠/확인체(118)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결합 엣지(256)에서 포획부(157)를 정리하였을 때에 커넥팅 부재(224)에 횡단 상방향 또는 방사 내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8)에 완전하게 삽입되어져 있어야 한다. 그럼으로, 가외 걸쇠/확인체(118)는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8)에 완전하게 삽입되어져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가외 걸림/확인체(118)는 커넥터 몸체(212)에서 하방향 또는 방사 외부방향으로 가외 걸림/확인체(118)에 힘을 가하여, 예를 들면 노치(147) 안에 스크루 드라이버 블레이드를 삽입하여, 커넥터 몸체(212)에서 방사 외부방향 또는 횡단 하방향으로 가외 걸림/확인체(118)의 커넥팅 부재(224)를 들어올리어서, 의도적으로 제거되어 비걸림 위치로 이동된다.
비걸림 위치에 가외 걸쇠/확인체(118)가 위치한 상태에서, 레그(196) 뒤에 잠금 위치로부터의 수 부재(114)의 해제는, 기본 리테이너(116)의 가로부재(198)에 횡단 하방향 또는 방사 내부방향으로 힘을 발휘하여 달성할 수 있다. 가로부재(198)상에 가해진 방사 내부방향 힘은 릴리즈 돌출부(208)에 경사 면(209)이 커넥터 몸체(112)의 상부 지지부재(144)의 곡선진 상부 면(145)과 접촉하게 한다. 릴리즈 돌출부(208)의 경사 면(209)은 상부 지지부재(144)에 대하여 활주하며,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가 하방향 힘을 지속적으로 받아 측부방향으로 이격 확산을 일으킨다. 따라서, 결국적으로, 상기 레그(196)는 그 사이에 거리가 업셋(190)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해제 위치로 이격 확산된다. 따라서, 상기 수 부재(114)는 커넥터 몸체(112)에서 철수 된다.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112)에서 철수되어 기본 리테이너(116)가 이완하게 되면, 상기 기본 리테이너(116)가 중앙 지지부재(150)에 대한 각진 면(205)의 협력동작으로 상방향으로 가압된 가로부재(198)를 갖는 정상 설치 위치로 복원된다.
도20 내지 도29는 본 발명의 특성을 실시하는 일부 개조된 형태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310)를 나타낸 도면이다.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110)와 유사하게, 개조된 형태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110)에는 기본 리테이너 부재(116)와 분리 가외 걸림/확인체(318)에 의해 함께 고정된 수 부재(114)와 대략 원통형의 암 커넥터 몸체(312)가 포함된다. 상기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310)의 기본 리테이너(116)와 수 부재(114)는 상술된 바와 같이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110)의 기본 리테이너(116)와 수 부재(114)와 동일한 것이다.
도21 내지 도24는 개조된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310)의 커넥터 몸 체(312)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커넥터 몸체(312)는, 수 부재(114)가 전진방향으로 당겨지게 되고 그리고 비틀림 또는 회전동작이 수 부재(14)에서 발휘되어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86)가 측부 외부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1쌍의 결합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110)의 커넥터 몸체(112)와 유사하다.
커넥터 몸체(312)는 대략 원통형으로 단차진 방사 외부 벽(320)으로 한정된다. 상기 벽(320)의 내부 면은 길이방향 축선(324)을 중심으로 관통 구멍(326)을 형성한다. 커넥터 몸체(312)의 구멍(326)은 대구경 수용단부(328)에서 소구경 호스 연결단부(330)까지 커넥터 몸체(312)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벽(320)의 직경 변화는 구멍(326)을 식별 구간으로 구분한다. 수 부재 수용단부(328)에서 호스 연결단부(330)로의 축선 후방향으로의 이동부에는, 리테이너 하우징 섹션(332), 밀봉실, 튜브 단부 리셉터클, 및 유체 통로가 있다. 밀봉실, 튜브 단부 리셉터클, 및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310)의 유체통로의 구조는 상술된 밀봉실(134), 튜브 단부 리셉터클(136), 및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110)의 유체 통로(138)와 동일한 것이다.
리테이너 하우징 구간(332)은 수 부재 수용단부(328)에 인접하여 있다. 수 부재 수용단부(328)에서 관통 구멍(326)으로의 유입부(327)를 한정한 횡단 평면 전방 대향 면(329)을 가진 전방 림(340)으로 한정된다. 전방 림(340)은 갭 또는 공간(339)으로 분리된 후방 림(342)에서 관통 보어(326)까지 개방 이격지게 된다. 상기 면(341, 343)은 활모양 상부 지지부재(344), 2개 측부 지지부재(346), 2개 중 앙 지지부재(350), 및 2개 하부 지지부재(354)에 의해 연결된다. 노치(347)는 후방 림(342)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재(344)의 상부 곡선면은 후방 림(342)의 반경 외부방향 엣지에서 반경 내부방향으로 어느 정도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재(344)와 상기 면(341, 343)은 기본 리테이너(116)의 가로부재를 수용하는 포켓(377)을 형성한다.
상부 지지부재(344)와 2개 측부 지지부재(346) 사이에 공간(339)은 1쌍의 제1 또는 상부 슬롯(358)을 형성한다. 2개 중앙 지지부재(350)와 2개 하부 지지부재(354)와의 사이에 공간(339)은 상부 지지부재(344)와 정반대측에 있는 제2 또는 하부 슬롯(366)을 형성한다. 2개 측부 지지부재(346)와 하부 지지부재(354)와의 사이에 공간(339)은 1쌍의 제3 또는 측부 슬롯(362)을 형성한다. 상기 슬롯(358, 362, 366)은 관통 구멍(326)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부 슬롯(358)은 커넥터 몸체(312)의 중심 축선(324)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를 수용하여 위치시킨다. 하부 슬롯(366)은 커넥터 몸체의 중심 축선(324)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가외 걸림/확인체(318)의 빔을 수용하여 위치시킨다. 기본 리테이너(116)와 가외 걸림/확인체(318) 양쪽 요소는 측부 슬롯(362)에 위치한다.
도20 및 도21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몸체(312)는 부분적으로 림(340, 342) 사이에 공간(339)을 채우는, 후방 림(342)의 전방 대향 면(343)에서 전진방향으로 연장된 일렬의 축선방향 돌출부 또는 몸체 포스트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 또는 몸체 포스트는 커넥터 몸체에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1 쌍의 제1 또는 상부 몸체 포스트(348)는 덮여진 상부 벽(344)의 측부 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몸체 포스트(348)는 각각 덮여진 상부 면(349)을 구비한다. 곡선진 내부 면(351)은 상부 몸체 포스트(348)와 상부 지지부재(344) 밑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부 몸체 포스트(348)는 도21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림(340)의 후방향 대향 면(341)과 대면하는 전방 대향 면(337)을 구비한다.
1쌍의 제2 또는 중앙 포물선 형태 몸체 포스트(352)는 반경 외부방향으로 지시된 포물선 모양 중앙 몸체 포스트(352)의 선단부 또는 정점(363)을 가지며, 대략 180도로 관통 구멍(326)의 어느 일 측에 측방향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중앙 몸체 포스트(352)는 중앙선(324)을 통해 상승된 평면에 있는 정점(363)에서 연결되는 상부 곡선면(353)과 하부 곡선면(355)을 구비한다. 각각의 중앙 몸체 포스트(352)는 부가로 상부 지지부재(344)와 제1몸체 포스트(348)의 방사방향 내부 곡선진 면(351)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 방사방향 내부 곡선진 면(356)을 구비한다. 내부 곡선진 면(356)은 포획부(357)에서 하부 곡선진 면(355)과 교차한다.
제3 또는 하부 돌출부(359)는 중앙 지지부재(350)와 하부 지지부재(354)와의 사이로 연장하는 몸체(312)의 고형면 이다. 하부 돌출부(359)는, 하부 돌출부(359)의 하부 엣지(376)가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걸림 위치에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있을 때에 가외 걸림/확인체(318)의 유지 구역(437)의 외형상과 어울리는 외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커넥터 몸체(112)의 하부 돌출부(159)와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결합 릿지(172)가 유지 구역(437) 사이에 있을 때에 걸림 위치에 가외 걸림/확인체(318)를 결합 릿지(172)가 더 양호하게 유지하게 한다. 하부 돌출부(359)는 도2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림(340)의 후방 대향 면(341)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진방향 대향 평탄 면(371)을 형성한다. 하부 돌출부(359)는 하부 지지부재(354)가 향하는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임의 각도로 중앙 지지부재(350)에서 횡단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이격진 릿지(350)를 포함한다. 하부 돌출부(359)의 방사 외부방향 연장부는 단거리로 평행하고 하부 지지부재(354)를 향하는 방향으로 모여진 이격진 측부 벽(361)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돌출부(359)는 부가로 중앙 몸체 포스트(352)의 내부 곡선 면(356)과 곡선진 상부 지지부재(344)와 상부 몸체 포스트(348)에 의해 형성된 방사방향 내부 곡선진 면(351)과 동일한 곡률반경의 방사방향 내부 곡선 면(364)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 곡선진 면(351, 356, 364)은 업셋 수용 포켓(365)을 형성한다.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림(340)의 후방 대향 면(341)은 후방 대향 면으로부터 움푹들어간 복수 채널을 형성한다. 1쌍의 제1 또는 상부 채널(378)은 상부 지지부재(344)와 측부 지지부재(346)와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부 채널(378)은 전방 림(340)의 상부 엣지에서 유입부(327)를 형성한 전방 림(340)의 트인구멍부쪽으로 횡단방향으로 연장된다. 1쌍의 제2 또는 상부 채널(380)은 측부 지지부재 밑에 형성된다. 상부 채널(380)은 전방 림(340)의 측부방향 외부 엣지에서 유입부(327)를 형성하는 트인구멍부로 측부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의 하부 쌍의 채널(382)은, 상부측 채널(380) 밑으로 일정 거리에 전방 림(340)에 형성된다. 방사 내부방향 연장 결합 패드(384)는 상부측 채널(380)과 하부측 채널(382)의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부 채널(380), 하부 채널(382), 및 결합 패드(384)는, 만일 수 부재(114)가 축선 전진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수 부재가 커넥터 몸체(312)에 완전 삽입되어진 후에,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가 상부 채널(380)과 하부 채널(382)의 축선 평면으로 축선방향 전방으로 가압되도록 위치하고 가압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축선 위치에는,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가 결합 패드(384)의 반경 또는 측부 내부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기본 리테이너(116)가 이러한 축방향 전방 위치에 있으면 상기 수 부재가 비틀리거나 회전되어, 결합 패드(384)는 레그(196)가 비잠금 위치로 의도하지 않은 이격 확산되는 동작을 막는다.
하부 슬롯(366)은, 도22와 도2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지지부재(354)의 이격진 내부방향 대향 면(369)과 중앙 지지부재(350)의 이격진 내부방향 대향 면(367)과의 사이에서 측부방향으로 연장된 확장 부분 그리고, 측부 면(375)과의 사이에 횡단방향으로 연장된 도22와 도2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협폭 부분을 구비한다. 측부 면(375)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면(369)에 대해 평행하고 그리고 내부 구멍(326)쪽으로 연장된다. 하부 슬롯(366)의 횡단면은 대략 "T"형태 이다. 하부 돌출부(359)의 평탄 면(371)은 하부 슬롯(366)의 최후방 면을 형성한다. 최전방 면(373)은 도2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슬롯(366)의 전방을 형성한다.
중앙 지지부재(350)의 각각은 도23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 견부(368)를 형성한다. 결합 릿지(372)는 각각의 하부 지지부재(354)의 외부 엣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도23과 도24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탄부(374)를 형성한다.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릿지(372)는 전방 림(340)의 후방 대향 면(341)에서 후방 림(342)의 전방 대향 면(343) 전에 일정 거리까지 축선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결합 릿지의 후방향 종착 단부와 후방 림(342)의 전방 대향 면(343)과의 사이에 홈(370)을 형성한다. 상기 홈(370)은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커넥터 몸체(312)에 비걸림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동안 식별 태브와 연장 빔을 상기 홈(370)이 수용하도록, 가외 걸림/확인체(318)의 식별 태브와 연장 빔의 두께보다 약간 더 큰 축선 길이를 갖는다.
도25 및 도26는 다른 개조된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310)의 가외 걸림/확인체(318)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318)는, 가외 걸림/확인체(318)의 각각의 핑거가 횡방향 연장 릴리즈 태브를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조립체(110)의 가외 걸림/확인체(318)와 유사한 것이다.
가외 걸림/확인체(318)는 커넥터 몸체(312)의 하부 슬롯(366)과 측부 슬롯(362) 안으로 연장 형성되고, 커넥터 몸체(312)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는 곡선진 상부 지지부재(344)쪽으로 그로부터 이격지는 방향으로 하부 지지부재(356)에 대해 커넥터 몸체(312)를 횡단하는 식으로 활주 되고, 그리고 결과적으로 방사방향 내부 또는 걸림 위치와 방사방향 외부 또는 비걸림 위치와의 사이에 기본 리테이너(116)를 활주하고, 양호하게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의 유연한 재료로 성형된다.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하부 슬롯(366) 위에 포개진 방사 내부방향 대향 면(427)을 가진 커넥팅 부재(424)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로부터 커넥터 몸체의 하부 슬롯(366)에 활주 가능하게 배치된 리테이너 빔(318)이 연장 형성된다. 가외 걸림/확인체(318)도 또한 리테이너 빔(419)와 동일한 방향으로 커넥팅 부재(324)로부터 횡단 상방향으로 연장된 1쌍의 곡선진 탄성 핑거(422)의 형태로 측부방향으로 이격진 부분을 구비한다.
각각의 핑거(422)는 내부방향 대향 선단부(431)를 가진 측부 내부방향 후크(430)를 구비한 관절부(425)를 포함한다. 후크(430)에 의해 형성된 안착 구역(432)은 가외 걸림/확인체가 그 외부 또는 비걸림 위치에 있을 때 커넥터 몸체(312)에 가외 걸림/확인체(318)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하부 지지부재(354)에 의해 형성된 결합 릿지(372)와 결합한다.
후크(430)의 안착 구역(432)과 커넥팅 부재(4234)와의 사이에 위치하며, 각각의 관절부(425)의 내부 면은 유지 구역(437)과, 측부 확장 면 또는 결합 너브(436)와 경사 면(434)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과 면(transition surface)을 형성한다. 2개 관절부(425)의 경사 면(434) 사이에 거리는 커넥터 몸체 하부 지지부재(354)의 결합 릿지(372)와의 사이에 거리보다 작다. 결합 너브(436)사이에 거리는 결합 릿지(372)의 측면 외부 엣지와의 사이에 이동공간보다 작다. 2개 핑거의 유지 구역(437) 사이에 거리는 결합 릿지(372) 사이에 거리와 대체로 동일하다.
각각의 핑거는, 커넥팅 부재(424)에서 원격져 있는 단부에 형성된 횡단 외부방향 연장 릴리즈 태브(464)와 횡단 내부방향 연장 식별 태브(442)에서 종결되며 그리고 관절부(425)의 단부에서부터 연장된 연장 빔(440)도 구비한다. 릴리즈 태브(464)와, 식별 태브(442)와, 연장 빔(440)의 후방향 면(444, 446, 466)은 관절 부(425)의 후방향 면(448)과 직렬로 있다. 그런데, 도25에 설명된 바와 같이 릴리즈 태브(464)와, 식별 태브(442)와, 연장 빔(440)의 후방향 면(445, 447, 467)은 관절부(425)의 후방향 면(449)으로부터 오목하게 이루어져, 릴리즈 태브(464)와, 식별 태브(442)와 연장 빔(440)의 두께는 관절부(425)의 두께보다 작게 된다. 관절부(425)의 두께와, 릴리즈 태브(464)와 식별 태브(442)와 연장 빔(440)의 두께와의 사이에 차이는 적어도 업셋(190)의 두께 또는 축선 길이가 된다.
각각의 식별 태브(442)는 둥근 엣지(450), 제1경사진 엣지(452), 제2경사진 엣지(454), 및 내부 결합 엣지(456)를 구비한다. 둥근 엣지(450)와 제1경사진 엣지(452)의 접합은 지점(451)을 형성한다. 인입 경사면(460)은 각각의 식별 태브(442)의 전방 면(447) 안에 형성된다. 인입 경사면(460)은 각각의 식별 태브(442)의 전방 면(447)으로부터 방사 내부방향과 축선 후방방향으로 경사져서, 제1 및 제2경사진 엣지(452, 454)에서 종결된다. 대향 인입 경사 면(460) 사이에 이격동작부는 전방 면(447)에 인접하여 가장 크다. 인입 경사 면의 형태와 이격동작부는,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비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커넥터 몸체(312) 안으로 수 부재가 삽입되어지면 인입 경사 면(460)이 업셋(190)과의 접촉을 허용하는 수 부재 업셋(190)의 환형상 외형상과 어울리는 구조이다. 대향 제1경사진 엣지(452) 사이에 이격동작부는,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비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식별 태브(442)와 접촉하지 않고 커넥터 몸체(312)에 수 부재 원통형 밀봉 면(194)이 삽입되는데 필요한 이격동작부보다 크다. 식별 태브(442)의 둥근 엣지(450)는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중앙 몸체 포스트(352)의 상부 곡선진 면(353)과 결합하는 형태와 크기로 이루어진다.
릴리즈 태브(464)는 식별 태브와 반대되는 횡단 외부방향으로 연장된다. 릴리즈 태브(464)는 외부 결합 엣지의 일 단부에 상방향 연장 돌출부(470)에서 종결되는 외부 결합 엣지(468)를 구비한다. 몸체 포스트 엣지(458)는 외부 결합 엣지(468)의 나머지 단부에서 식별 태브(442)의 내부 결합 엣지(456)로 연장 형성된다. 내부 결합 엣지(456), 몸체 포스트 엣지(258), 및 외부 결합 엣지(468)는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비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중앙 몸체 포스트(452)를 수용하기 위한 시트(462)를 형성한다.
가외 걸림/확인체(318)의 리테이너 빔(419)은 측부방향 확장 부분(420)과 협폭 부분(421)을 구비한다. 확장 부분(420)의 측면 폭은, 중앙 지지 부재(350)상에 이격진 벽 면(367)과 저부 지지 부재(354)상에 이격진 벽 면(369)과의 사이에 하부 슬롯(366)의 확장 부분의 측면 폭보다 약간 더 작다. 협폭 부분(421)의 측면 폭은 측면방향 이격진 벽(375) 사이에 하부 슬롯(366)의 협폭 부분의 측면 폭보다 약간 더 작다.
도2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419)의 횡단면은 "T"형상이다. 협폭 부분(421)은 "T"형상 레그를 형성하고 그리고 확장 부분(420)은 "T"형상 상부 가로 막대를 형성한다. 리테이너 빔(419)은 하부 돌출부(459)의 평탄 면(471)과 대향된 확장 부분(420)상에 접합 또는 후방향 대향 면(428)을 구비한다. 리테이너 빔 협폭 부분(421)은 측부 면(375) 사이에 형성된 하부 슬롯(366)의 협폭 부분과 대향된 전방 대향 면(429)을 구비한다. 리테이너 빔(419)은 중앙 지 지부재(350)상에 벽 면(367)과 하부 지지부재(354)의 벽 면(369)과 상관하여 긴밀하게 이격져 활주 가능하게 있는 확장 부분(420)의 측면 측부 벽을 구비한다. 도25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 빔(419)의 협폭 부분(421)은 커넥터 몸체(312)의 하부 슬롯(366)의 협폭 부분의 측부 벽(375)과 상관하여 긴밀하게 이격져 활주 가능하게 있는 측면 측부 벽을 구비한다. 리테이너 빔(419)의 협폭 부분(421)상에 전방 대향 면(429)은 경사 면(433)에 의해 형성된 챔퍼(chamfer)를 구비한다.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커넥터 몸체(312)에 부착되면, 경사 면(433)은 커넥터 몸체(318)의 수 부재 수용 단부(328) 방향으로 대면한다.
도20은 조립된 다른 급속 커넥터 커플링(31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본 리테이너(1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 리테이너(116)가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의 커넥터(112)에 부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커넥터 몸체(312)에 부착된다.
기본 리테이너(116)가 커넥터 몸체(312)에 적절히 부착된 상태에서, 가외 걸쇠/확인체(318)는 다음 순서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가외 걸쇠/확인체(118)가 비걸림 위치로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의 커넥터 몸체(112)에 장착되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그 비걸림 위치로 커넥터 몸체(312)에 장착된다.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부(425)의 후크(430)가 하부 지지부재(354)의 결합 릿지(372)를 포획하고 그리고 몸체 포스트 엣지(458)가 중앙 몸체 포스트(352)의 하부 곡선진 면(355)와 접합 상관관계로 있을 때까지, 측부 슬롯(362)을 통하고 하부 지지부재(354)의 오목부(370)를 따라서, 횡단 상방향 또는 방사 내부방향으로 핑거(422)가 활주하여, 가외 걸림/확인체가 비걸림 위치에 위치되게 한다. 동시에, 가외 걸림/확인 체(318)의 리테이너 빔(419)은 커넥터 몸체의 하부 슬롯(366) 안으로 삽입된다. 비걸림 위치에서, 연장 빔(440)과 식별 태브(442)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리테이너의 레그(196)와 후방 림(342)의 전방 대향 면(343)과의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또한, 비걸림 위치에서, 관절부(425)의 상부 부분은 전방 림(340)의 후방 대향 면(341)과 후방 림(342)의 전방 대향 면(343)과의 사이에 축선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그 비걸림 위치에서 커넥터 몸체(312)에 부착된 상태에서, 급속 커넥터 커플링(310)의 수 부재(114)는 커넥터 몸체(312)에 삽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의 커넥터 몸체(112)에 수 부재(114)가 삽입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체 통로를 완성한다. 수 부재(114)가 커넥터 몸체(312)내에 완전 삽입되면, 핑거(442)가 도27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28에 도시된 위치로 횡단 하방향과 측면 외부방향으로 이동하고, 내부 결합 엣지(456)는 포획부(357)를 장애물이 없게 한다. 횡단 하방향과 측면 외부방향으로의 핑거(442)의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외 걸림/확인체(118)의 핑거(142)의 이동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의 가외 걸림/확인체(118)와 기본 리테이너(116)의 설비와 같이, 다른 변경예의 급속 커넥터 커플링(310)의 가외 걸림/확인체(318)와 기본 리테이너(116)의 설비, 즉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의 축선 후방향으로 가외 걸림/확인체(318)의 식별 태브(442)를 위치설정하는 동작은, 가외 걸림/확인체(318)의 핑거(422)가 업셋(190)이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를 완전하게 통과한 후에 외부방향으로 확산할 수 있게 보장 한다.
커넥터 조립은 걸림 위치로 가외 걸림/확인체(318)를 위치설정하여 완료된다.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걸림 위치에 위치하도록, 횡단 상방향 또는 방사 내부방향 힘(커넥터 몸체(312)쪽으로)을 커넥팅 부재(424)에 가한다. 충분한 상방향 또는 방사 내부방향 힘으로, 식별 태브(442)의 경사 엣지(452, 454)가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하부 곡선진 면(355)에 대항하여 활주하며, 부가로 핑거(422)가 분리 확산하여 식별 태브(442)의 지점(451)이 중앙 몸체 포스트(352)의 선단부 또는 정점(363)을 능가하게 허용한다. 식별 태브(442)의 지점(451)이 중앙 몸체 포스트(152)의 선단부를 능가하면, 핑거는 식별 태브의 둥근 엣지(450)가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몸체 포스트의 상부 곡선진 면(353)과 결합하는 걸림 위치쪽으로 측면 내부방향으로 스넵 결합한다. 또한 걸림 위치에서는, 릴리즈 태브(464)가 릴리즈 태브의 돌출부(470)쪽으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측부 슬롯(368)을 통해 측면 외부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기본 리테이너(116)를 향하는 방향으로 횡단하여 걸림 위치로 이동함으로서, 하부 지지부재(354)의 결합 릿지(372)는 핑거(422)의 안착 구역(432) 밖으로 밀려지게 된다. 경사 면(434)은 릿지(372)를 결합하여 위로 올라타고 그리고 핑거(422)를 외부방향으로 수축하여 이들을 분리 확산하게 하며 그리고 유지 구역(437) 사이에 있게 하는 결합 릿지(372)를 결합 너브(436)가 지나가게 한다. 또한, 가외 걸림/확인체(318)는, 결합 릿지(372)와의 결합 너브(436)의 접합 상관관계에 의한 결합 릿지(372)와의 유지 구역(437)의 협 력동작과 핑거(422)의 탄성 성질에 의한 걸림 위치에서 해제식으로 유지된다.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걸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핑거(422)의 자유 단부에 있는 후크(430)는 레그(196)의 자유단부에 있는 걸쇠(406)의 측면 외부방향으로 측부 슬롯(362)에 위치하게 된다. 핑거(422)상에 후크(430)의 내부 면 사이에 거리는 걸쇠(206)에 있는 기본 리테이너(116)의 레그(196)의 외부 면 사이에 거리보다 약간 더 크다. 핑거(422)의 축선 폭은 레그(196)의 축선 폭과 거의 동일하다. 특히, 핑거(422)의 길이는 가외 걸쇠/확인체(318)가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핑거(422)가 레그(196)의 외부방향 수축동작을 방해하여, 중앙 지지부재(350)의 결합 견부(368)에 결합된 채로 유지된다.
동시에, 리테이너 빔(419)은 수 부재(114) 쪽으로 횡단 상방향 또는 반경 내부방향으로 이동되어, 리테이너 빔(419)의 후방 대향 면(428)이 걸림 위치에서 가외 걸림/확인체 위로 수 부재(114)의 업셋(190)의 접합 면(191)과 축선방향 접합 관계로 있게 된다. 급속 커넥터 커플링(110)의 가외 걸림/확인체(118)와 같이, 가외 걸림/확인체(318)는 수 부재가 커넥터 몸체(318) 안으로 완전하게 삽입되어진 후에 걸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가외 걸림/확인체(118)와 같이, 가외 걸림/확인체(318)는 의도적으로 스크루 드라이버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커넥터 몸체(312)에서 횡단 하방향 또는 방사 외부방향으로 가외 걸쇠/확인체(318)에 힘을 가하여 비걸림 위치로 제거 이동되어, 커넥터 몸체(312)로부터 방사 외부방향으로 커넥팅 부재(424)를 들어 올린다. 다르게는,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318)가 의도적으로, 횡단 하방향으로 측부 슬롯(362) 을 관통하고 연장되며, 릴리즈 태브(464)의 돌출부(470)를 간단하게 당기어서 비걸림 위치로 제거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70)를 하방향으로 견인하여, 식별 태브(442)의 둥근 엣지(450)가 측부 외부방향으로 핑거(422)를 확산시키는 중앙 몸체 포스트(352)의 상부 곡선진 면(353)에 대항하여 활주한다. 식별 태브(442)의 지점(451)이 중앙 몸체 포스트(352)의 선단부(363)를 능가하면, 핑거(442)가 비걸림 위치쪽으로 내부방향으로 스넵결합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을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개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사실도 본 발명은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40)

  1. 분리식 연결부를 유체라인에 형성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커넥터 몸체의 수 수용단부에서 축선 후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커넥터 몸체와;
    커넥터 몸체의 수 수용단부를 통해 상기 구멍 안으로 연장된 수 부재와;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에 상기 수 부재를 해제식으로 고정하는 기본 리테이너와;
    상기 커넥터 몸체에 해제식으로 결합되고 식별 태브를 각각 가진 이격 분리된 핑거를 구비하는 분리식 가외 걸림/확인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 부재는, 관형상 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환형상 업셋과, 원통형 밀봉 면을 구비하고;
    상기 기본 리테이너는, 레그 사이에 이격동작부가 증가하는 해제 위치와 잠금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이격 분리된 레그를 구비하고;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는, 수 부재의 업셋이 식별 태브와 접촉상태일 때에만 걸림 위치와 비걸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기본 리테이너를 향하여 그로부터 멀어지는 커넥터 몸체와 상관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외 걸쇠는, 상기 수 부재의 환형상 업셋이 식별 태브 사이에 위치될 때에만 상기 걸림 위치와 상기 비걸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동작가 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외 걸쇠/확인체의 식별 태브는, 상기 기본 리테이너의 레그의 축선 후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는 부가로 상기 식별 태브를 상기 관절부에 연결하는 연장 빔을 구비하며, 상기 연장 빔은 기본 리테이너의 레그의 축선 후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식별 태브는 커넥터 몸체의 수 부재 수용단부 쪽으로 대향된 인입 경사 면(lead-in ramp surface)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핑거는 각각의 핑거의 단부에 형성된 시트(seat)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 몸체는 부가로 상기 수 부재가 식별 태브로부터 이격지면 상기 시트에 배치된 축선방향 연장 몸체 포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포스트는 상기 업셋이 상기 수 부재의 원통형 밀봉 면과 접촉하게 되면 상기 시트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 플링.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포스트는 상기 업셋이 식별 태브와 접촉하게 되면 상기 시트에서 이격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9.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핑거는 상기 시트를 형성하는 몸체 포스트 엣지와 결합 엣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0.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핑거는 상기 시트를 형성하는 외부 결합 엣지와 몸체 포스트 엣지와 내부 결합 엣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외 걸쇠/확인체의 각각의 핑거는 측면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릴리즈 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외 걸쇠/확인체의 각각의 핑거는 측면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릴리즈 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쇠/확인체는 상기 몸체에 형성된 슬롯에서 활주 가능한 리테이너 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가로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그리고 커넥터 몸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로부재를 가압하여 잠금 및 잠금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는 상부 지지부재와, 그로부터 이격지고 상기 상부 지지부재와 상기 측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1쌍의 상부 슬롯을 형성하는 1쌍의 측부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부가로, 1쌍의 중앙 지지부재와 1쌍의 하부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1쌍의 측부 슬롯과 하부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기본 리테이너는 상기 상부 슬롯을 관통하고 연장된 레그가 상부 지지부재에 가로 놓여진 가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외 걸쇠/확인체는 상기 측부 슬롯에 배치된 핑거가 하부 슬롯 위에 가로 놓여진 커넥팅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측면방향으로 결합 릿지를 구비하며, 상기 핑거의 각각은 노치를 가진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가외 걸쇠/확인체가 상기 비걸림 위치에 있으면 결합 릿지를 해제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의 각각은 유지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구 역은 상기 가외 걸쇠/확인체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으면 하부 지지부재의 결합 릿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8. 제1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핑거는 상기 노치와 상기 유지 구역과의 사이에 경과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19. 제18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경과 면은 측면 확장된 결합 너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너브는 가외 걸쇠/확인체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결합 릿지와 접합관계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부재 각각은 결합 견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레그 각각은 걸쇠를 형성하고, 상기 기본 리테이너가 상기 잠금 위치에 있을 때 1개 중앙 지지부재의 결합 견부에 해제가능하게 각각의 레그의 걸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상기 가외 걸쇠/확인체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관통 구멍에서 노출되게 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상기 수 부재가 커넥터 몸체에 완전하게 삽입되었을 때에 수 부재의 업셋과 축선방향 접합 관계로 있는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횡단면이 "T"형상이고, 그리고 가외 걸쇠/확인체의 리테이너 빔은 횡단면이 "T"형상이고, 상기 리테이너 빔은 상기 슬롯에서 활주식으로 지지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연결 부재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핑거는 상기 리테이너 빔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결 부재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6. 분리식 연결부를 유체라인에 형성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은:
    커넥터 몸체의 수 수용단부에서 축선 후방향으로 연장된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방사 내부방향으로 연장된 결합 패드를 가진 커넥터 몸체와;
    커넥터 몸체의 수 수용단부를 통해 상기 구멍 안으로 연장되고, 관형상 면과 상기 관형상 면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업셋을 구비하는 수 부재와;
    상기 커넥터 몸체 내부에 상기 수 부재를 해제식으로 고정하고, 상기 레그 사이에 이격동작부가 증가하는 해제 위치와 잠금 위치와의 사이에서 동작가능한 이 격 분리된 레그를 구비하는 기본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는, 상기 수 부재가 축선 전진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해제 위치로 레그가 이동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 패드의 내부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7. 제26항에 있어서, 커넥터 몸체에 해제식으로 결합되고 그리고 걸림 위치와 비걸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기본 리테이너를 향하여 그로부터 멀어지게 상기 커넥터 몸체와 상관하여 동작가능하게 있는 분리식 가외 걸림/확인체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는 상기 커넥터 몸체에 형성된 슬롯에서 활주 가능하게 있는 리테이너 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는 이격 분리된 핑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0. 제29항에 있어서, 각각의 핑거는 식별 태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는 수 부재의 환형상 업셋이 식별 태브와 접촉상태로 있을 때만 걸림 위치와 비걸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동작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가로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 몸체 쪽으로 상기 가로부재를 가압하여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와의 사이에서 측면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몸체는 상부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와 측부 지지부재와의 사이에 1쌍의 상부 슬롯을 형성하고 이격져 형성된 1쌍의 측부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는 부가로 1쌍의 중앙 지지부재와 1쌍의 하부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지지부재와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1쌍의 측부 슬롯과 하부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기본 리테이너는 상기 상부 슬롯을 관통하고 연장된 레그를 가진 상부 지지부재 위에 가로 놓인 가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는 상기 측부 슬롯에 배치된 핑거를 가진 하부 슬롯 위에 가로 놓인 커넥팅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측방향 결합 릿지를 구비하고, 상기 핑거의 각각은 노치를 가진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노치는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가 비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결합 릿지를 해제가능하게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4. 제3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핑거는 유지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구 역은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가 상기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하부 지지부재의 결합 릿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5. 제3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핑거는 상기 노치와 상기 유지 구역과의 사이에 경과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지지부재 각각은 결합 견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레그 각각은 걸쇠를 형성하고, 상기 레그 각각의 상기 걸쇠는 상기 기본 리테이너가 상기 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1개 중앙 지지부재의 결합 견부에 해제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상기 가외 걸림/확인체가 걸림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관통 구멍에 노출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수 부재가 커넥터 몸체 안에 완전하게 삽입되면 상기 수 부재의 업셋과 축선 접합동작 관계에 있는 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3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횡단면이 "T"형상이고 그리고 상기 가외 걸림 /확인체의 리테이너 빔은 횡단면이 "T"형상이고, 상기 리테이너 빔은 상기 슬롯에서 활주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4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 빔은 연결부재에서 연장되고 그리고 상기 핑거는 리테이너 빔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 커넥터 커플링.
KR1020060039950A 2005-05-03 2006-05-03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KR101328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715705P 2005-05-03 2005-05-03
US60/677,157 2005-05-03
US11/411,504 2006-04-26
US11/411,504 US7484774B2 (en) 2005-05-03 2006-04-26 Redundant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605A true KR20060115605A (ko) 2006-11-09
KR101328375B1 KR101328375B1 (ko) 2013-11-11

Family

ID=3891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950A KR101328375B1 (ko) 2005-05-03 2006-05-03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84774B2 (ko)
EP (1) EP2213929B1 (ko)
JP (1) JP5054930B2 (ko)
KR (1) KR101328375B1 (ko)
CN (1) CN101713482B (ko)
BR (1) BRPI0602467A (ko)
DE (1) DE60200601587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0505B4 (de) * 2004-04-22 2009-05-28 A. Raymond Et Cie Kupplung für ein Fluidleitungssystem
BRPI0505733A (pt) * 2005-12-19 2007-09-25 Click Automotiva Ind Ltda conector compacto
FR2908494B1 (fr) * 2006-11-15 2008-12-26 Legris Sa Connecteur rapide
DE102008013565A1 (de) * 2008-03-11 2009-09-17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Einsteckkupplung
GB2460641B (en) * 2008-06-02 2013-03-13 Joy Mm Delaware Inc A clip for pin retention
US8240716B2 (en) * 2008-08-07 2012-08-14 TI Group Automotive System,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pull tab verifier
US20100052315A1 (en) 2008-08-28 2010-03-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coupling with lateral stabilization
FR2945100A1 (fr) * 2009-04-30 2010-11-05 Hutchinson Raccord encliquetable entre un conduit de fluide et un embout rigide avec un dispositif temoin de connexion et procede de controle de cette connexion
US20100289256A1 (en) * 2009-05-18 2010-11-18 Dennis Shumard Pipe insertion indicator and method of use
DE102009050076B3 (de) * 2009-10-20 2011-04-07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Einsteckkupplung
BR112013002456B8 (pt) * 2010-09-30 2022-10-18 Tokai Rubber Ind Ltd Conector de desligamento rápido
US8297659B2 (en) * 2011-02-22 2012-10-30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JP5687152B2 (ja) * 2011-08-01 2015-03-18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DE202011052283U1 (de) * 2011-12-13 2013-03-14 Caterpillar Global Mining Europe Gmbh Steckverbindung mit Sicherungselement und Sicherungselement hierfür
DE102012000607A1 (de) * 2012-01-16 2013-07-18 Norma Germany Gmbh Kupplungselement und Entriegelungselement für das Kupplungselement
US8764068B2 (en) 2012-05-10 2014-07-01 Moen Incorporated Quick connect coupling with retention feature
US9523453B2 (en) 2013-03-20 2016-12-20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Locking quick connect assembly
JP5674879B2 (ja) * 2013-08-05 2015-02-25 住友理工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10422459B2 (en) 2015-01-14 2019-09-24 Norma U.S. Holding Llc Conduit connector with a primary and secondary latch
FR3044070B1 (fr) 2015-11-20 2019-06-28 A Raymond Et Cie Raccord tubulaire securise a connexion automatique
US10550982B2 (en) 2016-06-17 2020-02-0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US10816121B2 (en) * 2017-05-09 2020-10-27 Martinrea International U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US11199281B2 (en) 2018-01-31 2021-12-14 A. Raymond Et Cie. Dual-latch quick connector
WO2020165625A1 (en) 2019-02-11 2020-08-20 Hanil Tube Co., Ltd. Quick connector with verifier mechanism
CN116134259A (zh) 2020-05-26 2023-05-16 Dlh鲍尔斯公司 具有正向保证特征的用于流体管线的快速连接器组件
US11835165B2 (en) * 2020-12-28 2023-12-05 Sti Co., Ltd. Male connector holder for automatic chemical supply apparatus
CA3227548A1 (en) 2021-08-13 2023-02-16 Dlhbowles, Inc. Vda connector assembly with verification
CN114001220B (zh) * 2021-11-05 2023-07-25 重庆溯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用于新能源管路连接装置的校验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1192A (en) 1984-03-15 1986-05-27 Rain Bird Consumer Products Mfg. Corp. Quick connect coupling
US5423577A (en) 1992-01-17 1995-06-13 Bundy Corporation Tubing connector
KR100267605B1 (ko) 1992-09-24 2000-10-16 안자이 이치로 파이프 조인트
US5395140A (en) 1993-05-13 1995-03-07 Enhanced Applications, L.C. Secondary latch and indicator for fluid coupling
US5401063A (en) 1993-07-19 1995-03-28 Enhanced Applications, L.C. Primary/secondary retainer for beaded/flared tubing
US5452924A (en) 1994-06-20 1995-09-26 Bundy Corporation Manually operable release mechanism for quick connector
US5542716A (en) * 1994-11-04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US5586792A (en) 1995-02-21 1996-12-24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integral release mechanism
US5628531A (en) 1995-04-26 1997-05-13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US5782502A (en) 1995-12-29 1998-07-21 Itt Automotive, Inc. Radial-release quick connector
BR9601539A (pt) 1996-04-12 2004-06-29 Tampas Click Ltda Indicador de montagem e conexão de linhas de combustìveis ou fluìdos em geral
US5863077A (en) 1996-12-20 1999-01-26 Itt Automotive,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frangible retainer
US6637779B2 (en) 2001-10-18 2003-10-2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quick connector with grooved endform
US6905143B2 (en) 2002-03-22 2005-06-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conduit quick connector and stuffer pack
US6802491B1 (en) 2002-04-30 2004-10-12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luid shut off valve cartridge with quick connection
EP1359361B1 (de) 2002-05-04 2005-10-05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Rohrkupplung für Rohrleitungen
JP4234467B2 (ja) 2002-06-04 2009-03-04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チェック機能内蔵コネクタ
US6866303B2 (en) 2002-10-16 2005-03-1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Low profile fluid quick connector
JP4236952B2 (ja) * 2003-02-18 2009-03-11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JP4198487B2 (ja) 2003-02-20 2008-12-17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の防塵キャップ
JP4271516B2 (ja) 2003-07-10 2009-06-03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ー
JP2005042794A (ja) * 2003-07-28 2005-02-17 Togo Seisakusho Corp コネクタとそのコネクタに用いるクランプガイド及びクランプ
JP4330415B2 (ja) * 2003-10-01 2009-09-16 株式会社東郷製作所 管継手
US7464970B2 (en) * 2003-10-22 2008-12-16 Togo Seisakusyo Corporation Pipe joint
US7055869B2 (en) 2004-01-27 2006-06-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False insertion protection top hat for fluid quick connectors
US7390025B2 (en) 2004-03-31 2008-06-2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US20060082145A1 (en) 2004-10-15 2006-04-2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disk retention retainer
GB0424426D0 (en) 2004-11-04 2004-12-08 Micromass Ltd Mass spectrometer
US7128347B2 (en) * 2004-11-18 2006-10-31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DE102004062887B3 (de) 2004-12-27 2005-10-13 A. Raymond & Cie Kupp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13482A (zh) 2010-05-26
KR101328375B1 (ko) 2013-11-11
JP5054930B2 (ja) 2012-10-24
EP2213929B1 (en) 2017-10-11
DE602006015876D1 (de) 2010-09-16
JP2006313013A (ja) 2006-11-16
US7484774B2 (en) 2009-02-03
BRPI0602467A (pt) 2006-12-26
EP2213929A3 (en) 2013-01-16
EP2213929A2 (en) 2010-08-04
US20080007053A1 (en) 2008-01-10
CN101713482B (zh) 201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5605A (ko) 급속 커넥터의 가외 걸쇠/확인체
KR101153635B1 (ko) 신속 커넥터용 제2래치 및 검정기
KR101594621B1 (ko) 견인 태브 검정기를 갖는 신속 커넥터 커플링
EP1843074B1 (en) Hybrid quick connector
US7128347B2 (en) Passive transmitter for a quick connector
JP3760251B2 (ja) 一体として機能する開放機構を有するクイック・コネクター継手
US5628531A (en) Quick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US7866711B2 (en) Quick connector with conductive path
US10816121B2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JP2005291497A5 (ko)
JP3436370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EP1719944B1 (en) A quick connector
EP4008946B1 (en) A connector having a guided pilot
US20050236833A1 (en) Tube lock quick connector
EP1653143A1 (en) Fluid quick connector with adapter
CN118049551A (zh) 带导向部件的连接器
WO2020165625A1 (en) Quick connector with verifie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