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112B1 -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112B1
KR101441112B1 KR1020120112123A KR20120112123A KR101441112B1 KR 101441112 B1 KR101441112 B1 KR 101441112B1 KR 1020120112123 A KR1020120112123 A KR 1020120112123A KR 20120112123 A KR20120112123 A KR 20120112123A KR 101441112 B1 KR101441112 B1 KR 101441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
price
auction
participa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0878A (ko
Inventor
김제철
임태성
윤선화
김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킵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킵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킵비즈
Publication of KR2013005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자가 시중가보다 높게 경매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낙찰자는 시중가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한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기술로서, (a) 상품의 시중가가 고려된 최소마진 판매가는 비공개로 설정되고, 입찰 참여금에 대한 합산액으로서의 경매 시작가는 입찰참여자에게 공개로 설정되는 단계; (b) 모집인원의 제한 없이 입찰참여자 모집을 통해 입찰 참여를 원하는 입찰참여자로부터 입찰 참여금이 미리 예치되는 단계; (c) 입찰참여자의 모집이 종료된 후 입찰 참여금의 예치된 합산액이 경매 시작가를 초과하는 경우, 이 초과한 금액에 대해서는 모집된 모든 입찰참여자에게 균등하게 반환되는 단계; (d) 경매가 시작된 후, 경매 시작가 이상으로 입찰참여자의 입찰가가 입력되는 단계; (e) 입찰참여자로부터 입력되는 입찰가와 최소마진 판매가를 비교하여 입찰가 중 해당 상품으로의 낙찰가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 입찰가 중 최고가인 경우가 낙찰가로 확정되는 단계; (f) 낙찰자가 발생한 경우 낙찰자로부터 미리 예치된 입찰 참여금 중 (c) 단계의 반환 받은 금액을 뺀 나머지를 낙찰가와 합산한 금액에서 경매 시작가를 뺀 금액이 구매 대금으로 입금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OF PROVIDING BID PARTICIPANT RECRUITMENT AUCTION,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경매 시작 전에 입찰참여자의 참여금을 미리 예치한 후, 낙찰받지 못한 입찰참여자들의 입찰 참여금이 소진되는 패턴으로 진행되어 입찰참여자는 경매상품에 대해 시중가와 동일한 입찰가를 제시하여 낙찰되는 경우에도 낙찰가보다 훨씬 적은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고, 동시에 판매자는 시중가보다도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를 할 수 있는 경매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거래를 성사시키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특히 경매 형식의 거래 방식이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경매 절차에서는 낙찰자가 상품의 시중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낙찰은 받으면 그에 따른 당연한 결과로 판매자는 그만큼 불만족스러운 가격으로 판매를 하게 된다. 반대로, 판매자가 상품의 시중가 대비 만족스러운 낙찰로 판매를 하게 되면 반사적으로 낙찰자는 상대적으로 불만족스러운 구매를 하게 되는 한계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자가 시중가보다 높게 경매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낙찰자는 시중가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를 하는 것이 가능한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은, (a) 서버는 다수의 입찰참여자 단말에 대해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최소마진 판매가를 비공개로 설정하고 입찰참여자로부터 수신한 입찰 참여금에 대한 합산액으로서의 경매 시작가를 공개로 설정하는 단계; (b) 서버가 입찰참여자로부터 수신한 입찰 참여금을 예치하는 단계; (c) 입찰참여자의 모집이 종료된 후 입찰 참여금의 예치된 합산액이 경매 시작가를 초과하면, 서버는 경매 시작가를 초과한 금액을 입찰참여자에게 균등하게 반환하는 단계; (d) 서버가 입찰참여자로부터 경매 시작가 이상의 입찰가를 지불받는 단계; (e) 서버는 입찰가와 최소마진 판매가를 비교하여 입찰가 중 해당 상품으로의 낙찰가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 입찰가 중 최고가인 경우를 낙찰가로 확정하는 단계; (f) 서버는 입찰 참여금 중 (c) 단계의 반환 받은 금액을 뺀 나머지를 낙찰가와 합산한 금액에서 경매 시작가를 뺀 금액을 구매 대금으로 지불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a-1) 단계 (b) 이전에 서버는 입찰참여자의 입찰 참여 횟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a-1)에서 서버가 입찰 참여 횟수를 하나의 참여 신청으로 간주하고 참여 신청의 횟수가 중복 가능하게 미리 설정하면, 단계 (d)에서 입찰참여자 단말은 입찰 참여 횟수와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를 곱한 수만큼 해당 상품에 대한 입찰가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e) 단계에서 서버는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미만인 경우 유찰로 해당 회차의 경매를 취소하고 입찰참여자로부터 미리 예치한 입찰 참여금을 반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은, (a) 서버는 다수의 입찰참여자 단말에 대해 판매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최소마진 판매가를 비공개로 설정하고 입찰참여자로부터 수신한 입찰 참여금에 대한 합산액으로서의 경매 시작가를 공개로 설정하는 단계; (b) 서버가 입찰참여자의 모집인원을 미리 정하여 입찰참여자로부터 수신한 입찰 참여금을 예치하는 단계; (c) 서버가 입찰참여자로부터 경매 시작가 이상의 입찰가를 지불받는 단계; (d) 서버는 입찰가와 최소마진 판매가를 비교하여 입찰가 중 해당 상품으로의 낙찰가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 입찰가 중 최고가인 경우를 낙찰가로 확정하는 단계; (e) 서버는 입찰 참여금을 낙찰가와 합산한 금액에서 경매 시작가를 뺀 금액을 구매 대금으로 지불받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a-1) 단계 (b) 이전에 서버는 입찰참여자의 입찰 참여 횟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a-1)에서 서버가 입찰 참여 횟수를 하나의 참여 신청으로 간주하고 참여 신청의 횟수가 중복 가능하게 미리 설정하면, 단계 (c)에서 입찰참여자 단말은 입찰 참여 횟수와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를 곱한 수만큼 해당 상품에 대한 입찰가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d) 단계에서 서버는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미만인 경우 유찰로 해당 회차의 경매를 취소하고 입찰참여자로부터 미리 예치한 입찰 참여금을 반환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은,
첫째, 판매자가 시중가보다 높게 경매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낙찰자는 시중가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입찰참여자는 경매상품에 대해 시중가와 동일한 입찰가를 제시하여 낙찰되는 경우에도 낙찰가보다 훨씬 적은 금액으로 구매하면서도, 동시에 판매자는 시중가보다도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입찰가와 별도로 소정의 입찰 참여금을 지급하는 입찰참여자 중 낙찰받지 못한 입찰참여자의 입찰 참여금이 소진되는 패턴이기에 가능하다.
셋째, 입찰가와 별도로 수수료 개념인 소정의 입찰 참여금을 지급하는 입찰참여자 중 낙찰받지 못한 입찰참여자의 입찰 참여금이 소진되는 패턴으로 구성됨으로써, 상품에 대한 시중가 대비 낙찰자와 판매자 양자는 모두 만족스러운 매매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입찰참여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입찰참여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에서 경매 시작 직전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에서 경매 시작 직후부터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에서 경매 시작 직전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에서 경매 시작 직후부터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판매자 단말(100), 다수의 입찰참여자 단말(200), 경매 운영을 위한 서버(300)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상호 접속된다.
이때, 판매자 단말(100)과 입찰참여자 단말(200)은 입력장치, 표시장치, 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무선 정보통신 단말이다. 판매자 단말(100)과 입찰참여자 단말(200)은 일반적으로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상의 경매 운영서버(300)와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면 유, 무선상의 모든 정보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판매자 단말(100)과 입찰참여자 단말(200)은 운영체제 프로그램, 브라우저 프로그램, 서버(300)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100,200)에 경매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300)를 경유하여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100,2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경매조정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운영체제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주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단말(100,200)의 자원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브라우저 프로그램은 바람직하게 월드와이드웹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인터넷 웹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기 위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경매조정 프로그램은 판매자들과 입찰참여자들 상호 간에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도록 각종 정보를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쌍방향 전송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경매조정 프로그램이 판매자 단말(100)에 설치될 경우 경매상품의 초기 입력 정보를 서버(300)에 등록하고, 입찰참여자 단말(200)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판매자 프로그램으로 기능한다.
또한 경매조정 프로그램이 입찰참여자 단말(200)에 설치될 경우에는 서버(300)에 등록되어 있는 경매상품을 검색하고, 특정 경매상품에 대한 입찰 정보를 서버(300)에 전달하며, 판매자나 다른 입찰참여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입찰참여자 프로그램으로 기능한다.
위와 같은 판매자 프로그램과 입찰참여자 프로그램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웹, 모바일 웹, 모바일 앱 등을 포함한다.
서버(300)는 판매자로부터 경매상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입찰참여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경매상품과 관련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서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300)는 저장부(310), 제어부(320), 운영체제(330), 경매엔진(340), 결제프로세서(350), 인터페이스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정보처리나 데이터베이스 탐색에 있어 대량의 업무처리를 할 수 있도록 상당한 양의 메모리와 처리능력을 갖춘 개인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이 본 발명의 서버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310)는 CD-ROM 드라이버나 플래시메모리와 같은 자기 또는 광학 기억장치들인 하드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10)는 판매자 DB(311), 입찰참여자 DB(312), 상품정보 DB(313), 낙찰정보 DB(314), 결제정보 DB(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판매자 DB(311)는 이름, 계약 정보, 판매자 식별코드(ID, 패스워드 등), 결제선호 형태, 판매자 예금계정, 사업종류 및 판매되는 상품류와 같은 판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계약정보는 전화번호, 웹페이지 URL, 게시판 주소, 이동통신번호, 전자메일주소, 팩스번호 또는 판매자와 연락하기 위한 다른 어떤 수단을 포함한다. 등록하는데 있어서 판매자는 체결된 계약을 이행할 만한 능력이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입찰참여자 DB(312)는 이름, 주소, 신용카드번호, 전화번호, 주민번호, 전자메일주소, 신용내역, 과거 시스템 사용내역, 구매자 식별코드(ID, 패스워드 등), 구매자 예금계정과 같은 입찰참여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정보는 입찰참여자가 시스템에 최초 등록할 때 얻어진다.
상품정보 DB(313)는 경매상품에 대한 정보로서 상품명, 상품번호, 판매기간, 시중가, 최소마진 판매가와 같은 해당 경매상품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최소마진 판매가는 판매자가 낙찰을 위한 최소한의 가격대를 제시한 것으로 상품정보 DB(313)에는 저장되어 있지만 입찰참여자 단말(200)에서 입찰참여자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입찰참여자 단말(2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항목이다.
이렇게 입찰참여자는 시중가와 경매 시작가인 경매 시작가만을 확인할 수 있고, 최소마진 판매가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입찰을 하게 되므로 입찰참여자들이 최소마진 판매가보다 더 많은 금액으로 입찰하도록 유도하여 판매자의 만족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낙찰을 통한 구매자는 시중가와 경매 시작가를 통해 입찰가의 상한선을 나름대로 가늠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리적인 구매 금액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낙찰정보 DB(314)는 특정 경매에 대한 낙찰결과정보, 즉 낙찰 또는 재입찰 여부, 낙찰가격, 낙찰일시, 낙찰된 상품정보, 낙찰자 이름, 낙찰자 식별코드, 판매자 이름, 판매자 식별코드 등을 저장한다.
결제정보 DB(315)는 낙찰에 따른 구매자 이름, 구매자 식별코드, 결제 총액과 같이 구매자에 의해 발생한 다양한 결제사항을 저장한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컴퓨터가 경매 운영을 위한 서버로 활용되는 것으로 기술되고 있으나, 서버가 복수의 컴퓨터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320)는 통상적으로 저장부(310), 운영체제(330), 경매엔진(340), 결제프로세서(350), 인터페이스부(360)에 대한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판매자의 조작으로 판매자 단말(100)과 인터페이스부(360)가 상호 송수신하는 정보에 대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입찰참여자의 조작으로 입찰참여자 단말(200)과 인터페이스부(360)가 상호 송수신하는 정보에 대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운영체제(330)는 윈도우즈, 리눅스와 같은 일반 개인용 컴퓨터 운영체제와 같이 서버(300)가 네트워크 시스템인 판매자 단말(100)과 입찰참여자 단말(200)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다.
경매엔진(340)은 특정한 판매자로부터 경매상품을 제공받고, 다수의 잠재적인 구매자로부터 입찰(응찰) 요청을 접수받아, 입찰참여자 단말(200)의 입찰참여자 프로그램과 같은 양방향 통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매자와 입찰참여자 사이에서 실시간 경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서버 사이드 프로그램이다.
결제프로세서(350)는 결제요금, 각종 수수료 등의 전달과 교환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이루어진다. 결제프로세서(350)에 의해 수행되는 결제 서비스에는 온라인 예금계좌 신고, 주문받기와 신용카드 결제인증, 신용카드 결제, 자동부가세계산, 디지털 영수증 발급, 예금에 근거한 구매추적 등과 같은 경매와 관련된 다양한 결제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매체로서 유/무선 인터넷, 3G, 4G(LTE) 등과 같이 인터넷이 가능한 모든 통신기기가 채택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입찰참여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입찰참여자가 경매 운영 웹사이트에 로그인한 후, 목적하는 경매상품을 검색하여 해당 경매상품들이 입찰참여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내며, 좀더 상세하게는 입찰참여자 단말에서 입찰참여자가 경매상품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서 입찰참여자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된 경매상품들의 정보, 즉 상품번호, 경매 일자, 시중가, 경매 시작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가 미리 입력하여 저장된 최소마진 판매가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입찰참여자는 판매자가 마진을 남기는 최소 판매가는 시중가보다 낮을 거라는 것을 인지하고 합리적인 입찰가를 가늠할 수 있으므로 무리한 입찰가를 산정하는 실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판매자 입장에서는 최소마진 판매가를 입찰참여자들에게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입찰참여자들의 낙찰 경쟁에 의한 최소마진 판매가를 넘어 시중가에 근접하는 낙찰가를 기대할 수도 있게 된다.
입찰참여자가 선택한 하나의 경매상품을 클릭하면, [도 4]에서와 같이 해당 경매상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입찰참여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다른 예시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된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일정한 섹션으로 구획된 부분에 입찰참여자가 선택한 해당 경매상품의 보다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입찰참여자는 선택한 경매상품에 대해 최종적으로 입찰가를 확정한 후, 입찰가 기입란에 희망하는 입찰가는 기재하고 입찰 버튼을 클릭하여 경매 단계로 진입하게 되며, 경매 단계 진입과 동시에 해당 입찰가에 의해 낙찰이 되었는지 여부가 바로 통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에서 경매 시작 직전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매 시작 직전의 경매 참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110, S120 : 판매자는 경매 운영 웹사이트에서 로그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인 판매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때, 판매자 단말로부터 서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요청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서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요청 명령이 전송되어 판매자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단계 S130 : 판매자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활성화되면, 판매자는 판매하려는 경매상품에 대한 정보, 즉 경매상품, 최소마진 판매가를 판매자 단말에 입력한다. 판매자 단말에 입력된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단계 S140, S150 : 서버에서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경매상품에 대한 경매 일자, 시중가, 경매 시작가를 표시하여 경매 등록을 마친다. 이어서 해당 경매상품에 대한 입찰참여자를 모집하게 되는데, 모집인원은 제한 없이 미확정으로 정해진다. 이때 경매 시작가 대비 입찰 참여금의 비율(50%)을 공지하고, 입찰참여자의 수의 증가에 따라 경매 시작전 반환되는 금액에 대해서도 공지가 이루어진다. 모집기간을 정하여 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경매 시작가가 50,000\인 경우, 입찰참여자는 25,000\의 입찰 참여금을 경매 시작전에 미리 예치해야 함을 공지한다. 그런데 입찰참여자의 수가 2명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환금이 발생하게 된다. 입찰참여자가 10명인 경우를 가정하면 예치된 합산액은 250,000\이 되는데, 여기서 경매 시작가 50,000\을 제외한 200,000\을 10명에게 균등히 20,000\씩 반환하게 된다. 결국 10명의 입찰참여자는 실제 5,000\씩을 입찰 참여금으로 예치한 상태에서 경매를 시작하게 되는 방식이다.
여기서, 5,000\씩을 입찰 참여금으로 예치한 입찰참여자들 중 낙찰을 받지 못하는 경우 5,000\이 소진됨도 공지한다. 이러한 소진 방식으로 말미암아 입찰참여자는 경매상품에 대해 시중가와 동일한 입찰가를 제시하여 낙찰되는 경우에도 낙찰가보다 훨씬 적은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고, 판매자는 시중가보다도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금액산정은 아래의 S285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제 예치되는 입찰 참여금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입찰참여자가 많기 때문에 낙찰 확률이 떨어지고, 반대로 실제 예치되는 입찰 참여금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입찰참여자가 적기 때문에 낙찰 확률이 높아지는 합리적인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때 어느 경우에 의하든 판매자와 낙찰자 양자 모두가 만족스러운 매매 금액을 치르게 됨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단계 S210, S220 : 입찰참여자는 경매 운영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인 입찰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때, 입찰참여자 단말로부터 서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요청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서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요청 명령이 전송되어 입찰자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도 3] 참조)
단계 S230, S240 : 입찰참여자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활성화되면, 입찰참여자는 구매하려는 경매상품을 선택하고, 입찰을 위한 참여 신청 정보를 입찰참여자 단말에 입력한다. 입찰참여자 단말에 입력된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서버는 참여 신청의 중복이 있었는지를 판단하여 정보를 저장한다.
단계 S250, S260 : 참여 신청의 중복이 없는 경우 해당 경매 시작가의 50%를 입찰 참여금으로 미리 예치하고, 참여 신청의 중복이 있는 경우 경매 시작가의 50%에 중복된 횟수를 곱한 금액을 입찰 참여금으로 예치한다.
단계 S270, S280 : 미리 정하여 공지한 모집기간이 경과하여 입찰참여자 모집이 종료된 후, 경매를 위한 최소 인원으로 2명 이상이 모집된 경우에만 경매 절차를 시작한다.
모집인원이 0명인 경우에는 당연히 경매가 취소되어 한 사이클의 경매 절차가 종료되고, S150 단계에서 다시 모집기간을 정하여 입찰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다. 그리고 모집인원이 1명인 경우에는 해당 입찰참여자에게 비공개 상태의 최소마진 판매가를 공개하고, 최소마진 판매가로 구매를 할 것인지 의사를 묻는다. 구매할 의사가 있는 경우 최소마진 판매가로 구매 결정이 되고, 구매할 의사가 없는 경우 경매가 취소되고 S150 단계에서 다시 모집기간을 정하여 입찰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다.
단계 S290 : 한편, 입찰 참여금이 경매 시작가 대비 50%인 것으로 공지된 상태에서 입찰참여자의 모집인원이 3명 이상인 경우에는 경매 시작 전에 경매 시작가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하여 입찰참여자 전원에게 균등히 반환된다.
그리고,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는 바람직하게는 서버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치금에 대한 반환이 이루어질 때, 1명의 입찰참여자가 참여 신청을 중복한 경우 당해 중복 횟수만큼의 입찰참여자가 복수인 것으로 간주하여 반환 금액의 균등비율이 산정된다. S260 단계에서도 1명의 입찰참여자가 참여 신청을 중복한 경우 중복 횟수만큼의 입찰참여자가 복수인 것으로 간주하여 입찰 참여금을 예치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에서 경매 시작 직후부터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경매 시작 이후에 진행되는 경매 진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291 : 입찰참여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활성창에 구비된 입찰가 입력란에 입찰가를 기재하고 입찰 버튼을 클릭한다.([도 4] 참조) 1명의 입찰참여자에게 입찰가를 입력하는 입찰 횟수를 3회 정도로 미리 설정하여 해당 입찰참여자의 입찰 횟수를 제한한다.
한편, 기설정된 입찰 참여 횟수를 하나의 참여 신청으로 간주하고 참여 신청의 횟수가 중복 가능하게 기설정된 경우, 기설정된 입찰 참여 횟수와 기설정된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를 곱한 수만큼 해당 상품에 대한 입찰 참여가 가능하도록 설정되는데, 예를 들어 1명의 입찰참여자에게 3회의 입찰 횟수를 설정한 상태에서 해당 입찰참여자가 참여 신청 중복 횟수를 3회로 S230 단계에서 입력한 경우 총 9회의 입찰 횟수가 발생한다.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도 합리적인 수준에서 미리 설정하여 S140 단계에서 공지하게 된다.
한편, 경매 기간의 만료 10초 내에 다른 입찰참여자로부터 더 높은 금액의 입찰가가 입력되면 경매 기간은 다시 30초 연장되고, 그 연장된 시간 30초의 만료 10초 내에 다른 입찰참여자로부터 더 높은 금액이 입력되면 경매 기간은 다시 30초 연장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입찰가는 입력되는 회차마다 입찰증가단위를 S140 단계에서 미리 공지하여 경매 규칙을 확정한다. 그러므로 단계적으로 입찰가가 입력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입찰가는 상승하게 된다.
경매 기간의 만료 10초 내에 다른 입찰참여자로부터 입찰 횟수 초과 등 여러가지 이유로 입찰가 입력이 없으면 직전 입찰가가 최종 입찰가로써 설정되고, 아래의 S293 단계에서 낙찰가로 판정할 것인지를 정한다. 위와 같은 경매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입찰가를 입력하는 입찰 횟수가 많을수록 낙찰받을 확률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단계 S292, S293 : 위의 S291 단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입찰가의 단계적인 입력이 지속됨에 따라 경매 기간의 연장을 계속하다가 경매 기간이 종료되면, 종료시의 최종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가를 판단하며, 최종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이하이면, 판매자의 판매의사가 없는 상태이므로 경매는 취소되고, 입찰참여자가 S250 단계와 S260 단계에서 미리 예치하였던 입찰 참여금을 반환하고 한 사이클의 경매는 종료된다.(단계 S296, S297) 여기서도 S140 단계로 돌아가 최소마진 판매가와 경매 시작가를 새로이 설정하거나 변동 없는 금액으로 다시 입찰참여자를 모집하여 경매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294, S295 : 경매가 종료될 때의 최종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가를 판단한다. 최종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이면, 해당 입찰가가 낙찰가로 된다. 여기서, 최고가 입찰자가 낙찰되지만, 절차 진행상 최종 입찰자를 의미한다.
이렇게 최종 입찰가로서 낙찰가가 정해지면, 낙찰자로부터 미리 예치된 입찰 참여금 중 반환 받은 금액을 뺀 나머지를 낙찰가와 합산한 금액에서 경매 시작가를 뺀 금액을 구매 대금으로 입금하여 매매가 성사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시중가 100,000\ 상당의 경매상품에 대해 최소마진 판매가를 70,000\(비공개)으로 설정하고, 50,000\을 경매 시작가로 설정된 상태에서, 가령 입찰참여자가 100명이라면 입찰참여자 1인당 실제 예치되는 금액은 1,000\이 된다. 위의 입찰참여자 100명 중 1명이 110,000\에 낙찰된 경우 이 낙찰자가 경매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이 61,000\이 된다.
구매 소요 비용(61,000\) = 입찰 참여금 (1,000\) + 낙찰가(110,000\) - 경매 시작가(50,000\)
즉, 낙찰받지 못한 입찰참여자들의 입찰 참여금(99,000\)이 소진되는 패턴이므로, 판매자는 최소마진 판매가(70,000\)보다 훨씬 높은 낙찰가(110,000\)로 판매를 하였음에도 낙찰자는 입찰 참여금(1,000\)을 포함하여 총 61,000\의 구매 비용이 소요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판매자와 낙찰자 모두 이익이 되는 매매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경매 방식에서 낙찰받지 못한 입찰참여자들의 전체 입찰 참여금(99,000\)에 대한 개개인의 입찰 참여금(1,000\)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낙찰시 저렴하게 경매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기대이익에 대한 소진위험 부담금이라고 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에서 경매 시작 직전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매 시작 직전의 경매 참여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310, S320 : 판매자는 경매 운영 웹사이트에서 로그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인 판매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때, 판매자 단말로부터 서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요청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서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요청 명령이 전송되어 판매자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단계 S330 : 판매자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활성화되면, 판매자는 판매하려는 경매상품에 대한 정보, 즉 경매상품, 최소마진 판매가를 판매자 단말에 입력한다. 판매자 단말에 입력된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단계 S340, S350 : 서버에서는 판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경매상품에 대한 경매 일자, 시중가, 경매 시작가 등을 표시하여 경매 등록 절차를 마친다. 이어서 해당 경매상품에 대한 입찰참여자를 모집하게 되는데, 이후 경매 시작전 반환금의 절차가 생략될 수 있도록 모집기간을 공지하여 모집인원은 확정될 수 있다.
이렇게 경매 시작가가 공지된 상태에서 모집인원까지 확정되어 공지되면 그에 따라 입찰 참여금도 균등비율에 따라 정확히 산출되고, 경매 시작전 경매 시작가 초과로 인한 반환 절차는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경매 시작가가 50,000\인 상태에서 모집인원이 10으로 공지된 경우 입찰참여자는 5,000\의 입찰 참여금을 선착순으로 경매 시작전에 미리 예치해야 함을 공지한다.
여기서, 5,000\씩을 입찰 참여금으로 예치한 입찰참여자들 중 낙찰을 받지 못하는 경우 5,000\이 소진됨도 공지한다. 이러한 소진 방식에 의해 입찰참여자는 경매상품에 대해 시중가와 동일한 입찰가를 제시하여 낙찰되는 경우에도 낙찰가보다 훨씬 적은 금액으로 구매할 수 있고, 판매자는 시중가보다도 더 높은 가격으로 판매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금액산정은 아래의 S485 단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S470 단계의 모집종료시 즉, 정해진 모집기간 내에 해당 모집인원이 차지 않으면 경매가 취소되고, 입찰 참여금을 미리 예치했던 입찰참여자에게는 예치금을 반환하여 경매가 종료된다. S470 단계의 모집종료시 즉, 정해진 모집기간 내에 해당 모집인원이 차면 경매가 시작된다.
단계 S410, S420 : 입찰참여자는 경매 운영 웹사이트에 로그인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인 입찰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때, 입찰참여자 단말로부터 서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요청 명령을 전송하게 되고, 서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활성화 요청 명령이 전송되어 입찰자 프로그램이 실행된다.([도 3] 참조)
단계 S430, S440 : 입찰참여자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GUI)가 활성화되면, 입찰참여자는 구매하려는 경매상품을 선택하고, 입찰을 위한 참여 신청 정보를 입찰참여자 단말에 입력한다. 입찰참여자 단말에 입력된 정보는 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이때 서버는 참여 신청의 중복이 있었는지를 판단하여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는 바람직하게는 서버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치금에 대한 반환이 이루어질 때, 1명의 입찰참여자가 참여 신청을 중복한 경우에는 당해 중복 횟수만큼의 입찰참여자가 복수인 것으로 간주하여 반환 금액의 균등비율이 산정된다. S460 단계에서도 1명의 입찰참여자가 참여 신청을 중복한 경우 중복 횟수만큼의 입찰참여자가 복수인 것으로 간주하여 입찰 참여금을 예치하게 된다.
단계 S450, S460 : 참여 신청의 중복이 없는 경우 공지된 경매 시작가에 대해 모집인원으로 나눈 금액을 입찰 참여금으로 예치하고, 참여 신청의 중복이 있는 경우 경매 시작가에 대해 모집인원으로 나눈 금액에 중복된 횟수를 곱한 금액을 입찰 참여금으로 예치한다.
예를 들어 공지된 경매 시작가가 50,000\이고 모집인원이 10명으로 확정되었을 때, 참여 신청의 중복이 없는 경우 5,000\(50,000\/10)을 입찰 참여금으로 예치하고,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가 3회인 경우 15,000\(50,000\/10*3)을 입찰 참여금으로 예치한다.
단계 S470, S480 : 미리 정하여 공지한 모집기간이 지나 모집이 종료된 후, 정해진 모집인원이 모두 참여한 경우에만 경매 절차를 시작한다. 정해진 모집인원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경매가 취소되어 입찰참여자의 예치된 입찰 참여금을 반환하고 경매가 종료된다. S350 단계에서 다시 모집기간을 정하여 입찰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매 서비스 방법에서 경매 시작 직후부터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경매 시작 이후에 이루어지는 경매 진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481 : 입찰참여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의 활성창에 구비된 입찰가 입력란에 입찰가를 기재하고 입찰 버튼을 클릭한다.([도 4] 참조) 1명의 입찰참여자에게 입찰가를 입력하는 입찰 횟수를 3회 정도로 미리 설정하여 해당 입찰참여자의 입찰 횟수를 제한한다.
한편, 기설정된 입찰 참여 횟수를 하나의 참여 신청으로 간주하고 참여 신청의 횟수가 중복 가능하게 기설정된 경우, 기설정된 입찰 참여 횟수와 기설정된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를 곱한 수만큼 해당 상품에 대한 입찰 참여가 가능하도록 설정되는데, 예를 들어 1명의 입찰참여자에게 3회의 입찰 횟수를 설정한 상태에서 해당 입찰참여자가 참여 신청 중복 횟수를 3회로 S430 단계에서 입력한 경우 총 9회의 입찰 횟수가 발생한다.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도 합리적인 수준에서 미리 설정하여 S340 단계에서 공지하게 된다.
한편, 경매 기간의 만료 10초 내에 다른 입찰참여자로부터 더 높은 금액의 입찰가가 입력되면 경매 기간은 다시 30초 연장되고, 연장된 시간 30초의 만료 10초 내에 다른 입찰참여자로부터 더 높은 금액이 입력되면 경매 기간은 다시 30초 연장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입찰가는 입력되는 회차마다 입찰증가단위를 S340 단계에서 미리 공지하여 경매 규칙을 확정한다. 그러므로 단계적으로 입찰가 입력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입찰가는 상승하게 된다.
경매 기간의 만료 10초 내에 다른 입찰참여자로부터 입찰 횟수 초과 등 여러가지 이유로 입찰가 입력이 없으면 직전 입찰가가 최종 입찰가로써 설정되고, 아래의 S483 단계에서 낙찰가로 판정할 것인지를 정한다. 위와 같은 경매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입찰가를 입력하는 입찰 횟수가 많을수록 낙찰받을 확률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단계 S482, S483 : 위의 S481 단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입찰가의 단계적인 입력이 지속됨에 따라 경매 기간의 연장을 계속하다가 경매 기간이 종료되면, 종료시의 최종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가를 판단하며, 최종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이하이면, 판매자의 판매의사가 없는 상태이므로 경매는 취소되고, 입찰참여자가 S450 단계와 S460 단계에서 미리 예치하였던 입찰 참여금을 반환하고한 사이클의 경매는 종료된다.(단계 S486, S487) 여기서도 S340 단계로 돌아가 최소마진 판매가와 경매 시작가를 새로이 설정하거나 변동 없는 금액으로 다시 입찰참여자를 모집하여 경매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S484, S485 : 경매가 종료될 때의 최종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가를 판단하며, 그 결과 최종 입찰가가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이면 해당 입찰가가 경매 낙찰가로 된다. 여기서, 최고가 입찰자가 낙찰되지만, 절차 진행상 최종 입찰자를 의미한다.
이렇게 최종 입찰가로서 낙찰가가 정해지면, 낙찰자로부터 미리 예치된 입찰 참여금 중 반환 받은 금액을 뺀 나머지를 낙찰가와 합산한 금액에서 경매 시작가를 뺀 금액을 구매 대금으로 입금하여 매매가 성사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시중가 100,000\ 상당의 경매상품에 대해 최소마진 판매가를 70,000\(비공개)으로 설정하고, 50,000\을 경매 시작가로 설정된 상태에서, 가령 입찰참여자가 10명이라면 입찰참여자 1인당 실제 예치되는 금액은 1,0000\이 된다. 위의 입찰참여자 10명 중 1명이 110,000\에 낙찰된 경우 이 낙찰자가 경매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계산하면 아래와 같이 61,000\이 된다.
구매 소요 비용(70,000\) = 입찰 참여금 (1,0000\) + 낙찰가(110,000\) - 경매 시작가 (50,000\)
즉, 낙찰받지 못한 입찰참여자들의 입찰 참여금(90,000\)이 소진되므로 판매자는 최소마진 판매가(70,000\)보다 훨씬 높은 낙찰가(110,000\)로 판매를 하였음에도 낙찰자는 입찰 참여금(10,000\)을 포함하여 총 70,000\의 구매 비용이 소요됨으로써, 판매자와 낙찰자 모두 이익이 되는 매매가 이루어진다.
낙찰받지 못한 입찰참여자들의 전체 입찰 참여금(90,000\)에 대한 개개인의 입찰 참여금(10,000\)은 낙찰시 저렴하게 경매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는 기대이익에 대한 소진위험 부담금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가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9)

  1. (a) 서버는 판매자 단말이 전송한 최소마진 판매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수의 입찰참여자 단말에 대해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에 대한 정보를 비공개로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해당 상품에 대한 시중가, 경매 시작가, 상기 경매 시작가 대비 입찰 참여금을 상기 입찰참여자 단말에 공개하고 입찰참여자로부터 입찰 참여금을 예치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미리 정한 모집기간에 의해 상기 입찰참여자의 모집이 종료된 후 상기 입찰 참여금의 예치된 합산액이 상기 경매 시작가를 초과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경매 시작가를 초과한 금액을 상기 입찰참여자에게 균등하게 반환하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상기 입찰참여자로부터 상기 경매 시작가 이상의 입찰가를 지불받는 단계;
    (e) 상기 서버가 상기 입찰가와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를 비교하여 상기 입찰가 중 해당 상품으로의 낙찰가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 상기 입찰가가 발생하면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 상기 입찰가 중 최고가인 경우를 낙찰가로 확정하는 단계;
    (g) 상기 서버는 상기 입찰 참여금 중 상기 (c) 단계의 반환 받은 금액을 뺀 나머지를 상기 낙찰가와 합산한 금액에서 상기 경매 시작가를 뺀 금액을 구매 대금으로 지불받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a-1) 상기 단계 (b) 이전에 상기 서버는 상기 입찰참여자의 입찰 참여 횟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입찰 참여 횟수를 하나의 참여 신청으로 간주하고 상기 참여 신청의 횟수가 중복 가능하게 미리 설정하면,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입찰참여자 단말은 상기 입찰 참여 횟수와 상기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를 곱한 수만큼 해당 상품에 대한 상기 입찰가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입찰가가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 미만인 경우 유찰로 해당 회차의 경매를 취소하고 상기 입찰참여자로부터 미리 예치한 상기 입찰 참여금을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5. (a) 서버는 판매자 단말이 전송한 최소마진 판매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수의 입찰참여자 단말에 대해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에 대한 정보를 비공개로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서버는 입찰참여자의 모집인원을 미리 정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시중가, 경매 시작가, 상기 경매 시작가 대비 입찰 참여금을 상기 입찰참여자 단말에 공개하고 상기 입찰참여자로부터 입찰 참여금을 예치하는 단계;
    (c) 상기 서버가 상기 입찰참여자의 모집이 종료되면 상기 입찰참여자로부터 상기 경매 시작가 이상의 입찰가를 지불받는 단계;
    (d) 상기 서버가 상기 입찰가와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를 비교하여 상기 입찰가 중 해당 상품으로의 낙찰가로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 상기 입찰가가 발생하면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 이상인 상기 입찰가 중 최고가인 경우를 낙찰가로 확정하는 단계;
    (f) 상기 서버는 상기 입찰 참여금을 상기 낙찰가와 합산한 금액에서 상기 경매 시작가를 뺀 금액을 구매 대금으로 지불받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a-1) 상기 단계 (b) 이전에 상기 서버는 상기 입찰참여자의 입찰 참여 횟수를 미리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단계 (a-1)에서 상기 서버가 상기 입찰 참여 횟수를 하나의 참여 신청으로 간주하고 상기 참여 신청의 횟수가 중복 가능하게 미리 설정하면,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입찰참여자 단말은 상기 입찰 참여 횟수와 상기 참여 신청의 중복 횟수를 곱한 수만큼 해당 상품에 대한 상기 입찰가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입찰가가 상기 최소마진 판매가 미만인 경우 유찰로 해당 회차의 경매를 취소하고 상기 입찰참여자로부터 미리 예치한 상기 입찰 참여금을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112123A 2011-11-08 2012-10-09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441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15528 2011-11-08
KR1020110115528 2011-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878A KR20130050878A (ko) 2013-05-16
KR101441112B1 true KR101441112B1 (ko) 2014-09-23

Family

ID=4866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123A KR101441112B1 (ko) 2011-11-08 2012-10-09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372B1 (ko) * 2021-09-09 2023-12-19 이재명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n3 연동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3680A (ko) * 2000-06-26 2002-01-15 오혁 실시간 양방향 경매 방법 및 그 장치
KR100384268B1 (ko) * 2000-04-21 2003-05-14 차희장 경매시스템 및 방법
KR20040013482A (ko) * 2002-08-07 2004-02-14 심재윤 입찰 상한가와 입찰자 수를 연동하여 입찰참가자를제한하는 입찰식 경매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0165A (ko) * 2004-02-07 2006-01-06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개방형 입찰비 수익 기반의 추첨식 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268B1 (ko) * 2000-04-21 2003-05-14 차희장 경매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3680A (ko) * 2000-06-26 2002-01-15 오혁 실시간 양방향 경매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13482A (ko) * 2002-08-07 2004-02-14 심재윤 입찰 상한가와 입찰자 수를 연동하여 입찰참가자를제한하는 입찰식 경매시스템 및 방법
KR20060000165A (ko) * 2004-02-07 2006-01-06 주식회사 인터파크지마켓 개방형 입찰비 수익 기반의 추첨식 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0878A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1674B1 (en) Computer-based auction and sale system
JP2002109288A (ja) 複数の同時オンライン競売への動的参加に対応したエージェント
KR101629961B1 (ko) 온라인 대화를 이용한 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78858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single and aggregation sale
KR20190061054A (ko) 비공개 입찰 역경매용 시스템 및 방법
JP2002007720A (ja) 商品取引システム、方法及び記録媒体
KR20060085882A (ko) 구매자가 판매대행자로 전환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20150213531A1 (en) Computer-Assisted Interactive Reverse Auctions
JP7180904B2 (ja) オンラインオークション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30066694A1 (en) Online Auction System with Random Rebate
KR101441112B1 (ko)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8380581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n auction over a network
KR10073270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경매방법
KR100413375B1 (ko) 구매확률표기방식의 공동구매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7515014A (ja) 最低価格競売サービスの運営システム及び運営方法
KR101398661B1 (ko) 온라인 경매 방법
KR20010085069A (ko) 온라인상의 캐릭터 경매 방법
US80906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an auction over a network
JP7020672B2 (ja) 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の管理サーバー、およびオークション方法
KR100551024B1 (ko) 판매 촉진을 위한 당첨식 경매시스템과 그를 이용한광고대상물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36357A1 (en) Method for mitigating financial risks associated with participating in an auction
KR100492868B1 (ko)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경매방법
JP2004295539A (ja) 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246817A (ja) 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
KR20040103574A (ko) 유료 입찰을 통한 물품 판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