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868B1 -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경매방법 - Google Patents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경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868B1
KR100492868B1 KR10-2003-0022412A KR20030022412A KR100492868B1 KR 100492868 B1 KR100492868 B1 KR 100492868B1 KR 20030022412 A KR20030022412 A KR 20030022412A KR 100492868 B1 KR100492868 B1 KR 100492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ction
information
seller
buyer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284A (ko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네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2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8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868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물품 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매 종료전에 판매자의 의사에 따라 임의 낙찰이 가능한 실시간 경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매자와 구매자 단말에 구매자와 판매자 및 경매서버 상호간에 실시간으로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인스톨한 상태에서, 판매자가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매종료시각이나 희망 판매가격과는 무관하게 임의로 경매를 중단시키고, 현재의 응찰가를 낙찰가로 선정 하는 것이 가능한 온라인 경매방법을 개시한다.
따라서, 현물 시장의 시세 변화를 즉각적으로 경매에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자의 경매 참여를 보다 적극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로인해, 종래의 온라인 경매 방식 보다는 상대적으로 낙찰율을 높이고, 온라인 경매를 현실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 경매방법{AN AUCTION METHOD FOR FIXING A HIGHEST BID PRICE AT ARBITRARY BY SELLER}
본 발명은 전자적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물품 거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매 종료전에 판매자의 의사에 따라 임의 낙찰이 가능한 실시간 경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문서의 교환을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거래를 성사시키는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는 경매형식의 물품 거래방식이 인기를 끌고 있다.
온라인 경매방식에는 그 거래방식에 따라 일반경매, 역경매, 공동구매 등이 있으며, 운영방식에 따라 게시판모드로 진행하는 방식과 채팅모드로 진행하는 실시간 경매 방식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경매를 운영함에 있어서, 먼저 경매중개업자는 피입찰자(출품자)로부터 경매 매물을 등록받는다. 그러기 위해서 피입찰자는 경매중개업자 측의 경매서버에 접속하여 경매를 하려는 매물을 등록한다. 상기 등록된 매물을 경매서버는 DB에 저장하여 입찰자가 요청하면 매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첫째, 게시판모드로 경매를 운영하는 방식은 먼저 입찰자가 상기 경매서버에 접속하여 입찰할 매물을 검색한다. 그러면 경매서버는 매물에 대한 정보를 입찰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정보에 의해 입찰자는 입찰할 매물을 결정한다. 이어서, 입찰자는 상기 선택한 매물에 대한 입찰가를 경매서버에 등록한다. 그러면 경매서버는 상기 입찰가를 DB에 저장한다. 경매가 완료될 때까지 경매서버는 입찰을 원하는 입찰자로부터 입찰가를 등록 받는다. 경매가 종료되면, 상기 경매서버는 DB에 저장된 현재 입찰가에 근거하여 낙찰자를 결정한다.
두 번째, 실시간 채팅모드로 운영하는 방식은 첫 번째 방식과 동일하게 먼저 입찰자가 경매서버에 접속하여 입찰할 매물을 검색한다. 그러면 경매서버는 매물에 대한 정보와 함께 채팅모드의 진행시간을 입찰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제공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입찰자는 첫 번째 방식과 동일하게 입찰에 참여할 매물을 결정한다. 상기 경매서버는 채팅모드 진행시간까지 상기 매물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며, 채팅모드 시작시간까지는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 한편 채팅모드 진행시간이 되면, 경매서버는 채팅방을 개설하여 입찰자들이 입찰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입찰자는 채팅방이 개설된 기간동안만 채팅방에서 대화를 통하여 입찰가를 제시하면서 실시간으로 입찰을 하게 된다.
상기 게시판모드로 진행하는 경매방식은 경매종료 시간이 임박하여(예를 들어 종료 5분전) 다수의 입찰자가 입찰을 하는 경우 현재 경매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경매서버로부터 입찰자에게 제공되어진 웹페이지는 입찰자가 정보를 요청한 순간의 경매에 대한 정보이다. 따라서 입찰자가 요청한 순간 이후의 경매에 대한 정보는 웹페이지에 제공되지 않는다. 정보 요청 순간 이후의 경매에 대한 정보를 웹페이지로 전송 받기 위해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웹브라우저의 다시읽기(리로드)버튼을 클릭하여 경매서버로부터 경매에 대한 정보를 다시 전송받아야 한다. 즉 실시간으로 경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채팅모드로 진행하는 경매방식은 실시간 채팅으로 경매를 진행하여야 하므로 경매에 참여 할 수 있는 시간이 채팅방이 개설된 시간으로 한정되어 있어 경매 참여시간이 전술한 첫 번째 경매방식에 비해 짧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입찰참여를 원하는 입찰자는 상기 정해진 채팅방이 개설된 시간에 경매서버에 접속하지 못하면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채팅모드 경매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2-3910 호는 피입찰자 또는 입찰자 단말장치에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을 인스톨시켜 입찰자가 경매중개업자의 홈페이지에 일일이 접속하지 않고, 경매중개업자가 제공하는 실시간 경매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응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경매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0-35328 호(이하, 328'호 발명)는 경매의 진행중에 판매자와 구매자들간에 실시간으로 통신망을 통해 대화가 가능하고, 경매가 시작되어 최종 낙찰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줄여 경매 참여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실시간 양방향 경매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328'호 발명은 경매시작가격은 판매자가 결정하되, 이때 예정가격을 판매자가 결정하도록 하여 경매진행중에 이 예정가격으로 입찰이 되면 더 이상 경매를 진행하지 않고, 낙찰을 하게 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1-96187 호는 인터넷 경매를 위한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리얼메신져)을 경매 참여자의 컴퓨터에 설치, 실행시켜 복수의 경매 참여자들이 이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간으로 경매에 참여하고, 경매결과를 바로 알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인터넷 경매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 공개특허들의 경우는 종래의 채팅 경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시간 경매를 위한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는 점에서 공통된다. 상기 선행 공개특허들에 개시된 실시간 경매 프로그램의 경우는 경매중개 사이트에 접속하지 않고도 경매 참여자들 사이의 쌍방향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도록 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또는 구매자와 구매자 사이의 대화형 경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실시간 경매방법은, 경매개시전에 등록한 경매조건 정보를 판매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고, 판매상황이나 시세에 따라 진행중인 경매를 임의로 낙찰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출품자(즉, 판매자)의 의사 반영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경매진행 과정중에 판매자의 의사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온라인 경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사전에 등록한 경매 시작가격, 판매 희망가격 등을 경매진행중에 변경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구매자들에게 통지할 수 있으며, 응찰된 가격이 판매자가 원하는 희망가격에 도달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판매자의 의사에 따라 임의로 낙찰이 가능하게 하는 경매 방법 및 경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 1 양태는 경매를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장치 및 판매자 단말장치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구매자 단말장치와 판매자 단말장치에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경매 관련 정보나 메시지를 송신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다른 클라이언트(즉, 판매자 또는 다른 구매자)로부터의 실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실시간 경매유닛이 인스톨되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경매물품에 대한 정보, 경매 시작가격 등의 경매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고, 등록하는 단계와;
잠재적인 구매자가 응찰에 참여할 경매물품에 대한 상기 경매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한 경매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경매시작 시간이 되면, 상기 구매자가 상기 경매정보에 근거하여 구매 응찰가격을 포함하는 구매청약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청약정보의 입력과 동시에 상기 구매청약정보를 상기 판매자와 경매에 참여중인 다른 구매자들에게 동시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가 상기 경매유닛을 통해 경매종료전에 임의낙찰 요청을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임의 낙찰요청에 따라 경매종료 여부와 상관없이 경매진행을 중단하고, 현재까지 최고 구매 응찰가격을 제시한 구매자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낙찰자, 낙찰가격을 포함하는 낙찰결과정보를 해당 경매에 참여하고 있는 구매자들에게 동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경매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제 2 양태는 경매를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장치 및 판매자 단말장치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구매자 단말장치와 판매자 단말장치에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경매 관련 정보나 메시지를 송신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다른 클라이언트(즉, 판매자 또는 다른 구매자)로부터의 실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실시간 경매유닛이 인스톨되어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가 경매물품에 대한 정보, 경매 시작가격, 희망 판매가격 등의 초기 경매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고, 등록하는 단계와;
잠재적인 구매자가 응찰에 참여할 경매물품에 대한 상기 경매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한 경매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경매시작 시간이 되면, 상기 구매자가 상기 초기 경매정보에 근거하여 구매 응찰가격을 포함하는 구매청약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가 경매종료전에 상기 경매유닛을 통해 경매 시작가격, 희망 판매가격 등의 초기 경매정보를 수정한 변경 경매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경매정보에 근거하여 초기 경매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경매정보를 복수의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가 상기 변경 경매정보에 근거하여 구매 응찰가격을 포함하는 새로운 구매청약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경매가 종료되면, 최고 응찰가격과 상기 희망 판매가격을 비교하여 해당 경매의 유찰과 낙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유찰 결과 또는 낙찰 결과정보를 복수의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경매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매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경매 서버(400), 상기 경매서버에 경매물품을 출품 등록하기 위한 판매자 단말장치(200), 경매 서버를 경유하여 출품된 경매물품에 대해 응찰하기 위한 복수의 잠재적인 구매자 단말장치(300a ~ 300n) 및 이들 상호간을 접속시키기 위한 네트워크망(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200)와 구매자 단말장치(300a ~ 300n)는 입력장치, 표시장치, 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 통신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되는 유,무선 정보통신단말이다. 상기 판매자 단말장치(200) 및 구매자 단말장치(300a ~ 300n)로는 랩탑 컴퓨터나 핸드헬드 PC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상의 경매 서버(400)와 정보를 송, 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유, 무선상의 모든 정보통신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능적으로 볼 때, 본 발명의 판매자 단말장치(200) 및 구매자 단말장치(300a ~ 300n)는 운영체제 프로그램(210, 310a~310n), 브라우저 프로그램(220, 220 a~220n) 및 상기 경매 서버(400)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200, 300a~300n)에 경매 관련 정보를 송신하고, 경매 서버(400)를 경유하여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200, 300a~300n)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경매조정 프로그램(230, 230a~230n)을 포함한다.
상기 운영체제 프로그램(210, 310a~310n)은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브라우저 프로그램(220, 320a~320n)는 월드와이드웹에서 모든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인터넷 웹 서버에 자료를 요청하기 위해 HTTP를 사용한다.
상기 경매조정 프로그램(230, 330a~330n)은 판매자(또는 출품자)와 구매자(또는 응찰자)들 상호간에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도록 각종 정보를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쌍방향 전송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이 판매자 단말(200)에 설치될 경우에는 경매 물품을 경매서버(400)에 등록하고, 경매 진행중에 임의로 낙찰 의사를 경매서버(400)에 전달하며, 초기 경매정보를 변경, 등록하고, 구매자 단말(300a~300n)에 메시지를 동시 전송하기 위한 출품자 프로그램(230)으로 기능하게 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구매자 단말(300a~300n)에 설치될 경우에는 경매 서버(400)에 등록되어 있는 경매 물품을 검색하고, 특정 경매 물품에 대한 응찰 정보를 경매 서버(400)에 전달하며, 판매자나 다른 구매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응찰자 프로그램으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 출품자 프로그램(230)과 응찰자 프로그램(330a~330n)은 예를들어, 일종의 멀티미디어 메신져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경매 서버(400)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인스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매 서버(400)는 판매자로부터 경매 물품을 입력받아 등록하고, 구매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경매물품과 관련된 경매정보를 해당 구매자에게 제공하며, 판매자의 임의 낙찰요청이나 경매정보 변경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이다.
이 경매 서버(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ROM(410), RAM(405), CPU(435), 경매엔진(415), 결제 프로세서(420), 운영체제(42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 및 데이터 기억장치(450)를 포함한다.
상당한 양의 메모리와 처리능력을 갖춘 전통적인 개인 컴퓨터나 워크스테이션이 본 발명의 경매 서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매 서버(400)는 정보처리나 데이터베이스 탐색에 있어 엄청난 양의 수학적 계산을 실행함으로써 대량의 업무처리를 할 수 있다. 주로 인텔사에서 생산되는 팬티엄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CPU(435)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결제 프로세서(420)는 결제요금, 각종 수수료 등의 전달과 교환을 지원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통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결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결제 서비스에는 온라인 예금계좌 신고, 주문받기와 신용카드 결제인증, 신용카드 결제, 자동부가세계산, 디지털 영수증 발급, 예금에 근거한 구매추적 등과 같은 경매와 관련된 모든 결제 서비스가 포함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는 판매자측 단말(200)에 인스톨되어 있는 출품자 프로그램(230)(또는, 실시간 경매유닛)과, 구매자측 단말(300a~300n)에 인스톨되어 있는 응찰자 프로그램(330a~330n)(또는, 실시간 경매유닛)을 통해 판매자와 구매자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게이트웨이이다. 기존의 내외장용 모뎀들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30)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경매엔진(415)은 특정한 판매자(출품자)로 부터 경매물품을 제공받고, 다수의 잠재적인 구매자로부터 응찰요청을 접수받아, 상기 경매 유닛(230, 330a~330n)과 같은 메신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사이에서 실시간 경매를 진행시키기 위한 서버 사이드 프로그램이다.
상기 데이터 기억장치(450)는 CD-ROM 드라이버나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자기 또는 광학 기억장치들인 하드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기억장치(450)는 판매자 데이터베이스(451),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52),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453), 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454) 및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455)를 포함한다.
상기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52)는 이름, 주소, 신용카드번호, 전화번호, 주민번호, 전자메일주소, 신용내역, 과거 시스템 사용내역, 구매자 식별코드(예를들어, ID, 패스워드), 구매자 예금계정 등과 같은 구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이런 정보는 구매자가 시스템에 제일 먼저 등록할때 얻어진다.
상기 판매자 데이터베이스(451)는 이름, 계약정보, 판매자 식별코드(예를들어, ID, 패스워드), 결제선호형태, 판매자 예금계정, 사업종류 및 판매되는 상품류와 같은 판매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계약정보는 전화번호, 웹페이지 URL, 게시판 주소, 이동통신번호, 전자메일주소, 팩스번호 또는 판매자와 연락하기 위한 다른 어떤 수단을 포함한다. 등록하는데 있어 판매자는 체결된 계약을 이행할 만한 능력이 있다는 증거를 제시해야 한다.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453)는 판매자가 경매를 위해 등록한 경매물품정보와 경매조건정보 등과 같이 경매의 진행과 직접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경매물품정보에는 예를들어, 경매물품이 자동차인 경우 모델명, 색상, 연료종류, 주행, 배기량, 지역, 엔진상태, 차량 이미지 등과 같이 물품의 구매를 위해 고려되는 모든 사항이 포함된다. 또한, 경매조건정보에는 경매시작가격, 희망판매가격, 경매마감시간 등과 같이 판매자나 시스템에 의해 설정되는 입찰조건과 관련된 정보들이 포함된다.
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454)는 특정 경매에 대한 낙찰결과정보 즉, 낙찰 또는 유찰여부, 낙찰가격, 낙찰일시, 낙찰된 물품정보, 구매자 이름, 구매자 식별코드, 판매자 이름, 판매자 식별코드 등을 저장한다.
상기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455)는 구매자 이름, 구매자 식별코드, 결제 총액과 같이 구매자에 의해 발생한 모든 결제사항을 저장한다.
상기에서는 한 대의 컴퓨터가 경매 서버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기술되고 있으나, 당업자라면 그 기능성이 복수의 컴퓨터에 분포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의 네트워크망(100)은 유선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및 공중전화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네트워크망이 월드와이드웹(WWW)을 기반으로 하는 유선 인터넷망이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판매자 또는 구매자 단말)이 퍼스널 컴퓨터인 경우를 대표적인 실시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경매방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경매를 통해 물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본 발명에 따른 경매사업자의 사이트를 방문하여 판매자 정보를 입력하여 판매자 데이터베이스(451)에 등록한다. 판매자 데이터베이스(451)에 판매자(즉, 출품자)로 등록한 상기 판매자는 상기 사이트로부터 출품자 프로그램(230)을 다운로드 받고, 이를 판매자 단말(200)에 설치한다.
또한, 경매물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잠재적인 구매자 역시 상기한 판매자 등록과정과 마찬가지로 구매자 정보를 입력하여 구매자 데이터베이스(452)에 등록하고, 응찰자 프로그램(330a~330n)을 다운로드 받아 구매자 단말(300a~300n)에 설치한다.
이와같이, 판매자 등록을 완료한 판매자는 도 3과 같이 출품 의뢰 과정을 거쳐 경매를 통해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등록하게 된다.
판매자는 경매 서버(400)에 접속하여 경매 물품을 등록한다. 즉, 판매자는 판매하고자 하는 경매물품정보(예를들어, 상품명, 모델명, 제조회사, 상품의 개수, 제품의 상태 등)와 경매조건정보(예를들어, 경매시작가격, 희망판매가격 등)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경매 물품을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453)에 등록하게 된다. (S100, S110)
판매자로부터 경매정보(즉, 경매물품정보 및 경매조건정보)를 입력받은 경매서버는 실시간 경매의 진행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경매 데이터를 생성하고(S120), 이 경매 데이터를 해당 출품자에 대응되도록 저장한다.(S130)
경매 물품의 등록이 완료되면, 경매서버는 해당 경매정보를 웹사이트 게시판(또는 전자메일 등도 포함) 등을 통해 복수의 잠재적인 구매자들에게 공지한다.(S140)
도 3과 같은 과정을 거치는 것에 의해 다수의 경매물품에 대한 출품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도 4의 실시간 경매가 진행된다.
이하에서, 경매서버,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멀티미디어 경매정보는 특별한 언급이 없다 하더라도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실시간 경매유닛(출품자 프로그램, 응찰자 프로그램) 상호간 또는 실시간 경매유닛과 경매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출품자와 경매에 참여하고자 하는 복수의 구매자는 자신의 정보통신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실시간 경매유닛(출품자 프로그램 또는 응찰자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로그인 과정(즉, 정당 사용자 인증과정)을 수행한다.(S210, S220 또는 S310, S320)
상기 실시간 경매유닛(230, 330a~330n)을 구동시키면, 클라이언트 정보통신단말(200, 300a~300n)의 모니터에는 도 5와 같은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0)가 디스플레이된다.
클라이언트 단말(200, 300a~300n)의 경매유닛(230, 330a~330n)으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전송받은 경매서버(400)는 해당 로그인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클라이언트가 출품자인지 아니면 구매자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5)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가 구매자인 경우에는 경매참여를 승인하고, 판매자인 경우에는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경매인 기능섹션(550)을 활성화시킨다. 구매자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있어서는 상기 경매인 기능섹션(550)이 비활성화되기 때문에 구매자는 경매인 기능섹션의 메뉴를 사용할 수 없다.(S330)
상기 S405 과정을 통해 경매참여를 승인받은 구매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경매섹션(520)을 이용하여 참여가 가능한 경매물품을 검색한다.(S230)
검색결과, 참여를 희망하는 경매건을 결정한 구매자는 경매서버에 대해 해당 경매건에 대한 경매데이터를 요청한다.(S240)
구매자로부터 경매데이터 요청을 수신받은 경매서버(400)는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453)로부터 해당 경매건에 대한 경매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구매자 단말(300a~300n)의 경매유닛(330a~330n)에 전송한다.(S410)
경매서버(400)로부터 경매데이터를 전송받은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330a~330n)은 이 경매정보를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상에 표시한다. 이때, 경매물품과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물품정보 표시섹션(530)에 표시하고, 경매물품의 이미지는 물품이미지 표시섹션(540)에 표시하며, 현재호가와 같은 응찰정보는 응찰정보 표시섹션(510)에 표시하게 된다.(S250)
상기 물품정보 표시섹션(530), 물품이미지 표시섹션(540) 및 응찰정보 표시섹션(510)을 통해 경매 진행상황을 확인한 구매자는 경매유닛(330a~330n)을 통해 응찰가격이 포함되어 있는 응찰정보를 경매서버(400)에 입력한다.(S260)
상기 구매자로부터 응찰가격이 포함된 응찰정보를 입력받은 경매서버(400)는 이 응찰정보를 판매자 단말의 경매유닛(230)과 다른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330a~330n)에 전송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의 응찰정보 표시섹션(510)을 통해 표시한다. 즉,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상에 표시되는 응찰가격 등이 경매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응찰정보에 의해 새롭게 갱신된다.
한편, 상기 단계 S330에서 판매자 단말의 경매유닛에 있는 경매인 기능섹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판매자는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응찰정보를 확인하면서 경매서버에 대해 임의낙찰을 요청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40)
즉, 판매자는 경매물품의 특성상 시세의 변화가 심하거나 현물 시장에서 해당 경매물품의 가격이 현격히 떨어져서 희망가와는 상관없이 현재의 응찰가격으로 시급하게 계약을 성사시키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와같이, 경매가 종료될 때까지 기다린다 하더라도 응찰가격이 희망가격에 못미침으로써 경매 자체가 유찰될 가능성이 존재하고, 더이상 현재호가 보다 높은 응찰가격이 등장할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판매자로서는 경매를 조기에 중단하고, 현재의 응찰가로 경매를 낙찰시키려는 의지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간 경매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경매종료시각 또는 희망 판매가격과는 무관하게 현재시점의 응찰가격으로 경매를 종료시킬 수 있는 경매인 기능을 판매자에게 부여하였다.
즉, 현재 시점의 응찰가격으로 경매물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는 도 5의 경매인 기능섹션(550)의 낙찰신청 메뉴(551)를 선택하여 경매서버(400)에 임의낙찰 의사를 전달한다.(S370)
판매자로부터 임의낙찰 요청을 받은 경매서버(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들로부터 입력받은 응찰가격중 현재시점에서의 최고가를 낙찰가로 결정하고, 이 낙찰가를 제시한 구매자를 낙찰자로 선정하여 낙찰 데이터를 생성한다.(S460, S465)
이렇게 생성된 낙찰 데이터는 해당 경매건에 대응되도록 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454)에 저장되고, 판매자와 참여중인 모든 구매자에게 동시에 통지된다.(S470)
한편, 상기 단계 S340에서 판매자가 현재호가로 낙찰을 종료하려는 의사 보다는 좀더 많은 응찰을 유도하기 위하여 초기 경매조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의 경매조건변경 메뉴(553)를 선택한다. 경매조건변경 메뉴(553)를 선택한 후, 판매자는 시작가격 또는 희망가격 등의 정보를 변경하고, 이 변경된 경매조건정보를 경매서버(400)에 전달한다.(S350, S360)
판매자 단말로부터 변경 경매조건 정보를 입력받은 경매서버(400)는 경매정보 데이터베이스(453)에 저장되어 있는 초기 경매조건정보를 갱신한다.(S450)
초기 경매조건정보를 갱신한 경매서버는 이 갱신정보를 판매자와 참여중인 모든 구매자에게 동시 전송한다.(S455)
변경된 경매정보를 수신받은 판매자 및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230, 330a~330n)은 이 갱신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500)상의 경매정보를 새롭게 갱신한다.(S270)
경매정보가 갱신되면, 구매자는 새롭게 변화된 경매정보에 근거하여 새로운 응찰요청을 경매서버에 입력할 수 있다.(S280)
상기 단계 S340, S350에서 판매자로부터 임의낙찰 요청이 없는 경우, 경매서버(400)는 해당 경매가 경매종료시각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5)
이때, 경매종료시각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경매를 계속 진행하고(S420), 경매종료시각에 도달된 경우에는 경매진행을 중단하고, 응찰 최고가가 희망 판매가 보다 더 큰지를 판별한다.(S425)
만약, 응찰 최고가가 희망 판매가 보다 작은 경우에는 해당 경매를 유찰시키고(S440), 이 유찰결과를 판매자 및 경매에 참여한 모든 구매자에게 실시간으로 동시 통보한다.(S445)
반면에, 상기 S425에서 응찰 최고가가 희망 판매가 보다 높은 경우에는 이 응찰 최고가를 낙찰가로 결정하고, 이 낙찰가를 제시한 구매자를 낙찰자로 선정하여 낙찰 데이터를 생성한다.(S430)
이렇게 생성된 낙찰 데이터는 해당 경매건에 대응되도록 낙찰정보 데이터베이스(454)에 저장되고, 판매자 및 경매에 참여한 모든 구매자들에게 동시에 전송된다. (S470)
이렇게 진행된 경매가 임의낙찰이나 경매종료에 의해 낙찰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대금결제, 대금정산 및 물품배송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종료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판매자나 구매자는 도 5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시지 전송창(552)을 이용하여 판매자나 다른 구매자들에게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동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경매방식과는 달리 경매진행중에 임의로 경매를 종료시키거나 경매조건을 변경할 수 있도록 출품자의 권한을 확대하였다.
따라서, 현물 시장의 시세 변화를 즉각적으로 경매에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매자의 경매 참여를 보다 적극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로인해, 종래의 온라인 경매 방식 보다는 상대적으로 낙찰율을 높이고, 온라인 경매를 현실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매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경매 컴퓨터 시스템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출품자가 판매할 경매물품을 경매 컴퓨터 시스템에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가 실시간으로 경매를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5는 판매자 단말장치에 설치된 출품자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스크린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네트워크망 200 : 판매자 단말
300a ~ 300n: 구매자 단말 400 : 경매 서버

Claims (3)

  1. 삭제
  2. 경매를 관리하는 컴퓨터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구매자 단말장치 및 판매자 단말장치가 네트워크망을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구매자 단말장치와 판매자 단말장치에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경매 관련 정보나 메시지를 송신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다른 클라이언트(즉, 판매자 또는 다른 구매자)로부터의 실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기 위한 실시간 경매유닛이 인스톨되어 있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경매를 진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판매자가 경매물품에 대한 정보, 경매 시작가격, 희망 판매가격 등의 초기 경매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고, 등록하는 단계와;
    잠재적인 구매자가 응찰에 참여할 경매물품에 대한 상기 경매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와;
    요청한 경매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와;
    경매시작 시간이 되면, 상기 구매자가 상기 초기 경매정보에 근거하여 구매 응찰가격을 포함하는 구매청약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판매자가 경매종료전에 상기 경매유닛을 통해 경매 시작가격, 희망 판매가격 등의 초기 경매정보를 수정한 변경 경매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 경매정보에 근거하여 초기 경매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경매정보를 복수의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에 실시간으로 동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구매자가 상기 갱신 경매정보에 근거하여 구매 응찰가격을 포함하는 새로운 구매청약정보를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입력하는 단계와;
    경매가 종료되면, 최고 응찰가격과 상기 희망 판매가격을 비교하여 해당 경매의 유찰과 낙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유찰 결과 또는 낙찰 결과정보를 복수의 구매자 단말의 경매유닛을 통해 실시간으로 동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경매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희망 판매가격 보다 큰 구매 응찰가격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낙찰자를 결정하고, 희망 판매가격 보다 큰 구매 응찰가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찰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경매방법.
KR10-2003-0022412A 2003-04-09 2003-04-09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경매방법 KR100492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12A KR100492868B1 (ko) 2003-04-09 2003-04-09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경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412A KR100492868B1 (ko) 2003-04-09 2003-04-09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경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284A KR20040088284A (ko) 2004-10-16
KR100492868B1 true KR100492868B1 (ko) 2005-06-02

Family

ID=3737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412A KR100492868B1 (ko) 2003-04-09 2003-04-09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경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5492A1 (en) * 2021-03-17 2022-09-22 Kodidala Mallikarjunarao Online bidd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products with open and hidden bi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5492A1 (en) * 2021-03-17 2022-09-22 Kodidala Mallikarjunarao Online bidd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products with open and hidden b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284A (ko) 200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081B2 (en) User rating system for online auctions
US20060155637A1 (en) Combined on-site and online auction systems and methods
JP2003527646A (ja) コンピュータを使用して商取引を実施するときにユーザを認証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0005755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rewards in network-based applications
JP2002007720A (ja) 商品取引システム、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40143540A1 (en) Electronic sales system and method for price bargaining
US850446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bids on products and services
KR20020016078A (ko) 인터넷상에서의 실시간 검색 및 메시징을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0492868B1 (ko) 출품자의 의사에 근거하여 임의낙찰이 가능한 실시간경매방법
US20080189200A1 (en) Degressive auction method
WO201307844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volume and revenue maximizing retail sales platform
US2020022667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computerized networks to facilitate online transactions
US200902405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ducting online cash deposit auctions for transacting assets and other goods and services
KR20070074997A (ko) 기준가격을 통한 인터넷 상의 경매시스템 및 경매방법
KR100626301B1 (ko) 입찰 횟수에 따라 하락하는 낙찰가를 결정하는 경매 방법
KR100907220B1 (ko) 개인별 맞춤 상품 및 서비스 입찰 방법
KR101441112B1 (ko) 입찰참여자 모집 경매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732703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경매방법
KR20010000277A (ko) 인터넷 전자 상거래에 있어서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물품구매 및 판매 방법과 그 장치
JP2005018267A (ja) 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
KR100439157B1 (ko) 자동 모드전환이 가능한 복수의 모드로 구동되는 경매방법
JP2007515014A (ja) 最低価格競売サービスの運営システム及び運営方法
KR20040073108A (ko) 인터넷 채팅을 이용한 경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04884A (ko)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434976B1 (ko) 입찰보증금부 경매서비스 운영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