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0875B1 -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0875B1 KR101440875B1 KR1020120151787A KR20120151787A KR101440875B1 KR 101440875 B1 KR101440875 B1 KR 101440875B1 KR 1020120151787 A KR1020120151787 A KR 1020120151787A KR 20120151787 A KR20120151787 A KR 20120151787A KR 101440875 B1 KR101440875 B1 KR 1014408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plate
- separator
- stacking
- negative electrode
- positive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924 continuous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537 Mandrillus sphin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59—Cells or batteries with folded separator between plate-like elec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극판 마운팅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에 의해 양극판과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적층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다른 주요부인 멘드릴부의 작동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멘드릴부와 극판 이송부에 의한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과정을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에 의해 이차 전지용 극판을 스태킹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4c. 세퍼레이터 10. 스태킹 섹터
12. 스택 패널 16. 극판 마운팅부
20. 극판 이송부 22. 컨베이어 벨트
24. 극판 마운팅 영역 24A. 제1극판 마운팅 영역
24B. 제2극판 마운팅 영역 30. 멘드릴부
32. 멘드릴 34. 멘드릴 서포트 프레임
40. 극판 마운팅부 42. 가이드 프레임
44. 슬라이드 프레임 46. 리프트 패널
50. 홀더 유닛 52. 홀딩 프레임
Claims (9)
- 이차 전지의 양극판(4a)과 음극판(4b) 사이에 세퍼레이터(4c)가 개재되어 적층되는 기준 섹터인 스태킹 섹터(10)와;
상기 양극판(4a) 또는 음극판(4b)을 상기 스태킹 섹터(10) 방향으로 이송하며 그 선단부측과 상기 스태킹 섹터(10)와의 사이로 공급되는 세퍼레이터(4c)를 기준으로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음극판(4b)이 각각 공급되는 극판 마운팅 영역(24)을 형성하는 극판 이송부(20)와;
상기 극판 이송부(20)와 상기 스태킹 섹터(10) 사이에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멘드릴부(30)와;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이 동시에 상기 멘드릴부(30)에 의해 상기 스태킹 섹터(10)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형성된 극판 마운팅 영역(24)에 각각 다른 극성의 양극판(4a)과 음극판(4b)을 공급하는 극판 마운팅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멘드릴부(30)는 상기 스태킹 섹터(10)와 상기 극판 이송부(20) 사이에서 교대로 위치를 바꾸어 이송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 마운팅부(40)는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극판 마운팅 영역(24)에 상기 양극판(4a)과 음극판(4b)을 각각 적어도 두 장 이상의 열로 공급하여,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각각 상기 양극판(4a)과 음극판(4b)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을 상기 멘드릴부(30)에 의해 상기 스태킹 섹터(1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 마운팅부(40)는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극판 마운팅 영역(24)에 상기 양극판(4a)과 음극판(4b)을 한 장씩 공급하여,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각각 상기 양극판(4a)과 음극판(4b)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을 상기 멘드릴부(30)에 의해 상기 스태킹 섹터(1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킹 섹터(10)에는 상기 멘드릴부(30)에 의해 이송되어 상호 적층된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을 적층 상태로 지지하는 홀더 유닛(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 삭제
- 이차 전지의 양극판(4a)과 음극판(4b) 사이에 세퍼레이터(4c)가 개재되어 적층되는 기준 섹터인 스태킹 섹터(10)와 극판 이송부(20) 사이에 상기 세퍼레이터(4c)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형성된 극판 마운팅 영역(24)에 극판 마운팅부(40)에 의해 각각 다른 극성의 양극판(4a)과 음극판(4b)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이 겹쳐지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태킹 섹터(10)와 상기 극판 이송부(20) 사이에서 이동하는 멘드릴부(30)에 의해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을 동시에 상기 스태킹 섹터(10) 영역으로 이송하여 상기 스태킹 섹터(10)에서 복수개의 양극판(4a)과 음극판(4b) 사이에 세퍼레이터(4c)가 개재되어 적층된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극판 마운팅부(40)에서는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극판 마운팅 영역(24)에 상기 양극판(4a)과 음극판(4b)을 각각 적어도 두 장 이상의 열로 공급하여,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각각 상기 양극판(4a)과 음극판(4b)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을 멘드릴부(30)에 의해 동시에 상기 스태킹 섹터(10)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멘드릴부(30)는 상기 스태킹 섹터(10)와 상기 극판 이송부(20) 사이에서 교대로 위치를 바꾸어 이송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하여 상기 멘드릴부(30)에 의한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음극판(4b) 및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스태킹 단계가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이 겹쳐서 적층된 극판 페어 극판을 상기 멘드릴부(30)에 의해 상기 스태킹 섹터(10)로 상기 페어 극판을 이송하는 전단계 스태킹 과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극판 이송부(20)에 의해서는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아래면으로 양극판(4a) 또는 음극판(4b)을 이송하고,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아래면으로 상기 양극판(4a) 또는 음극판(4b)이 이송된 상태에서는 상기 멘드릴부(30)에 의해 상기 세퍼레이터(4c)와 함께 상기 양극판(4a) 또는 음극판(4b)을 동시에 상기 스태킹 섹터(10)로 이송하여, 상기 스태킹 섹터(10)와 상기 세퍼레이터(4c)의 한쪽 극판 마운팅 영역(24)은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상면에 의해 커버하고 상기 극판 이송부(20)에 의해서는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아래면 위치의 다른 극판 마운팅 영역(24)의 나머지 음극판(4b) 또는 양극판(4a)을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아래면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극판 마운팅부(40)에 의해서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쪽 극판 마운팅 영역(24)으로 극성이 서로 다른 양극판(4a)과 음극판(4b)을 피딩하고, 전단계에서 상기 스태킹 섹터(10)로 이송된 상기 페어 극판와는 다른 그 다음 번의 페어 극판을 상기 스태킹 섹터(10)로 이송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양극판(4a)과 음극판(4b) 사이에 세퍼레이터(4c)가 개재된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극판 마운팅부(40)에서는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극판 마운팅 영역(24)에 상기 양극판(4a)과 음극판(4b)을 한 장씩 공급하여, 상기 세퍼레이터(4c)의 양면 위치에 각각 상기 양극판(4a)과 음극판(4b)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양극판(4a)과 상기 세퍼레이터(4c) 및 상기 음극판(4b)을 상기 멘드릴부(30)에 의해 동시에 상기 스태킹 섹터(10)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1787A KR101440875B1 (ko) | 2012-12-24 | 2012-12-24 |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51787A KR101440875B1 (ko) | 2012-12-24 | 2012-12-24 |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2199A KR20140082199A (ko) | 2014-07-02 |
KR101440875B1 true KR101440875B1 (ko) | 2014-09-17 |
Family
ID=51733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1787A Active KR101440875B1 (ko) | 2012-12-24 | 2012-12-24 |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087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4609B1 (ko) | 2014-11-19 | 2016-06-07 | 주식회사 엠플러스 | 극판 스태킹 효율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
KR20210152346A (ko) | 2020-06-08 | 2021-12-15 | 주식회사 엠플러스 | 극판 스태킹 석션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극판 스태킹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3436Y1 (ko) | 2015-12-31 | 2017-05-16 | 세방전지(주) | 격리판 연속공급장치 |
CN109148933B (zh) * | 2018-08-29 | 2025-03-18 | 广州倬粤动力新能源有限公司 | 用于生产密封抗震蓄电池的设备 |
CN110085902A (zh) * | 2019-05-30 | 2019-08-02 |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 用于电池的叠片装置和电池的叠片方式 |
CN110380129B (zh) * | 2019-07-25 | 2021-01-22 |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 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
KR102264195B1 (ko) * | 2019-08-19 | 2021-06-11 | 유일에너테크(주) | 2차 전지용 전극 생산 시스템 |
CN113991162A (zh) * | 2021-09-13 | 2022-01-28 | 许昌许继电科储能技术有限公司 | 一种电池模组堆叠夹紧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09919A (ja) * | 2007-06-29 | 2009-01-15 | Toray Eng Co Ltd | 2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KR20090030175A (ko) * | 2007-09-19 | 2009-03-24 |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 이차전지용 스택 제조장치 |
JP2010102871A (ja) * | 2008-10-22 | 2010-05-06 | Enax Inc | 連続セパレータ及びシート状電極の積層装置 |
KR101040704B1 (ko) * | 2010-10-20 | 2011-06-10 | 주식회사 테크랜드 | 이차전지용 스택 제작장치 |
-
2012
- 2012-12-24 KR KR1020120151787A patent/KR10144087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09919A (ja) * | 2007-06-29 | 2009-01-15 | Toray Eng Co Ltd | 2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
KR20090030175A (ko) * | 2007-09-19 | 2009-03-24 |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 이차전지용 스택 제조장치 |
JP2010102871A (ja) * | 2008-10-22 | 2010-05-06 | Enax Inc | 連続セパレータ及びシート状電極の積層装置 |
KR101040704B1 (ko) * | 2010-10-20 | 2011-06-10 | 주식회사 테크랜드 | 이차전지용 스택 제작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24609B1 (ko) | 2014-11-19 | 2016-06-07 | 주식회사 엠플러스 | 극판 스태킹 효율성을 향상시킨 이차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
KR20210152346A (ko) | 2020-06-08 | 2021-12-15 | 주식회사 엠플러스 | 극판 스태킹 석션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극판 스태킹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82199A (ko) | 2014-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40875B1 (ko) |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태킹 방법 | |
EP4012815B1 (en) | Integrated apparatus for die cutting and sheet stacking | |
JP6743229B2 (ja) | スプリングファスナーの全自動組立機 | |
KR101959082B1 (ko) | 이차전지의 셀 스택 고속 제조장치 | |
KR101730469B1 (ko) | 이차전지의 고속 셀 스택 제조장치 | |
CN107363362B (zh) | 自动汇流条焊接机 | |
TWI525869B (zh) | 二次電池的製造方法及製造裝置 | |
KR102483517B1 (ko) | 이차 전지용 셀 스택 제조 장치 | |
CN212209528U (zh) | 电池串制备装置及串焊设备 | |
KR101495625B1 (ko) | 이차 전지용 극판 클리닝 장치 | |
KR102589113B1 (ko) | 2장의 극판과 분리막을 고속 적층할 수 있는 스택 테이블 구조 및 적층방법 | |
CN108766914B (zh) | 叠片装置及串焊机 | |
KR20120069901A (ko) | 소형 폴리머 이차전지의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 |
KR102582959B1 (ko) | 태양 전지 스트링의 생산 설비 및 생산 방법 | |
CN210489767U (zh) | 一种模切叠片一体设备 | |
CN116864776B (zh) | 叠片装置及电池生产线 | |
CN205900708U (zh) | 一种新型电池包板机 | |
KR102608771B1 (ko) | 라미네이팅 및 제트 폴딩 스택 시스템 및 라미네이팅 및 제트 폴딩 스택 방법 | |
CN109786852B (zh) | 一种高速叠片机及叠片方法 | |
WO2013115506A1 (ko) | 이차 전지용 극판 스탬핑 장치 | |
CN106025327A (zh) | 一种新型电池包板机 | |
KR20120069902A (ko) | 소형 폴리머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의 전극 적층장치 | |
KR102483520B1 (ko) | 노칭 기능이 구비된 이차 전지용 셀 스택 제조 장치 | |
KR102483523B1 (ko) | 이차 전지용 셀 스택 제조 장치 | |
CN209929424U (zh) | 一种实现正负极片快速叠合的生产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9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9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