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720B1 - 부재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부재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720B1
KR101439720B1 KR1020127026622A KR20127026622A KR101439720B1 KR 101439720 B1 KR101439720 B1 KR 101439720B1 KR 1020127026622 A KR1020127026622 A KR 1020127026622A KR 20127026622 A KR20127026622 A KR 20127026622A KR 101439720 B1 KR101439720 B1 KR 101439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leg
hole
gromme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333A (ko
Inventor
유지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3000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86Bumper fascias and fasten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62Pin, post and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부재 체결구조는,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와,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로 이루어진다.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와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돌기부, 탄성다리편이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가 회전된 경우에, 돌기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를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돌출벽을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부재 체결 구조{MEMBER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재 체결구조 및 부재 체결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부재와 다리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돌기부와, 해당 돌기부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돌출벽을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돌출벽의 구조를 간편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암(雌) 고정구와 수(雄) 고정구 사이에, 서로 접촉하는 캠부를 각각 형성한 고정구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의 4페이지 왼쪽란의 4∼8행, 같은 페이지 왼쪽란 최하 행∼같은 페이지 오른쪽란 3행 및 도 1 참조).
상기한 종래의 암 고정구의 캠부는, 경사진 형상으로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었다(특허문헌 1의 4페이지 왼쪽란의 7행∼8행 및 도 1 참조).
일본 실용신안등록 2512362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암 고정구의 캠부는, 그 환상(環狀) 요단부(凹段部)의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기립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주방향의 전후에 대해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암 고정구의 제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암 고정구를, 예를 들면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하는 경우에는, 금형 구조가 복잡화하기 때문에, 금형의 작도(作圖) 공정수 및 설계 공정수의 증가를 일으키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암 고정구에서는, 금형 구조가 복잡했기 때문에, 금형과 성형상의 불량을 설계자가 알아차리기 어려워, 동일한 형태의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결점도 있었다.
특히 범퍼 리테이너와 같은 차량의 좌우가 대칭인 제품에서도, 상기한 종래의 암 고정구의 캠부를 좌우 비대칭으로 작도하지 않으면 안 되어, 작도 공정수의 증가, 설계 미스, 금형 제조 미스를 일으키고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적어도 돌출벽의 구조를 간편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구조는, 제1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1)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
(2)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
상기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3) 플랜지 형상부
플랜지 형상부는, 두께방향으로 관통구멍을 갖는 것이다.
(4) 탄성다리편
탄성다리편은, 플랜지 형상부의 다른쪽 측에 통 형상으로 줄지어 형성되고, 이 플랜지 형상부의 관통구멍에 연통하는 통 형상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대향하고 있는 내측면에 볼록부(凸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이 형성되어 있다.
(5) 플랜지
(6) 큰지름부와 작은지름부
큰지름부와 작은지름부는, 플랜지로부터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선단측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로,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의 작은지름부(細徑部)로부터 큰지름부(太徑部)의 원주방향으로, 캠부가 융기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3으로,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로의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의 삽입에 의해 탄성다리편의 볼록부가 캠부에 얹혀져, 탄성다리편이 벌어지는 부재 체결구조이다.
제4로,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와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형성하고 있다.
(7) 돌기부
돌기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것이다.
(8) 돌출벽
돌출벽은, 탄성다리편이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가 회전된 경우에, 돌기부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를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로, 돌출벽은,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에 형성되어 있다.
제2로, 돌출벽은, 관통구멍을 중심으로 한 원주방향의 전후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돌출벽을 장착부재에 형성함으로써, 장착부재의 구조, 및 제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장착부재에 형성된 돌출벽을, 관통구멍을 중심으로 한 원주방향의 전후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장착부재의 구조, 및 제조를 한층,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로, 돌기부는,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의 플랜지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2로, 돌출벽은,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의 플랜지 형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돌기부를 다리부재의 플랜지 하측에 형성함으로써, 돌출벽을 장착부재의 플랜지 형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구조는, 다음과 같은 점을 특징으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로, 돌기부(예를 들면 고정해제부)는, 다리부재(예를 들면 핀)의 큰지름부와 작은지름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2로, 돌출벽(예를 들면 제2 볼록부)은, 장착부재(예를 들면 그로밋)의 탄성다리편(예를 들면 제2 탄성다리편)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돌기부를 다리부재의 큰지름부와 작은지름부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돌출벽을 장착부재의 탄성다리편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1 클립에는, 제1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1) 그로밋
(2) 핀
상기 그로밋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3) 플랜지 형상부
(4) 다리부(脚部)
다리부는, 플랜지 형상부로부터 아래로 형성(垂設)한 것이다.
(5) 관통구멍
관통구멍은, 플랜지 형상부로부터 다리부에 관통하는 것이다.
상기 핀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6) 축부(軸部)
축부는,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다리부를 확경(擴徑) 가능한 것이다.
(7) 플랜지
플랜지는, 축부보다 돌출하며, 관통구멍보다 대경의 것이다.
제2로, 다리부와 축부 사이에, 다리부를 확경 가능한 상태로 서로 탄성적으로 끼워 맞춤으로써, 관통구멍 안에서의 축부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홈(凹部)과 볼록부(예를 들면 제2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을 각각에 형성하고 있다.
제3으로, 홈의 원주방향에는, 해당 홈과 볼록부(예를 들면 제2 볼록부)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플랜지가 회전된 경우에, 홈으로부터 빠져나온 볼록부(예를 들면 제2 볼록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함과 아울러, 관통구멍 안에서의 축부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해제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4로, 고정해제부에는, 해당 고정해제부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볼록부(예를 들면 제2 볼록부)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축부가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2 클립에는, 제1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1) 그로밋
(2) 핀
상기 그로밋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3) 플랜지 형상부
(4) 다리부
다리부는, 플랜지 형상부로부터 아래로 형성한 것이다.
(5) 관통구멍
관통구멍은, 플랜지 형상부로부터 다리부에 관통하는 것이다.
상기 핀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6) 축부
축부는, 관통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다리부를 확경 가능한 것이다.
(7) 플랜지
플랜지는, 축부보다 돌출하며, 관통구멍보다 대경의 것이다.
제2로, 다리부와 축부 사이에, 다리부를 확경 가능한 상태로 서로 탄성적으로 끼워 맞춤으로써, 관통구멍 안에서의 축부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홈과 볼록부(예를 들면 제2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을 각각에 형성하고 있다.
제3으로, 홈의 원주방향에는, 해당 홈과 볼록부(예를 들면 제2 볼록부)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플랜지가 회전된 경우에, 홈으로부터 빠져나온 볼록부(예를 들면 제2 볼록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함과 아울러, 관통구멍 안에서의 축부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해제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4로, 플랜지의 주연(周緣)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설치하고 있다.
제5로, 플랜지 형상부에는, 다리부를 확경 가능한 상태로, 탄성체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벽부(壁部)를 형성하고 있다.
제6으로, 다리부를 확경 가능한 상태에서, 플랜지가 회전된 경우에, 탄성체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축부가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부세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장착부재와 다리부재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돌기부와, 해당 돌기부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돌출벽을 형성함으로써, 적어도 돌출벽의 구조를 간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용 제1 클립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구조에 알맞은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핀이 그로밋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플랜지가 회전된 경우에, 고정해제부의 경사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볼록부의 탄성복원력을 이용하여, 핀의 축부를 그로밋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용 제2 클립도, 본 발명에 관계되는 부재 체결구조에 알맞은 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핀이 그로밋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플랜지가 회전된 경우에, 해당 플랜지의 탄성체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핀의 축부를 그로밋의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부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부재 체결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클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클립의 장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클립의 장착 상태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5는 핀의 임시 고정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핀의 임시 고정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그로밋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그로밋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9는 그로밋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그로밋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그로밋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그로밋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그로밋의 반(半)을 단면으로 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그로밋의 반을 단면으로 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핀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7은 핀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핀의 반을 단면으로 한 측면이다.
도 19는 핀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핀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그로밋의 돌출벽과 핀의 돌기부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로밋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로밋의 일부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클립의 장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클립의 장착 상태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핀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클립의 장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핀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동그라미로 둘러싼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28의 X-X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도 29의 Y-Y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부재 체결구조(10))
도 1 중, 10은, 부재 체결구조를 나타내며, 부재 체결구조(10)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자동차 보디인 베이스(20)에, 부품의 일례인 범퍼(도시하지 않음)를, 범퍼 리테이너(도시하지 않음)의 일부를 구성하는 클립(30)을 통해 체결하는 것이다.
베이스(20)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립(3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21)을 형성하고 있다. 장착구멍(21)은, 베이스(20)의 표리면(表裏面)에 관통함과 아울러, 비원형, 예를 들면 사각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장착구멍(21)을, 사각형으로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립(30)이 회전하지 않는 비(非)원형이면 좋다.
한편, 베이스(20)로서, 자동차 보디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용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른 탈 것이나 건물, 가구, 사무기기 등이라도 좋다.
또한, 부품으로서, 범퍼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범퍼 리테이너(도시하지 않음) 및 클립(30)도, 부품의 일부로 생각하고 있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부품의 형태」로서 후술한다.
또, 클립(30)을, 범퍼 리테이너의 일부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범퍼 리테이너와 별개로 구성해도 좋다.
(클립(30))
클립(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게 구별하여 나누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또, 다음의 (1)∼(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그로밋(40)(장착부재)
(2) 핀(50)(다리부재)
(3) 패킹(60)
또, 클립(30)의 구성은, 상기한 (1)∼(3)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로밋(40))
그로밋(40)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 리테이너(도시하지 않음)의 일부를 구성하며,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핀(50)을 삽입함으로써, 베이스(20)에 대해 체결되는 것이며, 장착부재를 구성한다. 범퍼 리테이너는, 그로밋(40)을 통해 베이스(20)에 대해 체결된다. 그로밋(40)은, 적당한 탄성과 강성(剛性)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그로밋(40)을, 범퍼 리테이너의 일부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범퍼 리테이너와 별개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장착부재로서, 그로밋(40)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그로밋(40)에, 도 7∼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各部)를 갖는다.
또,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플랜지 형상부(70)
(2) 다리부(80)
또, 그로밋(40)의 각부(各部)는, 상기한 (1) 및 (2)로 한정되지 않는다.
(핀(50))
핀(50)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에 삽입됨으로써, 그로밋(40)을 베이스(20)에 대해 체결하는 것이며, 다리부재를 구성한다. 핀(50)은, 적당한 탄성과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 다리부재로서, 핀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핀(50)에, 도 15∼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各部)를 갖는다.
또, 다음의 (1) 및 (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축부(90)
(2) 플랜지(100)
또, 그로밋(40)의 각부(各部)는, 상기한 (1) 및 (2)로 한정되지 않는다.
(패킹(60))
패킹(6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와 그로밋(40)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패킹(60)은, 탄성이 풍부한 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예를 들면 사각형의 판(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킹(60)의 중앙에는, 표리면에 관통하며, 후술하는 그로밋(40)의 다리부(80)의 외형(外形)에 적합한 사각형의 중심구멍(61)을 형성하고 있다.
(플랜지 형상부(70))
플랜지 형상부(7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 리테이너(도시하지 않음)의 일부를 구성함과 아울러, 베이스(20)에 접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 형상부(70)는, 평면이 타원형으로 된 원반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형을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 내경(內徑)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또, 플랜지 형상부(70)를, 범퍼 리테이너의 일부로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범퍼 리테이너와 별개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플랜지 형상부(70)를, 베이스(20)에 직접적으로 접촉시켰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범퍼 리테이너와 별개로 구성한 경우에는, 범퍼 리테이너를 통해 베이스(20)에 간접적으로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플랜지 형상부(70)에는, 도 7∼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各部)를 갖는다.
또, 다음의 (1)∼(3)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 관통구멍(71)
(2) 벽부(72)
(3) 돌출벽(73)
또, 플랜지 형상부(70)의 각부(各部)는, 상기한 (1)∼(3)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구멍(71))
관통구멍(71)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50)의 축부(90)가 삽입통과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구멍(71)은, 플랜지 형상부(70)의 중앙에 원형으로 형성되며, 표리면, 즉 도 1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벽부(72))
벽부(72)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50)의 삽입방향을 향해 뻗은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벽부(72)는, 관통구멍(71)을 중심으로 하여, 빙 돌아 있는 큰 환상(環狀)의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다. 벽부(72)는, 경사면(74)을 관통구멍(71)의 중심으로 향하게 한 단면(斷面)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74)은, 벽부(72)의 내벽, 더 구체적으로는 내측 측면에 위치하며, 관통구멍(71) 방향을 향해 내리 경사져 있다. 또한, 벽부(72)의 상면인 꼭대기면(頂面)(75)은, 벽부(72)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경사면(74)과의 사이의 모서리부(角部)에는 접속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벽(73))
돌출벽(73)은, 도 2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71)과 벽부(72) 사이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핀(50)을 회전시켰을 때에, 그 플랜지(100)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부(103)에 접촉하여, 핀(50)의 축부(90)가 관통구멍(71)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벽(73)은,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며, 플랜지 형상부(70)의 원주방향 전후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관통구멍(71)을 중심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각(各) 돌출벽(73)은, 평면이 「화살촉」 혹은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 「화살촉」 혹은 「화살표」의 선단부의 삼각형으로 뾰족한 끝을 관통구멍(71)으로 향하게 하고 있다. 돌출벽(73)의 삼각형 선단부의 양측에는, 원주방향의 전후에 위치하며, 테이퍼(先細) 형상으로 경사진 경사면(77, 77)을 형성하고 있다.
돌출벽(73)은, 후술하는 핀(50)의 플랜지(100)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103)에 접촉하는 것이다. 즉, 핀(50)의 축부(90)를 그로밋(40)의 관통구멍(71)에 깊이 삽입하면, 플랜지(100)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103)가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핀(50)을 회전하면, 그 돌기부(103)와,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73)이 접촉한다. 핀(50)을 더 회전시키면, 그 돌기부(103)의 후술하는 경사면(104)과, 돌출벽(73)의 양측 경사면(77, 77) 중 어느 한쪽의 경사면(77)과의 접촉에 의해,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핀(50)의 플랜지(100)가 부상(浮上)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다리부(80))
다리부(80)는, 도 3,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71)의 주위로부터 아래로 뻗음(垂下)과 아울러, 핀(50)의 삽입에 의해, 베이스(20)에 형성된 장착구멍(21)의 구멍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복수, 예를 들면 합계 4개의 제1, 제2 탄성다리편(110, 120)을 갖는 것이다. 다리부(80)는, 도 8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계 4개의 제1, 제2 탄성다리편(110, 120)을 각통(角筒) 모양으로 배치해서 형성하며, 해당 통 내부는 관통구멍(71)에 연통해 있다.
또, 탄성다리편(110, 120)을, 합계 4개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한 쌍 있으면 좋다.
또한, 합계 4개의 제1, 제2 탄성다리편(110, 120)으로 구성되는 다리부(80)의 외형은,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의 내형(內形)에 거의 일치시키고 있다.
합계 4개의 제1, 제2 탄성다리편(110, 120) 중, 2개의 제1 탄성다리편(110)은, 도 8,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떨어져서 서로 대향하며, 서로 대향한 내측면에는, 상하로 뻗는 리브 형상의 제1 볼록부(111)를 형성하고 있다.
제1 탄성다리편(11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구멍(71)을 통해 후술하는 핀(50)의 축부(90)가 삽입됨에 따라, 축부(90)의 외주에 의해 리브 형상의 제1 볼록부(111)가 밀림으로써, 서로 간격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진다. 이 때문에, 그로밋(40)은, 플랜지 형상부(70)의 하면과 벌어진 한 쌍의 제1 탄성다리편(110) 사이에서, 베이스(20)를 표리면으로부터 협지(挾持)함으로써,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에 고정된다. 즉, 그로밋(40)이, 범퍼 리테이너(도시하지 않음)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범퍼 리테이너가 베이스(20)에 대해 고정된다.
한편, 합계 4개의 제1, 제2 탄성다리편(110, 120) 중, 2개의 제2 탄성다리편(120)은, 도 8, 도 12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떨어져서 서로 대향하며, 선단부의 서로 대향한 내측면에는, 단면(斷面) L자 모양으로 굴곡한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를 형성하고 있다.
제2 탄성다리편(12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구멍(71)을 통해 후술하는 핀(50)의 축부(90)가 삽입됨에 따라, 그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축부(90)의 후술하는 홈(94)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핀(50)의 축부(90)의 삽입방향의 이동을 저지한다.
(축부(90))
축부(90)는, 도 15∼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플랜지(100)로부터 아래로 뻗은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100)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뻗고, 전체가 대략 사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선단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뾰족해 있다.
축부(90)에는, 도 15∼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各部)를 갖는다.
축부(90)의 각부(各部)는, 다음의 (1)∼(6)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1) 큰지름부(91)
큰지름부(91)는, 도 15∼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90)의 길이 도중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지름으로 설정되어 있다.
큰지름부(9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71)을 통해 다리부(80)의 중공 내부에 핀(50)의 축부(90)가 삽입되었을 때에, 제1 탄성다리편(110)의 간격 사이에 끼어듦으로써, 제1 탄성다리편(110)을 벌어지게 한다.
(2) 작은지름부(92)
작은지름부(92)는, 도 15∼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90)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큰지름부(91)와 비교하여 작은 지름으로 설정되어 있다.
작은지름부(92)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탄성다리편(110)의 간격 사이에 끼어든 위치에서는, 제1 탄성다리편(110)은 벌어지지 않는다.
(3) 캠부(93)
캠부(93)는, 도 15∼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지름부(91)와 작은지름부(92) 사이에 위치하며, 작은지름부(92)로부터 큰지름부(91)를 향해 서서히 굵어지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은지름부(92)가 제1 탄성다리편(110)의 간격 사이에 끼어든 위치로부터, 축부(90)를 관통구멍(71) 안으로 밀어넣으면, 제1 탄성다리편(110)의 리브 형상의 제1 볼록부(111)가 캠부(93)에 접촉한다. 축부(90)가 더 밀어 넣어지면, 캠부(93)가 큰지름부(91)를 향해 서서히 굵어지고 있기 때문에, 제1 탄성다리편(110)의 리브 형상의 제1 볼록부(111)가 캠부(93)의 외주에 밀려, 제1 탄성다리편(110)이 점차 확경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지름부(91)에 이른다.
(4) 홈(94)
홈(94)은, 도 15∼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지름부(91)에 형성되며, 오목 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홈(94)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탄성다리편(120)의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그로밋(40)에 대해 핀(50)의 축부(90)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한다.
(5) 빠짐방지부(95)
빠짐방지부(95)는, 도 15∼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은지름부(92)에 인접하여, 축부(90)의 선단부에 위치하며, 작은지름부(92)보다 굵고, 테이퍼 형상으로 우산 모양 혹은 원추 모양으로 돌출해 있다.
빠짐방지부(95)는, 관통구멍(71)을 통해 다리부(80)의 중공 내부에 핀(50)의 축부(90)가 삽입되었을 때에, 제1 탄성다리편(110)의 리브 형상의 제1 볼록부(111)에 접촉하며, 제1 탄성다리편(110)을 밀어서 열리도록 하여, 제1 볼록부(111)의 간격 사이를 통과한다. 제1 볼록부(111)의 간격 사이를 빠짐방지부(95)가 통과하면, 제1 탄성다리편(110)은 수지(樹脂)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함으로써, 축부(90)의 빠짐을 저지한다.
동시에, 빠짐방지부(95)는, 제2 탄성다리편(120)의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에 접촉하며, 제2 탄성다리편(120)을 밀어서 열리도록 하여, 제2 볼록부(121)의 간격 사이를 통과한다. 제2 볼록부(121)의 간격 사이를 빠짐방지부(95)가 통과하면, 제2 탄성다리편(120)은 수지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함으로써, 축부(90)의 빠짐을 저지한다.
(6) 가이드 리브(96)
가이드 리브(96)는, 도 15∼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9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합계 4개가 뻗으며, 축부(90)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리브(96)는, 관통구멍(71)을 통해 다리부(80)의 중공 내부에 핀(50)의 축부(90)가 삽입되었을 때에, 인접하는 제1 탄성다리편(110)과 제2 탄성다리편(120) 사이의 간격 사이에 끼워 넣어져, 다리부(80)의 중공 내부 내에서의 핀(50)의 축부(90)가 부주의하게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플랜지(100))
플랜지(100)는, 축부(90)의 상단부로부터 원반 형상으로 돌출하며, 그 외경을 관통구멍(71)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100)에, 도 15∼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各部)를 갖는다.
플랜지(100)의 각부(各部)는, 다음의 (1)∼(3)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1) 탄성체(101)
탄성체(101)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100)의 외주로부터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뻗은 두께가 얇은 형상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체(101)는, 플랜지(100)의 하측으로부터 환상(環狀)으로 뻗어 있다. 탄성체(101)는, 플랜지(100)의 두께를, 예를 들면 2㎜로 했을 경우에, 그의 1/8인 0.25㎜로 설정되어 있다.
탄성체(101)는,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73)에 접촉하는 것이다. 즉, 핀(50)의 축부(90)를 그로밋(40)의 관통구멍(71)에 삽입하면, 탄성체(101)의 하면이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벽부(72)의 상면인 꼭대기면(75)에 접촉한다. 축부(90)를 더 깊이 삽입하면, 탄성체(101)의 하면이, 꼭대기면(75)과, 벽부(72)의 내측 측면에 위치하는 경사면(74) 사이의 뿔 형상의 접속부(76)에 밀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대로 휜 상태가 된다. 이 탄성체(101)가 반대로 휜 상태의 위치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제2 탄성다리편(120)의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핀(50)의 축부(90)의 홈(94)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그로밋(40)에 대해, 핀(50)의 축부(90)의 축방향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탄성체(101)가 반대로 휜 상태로, 뿔 형상의 접속부(76)에 압접(壓接)한 상태를 유지한다.
(2) 지그(治具) 결합부(102)
지그 결합부(102)는, 도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플러스) 드라이버 등의 지그와 결합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플러스) 홈을 형성하고 있다.
또, 지그로서, 드라이버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 지그 결합부(102)도 +홈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3) 돌기부(103)
돌기부(103)는, 도 15, 도 17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축부(90)의 외주(外周)로부터 그 반경방향 밖을 향해 돌출하며,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104)을 갖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돌기부(103)는, 삼각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경사면(104)을 축부(90)의 외주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있다. 돌기부(103)는, 축부(90)의 직경방향으로 한 쌍 형성하고 있다.
또, 돌기부(103)를, 한 쌍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單數) 혹은 3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또한, 경사면(104)을, 플랜지(100)의 원주방향의 한쪽 측에 1개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하지 않지만, 경사면을 플랜지(100)의 원주방향의 양측에 2개 형성하고, 돌기부(103)를 플랜지(100)의 원주방향의 전후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돌기부를 원주방향의 전후에 대해 대칭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핀(50)의 제조를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핀(50)의 회전방법의 방향성을 없앰으로써,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돌기부(103)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73)에 접촉하는 것이다. 즉, 핀(50)의 축부(90)를 그로밋(40)의 관통구멍(71)에 깊이 삽입하면, 플랜지(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103)가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핀(50)을 회전하면, 그 돌기부(103)와,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73)이 접촉한다. 핀(50)을 더 회전하면, 그 돌기부(103)의 경사면(104)과, 돌출벽(73)의 양측 경사면(77, 77) 중 어느 한쪽 경사면(77)의 접촉에 의해,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핀(50)의 플랜지(100)가 부상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클립(30)의 장착방법)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을 갖는 그로밋(40)과 핀(50)으로 이루어지는 클립(30)의 장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그로밋(40)에 대해, 핀(50)과 패킹(60)을 미리 조립해 둔다.
또, 그로밋(40)을, 베이스(20)에 장착할 때에, 핀(50)과 패킹(60)을 장착해도 좋다.
우선, 그로밋(40)의 다리부(80)를, 패킹(60)의 중심구멍(61)에 맞춰 삽입하고, 패킹(60)을 플랜지 형상부(70)의 하면의 하측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핀(50)의 축부(90)를,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관통구멍(71)에 맞춰 삽입한다.
핀(50)의 축부(90)를 삽입하면, 관통구멍(71)을 통해 다리부(80)의 중공 내부에 핀(50)의 축부(90)가 삽입된다. 그 후, 축부(90)의 선단부의 빠짐방지부(95)가, 제1 탄성다리편(110)의 제1 볼록부(111)와, 제2 탄성다리편(120)의 제2 볼록부(121)에 접촉하며, 제1 탄성다리편(110)과 제2 볼록부(121)를 밀어 열리도록 하여, 제1 볼록부(111)의 간격 사이와, 제2 볼록부(121)의 간격 사이를 통과해, 제1 볼록부(111)와 제2 볼록부(121)가, 축부(90)의 작은지름부(92)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축부(90)는, 다리부(80)의 중공 내부로부터 빠지지 않게 되고, 핀(50)이 그로밋(40)에 대해 임시 고정된다.
다음으로, 그로밋(40)의 다리부(80)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에 맞춰 삽입한다.
그로밋(40)의 다리부(80)를 삽입하면, 그 플랜지 형상부(70)의 하면이, 패킹(60)을 통해 베이스(20)의 표면에 접촉한다.
그 후, 핀(50)의 플랜지(100)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에 대해 밀어 넣는다.
핀(50)을 밀기 시작하면, 그 축부(90)가 다리부(80)의 중공 내부를 진행하여, 큰지름부(91)에 의해 그로밋(40)의 제1 탄성다리편(110)을 밀어 열리게 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다리부(80)의 외경이 벌어진다. 이 때문에, 그로밋(40)은, 플랜지 형상부(70)의 하면과 벌어진 한 쌍의 제1 탄성다리편(110) 사이에서, 베이스(20)를 표리면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에 고정된다. 즉, 그로밋(40)이, 범퍼 리테이너(도시하지 않음)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범퍼 리테이너가 베이스(20)에 대해 고정된다.
동시에, 핀(50)의 홈(94) 내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제2 탄성다리편(120)의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핀(50)의 축부(90)의 삽입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한편, 핀(50)의 탄성체(101)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73)에 접촉한다. 즉, 핀(50)의 축부(90)를 그로밋(40)의 관통구멍(71)에 삽입하면, 탄성체(101)의 하면이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벽부(72)의 상면인 꼭대기면(75)에 접촉한다. 축부(90)를 더 깊이 삽입하면, 탄성체(101)의 하면이, 꼭대기면(75)과, 벽부(72)의 내측 측면에 위치하는 경사면(74) 사이의 뿔 형상의 접속부(76)에 밀려, 반대로 휜 상태가 된다. 이 탄성체(101)가 반대로 휜 상태인 위치에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제2 탄성다리편(120)의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핀(50)의 축부(90)의 홈(94)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그로밋(40)에 대해, 핀(50)의 축부(90)의 축방향 이동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탄성체(101)가 반대로 휜 상태로, 뿔 형상의 접속부(76)에 압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클립(30)의 분리방법)
한편, 장착한 클립(30)의 분리방법으로 대해, 설명한다.
핀(50)의 +(플러스) 홈인 지그 결합부(102)에, 도시하지 않지만, 「+」(플러스) 드라이버 등의 지그를 결합시켜, 핀(50)의 플랜지(100)를 일 방향, 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핀(50)의 플랜지(100)를 회전시키면, 플랜지(1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부(103)가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73)에 접촉한다.
핀(50)의 플랜지(100)를 더 회전시키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돌기부(103)의 경사면(104)과, 돌출벽(73)의 양측 경사면(77, 77) 중 어느 한쪽 경사면(77)의 접촉에 의해,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핀(50)의 플랜지(100)가 부상하는 방향으로 안내된다.
핀(50)의 플랜지(100)가 상승하면, 그 축부(90)가 다리부(80)의 중공 내부를 빠져나오는 방향, 즉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축부(90)의 홈(94)에 끼워 넣어져 있던 그로밋(40)의 제2 탄성다리편(120)의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결합해제한다. 이 때문에, 그로밋(40)의 제1 탄성다리편(110)이, 축부(90)의 큰지름부(91)로부터 작은지름부(92)로 이동함으로써, 그로밋(40)의 다리부(80)의 외경이 축경(縮徑)한다.
이 때문에, 그로밋(40)의 다리부(80)를, 베이스(20)의 장착구멍(21)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또, 이때, 핀(50)은, 그로밋(40)에 대해 임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200)을,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타원으로 형성한 점이다.
타원 돌출벽(200)은, 플랜지 형상부(70)의 원주방향의 전후에 대해 대칭 형상이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앞서 도 1∼2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210)을,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점이다.
직사각형 돌출벽(210)은, 플랜지 형상부(70)의 원주방향의 전후에 대해 대칭 형상이 된다.
또, 앞서 도 1∼2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벽(73)을, 평면에서 「화살촉」 혹은 「화살표」 모양으로 형성하고, 도 23을 이용하여 설명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벽(200)을 평면에서 타원으로 형성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벽(210)을 평면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했지만, 돌출벽(73, 200, 210)은, 플랜지 형상부(70)의 원주방향의 전후에 대해 대칭 형상이면 좋아, 이들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5 및 도 2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도 25 및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벽부(400)를, 앞서 도 1∼2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벽부(72)처럼 리브 형상이 아니라, 단차(段差) 형상으로 형성한 점이다.
즉, 벽부(400)는, 플랜지 형상부(70) 상면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경사가 위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401)과, 벽부(400)의 상면인 꼭대기면(402)과, 경사면(401)과 꼭대기면(402) 사이의 모서리부에 위치하는 접속부(403)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27∼3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제1로, 앞서 도 1∼22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핀(50)(다리부재)의 「돌기부(103)」 및 「경사면(104)」을 생략하고, 이 대신에, 도 27 및 도 29∼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50)(다리부재)의 홈(94)의 원주방향으로, 「고정해제부(500)」를 형성하여, 해당 고정해제부(500)를 「돌기부」로 한 점에 있다.
제2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형태의 그로밋(40)(장착부재)의 「돌출벽(73)」 및 「경사면(77)」을 생략하고, 이 대신에, 도 27∼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장착부재)의 제2 탄성다리편(120)의 「제2 볼록부(121)」를 「돌출벽」으로서 병용(倂用)한 점에 있다.
고정해제부(500)는,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50)의 축부(90)의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복수개, 예를 들면 90도 간격으로 합계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해제부(500)는, 도 27,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90)의 큰지름부(91)와 작은지름부(92) 사이에 위치하며, 축부(90)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다.
고정해제부(500)의 외측면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은지름부(92) 방향을 향해 축경, 즉 내리 경사진 경사면(501)을 형성하고 있다.
또, 고정해제부(500)를, 4개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수, 혹은 2개, 3개, 5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클립(30)의 장착방법)
우선, 상기한 구성을 갖는 그로밋(40)과 핀(50)으로 이루어지는 클립(30)의 장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핀(50)의 축부(90)를 그로밋(40)의 관통구멍(71)에 삽입하면, 해당 축부(90)의 홈(94)에, 도 29 및 도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탄성다리편(120)의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끼워 넣어짐으로써 고정되어, 핀(50)의 축부(90)의 삽입방향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때, 핀(50)의 탄성체(101)의 하면이,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플랜지 형상부(7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벽(72)에 밀려, 반대로 휜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제1 실시형태의 앞서 설명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로밋(40)의 제1 탄성다리편(110)이 벌어짐으로써, 베이스(20)에 대해 고정된다.
(클립(30)의 분리방법)
다음으로, 장착한 클립(30)의 분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핀(50)의 플랜지(100)를 45도 회전시키면, 축부(90)의 홈(94)에 끼워 넣어져 있던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도 29, 도 30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94)으로부터 고정해제부(500)로 이동하여, 해당 고정해제부(500)에 얹힌다.
이때,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대로 휜 상태의 탄성체(101)의 반력(反力)(Fx)에 의해, 핀(50)을 부상(浮上)시키는 제1 힘(F1)이 발생하여,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문에, 핀(50)의 축부(90)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해져, 축부(90)가 다리부(80)의 중공 내부를 빠져나가는 방향, 즉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새발톱 형상의 제2볼록부(121)가, 축부(90)의 작은지름부(92)를 향해 이동하여, 홈(94)으로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동시에, 새발톱 형상의 제2 볼록부(121)가 고정해제부(500)에 얹히면,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고정해제부(500)의 경사면(501)에 접촉한다.
이때,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501)에 대해, 반력(Fy)에 의해, 핀(50)을 부상시키는 제2 힘(F2)이 발생하여,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면(501)의 경사 각도를 완만하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제2 힘(F2) 단독으로는,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없고, 제1 힘(F1)과의 합성력(F1+F2)에 의해 고정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또, 경사면(501)의 경사 각도를 가파른 구배(句配)로 함으로써, 제2 힘(F2) 단독으로,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2010년 4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0-102506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도입하는 것이다.

Claims (6)

  1. 두께방향으로 관통구멍을 갖는 플랜지 형상부, 및
    상기 플랜지 형상부의 다른쪽 측에 통(筒) 형상으로 줄지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 형상부의 관통구멍에 연통하는 통 형상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대향하고 있는 내측 면에 볼록부(凸部)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다리편(彈性脚片)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부재와;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로부터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선단측을 향해 큰지름부(太徑部)와 작은지름부(細徑部)가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다리부재(脚部材);
    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재의 작은지름부로부터 큰지름부의 원주방향으로 캠부가 융기하여 형성(隆設)되고,
    상기 장착부재에의 다리부재의 삽입에 의해, 탄성다리편의 볼록부가 캠부에 얹혀 탄성다리편이 벌어지는 부재 체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에는, 상기 플랜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함과 아울러,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삼각기둥 모양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재에는, 상기 플랜지 형상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함과 아울러, 양측에 경사면을 갖는 삼각형 선단부가 상기 관통구멍을 향하도록 한 돌출벽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플랜지 형상부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다리부재의 축부를 상기 장착부재의 관통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탄성다리편이 벌어지게 한 상태에서, 상기 다리부재를 임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돌기부의 경사면이 상기 돌출벽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부재의 플랜지가 상기 장착부재의 플랜지 형상부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하여 상기 다리부재가 장착부재로부터 이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체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축부 사이에,
    상기 장착부재의 탄성다리편을 확경 가능한 상태로 서로 탄성적으로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관통구멍 안에서의 상기 축부의 축방향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홈(凹部)과 볼록부 중 어느 한쪽을 각각에 형성하고,
    상기 홈의 원주방향에는,
    해당 홈과 볼록부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가 회전된 경우에, 상기 관통구멍 안에서의 상기 축부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는 고정해제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의 주연(周緣)에는, 탄성을 갖는 탄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플랜지 형상부에는, 상기 탄성다리편을 확경 가능한 상태로, 상기 탄성체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벽부(壁部)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다리편을 확경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가 회전된 경우에, 상기 탄성체에 축적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축부가 상기 관통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으로 부세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체결 구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7026622A 2010-04-27 2011-04-20 부재 체결 구조 KR101439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2506 2010-04-27
JP2010102506A JP5379068B2 (ja) 2010-04-27 2010-04-27 部材締結構造
PCT/JP2011/059734 WO2011136105A1 (ja) 2010-04-27 2011-04-20 部材締結構造及び部材締結用の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333A KR20130004333A (ko) 2013-01-09
KR101439720B1 true KR101439720B1 (ko) 2014-09-12

Family

ID=4486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622A KR101439720B1 (ko) 2010-04-27 2011-04-20 부재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26244B2 (ko)
EP (1) EP2565471B1 (ko)
JP (1) JP5379068B2 (ko)
KR (1) KR101439720B1 (ko)
CN (1) CN102869891B (ko)
BR (1) BR112012027652B1 (ko)
PL (1) PL2565471T3 (ko)
WO (1) WO20111361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993B1 (ko) * 2019-05-02 2019-09-19 최광수 초음파 접합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12684B2 (en) 2010-11-09 2017-11-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Using elastic averaging for alignment of battery stack, fuel cell stack, or other vehicle assembly
US9618026B2 (en) 2012-08-06 2017-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mi-circular alignment features of an elastic averaging alignment system
US9463538B2 (en) 2012-08-13 2016-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DE102012016362B4 (de) * 2012-08-17 2018-09-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festigungsclip
US9556890B2 (en) 2013-01-31 2017-01-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alignment assembly for aligning mated components and method of reducing positional variation
US9388838B2 (en) * 2013-04-04 2016-07-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retaining assembly for matable components and method of assembling
US9278642B2 (en) 2013-04-04 2016-03-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flange locator arrangement and method of reducing positional variation
US9447840B2 (en) 2013-06-11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energy management assembly and method of managing energy absorption
US9488205B2 (en) 2013-07-12 2016-11-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rrangement for mated components and method
US9303667B2 (en) 2013-07-18 2016-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bular elastic tube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four-way alignment of components
US9458876B2 (en) 2013-08-28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alignment fastener and system
US9463831B2 (en) 2013-09-09 2016-10-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tube alignment and fastening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fastening of components
US9457845B2 (en) 2013-10-02 2016-10-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obular elastic tube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of components
US9511802B2 (en) 2013-10-03 2016-12-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669774B2 (en) 2013-10-11 2017-06-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configurable vehicle interior assembly
US9481317B2 (en) 2013-11-15 2016-11-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clip and method
DE112014001775B4 (de) * 2013-12-02 2021-07-01 Aesculap Ag Sicherheitsplombe für medizintechnischen Sterilcontainer
US9428123B2 (en) 2013-12-12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a flexible assembly
US9447806B2 (en) 2013-12-12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lf-retaining alignment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alignment and retention of components
US9446722B2 (en) 2013-12-19 2016-09-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 averaging alignment member
US9599279B2 (en) 2013-12-19 2017-03-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deformable module installation assembly
US9541113B2 (en) 2014-01-09 2017-01-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428046B2 (en) 2014-04-02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lignment and retention system for laterally slideably engageable mating components
FR3020099B1 (fr) * 2014-04-16 2017-08-18 Illinois Tool Works Agrafe de fixation d'un panneau sur un support,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equipement automobile
US9657807B2 (en) 2014-04-23 2017-05-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elastically averaging assembly of components
JP5717221B1 (ja) * 2014-05-14 2015-05-13 株式会社アイ・ディ・エス 連結具
US9429176B2 (en) 2014-06-30 2016-08-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US9528540B2 (en) * 2014-08-12 2016-12-27 Newfrey Llc Insertion-locking pin and grommet and related methods
BR112017003250B1 (pt) 2014-08-27 2022-09-13 Robert Bosch Gmbh Montagem de cobertura de ventoinha e método para instalar uma proteção em uma cobertura de ventoinha de uma montagem de ventoinha
US9758110B2 (en) 2015-01-12 2017-09-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upling system
US10107319B2 (en) 2015-03-02 2018-10-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astically averaged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JP6446741B2 (ja) * 2015-03-10 2019-01-09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留め具及び締結構造
JP6552376B2 (ja) * 2015-10-16 2019-07-31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用側柵の固定部材
US10215213B2 (en) 2016-10-04 2019-02-26 Liberty Hardware Mfg. Corp. Quick-disconnect fastening system
DE102017010602A1 (de) * 2017-11-16 2019-05-16 A. Raymond Et Cie Befestiger
US10900513B2 (en) 2019-04-02 2021-01-26 Newfrey Llc Re-usable one-push pin and grommet fastener
CN110240224A (zh) * 2019-07-15 2019-09-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发光件的安装结构及发光装置
CN113497370B (zh) * 2021-09-06 2021-11-19 常州协和光电器件有限公司 一种固定良好的线路板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048Y2 (ko) * 1982-12-13 1989-02-08
JP2002339930A (ja) * 2001-05-17 2002-11-27 Nifco Inc クリップ
JP2009041673A (ja) * 2007-08-09 2009-02-26 Nifco Inc クリップ及び支持部材
JP2010007687A (ja) 2008-06-24 2010-01-14 Nifco Inc 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4930A (en) * 1981-12-14 1987-06-23 Hartwell Corporation Stand-off fastener
JPH0645048Y2 (ja) * 1988-05-13 1994-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リベット
JP2512362Y2 (ja) 1990-09-06 1996-10-02 株式会社ニフコ 留め具
JP2578069Y2 (ja) * 1991-03-11 1998-08-06 株式会社 ニフコ グロメット
JP3251775B2 (ja) * 1994-06-15 2002-01-28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
JP3297972B2 (ja) * 1995-04-17 2002-07-0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固定クリップ
CN2285846Y (zh) * 1995-12-10 1998-07-08 许越男 膨胀钉
US6182482B1 (en) * 1997-11-18 2001-02-06 Aegis Research Tamper proof lock assembly and key
FR2882797B1 (fr) * 2005-03-02 2007-05-25 Itw De France Soc Par Actions Attache adaptee a etre fixee dans une cavite de contour predetermine
JP5319586B2 (ja) * 2010-03-24 2013-10-16 株式会社ニフコ 部品の締結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048Y2 (ko) * 1982-12-13 1989-02-08
JP2002339930A (ja) * 2001-05-17 2002-11-27 Nifco Inc クリップ
JP2009041673A (ja) * 2007-08-09 2009-02-26 Nifco Inc クリップ及び支持部材
JP2010007687A (ja) 2008-06-24 2010-01-14 Nifco Inc 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2993B1 (ko) * 2019-05-02 2019-09-19 최광수 초음파 접합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5471A1 (en) 2013-03-06
US8926244B2 (en) 2015-01-06
EP2565471A4 (en) 2016-03-30
EP2565471B1 (en) 2018-07-11
BR112012027652B1 (pt) 2019-08-06
JP2011231850A (ja) 2011-11-17
KR20130004333A (ko) 2013-01-09
CN102869891A (zh) 2013-01-09
CN102869891B (zh) 2014-12-03
WO2011136105A1 (ja) 2011-11-03
PL2565471T3 (pl) 2018-12-31
BR112012027652A2 (pt) 2016-08-16
JP5379068B2 (ja) 2013-12-25
US20130091669A1 (en) 201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720B1 (ko) 부재 체결 구조
JP5243749B2 (ja) クリップ及び支持部材
US9103363B2 (en) Two-piece clip assembly
US8393058B2 (en) Clip
US8591160B2 (en) Clip
EP2600013B1 (en) Grommet
KR101455497B1 (ko) 클립
WO2010041435A1 (ja) ホールプラグ
US20050249549A1 (en) Joint structure between members
US7740432B2 (en) Article installation device
JP6446741B2 (ja) 留め具及び締結構造
KR101144425B1 (ko) 체결구
CN108291567B (zh) 卡扣
US8757951B2 (en) Clip
WO2011118645A1 (ja) 部品の締結構造及びこれに用いるクリップ
US11649912B2 (en) Pipe connector
JP2006234035A (ja) 嵌合構造
CN113431826B (zh) 车辆的地板地毯安装用卡夹
JP2007170458A (ja) 2段係止クリップ
JP2005249073A (ja) クリップ
JP6281112B2 (ja) 固定具
JP2004270794A (ja) クリップ
JP2006057702A (ja) 防振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