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643B1 -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643B1
KR101439643B1 KR1020120129393A KR20120129393A KR101439643B1 KR 101439643 B1 KR101439643 B1 KR 101439643B1 KR 1020120129393 A KR1020120129393 A KR 1020120129393A KR 20120129393 A KR20120129393 A KR 20120129393A KR 101439643 B1 KR101439643 B1 KR 10143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forming rolls
row
roll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994A (ko
Inventor
차재욱
김산동
Original Assignee
차재욱
김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재욱, 김산동 filed Critical 차재욱
Priority to KR1020120129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64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1Control or correction devices in association with moving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포머 및 롤포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롤 포머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진입 대상 제1 시트의 규격을 획득하는 제품 규격 획득 제1 단계; 상기 입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1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입측 간격조절 제1 단계; 상기 제1 시트가 전단의 입측 포밍롤들로부터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측으로 포밍 및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시트를 롤포머로 진입시키는 시트 진입 제1 단계; 및 상기 출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1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출측 간격조절 제1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혼류 및 동류 시트 가공시와 혼류에서 동류 또는 동류에서 혼류 시트 가공으로의 전환 시에 시트의 두께에 따른 간격조절 타이밍과, 시트의 진입 타이밍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작업 또는 작업 전환 시에 작업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roll form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롤포머 및 롤포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혼류 및 동류 시트의 가공 그리고 혼류 및 동류 시트 가공 작업간의 전환을 효율적으로 수행가능한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 제품의 경우 자동 시트(sheet)가공 공정을 통하여 외부 하우징을 가공함으로써 대량 생산의 길을 모색하고 있다.
예를들어 냉장고 본체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과 내부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내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상과 내상사이는 단열재로 채워지게 된다. 외상은 냉장고의 후면을 제외한 면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냉장고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판이 결합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후 캐비닛 후면의 테두리와 후면판의 단부를 따라 각각 결합홈과 삽입부가 밴딩구조 등을 형성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캐비닛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로서 롤포머를 예로 들 수 있다. 롤포머는 가공 각도를 달리하는 일련의 롤 쌍들을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가공 대상인 시트의 측면부가 점차적으로 요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가공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롤포머는 제조하고자 하는 냉장고 등의 폭에 따라 롤 쌍들이 이격되도록 배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어느 한 냉장고에 사용되는 시트를 가공하고 난 이후 폭 규격이 다른 냉장고에 사용될 시트를 가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롤포머에 구비되는 롤 쌍들의 간격을 재배치하거나 다른 규격의 롤포머를 이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른다.
즉, 폭이 다른 시트를 가공하는 혼류 생산의 경우 하나의 시트를 설비를 이용하여 가공하고 해당 시트를 설비 외부로 배출한 후 타 규격의 시트를 수용하도록 설비를 고정하여야 하므로 시간적, 경제적으로 큰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규격을 달리하는 시트들을 가공하는 혼류 가공 시 하나의 시트 가공 설비 내에서 연속적으로 규격이 다른 시트들을 가공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규격이 다른 시트들과 동일한 시트들에 대한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혼류 및 동류 시트 가공시와 혼류에서 동류 또는 동류에서 혼류 시트 가공으로의 전환 시에 시트의 두께에 따른 간격조절 타이밍과, 시트의 진입 타이밍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 포머는 대응하는 쌍으로 구비되고, 이동 작업 경로 상을 따라 2열로 배열되는 복수의 포밍롤들;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입측 포밍롤들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나머지 출측 포밍롤들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열의 입측 포밍롤들과 제2열의 포밍롤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지지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폭조절수단; 상기 제1열의 출측 포밍롤들과 제2열의 포밍롤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폭조절수단;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입측 포밍롤들과,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입측 포밍롤들과 대응하는 제2열의 입측 포밍롤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출측 포밍롤들과,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출측 포밍롤들과 대응하는 제2열의 출측 포밍롤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입측 포밍롤들 중 제1 열 및 제2 열의 간격의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폭조절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출측 포밍롤들 중 제1 열 및 제2 열의 간격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폭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하는 제1 로킹부 및 제2 로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로킹부 및 제2 로킹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동일한 폭을 갖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호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로킹부 몸체 및 제2 로킹부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킹부 및 제2 로킹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를 관통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를 관통하거나,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로킹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킹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2열의 포밍롤들과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로킹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킹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로킹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일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축을 결합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일치시킨 후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상기 축결합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측 포밍롤측으로부터 진입하는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 상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측 포밍롤측으로부터 진입하는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롤 포머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진입 대상 제1 시트의 규격을 획득하는 제품 규격 획득 제1 단계; 상기 입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1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입측 간격조절 제1 단계; 상기 제1 시트가 전단의 입측 포밍롤들로부터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측으로 포밍 및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시트를 롤포머로 진입시키는 시트 진입 제1 단계; 상기 출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1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출측 간격조절 제1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 측으로 진입하는 출측 시트 진입 제1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가 진입 대상 제2 시트의 규격을 획득하는 제품 규격 획득 제2 단계;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을 상기 제1 시트의 규격과 비교하는 시트 규격 비교 단계; 및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이 상기 제1 시트의 규격과 다른 경우,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들 상으로 이동한 시기에 상기 입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입측 간격조절 제2 단계; 상기 제1 시트가 전단의 입측 포밍롤들로부터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측으로 포밍 및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시트를 롤포머로 진입시키는 시트 진입 제2 단계; 및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이 상기 제1 시트의 규격과 다른 경우, 상기 제1 시트가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로부터 배출된 시기에 상기 출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출측 간격조절 제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롤포머의 총 길이를 L1, 상기 시트의 길이를 L2라 가정하고, 상기 제1 시트가 두께 T1 및 상기 두께 T1에 따른 작업 이동 속도 V1을 갖고, 상기 제2 시트가 두께 T2 및 상기 두께 T2에 따른 작업 이동 속도 V2를 갖는 경우, 상기 입측 간격조절 제2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시트의 진입 후 하기 식 1에 따른 시간(t1)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식 1] t1 = (L1 / 2 + L2) / V1
나아가 상기 입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 조절 속도가 V3이고,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의 폭의 차가 D인 경우, 상기 시트 진입 제2 단계는 상기 출측 시트진입 제1 단계가 수행된 이후 적어도 하기 식 2에 따른 시간(t2)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식 2] t2 = D / V3
나아가 상기 출측 간격조절 제2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시트의 진입 후 하기 식 3에 따른 시간(t3)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식 3] t3 = (L1 + L2) / V1
또한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들 상으로부터 미 배출된 경우 상기 출측 간격조절 제2 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들 상으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대기하는 출측 진입 대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밍롤들의 입측 및 출측 간격을 독립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규격을 달리하는 시트들을 가공하는 혼류 가공 시 하나의 시트 가공 설비 내에서 연속적으로 규격이 다른 시트들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밍롤들의 입측 및 출측 간격을 고정하는 로킹 구조를 도입하고, 구동부의 속도를 오차없이 일치시킬 수 있도록 축결합부를 구비함으로써 규격이 다른 시트들과 동일한 시트들에 대한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동류 시트 가공시에도 시트의 속도를 정밀하게 조절하고, 시트의 폭에 대응하여 설비의 가용 폭의 조절 또한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밍롤들의 입측 및 출측 간격을 독립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규격을 달리하는 시트들을 가공하는 혼류 가공 시 하나의 시트 가공 설비 내에서 연속적으로 규격이 다른 시트들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규격이 다른 시트들과 동일한 시트들에 대한 가공 작업을 용이하게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혼류 및 동류 시트 가공시와 혼류에서 동류 또는 동류에서 혼류 시트 가공으로의 전환 시에 시트의 두께에 따른 간격조절 타이밍과, 시트의 진입 타이밍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작업 또는 작업 전환 시에 작업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포머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포머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포머의 일부 확대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포머의 일부 확대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규격에 대응하는 롤포머의 간격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12는 혼류 시트(sheet) 가공의 순차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밍롤 및 구동부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포머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포머의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포머(10)는 다수의 포밍롤(100)들을 구비한다. 포밍롤(100)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에 시트(sheet)가 개재되는 상하 한쌍의 롤로 구비된다. 각 포밍롤(100)들은 시트의 측단부의 각을 조금씩 변형하여 원하는 형태의 제품으로 가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포밍롤들(100)은 작업 경로상을 따라 2열로 배열된다. 즉, 포밍롤들(100)은 양측면의 제1열의 포밍롤(100a)들과 제2열의 포밍롤(100b)들로 구분되며, 다시 제1열의 포밍롤(100a)들은 작업 전단부의 입측 포밍롤(100a1)들과 작업 후단부의 출측 포밍롤(100a2)들로 구분된다. 이 때 제1열 및 제2열의 포밍롤들(100a, 100b)들은 좌우측면에서 상호 대응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포밍롤들(100)의 하부에는 지지부(110a, 110b)가 구비된다. 지지부는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들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10a1)과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들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1100a2)와 제2열의 포밍롤(100b)들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110b)로 구분된다. 제1 지지부(110a1)와 제2 지지부(110a2)는 상호 분리된 상태로 구분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10a1)와 제2 지지부(110a2)들은 하단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상술한 포밍롤(100)들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구동부는 제1 구동부(201)와 제2 구동부(202) 및 축결합부(203)를 구비한다. 제1 구동부(201)는 전술한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들과 이에 대응하는 제2열 포밍롤(100b)들에 구동력을 생성하여 전달한다. 제2 구동부(202)는 전술한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들과 이에 대응하는 제2열 포밍롤(100b)들에 구동력을 생성하여 전달한다. 축결합부(203)는 제1 구동부(201) 및 제2 구동부(202)의 회전축을 상호 결합하여 동일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부를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롤포머의 일부 확대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10a1)와 제2 지지부(110a2)에는 폭조절수단(300) 및 로킹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로킹부(400)는 제1 지지부(110a1) 및 제2 지지부(110a2) 각각에 구비되는 로킹부 몸체(401, 403)와 제1 지지부(110a1) 및 제2 지지부(110a2)의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유압 실린더(407)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 몸체(401, 403)에는 관통하는 관통구(402, 404)가 각각 형성되며, 두 관통구(402, 404)는 상호 연장선상에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유압 실린더(407)는 관통구(402) 측으로 구비되는 고정수단(405)을 전진 또는 후퇴시킨다. 고정수단(405)은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전진 또는 후퇴하며, 상술한 관통구(402, 404)들 내로 삽입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402)의 외부로 이탈한다. 고정수단(405)이 관통구(402, 404)들 내로 삽입되는 경우 제1 지지부(110a1)과 제2 지지부(110a2)가 상호 결합되어 분리되어 이동하지 않고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유압 실린더(407) 및 고정수단(405)는 로킹 제어수단의 일 예로서, 다양한 기계적 고정장치로 구현이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실린더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가이드 레일 및 폭조절수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롤포머의 일부 확대된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의 규격에 대응하는 롤포머의 간격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10a1)의 하단 및 나머지 제2 지지부(110a2)의 하단에는 제1 지지부(110a1) 및 제2 지지부(110a2)의 횡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120)이 구비된다.
제1 지지부(110a1) 및 제2 지지부(110a2)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폭조절수단(300)들을 구비한다. 폭조절수단(300)들은 제1 지지부(110a1) 및 제2 지지부(110a2)들이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외력을 가해준다. 폭조절수단(300)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조절수단(300)들은 유압실린더를 이용하거나, 회전나사를 이용하여 정밀하게 제1 지지부(110a1) 및 제2 지지부(110a2)의 이동 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폭조절수단(300)은 회전부(301) 및 변환부(302)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부(301)는 회전력을 생성하며, 변환부(302)는 회전부(301)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을 직전 방향의 힘으로 바꾸어 제1 지지부(110a1) 등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변환부(302)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변환부(302)는 암나사가 형성된 제1 지지부(110a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변환부(302)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지지부(110a1)는 횡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지는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제2 지지부(110a2)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폭조절수단(300)은 제1 지지부(110a1) 및 제2 지지부(110a2)의 횡방향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제2열의 포밍롤들에 대하여 각각 제1열의 입측 포밍롤들과 제1열의 출측 포밍롤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또한 회전부(301)는 회전수를 감지할 수 있는 서보 모터 또는 스텝 모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폭이 B2이고 길이가 L2인 제1 규격의 시트(SHT1)가 작업을 위하여 진입하여야 하는 경우에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들과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1)들은 B1의 폭을 갖도록 간격조절이 될 수 있다. 이 때 제1 센서(501)와 제2 센서(502)를 구비하여 시트(SHT1)가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들을 거쳐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 상으로 완전히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시트(SHT1)가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들로부터 완전히 벗어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술한 제1 규격의 시트(SHT1)와는 달리 폭이 B3인 제2 규격의 시트(SHT2)가 작업을 위하여 진입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의 간격이 B3가 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다만, 제2열에 대한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들의 간격과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들의 간격조절은 동시에도 가능하며, 각각 다른 시기에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롤포밍 프로세스 및 롤포머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2는 혼류 시트(sheet) 가공의 순차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부(미도시)는 앞서 설명한 구동부(200), 폭조절수단(300) 및 로킹부(400) 등의 각종 구성부들을 전기적 신호로서 제어하는 장치 또는 컴퓨팅 장치등일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1 구동부(201) 및 제2 구동부(202)의 회전에 따른 동력 생성 여부를 제어하고, 제1 구동부(201) 및 제2 구동부(20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축결합부(203)를 제어하여 제1 구동부(201)와 제2 구동부(202)가 동일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폭조절수단(300)들을 제어하여 제2열의 포밍롤(100b)들에 대한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들과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들 각각의 간격을 제어하며, 로킹부(400)를 제어하여 제1 지지부(110a1)와 제2 지지부(110a2)를 결합하거나 릴리즈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롤 포머와 이러한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롤 포밍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먼저 단일 시트에 대한 작업 시 제어부가 진입 대상 제1 시트(SHT1)의 규격, 즉 폭과 길이 등의 물리적인 규격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데이터 베이스나 센서 등으로부터 획득한다. 이어서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들과 그에 대응하는 제2열의 포밍롤(100b)들 간의 열간 간격을 제1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SHT1)가 제1열의 입측 포밍롤(100a1)들로부터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들측으로 포밍 및 이송되도록 롤포머로 진입시킨다. 이어서 제1열의 출측 포밍롤(100a2)들과 이에 대응하는 제2열의 포밍롤(100b)들의 열간 간격을 제1 시트(SHT1)의 규격에 따라 조절한다. 이러한 후단측 열간 간격 조절은 전단측 열간 간격의 조절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제1 시트(SHT1)가 롤 포머를 따라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후단측 열간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고 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SHT1)가 롤포머의 후단측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제1 시트(SHT1)가 롤포머의 후단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이후에야 새로운 제2 시트(SHT2)를 진입시켜 롤포밍 작업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제2 시트(SHT2)의 규격이 제1 시트(SHT1)와 다른 경우에는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조절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SHT1)가 롤포머의 전단을 지나 후단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규격이 같거나 다른 제2 시트(SHT2)를 새로이 롤포머 상에 진입시킬 수 있다.
먼저 제2 시트(SHT2)를 진입시키기 위하여 제2 시트(SHT2)의 규격을 획득한 후 제1 시트(SHT1)의 규격과 비교한다. 이 때 제2 시트(SHT2)의 규격이 제1 시트(SHT1)의 규격과 다른 경우에는 제1 시트(SHT2)가 롤포머의 후단측으로 이동한 시기에 전단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제2 시트(SHT2)의 폭 규격에 따라 조절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시트(SHT2)를 롤포머 상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 롤포머의 총 길이를 L1, 시트의 길이를 L2라 가정한다. 또한 제1 시트(SHT1)가 두께 T1 및 두께 T1에 따른 작업 이동 속도 V1을 갖고, 제2 시트(SHT2)가 두께 T2 및 상기 두께 T2에 따른 작업 이동 속도 V2를 갖는다고 할 때, 전술한 입측, 즉 전단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조절은 적어도 제1 시트의 진입 후 하기 식 1에 따른 시간(t1)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 t1 = (L1 / 2 + L2) / V1
각각의 시트들은 두께에 따라 적절한 속도로 포밍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1은 적절한 속도로 시트가 제1 시트가 이동하여 롤포머 후단 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한편, 입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 조절 속도가 V3이고, 제1 시트(SHT1) 및 제2 시트(SHT2)의 폭의 차가 D라고 할 때, 제2 시트(SHT2)의 시트 진입은 제1 시트(SHT1)가 출측 포밍롤들로 완전히 진입한 이후 적어도 하기 식 2에 따른 시간(t2)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2] t2 = D / V3
이는 제2 시트(SHT2)의 진입 시기는 제1 시트(SHT1)가 후단 롤포머로 진입하고, 입측 열간 간격 조절에 필요한 시간이 경과하고 난 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시트(SHT2)의 진입을 위한 출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조절은 적어도 제1 시트(SHT1)가 입측 포밍롤들 상에 진입한 후 하기 식 3에 따른 시간(t3)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3] t3 = (L1 + L2) / V1
식 3에 따른 t3는 제1 시트(SHT1)가 진입 후 롤포머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롤포머 100: 포밍롤
100a1: 제1열 입측 포밍롤 100a2: 제1열 출측 포밍롤
100b: 제2열 포밍롤 200: 구동부
400: 로킹부

Claims (12)

  1. 대응하는 쌍으로 구비되고, 이동 작업 경로 상을 따라 제1열 및 제2열로 배열되는 복수의 포밍롤들;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입측 포밍롤들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나머지 출측 포밍롤들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열의 입측 포밍롤들과 제2열의 포밍롤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지지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폭조절수단;
    상기 제1열의 출측 포밍롤들과 제2열의 포밍롤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지지부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폭조절수단;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입측 포밍롤들과,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입측 포밍롤들과 대응하는 제2열의 입측 포밍롤들을 구동시키는 제1 구동부;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출측 포밍롤들과, 상기 제1열의 포밍롤들 중 출측 포밍롤들과 대응하는 제2열의 출측 포밍롤들을 구동시키는 제2 구동부;
    상기 입측 포밍롤들 중 제1 열 및 제2 열의 간격의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1 폭조절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출측 포밍롤들 중 제1 열 및 제2 열의 간격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2 폭조절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결합하는 제1 로킹부 및 제2 로킹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로킹부 및 제2 로킹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가 동일한 폭을 갖도록 위치하는 경우 상호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가 각각 형성되는 제1 로킹부 몸체 및 제2 로킹부 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로킹부 및 제2 로킹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를 관통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를 관통하거나, 상기 제1 관통구 및 제2 관통구로부터 이탈하도록 제어하는 로킹 제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킹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상기 제2열의 포밍롤들과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로킹하고, 상기 로킹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가 로킹되는 경우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일치시키도록 제어하는 롤 포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축을 결합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일치시킨 후 상기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회전축이 결합되도록 상기 축결합부를 제어하는 롤 포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 포밍롤측으로부터 진입하는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 상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제1 감지부를 포함하는 롤 포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 포밍롤측으로부터 진입하는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는 롤 포머.
  7. 제어부가 진입 대상 제1 시트의 규격을 획득하는 제품 규격 획득 제1 단계;
    입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1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입측 간격조절 제1 단계;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입측 포밍롤들로부터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측으로 포밍 및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시트를 롤포머로 진입시키는 입측 시트 진입 제1 단계;
    상기 출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1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출측 간격조절 제1 단계;
    고정수단이 제1 로킹부 및 제2 로킹부를 관통하도록 제어하고,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의 회전속도가 일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 측으로 진입하는 출측 시트 진입 제1 단계;를 포함하는 롤 포머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어부가 진입 대상 제2 시트의 규격을 획득하는 제품 규격 획득 제2 단계;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을 상기 제1 시트의 규격과 비교하는 시트 규격 비교 단계; 및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이 상기 제1 시트의 규격과 다른 경우,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들 상으로 이동한 시기에 상기 입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입측 간격조절 제2 단계;
    상기 제1 시트가 전단의 입측 포밍롤들로부터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측으로 포밍 및 이송되도록 상기 제1 시트를 롤포머로 진입시키는 시트 진입 제2 단계; 및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이 상기 제1 시트의 규격과 다른 경우, 상기 제1 시트가 후단의 출측 포밍롤들로부터 배출된 시기에 상기 출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을 상기 제2 시트의 규격에 따라 조절하는 출측 간격조절 제2 단계;를 포함하는 롤 포머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롤포머의 총 길이를 L1, 상기 시트의 길이를 L2라 가정하고, 상기 제1 시트가 두께 T1 및 상기 두께 T1에 따른 작업 이동 속도 V1을 갖고, 상기 제2 시트가 두께 T2 및 상기 두께 T2에 따른 작업 이동 속도 V2를 갖는 경우,
    상기 입측 간격조절 제2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시트의 진입 후 하기 식 1에 따른 시간(t1)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되는 롤 포머 제어방법.
    [식 1] t1 = (L1 / 2 + L2 ) / V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측 포밍롤들의 열간 간격 조절 속도가 V3이고, 상기 제1 시트 및 제2 시트의 폭의 차가 D인 경우, 상기 시트 진입 제2 단계는 상기 출측 시트진입 제1 단계가 수행된 이후 적어도 하기 식 2에 따른 시간(t2)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되는 롤 포머 제어방법.
    [식 2] t2 = D / V3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측 간격조절 제2 단계는 적어도 상기 제1 시트의 진입 후 하기 식 3에 따른 시간(t3)이 경과된 이후에 수행되는 롤 포머 제어방법.
    [식 3] t3 = (L1 + L2) / V1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들 상으로부터 미 배출된 경우 상기 출측 간격조절 제2 단계를 수행하기 전 상기 제1 시트가 상기 출측 포밍롤들 상으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대기하는 출측 진입 대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롤 포머 제어방법.
KR1020120129393A 2012-11-15 2012-11-15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KR10143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93A KR101439643B1 (ko) 2012-11-15 2012-11-15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393A KR101439643B1 (ko) 2012-11-15 2012-11-15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994A KR20140062994A (ko) 2014-05-27
KR101439643B1 true KR101439643B1 (ko) 2014-09-11

Family

ID=5089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393A KR101439643B1 (ko) 2012-11-15 2012-11-15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063B1 (ko) * 2022-06-28 2022-11-22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819A (ja) * 1998-10-22 2000-05-09 Toa Koki Kk 冷間ロール成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6819A (ja) * 1998-10-22 2000-05-09 Toa Koki Kk 冷間ロール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994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7529A (en) Modular conveying apparatus
KR101431337B1 (ko) 롤포머
US20200101686A1 (en) Tool head positioning mechanism for a converting machin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plurality of tool heads in a converting machine
KR101439643B1 (ko)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8257A (ko) 관 절단 설비 및 방법
KR20150012601A (ko) 가변 롤 포밍 장치
US8206073B2 (en) Apparatus for pressing a book casing or a slip-fold against an adhesive-covered back
US20130236583A1 (en) Device For Producing Strand-Shaped Products
EP2502859B1 (en) A dough conveying device.
CN109774109B (zh) 薄膜拉伸设备
WO2020231363A1 (en) A die casting machine for vitrified products
US9872503B2 (en) Machine for producing rolled wafer cones
KR101059073B1 (ko) 가변형 롤포밍장치
CN109807636A (zh) 防火阀外体型板加工流水线
CN111934060B (zh) 一种动力电池单体异构兼容的拆解方法及装备
CN104028580A (zh) 一种异型管成型机
CN202964707U (zh) 热成型机的在线分切装置
DK201670873A1 (en) Apparatus for forming a uniform strand of a food compound
CN102941591B (zh) 热成型机的在线分切装置
JP3199038U (ja) 布帛の端を検知する検知装置を具えたベルト駆動式染色機
EP2236721B1 (en) Unit, assembly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assembly of thermal insulation profiles
KR20100013391A (ko) 선형운동 레일 열처리장치
CN104779561B (zh) 带洒水装置的输送电力用电缆的弯曲设备及其弯曲方法
KR101470288B1 (ko) 온수매트용 배관홈 가공장치
CN102079053A (zh) 货盘传送装置以及货盘传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