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334B1 -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 Google Patents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334B1
KR101439334B1 KR1020110052988A KR20110052988A KR101439334B1 KR 101439334 B1 KR101439334 B1 KR 101439334B1 KR 1020110052988 A KR1020110052988 A KR 1020110052988A KR 20110052988 A KR20110052988 A KR 20110052988A KR 101439334 B1 KR101439334 B1 KR 10143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line
tube
lift
prop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212A (ko
Inventor
변웅호
Original Assignee
변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웅호 filed Critical 변웅호
Priority to KR1020110052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33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composed of sections of short l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made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관을 접합하여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관로 시공지를 굴착하고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가설하는 터파기단계 및, 상기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관(2)을 거치하는 관 거치단계, 상기 관(2)이 거치된 부분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해체하고 상기 관(2)이 거치된 부분을 흙메움하는 흙메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 거치단계는,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의 후방의 지표면 또는 상기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보다 저심도의 굴착부(6)에서 복수의 관(2)을 일렬로 배열한 상태에서 일체로 접합하는 관 접합과정 및, 상기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관로 시공 장비(100)에 의해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관로 거치 지점 위로 추진시키는 관 추진과정, 상기 관 거치 지점 위로 추진된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관로 시공 장비에 의해 인하하여 거치시키는 관 거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공법 및 이를 위한 관로 시공 장비를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CONSTRUCTION MACHINERY FOR PIPE AND CONSTRU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설,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관을 접합하여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관로 중 특히 지연난방용 열배관, 상수도관, 가스관, 송유관 등의 라이프 라인(life line)용 관로는 지중에 매설되며, 이러한 관로는 길이가 매우 길기 때문에 소정 길이로 제작된 복수의 단위 관을 접합하여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관로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지를 굴착하고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가설하여 터파기 공사를 한 후 크레인(20) 등의 장비에 의해 소정 길이의 단위 관(2)을 하나씩 하나씩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인하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관(2)을 일렬로 배치한다.
다음,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일렬로 배치된 복수의 단위 관(2)을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접합한 후, 단위 관(2)의 접합이 잘 이루어졌는 비파괴 검사 등을 실시한다.
관로 시공공법은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과정이 수차례 반복 실시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관로 시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첫째,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단위 관(2)을 인하하기 위해 크레인(20) 등의 장비가 이동될 때, 장비는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를 피하여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의 옆 지표면 상에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관로 시공시 관로 시공을 위한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뿐만 아니라 장비의 이동, 설치 등을 위한 영역까지 확보되어야 하므로, 관로 시공을 위한 통제 영역이 너무 넓다. 따라서, 도심지의 경우, 관로 시공으로 인해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게 된다는 점, 지역 협소로 인해 공사 영역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둘째, 단위 관(2)을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인하한 후 접합 작업을 하기 때문에, 단위 관(2)의 하측 부분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의 바닥면(4a)과 너무 가깝거나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의 바닥면(4a)에 닿아있어서 접합 작업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접합성이 떨어지며 위험한 자세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셋째, 터파기 작업이 고심도로 이루어진 경우,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에 의한 흙막이 공법이 요구되는데, 이때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를 횡단하는 버팀재(12)의 설치로 인해 관이 버팀재(12)와 버팀재(12) 사이로 인하될 수 있도록 단위 관(2)의 길이가 짧게 제한된다. 따라서, 단위 관(2)의 접합부위(2a) 증가로 인해 시공비 상승, 공사 지연, 관로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넷째, 단위 관(2)의 접합, 검사를 위한 장비 일체가 단위 관(2)의 접합부위(2a)을 따라 이동해야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관로의 시공 공법을 개선한 관로 시공 장비 및 그 공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관로 시공지를 굴착하고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가설하는 터파기단계 및, 상기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관(2)을 거치하는 관 거치단계, 상기 관(2)이 거치된 부분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해체하고 상기 관(2)이 거치된 부분을 흙메움하는 흙메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 거치단계는,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의 후방의 지표면 또는 상기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보다 저심도의 굴착부(6)에서 복수의 관(2)을 일렬로 배열한 상태에서 일체로 접합하는 관 접합과정 및, 상기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관로 시공 장비(100)에 의해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관로 거치 지점 위로 추진시키는 관 추진과정, 상기 관 거치 지점 위로 추진된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관로 시공 장비에 의해 인하하여 거치시키는 관 거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공법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터파기단계에서 상기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은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를 횡단 설치되는 버팀재(12)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2)을 상기 버팀재(12)보다 낮은 위치에서 일체로 접합, 추진시킨 후 인하할 수 있도록 상기 관로 거치 지점의 후방에 상기 저심도의 굴착부(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관로는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간으로 나뉘어 시공되며, 상기 관로의 각 구간의 시공시마다 상기 관 거치단계 및 흙메움단계가 반복 실시되고, 상기 흙메움단계는 다음 구간의 관로 시공시 관(2)의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관 거치 지점에 관(2)이 거치된 후 상기 저심도 굴착부(6)에 대응하여 일부 높이까지만 흙메움(8a)을 하는 1차 흙메움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흙메움단계는 상기 다음 구간의 관로 시공 후, 직전 선 시공된 구간의 관로의 1차 흙메움된 부분(8a)에 나머지 흙메움(8b)을 하는 2차 흙메움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관로의 시공공법을 위한 관로 시공장비로서, 베이스(110); 관로 시공지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호 일렬로 배열되어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된 복수의 관(2)을 인하하여 상기 관로 시공지에 거치시키는 리프트(lift)기구(200);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프트기구(200)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관(2)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도록 상기 관(2)을 지지하며 상기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상기 리프트기구(200)를 향해 추진시키는 추진기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바퀴를 갖는 차체 구조(120)를 포함하며, 정지 유지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지면에 면접되는 스토퍼(stopper)(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지며 상기 리프트기구(200)가 결합되는 리프트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지지부(140)는 다중으로 결합되어 상호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복수의 리프트용 바(bar)(142)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리프트용 바(142)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리프트기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리프트용 바(142)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상기 리프트용 바(142)를 지지하며 상호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진 받침부재(150)가 하나 또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기구(200)는, 상기 추진기구(300)로부터 추진되는 관(2)을 지지하였다가 지지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관(2)의 추진을 안내하는 리프트용 가이드(210);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되는 관(2)과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져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로부터 지지 해제된 관(2)을 상기 관로 시공지로 인하하는 인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는 상기 관(2)의 추진방향을 따라 상기 관(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210a)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부재(212,214)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212)는 상기 관(2)이 인하될 수 있도록 하측 개방부(212')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214)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12)의 하측 개방부(2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214)는 상하방향을 축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212)의 하측 개방부(2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212)에 힌지축(216)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는 상기 관(2)의 추진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관(2)에 구름 접촉되는 리프트용 가이드롤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기구(200)는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를 지지하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진 리프트용 실린더기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하부(220)는, 상기 관(2)에 구비된 결속부에 걸어질 수 있는 후크(hook)(222) 및 상기 후크(222)를 상하 이동시키는 도르래기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하부(220)는 상하방향 이외 방향으로 미세 조정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추진기구(300)는 상기 베이스(110)의 위와 아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추진기구(300)는, 상기 추진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추진용 베이스(110)에 결합된 추진용 실린더기구(310); 상기 추진용 실린더기구(31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2)이 끼워지는 링형 부재(320); 상기 링형 부재(3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링형 부재(320)에 끼워진 관(2)이 상기 링형 부재(32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링형 부재(320)에 끼워진 관(2)에 선택적으로 압착되는 압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기구(300)는 상기 관(2)의 추진을 안내하는 추진용 가이드(3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진용 가이드(340)는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고 상기 추진용 실린더기구(310)를 지지하며 상기 관(2)의 추진을 안내하는 통로(342a)가 형성된 통로형성부재(342) 및 상기 통로형성부재(342)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관(2)에 구름 접촉되는 복수의 추진용 가이드 롤러(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기구(300)는 상하 이동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로 시공시 관로 시공지 측만 통제하여 공사를 할 수 있으며, 버팀재 유무에 상관없이 복수의 관을 한자리에서 일체로 접합 후 인하하여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관로 시공 공법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 공법 개략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우 싱글 타입(low single type)의 일체형 관로 시공 장비에 관한 도면으로,
도 3은 설치 전 상태 사시도.
도 4는 설치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정면도,
도 8은 도 4의 배면도.
도 9는 도 3 및 도 4의 리프트용 가이드의 지지 해제 상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관로 시공 장비에 관한 도면으로,
도 10은 로우 더블 타입(low double type) 사시도.
도 11은 하이 싱글 타입(high single type) 사시도.
도 12는 하이 더블 타입(high dougle type) 사시도.
도 13은 멀티 싱글 타입(multi single type) 사시도.
도 14는 멀티 더블 타입(multi double type)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관로 시공 장비의 사시도.
도 16 내지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관리 시공 장비(low double type)를 이용하여 버팀재가 있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 가설시 적용되는 관로 시공 공법의 순서에 따른 모식도.
도 26 내지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관리 시공 장비(hi single type)를 이용하여 버팀재가 없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 가설시 적용되는 관로 시공 공법의 순서에 따른 모식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2)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3축 좌표의 Z축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상하방향이라 하며, 3축 좌표의 Y축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관로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전후방향, 3축 좌표의 X축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나머지 방향인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 공법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 공법은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관로 시공지를 굴착하고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설치하는 등의 터파기 공사를 하여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를 형성한 후, 관로 시공 방향(화살표 A)을 따라 관로 시공지의 후방 지면 상에서 복수의 관(2)을 일렬로 배열하여 일체로 접합할 수 있다.
여기서, 관로 시공지가 고심도로 굴착되는 것 등으로 인해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이 버팀재(12)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관(2)을 버팀재(12)보다 낮은 위치에서 접합 및 관로 시공 방향(화살표 A)으로의 추진, 공중 지지할 수 있도록 관로 시공지의 후방 지면이 관로 시공지보다 저심도로 굴착하여 저심도 굴착부(6)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관로 시공지가 저심도로 굴착되는 경우 등에는 버팀재(12)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관로 시공지의 후방 지면을 굴착하지 않고서도 관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관(2)의 접합시 관(2)의 하측부분도 용이하게 접합하기 위해, 관로 시공 장비(100) 또는 별도의 받침대에 의해 관(2)을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올려진 상태로 받칠 수 있다.
다음,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 장비(100)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관로 시공지를 향해 관로의 길이방향, 즉 관로 시공 방향(화살표 A)을 따라 추진시키며, 추진된 관로를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의 공중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관(2)을 모두 접합한 후 한번에 추진시킬 수도 있고, 복수의 관(2)을 하나씩 하나씩 접합할 때마다 단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복수의 관(2)이 모두 일체로 접합되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의 공중에 지지되고 나면,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 장비(100)에 의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의 공중에 지지되어 있는 복수의 관(2)을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인하하여 거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법에 의해 관로를 시공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첫째, 복수의 관(2)의 접합 작업이 관로 시공지의 후방 지면에서 이루어지며, 관로 시공 방향(화살표 A)을 따라 일렬로 관로 시공 장비(100)가 관로 시공지의 후방 지면 또는 관로 시공지 상에 설치되기 때문에, 관로 시공지 좌우로 공사 영역을 확장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에 큰 불편을 주지 않고 공사를 할 수 있으며, 협소한 지역에서도 공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복수의 관(2)의 접합시 복수의 관(2)의 접합부분이 지면에 닿지 않고 소정 높이 받쳐진 상태에서 접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관(2)의 접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2)의 접합성이 매우 우수하다.
셋째, 관로 시공지의 후방 지면에서 관(2)의 접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관로 시공지에 버팀재(12)가 있는 경우라도 관(2)을 버팀재(12)보다 낮은 위치에서 접합 및 추진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관(2)의 규격 길이가 버팀재(12)와 버팀재(12) 간 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관(2)의 규격 길이를 버팀재(12)와 버팀재(12) 간 거리보다 길게 할 수 있어, 관로의 접합부위(2a)을 줄일 수 있다.
넷째, 관(2)의 접합이 이루짐과 아울러 관(2)을 관로 시공지로 바로 추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2)의 접합, 검사를 위한 일체 장비가 관(2)의 접합부위(2a)을 따라 이동하지 않고 한 자리에 거치되어 반복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관로가 매우 긴 경우, 관로를 몇 부분으로 나뉘어서 일부씩 시공할 수 있는데, 이때 관로 일부가 선 시공된 부분을 먼저 흙메움함으로써 관로 시공 장비(100)가 관로 시공 방향(화살표 A)을 따라 전진 이동될 수 있으며, 관로 일부 거치와 흙메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하여 관로 시공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관로 시공 장비(100)는 도 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화된 일체형 장비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적으로 분리된 분리형 장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우 싱글 타입(low single type)의 일체형 관로 시공 장비에 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관로 시공 장비는, 베이스(110)와; 관로 시공지에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호 일렬로 배열되어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지지하며 지지된 복수의 관(2)을 인하하여 관로 시공지에 거치시키는 리프트(lift)기구(200)와;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리프트기구(200)와 일렬로 설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되며, 복수의 관(2)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도록 관(2)을 지지하며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리프트기구(200)를 향해 추진시키는 추진기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바퀴(122)를 갖는 차체 구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 장비(100)는 중장비 차량처럼 자가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0)는 정지 유지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지면에 면접되는 스토퍼(stopper)(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130)의 높이 조절에 의해 차체 구조(120)가 상하 이동 가능하며, 아울러 스토퍼(130)가 지면에 면 접촉됨에 따라 차체 구조(120)가 움직이지 않고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30)는 높이 조절 가능하다면 어떠한 구조든 무방하면,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공압 등을 동력으로 구동되는 실린더기구를 비롯하여 잭(jack)구조 방식 등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취지는 스토퍼(130)의 높이 조절 및 브레이크(brake)/스토퍼(stopper) 기능 구현이며, 실린더기구는 공학분야에서 많이 알려진 기술사항이므로, 상기한 실린더기구 및 후술할 실린더기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베이스(110)는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지며 리프트기구(200)가 결합되는 리프트 지지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지지부(140)는 다양한 방식으로 길이 조절될 수 있으며,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으로 결합되어 상호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복수의 리프트용 바(bar)(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트용 바(142)는 수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나, 유압/공압 실린더기구 등과 같이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리프트용 바(142)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리프트기구(20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지지부(140)의 길이가 짧아진 상태가 되면 복수의 리프트기구(200) 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 장비(100)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지지부(140)의 길이가 길어진 상태가 되면 복수의 리프트기구(200) 간 간격이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매우 길게 접합된 복수의 관(2)도 한번에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리프트용 바(142)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리프트용 바(142)를 지지하며 상호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진 받침부재(150)가 하나 또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50)가 지표면에 닿지 않도록 길이가 짧은 상태가 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 장비(100)가 받침부재(150)에 의해 걸림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150)가 지표면에 닿도록 길이가 길게 늘어진 상태가 되면, 받침부재(150)에 의해 리프트용 바(142)가 지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 장비(100)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받침부재(150)는 예컨대 상술한 스토퍼(130)와 같은 실린더기구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 지지부(140)는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고, 도 10 및 도 12,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이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리프트기구(200)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리프트기구(200)는 리프트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어 관(2)의 추진을 안내함과 아울러, 추진기구(300)로부터 추진되는 관(2)을 지지하였다가 지지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리프트용 가이드(210)와; 리프트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되어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되는 관(2)과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져 리프트용 가이드(210)로부터 지지 해제된 관(2)을 관로 시공지로 인하하는 인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리프트기구(200)에는 리프트용 가이드(210)와 인하부(220)가 각각 하나 또는 복수 구성될 수 있다.
즉,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의 공중에서 추진기구(300)로부터 추진된 관(2)이 일단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되며,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된 관(2)이 인하부(220)에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면 관(2)이 인하부(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바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한 관(2)의 지지가 해제되며, 따라서 인하부(220)에 결합된 관(2)이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인하부(220)에 의해 관로 시공지의 굴차부로 내려가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에 거치될 수 있다.
리프트용 가이드(210)는 관(2)을 지지하였다가 관(2)의 인하가 가능토록 관(2)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리프트용 가이드(210)는 관(2)의 추진방향을 따라 관(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210a)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부재(212,214)를 포함하며, 특히 제1가이드부재(212)는 리프트 지지부(140) 측에 결합되며 리프트용 가이드(210)의 끼움구(210a)에 끼움된 관(2)이 인하될 수 있도록 하측 개방부(212')를 갖도록 형성되며, 제2가이드부재(214)는 제1가이드부재(212)의 하측 개방부(2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212)의 하측 개방부(212')가 제2가이드부재(214)에 의해 닫힌 상태이면, 제1가이드부재(212)와 제2가이드부재(214)가 함께 관(2)이 끼워져서 지지될 수 있는 끼움구(210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212)의 하측 개방부(212')가 열린 상태가 되면, 관(2)이 제2가이드부재(214)에 의해 걸림되지 않고 제1가이드부재(212)의 개방된 하측 개방부(212')를 통해 인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부재(212)와 제2가이드부재(214)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재(214)는 상하방향을 축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1가이드부재(212)의 하측 개방부(2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제1가이드부재(212)에 힌지축(216)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부재(212)는 관(2)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면(212a) 및 상면(212a)의 양쪽 끝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한 쌍의 측면(212b,212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212)는 대략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부재(212)의 어느 하나의 측면(212b) 하측에는 힌지축(216)이 상하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힌지부(212d)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재(214)는 제1가이드부재(212)의 상면과 대향될 수 있는 하면(214a) 및, 이 하면(214a)의 양쪽 끝단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제1가이드부재(212)의 한 쌍의 측면(212b,212c)과 각각 연결될 수 있는 한 쌍의 측면(214b,214c)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재(214)는 대략 '∪' 형상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이드부재(214)의 어느 한 측면(214b)에는 제1가이드부재(212)의 제1힌지부(212d)의 하측에 적층되며 힌지축(216)이 상하방향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제2힌지부(214d)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재(214)는 모터 등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힌지축(216)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부재(212) 및 제2가이드부재(214)의 나머지 한쪽 측면(212c,214c)에는 제1가이드부재(212)와 제2가이드부재(214)를 탈착 가능토록 결속시키는 결속부(218)가 구비될 수 있다. 결속부(218)는 볼트&너트 등에 의한 수동방식, 전기 스위치 등과 같은 자동방식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아울러, 리프트용 가이드(210)는 관(2)의 추진방향, 즉 관로 시공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관(2)에 구름 접촉되는 리프트용 가이드 롤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용 가이드 롤러(240)는 특히 관(2) 밑에서 관(2)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2가이드부재(214)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관(2)의 일부가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추진될 때, 리프트용 가이드롤러(240)에 의해 관(2)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트용 가이드(210)는 리프트 지지부(140)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으나, 상하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진 리프트용 실린더기구(230)를 통해 리프트 지지부(140)와 구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리프트용 실린더기구(230)는 상측이 리프트 지지부(140)에 결합됨과 아울러 하측이 리프트용 가이드(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리프트용 가이드(210)와 결합되며, 리프트용 실린더기구(230)의 상하 높이 조절에 의해 리프트용 가이드(210)가 리프트 지지부(140)의 하측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인하부(220)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인하부(220)는 관(2)에 구비된 결속부에 걸어질 수 있는 후크(hook)(222) 및, 리프트 지지부(140)에 설치되어 후크(222)를 상하 이동시키는 도르래기구(224)를 포함할 수 있다. 관(2)에 구비된 결속부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관(2)에 묶인 와이어(2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관(2)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고리로 실시될 수 있다. 도르래기구(224)는 많이 알려진 기술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리프트기구(200)는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에 관(2)을 거치할 때 관(2)이 정확한 위치에 거치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 이외 방향(예컨대, 관로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전후방향, 3축 좌표에서 나머지 방향인 좌우방향 등)으로도 미세 조정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프트기구(200)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이 버팀재(12)를 포함하는 경우, 버팀재(12)와 버팀재(12) 사이를 통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 안에 인입될 수 있는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진기구(300)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진기구(300)는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되며, 관(2)의 추진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추진용 실린더기구(310)와; 추진용 실린더기구(31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관(2)이 끼워지는 링형 부재(320)와; 링형 부재(3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링형 부재(320)에 끼워진 관(2)이 링형 부재(32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링형 부재(320)에 끼워진 관(2)을 선택적으로 압착하는 압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추진용 실린더기구(310)의 길이 조절에 의해 링형 부재(320)가 추진방향을 따라 전후 이동하여 관(2)에 끼워진 후 링형 부재(320)에 끼워진 관(2)이 압착부(330)에 의해 압착되면 관(2)이 링형 부재(320)와 일체로 거동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추진용 실린더기구(310)의 길이 조절에 의해 링형 부재(320)가 리프트기구(200)를 향해 이동하면 링형 부재(320)와 함께 관(2)이 리프트기구(200)를 추진되어 리프트기구(200)의 리프트용 가이드(210)의 끼움구(210a)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압착부(330)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예컨대 링형 부재(320)에 끼워진 관(2)의 외측면에 압착될 수 있는 압착패드(332) 및 링형 부재(320)에 의해 유압,공압 등에 의해 압착패드(332)를 링형 부재(320)의 내외방향(즉, 링형 부재(320)가 원형인 경우, 반경방향)을 이동시키는 압착패드 실린더기구(33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추진기구(300)는 베이스(110)에 구조적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추진용 실린더기구(21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관(2)의 추진을 안내하는 추진용 가이드(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진용 가이드(340)는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에 결합됨과 아울러 추진용 실린더기구(210)를 지지하며, 관(2)의 추진을 안내하는 통로(342a)가 형성된 통로형성부재(342) 및, 통로형성부재(342)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관(2)에 구름 접촉되는 복수의 추진용 가이드 롤러(3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진기구(300)는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에 상하 높이 조절 가능토록 설치된 추진기구용 실린더기구(350)에 지지됨으로써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추진기구(3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리프트기구(200)와 같이 미세 조정을 위해 상하방향 이외 방향으로부터 이동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추진기구(300)는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를 기준으로 베이스(110)의 위와 아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8,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구(300)는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구(300)는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구(300)는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위와 아래에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추진기구(300)는 리프트 지지부(140)의 개수에 대응하여 하나 또는 복수 구성되거나, 리프트 지지부(140)의 개수에 무관하게 하나 또는 복수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8, 그리고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구(300)는 하나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0 및 도 12,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구(300)는 좌우방향을 따라 나란히 둘 이상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로 시공 장비(100)는 리프트 지지부(140) 및 리프트기구(200), 추진기구(300)의 배치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즉, 도 3 내지 도 8은 로우 싱글 타입(low single type)의 일체형 장비로서, 추진기구(300)가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아래에 설치된 로우 타입이고, 리프트 지지부(140) 및 추진기구(300)가 각각 1개씩 구성된 싱글 타입이다.
도 10은 로우 더블 타입(low double type)의 일체형 장비로서, 추진기구(300)가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아래에 설치된 로우 타입이고, 리프트 지지부(140) 및 추진기구(300)가 각각 한 쌍씩 구성된 더블 타입이다.
도 11은 하이 싱글 타입(high single type)의 일체형 장비로서, 추진기구(300)가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위에 설치된 하이 타입이고, 리프트 지지부(140) 및 추진기구(300)가 각각 1개씩 구성된 싱글 타입이다.
도 12는 하이 더블 타입(high dougle type)의 일체형 장비로서, 추진기구(300)가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위에 설치된 하이 타입이고, 리프트 지지부(140) 및 추진기구(300)가 각각 한 쌍씩 구성된 더블 타입이다.
도 13은 멀티 싱글 타입(multi single type)의 일체형 장비로서, 추진기구(300)가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위와 아래에 동시에 설치된 멀티 타입이고, 리프트 지지부(140)가 1개 구성된 싱글 타입이다.
도 14는 멀티 더블 타입(multi double type)의 일체형 장비로서, 추진기구(300)가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위와 아래에 동시에 설치된 멀티 타입이고, 리프트 지지부(140)가 한 쌍 구성됨과 아울러 추진기구(300)가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의 위와 아래에 동시에 한 쌍씩 구성된 더블 타입이다.
도 15는 분리형 관로 시공 장비로서, 리프트기구(200)와 추진기구(300)가 서로 구조적으로 분리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관로 시공 장비(100)를 이용한 관로 시공 공법은,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이 버팀재(12)를 포함하는 경우(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팀재(12) 있는 경우 공법'이라 한다) 도 10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도 10 내지 도 27에 도시된 관로 시공 장비(100)는 로우 더블 타입이다.
관로는 길이가 짧은 경우, 관로를 이루는 모든 복수의 관(2)이 한번에 관로 시공지에 시공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매우 긴 경우 일부씩 나뉘어서 다음과 같은 제1시공작업 또는 제2시공작업에 의해 시공될 수 있다.
제1시공작업은 관로의 첫번째 시공을 위한 공법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지를 굴착하고 버팀재(12)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가설하여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를 형성하는 터파기단계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시공되는 복수의 관(2)이 버팀재(12) 밑에서 상호 접합되고 추진될 수 있도록 관로 시공 장비(100)를 설치하는 장비설치단계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 장비(100)에 의해 복수의 관(2)을 일체로 접합한 후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거치하는 관 거치단계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2)이 거치된 부분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해체하고 흙메움하는 흙메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설치단계에서, 추진기구(150)에 의해 관(2)이 버팀재(12) 아래에서 수평방향으로 직선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로의 추진방향을 따라 관로 시공지의 후방 지면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로부터 연장되며 관로 시공지보다 저심도로 굴착되어 저심도 굴착부(6)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저심도 굴착부(6)는 베이스(110)의 차체 구조(120)가 안착되며, 추진기구(300)의 추진용 가이드(340)를 지지할 수 있는 깊이로 굴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진기구(300)는 물론 관(2)의 접합 및 검사 등을 위한 일체 장비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고, 작업자가 공중에 매달리지 않고 굴착 부분의 후방부분에 내려서서 안전하게 관(2)의 접합, 검사 등의 일체 작업을 할 수 있다.
리프트기구(200)는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 위에 위치됨과 아울러, 리프트용 가이드(210)가 버팀재(12)와 버팀재(12) 사이를 통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인입되어 버팀재(12) 아래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트용 가이드(210)가 버팀재(12) 아래에서 관(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관 거치단계는 다음과 같은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2)을 일렬로 배열하여 접합할 수 있다. 다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 중 적어도 일부가 추진기구(300)의 추진용 가이드(340)에 거치된 상태에서 추진기구(300)의 링형 부재(320)를 관(2)에 끼워 압착할 수 있다. 다음, 도 19에 도시된 바와 링형 부재(320)에 압착된 관(2)을 리프트장치(110)를 향해 추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추진장치(150)에 의해 추진된 관(2)이 리프트용 가이드(210)의 끼움구(210a)에 끼워짐으로써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의 공중에 떠 있게 된다. 다음,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구(300)의 링형 부재(320)에 의한 관(2)의 압착을 해제한 후, 추진기구(300)의 링형 부재(320)만 추진장치(150)를 향해 이동시켜 원위치시킨다. 그러면,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이 추진장치(150)와 구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트장치(110)의 후크(222)를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의 결속부(예컨대, 와이어(2b))에 걸어둔다. 다음, 리프트용 가이드(210)의 제2가이드부재(214)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관(2)의 지지를 해제하여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이 인하될 수 있도록 한다.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한 관(2)의 지지가 해제되고 나면, 리프트장치(110)의 도르래기구(224)를 구동하여 후크(222)에 걸린 관(2)을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인하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
흙메움단계는 관(2)의 추진방향을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시공 장비(100)의 이동이 가능토록 저심도 굴착부(6)에 대응하여 일부 높이까지만 1차 흙메움(8a)을 하는 1차 흙메움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제2시공작업은 선 시공된 관로(2')의 일부에 관로의 또 다른 일부(2'')를 연결되도록 관로의 또 다른 일부를 시공하는 공법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 장비(100)를 관로의 다음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비 이동 단계와,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공작업의 관 거치단계 및 흙메움단계에 대응되는 관 거치단계 및 흙메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시공작업의 흙메움단계는 제1시공작업의 흙메움단계에 대응하여 1차 흙메움과정을 포함하며, 아울러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가 완전히 흙메움될 수 있도록 전 시공작업의 1차 흙메움(8a) 위에 나머지 흙메움, 즉 2차 흙메움(8b)을 하는 2차 흙메움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관로의 모든 길이의 거치작업이 완료된 후 2차 흙메움과정이 실시될 수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1차 흙메움과정과 함께 2차 흙메움과정이 실시됨에 따라 관로의 추진방향을 따라 관로 시공을 위한 통제 영역을 줄일 수 있으며 관로의 모든 길이의 거치 완료와 함께 흙메움도 끝남으로써 관로 시공을 위한 전체적인 공사가 신속히 끝날 수 있다.
이러한 제2시공작업은 관로의 길이 등에 따라 1회 또는 복수 회 반복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이 버팀재(12)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버팀재 없는 경우 공법'이라 한다)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관로 시공 장비(100)는 하이 싱글 타입이다.
버팀재 없는 경우 공법은, 기본적으로 상술한 버팀재 있는 경우 공법처럼 제1시공작업만으로 실시되거나 제1시공작업과 아울러 1회 또는 복수회의 제2시공작업에 의해 실시될 수 있으며, 제1시공작업은 터파기단계 및, 장비설치단계, 관 거치단계, 흙메움단계로 이루어지고, 제2시공작업은 장비 이동 단계 및, 관 거치단계, 흙메움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버팀재(12) 없는 경우 공법은, 상술한 버팀재(12) 있는 경우 공법과 같이 관(2)의 접합 및 추진을 위해 저심도 굴착부(6) 공사가 실시되며 흙메움단계시 1차, 2차에 나누어 흙메움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버팀재(12) 없는 경우 공법은, 관(2)의 인하시 버팀재(12)와 간섭될 염려가 없으므로 복수의 관(2)이 지표면에서 길게 접합되고 추진되어도 무방하므로, 저심도 굴착부(6) 공사가 생략될 수 있으며, 아울러 흙메움단계시 1차, 2차에 나누지 않고 한번에 흙메움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버팀재(12) 없는 경우 공법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심도 굴착부(6)없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의 후방 지표면 상에 관로 시공 장비(100)를 이송하여,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 장비(1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 위에서 복수의 관(2)을 접합 및 추진하여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 안으로 인하하여 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2)의 접합될 때, 관(2)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관(2)을 받치는 받침대(1)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2; 관 4;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
6; 저심도 굴착부 100; 관로 시공 장비
200; 리프트기구 210; 리프트용 가이드
220; 인하부 300; 추진기구
310; 추진용 실린더기구 320; 링형 부재
330; 압착부 340; 추진용 가이드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바퀴를 갖는 차체 구조(120)를 포함하며, 정지 유지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져 선택적으로 지면에 면접되는 스토퍼(stopper)(130)를 포함한 베이스(110);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보다 저심도의 굴착부(6)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되어,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추진시키도록 상하 이동 가능토록 설치되는 추진기구(300);
    상기 관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추진기구(300)와 일렬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의 버팀재(12)와 버팀재(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1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추진기구(300)로부터 추진된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지지하며 상기 지지한 복수의 관(2)을 인하하여 상기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에 거치시키는 리프트(lift)기구(2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지며 상기 리프트기구(200)가 결합되고, 다중으로 결합되어 상호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복수의 리프트용 바(bar)(14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리프트용 바(142)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리프트기구(200)가 결합된 리프트 지지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리프트용 바(142)의 일부 또는 전체에는 상기 리프트용 바(142)를 지지하며 상호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진 받침부재(150)가 하나 또는 복수 구비되고,
    상기 리프트기구(200)는, 상기 추진기구(300)로부터 추진되는 관(2)을 지지하였다가 지지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관(2)의 추진을 안내하는 리프트용 가이드(210)와,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에 의해 지지되는 관(2)과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져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로부터 지지 해제된 관(2)을 상기 관로 시공지로 인하하도록 상하방향 이외 방향으로 미세 조정 가능토록 설치되는 인하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는 상기 관(2)의 추진방향을 따라 상기 관(2)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구(210a)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가이드부재(212,214)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212)는 상기 관(2)이 인하될 수 있도록 하측 개방부(212')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214)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212)의 하측 개방부(2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214)는 상하방향을 축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212)의 하측 개방부(2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212)에 힌지축(216)을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13.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는 상기 관(2)의 추진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관(2)에 구름 접촉되는 리프트용 가이드롤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1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기구(200)는 상기 리프트용 가이드(210)를 지지하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토록 이루어진 리프트용 실린더기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하부(220)는, 상기 관(2)에 구비된 결속부에 걸어질 수 있는 후크(hook)(222) 및 상기 후크(222)를 상하 이동시키는 도르래기구(2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16. 삭제
  1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구(300)는 상기 베이스(110)의 위와 아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1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구(300)는,
    상기 추진 방향을 따라 길이 조절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추진용 베이스(110)에 결합된 추진용 실린더기구(310);
    상기 추진용 실린더기구(310)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2)이 끼워지는 링형 부재(320);
    상기 링형 부재(3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링형 부재(320)에 끼워진 관(2)이 상기 링형 부재(32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링형 부재(320)에 끼워진 관(2)에 선택적으로 압착되는 압착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추진기구(300)는 상기 관(2)의 추진을 안내하는 추진용 가이드(3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진용 가이드(340)는 상기 베이스(110)에 결합되고 상기 추진용 실린더기구(310)를 지지하며 상기 관(2)의 추진을 안내하는 통로(342a)가 형성된 통로형성부재(342) 및 상기 통로형성부재(342)에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관(2)에 구름 접촉되는 복수의 추진용 가이드 롤러(3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 장비(100).
  20. 청구항 제5항, 제11항 내지 제15항,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관로 시공 장비를 이용한 관로 시공공법으로서,
    관로 시공지를 굴착하고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가설하는 터파기단계 및, 상기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에 관(2)을 거치하는 관 거치단계, 상기 관(2)이 거치된 부분의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을 해체하고 상기 관(2)이 거치된 부분을 흙메움하는 흙메움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 거치단계는,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의 후방의 지표면 또는 상기 관로 시공지의 관로 거치 지점보다 저심도의 굴착부(6)에서 복수의 관(2)을 일렬로 배열한 상태에서 일체로 접합하는 관 접합과정 및,
    상기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관로 시공 장비(100)에 의해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관로 거치 지점 위로 추진시키는 관 추진과정,
    상기 관 거치 지점 위로 추진된 일체로 접합된 복수의 관(2)을 관로 시공 장비에 의해 인하하여 거치시키는 관 거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공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단계에서 상기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10)은 관로 시공지의 굴착부(4)를 횡단 설치되는 버팀재(12)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2)을 상기 버팀재(12)보다 낮은 위치에서 일체로 접합, 추진시킨 후 인하할 수 있도록 상기 관로 거치 지점의 후방에 상기 저심도의 굴착부(6)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공법.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상기 관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구간으로 나뉘어 시공되며,
    상기 관로의 각 구간의 시공시마다 상기 관 거치단계 및 흙메움단계가 반복 실시되고,
    상기 흙메움단계는 다음 구간의 관로 시공시 관(2)의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관 거치 지점에 관(2)이 거치된 후 상기 저심도 굴착부(6)에 대응하여 일부 높이까지만 흙메움(8a)을 하는 1차 흙메움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공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흙메움단계는 상기 다음 구간의 관로 시공 후, 직전 선 시공된 구간의 관로의 1차 흙메움된 부분(8a)에 나머지 흙메움(8b)을 하는 2차 흙메움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시공공법.
KR1020110052988A 2011-06-01 2011-06-01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439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988A KR101439334B1 (ko) 2011-06-01 2011-06-01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988A KR101439334B1 (ko) 2011-06-01 2011-06-01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212A KR20120134212A (ko) 2012-12-12
KR101439334B1 true KR101439334B1 (ko) 2014-09-11

Family

ID=4790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988A KR101439334B1 (ko) 2011-06-01 2011-06-01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304B1 (ko) 2018-03-15 2020-05-07 윤택규 스마트 관로 매설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관로 시공방법
CN117146056B (zh) * 2023-10-31 2024-02-09 山东金橙建设管理有限公司 一种管道施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5B2 (ja) * 1988-03-10 1996-01-10 東急建設株式会社 長尺据付物用建設作業ロボットに於ける重量軽減装置
JPH0921132A (ja) * 1995-07-05 1997-01-21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当て矢板用スライド支柱およびこの支柱を用いた埋設管の敷設方法
JPH09156881A (ja) * 1995-12-12 1997-06-17 Nkk Corp 管埋設工事用クレーン
KR100622226B1 (ko) 2006-01-23 2006-09-13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레일을 이용한 하수박스의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85B2 (ja) * 1988-03-10 1996-01-10 東急建設株式会社 長尺据付物用建設作業ロボットに於ける重量軽減装置
JPH0921132A (ja) * 1995-07-05 1997-01-21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当て矢板用スライド支柱およびこの支柱を用いた埋設管の敷設方法
JPH09156881A (ja) * 1995-12-12 1997-06-17 Nkk Corp 管埋設工事用クレーン
KR100622226B1 (ko) 2006-01-23 2006-09-13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레일을 이용한 하수박스의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212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43857B (zh) 一种市政管道施工装置及施工方法
RU25166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уклад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120134208A (ko)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439334B1 (ko)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AU2006327020A2 (en) Foundation pile driver
US5368413A (en) Relating to handling or laying pipes
JP3725605B2 (ja) 可動仮設路面構造体及びその設置・撤去方法
JP2018185197A (ja) 打ち込み機
KR20120134209A (ko) 관로 시공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공법
JP2019094732A (ja) 移動装置および既存構造物の移動方法
JP4859697B2 (ja) 発進立坑における横移動設備
CN201228820Y (zh) 一种埋地套管内管道安装用活动支架
JP2017137688A (ja) 山留め工法及び支保工システム
JP533594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施工方法及び伸長装置
JP3723134B2 (ja) ジャケット構造体の杭との接合方法およびその接合構造、接合プラグ取付用自動装置
JP2520240B2 (ja) 配管内鋼管布設工法
CN205477629U (zh) 丁字形暗挖隧道盾构机主机下井平移系统
JP6526522B2 (ja) 圧入装置およびサブチャック付サブチャックフレーム
KR102235148B1 (ko) 다목적 자동 파일 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6714137B1 (ja) 推進敷設工法用管押込装置及び推進敷設工法用管押込装置を用いた推進敷設工法
CN218063645U (zh) 一种大口径混凝土套管内钢管穿越施工装置
JP4603434B2 (ja) 推進管の推進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788646A (ja) 配管溶接ロボット
JP5187250B2 (ja) 振動杭打抜機
CN115560127A (zh) 一种大口径混凝土套管内钢管穿越施工平台及施工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