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307B1 - Rfid 태그 - Google Patents

Rfid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307B1
KR101439307B1 KR1020127032686A KR20127032686A KR101439307B1 KR 101439307 B1 KR101439307 B1 KR 101439307B1 KR 1020127032686 A KR1020127032686 A KR 1020127032686A KR 20127032686 A KR20127032686 A KR 20127032686A KR 101439307 B1 KR101439307 B1 KR 101439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urface
container
rfid tag
articl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2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8890A (ko
Inventor
코이치 사카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비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비덴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로비덴토
Publication of KR20130098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06K19/0776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the adhering arrangement being a layer of adhesive, so that the record carrier can function as a stick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08B13/2402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i.e. systems using tags for detecting removal of a tagged item from a secure area, e.g. tags for detecting shoplifting
    • G08B13/2428Tag details
    • G08B13/2434Tag housing and attachment 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평판 형상을 가지고 폭이 좁은 측면 등을 포함하는, 각종 형상 및 크기의 물품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RFID 태그를 제공한다. RFID 라벨 태그(100)는 용기(10), RFID 인렛(30), 스페이서(50) 및 돌출부(70)를 구비한다. 용기는 적어도 하나의 사각 형상의 평탄면(11)을 가진다. RFID 인렛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다. 스페이서는 용기 내부를 채우고 있다. 돌출부는 평탄면 중 한 쪽 장변에 걸쳐서, 평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또한, 돌출부는 장변을 축으로 하여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된다.

Description

RFID 태그{RFID TAG}
본 발명은 물품에 부착되는 태그로서, 전자파를 매체로 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관한 것이다.
RFID의 용도로 사용되는 태그로서, 정보를 기록하는 IC칩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구비하는 RFID 태그가 알려져 있다. RFID 태그가 구비하는 IC 칩은 정보를 읽어 들이거나 기록하는 리더/라이터로부터 수신되는 전자파에 응답하여 기동하고, 전자파를 통해 IC 칩 내의 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RFID 태그는 예를 들어 물품에 부착되어 물품 관리 등에 사용된다.
하지만, RFID 태그를 금속제 물품의 표면에 부착한 경우, 리터/라이터가 발신하는 전자파에 의해 안테나에 야기되는 기전력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IC 칩이 기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에, 금속제 물품의 표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RFID로서, IC 칩 및 안테나를 용기 내부에 수용시킨 RFID 태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후지츠 프론텍 주식회사 물품인 소형 금속 대응 태그 TFU-TM 28xB).
또한, IC 칩 및 안테나를 지지하는, 예를 들어 단면이 사각형의 관 모양의 RFID 지지부, 및 물품에 부착되는 부착부를 구비하는 RFID 라벨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따른 RFID 라벨에서는, 물품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RFID 지지부를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IC 칩 및 안테나와 금속 물품 사이를 충분히 이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따른 RFID 라벨은 금속 물품의 표면에 부착되어 사용할 수 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 공개 공보 특개2007-172369호
예를 들어 제철소나 그 밖의 공장 등에 있어서, 금속판 등의 평판 형상의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RFID 태그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통상, 평판 형상의 물품은 평판면을 서로 겹쳐서 복수 개 적층되어 배치된다. 적층시킨 상태로 복수의 평판 형상의 물품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평판 형상의 물품의 평판면이 아닌, 평판면에 직교하는 측면에 RFID 태그를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물품의 부착 대상 면(이하, 피부착면)의 면적이나 폭이 작은 경우에는, 피부착면에 대응하여 RFID 태그의 부착면의 면적이나 폭을 작게 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물품에서 RFID 태그가 쉽게 벗겨지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를 이용한 RFID 태그에서는 용기가 가지는 하나의 평면이 예를 들면 접착제 등을 도포시킴으로써 부착면이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에 따른 RFID 라벨에서는, RFID 지지부가 관 모양을 가진다. 이 때문에, RFID 지지부의 바닥을 부착면으로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RFID 라벨은 부착시 안정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RFID 태그는 평판 형상의 물품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만들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평판 형상과 같이 물품의 폭이 좁은 측면이나 피부착면의 면적이 작은 부분 등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물품에 안정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한 RFID 태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는 용기, RFID 인렛(inlet), 스페이서, 돌출부 및 부착 부재를 구비한다. 용기는, 하나 이상의 사각형의 평탄면을 가진다. RFID 인렛은 용기 내부에 수용된다. 스페이서는 용기 내부를 채우고 있다. 돌출부는 평탄면의 한 장변에 걸쳐서 평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는 장변을 축으로 하여 접힐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부착 부재는 시트 형태를 가진다. 또한, 부착 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주표면 중 하나 이상의 주표면이 점착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는 돌출부 부착면을 가지고 있다. 돌출부 부착면은 평탄면과 함께 부착면을 구성한다. 또한, 부착 부재의 하나의 주표면은 평탄면과 돌출부 부착면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에 따르면, 용기의 평탄면과 접힐 수 있도록 상기 평탄면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물품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면으로 하는 가능하다. 이 때문에, RFID 인렛이 수용된 용기의 한 쪽 면보다 넓은 면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접착성이 높아진다. 또한, 예를 들어, 평판 형상의 물품의 측면에 용기의 평탄면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의 평판면에 돌출부를 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평판 형상의 물품의 측면과 평판면의 2 면에 걸쳐서 RFID 태그를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는, 물품의 측면의 폭이 작은 경우라 할지라도 평판 형상의 물품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단면도(端面圖)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물품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를 물품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겠지만, 각 구성 요소의 형상, 크기 및 배치 관계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이해 가능할 정도로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예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각 구성요소의 재질 및 수치적 조건 등은 단순한 바람직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성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ID 태그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은 RFID 태그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RFID 태그를 도 1의 I-I선으로 절단한 절단면을 도시한 단면도(端面圖)이다. 또한, 도 3은 RFID 태그를 용기의 평탄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부착부재를 생락하여 도시하였다.
RFID 태그(100)는 용기(10), RFID 인렛(30), 스페이서(50), 돌출부(70) 및 부착 부재(90)를 구비한다.
용기(10)는 입체 형상을 가지는 중공형의 용기이다. 또한, 하나 이상의 평탄면(11)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용기(10)를, 각각 대향하는 3쌍의 면을 가지는 상자 형태의 구성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용기(10)의 재질은 내연성 및 내수성을 가지면서 유연성이 높은 수지가 좋다. 예를 들어 용기(10)를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10)의 평탄면(11)과 대향하는 면(25)(이하, 줄여서 대향면(25)라 칭한다)은, 평탄면(11)과 반대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향면(25)을 만곡면으로 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RFID 태그(100)의 대향면(25) 부근에 가해지는 외력을 받아 넘길 수 있다. 이 때문에, RFID 태그(100)가 물품에서 잘 벗겨지지 않게 된다.
평탄면(11)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진다. 평탄면(11)을 구성하는 상호 대향하는 두 쌍의 변 중 하나는 장변(13a, 13b)이다. 또한, 다른 하나는 장변(13a, 13b) 보다 짧은 단변(15a, 15b)이다.
또한, 용기(10)에는, 평탄면(11)에서 용기(10) 안쪽으로 관통하는 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17)를 막는 덮개(19)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19)의 재질은 내연성 및 내수성을 가지면서 유연성이 높은 수지가 좋다. 덮개(19)는 용기(10)와 동일한,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는 도 2에서 나타난 파선(101)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9)는 개구(17)를 형성하는 주변부(11a)에 형성된 오목부(21)와 서로 끼워져 고정된다. 도 4에서는, 용기의 측벽(23)에 오목부(21)를 형성시킨 주변부(11a)의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측벽(23)은 오목부(21)가 들어가 있어 두께가 서로 다르다. 즉, 오목부(21)가 들어가 있는 측벽(23)의 평탄면(11) 측 두께가, 평탄면(11)의 반대측 두께보다 작다.
RFID 인렛(30)은 용기(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RFID 인렛(30)은 IC 칩 및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도시되지 않음). IC 칩은 정보가 전기적으로 격납되는 부분이다. 안테나는 정보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부분이다. RFID 인렛(30)으로서는, 시판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50)는 용기(10)의 내부를 채우고 있다. 또한, 스페이서(50)는, RFID 인렛(30)과, 덮개(19)를 포함하는 평탄면(11) 측 용기(10)의 평탄면(11) 사이를 이격시키고 있다. 스페이서(50)의 재료로서, 예를 들어 발포 스티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FID 인렛(30)에 대한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서(50)를 예를 들어 단열재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스페이서(50)는 덮개(19)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스페이서(50)와 덮개(19)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성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2와 동일하게 RFID 태그(100)를 도 1의 I-I선으로 자른 절단면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페이서(50)와 덮개(19)의 일체적 구조체(60)는, 덮개(19)의 일부로서 스페이서(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조체(60)의 재료는 전체적으로 덮개(19)와 동일한,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70)는 평탄면(11)의 한 장변(13a)에 걸쳐서, 평탄면(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장변(13a, 13b)은, 용기(10)를 구성하는 각 변 중 가장 긴 변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70)는 용기(10)와 동일한 부재로, 용기(1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70)는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주표면(70a, 70b)를 가지는 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70) 중 한 쪽 주표면(70a)은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할 때, 부착면의 일부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이하, 돌출부(70)의 주표면(70a)을 돌출부 부착면(70a)으로 칭한다. 돌출부 부착면(70a)은 용기(10)의 평탄면(11)과 단차가 없도록 맞추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70)는 물품의 피부착면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단변(15a, 15b)에 따른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돌출부 부착면(70a)은 평탄면(11)과 동일, 또는 평탄면(11)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부착면의 면적이 평탄면(11)의 배 이상의 면적이 된다. 이 때문에, 물품에 부착할 때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정하여 부착할 수만 있다면, 물품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서 돌출부 부착면(70a)의 면적을 평탄면(11) 보다 작게 설정하여도 좋다.
또한, 돌출부(70)에는, 돌출부 부착면(70a)과 반대측에 있는 주표면(70b) 측에, 장변(13a)에 따라 홈 형상의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부(71)는 예를 들어 단변(15a, 15b)을 따라 돌출부(70)의 길이 방향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70)에 오목부(71)를 형성한 경우에는, 돌출부(70)를 용이하게 만곡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70)를 부착시키는 물품의 면이 곡면이라 할지라도, 상기 곡면에 대응시켜 돌출부(7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70)는 용기(10)와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 주표면(70b) 측에서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박판부(73)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70)는 장변(13a)을 축으로 하여, 평탄면(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접힐 수 있다.
또한, 박판부(73)에는, 돌출부 부착면(70a) 측에, 장변(13a)을 따라 홈 형상의 오목부(75)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70)의 박판부(73)에 오목부(75)를 형성시킨 경우에, 돌출부(70)를 평탄면(1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을 때, 부착 부재(90)의 접힌 부분이 오목부(75)에 들어가게 된다. 이 때문에, 부착 부재(90)를 휘어지게 하지 않고, 돌출부(70)를 접을 수 있다.
부착 부재(90)는 시트 형상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주표면(90a, 90b)을 가진다. 부착 부재(90)의 주표면(90a, 90b) 중 적어도 한 쪽 주표면(90b)은 점착면이다. 따라서, 이하 부착 부재의 주표면(90b)을 점착면(90b)이라 칭한다. 또한, 부착 부재(90)는 점착면(90b)에 있어서, 평탄면(11)과 돌출부(70)의 돌출부 부착면(70a)에 걸쳐 부착되어 있다. 부착 부재(90)를 평탄면(11)과 돌출부 부착면(70a)에 걸쳐 일체형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부착 부재(90)를 평탄면(11)과 돌출부 부착면(70a)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구성도 좋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평탄면(11)과 돌출부 부착면(70a)에 걸쳐 일체형으로 부착 부재(90)를 설치한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한 쪽 주표면(90a)을, 예를 들어, 주표면(90b)과 동일하게 점착면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주표면(90a)을, 예를 들어, 커버 등으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되지 않음). 커버는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할 때에, 주표면(90a)에서 벗겨진다. 또한, 커버를 벗김으로써 노출되는 점착면인 주표면(90a)을 사용하여,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시킬 수 있다. 주표면(90a, 90b)을 모두 점착면으로 하는 경우, 부착 부재(90)로서, 양면 테이프(예를 들어, 주식회사 니톰즈의 벗길 수 있는 양면 테이프 T3830)를 사용할 수 있다. 벗길 수 있는 양면 테이프 T3930을 사용하는 경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100)를 벗기고 난 후 여러번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RFID 태그(100)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100)를 반복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 보다 강력한 점착력을 가지는 다른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구성예로서, 다른 한 쪽 주표면(90a)을 마그네틱 면으로 할 수도 있다. 마그네틱 면은, 다른 한 쪽 주표면(90a)의 전면 또는 일부 영역의 표면 상에 또는 해당 부착 부재(90)의 내부에 자석이 설치됨으로써 구성된다. 이 경우, 피부착면이, 예를 들어, 철등의 금속으로 구성된 물품에 RFID 태그(100)를 주표면(90a)의 자력을 사용해 부착시킬 수 있다. 주표면(90a)을 마그네틱 면으로 하고 주표면(90b)를 점착면으로 하는 경우, 부착 부재(90)로서, 마그네틱 테이프(예를 들어, 코구요 S&T 주식회사의 마크 370)를 사용할 수 있다. 마크 370을 사용하는 경우, RFID 태그(100)와 물품 사이의 부착 및 박리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RFID 태그(100)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착 부재(90)는 덮개(19)와, 평탄면(11) 및 개구(17)의 주변부(11a)에 걸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착 부재(90)로 덮개(19)와 주변부(11a) 사이의 경계를 피복함으로써, 용기(10) 내로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100)는 상술한 각 구성에 추가로 한 쌍의 서브 돌출부(80)를 구비 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돌출부(80)는 평탄면(11)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15a, 15b)의 각각에 걸쳐, 평탄면(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서브 돌출부(80)는 용기(10)와 동일한 재질로서 용기(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 돌출부(80)는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주표면(80a 및 80b)를 가지는 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돌출부(80)에는, 양 주표면(80a 및 80b) 사이를 관통하는 나사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할 때, 상기 나사 구멍(81)을 이용하여,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나사 고정시킴으로써, 견고하게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한 쌍의 서브 돌출부(80)와는 별도로, 돌출부(70)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에 있는 평탄면(11)의 장변(13b), 및 용기(10)와는 반대 측에 있는 돌출부(70)의 단부(70c) 중 일방 또는 양방에 돌출된 서브 돌출부(85)를 설치하여도 좋다. 서브 돌출부(85)를 설치한 경우의 구성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3과 동일하게, RFID 태그(100)를 용기(10)의 평탄면(11) 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부착 부재(90)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은 돌출부(70)의 단부(70c)에 서브 돌출부(85)를 설치한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예에 따른 서브 돌출부(85)는, 예를 들어, 용기(10) 및 돌출부(70)와 동일한 재질을 가지고, 돌출부(7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 돌출부(85)는 서로 대향하는 주표면(85a) 및 주표면(85a)의 대향면을 가지는 판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 돌출부(85)에는, 주표면(85a) 및 주표면(85a)의 대향면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86)이 형성되어 있다.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할 때, 구멍(86)에 끈이나 철사 등을 관통시켜, 이들을 물품에 둘러 감음으로써, 견고하게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술한 RFID 태그(100)에 따르면, 부착 부재(90)에 의해 피복된 용기(10)의 평탄면(11) 및 돌출부 부착면(70a)을, 물품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면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평판 형태의 물품의 측면에 용기(10)의 평탄면(11)을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의 평판면에 돌출부(70)를 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물품의 측면 및 평판면의 2 면에 걸쳐, RFID 태그(1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RFID 태그(100)는 물품의 측면의 너비가 작은 경우라 할지라도 그 측면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100)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우선 금형 등을 이용하여 돌출부(70)와 일체형인 용기(10) 및 덮개(19)를 각각 형성한다. 그 다음, 용기(10) 내부에 RFID 인렛(30) 및 스페이서(50)를 순서대로 수용시킨다. 다음으로, 덮개(19)를 통해서 용기(10)의 개구(17)를 덮는다. 개구(17)에 덮개(19)를 평단면(1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수동으로 눌러 넣어서, 덮개(19)가 오목부(21)와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다음으로, 부착 부재(90)를 부착시킨다. 이와 같이, RFID 태그(100)는 적은 공정 수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50)와 덮개(19)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경우(도 5 참조)에는, 금형 등을 이용하여 덮개(19) 대신에, 덮개(19)와 스페이서(50)를 일체화시킨 구조체(60)를 형성한다. 이 경우, 스페이서(50)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페이서(50)를 용기(10)에 수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간단하고 쉽게 RFID 태그(10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즉, 용기(10)의 장변(13a, 13b) 방향 길이(L1)을 100mm, 용기(10)의 단변(15a, 15b) 방향 길이(L2)를 4.5mm, 높이(H1)을 6.4mm, 측벽(23)의 두께(T1)를 0.6mm, 측벽(23)의 오목부(21) 형성 부분의 두께(T2)를 0.35mm, 측벽(23)에서 오목부(21)가 들어가 있는 평탄면(11) 측 두께(T3)를 0.45mm, 상기 두께(T3)의 부분의 높이(H2)를 0.15mm, 덮개(19)의 두께(T4)를 0.7mm, 돌출부(70)의 두께(T5)를 0.7mm, 돌출부(70)의 박판부(73)의 두께(T6)를 0.2 ~ 0.35mm의 범위, 돌출부(70)의 단변(15a, 15b) 방향 길이(L3)를 10.5mm, 둘출부(70)의 박판부(73)의 단변(15a, 15b) 방향 길이(L4)를 3.5mm, 및 부착 부재(90)의 두께(T7)를 0.16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물품의 피부착면의 형상 및 크기와 용기(10)에 수용되는 RFID 인렛(30)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여도 좋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RFID 태그(100)를 평판 형상의 물품(200)의 측면(200a)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7(B)는 RFID 태그(100)를 평판 형상의 물품(200)의 평판면(200b)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물품(200)의 측면(200a)에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물품(200)의 측면(200a)에 용기(10)의 평탄면(11)을 부착한다. 이 때, 용기(10)와 돌출부(70) 사이의 경계인 장변(13a)이, 물품(200)의 측면(200a)와 평탄면(200b) 사이의 가장자리(200c)를 따라 배치되도록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돌출부(70)를 물품(200)의 평판면(200b) 측으로 접어서, 돌출부 부착면(70a)을 평판면(200b)에 부착시킨다. 그 후, RFID 태그(100)를 물품(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 돌출부(80)의 나사 구멍(81)에 나사(83)를 삽입하여 나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물품(200)의 측면(200a) 및 평판면(200b)의 2 면에 걸쳐, 안정적으로 RFID 태그(1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200)의 평판면(200b)에 부착시키는 경우, 도 7(B)에 도시되듯이, 돌출부(70)를 접지 않고, 용기(10)의 평탄면(11) 및 돌출부 부착면(70a)의 양 쪽 모두를 물품(200)의 평판면(200b)에 부착시킨다. 또한, RFID 태그(100)를 물품(2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 돌출부(80)의 나사 구멍(81)에 나사(83)를 삽입하여 나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술한 종래 RFID 태그와는 달리, 용기(10)의 평탄면(11)만이 아니라, 돌출부 부착면(70a)을 부착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부착면의 면적이 확대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RFID 태그(1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은 RFID 태그(100)를 예를 들어 코일 등의 만곡면을 가지는 물품(300)의 만곡면(300a)에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또한, 도 8의 구성예에서는, 물품(300)의 만곡면(300a)에, RFID 태그(100)를 안정시켜 부착시키기 위하여, 돌출부(70)를 시트 형상으로 하고, 그 길이(L3)(도 2 참조)를 도 7(A) 및 (B)의 구성예 보다 크게 설계하였다.
물품(300)의 곡면(300a)에 부착시킨 경우, 도 8에 도시되듯이, 돌출부(70)를 만곡면(300a)에 따라 만곡시키고, 물품(300)에 둘러 감듯이 부착시킨다. 또한, RFID 태그(100)를 물품(30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브 돌출부의 나사 구멍에 나사를 삽입하여 나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용기(10)의 평탄면(11)뿐 아니라 돌출부 부착면(70a)까지도 부착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70)의 길이(L3)를 크게 한 경우에서도, 돌출부(70)를 만곡면(300a)에 따라 둘러 감은 상태로 부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비부착면이 만곡면인 경우에서도, 안정적으로 RFID 태그(1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만곡면(300a)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 오목부(71)를 복수 개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RFID 태그(100)를 물품에 부착시키는 형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물품의 형상이나 크기에 따라서 적절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구성예 이외에도, 예를 들어, 파이프 등의 관 형태의 물품의 외주면이나 내주면, 철근 등의 봉 형태의 물품의 표면, 원통 형태의 액체 용기의 표면, 또는 봄베 표면 등의 각종 형상이나 크기의 피부착면을 가지는 물품에 대응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종 형상 또는 크기를 가지는 물품이 조합되어 구성된 공업 제품 등의 제품 관리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또는 자전거 등의 공장 내 종별 관리나, 출하시 또는 출하후의 재고 관리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상술한 서브 돌출부(85)를 설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서브 돌출부(85)의 구멍(86)을 통한 끈이나 철사 등을 물품에 둘러 감아서 보다 견고하게 RFID 태그(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10:용기 11:평탄면
13a, 13b:장변 15a, 15b:단변
17:개구 19:덮개
21:오목부 23:측벽
30:RFID 인렛 50:스페이서
70:돌출부 70a:돌출부 부착면
73:박판부 71, 75:오목부
80, 85:서브 돌출부 81:나사 구멍
86:구멍 90:부착 부재
100:RFID 태그 200, 300:물품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사각형의 평탄면(11)을 가지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 내부에 수용되는 RFID 인렛(30)과,
    상기 용기(10) 내부를 채우는 스페이서(50)와,
    상기 평탄면(11)의 한 쪽 장변(13a)에 걸쳐서, 상기 평탄면(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장변(13a)을 축으로 접힐 수 있는 돌출부(70)와,
    시트 형태의 부착 부재(90)를 구비하는 RFID 태그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70)는 돌출부 부착면(70a)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 부착면(70a)은 상기 용기(10)의 평탄면(11)과 함께 부착면을 구성하고;
    상기 부착 부재(9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주표면(90a, 90b)을 가지며, 상기 부착 부재(90)의 상기 한 쌍의 주표면 중에서 하나 이상은, 점착면을 이루는 주표면(90b)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 부재(90)의 한 쌍의 주표면 중에서 점착면을 이루는 주표면(90b)은, 상기 평탄면(11)과 상기 돌출부 부착면(70a)에 걸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부착면은 상기 평탄면과 동일하거나 상기 평탄면 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부착 부재의 한 쌍의 주표면 중 다른 하나의 주표면이 점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부착 부재의 한 쌍의 주표면 중 하나의 주표면이 점착면이고, 상기 부착 부재의 한 쌍의 주표면 중 다른 하나의 주표면 위에 또는 해당 부착 부재의 내부에 자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에서 상기 용기 안쪽으로 관통하는 개구가, 상기 평탄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를 막는 덮개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부착 부재는, 상기 덮개와, 상기 평탄면의 개구를 형성하는 주변부에 걸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덮개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평탄면과 대향하는 면은, 상기 평탄면의 반대측으로 볼록한 만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의 대향하는 한 쌍의 단변 각각에 걸쳐서, 상기 평탄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서브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설치된 것과는 반대측에 있는 상기 평탄면의 장변, 및 상기 용기와 반대측에 있는 상기 돌출부의 단부 중 일방 또는 양방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서브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
KR1020127032686A 2012-01-31 2012-08-16 Rfid 태그 KR101439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17455A JP4978857B1 (ja) 2012-01-31 2012-01-31 Rfidタグ
JPJP-P-2012-017455 2012-01-31
PCT/JP2012/070849 WO2013114655A1 (ja) 2012-01-31 2012-08-16 Rfidタ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890A KR20130098890A (ko) 2013-09-05
KR101439307B1 true KR101439307B1 (ko) 2014-09-11

Family

ID=46678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2686A KR101439307B1 (ko) 2012-01-31 2012-08-16 Rfid 태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69039B2 (ko)
EP (1) EP2657890B1 (ko)
JP (1) JP4978857B1 (ko)
KR (1) KR101439307B1 (ko)
CN (1) CN103443808B (ko)
WO (1) WO20131146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68972U (zh) 2016-10-31 2018-10-21 美商米沃奇電子工具公司 發訊系統及位置紀錄系統
TWI609329B (zh) 2016-12-19 2017-12-21 韋僑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射頻識別裝置及其製造方法
JP6375014B1 (ja) * 2017-04-11 2018-08-15 株式会社バンダイ 情報保持媒体
NL2021806B1 (en) * 2018-10-12 2020-05-13 Container Centralen As RFID label tag for authentication of a plant container
KR102164746B1 (ko) * 2019-01-09 2020-10-13 (주)연우피씨엔지니어링 방수·방진이 가능한 rfid 태그, 이를 포함하는 pc부재 및 이들을 활용한 pc관리시스템
US20210233378A1 (en) * 2020-04-01 2021-07-29 Pedro A. Murati Method and Assembly for Warning Against Hand to Face Contac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0488A (ja) 2006-05-16 2007-11-29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装置
JP2010026679A (ja) 2008-07-17 2010-02-04 Toppan Forms Co Ltd Rfidラベ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9336A (en) * 1997-02-03 1999-09-07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e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969613A (en) * 1997-08-11 1999-10-19 Alpha Enterprises, Inc.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ecurity device
AU2002216774A1 (en) * 2000-06-29 2002-01-14 Avery Dennison Corporation Eas marker
WO2002007078A1 (fr) * 2000-07-19 2002-01-24 Hanex Co., Ltd. Structure de logement et d'installation d'etiquette d'identification et procede de communication d'une telle etiquette
US20040066296A1 (en) * 2001-11-15 2004-04-08 Atherton Peter S. Tamper indicat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label with tracking capability
JP4815211B2 (ja) 2005-12-22 2011-11-16 株式会社サトー Rfidラベルおよびrfidラベルの貼付方法
JP4848764B2 (ja) * 2005-12-26 2011-12-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接触式データキャリア装置
JP2008272940A (ja) * 2007-04-25 2008-11-13 Sealex Corp ターポリン製容器の製造方法及びターポリン製容器
JP3141971U (ja) * 2008-03-14 2008-05-29 小林クリエイト株式会社 Rfidタグ
JP5896594B2 (ja) * 2010-05-14 2016-03-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ic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0488A (ja) 2006-05-16 2007-11-29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接触データキャリア装置
JP2010026679A (ja) 2008-07-17 2010-02-04 Toppan Forms Co Ltd Rfidラ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32596A1 (en) 2014-11-13
EP2657890B1 (en) 2016-10-05
WO2013114655A1 (ja) 2013-08-08
CN103443808B (zh) 2016-03-02
JP2013156869A (ja) 2013-08-15
US9269039B2 (en) 2016-02-23
EP2657890A4 (en) 2015-07-08
EP2657890A1 (en) 2013-10-30
KR20130098890A (ko) 2013-09-05
CN103443808A (zh) 2013-12-11
JP4978857B1 (ja) 201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307B1 (ko) Rfid 태그
WO2006075359A1 (ja) Icタグ収納ケース
KR101602381B1 (ko) Rf태그
JP2006202319A (ja) タグ保持体
JP3141971U (ja) Rfidタグ
KR100567842B1 (ko) 내열성을 갖는 금속용 무선주파수 인식 태그
JP5269690B2 (ja) Rfidタグ
US8683724B2 (en) ID tag for circuit breaker
JP3837152B2 (ja) Icタグ保有体およびタグ保持体
JP2008276042A (ja) 銘板
JP5537077B2 (ja) Rfidタグの書籍類用取付けホルダー
JP4599289B2 (ja) 収納容器
JP2009048550A (ja) Icタグ
JP6586605B2 (ja) 封緘具
KR200166927Y1 (ko) 센서매틱 태그의 장착 구조
US20120032784A1 (en) Magnetic Sensing Bar Assembly with Multiple Functions
KR20080000403U (ko) 신용카드 케이스 구조물
JP2010262540A (ja) Rfidタグ
JP3136193U (ja) 立体タグ
JP4914456B2 (ja) Icタグ
JP2009271741A (ja) タグ保持体
JP2009205390A (ja) Rfidタグ
JP2006202318A (ja) タグ付きボルト
CN202687066U (zh) 一种标签扎带
JP2000226032A (ja) 貨物コンテナ用のidタ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