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058B1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058B1
KR101438058B1 KR1020130104901A KR20130104901A KR101438058B1 KR 101438058 B1 KR101438058 B1 KR 101438058B1 KR 1020130104901 A KR1020130104901 A KR 1020130104901A KR 20130104901 A KR20130104901 A KR 20130104901A KR 101438058 B1 KR101438058 B1 KR 10143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installation space
seal member
hol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허근무
유문식
서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히로세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히로세코리아(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3010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3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by means of interconnec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기능과 FFC 와의 접속성과 접속 단자부재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이 결합된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의 일측을 통해 내부로 결합되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이너 씰부재,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씰부재를 고정하는 홀더, 상기 설치공간의 개구된 타측 입구에 끼움 설치되는 어퍼 씰부재, 상기 설치공간의 타측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는 단자 설치홈이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단자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와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타측은 상기 전기 케이블과 융착 결합하는 접속 단자부재, 상기 접속 단자부재와 상기 전기 케이블을 압착 고정하며 상기 이너 하우징에 결합하는 리테이너,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타측를 폐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커버부재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로워 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방수 기능과 FFC 와의 접속성과 접속 단자부재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수 커넥터가 상호 접속할 때 접속부에서 발생하여 커넥터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 장치가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141977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11-141977 호에 개시된 커넥터에 따르면 평면케이블이 접속된 커넥터와 기판에 실장된 상대측 커넥터의 결합부위에 씰부를 형성하여 커넥터와 상대측 커넥터와의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자동차 등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종래의 수평형으로만 한정된 케이블과는 다르게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대응할 수 있게 FFC(Flexible Flat Cable)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되는 FFC 커넥터의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고 따라서 FFC와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결되는 FFC 커넥터의 구조에 적합한 씰링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부위와 FFC와의 결합부위에 각 방수 구조를 형성한 방수 커넥터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접속 단자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방수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 단자부재와 FFC가 수직 및 수평으로 융착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는 방수 커넥터가 제공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접속 단자부재와 FFC의 접점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는 방수 커넥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는, 전기 케이블이 결합된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의 일측을 통해 내부로 결합되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이너 씰부재,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씰부재를 고정하는 홀더, 상기 설치공간의 개구된 타측 입구에 끼움 설치되는 어퍼 씰부재, 상기 설치공간의 타측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는 단자 설치홈이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단자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와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타측은 상기 전기 케이블과 융착 결합하는 접속 단자부재, 상기 접속 단자부재와 상기 전기 케이블을 압착 고정하며 상기 이너 하우징에 결합하는 리테이너,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타측를 폐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커버부재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로워 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내부에 상기 이너 하우징이 끼움 고정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단자부재는 타단에 기립되는 케이블 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씰부재는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이너 씰부재의 일측을 지지하게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 단층을 이루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주 길이가 길어지게 형성되는 외주 단층부와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상기 외주 단층부와 대응하는 내주 단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씰부재는 튜브형이며, 둘레에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의 내부에 돌출되는 복수의 경사 돌기와, 상기 설치부의 일측 외표면에 상기 경사 돌기에 대응하게 함몰되는 경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의 내부에 돌출되는 복수의 오삽입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단자부재의 일측부는 양단이 개구된 통체를 형성하여 내부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및 저면 넓이 중에 내측으로 탄성 돌출되는 압입 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 상측에 돌출되되 탄성에 의해 승강 가동하는 탄성 접속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케이블 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는 상면 일측에 하측으로 경사지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의 끝단에 걸리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부의 길이 중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퍼 씰부재와 상기 로워 씰부재의 각 표면에 돌출된 다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너의 양단에 각 일측으로 절곡되어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결합 후크와, 상기 이너 하우징의 타측 양옆에 각 상기 결합 후크가 걸리도록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 양 옆단에 각 함몰되는 탈착홈과, 상기 커버부재의 양 옆단에 각 돌출되어 상기 탈착홈과 맞물려 상호 결합하는 탈착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테두리로부터 탄성 돌출되는 결합 돌기와,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 넓이면에 천공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 상단 및 하단에 각 함몰되는 요철홈과,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각 돌출되어 상기 요철홈과 요철 결합하는 요철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워 씰부재는 튜브형이며, 타측면에 돌출되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일측면에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결합하는 끼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부위와 FFC와의 결합부위에 각 방수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방수 신뢰성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의하면, 접속 단자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용 단자에 FFC가 융착 결합하게 하여 접속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용 단자에 FFC가 융착 결합하기 위한 충분한 접점 영역을 확보하게 하여 커넥터용 단자와 FFC가 융착 결합하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를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커넥터를 하우징 조립체와 케이블 조립체와 커버 조립체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커버부재와 로워 씰부재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을 절단하여 "B"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홀더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부재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을 절단하여 "C"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방수 커넥터는 암수 커넥터가 상호 접속할 때 접속부에서 발생하여 컨넥터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를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가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커넥터를 하우징 조립체와 케이블 조립체와 커버 조립체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커버부재와 로워 씰부재가 상호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커넥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을 절단하여 "B"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1)는 상대 커넥터(10)와 커넥터(100)가 결합되는 방수 커넥터(1)로서, 상기 커넥터(100)는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는 하우징 조립체(200)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200)의 개구된 타측에 조립되는 케이블 조립체(300)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200)의 타측에 조립되어 상기 하우징 조립체(200)의 타측을 폐쇄하고 상기 케이블 조립체(300)를 상기 하우징 조립체(200)에 고정하는 커버 조립체(4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조립체(200)는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설치공간(111)이 마련되어 개구된 일측을 통해 상기 상대 커넥터(10)의 단자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하게 하는 아우터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설치공간(111)은 내부에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설치부(11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설치부(113)의 타단이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과 연결되어 상기 설치부(113)의 상면과 저면은 상기 설치공간(111)과 일정 거리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111) 내부에는 이너 씰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 씰부재(120)는 탄성 재질의 튜브형으로 둘레에 주름부(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이너 씰부재(120)는 상기 단자 설치부(113)의 일측으로부터 외표면에 강제끼움 결합되어 상기 단자 설치부(113)의 타단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10)는 타측에 상대 커넥터 단자(11)와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를 커버하며 타측이 개구되는 단자 커버(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대 커넥터(10)가 상기 커넥터(100)와 결합할 시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는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단자 커버(13)는 상기 설치공간(111)의 내부로 삽입되되 상기 단자 커버(13)의 내부로는 상기 설치부(113)가 삽입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단자 커버(13)의 내부 표면과 상기 이너 씰부재(120)의 주름부(121)가 밀착되어 상기 단자 커버(13)와 상기 설치부(113)의 사이를 씰링(sealing)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대 커넥터(10)와 상기 커넥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 커넥터(10)와 상기 커넥터(100)의 결합부를 통해 외부의 물끼 등의 액체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수밀 구조를 이루어 고장 및 사고 등을 방지한다. 더불어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10)의 양 옆면에는 각 가이드돌기(15)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설치공간(111)의 양 옆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5)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가이드홈(111a)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10)가 상기 커넥터(100)에 연결되는 것을 가이드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서 홀더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설치공간(111) 내부에는 홀더(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홀더(130)는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통체로 형성되며 일측단의 내주 길이는 타측단의 내주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홀더(130)는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으로부터 외표면에 강제 끼움되되 상기 이너 씰부재(120)의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 씰부재(120)의 위치를 유지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130)와 상기 설치부(113)는 돌기와 홈에 의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홀더(130)의 내부 상면 또는 저면에 복수의 경사 돌기(135)가 돌출되고,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 외표면에 상기 경사 돌기(135)가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경사 돌기(135)에 대응하는 경사 홈(1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 돌기(135)의 경사면은 상기 홀더(130)의 타측을 향하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130)가 상기 설치부(113)로 끼움 삽입은 쉽게 하고 반대로 상기 홀더(130)가 상기 설치부(1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어렵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홀더(130)의 내부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13)의 일측 외표면에 상기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130)가 상기 설치부(113)에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설치부(113)의 외주면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단층을 형성하며 외주 길이가 길어지게 하는 외주 단층부(113e)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외주 단층부(113e)와 대응하게 일측에서 타측으로 단층을 형성하며 내주 길이가 길어지는 내주 단층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130)가 상기 설치부(113)에 설치되는 것을 가이드함에 따라 조립 오차를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홀더(130)의 내부에는 복수의 오삽입방지돌기(1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삽입방지돌기(133)는 상기 홀더(130)를 상기 설치부(113)에 강제 끼움 설치 시 상기 홀더(130)를 정위치로 상기 설치부(113)에 끼우지 않을 시 상기 홀더(130)가 상기 설치부(113)에 끼워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삽입방지돌기(133)는 상기 홀더(130)의 상면 내부에 돌출되는 상면 오삽입방지돌기(133a)와 상기 홀더(130)의 저면 내부에 돌출되는 저면 오삽입방지돌기(133b)와 상기 홀더(130)의 측면 내부에 돌출되는 측면 오삽입방지돌기(133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면 오삽입방지돌기(133a)와 상기 저면 오삽입방지돌기(133b)는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130)의 상하 정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상기 측면 오삽입방지돌기(133c)는 상기 홀더(130)의 측면 중심으로부터 상측 또는 하측으로 편중되게 형성되어 상기 홀더(130)가 정위치로 설치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113)에는 상기 오합입방지돌기(133)에 대응되게 끼움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조립체(300)는 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복수의 단자 설치홈(311)이 형성된 이너 하우징(310)을 포함한다. 상기 이너 하우징(310)은 상기 복수의 단자 설치홈(311) 각각에 접속 단자부재(500)를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 하우징(310)은 상기 설치부(113)의 타측을 통해 상기 설치부(113)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이렇게 상기 설치부(113)에 설치되어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의 일측으로는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와 접속하고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의 타측으로는 FFC(Flexible Flat Cable; F) 등과 같은 전기 케이블(이하 FFC라 한다.)과 접속한다. 이때,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의 타단과 상기 FFC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초음파 등의 융착 방식에 의해 상호 결착된다. 여기서 상기 이너 하우징(310)의 타단에는 복수의 받침돌기(317)가 상호 일정 거리를 갖게 기립되어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와 융착되는 상기 FFC(F)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너 하우징(310)의 타단에는 리테이너(320)가 결합되어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와 상기 FFC(F)를 상기 이너 하우징(310)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리테이너(320)는 판체로 형성되며 양단에 각 일측으로 절곡되어 중앙에 홈(323)이 형성되는 결합 후크(325)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하우징(310)의 타측 양옆에 각 상기 결합 후크(325)가 걸리도록 돌출되는 걸림 돌기(315)를 포함하여 상기 이너 하우징(310)과 상기 리테이너(320)이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FFC(F)는 상기 이너 하우징(3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 도 6,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111)의 개구된 타측 입구에는 튜브형의 어퍼 씰부재(140)가 끼움 설치되어 상기 FFC(F)가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과 접하는 부위를 씰링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씰부재(140)의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에는 각 체결돌기(141)가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의 타측 상부 테두리와 하부 테두리에는 각 상기 체결돌기(14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홀(118)이 천공되어 상기 어퍼 씰부재(140)가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어퍼 씰부재(140)의 표면에는 다열 돌기(P)가 돌출되어 상기 FFC(F)와 상기 어퍼 씰부재(140)가 접하는 부위와 상기 어퍼 씰부재(140)와 상기 설치공간(111)의 내면과의 사이에 방수층을 형성하게 한다.
도 2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7,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조립체(400)는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의 개구된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111)의 타측를 폐쇄하는 커버부재(4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10)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과 상기 커버부재(410)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로워 씰부재(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로워 씰부재(420)는 튜브형이며, 타측면에 복수의 끼움 돌기(421)가 돌출되고, 상기 커버부재(41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끼움 돌기(421)가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복수의 끼움홀(411)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로워 씰부재(420)의 표면에는 다열 돌기(P)가 돌출되어 상기 커버 조립체(400)가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에 결합할 시 상기 로워 씰부재(420)와 밀접하는 상기 FFC(C)와의 사이와 상기 로워 씰부재(420)와 상기 커버부재(410)와의 사이에 방수층을 형성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10)를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의 타측 양 옆단에는 각 탈착홈(115)이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410)의 양 옆단에는 상기 탈착홈(115)과 맞물려 상호 결합하도록 탈착 고리(41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의 양 옆면에는 각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의 양 옆면을 가압하여 상기 탈착 고리(413)와 상기 탈착홈(115)을 분리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분리 레버(150)가 설치되며, 상기 분리 레버(150)의 둘레를 커버하여 상기 분리 레버(150)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15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10)의 테두리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415)가 탄성 돌출되고,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의 타측 넓이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415)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홀(117)이 천공된다. 더불어 상기 아우터 하우징(110)의 타단 상부 및 하부에는 각 요철홈(119)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4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 상기 요철홈(119)과 요철 결합할 수 있도록 요철 돌기(417)가 돌출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단자부재만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을 절단하여 "C"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는 일측으로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타측으로 FFC(F)와 같은 전기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의 일측부는 양단이 개구된 통체를 형성하여 내부로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가 삽입되는 몸체부(510)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10)의 상면 및 저면 넓이 중에 내측으로 탄성 돌출되는 압입 돌기(511)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510)에 삽입되는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를 압입함에 따라 접점 신뢰성을 높인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10)의 저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몸체부(510)의 일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끝단은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압입 돌기(511) 중 저면 넓이 중에 형성된 압입 돌기(511)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의 삽입 및 탈거 시 스프링과 같이 탄성에 의해 승강 가동하면서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와 접속하는 탄성 접속부(513)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510)의 일단에는 내측으로 라운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515)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 단자(11)의 삽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더불어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몸체부(510)의 일측 상면에는 지지 돌기(517)가 상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 설치홈(311)의 상면 일단에는 하측으로 경사지는 스토퍼 부재(312)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 설치홈(311)에 삽입 설치된 상기 커넥터용 단자(500)의 상기 지지 돌기(517)가 상기 스토퍼 부재(312)에 걸리게 고정함에 따라 상기 커넥터용 단자(500)가 상기 단자 설치홈(311)으로 삽입 설치는 쉽게 하면서 상기 단자 설치홈(3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방지하게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 부재(312)는 탄성을 가지고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 돌기(517)도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10) 상면의 타측단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520)의 끝단은 상측으로 기립하게 절곡되는 케이블 융착부(521)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융착부(521)는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의 타단에 융착되는 상기 FFC(F)가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와 융착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 융착부(521)에 의해 본 발명은 상기 FFC(F)와의 접촉 신뢰성 및 융착력을 향상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연장부(520)의 길이 중에 양단에는 각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523)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520)의 강도를 보강해 주면서 상기 접속 단자부재(500)가 상기 단자 설치홈(311)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52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융착부(521)가 절곡되는 부위에는 보강 리브(525)가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융착부(521)의 강도를 보강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부위와 FFC와의 결합부위에 각 방수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방수 신뢰성을 극대화 하는 효과가 있고, 접속 단자부재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접속 단자부재와 FFC가 2접점 구조를 형성하여 접촉 신뢰성 향상과 함께 오 접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방수 커넥터 10: 상대 커넥터
11: 상대 커넥터 단자 13: 단자 커버
15: 가이드돌기 100: 커넥터
110: 아우터 하우징 111: 설치공간
111a: 가이드홈 113: 설치부
113a: 경사 홈 113e: 외주 단층부
115: 탈착홈 117: 결합홀
118: 체결홀 119: 요철홈
120: 이너 씰부재 121: 주름부
130: 홀더 131: 내주 단층부
133: 오삽입방지돌기 133a: 상면 오삽입방지돌기
133b: 저면 오삽입방지돌기 133c: 측면 오삽입방지돌기
135: 경사 돌기 140: 어퍼 씰부재
141: 체결돌기 150: 분리 레버
151: 보호 커버 200: 하우징 조립체
300: 케이블 조립체 310: 이너 하우징
312: 스토퍼 부재 311: 단자 설치홈
315: 걸림 돌기 317: 받침돌기
320: 리테이너 323: 홈
325: 결합 후크 400: 커버 조립체
410: 커버부재 411: 끼움홀
413: 탈착 고리 415: 결합 돌기
417: 요철 돌기 420: 로워 씰부재
421: 끼움 돌기 500: 접속 단자부재
510: 몸체부 511: 압입 돌기
513: 탄성 접속부 515: 가이드부
517: 지지 돌기 520: 연장부
521: 케이블 융착부 523: 지지대
525: 보강 리브 P: 다열 돌기
F: FFC F1: 절첩부
F2: 관통홀

Claims (18)

  1. 전기 케이블이 결합된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상호 결합되는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도록 내부에 설치공간이 마련된 아우터 하우징;
    상기 설치공간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공간의 일측을 통해 내부로 결합되는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이너 씰부재;
    상기 설치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이너 씰부재를 고정하는 홀더;
    상기 설치공간의 개구된 타측 입구에 끼움 설치되는 어퍼 씰부재;
    상기 설치공간의 타측을 통해 상기 설치공간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 일측과 타측이 개구되는 단자 설치홈이 형성되는 이너 하우징;
    상기 단자 설치홈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상대 커넥터와 일측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타측은 상기 전기 케이블과 융착 결합하는 접속 단자부재;
    상기 접속 단자부재와 상기 전기 케이블을 압착 고정하며 상기 이너 하우징에 결합하는 리테이너;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공간의 타측를 폐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아우터 하우징과 상기 커버부재와의 사이를 씰링하는 로워 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은,
    내부에 상기 이너 하우징이 끼움 고정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부재는 타단에 기립되는 케이블 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너 씰부재는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이너 씰부재의 일측을 지지하게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의 외주면에 단층을 이루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외주 길이가 길어지게 형성되는 외주 단층부와
    상기 홀더의 내주면에 상기 외주 단층부와 대응하는 내주 단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 씰부재는 튜브형이며, 둘레에 형성되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측과 타측이 개구된 통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부에 돌출되는 복수의 경사 돌기와,
    상기 설치부의 일측 외표면에 상기 경사 돌기에 대응하게 함몰되는 경사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부에 돌출되는 복수의 오삽입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부재의 일측부는 양단이 개구된 통체를 형성하여 내부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및 저면 넓이 중에 내측으로 탄성 돌출되는 압입 돌기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 상측에 돌출되되 탄성에 의해 승강 가동하는 탄성 접속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으로부터 절곡되는 케이블 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면 일측에 하측으로 경사지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 부재의 끝단에 걸리는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길이 중에 하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씰부재와 상기 로워 씰부재의 각 표면에 돌출된 다열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의 양단에 각 일측으로 절곡되어 중앙에 홈이 형성되는 결합 후크와,
    상기 이너 하우징의 타측 양옆에 각 상기 결합 후크가 걸리도록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 양 옆단에 각 함몰되는 탈착홈과,
    상기 커버부재의 양 옆단에 각 돌출되어 상기 탈착홈과 맞물려 상호 결합하는 탈착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테두리로부터 탄성 돌출되는 결합 돌기와,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 넓이면에 천공되어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하우징의 타측 상단 및 하단에 각 함몰되는 요철홈과,
    상기 커버부재의 상단 및 하단에 각 돌출되어 상기 요철홈과 요철 결합하는 요철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워 씰부재는 튜브형이며, 타측면에 돌출되는 끼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일측면에 상기 끼움 돌기가 끼움 결합하는 끼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KR1020130104901A 2013-09-02 2013-09-02 방수 커넥터 KR10143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01A KR101438058B1 (ko) 2013-09-02 2013-09-02 방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01A KR101438058B1 (ko) 2013-09-02 2013-09-02 방수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058B1 true KR101438058B1 (ko) 2014-09-05

Family

ID=5175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901A KR101438058B1 (ko) 2013-09-02 2013-09-02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94143A (zh) * 2024-02-27 2024-03-29 深圳勤本电子有限公司 一种漏水渗液报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071A (ja) 2003-05-21 2004-12-09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9071A (ja) 2003-05-21 2004-12-09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94143A (zh) * 2024-02-27 2024-03-29 深圳勤本电子有限公司 一种漏水渗液报警装置
CN117794143B (zh) * 2024-02-27 2024-04-30 深圳勤本电子有限公司 一种漏水渗液报警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1248B2 (ja) コネクタ
JP6548036B2 (ja) コネクタ
US7731543B2 (en) Shielded connector
JP4941745B2 (ja) コネクタ
JP6548035B2 (ja) コネクタ
JP5704031B2 (ja) コネクタ
US6992248B1 (en) Junction box assembly with connectivity assurance
CN104852203A (zh) 用于车辆的防水连接器
CN103765696B (zh) 用于插塞连接器壳体的锁定装置
US9128410B2 (en) Waterproof connector
JP6680344B2 (ja) 電気コネクタ
CN112821116B (zh) 连接器
KR101438058B1 (ko) 방수 커넥터
JP4037205B2 (ja) 防水ボックス
JP2006196427A (ja) 電気コネクタ
JP2017212129A (ja) 防水コネクタ
JP2010519678A (ja) シール可能な電気コネクタ
US20170033494A1 (en) Connector
EP2751880B1 (en) Waterproof connector
KR101438057B1 (ko) 방수 커넥터 및 그 방수 커넥터의 조립방법
KR20150043023A (ko) 커넥터용 단자
KR20150043025A (ko) 커넥터용 단자
JP3963801B2 (ja) 電気接続箱用グロメットのシール構造
CN111435772A (zh) 连接器组件和包括连接器组件的家用电器
KR20140127901A (ko) 단자의 접속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